KR101870202B1 -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 - Google Patents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202B1
KR101870202B1 KR1020160158410A KR20160158410A KR101870202B1 KR 101870202 B1 KR101870202 B1 KR 101870202B1 KR 1020160158410 A KR1020160158410 A KR 1020160158410A KR 20160158410 A KR20160158410 A KR 20160158410A KR 101870202 B1 KR101870202 B1 KR 10187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icroscope
receiving groove
hous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170A (ko
Inventor
허성율
Original Assignee
(주)오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맥스 filed Critical (주)오맥스
Priority to KR102016015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2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6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only episcopic proj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02B21/0024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 G02B21/0036Scanning details, e.g. scanning stages
    • G02B21/0044Scanning details, e.g. scanning stages moving apertures, e.g. Nipkow disks, rotating lens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8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details of associated display arrangements, e.g. mounting of LCD moni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링크, 제2링크 및 카메라가 형성된 헤드부가 수납 보관 가능한 홈이 하우징에 형성되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며, 카메라 외에도 피사체를 고배율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상면에는 링크수납홈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헤드부수납홈과, 현미경부수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면의 전면부에 힌지 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회동되며, 링크수납홈에 수납 보관될 수 있는 제1링크와, 제1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회동되며, 제1링크와 함께 링크수납홈에 수납 보관될 수 있는 제2링크와, 제2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회동되며, 헤드부수납홈에 수납 보관될 수 있고,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이 형성되는 헤드부와, 현미경부수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현미경부를 포함하고, 사용시에는 제1링크, 제2링크 및 헤드부가 링크수납홈과 헤드부수납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VISUAL PRESENTER WITH MICROSCOPE}
본 발명은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링크, 제2링크 및 카메라가 형성된 헤드부가 수납 보관 가능한 홈이 하우징에 형성되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며, 카메라 외에도 피사체를 고배율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물화상기는 피사체를 카메라로 촬상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기기로써, 학술 및 산업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실물화상기는 인쇄물, 프린트물의 내용과 같은 문서자료를 확대시킨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기본용도이다.
실물화상기는 보통 책상 또는 교탁 등에 거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결합되는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는 출력포트로 구성되는데, 카메라는 하우징에 고정된 구조로, 위치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피사체를 직접 이동하여 촬상범위를 조절해야 했다.
상술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카메라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가 개발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0174에 개시되어 있다. (2014.05.19. 실물화상기)
그런데 상기의 실물화상기는 카메라가 외부로 항상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돌출된 카메라의 간섭에 의해 보관이 불편하였으며, 이동 시 카메라의 파손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실물화상기는 문서자료와 같은 피사체만을 확대할 수 있는 카메라만 형성되어 있어, 문서자료에 관련된 실물자료를 고배율로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 현미경을 따로 구비하여야 했다.
따라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017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실물화상기는 상면에는 링크수납홈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헤드부수납홈과, 현미경부수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면의 전면부에 힌지 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회동되며, 링크수납홈에 수납 보관될 수 있는 제1링크와, 제1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회동되며, 제1링크와 함께 링크수납홈에 수납 보관될 수 있는 제2링크와, 제2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회동되며, 헤드부수납홈에 수납 보관될 수 있고,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이 형성되는 헤드부와, 현미경부수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현미경부를 포함하고, 사용시에는 제1링크, 제2링크 및 헤드부는 링크수납홈과 헤드부수납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현미경부수납홈의 일단과 타단이 인접한 곳에 각각 형성되며, 무선현미경부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인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현미경부는 회전하며 확대 배율을 조절하는 배율조절부가 형성되는 현미경모듈과, 현미경모듈의 일단에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되며, 현미경모듈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가 형성되는 본체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부의 외곽의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며, 촬상영역의 경계 중 일부분을 가시광패턴으로 표시하는 촬상영역 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링크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무선현미경부는 현미경부수납홈에서 분리된 후, 결합부에 결합되어, 제1링크 및 제2링크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물화상기는 하우징에 헤드부 및 링크를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수납홈이 형성되어, 헤드부 및 링크가 수납 보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수납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심미감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물화상기는 카메라 및 현미경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카메라로 문서자료를 관찰하고, 현미경으로 문서자료에 관련된 실물자료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즉, 별도의 현미경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물화상기는 카메라의 촬상영역을 가시광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는 별도로 디스플레이장치를 확인하지 않고, 촬상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가 사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가 보관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가 형성된 실물화상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현미경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모듈이 형성된 헤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영역 조사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1)가 사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1)는 하우징(100), 제1링크(200), 제2링크(300), 헤드부(400) 및 무선현미경부(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제1링크(20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책상 및 교탁 바닥등과 같은 장소에 거치된다. 하우징(100)은 하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장소에 거치되었을 때 흔들리지 않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물화상기(1)를 이송할 때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와 같은 비교적 가벼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헤드부(400)의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송신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도록, 내부에 무선송신부가 형성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와 실물화상기(1)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유선송신부인 출력포트(미도시)가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물화상기(1)에 무선송신부 및 유선송신부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우징(100)은 링크수납홈(110)이 함몰 형성된다. 링크수납홈(110)은 제1링크(200) 및 제2링크(300)를 수납 보관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00)의 상면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링크수납홈(11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링크(200) 및 제2링크(300)가 경사지게 보관되며, 제2링크(300)의 일부분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헤드부수납홈(120)이 함몰 형성된다. 헤드부수납홈(120)은 헤드부(400)를 수납 보관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00)의 전면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수납홈(120)은 헤드부(4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헤드부(400)의 길이방향보다 짧게 형성되어, 헤드부(400)의 일부만 수납 보관되고 일부분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헤드부수납홈(120)은 헤드부(4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부(400)는 헤드부수납홈(120)에 끼워질 수 있다.
하우징(100)은 현미경부수납홈(130)이 함몰 형성된다. 현미경부수납홈(130)은 무선현미경부(500)를 수납 보관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00)의 전면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현미경부수납홈(130)은 무선현미경부(500)의 현미경모듈(510)이 삽입되는 현미경모듈수납홈(131) 및 무선현미경부(500)의 본체모듈(520)이 삽입되는 본체모듈수납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0)은 인출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출홈(140)은 현미경부수납홈(130)에 수납 보관된 무선현미경부(50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현미경부수납홈(130)의 일단과 타단이 인접한 곳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송풍구(150) 및 입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구(150)는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송풍구(150)가 위치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송풍기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구(150) 및 송풍기는 하우징(100)의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 입력부(160)는 하우징(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 on/off버튼, 카메라 on/off버튼 등과 같은 실물화상기(1)를 조작할 수 있는 각종 버튼을 포함한다.
제1링크(200)는 제2링크(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은 하우징(100)의 상면의 전면부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제2링크(300)가 힌지 결합된다. 제1링크(200)가 전, 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제2링크(300)의 높낮이 및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제2링크(300)는 헤드부(4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은 제1링크(20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헤드부(400)가 힌지 결합된다. 제2링크(300)가 전, 후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헤드부(400)의 높낮이 및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헤드부(400)는 일면에 카메라(미도시) 및 조명이 형성되어, 피사체를 촬상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은 제2링크(30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다. 헤드부(400)는 힌지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촬상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무선현미경부(500)는 피사체를 고배율로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현미경부수납홈(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는 무선현미경부(500)를 현미경부수납홈(130)으로부터 분리한 뒤, 자유롭게 손으로 움직이며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실물화상기(1)는 카메라뿐만 아니라 무선현미경부(500)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카메라로 문서자료를 관찰하고, 무선현미경부(500)로 문서자료에 관련된 실물자료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즉, 별도의 현미경을 추가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기(1)가 보관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무선현미경부(500)는 하우징(100)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된 현미경부수납홈(130)에 수납 보관되어, 하우징(100)의 전면 하단부를 이룬다. 사용자는 무선현미경부(5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무선현미경부(500)의 일단과 타단이 인접하는 곳에 형성된 인출홈(140)에 손을 삽입하여 무선현미경부(500)를 현미경부수납홈(130)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링크(200) 및 제2링크(300)는 하우징(100)의 상면에 형성된 링크수납홈(110)에 수납 보관되어, 하우징(100)의 상면을 이룬다. 사용자는 제1링크(200) 및 제2링크(300)를 링크수납홈(11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링크수납홈(110)에 수납되지 않은 제2링크(300)의 일영역을 잡고, 위로 잡아당기거나 앞으로 잡아당겨 링크수납홈(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헤드부(400)는 하우징(100)의 전면 상단부에 형성된 헤드부수납홈(120)에 수납 보관되어, 하우징(100)의 전면 상단부를 이룬다. 사용자는 헤드부(400)를 헤드부수납홈(12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헤드부수납홈(120)에 삽입되지 않은 헤드부(400)를 잡고, 앞으로 잡아당겨 헤드부수납홈(120)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선현미경부(500), 제1링크(200), 제2링크(300) 및 헤드부(400)는 수납 보관 시에 하우징(100)의 외면을 이뤄, 심미감이 향상되며,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310)가 형성된 실물화상기(1)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도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는 동시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물화상기(1)는 결합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0)는 무선현미경부(500)를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링크(30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10)는 제2링크(30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링크(30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310)와 제2링크(300)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부(310) 사이의 거리는 무선현미경부(50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무선현미경부(500)가 두 개의 결합부(310)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합부는 상기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링크(300)의 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현미경부가 형성된 무선현미경부(500)의 일면에는 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2링크(300)와 무선현미경부(60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링크(300)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무선현미경부(600)에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10)가 형성된 실물화상기(1)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무선현미경부(500)를 직접 손으로 조절하지 않고, 결합부(310)를 이용해 제2링크(300)에 결합하여, 제1링크(200) 및 제2링크(300)의 움직임으로 무선현미경부(500)의 촬상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헤드부(400)는 무선현미경부(5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2링크(300)측으로 접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현미경부(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현미경부(500)는 현미경모듈(510) 및 본체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다. 현미경모듈(510)은 회전하며 확대배율을 조절하는 배율조절부(511)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렌즈(512)가 삽입되어 있다. 현미경모듈(510)은 일단에 렌즈(512)를 보호하는 렌즈보호커버(513)가 형성될 수 있어, 렌즈(51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모듈(520)은 현미경모듈(510)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현미경모듈(510)에 전력을 공급하며, 현미경모듈(510)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5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모듈(520)에는 본체모듈(520)에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현미경부수납홈(130)과 인접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무선충전부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현미경부(500)를 현미경부수납홈(130)에 보관하는 것만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로 무선현미경부(500)를 분리하여 충전하지 않아도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모듈(440)이 형성된 헤드부(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400)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410) 및 피사체를 빛을 조사하는 조명(420)을 포함한다. 카메라(410)는 헤드부(400)의 중심에 형성되며, 조명(420)은 카메라(410)의 둘레를 따라 또는 헤드부(4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410)는 주변 조명(420)의 빛에 의해 촬영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우징(100)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된 카메라보호커버(43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헤드부(400)는 헤드부(400)의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렌즈모듈(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렌즈모듈(440)은 카메라(410)의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피사체의 촬상영역을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렌즈(441), 렌즈(441)의 양쪽 측면에서 수직 연장되는 제1수직부(442) 및 제2수직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수직부(442) 및 제2수직부(443)는 일면에 이동가이드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되며, 헤드부(400)는 이동가이드돌기(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의 외면에 이동가이드홈(450)이 함몰 형성된다. 즉, 복수개의 렌즈모듈(440)은 헤드부(400)의 외면에 형성된 이동가이드홈(450)을 따라 이동하며 카메라(410)의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촬상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영역 조사부(460)가 형성된 헤드부(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헤드부(400)는 촬상영역 조사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상영역 조사부(460)는 카메라(410)의 촬상영역(B)을 피사체(A)에 가시광패턴(C)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헤드부(400)의 외곽의 여러 위치에 다수 배치될 수 있다. 가시광패턴(C)은 점, 선 또는 다른 기하학적 패턴일 수 있다.
촬상영역 조사부(460)가 형성된 실물화상기(1)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지 않고도 카메라(410)의 촬상영역(B)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물화상기(1)는 하우징(100)에 헤드부(400) 및 링크(200, 300)를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수납홈(110, 120, 130)이 형성되어, 헤드부(400) 및 링크(200, 300)가 수납 보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수납홈(110, 120, 130)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심미감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물화상기(1)는 카메라(410) 및 무선현미경부(500)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카메라(410)로 문서자료를 관찰하고, 무선현미경부(500)로 문서자료에 관련된 실물자료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즉, 별도의 현미경을 추가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물화상기(1)는 촬상영역을 가시광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는 별도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인하지 않고, 촬상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실물화상기
100 : 하우징
200 : 제1링크
300 : 제2링크
400 : 헤드부
500 : 무선현미경부

Claims (5)

  1. 상면에는 링크수납홈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헤드부수납홈과, 현미경부수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의 전면부에 힌지 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회동되며, 링크수납홈에 수납 보관될 수 있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링크와 함께 링크수납홈에 수납 보관될 수 있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전, 후방향으로 회동되며, 헤드부수납홈에 수납 보관될 수 있고,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와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이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현미경부수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선현미경부와,
    상기 헤드부의 외곽의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며, 촬상영역의 경계 중 일부분을 가시광패턴으로 표시하는 촬상영역 조사부와,
    상기 헤드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모듈은,
    렌즈와, 상기 렌즈의 양측에서 수직 연장되며, 일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이동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이동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카메라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 상기 제1링크,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헤드부가 상기 링크수납홈과 상기 헤드부수납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현미경부수납홈의 일단과 타단이 인접한 곳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무선현미경부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인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현미경부는,
    회전하며 확대 배율을 조절하는 배율조절부가 형성되는 현미경모듈과,
    상기 현미경모듈과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현미경모듈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가 형성되는 본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현미경부는, 상기 현미경부수납홈에서 분리된 후,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2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
KR1020160158410A 2016-11-25 2016-11-25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 KR10187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10A KR101870202B1 (ko) 2016-11-25 2016-11-25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10A KR101870202B1 (ko) 2016-11-25 2016-11-25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70A KR20180059170A (ko) 2018-06-04
KR101870202B1 true KR101870202B1 (ko) 2018-06-22

Family

ID=6262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410A KR101870202B1 (ko) 2016-11-25 2016-11-25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20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909B1 (ko) * 1997-10-22 2001-08-07 이중구 실물화상기
JP2006267432A (ja) * 2005-03-23 2006-10-05 Olympus Corp 走査型観察装置
KR20100079660A (ko) * 2008-12-31 2010-07-08 (주)이삭전자 무선 디지털현미경
KR101129447B1 (ko) * 2011-06-10 2012-03-26 탐투스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
KR200462189Y1 (ko) * 2012-04-13 2012-08-29 주식회사 씨엔디솔루션스 듀얼 카메라가 설치된 실물 화상기
KR101302968B1 (ko) * 2012-07-23 2013-09-03 주식회사 삼성에스디피 사용이 편리한 실물화상기
KR101593335B1 (ko) * 2014-12-19 2016-02-15 주식회사 암전 유무선 영상현미경 기능 카메라를 갖는 실물화상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408B1 (ko) * 1998-09-02 2006-07-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
KR101932536B1 (ko) 2012-11-09 2018-12-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909B1 (ko) * 1997-10-22 2001-08-07 이중구 실물화상기
JP2006267432A (ja) * 2005-03-23 2006-10-05 Olympus Corp 走査型観察装置
KR20100079660A (ko) * 2008-12-31 2010-07-08 (주)이삭전자 무선 디지털현미경
KR101129447B1 (ko) * 2011-06-10 2012-03-26 탐투스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
KR200462189Y1 (ko) * 2012-04-13 2012-08-29 주식회사 씨엔디솔루션스 듀얼 카메라가 설치된 실물 화상기
KR101302968B1 (ko) * 2012-07-23 2013-09-03 주식회사 삼성에스디피 사용이 편리한 실물화상기
KR101593335B1 (ko) * 2014-12-19 2016-02-15 주식회사 암전 유무선 영상현미경 기능 카메라를 갖는 실물화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70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9902B2 (en) Headgear having a camera device
JP5190070B2 (ja) 単眼式の表示装置
US9961245B1 (en) User selectable digital mirror with reduced parallax error
US20110188008A1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CN202975580U (zh) 头部装备和安装在帽子上的摄像机装置
CN107637070B (zh) 头戴式显示装置
US20130201299A1 (en) Hands free lighting devices
WO2013096895A1 (en) Headgear having a camera device
JP2019113693A (ja) 表示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20230011002A1 (en) Mixed,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headset and system
JP6500793B2 (ja) 取付具、表示システム、及び、取付システム
US20150070559A1 (en) Viewfinder and operating unit
KR101870202B1 (ko) 현미경이 구비된 실물화상기
US20110267588A1 (en) Projector
CN102055891B (zh) 摄像设备
US10705411B2 (en) Document camera
JP5543880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11099904A (ja) 撮像装置
US20200387053A1 (en) Foldable camera stand
KR200480453Y1 (ko) 단말기가 고정되는 hmd 장치
CN105431774A (zh) 用于捕捉图像的移动装置的保持器
US20170358247A1 (en) Handheld, portable vision aid device and vision aid system
US11439257B1 (en) Photographic mirror assembly
JP2017229048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US20230070026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headset and method for using hea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