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045B1 - Straw for preventing tooth from damage - Google Patents

Straw for preventing tooth from da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045B1
KR101870045B1 KR1020160157387A KR20160157387A KR101870045B1 KR 101870045 B1 KR101870045 B1 KR 101870045B1 KR 1020160157387 A KR1020160157387 A KR 1020160157387A KR 20160157387 A KR20160157387 A KR 20160157387A KR 101870045 B1 KR101870045 B1 KR 10187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beverage
user
tongue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8427A (en
Inventor
임수현
Original Assignee
임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현 filed Critical 임수현
Priority to KR1020160157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045B1/en
Publication of KR20180058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4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5Mouth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는, 일단부가 음료에 담기는 음식물 접촉부; 및 상기 음식물 접촉부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사용자의 입안에 위치되어 상기 음료를 흡입하는 구강 접촉부; 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구강 접촉부를 물고 상기 음료를 흡입하면 상기 음료는 상기 음식물 접촉부를 통과하여 상기 사용자의 혀와 접촉되어 상기 음료가 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는 사용자가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때 빨대의 끝 부분을 사용자의 혀 끝에 위치시키거나 입 안쪽에 위치시키는 것과는 다르게, 사용자의 혀와 빨대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혀에 음료가 광범위하게 분포되도록 하여 음료의 맛을 잘 느끼도록 하되, 동시에 치아에는 음료가 닿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치아 부식 및 착색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ood contact portion, one end of which is contained in a beverage; And a mouth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ood contact portion and positioned in a user's mouth to suck the beverage; And when the user holds the mouth contact and sucks the beverage, the beverage may pass through the food contact portion and contact the tongue of the user to spread the beverage. The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traw for preventing the tooth from being damaged when the user uses the straw to place the tip of the straw at the tip of the user's tongue or inside the mouth when drinking the drink, So that the beverage is widely distributed on the tongue of the user so that the taste of the beverage is well felt. At the same time, the beverage is prevented from reaching the teeth,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and coloring of the user's teeth.

Description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STRAW FOR PREVENTING TOOTH FROM DAMAGE}STRAW FOR PREVENTING TOOTH FROM DAMAGE [0002]

본 발명은 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음료, 산성음료 등의 치아 부식 또는 착색 등 치아 손상을 유발하는 음료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기 위한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w,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for protecting a tooth from a beverage causing tooth damage such as a carbonated beverage, acidic beverage, or the like.

일반적으로 빨대(straw; 스트로우)는 액체 상태인 음료에 꽂아 입으로 빨아 마시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통상 빨대는 얇은 관 모양으로 형성되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등의 플라스틱(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Generally straws are tools that are used to suck and suck in a liquid drink. Generally, a straw is formed into a thin tube shape, and is formed of plastic (synthe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polystyrene and the like.

사용자가 빨대의 상단부에 입을 대고 음료를 흡입하면 용기 내부에 담긴 음료가 사용자의 흡입력에 의해 빨대의 하단부를 통해 빨대 내부로 유입되고, 빨대의 관 모양의 통로를 지나 사용자의 입으로 이동된다. When the user sucks the drink by putting it on the upper end of the straw,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introduced into the straw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straw by the suction force of the user, and is moved to the user's mouth through the straw-

최근에는 탄산 및 당이 많이 함유된 콜라, 사이다 등과 같은 탄산음료나 산성음료, 치아착색을 유발하는 음료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때문에 치과의사들은 탄산음료, 산성음료 등에 의해 치아의 부식 또는 착색 등이 방지되도록 빨대를 사용하여 음료를 음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Recently, carbonated beverages such as cola, cider and the like containing a lot of carbonic acid and sugar, acidic beverages, and beverages causing tooth coloring have been released. For this reason, dentists recommend drinking straws with drinking water to prevent corrosion or discoloration of teeth by carbonated drinks, acidic drinks, and the like.

한편, 종래 빨대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는 음료 음용시 빨대 끝을 혀 끝에 위치시키고 음료를 마시거나, 빨대 끝을 입 안쪽에 위치시키고 음료를 마신다. On the other hand, most users using conventional straws place a straw tip at the tip of the tongue when drinking a beverage and drink a drink, or place the straw tip inside the mouth and drink a drink.

그러나, 빨대의 끝을 혀 끝에 위치시키고 음료를 마실 경우 사용자가 음료의 맛을 풍부하게 느낄 수 있기는 하지만, 음료가 혀, 치아 및 입 속 전체로 퍼지게 되므로 음료로부터 치아를 보호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protect teeth from beverages because the beverage spreads throughout the tongue, teeth, and mouth even though the tip of the straw is placed at the tip of the tongue and the beverage is consumed by the user.

또한, 빨대의 끝을 입 안쪽에 위치시키고 음료를 마시는 경우 사용자의 치아에 음료가 닿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치아를 음료로부터 보호할 수 있기는 하지만, 음료가 사용자의 입 속에 퍼지지 않기 때문에 음료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ip of the straw is placed inside the mouth and the beverage is drunk, the user's teeth can not be exposed to the beverage, so the user's teeth can be protected from the beverage. However, since the beverage does not spread in the user's mouth,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felt.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08711호 (발명의 명칭: 기능성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빨대, 공개일: 2015.09.30.)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heret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108711 (title of the invention: Straw, release date: 2015.09.30).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때 혀에 음료가 광범위하게 분포되도록 하여 음료의 맛은 잘 느끼게 하되, 치아에는 음료가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aw that prevents a tooth from being damaged by allowing a beverage to be widely distributed on a tongue when a user drinks a beverage using straw, will b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단부가 음료에 담기는 음식물 접촉부; 및 상기 음식물 접촉부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사용자의 입안에 위치되어 상기 음료를 흡입하는 구강 접촉부; 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구강 접촉부를 물고 상기 음료를 흡입하면 상기 음료는 상기 음식물 접촉부를 통과하여 상기 사용자의 혀와 접촉되어 상기 음료가 퍼지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ood contact portion, one end of which is contained in a beverage; And a mouth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ood contact portion and positioned in a user's mouth to suck the beverage; And when the user holds the mouth contact and sucks the beverage, the beverage may be achieved by a straw that passes through the food contact and contacts the tongue of the user to prevent tooth damage that spreads the beverage.

상기 구강 접촉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 천장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사용자의 혀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1 접촉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눌려서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혀의 접촉 면적 또는 밀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The oral contact portion comprising: a first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outh of the user;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ongue of the user, wherein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contact por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press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or adhesion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tongue .

상기 구강 접촉부는, 상기 구강 접촉부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 접촉부와 인접한 위치에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곡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접촉부에 대한 상기 혀의 끝이 고정될 수 있다. The mouth contac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outh contact portion and adjacent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as a curved or curved surface so that the end of the tongue is fix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

상기 제2 접촉부는,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둘레 또는 일측에 형성되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마련되는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include one surface provided in an open form and another surface provided on a circumference or one side of the one surface and provided with a flat surface having a constant area.

상기 제1 접촉부는 곡선 또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직선 또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의 단면은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in a curved or curved shap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 plane shap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상기 제2 접촉부는,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둘레 또는 일측에 형성되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마련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include one surface provided in an open form and another surface formed in a plane having a constant area formed on the periphery or one side of the one surface, and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alternately arranged.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강 접촉부를 물면 상기 제1 접촉부가 가압되면서 상기 타면과 상기 혀의 밀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oral contact por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pressed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other surface and the tongue can be increased.

상기 제2 접촉부는,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둘레 또는 일측에 형성되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마련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은 서로 다른 크기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second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rst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and a second surface provided on a periphery or one side of the first surfa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area, wherei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have different widths As shown in Fig.

상기 제2 접촉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음료가 상기 혀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in an open form so that the beverage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tongue.

상기 음식물 접촉부와 상기 구강 접촉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음식물 접촉부 및 상기 구강 접촉부가 각각 상/하/좌/우로 꺾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꺾임부가 마련될 수 있다. A bending por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ood contact portion and the oral contact portion to allow the food contact portion and the oral contact portion to be folded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respectively.

상기 꺾임부는, 주름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folds may be provided in a corrugated form.

본 발명의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는, 사용자가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때 빨대의 끝 부분을 사용자의 혀 끝에 위치시키거나 입 안쪽에 위치시키는 것과는 다르게, 사용자의 혀와 빨대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혀에 음료가 광범위하게 분포되도록 하여 음료의 맛을 잘 느끼도록 하되, 동시에 치아에는 음료가 닿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치아 부식 또는 착색 등 치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traw for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teeth by placing the end of the straw at the tip of the user's tongue or the inside of the mouth when the user drinks the drink using the straw, The beverage is widely distributed on the tongue of the user so that the taste of the beverage can be well felt. At the same time, the beverage is prevented from reaching the teeth,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teeth such as erosion or coloring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와 혀의 접촉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와 혀의 접촉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aw shown in Fig. 1 for preventing tooth damage.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traw and the tongue for preventing tooth damage show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traw and the tongue for preventing tooth damage shown in Fig. 7.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illustrate that they are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component appearing in more than one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similar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of the depicted area, but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form, for example, by manufa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이하 '빨대' 라 함)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straw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100)를 설명한다. First, a straw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빨대의 사시도 및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빨대와 혀의 접촉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ct area between a straw and a tongue shown in Fig. 2; Fig. to be.

먼저, 혀(tongue)는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였을 때 음식물의 맛을 느끼기 위한 부분이다. 즉, 사람이 섭취한 음식물의 단맛, 짠맛, 쓴맛 등은 주로 혀에 의해서 느낄 수 있다. First, the tongue (tongue) is a part for people to taste the food when they eat it. That is, the sweetness, salty taste, bitter taste, etc. of the food consumed by a person can be mainly felt by the tongue.

한편, 사람이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마시는 탄산 음료, 색소 음료 등은 치아를 부식 또는 착색시키는 등 치아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이 음료를 마실 때, 음료의 맛을 풍부하게 느끼게 하면서도 탄산음료, 산성음료 및 치아 착색을 유발하는 음료로 인한 치아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빨대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carbonated beverages and pigment drinks that people drink to relieve thirst can cause tooth damage such as corroding or coloring teeth.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se a straw so that when a person drinks a beverage, the taste of the beverage is rich, while the straw is prevented from damaging the teeth due to carbonated beverages, acidic beverages, and beverages causing tooth colorin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100)는 일단부가 음료에 담기는 음식물 접촉부(110), 음식물 접촉부(110)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사용자의 입안에 위치되어 상기 음료를 흡입하는 구강 접촉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혀에 빨대(100)가 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혀에 음료가 광범위하게 퍼지도록 하여 음료의 맛을 잘 느끼도록 하되, 동시에 치아에는 음료가 닿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치아 부식 또는 착색 등의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1, the straw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d contact portion 110, a food contact portion 110, a first end portion, And a mouth contact portion 120 positioned in the mouth portion and sucking the beverage. Accordingly, the straw 100 is closely attached to the tongue of the user so that the beverage spreads widely on the tongue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taste of the beverage well.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ooth damag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음식물 접촉부(110)는 음료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음식물 접촉부(110)의 일단부가 음료(미도시) 또는 음료가 담긴 용기(미도시)의 내부에 담길 수 있다. 음식물 접촉부(110)는 통상적인 빨대와 같은 관(pipe)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음식물 접촉부(11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등의 플라스틱(합성수지) 재질과 같이 통상적으로 빨대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음식물 접촉부(110)의 일단부는 음료 등의 음식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and 2,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is a portion in direct contact with a beverage. In other word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ne end of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may be contained in a beverage (not shown) or a container (not shown) containing a beverage.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such as a conventional straw,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synthe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polystyrene or the like, which is usually used for manufacturing a straw. For reference, the one end of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is a portion directly contacting the food such as beverage,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substance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강 접촉부(120)는 사용자의 입안에 위치되어 음식물 접촉부(110)의 일단부가 담긴 음료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is a portion positioned in the user's mouth and sucking a beverage containing one end of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구강 접촉부(120)는 음식물 접촉부(110)의 타단부, 즉 음료에 담기는 부분의 반대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강 접촉부(120)는 음식물 접촉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음식물 접촉부(11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작상의 편의를 위해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구강 접촉부(120)와 음식물 접촉부(1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고로, 구강 접촉부(120)의 일단부는 사용자의 치아 또는 입을 이용하여 물리는 부분이므로 딱딱한 재질보다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that is, the opposite portion of the beverage portion. The mouth contact part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od contact part 110 as necessary because the mouth contact part 120 is extended from the food contact part 110. However, And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are integrally formed. Also, for reference, the one end of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rather than a hard material because it is a portion of the user's teeth or mouth.

또한, 구강 접촉부(120)는 음식물 접촉부(110)와 같은 관 모양의 형태로 제조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100)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is manufactured in a tubular shape such as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thereby facilitating the production of the straw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구강 접촉부(120)는 제1 접촉부(121) 및 제2 접촉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촉부(121)는 볼록한 형태로 마련되고 제2 접촉부(122)는 오목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촉부(121)는 빨대(100)에서 구강 접촉부(120)의 상단을 의미하고, 제2 접촉부(122)는 빨대(100)에서 구강 접촉부(120)의 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볼록한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접촉부(121)는 사용자의 입 천장과 접촉되고, 오목한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접촉부(122)의 길이방향 양단 즉, 구강 접촉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양단은 사용자의 혀(1)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제2 접촉부(122)의 길이방향 양단이 혀(1)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면, 혀(1)와 제2 접촉부(122)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음료가 통과되게 된다. Meanwhile,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121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122. Here,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refers to the upper end of the mouth contact portion 120 in the straw 10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can refer to the lower end of the mouth contact portion 120 in the straw 100.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provided in a convex shape is connect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outh of the user and is provided in a concave shap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ngue 1 of the user. When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ngue 1, the drink is allowed to pass through the space defined by the inner surfaces of the tongue 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한편,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 빨대(100)의 구강 접촉부(120)를 물면, 사용자가 빨대, 즉 구강 접촉부(120) 중 입 천장과 마주보는 부분은 사용자가 빨대를 무는 힘(P)에 의해 제1 접촉부(121)가 가압될 수 있다. 그러면,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121) 및 제2 접촉부(122)가 혀(1) 쪽으로 눌리게 되는데, 이때 제2 접촉부(122)의 길이방향 양단과 혀(1)의 밀착력이 증가되어 음료가 치아 쪽으로 가지 않고 혀(1)를 거쳐 사용자의 식도로 넘어가게 할 수 있다. 3 (a), when the user applies the mouth contact portion 120 of the straw 100 to drink the beverage, the user can feel the straw, that is, the portion of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facing the mouth of the mouth 120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can be pressed by the force P by which the user strikes the straw. 3 (b), the first contact portion 12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are pressed toward the tongue 1.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ongue The adhesion of the drink 1 to the user's esophagus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tongue 1 without the beverage being directed to the teeth.

더욱이, 구강 접촉부(120)에는 지지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23)는 구강 접촉부(123)의 일단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23)는 제2 접촉부(122)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하측방향으로 곡선 또는 곡면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23)는 구강 접촉부(120), 즉 제2 접촉부(122)와 혀(1)와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강 접촉부(120)를 빨대(100)의 길이방향 측면에서 바라보면, 지지부(123)는 혀(1)의 가장 앞쪽(즉, 입술 쪽을 향하는 전단부)의 외면과 일치하도록 곡선 내지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지지부(123)에 혀(1)의 전단부가 고정되기 때문에 구강 접촉부(120) 또는 제2 접촉부(122)와 혀(1)의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Further,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123. The support portion 123 may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oral contact portion 123. Specifically, the support portion 123 may be formed in a curved or curved shape protruding downward at a point where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starts. The support portion 123 can maintain the contact between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that is,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and the tongue 1. When the mouth contact portion 120 i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w 100, the support portion 123 is curved or curv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ngue 1 (that is, the front end toward the lip) Lt; / RTI > Sinc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ongue 1 i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123 having this shape, the contact state of the mouth contact portion 120 or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and the tongue 1 can be stab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100)에는 꺾임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aw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bending part 130.

꺾임부(130)는 음식물 접촉부(110)와 구강 접촉부(120)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꺾임부(130)는 음식물 접촉부(110) 및 구강 접촉부(120)가 상/하/좌/우로 꺾일 수 있도록 주름진 형태로 마련 될 수 있는데, 예컨대 자바라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꺾임부(130)는 음식물 접촉부(110)가 구강 접촉부(120)에 대해 상/하/좌/우로 꺾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구강 접촉부(120)가 음식물 접촉부(110)에 대해 상/하/좌/우로 꺾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bending portion 130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and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At this time, the bend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corrugated form so that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and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may be folded upward / downward / leftward / rightward. The bending portion 130 may enable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to be folded upward / downward / left / right with respect to the mouth contact portion 120 and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may be bent toward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Up / down / left / right.

한편, 상기와 같은 꺾임부(130)는 음식물 접촉부(110)와 가깝게 마련될 수도 있고 구강 접촉부(120)와 가깝게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기 위해 사용자의 입에 무는 부분, 즉 구강 접촉부(120)와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음식물 접촉부(110)가 음료 또는 음료가 담기는 용기에 담기는 부분이므로 음식물 접촉부(110)가 구강 접촉부(120) 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꺾임부(130)가 음식물 접촉부(110) 보다 구강 접촉부(120)와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ending portion 130 may be provided close to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or may be provided close to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However, it is desirable that the user is formed to be close to the mouth portion of the wearer's mouth, that is,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in order to drink the beverage. This is because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is formed in a container containing a beverage or a beverage so that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is formed longer than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so that the bent portion 130 contacts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It is preferable to form it closer to the mouth contacting portion 120 than to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100)의 사용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1 to 3, a use example of the straw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음료가 담긴 용기 또는 음료에 빨대(100)의 음식물 접촉부(110)를 담근다. 여기서, 꺾임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빨대일 경우에는 음식물 접촉부(110)를 음료에 담그어 음료를 마실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음료 음용시 편의를 위하여 빨대(100)에 꺾임부(130)를 구강 접촉부(120)와 가깝게 형성하고, 음식물 접촉부(110)의 일단부를 음료에 담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of the straw 100 is immersed in a container or beverage containing the beverage. Here, when the straw 130 is not formed,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may be immersed in the drink to drink the drink.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ending portion 130 is formed in the straw 100 so as to be close to the mouth contact portion 120 and the one end portion of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is immersed in the beverage for convenience in drinking the beverage by the user.

그 다음, 사용자는 구강 접촉부(120)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신다. 이때, 음식물 접촉부(110)를 통해 흡입된 음료가 사용자의 치아에 닿지 않도록 혀(1)를 구강 접촉부(120)의 제2 접촉부(122) 및 지지부(123)와 접촉되도록 위치시키고 음료를 마신다. 이 상태에서, 혀(1)의 외면은 제2 접촉부(122) 및 지지부(123)와 밀착 내지 접촉하게 되고, 음료는 혀(1)의 표면과 구강 접촉부(12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만 존재하게 된다. The user then uses the mouth contact 120 to drink the beverage. At this time, the tongue 1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and the support portion 123 of the mouth contact portion 120 so that the beverage sucked through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does not contact the user's teeth, and drinks. In this state, the outer surface of the tongue 1 is in intimate contact with or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2 and the support portion 123, and the beverage exists only in the space formed by the surface of the tongue 1 and the oral contact portion 120 .

그러면, 음료는 사용자의 치아에는 닿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혀(1)에 고루 퍼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음용한 음료는 혀(1)에 닿은 후에 바로 식도(미도시)로 넘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용한 음료의 맛은 충분히 느끼면서도 음료에 의해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n, the beverage spreads evenly over the user's tongue 1 without touching the user's teeth. At this time, the beverage that the user has drank passes directly to the esophagus (not shown) after touching the tongue 1. Accordingly, the user can feel the taste of the drink to be consumed sufficiently while preventing the tooth damage by the drink.

한편,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빨대를 설명한다. 4 to 8, a stra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빨대는 음식물 접촉부(110) 및 주름부(130)의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Since the straw according to th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constitution of the food contact portion 110 and the wrinkle portion 130, the same configuration is given the same names and reference numerals, The description i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200)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의 사시도이다. First, a straw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 접촉부(220)는 제1 접촉부(221) 및 제2 접촉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구강 접촉부(220)를 물면, 제1 접촉부(221)는 사용자의 입 천장과 접촉되고, 제2 접촉부(222)는 사용자의 혀(1)와 접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oral contact portion 22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221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222. Specifically, when the user applies a mouth contact 220 to drink a beverage,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 contacts the mouth of the user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 contacts the tongue 1 of the user have.

이때, 빨대(2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구강 접촉부(220) 쪽 일단에서 구강 접촉부(220)를 바라보면, 제1 접촉부(221)는 사용자의 입 천장 쪽으로 볼록한 형태 또는 곡선(곡면)으로 형성되고, 제2 접촉부(222)는 혀(1)의 표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평평한 형태 또는 직선(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촉부(221)와 제2 접촉부(222)의 전체 모양은 대략 반원 형태가 될 수 있다.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제1 접촉부(221)는 사용자의 입 천장과 접촉되고,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 제2 접촉부(222)는 사용자의 혀(1)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When the oral contact part 220 is viewed from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w 200 on one side of the oral contact part 220, the first contact part 221 is formed in a convex shape or a curved shape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or in a straight line so as to abut the surface of the tongue 1. Accordingly, the overall shap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 may be approximately semicircular.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 formed in a convex shap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uth of the user's mouth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 formed in a flat shap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tongue 1 of the user.

한편, 제2 접촉부(222)는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222a) 및 개방된 일면(222a)의 둘레에 형성되되 일정한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타면(222b)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개방된 일면(222a)은 혀(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음료가 혀(1)와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빨대(200)의 상하 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구강 접촉부(220)를 입에 물고 음료를 흡입하면, 제2 접촉부(222)의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 일면(222a)과 일면(222a)의 둘레 또는 일측에 형성되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마련된 타면(222b)이 혀(1)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고, 음료는 개방된 일면(222a)을 통과하여 혀(1)와 접촉하게 된다. Meanwhile,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 may include a first surface 222a provided in an open form and a second surface 222b formed around a first open surface 222a and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he opened one face 222a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raw 200 so that the drink can sufficiently contact the tongue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ngue 1. [ Accordingly, when the user wears the oral contact part 220 and sucks the beverage, the first contact part 222 and the second contact part 222 are formed on one side 222a and one side 222a of the second contact part 222, The other surface 222b provided on the flat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ngue 1 and the beverag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ngue 1 through the open surface 222a.

여기서, 제2 접촉부(222)의 타면(222b)은 개방된 형태의 일면(222a)의 둘레 또는 일측에 형성되는데, 일면(222a)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타면(222b)은 폭이 좁고 긴 형태를 가지고 일면(222a)의 끝단(즉, 빨대(200)의 끝단) 일측에 형성된 타면(222b)은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가진다. The other surface 222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 is formed on the periphery or one side of the opened one surface 222a. The other surface 222b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ne surface 222a is narrow And the other surface 222b formed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one surface 222a (i.e., the end of the straw 20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일면(222a)의 끝단(즉, 빨대(200)의 끝단) 일측에 형성된 직사각형 모양의 타면(222b)은 사용자의 입 천장이 제1 접촉부(221)를 누르더라도 빨대(200)의 모양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음료가 빨대(200)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면(222a)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타면(222b)은 제2 접촉부(222)가 혀(1)에 밀착될 때 혀(1)에 날카로운 느낌을 주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입 천장이 제1 접촉부(221)를 누르더라도 빨대(200)의 모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rectangular shaped surface 222b formed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one side 222a of the straw 200 may have a stable shape of the straw 200 even if the entrance ceiling of the user presses the first contacting portion 221 So that the beverage does not leak out of the straw 200. The other surface 222b formed on both widthwise sides of the one surface 222a prevents the tongue 1 from giving a sharp feeling to the tongue 1 wh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ngue 1, The shape of the straw 200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if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 is pressed.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형태로 마련된 타면(222b)과 혀(1)가 서로 접촉할 때 일정한 크기의 접촉 면적이 유지되기 때문에 구강 접촉부(220)가 혀(1)에 안정적으로 놓인 상태에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4의 빨대(200) 중 구강 접촉부(220)를 사용자가 물게 되면, 사용자의 입 천장이 제1 접촉부(221)를 눌러서 일면(222a) 및 타면(222b)과의 밀착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Since the contact area of a certain size is maintained when the other surface 222b and the tongue 1 provided in a form having a constant are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ral contact portion 220 can be stably placed on the tongue 1, . 3, when the user touches the oral contact portion 220 of the straw 200 shown in FIG. 4, the mouth of the user touches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 to press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222a and 222b, Is increased.

한편, 도 4에서 도면부호 223은 지지부이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부(123)와 동일한 형태 및 기능을 가진다. In FIG. 4, reference numeral 223 denotes a support portion, which has the same form and function as the support portion 123 shown in FIGS. 1 and 2.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빨대(300)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의 사시도이다. Referring to Fig. 5, a straw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빨대(300)의 구강 접촉부(320)는 제1 접촉부(321) 및 제2 접촉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구강 접촉부(320)를 물면, 제1 접촉부(321)는 사용자의 입 천장과 접촉되고 제2 접촉부(322)는 사용자의 혀(1)와 접촉될 수 있다. 5, the oral contact portion 320 of the straw 30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321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322. [ The first abutment 321 may be in contact with the mouth of the user and the second abutment 322 may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tongue 1 when the user bites the mouth contact 320 to drink a beverage.

여기서, 빨대(3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구강 접촉부(320) 쪽의 일단에서 빨대(300)를 바라보면, 제1 접촉부(321)는 입 천장을 향해 볼록한 형태 또는 곡선(곡면)으로 마련되고, 제2 접촉부(322)는 혀(1)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평평한 형태 또는 직선(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When the straw 300 is viewed from one end of the straw 300 both ends of the straw 300 in the direction of the mouth contacting portion 320, the first contacting portion 321 is convex or curved toward the entrance ceil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2 may be provided in a flat shape or in a straight line (plan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ngue 1.

제2 접촉부(332)는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322a) 및 일면(322a)의 둘레 또는 일측에 형성되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마련되는 타면(322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portion 332 may include a first surface 322a provided in an open form and a second surface 322b provided on a periphery or one side of the first surface 322a and provided in a plan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여기서, 타면(322b)의 형태 및 기능은 도 4에 따른 빨대(200)의 타면(222b)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other surface 322b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other surface 222b of the straw 200 according to FIG. 4, and thus a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타면(322b)은 혀(1)의 표면과 접촉하되 충분한 접촉 면적을 가지도록 평평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촉부(321)와 제2 접촉부(322)의 전체를 끝단에서 바라보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ther surface 322b may be provided in a flat shap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ngue 1 so as to have a sufficient contact area. Accordingly, when the entire first contact portion 32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2 are viewed from the end, they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도 4에 도시된 빨대(200)와 달리 제2 접촉부(322)의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322a)과 일정한 면적의 평면으로 마련되는 타면(322b)은 서로 다른 크기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접촉부(322)의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322a)은 그 형태가 타원형에 가깝게 형성되되 좌우 폭이 빨대(30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타면(322b)은 그 형태가 사각형에 가깝게 형성되되 빨대(300)의 좌우 폭과 동일하거나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322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urface 322a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2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traw 200 shown in FIG. 4 and the other surface 322b of the second surface 322b which are provided in a plane having a constant area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widths have. 5, one surface 322a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2 is formed in an open shape and is formed to be close to an elliptical shape. The width of the one surface 322a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traw 300 And the other surface 322b may be formed so as to be close to a quadrangle and smaller than the width of one surface 322a provided in the same or open form as the width of the straw 300.

한편, 사용자가 구강 접촉부(320)를 입에 물고 음료를 흡입하면, 혀(1)에는 제2 접촉부(322)의 일면(322a) 및 타면(322b)과 접촉하게 되고,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 일면(322a)을 통과하여 음료가 혀(1)와 접촉하게 된다. 참고로, 제2 접촉부(322) 중의 타면(322b)은 제2 접촉부(322)가 혀(1)에 밀착할 때 사용감을 좋게 하고 빨대(3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holds the mouth contact portion 320 in the mouth and sucks the beverage, the tongue 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ne side 322a and the other side 322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2, (322a) so that the beverag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ngue (1). For reference, the other surface 322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2 improves the feeling of use wh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ngue 1, and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straw 300.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빨대(30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빨대(100) 및 제2 실시예의 빨대(200)와는 다르게 지지부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를 제2 접촉부(322)의 타면(322b)과 인접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The straw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aw 100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traw 200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other surface 322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2. [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빨대(400)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의 사시도이다. A straw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빨대(400)의 구강 접촉부(420)는 제1 접촉부(421) 및 제2 접촉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빨대(400)는 도 5에 도시된 빨대(300)에서 제2 접촉부(322)의 타면(322b) 중 일면(322a)의 일측에 마련된 타면을 제거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빨대(400)의 타면(422b)는 일면(422a)의 둘레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평면 형태를 가지게 된다.6, the mouth contact portion 420 of the straw 40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421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422. The straw 400 shown in FIG. 6 may be formed by removing the other surfa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ne surface 322a of the second surface 322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22 in the straw 300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other surface 422b of the straw 400 shown in FIG. 6 is formed around the one surface 422a and has a narrow planar shape.

제1 접촉부(421)는 입 천장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촉부(422)의 일부는 제1 접촉부(421)에 비해 평평한 형태로 마련되고 나머지 일부는 오목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구강 접촉부(420)를 물면, 볼록한 형태로 마련된 제1 접촉부(421)는 사용자의 입 천장과 접촉되고, 제1 접촉부(4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제2 접촉부(422) 중 평평한 형태로 마련되는 길이방향 양단은 사용자의 혀(1)와 접촉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portion 421 may be provid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entrance ceiling. A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22 may be provided in a flat shape compar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421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concave shape. Accordingly, when the user applies the mouth contact portion 420 to drink the beverage, the first contact portion 421 provided in a convex shape is in contact with the mouth of the user's mouth and is relatively concave compar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421 The longitudinally opposite ends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s 422, which are provided in a flat shape, can contact the tongue 1 of the user.

이때, 제2 접촉부(422)는 대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일면(422a) 및 일면(422a)의 둘레에 마련되되 제2 접촉부(422)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타면(422b)을 포함할 수 있다. 타면(422b)은 제2 접촉부(422)가 혀(1)에 밀착할 때 사용감을 좋게 하고 빨대(4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econd contact portion 422 may include a first open end 422a and a second end 422b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have. The other surface 422b can improve the feeling of use wh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4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ngue 1 and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straw 400.

이에 따라, 제2 접촉부(422)의 개방된 형태의 일면(422a)을 통해 많은 음료가 혀(1)와 접촉하게 되어 사용자가 음료의 맛을 충분히 느낄 수 있고, 타면(422b)이 혀(1)와 접촉함으로써 사용자의 입 천장이 제1 접촉부(421)를 누르더라도 빨대(400)의 모양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ly, a large amount of beverag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ngue 1 through one open side 422a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22, so that the user can fully feel the taste of the beverage, and the other surface 422b can contact the tongue 1 So that the shape of the straw 400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if the entrance ceiling of the user presses the first contact portion 421.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빨대(40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빨대(100)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빨대(200)와는 다르게 지지부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지지부를 제2 접촉부(422)의 일면(422a)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The straw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aw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traw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But the support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ne surface 422a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422 as necessary.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빨대(300,400)의 경우, 제2 접촉부(322,422) 중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322a,422a)은 그 폭이 음료의 유입 방향을 따라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는 형태로 마련된다. 일면(322a,422a) 중 폭이 큰 가운데 부분은 음료가 혀(1)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하여 사용자가 음료의 맛을 충분히 느끼게 하기 위한 것이고, 일면(322a,422a) 중 폭이 작은 상단 끝 부분은 혀(1)와 충분히 접촉한 음료를 다시 좁은 부분으로 모아서 음료가 치아와 닿지 않는 상태로 식도로 유입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straws 300 and 400 shown in Figs. 5 and 6, on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s 322 and 422, which is provided in an open form, has a width wider along the inflow direction of the beverage, Respectively. The middle portion of the one of the surfaces 322a and 422a has a large area in which the beverage contacts the tongue 1 so that the user can fully feel the taste of the beverage. Is intended to collect the beverage sufficiently in contact with the tongue (1) again into a narrow portion so that the beverage flows into the esophagus without touching the teeth.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빨대(500)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의 사시도 및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와 혀의 접촉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에 도시한 A-A' 를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A straw 5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aw for preventing tooth damag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ct area between a straw and a tongue for preventing tooth damage shown in FIG.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 접촉부(520)는 제1 접촉부(521) 및 제2 접촉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접촉부(522)는 개방된 형태의 일면(522a) 및 일면(522a)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되 일정한 면적의 평면으로 마련되는 타면(522b)을 포함할 수 있다. 일면(522a)과 타면(522b)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oral contact portion 52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521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522. At this time,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2 may include one face 522a of an open shape and another face 522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ne face 522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plane having a constant area. The first surface 522a and the second surface 522b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만약, 사용자가 음료를 흡입하기 위해서 구강 접촉부(520)를 입에 물게 되면, 제2 접촉부(522)의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 일면(522a)과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마련된 타면(522b)이 혀(1)의 표면에 놓이게 되는데, 음료는 개방된 일면(522a)을 통과하여 혀(1)와 접촉하게 된다. 타면(522b)은 제2 접촉부(522)가 혀(1)에 밀착될 때 혀(1)에 날카로운 느낌을 주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입 천장이 제1 접촉부(521)를 누르더라도 빨대(500)의 모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If the user touches the oral contact portion 520 to suck the beverage, the other surface 522a provided in an open form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2 and the other surface 522b provided in a plane having a constant area are tongue- The beverag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ongue 1 through the opened one face 522a. The other surface 522b prevents the tongue 1 from giving a sharp impression to the tongue 1 wh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ngue 1, 500 can be stably maintained.

이때,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강 접촉부(520)를 물면 사용자의 입 천장이 제1 접촉부(521)를 가압(P)하여 제1 접촉부(521) 및 제2 접촉부(522)가 눌릴 수 있다. 그러면 제2 접촉부(522)의 타면(522b)과 혀(1) 사이의 밀착력이 증가되므로, 음료는 안정적으로 개방된 일면(522a)을 통과하여 혀(1)와 접촉되어 사용자가 음료의 맛을 충분히 느낄 수 있으며, 타면(522b)에 의해 혀(1)에 날카로운 느낌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빨대(500)의 모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8, when the user touches the oral contact portion 520, the mouth of the user pushes the first contact portion 521 to push the first contact portion 52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2 Can be depressed. Since the adhesion between the second surface 522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2 and the tongue 1 is increased, the drink passes through the one surface 522a which is stably opened and contacts the tongue 1,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ngue 1 from giving a sharp feeling by the other surface 522b and stably maintain the shape of the straw 500.

다시 말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접촉부(522)의 일면(522a)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고 타면(522b)이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마련됨으로 인하여, 음료가 혀(1)에 넓게 분포됨과 동시에 혀(1)와 제2 접촉부(522)의 접촉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월하게 빨대(500)를 이용하여 음료를 음용함과 동시에 음료의 맛도 잘 느낄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ne surface 522a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2 is opened and the other surface 522b is provided in a plane having a constant area, the beverage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tongue 1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tongue 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2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drink the drink using the straw 500 and feel the taste of the drink well.

참고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빨대(5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빨대(100) 및 제2 실시예의 빨대(200)와는 다르게 지지부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혀(1)의 끝단과 접촉되어 혀(1)를 제2 접촉부(522)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를 제2 접촉부(522)의 타면(522b)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The straw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how the support part different from the straw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traw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o support the tongue 1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ther surface 522b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2. [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일면은 개구부로 표현될 수도 있고, 타면은 평면부로 표현될 수도 있다. 즉, 일면은 면(surface)를 의미하기 보다는 혀를 향하는 일측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료가 통과할 수 있는 개방된 개구부를 의미한다. 또한, 타면은 일면의 둘레 또는 일측에 형성되어 제2 접촉부와 혀의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부분을 의미하기 때문에 평면부로 표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one surface may be represented by an opening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represented by a plane portion. That is, one side refers to one side facing the tongue rather than a surface, which means an open opening through which a drink can pass. Also, the other surface may be expressed as a plane portion because it means a portion formed on the circumference or one side of the one surface to have a constant area to stably maintain the contact state of the tongue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100)(200)(300)(400)(500)는 사용자가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때 빨대의 끝 부분을 사용자의 혀 끝에 위치시키거나 입 안쪽에 위치시키는 것과는 다르게, 사용자의 혀와 빨대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혀에 음료가 광범위하게 분포되도록 하여 음료의 맛을 잘 느끼도록 하되, 동시에 치아에는 음료가 닿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치아 부식 또는 착색 등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raw 100, 200, 300, 400, 5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vent a tooth from being damaged when the user uses the straw to drink a beverage, Unlike placing it at the tip of the tongue of the user or placing it inside the mouth, the user's tongue and straw are closely contacted so that the drink is distributed widely on the user's tongue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taste of the drink. It is possible to prevent tooth damage such as tooth corrosion or coloring of the us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200, 300, 400, 500: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110: 음식물 접촉부
120: 구강 접촉부
130: 꺾임부
121, 221, 321, 421, 521: 제1 접촉부
122, 222, 322, 422, 522: 제2 접촉부
222a, 322a, 422a, 522a: 일면
222b, 322b, 422b, 522b: 타면
123, 223: 지지부
100, 200, 300, 400, 500: Straw to prevent tooth damage
110: food contact
120: Oral contact
130:
121, 221, 321, 421, 521:
122, 222, 322, 422, 522:
222a, 322a, 422a, 522a:
222b, 322b, 422b, 522b:
123, 223:

Claims (11)

삭제delete 일단부가 음료에 담기는 음식물 접촉부; 및
상기 음식물 접촉부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사용자의 입안에 위치되어 상기 음료를 흡입하는 구강 접촉부;
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구강 접촉부를 물고 상기 음료를 흡입하면 상기 음료는 상기 음식물 접촉부를 통과하여 상기 사용자의 혀와 접촉되어 상기 음료가 퍼지며,
상기 구강 접촉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 천장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사용자의 혀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1 접촉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눌려서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혀의 접촉 면적 또는 밀착력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A food contact portion which is once added to the beverage; And
A mouth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ood contact portion and positioned in a user's mouth to suck the beverage;
Lt; / RTI >
When the user sucks the mouth contact portion and sucks the beverage, the beverage passes through the food contact portion and contacts the tongue of the user to spread the beverage,
Wherein the mouth-
A first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outh of the user;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ongue of the user,
Wherein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contact por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press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or adhesion force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tongu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접촉부는,
상기 구강 접촉부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2 접촉부와 인접한 위치에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곡선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접촉부에 대한 상기 혀의 끝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uth-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outh contact portion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Wherein the support is curved or curved so that the end of the tongue is secured to the second conta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둘레 또는 일측에 형성되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마련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is provided on one surface provided on an open form and on a surface having a constant area formed on the periphery or one side of the one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는 곡선 또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직선 또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의 단면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or curved shap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a plan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둘레 또는 일측에 형성되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마련되는 타면을 포함하며,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provided on a circumference or one side of the first surfa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area,
Wherein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강 접촉부를 물면 상기 제1 접촉부가 가압되면서 상기 타면과 상기 혀의 밀착력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user touches the oral contact por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pressed,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other surface and the tongue is increa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둘레 또는 일측에 형성되되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으로 마련되는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은 서로 다른 크기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one surface provided in an open form and another surfac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or one side of the one surface and provided in a plane having a constant surface area
Wherein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width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음료가 상기 혀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Wherein the beverage is formed in an open form so that the beverag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ongue.
일단부가 음료에 담기는 음식물 접촉부; 및
상기 음식물 접촉부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사용자의 입안에 위치되어 상기 음료를 흡입하는 구강 접촉부;
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구강 접촉부를 물고 상기 음료를 흡입하면 상기 음료는 상기 음식물 접촉부를 통과하여 상기 사용자의 혀와 접촉되어 상기 음료가 퍼지며,
상기 음식물 접촉부와 상기 구강 접촉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음식물 접촉부 및 상기 구강 접촉부가 각각 상/하/좌/우로 꺾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꺾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A food contact portion which is once added to the beverage; And
A mouth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ood contact portion and positioned in a user's mouth to suck the beverage;
Lt; / RTI >
When the user sucks the mouth contact portion and sucks the beverage, the beverage passes through the food contact portion and contacts the tongue of the user to spread the beverage,
And a bend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ood contact portion and the oral contact portion to allow the food contact portion and the oral contact portion to be folded upward, downward, leftward and rightward, respectively.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는,
주름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손상을 방지하는 빨대.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0,
The fold-
Wherein the straw is provided in a corrugated form.
KR1020160157387A 2016-11-24 2016-11-24 Straw for preventing tooth from damage KR101870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387A KR101870045B1 (en) 2016-11-24 2016-11-24 Straw for preventing tooth from da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387A KR101870045B1 (en) 2016-11-24 2016-11-24 Straw for preventing tooth from da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427A KR20180058427A (en) 2018-06-01
KR101870045B1 true KR101870045B1 (en) 2018-06-21

Family

ID=6263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387A KR101870045B1 (en) 2016-11-24 2016-11-24 Straw for preventing tooth from da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0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4641A1 (en) * 2020-10-05 2022-04-07 Eazy-Pz, Llc Developmental Drinking Cup and Training Straw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732U (en) * 2012-04-02 2012-04-20 김태응 stra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427A (en)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045B1 (en) Straw for preventing tooth from damage
CA2389900A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plastic label holder with integral sign holder, and resulting product
US20060058821A1 (en) Tongue scraper
US5586682A (en) Handle grip piece for use in gripping a drinking mug
US7040547B1 (en) Straw with angled output
KR100872185B1 (en) cup having an inhole tube
KR200432436Y1 (en) straw for protecting the oral cavity
KR20070000183U (en) Cup holder of tea bag
TWI744656B (en) Straw assembly
TWM592268U (en) Flexible environmental protection fitting kit
KR20100008128A (en) Bending straw
KR200317779Y1 (en) Straw having uneven arrangement
KR200277167Y1 (en) Drinking Straw
TWI656859B (en) straw
KR200418612Y1 (en) A cup
KR100851941B1 (en) The pack of containing a drinking liquid
JP3130066U (en) Bottle cap with straw
JP6839435B2 (en) Bottle-mounted fixed-quantity cup
KR200179866Y1 (en) paper cup accompannied with straw
CN203005965U (en) Winebottle anti-dripping device
JP2005027720A (en) Oral medicine housing straw
JP3001402U (en) Beverage container handle structure
TWM607018U (en) Environmental protection flat straw structure
JP3078982U (en) Straws for plastic bottles
KR200334901Y1 (en) Cup with the lip supp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