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070B1 - 브레이커,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커,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070B1
KR101870070B1 KR1020170018279A KR20170018279A KR101870070B1 KR 101870070 B1 KR101870070 B1 KR 101870070B1 KR 1020170018279 A KR1020170018279 A KR 1020170018279A KR 20170018279 A KR20170018279 A KR 20170018279A KR 101870070 B1 KR101870070 B1 KR 10187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long bolt
pressure
break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무
한순형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070B1/ko
Priority to PCT/KR2017/001778 priority patent/WO20181474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는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캡;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배치되며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에 타격되는 치즐을 구비하는 프런트헤드; 상기 실린더, 상기 헤드캡 및 상기 프런트헤드를 상호 결합시키는 장볼트; 상기 장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장볼트를 고정하는 너트; 상기 장볼트 상의 상기 너트가 풀림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정보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커,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A hydraulic breaker, monitoring system for unlocking of long bolt and monitoring method for unlocking of long bolt}
본 발명은 브레이커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브레이커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커(breaker)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통해 대상물에 접촉되는 치즐을 타격하여 암반 등을 파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대형 건설 현장 등에서는 굴삭기 등 중장비 차량에 장착되는 유압식 어태치먼트 형태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암반 파쇄 작업은 건설 기한 등으로 인하여 그 작업 속도가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브레이커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경암파쇄를 위해 타격력이 강화되도록 피스톤의 스트로크 거리를 길게 하는 롱 스트로크(long stroke) 모드와 연암 파쇄를 위해 다소 간의 타격력을 희생하더라도 타격속도가 향상되는 숏 스트로크 모드(short stroke) 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브레이커가 암반을 타격함에 따라 그 충격으로 장볼트 상의 너트가 풀릴 수 있다.
너트가 풀리는 경우, 상기 브레이커의 부품들의 결속력이 약해지며, 이러한 상태에서 브레이커가 암반을 계속 타격하는 경우, 브레이커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장볼트 상의 너트가 풀리는지를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10-1537748(2015년 07월 21일 공고)에서는, 볼트와 너트 사이에 압력센서를 배치하여, 상기 압력센서가 검지하는 압력 값이 작아지는 경우 상기 너트가 풀리는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상술한 선행문헌은 상기 볼트 및 상기 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압력센서가 계속 가압 받는다. 이는 상기 압력센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볼트 및 상기 너트의 체결을 해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볼트 상에 너트의 풀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센서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브레이커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캡;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배치되며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에 타격되는 치즐을 구비하는 프런트헤드; 상기 실린더, 상기 헤드캡 및 상기 프런트헤드를 상호 결합시키는 장볼트; 상기 장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장볼트를 고정하는 너트; 상기 장볼트 상의 상기 너트가 풀림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정보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브레이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도록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캡,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배치되며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에 타격되는 치즐을 구비하는 프런트헤드, 상기 실린더와 상기 헤드캡 및 상기 프런트헤드를 상호 결합하는 장볼트 및 상기 장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장볼트를 고정하는 너트를 구비하는 브레이커의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볼트 상의 상기 너트가 풀림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정보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감지된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동작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따라 치즐이 대상물을 타격하는 단계; 압력센서가 장볼트 상의 너트의 풀림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너트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컨트롤러가 감지된 압력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장볼트 상에 너트가 풀리는 것을 시스템적으로 알 수 있으며, 상기 너트가 풀렸을 시 소정의 조건에 따라 브레이커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장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장볼트와 너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압력센서가 압력정보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장볼트와 너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정보의 압력의 특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정보의 압력의 특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례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캡;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배치되며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에 타격되는 치즐을 구비하는 프런트헤드; 상기 실린더, 상기 헤드캡 및 상기 프런트헤드를 상호 결합시키는 장볼트; 상기 장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장볼트를 고정하는 너트; 상기 장볼트 상의 상기 너트가 풀림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정보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브레이커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너트의 풀림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어 발생되는 상기 압력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너트는 상기 압력센서가 배치될 수 있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너트의 풀림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 상기 너트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측부 및 상기 측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상부 상에 상기 장볼트의 회전 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볼트의 상기 회전 축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상기 압력센서의 단면은, 상기 너트의 풀림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도록 다각형이고, 상기 배치공간의 상기 수평방향의 가상의 단면은, 상기 압력센서를 구속하도록 다각형일 수 있다.
또, 상기 장볼트는, 상기 회전 축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센서는, 일단이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함입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수평방향의 상기 함입부의 가상의 단면은, 상기 압력센서를 구속하도록 다각형일 수 있다.
또, 상기 배치공간의 상기 회전 축 방향의 중심인 제1 중심은, 상기 함입부의 상기 회전 축 방향의 중심인 제2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또, 상기 배치공간 및 상기 함입부는,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가상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중심으로부터 상기 배치공간의 상기 가상의 단면 상의 가상의 지점과 이루는 가장 긴 거리는, 상기 제2 중심으로부터 상기 함입부의 상기 가상의 단면 상의 가상의 지점과 이루는 가장 짧은 거리 이상일 수 있다.
또, 상기 배치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센서가 상기 너트에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속부는,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상기 배치공간의 다각형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일단이 상기 구속부에 접촉되어 상기 너트에 구속되고, 상기 타단이 상기 장볼트에 접촉되어 상기 장볼트에 구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도록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캡,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배치되며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에 타격되는 치즐을 구비하는 프런트헤드, 상기 실린더와 상기 헤드캡 및 상기 프런트헤드를 상호 결합하는 장볼트 및 상기 장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장볼트를 고정하는 너트를 구비하는 브레이커의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볼트 상의 상기 너트가 풀림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정보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감지된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동작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인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너트가 상기 장볼트에 설치된 시점에서의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인 제1 압력값과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인 제2 압력값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차이값 이상일 수 있다.
또, 상기 브레이커의 진동량을 감지하도록 상기 브레이커의 진동정보를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진동정보의 진동이 소정의 기준진동 이상이고,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일 수 있다.
또,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 - 상기 브레이커는, 상기 피스톤의 전진운동을 위하여 유압 소스와 상기 실린더의 리어 챔버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실린더의 리어 챔버로부터 작동유를 배출하는 제어 밸브 및 상기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밸브를 더 구비함 -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차단 밸브가 상기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차단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 - 상기 차단 밸브는, 상기 제어 밸브로 향하는 상기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함 -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차단 밸브가 상기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차단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따라 치즐이 대상물을 타격하는 단계; 압력센서가 장볼트 상의 너트의 풀림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너트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컨트롤러가 감지된 압력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를 포함하는 건설 장비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장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장볼트와 너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압력센서가 압력정보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장볼트와 너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정보의 압력의 특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정보의 압력의 특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는 구성을 간략히 하거나 또는 생략하였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길이방향은 도2,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둘레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실린더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실린더의 외면에 대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건설 장비(100)는 대상물에 대한 타격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타격 작업을 위한 건설 장비(100)는 주로 굴삭기 등의 중장비 차량에 브레이커(1000)가 어태치먼트로 장착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브레이커(1000)는 대상물을 타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 브레이커(1000)가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압 브레이커 이외에도 대상물을 타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종류의 타격 기기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브레이커(1000)는 중장비 차량, 즉 캐리어(120)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타입이 일반적이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작업자가 직접 다루는 형태와 같이 캐리어(120)로부터 독립적인 형태로도 존재할 수도 있다.
브레이커(1000)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캐리어(120)는 크게 주행체(121)와 회전체(122)로 구분될 수 있다.
주행체(121)는 주로 크롤러 타입이나 휠 타입으로 제공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크레인 타입이나 트럭 타입인 것도 가능하다.
회전체(122)는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을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주행체(121) 상에 얹혀진다.
회전체(122)에는 붐이나 암 등의 연결 부재(123)가 설치된다. 연결 부재(123)의 단부에는 브레이커(1000)가 어태치먼트 형태로 직접 체결되거나 커플러(140)를 통해 체결되는 식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
연결 부재(123)는 주로 2개 이상의 부재가 링크 방식으로 체결되며, 실린더와 연결되어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굽혀지거나 또는 펴지는 동작, 신축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 부재(123)는 이러한 동작에 의해 그 단부에 부착된 브레이커(1000)를 피타격물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캐리어(120)에는 장착된 브레이커(10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브레이커(1000)에 유압을 인가하거나 그 밖에도 붐이나 암을 비롯한 캐리어(120)의 각 부위나 커플러(140) 등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소스(160)와 작동유를 저장하는 유압 탱크(160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122) 상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캐빈(124)이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캐빈(124) 내의 핸들이나 레버, 버튼 따위의 조작 설비를 이용해 캐리어(120)나 브레이커(1000)를 조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1000)에 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브레이커(1000)는 마운팅 브라켓(1200), 메인 바디(1400) 및 치즐(160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1400)는 브레이커(1000)에서 타격력을 발생시키는 부위로, 그 내부에 실린더(1430)와 실린더(1430)에 수용되는 피스톤(1440)을 가져 유압 소스(160)로부터 인가되는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피스톤(1440)이 왕복 운동함에 따라 타격력을 발생시킨다. 치즐(1600)은 피타격물을 직접 타격하는 부위로, 그 상단이 피스톤(1440)의 하단에 타격되도록 메인 바디(1400)의 하측(이하의 설명에서 피스톤(1440)이 전진(신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정의하고, 피스톤(1440)이 상측으로 후진(축소)하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함)에 배치된다.
마운팅 브라켓(1200)은 메인 바디(14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캐리어(120)와 메인 바디(1400)의 연결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메인 바디(1400)의 주요 구성은 실린더(1430)와 피스톤(1440)일 수 있다.
일례로, 피스톤(1440)은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며, 실린더(1430)는 피스톤(1440)이 삽입되어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중공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린더의 내면(1437)에는 실린더(1430)의 내부로 유압을 공급하거나 실린더(1430) 내부로부터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각종 유압 포트(1433, 1434, 1435, 1436)들이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1440)은 적어도 소경부(1446), 소경부(1446)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대경부(1444) 및 소경부(1446)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대경부(1442)를 구비할 수 있다.
유압 포트를 통해 실린더(1430) 내부로 인가되는 유압이 제1 대경부(1444) 및 제2 대경부(1442)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면(1444a, 1442a)에 작용함에 따라 피스톤(1440)이 실린더(1430) 안에서 전후진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1430)에 형성되는 유압 포트나 피스톤(1440)의 단차면(1444a, 1442a)을 적절히 설계함에 따라 단순 피스톤(1440) 왕복뿐만 아니라 피스톤(1440)의 스트로크 거리의 제어도 가능해질 수 있다.
실린더(1430)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프론트 헤드(1450)와 헤드 캡(1420)이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헤드(1450)에는 치즐(1600)이 걸치는 치즐 핀(미도시)이 마련되며, 치즐(1600)은 치즐 핀(미도시)에 의해 피스톤(1440) 전진 시 피스톤(1440)의 하단에 의해 타격되기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프론트 헤드(1450)에는 피스톤(1440)의 왕복 시 외부 이물질이 실린더(143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더스트 프로텍터(미도시)나 타격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음 부재(미도시)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헤드 캡(1420)은 그 내부에 가스실(미도시)을 가지며, 가스실은 피스톤(1440)의 후퇴 시 그 체적이 압축됨에 따라 피스톤(1440)에 적절한 댐핑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브레이커(1000)의 구성이나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커(1000)의 일 실시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커(1000)에는 상술한 구성이나 구조와 다소 상이하더라도 유사한 기능을 갖는 다른 타격 기기 역시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브레이커(1000)의 회로도에 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430)에는 피스톤(1440)이 삽입되며 피스톤(1440)의 하측에는 치즐(1600)이 배치된다.
피스톤(1440)에는 소경부(1446), 소경부(1446)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대경부(1444) 및 소경부(1446)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대경부(14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대경부(1444) 및 제2 대경부(1442)는 외경이 실린더(143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린더(1430) 내부에는 실린더(1430)의 하측과 제2 대경부(1442) 사이에 프론트 챔버(1431)가 형성될 수 있고, 실린더(1430)의 상측과 제1 대경부(1444) 사이에 리어 챔버(1432)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챔버(1431)에는 후진 포트(1433)가 형성되며, 후진 포트(1433)는 후진 라인(1433a)을 통해 유압 소스(16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챔버(1431)에는 유압 소스(160)로부터 후진 라인(1433a)을 거쳐 후진 포트(1433)로 유입되는 작동유에 의해 유압이 인가될 수 있다.
프론트 챔버(1431)에 인가된 유압은 제2 대경부(1442)의 단차면(1442a)에 작용하게 되고, 피스톤(1440)에 후진력이 인가될 수 있다.
리어 챔버(1432)에는 전진 포트(1434)가 형성되며, 전진 포트(1434)는 전진 라인(1434a)을 통해 제어 밸브(14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밸브(1460)는 전진 위치(1460-2) 또는 후진 위치(1460-1)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진 위치(1460-2)에서는 전진 라인(1434a)을 유압 소스(160)로 연결하고, 후진 위치(1460-1)에서는 전진 라인(1434a)을 유압 탱크(160a)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밸브(1460)가 전진 위치(1460-2)에 배치되면 리어 챔버(1432)에는 유압 소스(160)로부터 제어 밸브(1460)와 전진 라인(1434a)을 거쳐 전진 포트(1434)로 유입되는 작동유에 의해 유압이 인가될 수 있다.
리어 챔버(1432)에 인가되는 유압은 제1 대경부(1444)의 단차면(1444a)에 작용하게 되고, 피스톤(1440)에 전진력이 인가된다.
또한, 제어 밸브(1460)가 후진 위치(1460-1)에 배치되면, 리어 챔버(1432)는 전진 라인(1434a)과 제어 밸브(1460)를 거쳐 유압 탱크(160a)로 연결되어, 전진 위치(1460-2)에서 리어 챔버(1432)에 유입된 작동유는 유압 탱크(160a)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대경부(1444)의 단차면(1444a)이 제2 대경부(1442)의 단차면(1442a)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있어 제어 밸브(1460)가 전진 위치(1460-2)에 배치되면 전진력이 후진력보다 커져 피스톤(1440)이 전진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 밸브(1460)가 후진 위치(1460-1)에 배치되면 유압 소스(160)로부터 인가되는 유압이 제2 대경부(1442)의 단차면(1442a)에만 작용하게 되어 피스톤(1440)이 후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 밸브(1460)가 전진 위치(1460-2) 또는 후진 위치(1460-1)에 배치됨에 따라 피스톤(1440)의 왕복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밸브(1460)의 위치 제어는 유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 밸브(1460)는 입력되는 유압 신호에 따라 전진 위치(1460-2)와 후진 위치(1460-1)가 선택될 수 있는 유압 밸브일 수 있다.
제어 밸브(1460)의 양단에는 각각 유압 라인에 연결되는 전진 작용면(1464)과 후진 작용면(146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전진 작용면(1464)은 롱 스트로크 라인(1435a)과 숏 스트로크 라인(1436a)으로 분기되는 전진 제어 라인(1464a)과 연결될 수 있다.
후진 작용면(1462)은 후진 제어 라인(1462a)을 통해 유압 소스(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전진 작용면(1464)이 후진 작용면(1462)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있어, 양 작용면에 유압이 함께 인가되면 제어 밸브(1460)는 전진 위치(1460-2)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스톤(1440)이 전진할 수 있다.
반대로 유압 소스(160)로부터 인가되는 유압이 후진 작용면(1462)에만 인가되면 제어 밸브(1460)는 전진 위치(1460-2)로부터 후진 위치(1460-1)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스톤(1440)이 후진할 수 있다.
롱 스트로크 라인(1435a)은 실린더(1430)에 형성되는 롱 스트로크 포트(1435)로 연결된다. 롱 스트로크 포트(1435)는 피스톤(1440)의 위치에 따라 프론트 챔버(1431)와 연결 또는 차단될 수 있도록 실린더(1430)의 전진 포트(1434)와 후진 포트(143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롱 스트로크 포트(1435)는 피스톤(1440)이 전진해 제2 대경부(1442)가 롱 스트로크 포트(1435) 상에 있거나 롱 스트로크 포트(1435)보다 하측에 위치하면 프론트 챔버(1431)와의 연결이 차단된다.
반대로 롱 스트로크 포트(1435)는 피스톤(1440)이 후진해 제2 대경부(1442)가 롱 스트로크 포트(1435)보다 상측에 위치하면 프론트 챔버(1431)와 연결된다.
따라서, 롱 스트로크 포트(1435)가 프론트 챔버(1431)와 연결되면, 유압 소스(160)로부터 유압이 후진 라인(1433a), 후진 포트(1433), 프론트 챔버(1431), 롱 스트로크 포트(1435), 롱 스트로크 라인(1435a), 전진 제어 라인(1464a)을 순차적으로 거쳐 전진 작용면(1464)에 인가되어 제어 밸브(1460)가 전진 위치(1460-2)로 배치될 수 있다.
숏 스트로크 라인(1436a)은 실린더(1430)에 형성되는 숏 스트로크 포트(1436)로 연결될 수 있다. 숏 스트로크 포트(1436)는 피스톤(1440)의 위치에 따라 프론트 챔버(1431)와 연결 또는 차단될 수 있도록 실린더(1430)의 전진 포트(1434)와 후진 포트(1433) 사이에 형성되되, 롱 스트로크 포트(1435)보다는 후진 포트(143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숏 스트로크 포트(1436)는 피스톤(1440)이 전진해 제2 대경부(1442)가 숏 스트로크 포트(1436) 상에 있거나 숏 스트로크 포트(1436)보다 전방에 위치하면 프론트 챔버(1431)와의 연결이 차단된다.
반대로 숏 스트로크 포트(1436)는 피스톤(1440)이 후진해 제2 대경부(1442)가 숏 스트로크 포트(1436)보다 후방에 위치하면 프론트 챔버(1431)와 연결된다.
여기서, 숏 스트로크 라인(1436a) 상에는 숏 스트로크 라인(1436a)의 단락을 제어하는 변속 밸브(1470)가 설치될 수 있다.
변속 밸브(1470)는 선택적으로 롱 스트로크 위치(1470-1)와 숏 스트로크 위치(1470-2)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배치될 수 있으며, 롱 스트로크 위치(1470-1)에서는 숏 스트로크 라인(1436a)을 차단하고 숏 스트로크 위치(1470-2)에서는 숏 스트로크 라인(1436a)을 연결한다.
따라서, 변속 밸브(1470)에 의해 피스톤(1440)의 롱 스트로크 모드 및 숏 스트로크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변속 밸브(1470)가 숏 스트로크 위치(1470-2)로 배치되고 제2 대경부(1442)가 숏 스트로크 포트(1436)보다 후방에 위치되어 숏 스트로크 포트(1436)와 프론트 챔버(1431)가 연결된 경우, 작동유는 유압 소스(160), 후진 라인(1433a), 후진 포트(1433), 프론트 챔버(1431), 숏 스트로크 포트(1436), 변속 밸브(1470) 및 전진 작용면(1464)에 순차적으로 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피스톤(1440)은 변속 밸브(1470)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롱 스트로크 모드와 숏 스트로크 모드로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변속 밸브(1470)는 컨트롤러(180)에 의해 자동적으로 롱 스트로크 위치(1470-1)와 숏 스트로크 위치(1470-2)간의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롱 스트로크 위치(1470-1)와 숏 스트로크 위치(1470-2)간의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브레이커(1000)는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밸브(14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차단 밸브(1480)는 작동유가 이동되는 라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할 수도 있고,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차단 밸브(1480)는 연결 위치(1480-2)에서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할 수 있고, 차단 위치(1480-1)에서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일례로, 차단 밸브(1480)는 전진 제어 라인(1464a) 상에 설치되어 롱 스트로크 포트(1435)로부터 전진 작용면(1464)으로 이동되는 작동유 또는 숏 스트로크 포트(1436)로부터 전진 작용면(1464)으로 이동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허용할 수도 있고, 차단할 수도 있다.
만약, 차단 밸브(1480)가 차단 위치(1480-1)에 배치되어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는 경우, 전진 작용면(1464)으로 유압이 가해지지 않아, 제어 밸브(1460)는 후진 위치(1460-1)로부터 전진 위치(1460-2)로 변환될 수 없다.
따라서, 리어 챔버(1432)에는 후진 위치(1460-1)에 있는 제어 밸브(1460)에 의해 유압 소스(160)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지 않아 피스톤(1440)의 왕복 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차단 밸브(1480)의 설치 위치는 위에서 언급한 위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후진 라인(1433a) 상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전진 라인(1434a) 상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단 밸브(1480)는 유압 소스(160)로부터 작동유가 배출되는 라인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단 밸브(1480)가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는 경우, 유압 소스(160)로부터 실린더(1430)로의 작동유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압력센서(150)를 이용하여 너트(1401)의 풀림에 의해 장볼트(1402)가 풀린 것을 감지하는 장볼트(1402) 풀림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겠다.
실린더(1430) 상에서 피스톤(1440)의 왕복운동에 의해 브레이커(1000)는 진동될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해 너트(1401)는 장볼트(1402) 상에서 풀릴 수 있다.
너트(1401)가 풀리는 경우, 장볼트(1402)는 실린더(1430), 프론트헤드(1450) 및 헤드캡(1420)을 고정하지 못하고 풀리는 상태(실린더(1430), 프론트헤드(1450) 및 헤드캡(1420)을 상호 결합시키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함)가 될 수 있다.
장볼트(1402)가 풀리는 경우, 실린더(1430), 프론트헤드(1450) 및 헤드캡(1420)은 상호 이격될 수 있으며, 브레이커(1000)의 진동에 의해 상호 마찰 또는 타격되어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1401)가 풀리는 것을 감지하고자 압력센서(150)가 브레이커(10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압력센서(150)는 장볼트(1402)에 형성되어있는 함입부(1402-1)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압력센서(150)는 상기 너트(1401)에 형성되어 있는 배치공간(1401-3)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압력센서(150)는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장볼트(1402) 상의 상기 너트(1401)가 풀림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압력을 센싱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압력센서(150)는 상기 너트(1401)의 풀림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어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압력센서(150)는 다각 기둥형상일 수 있다.
다만, 압력센서(150)의 형상은 다각 기둥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레이트 형상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응되도록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압력센서(150)는 너트(1401)에 형성되어 있는 배치공간(1401-3)에 배치될 수 있다.
브레이커(1000)에는 상기 배치공간(1401-3)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센서(150)가 상기 너트(1401)에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부(1401-3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치공간(1401-3)은 상기 장볼트(1402)의 회전 축(1402-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치공간(1401-3)의 상기 회전 축(1402-2)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가상의 단면은, 상기 압력센서(150)를 구속하도록 다각형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속부(1401-3a)는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상기 배치공간(1401-3)의 다각형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부(1401-3a)는 처음에는 액체 상태였다가,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고체 상태로 변하는 제1 물질이 상기 배치공간(1401-3)에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속부(1401-3a)는 상기 장볼트(1402)와 상기 너트(1401)가 상기 장볼트(1402) 상에서 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1401-3a)는 상기 장볼트(1402)와 상기 너트(1401)와 접촉만 할 뿐 상기 너트(1401)와 상기 장볼트(1402)에 결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구속부(1401-3a)는 상기 배치공간(1401-3)을 단순히 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1401-3a)는 상기 너트(1401)가 상기 장볼트1402) 상에서 풀림 시, 상기 너트(140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1401-3a)는 상기 압력센서(150)의 상단을 상기 너트(1401)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구속부(1401-3a)와 상기 압력센서(150)의 상기 회전 축(1402-2)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가상의 단면이 다각형인 것으로 설명했으나, 상기 압력센서(150)의 상단을 상기 너트(1401)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상기 구속부(1401-3a)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때, 상기 너트(1401)는 상기 구속부(1401-3a)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압력센서(150)는 상기 일단이 상기 구속부(1401-3a)에 접촉되어 상기 너트(1401)에 구속되고, 상기 타단이 상기 함입부(1402-1)에 배치되어 상기 장볼트(1402)에 구속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장볼트(1402)의 상측면과 상기 너트(1401)와 접촉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치공간(1401-3)을 확보하여, 정밀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배치공간(1401-3)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1401) 부분과 상기 압력센서(150)는 접촉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공간(1401-3)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1401) 부분과 상기 압력센서(150)는 접촉이 일어 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센서(150)의 크기 및 상기 너트(1401)가 상기 장볼트(1402)에 체결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접촉이 발생되는 것이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치공간(1401-3)의 전체에 상기 구속부(1401-3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너트(1401)는 상기 압력센서(150)가 배치될 수 있는 배치공간(1401-3)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너트(1401)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측부(1401-1)와 상기 측부(1401-1)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부(140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측부(1401-1)는 상기 내부에 상기 장볼트(1402)가 체결될 수 있는 측면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측면은 상기 너트(1401)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은 제1 측면(1401-1a) 및 제2 측면(1401-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1401-1a)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 측면(1401-1b)에는 상기 장볼트(1402)와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1401-1a)은 상기 너트(1401)와 상기 장볼트(1402)의 상측면이 이격거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를 가짐으로, 상기 배치공간(1401-3)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고, 이는 상기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압력센서(150)를 상기 장볼트(1402)에 장착할 수 있다. 이는 정밀한 압력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1401-1b)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볼트(1402)와 나사결합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1401-2)는 상기 측부(1401-1)의 상단부에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경사는 90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상부(1401-2)에는 배치공간(1401-3)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치공간(1401-3)은 상기 너트(1401)의 상부(1401-2)에 외부로부터 상기 너트(1401)의 내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치공간(1401-3)은, 상기 상부(1401-2) 상에 상기 장볼트(1402)의 회전 축(1402-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공간(1401-3)은 상기 제1 측면(1401-1a)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너트(1401)에 형성되어 있는 배치공간(1401-3)의 상기 수평방향의 가상의 단면은, 상기 압력센서(150)를 구속하도록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다각형은 사용목적 및 제조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장볼트(1402)는 상기 회전 축(1402-2) 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부(1402-1)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입부(1402-1)는 상기 회전 축(1402-2)을 기준으로 대칭적이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입부(1402-1)는 상기 압력센서(150)의 상기 회전 축(1402-2)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에 대한 단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입부(1402-1)의 상기 수평방향의 가상의 단면은 상기 압력센서(150)의 상기 수평방향의 단면과 동일하거나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입부(1402-1)에 상기 압력센서(150)의 타단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입부(1402-1)의 상기 수평방향 가상의 단면과 상기 압력센서(150)의 타단의 상기 수평방향의 단면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함입부(1402-1)의 상기 수평방향 가상의 단면은 육각형이고 상기 압력센서(150)의 타단의 상기 수평방향의 단면은 사각형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함입부(1402-1)상에 배치된 상기 압력센서(150)의 타단은 다각형인 상기 함입부(1402-1)의 다각형인 상기 수평방향 가상의 단면과 상기 압력센서(150)의 타단의 상기 수평방향의 단면에 의해 상기 함입부(1402-1)를 규정하는 장볼트(1402)에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구속의 의미는 상기 함입부(1402-1)상에 배치된 상기 압력센서(150)의 타단이 상기 함입부(1402-1)를 규정하는 장볼트(1402)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압력센서(150)는 상기 함입부(1402-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고, 상기 구속부(1401-3a)-상기 제1 물질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상기 압력센서(150)의 타단을 상기 함입부(1402-1)에 고정시키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서(150)의 타단은 상기 함입부(140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입부(1402-1)는 상기 장볼트(1402) 상에 있는 상기 너트(1401)가 풀릴 경우에도, 상기 함입부(1402-1) 상에 배치된 상기 압력센서(150)의 타단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압력센서(150)의 타단을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장볼트(1402) 상단부의 외면은 상기 너트(1401)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너트(1401)의 상부에 형성된 배치공간(1401-3)에 압력센서(15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서(150)와 상기 너트(1401) 사이에 형성된 배치공간(1401-3)에 구속부(1401-3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부(1401-3a)는 상기 제1 물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1401-3a)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압력센서(150) 일단을 상기 너트(1401)에 고정시킬 수 있는 모든 방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장볼트(1402)의 상기 회전 축(1402-2)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상기 압력센서(150)의 단면은 상기 너트(1401)의 풀림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도록 다각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150)는 일단이 상기 배치공간(1401-3)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평방향의 상기 함입부(1402-1)의 가상의 단면은, 상기 압력센서(150)를 구속하도록 다각형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치공간(1401-3)의 상기 회전 축(1402-2) 방향의 중심인 제1 중심(1401-4)은, 상기 함입부(1402-1)의 상기 회전 축(1402-2) 방향의 중심인 제2 중심(1402-3)과 일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치공간(1401-3) 및 상기 함입부(1402-1)는,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가상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력센서(150)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함입부(1402-1)의 가상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합임부의 가상의 단면은 상기 압력센서(150)의 단면을 포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1401)가 상기 장볼트(1402)에 나사결합을 할 경우, 상기 회전 축(1402-2)을 기준으로 상기 너트(1401)의 상기 배치공간(1401-3)의 단면과 상기 함입부(1402-1)의 가상의 단면이 다양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일례로, 상기 제1 중심(1401-4)으로부터 상기 배치공간(1401-3)의 상기 가상의 단면 상의 가상의 지점과 이루는 가장 긴 거리(m)는, 상기 제2 중심(1402-3)으로부터 상기 함입부(1402-1)의 상기 가상의 단면 상의 가상의 지점과 이루는 가장 짧은 거리(n)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기 너트(1401)의 상기 배치공간(1401-3)의 단면과 상기 함입부(1402-1)의 가상의 단면이 도 8의 (a), (b), (c)와 같이 다양한 위치로 배치되더라도, 상기 압력센서(150)가 상기 너트(1401)의 배치공간(1401-3) 및 상기 함입부(1402-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너트(1401)로 상기 장볼트(1402)에 체결할 수 있어,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설치 절차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장볼트(1402) 상의 상기 너트(1401)가 풀림에 따라 압력센서(150)는 압력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력센서(150)는, 상기 일단이 상기 구속부(1401-3a)에 접촉되어 상기 너트(1401)에 구속되고, 상기 타단이 상기 장볼트(1402)에 접촉되어 상기 장볼트(1402)에 구속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력센서(150)를 구속하는 구속부(1401-3a)와 상기 너트(1401) 및 상기 장볼트(1402)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너트(1401)가 상기 장볼트(1402)에서 풀릴 수 있다. 상기 너트(1401)의 측면의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가상의 단면 및 상기 측면과 나사결합하고 있는 장볼트(1402)는 상기 수평방향에 대한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너트(1401)가 상기 장볼트(1402)에서 풀릴 경우 상기 너트(1401)의 측면은 상기 회전 축(1402-2)을 중심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상기 너트(1401)의 상부(1401-2)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치공간(1401-3)의 상기 가상의 단면은 다각형이고, 상기 배치공간(1401-3)에 배치된 상기 구속부(1401-3a)도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너트(1401)가 회전을 할 때, 상기 구속부(1401-3a)는 상기 너트(1401)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속부(1401-3a)에 구속된 상기 압력센서(150)는 비틀림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150)는 상기 압력에 의해 전하가 발생하여 발생되는 상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측면(1401-1)은 제2 측면(1401-1b)만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측면은 제2 측면(1401-1b)만 구비하여, 상기 장볼트(1402)의 상측면과 상기 너트(1401)의 상부(1401-2)의 하부면이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1401)의 두께를 최소화 하여, 상기 브레이커(1000)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압력센서 및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장볼트 풀림을 모니터링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장볼트(1402) 모니터링 시스템은 압력센서(150) 및 컨트롤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80)는 압력센서(150)에 의해 감지된 압력정보를 이용하여 너트(1401)가 풀렸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정보는 압력센서(150)가 비틀어 짐에 따라 발생되는 전하량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압력센서의 종류에 따라 감지하는 압력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80)는 압력센서(150)로부터 감지된 압력정보의 압력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소정의 경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80)는 각종 전자 신호를 처리하고 연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로, 압력센서(150)로부터 압력 정보 또는 신호를 수신하고, 정보/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며, 전자 신호로 브레이커(1000) 및 건설 장비의 다른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통상적으로 캐리어(120)에 위치하지만, 브레이커(1000)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러(180)가 반드시 단일 객체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도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컨트롤러(180)는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컨트롤러(18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80)는 그 일부가 브레이커(1000) 측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일부가 캐리어(120)에 설치되는 등과 같이 분산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 배치된 컨트롤러(180) 간에는 무선/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협업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컨트롤러(180)가 분산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 일부는 슬레이브 타입으로 단순히 신호나 정보만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다른 일부가 마스터 타입으로 각종 신호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연산 및 명령/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미리 정해진 조건은 너트(1401)가 풀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조건일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80)는 압력센서(150)로부터 감지된 압력정보를 기초로 연산/변환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너트(1401)가 풀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며, 너트(1401)가 풀리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압력센서(150)로부터 획득한 압력정보 또는 너트(1401)가 풀린 상태에서 압력센서(150)로부터 획득한 압력정보를 기초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장볼트(1402)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은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모듈(190)은 예를 들어 주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모듈(190)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190)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둘 이외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출력 장치들이 출력 모듈(190)로 채택될 수 있다.
출력 모듈(190)은 사용자에게 영상 또는 음성을 직접 출력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게 영상 또는 음성을 직접 출력하는 다른 기기에 영상/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usb 포트 등을 아우르는 구성일 수 있다.
출력 모듈(190)은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서 장볼트(1402) 풀림 발생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출력 모듈(190)은 브레이커(10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캐리어(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80)는 출력 모듈(190)을 통해 사용자에게 장볼트(1402) 풀림 발생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출력 모듈(190)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80)와 출력 모듈(190)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X) 이상인 조건일 수 있다.
소정의 압력정보의 압력은 압력센서(150)로부터 감지된 압력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또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컨트롤러(180)에 의해 연산/처리된 데이터일 수 있다.
소정의 압력정보의 압력은 상기 압력센서(150)로부터 나오는 전하를 감지하여 연산/처리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너트(1401)가 상기 장볼트(1402) 상에서 풀리기 시작하면, 상기 압력센서(150)가 감지하는 압력이 점점 올라가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80)는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일 경우,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너트(1401)가 상기 장볼트(1402)에 설치된 시점(너트(1401)가 풀리지 않은 시점을 의미함)에서의 상기 압력정보의 입력인 제1 압력값(A)과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인 제2 압력값(B)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차이값(Y) 이상인 조건일 수 있다.
제1 압력값(A) 및 제2 압력값(B)은 압력센서(150)로부터 감지된 압력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또는 위치정보를 기초로 컨트롤러(180)에 의해 연산/처리된 데이터일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제1 압력값(A)과 제2 압력값(B)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차이값(Y) 이상인 경우,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전의 기준차이값(Y)은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고, 컨트롤러(180)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장볼트(1402)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은 브레이커(1000)의 진동량을 감지하도록 브레이커(1000)의 진동정보를 감지하는 진동센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센서(200)는 브레이커(10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헤드캡(1420)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센서(200)는 피스톤(1440)의 왕복 운동 또는/및 치즐(1600)이 타격물을 타격함에 따라 발생되는 브레이커(1000)의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장볼트(1402)가 풀리는 경우, 실린더(1430)와 프론트헤드(1450) 및 헤드캡(1420) 간의 밀착 결합이 느슨해져 장볼트(1402)가 풀리지 않은 경우보다 진동이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볼트(1402) 상의 상기 너트(1401)가 풀리는 것을 더욱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 압력센서(150)와 진동센서(200)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진동정보의 진동이 소정의 기준진동 이상이고,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일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180)는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출력 모듈(190)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나.
또한, 일례로, 컨트롤러(180)는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피스톤(1440)의 왕복 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80)는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단 밸브(1480)가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차단 밸브(148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80)가 차단 밸브(1480)를 제어하지 않는 경우, 차단 밸브(1480)는 연결 위치 상태에 있으며, 컨트롤러(180)가 차단 밸브(1480)를 제어하는 경우 차단 밸브(1480)는 연결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80)는 차단 밸브(1480)가 연결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로 변경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차단 밸브(1480)는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단 밸브(1480)가 컨트롤러(180)의 제어에 의해 연결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로 변환된 경우, 제어 밸브(1460)는 후진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그 결과, 유압 소스(160)의 작동유는 리어 챔버(1432)에 유입될 수 없어 피스톤(1440)의 왕복 운동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컨트롤러(180)는 유압 소스(160)를 제어하여 유압 소스(160)가 브레이커(1000)로 작동유를 공급하는 상태인 on상태 및 유압 소스(160)가 브레이커(1000)로 작동유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인 off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80)는 스크래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유압 소스(160)를 제어하여 작동유가 브레이커(1000)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80)는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변속 밸브(1470)를 제어하여 피스톤(1440)의 왕복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80)는, 피스톤(1440)이 롱 스트로크 상태에서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변속 밸브(1470)를 제어하여 피스톤(1440)이 숏 스트로크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피스톤(1440)이 숏 스트로크 상태에서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차단 밸브(1480)를 제어하여 피스톤(144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변속 밸브(1470) 및 차단 밸브(148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피스톤(1440)이 롱 스트로크인 경우 순차적으로 숏 스트로크로 변경하고 숏 스트로크에서 다시 정지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180)의 제어에 의해 피스톤(1440)의 왕복 운동 상태가 변경됨으로서 너트(1401)가 풀린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180)의 경고 동작은 출력 모듈(190)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 및/또는 피스톤(1440)의 왕복 운동 상태를 변경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장볼트(1402) 풀림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장볼트(1402) 풀림 모니터링 방법은 실린더(1430) 내에서 피스톤(1440)의 왕복 운동에 따라 치즐(1600)이 대상물을 타격하는 단계, 압력센서가 장볼트(1402) 상의 너트(1401)의 풀림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너트(1401)의 압력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컨트롤러(180)가 감지된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너트(1401)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80)와 압력센서(150), 진동센서(200), 차단 밸브(1480), 변속 밸브(1470) 및 출력 모듈(190) 간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컨트롤러(180)의 제어에 의해 압력센서(150), 진동센서(200), 차단 밸브(1480), 변속 밸브(1470) 및 출력 모듈(190)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기준, 소정의 기준압력(X), 소정의 기준차이값(Y), 소정의 기준진동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으며, 컨트롤러(180)가 너트(1401)가 풀리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획득한 위치정보 및/또는 너트(1401)가 풀린 상태에서 획득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연산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50 : 압력센서 1401 : 너트
1402 : 장볼트 1401-3a : 구속부

Claims (21)

  1.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캡;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배치되며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에 타격되는 치즐을 구비하는 프런트헤드;
    상기 실린더, 상기 헤드캡 및 상기 프런트헤드를 상호 결합시키는 장볼트;
    상기 장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장볼트를 고정하는 너트; 및
    상기 장볼트 및 상기 너트의 풀림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장볼트는 상기 압력 센서의 일단이 상기 장볼트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갖는 함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압력 센서의 타단이 상기 너트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갖는 배치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장볼트 및 상기 너트의 풀림에 따라 상기 일단이 상기 장볼트를 따라서 비틀리고, 상기 타단이 상기 너트를 따라서 비틀리면서 발생되는 압력 정보를 감지하는
    브레이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측부 및 상기 측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상부에 다각형의 가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너트에 구속되어 상기 너트의 풀림에 따라 회전하도록 다각형인
    브레이커.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의 가상의 단면은,
    상기 압력센서를 구속하도록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간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인 제1 중심은,
    상기 함입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인 제2 중심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간 및 상기 함입부는,
    상기 가상의 단면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으로부터 상기 배치공간의 상기 가상의 단면 상의 가상의 지점과 이루는 가장 긴 거리는,
    상기 제2 중심으로부터 상기 함입부의 상기 가상의 단면 상의 가상의 지점과 이루는 가장 짧은 거리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센서가 상기 너트에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화하여 상기 배치공간의 다각형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일단이 상기 구속부에 접촉되어 상기 너트에 구속되고,
    상기 타단이 상기 장볼트에 접촉되어 상기 장볼트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커.
  13.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도록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캡,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배치되며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에 타격되는 치즐을 구비하는 프런트헤드, 상기 실린더와 상기 헤드캡 및 상기 프런트헤드를 상호 결합하는 장볼트 및 상기 장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장볼트를 고정하는 너트를 구비하는 브레이커의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그 일단이 상기 장볼트의 함입부에 삽입되고, 그 타단이 상기 너트의 배치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장볼트 및 상기 너트의 풀림에 따라 비틀리면서 발생되는 압력정보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감지된 상기 압력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동작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인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너트가 상기 장볼트에 설치된 시점에서의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인 제1 압력값과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인 제2 압력값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차이값 이상인 조건인,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커의 진동량을 감지하도록 상기 브레이커의 진동정보를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진동정보의 진동이 소정의 기준진동 이상이고,
    상기 압력정보의 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17. 제14항 또는 제15에 있어서,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18. 제14항 또는 제1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을 정지시키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 상기 브레이커는, 상기 피스톤의 전진운동을 위하여 유압 소스와 상기 실린더의 리어 챔버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실린더의 리어 챔버로부터 작동유를 배출하는 제어 밸브 및 상기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밸브를 더 구비함 -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차단 밸브가 상기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차단 밸브를 제어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 상기 차단 밸브는, 상기 제어 밸브로 향하는 상기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함 -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차단 밸브가 상기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차단 밸브를 제어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21.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캡,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배치되며 왕복 운동하는 상기 피스톤에 타격되는 치즐을 구비하는 프런트헤드, 상기 실린더와 상기 헤드캡 및 상기 프런트헤드를 상호 결합하는 장볼트 및 상기 장볼트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장볼트를 고정하는 너트를 구비하는 브레이커의 상기 치즐이 대상물을 타격하는 단계;
    그 일단이 상기 장볼트의 함입부에 삽입되고, 그 타단이 상기 너트의 배치공간에 삽입되는 압력센서가, 상기 장볼트 및 상기 너트의 풀림에 따라 비틀리면서 발생되는 압력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컨트롤러가 감지된 압력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너트가 풀린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
KR1020170018279A 2017-02-09 2017-02-09 브레이커,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 KR101870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279A KR101870070B1 (ko) 2017-02-09 2017-02-09 브레이커,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
PCT/KR2017/001778 WO2018147493A1 (ko) 2017-02-09 2017-02-17 브레이커,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279A KR101870070B1 (ko) 2017-02-09 2017-02-09 브레이커,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070B1 true KR101870070B1 (ko) 2018-06-22

Family

ID=6276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279A KR101870070B1 (ko) 2017-02-09 2017-02-09 브레이커,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0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387A (ko) * 2009-11-30 2011-06-08 주식회사 에버다임 자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KR101190618B1 (ko) * 2010-07-14 2012-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볼트와 너트간의 체결상태 풀림을 감지할 수 있는 체결풀림 감지장치
KR20140100663A (ko) * 2013-02-06 2014-08-18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볼트의 풀림 및 파손을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101518811B1 (ko) * 2014-01-06 2015-05-1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볼트의 풀림 및 파손이나 치즐핀의 파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가동이 자동정지되는 유압브레이커
KR20150063235A (ko) * 2013-11-29 2015-06-09 주식회사 삼손 체결상태 감지 볼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48490B1 (ko) * 2013-05-21 2015-09-01 유기석 체결부재의 풀림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387A (ko) * 2009-11-30 2011-06-08 주식회사 에버다임 자동 행정거리 전환기능이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KR101190618B1 (ko) * 2010-07-14 2012-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볼트와 너트간의 체결상태 풀림을 감지할 수 있는 체결풀림 감지장치
KR20140100663A (ko) * 2013-02-06 2014-08-18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볼트의 풀림 및 파손을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101548490B1 (ko) * 2013-05-21 2015-09-01 유기석 체결부재의 풀림감지장치
KR20150063235A (ko) * 2013-11-29 2015-06-09 주식회사 삼손 체결상태 감지 볼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18811B1 (ko) * 2014-01-06 2015-05-1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장볼트의 풀림 및 파손이나 치즐핀의 파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가동이 자동정지되는 유압브레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4991B2 (ja) 油圧アタッチメント
CN109642413B (zh) 液压冲击装置和具有其的施工设备
KR101518811B1 (ko) 장볼트의 풀림 및 파손이나 치즐핀의 파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가동이 자동정지되는 유압브레이커
KR101926916B1 (ko) 유압식 타격 기기의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JP2012505328A (ja) 削岩機の制御方法及び構造
KR101870069B1 (ko) 브레이커,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
KR101870070B1 (ko) 브레이커,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볼트 풀림 모니터링 방법
JP2012528019A (ja) 油圧ブレーカ
KR20140100663A (ko) 장볼트의 풀림 및 파손을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101412004B1 (ko) 가속도 감지 장치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101551171B1 (ko) 콤팩트
KR101918837B1 (ko) 유압식 브레이커, 작동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작동유 모니터링 방법
KR101870071B1 (ko) 브레이커, 장볼트 파손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볼트 파손 모니터링 방법
KR101670358B1 (ko) 장볼트와 결합된 너트의 풀림 및 파손을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200460080Y1 (ko) 브레이커의 장볼트에 결합된 너트의 풀림 방지구조
KR101889646B1 (ko) 유압식 브레이커, 스크래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스크래치 모니터링 방법
KR101518813B1 (ko) 장볼트의 풀림 및 파손이나 치즐핀의 파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101870072B1 (ko) 유압식 브레이커, 완충유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완충유체 모니터링 방법
JP2010265864A (ja) 油圧作業機
CN103410439B (zh) 可冷却橡胶领盘钎肩式六方钎杆的凿岩机
KR20110053547A (ko) 휠로더 조향각 측정 장치
US20040045727A1 (en) Safe starting fluid hammer
JP5518040B2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装置
KR20180093159A (ko) 유압식 브레이커, 스크래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스크래치 모니터링 방법
KR20110037531A (ko) 브레이커의 치즐용 치즐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