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582B1 -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 Google Patents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582B1
KR101868582B1 KR1020170080968A KR20170080968A KR101868582B1 KR 101868582 B1 KR101868582 B1 KR 101868582B1 KR 1020170080968 A KR1020170080968 A KR 1020170080968A KR 20170080968 A KR20170080968 A KR 20170080968A KR 101868582 B1 KR101868582 B1 KR 10186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ling space
air inlet
filled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17008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41D2400/14Heat retention or warming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온기능과 통풍기능을 명확하게 구분지어 발휘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는, 상체 또는 하체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공기출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기충진공간이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FEEL TEMPERATURE CONTROL POSSIBLE CLOTHES}
본 발명은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차단이 용이한 비닐, 합성수지, 고무 등을 튜브나 관 형상으로 제작하여 의류에 설치하고, 튜브나 관의 내부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충진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시간, 장소, 환경에 따라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외부 온도에 맞게 체감온도를 최적화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제직되는 섬유 조직이 다공 조직으로 되어 공기가 잘 통하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섬유 직물의 통기성은 위생적인 측면에서는 바람직한 것이나, 보온, 단열, 방풍, 방습, 방수, 방음 및 완충 작용에 있어서는 미흡하다.
따라서 상기한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일반 직물은 상기 조건을 만족시켜줄 수 없다. 즉 의류는 평상시에 착용하는 용도 이외에 등산이나 야외에서 활동하기에 적합한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동절기나 심야에 체온을 유지할 수 있거나, 작업장 등에서 있을 수 있는 외부의 각종 충격에 대하여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의류가 그것이다.
동절기나 심야에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종래기술의 일 예로, 선 등록실용신안 "제20-0455066호, 고안의 명칭 : 통기공을 갖는 에어자켓"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통기성 없는 시트재로 이루어진 외피, 통기성 없는 시트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에 접하는 내피,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팽창부; 및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가 융착된 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을 갖는 융착부로 구성되며, 팽창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에 따라, 착용자의 체온손실을 막아 보온이 유지되면서도 융착부에 형성된 미세한 통기공을 통해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통기공이 에어자켓에 간헐적으로 배치되고 통기공이 매우 미세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통풍효과가 매우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066호(2011.06.0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온기능과 통풍기능을 명확하게 구분지어 발휘할 수 있는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는, 상체 또는 하체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공기출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기충진공간이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착용부는,
착용시 상체 또는 하체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착용시 상체 또는 하체 후면에 위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에는 다수개의 통풍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출입구에 연결되며, 펌핑 작동을 통해 상기 공기충진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충진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켓부는,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공기출입구가 형성된 다수개의 분기부,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분기부를 연결하여 공급된 공기를 상기 분기부로 전달하는 공기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부 및 공기전달부는 상기 공기충진공간에 공기가 충진될 경우 팽창에 의해 통풍공을 가려 통풍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가 배출될 경우에는 수축에 의해 통풍공이 노출되도록 하여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전달부 중 상기 후면부에 위치되는 부분의 양측을 가압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충진공간에 충진된 공기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출입구를 폐쇄하는 공기배출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방지부는 상기 공기출입구가 형성된 분기부를 가압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공기출입구를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 분기부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공기충진공간에 충진된 공기의 배출속도를 증가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는, 착용부에 다수개의 구획공간을 형성하고, 각 구획공간에 공기가 충진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에어포켓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에어포켓부가 공기 충진으로 인해 팽창될 경우 다수개의 통풍공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되어 완벽한 보온기능이 발휘되고, 에어포켓부가 공기 배출로 인해 수축될 경우에는 통풍공을 차단하지 않게 되어 완벽한 통풍기능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에어포켓부에서 용이하게 공기를 배출시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땀이나 분비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시간 착용시에도 착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는, 보행중인 상태에서도 에어포켓부에 공기를 용이하게 주입하거나, 또는 에어포켓부에서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가 등산이나 트랙킹 처럼 장시간 보행할 경우에도 최적화된 체감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추운날씨에 따뜻한 실내에 들어갈 경우 에어포켓부에서 공기를 배출하여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됨으로, 실내에서 번거롭게 탈의 하지 않아도 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온기능은 물론 선행기술의 단점인 밀폐로 인한 땀 등의 분비물을 방출하는데 획기적인 효능이 있어, 사계절 잠옷으로도 활용 가능하며, 비교적 신체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낚시, 골프 등의 운동시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며, 한대, 열대, 온대, 야외는 물론 가정에서도 언제나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과 건조가 용이하고, 공기를 배출하면 부피가 작아지므로 휴대, 수송, 보관이 용이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대중적이고, 자원 및 에너지 절약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적용된 포켓부를 도시한 도.
도 4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적용된 분기부의 팽창 전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적용된 분기부의 팽창 상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적용된 공기배출방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가압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적용된 가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적용된 포켓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적용된 분기부의 팽창 전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적용된 분기부의 팽창 상태를 도시한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감조절이 가능한 의류에 적용된 공기배출방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1)는, 착용부(10), 포켓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착용부(10)는 내피(10a)와 외피(10b)를 상,하 또는 전,후로 대칭 시킨 다음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형성되며, 2겹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후술되는 포켓부(20)가 설치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착용부(10)는 일반적인 남방이나 잠바 등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어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되거나, 일반적인 바지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어 착용자의 하체에 착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부(10)는 상체와 하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스키복이나 우주복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착용부(10)가 남방, T셔츠, 잠바 등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착용부(10)를 남방, T셔츠, 잠바 등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상기 착용부(10)는 착용자의 전면에 위치되는 우측과 좌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전면부(11)와 제2전면부(12), 상기 제1,2전면부(11,12)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후면에 위치되는 후면부(13), 제1전면부(11)와 후면부(13)의 사이 및 제2전면부(12)와 후면부(13)의 사이에 재봉 결합되며 착용자의 팔을 감싸는 팔부(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전면부(11)와 제2전면부(12)가 마주하는 끝단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지퍼나 단추 등 다양한 종류의 개폐장치(7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면부(11), 제2전면부(12), 후면부(13)의 폭 방향 및 팔부(14)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는 후술되는 포켓부(20)를 구획된 구조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구획부(15)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15)는 제1전면부(11), 제2전면부(12), 후면부(13) 및 팔부(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15)로 인해 상기 착용부(10)에는 후술되는 포켓부(20)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구획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구획부(15) 및 구획공간은 후술되는 포켓부(20)가 이상적인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면서, 사용 중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착용부(10)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후술되는 공기전달부(22)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구획부(15) 및 구획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상기 착용부(10)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구획공간과 연결되며 후술되는 공기전달부(22)가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착용부(10)는 후술되는 포켓부(20)의 수축 작용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통풍공(10c)이 촘촘한 형태로 형성된 메쉬 타입, 망사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켓부(20)는 상기 제1전면부(11), 제2전면부(12), 후면부(13), 팔부(14)에 고루게 분포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1)의 보온성과 단열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켓부(2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개의 분기부(21)와, 상기 다수개의 분기부(21)를 일체로 연결하여 주입된 공기를 전달하는 공기전달부(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착용부(10)는 상기 내피(10a)와 외피(10b)를 중첩시킨 다음, 내피(10a)와 외피(10b)의 하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하여 내부에 포켓부(2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후, 제1전면부(11)와 후면부(13) 사이 및 제2전면부(12)와 후면부(13)의 사이에 팔부(14)의 끝단을 재봉결합 한 다음, 전술한 방식으로 상기 구획부(15) 및 구획공간을 형성하므로서 완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1)에서 상기 착용부(10)는 상기 구획부(15) 및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공정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잠바 구조를 갖는 의류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착용부(10)의 재봉이 이루어지지 않은 하측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구획공간에 상기 분기부(22)를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착용부(10)의 하측에는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지퍼나 다수개의 단추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1)를 세탁하고자 할 경우 상기 착용부(10)의 하측을 개방하여 포켓부(20)를 제거한 후 세탁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기부(21)는 도 1 및 도 3을 기준으로 공기전달부(22)의 상면과 연결되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측이 막혀있으며, 내부에는 공기충진공간(21b)이 형성된다.
이러한 분기부(21)는 상기 착용부(10)의 하측 개방된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제1전면부(11)와, 제2전면부(12), 후면부(13) 및 팔부(14)에 구획되도록 형성된 구획공간에 각각 수용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가 된다.
이때, 상기 분기부(21)는 일측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착용부(10)의 하측 개방된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구획공간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부(21)의 타측 막힌 부분은 상기 착용부(10)에 고정끈, 제봉,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부(21)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후술되는 공기충진부(30)가 연결되는 공기출입구(21a)가 형성되며, 도면에서는 착용자가 착용부(10)를 착용시 전면 우측에 위치되는 제1전면부(11)의 끝부분에 위치된 분기부(21)의 상측에 공기출입구(21a)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공기출입구(21a)가 형성된 분기부(21)의 끝부분은 후술되는 공기충진부(3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전면부(1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분기부(21)의 돌출된 부분은 고정끈, 제봉, 접착제 등을 통해 제1전면부(11)에 고정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공기출입구(21a)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충진공간(21b)에 충진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출입구(21a)를 폐쇄하는 공기배출방지부(5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배출방지부(50)는 공기출입구(21a)가 형성된 분기부(21)의 내부공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방지부(50)는 가장자리면 중 일부분이 상기 분기부(21)의 내벽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나머지 부분은 분기부(21)의 내벽면에 단순 접촉되어 상기 공기출입구(21a)를 폐쇄시킴에 따라, 상기 공기충진공간(21b)에 충진된 공기가 공기출입구(21a)를 통해 다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재질 등 탄성력을 갖는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출입구(21a)가 형성된 분기부(21)를 2개의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오므릴 경우 상기 공기배출방지부(50)가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공기출입구(21a)를 개방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공기충진공간(21b)에 충진된 공기가 상기 공기출입구(21a)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출입구(21a)가 형성된 분기부(21)에서 가압력을 해제할 경우 상기 공기배출방지부(50)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시 공기출입구(21a)를 폐쇄시킴에 따라 공기충진공간(21b)에 충진된 공기가 공기출입구(21a)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1)는 상기와 같은 공기배출방지부(50)를 통해 공기출입구(21a)를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포켓부(20)의 공기충진공간(21b,22a)에 과도한 공기를 주입하였을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하여 포켓부(20)가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1)를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따뜻한 실내에 들어가는 경우 등 덥다고 느낄 정도로 체온이 상승할 경우에도 분기부(21)를 가압하여 공기배출방지부(50)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공기를 배출시킴에 따라 포켓부(20)를 통한 보온성능이 선택적으로 발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충진부(30)는 상기 포켓부(20)의 내부에 공기를 충진하는 것으로, 착용자가 파지하여 작동시키기 용이한 진원, 타원형, 원추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충진부(30)는 고무, 실리콘 등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고 일측에는 공기충진공간(21b,22a)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호스(31)가 구비된다.
즉, 상기 공기충진부(30)는 파지한 상태에서 가압할 경우 수축되면서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공지의 수은혈압계용 스포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기충진부(30)는 스포이드 이외에 휴대 및 조작이 용이한 소형 콤프레셔로 대체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기충진부(3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공기출입구(21a)에 입으로 직접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호스(31)를 공기출입구(21a)에 삽입한 다음 상기 공기충진부(30)를 파지한 후 반복적으로 손을 오므렸다 폈다 하면, 상기 분기부(21)의 충진공간에 공기를 충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호스(31)는 공기출입구(21a)에 삽입될 경우 공기배출방지부(50)를 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공기출입구(21a)가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공기충진공간(21b,22a)에 공기를 충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호스(31)를 인출할 경우 상기 공기배출방지부(50)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시 공기출입구(21a)를 폐쇄시킴에 따라 공기충진공간(21b,22a)에 충진된 공기가 공기출입구(21a)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기충진부(30)는 공지의 소형 에어콤프레셔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제1전면부(11) 상의 내피(10a)에는 공기충진공간(21b,22a)에 공기를 충진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공기충진부(30)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포켓(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포켓부(20)는 보관된 공기충진부(30)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인출 또는 수납이 용이하도록 밸크로드 테이프, 단추, 똑딱 단추, 지퍼 등의 개폐장치(70)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전달부(22)는 상기와 같이 공기출입구(21a)가 형성된 분기부(21)에 공급된 공기를 나머지 분기부(21)들에 전달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착용부(10)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빈 공간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전달부(22)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각 분기부(21)들의 개방된 부분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분기부(21)들의 공기충진공간(21b)과 연결되는 공기충진공간(2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충진부(30)를 작동시켜 공기출입구(21a)가 형성된 분기관에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공기전달부(22)의 분기홀들을 통해 나머지 분기부(21)들의 공기충진공간(21b)에 공기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분기부(21) 및 공기전달부(22)는 상기 공기충진공간(21b,22a)에 공기가 충진될 경우 팽창되고, 공기가 배출될 경우에는 수축될 수 있도록 비닐,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도 5 및 도 6은 각각 분기부(21)에 공기가 주입되기 전과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분기부(21)는 공기충진공간(21b)에 공기가 충진되어 팽창될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구획공간을 꽉 채우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분기부(21)들 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피(10a)의 통풍공(10c)을 통해 착용부(10) 내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피(10b)의 통풍공(10c)을 통해 착용부(10)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완벽한 보온 효과가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부(21)는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공기충진공간(21b)에서 공기가 배출될 경우에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수축되며, 이로 인해 상기 분기부(21) 간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상기 내피(10a)의 통풍공(10c) 및 외피(10b)의 통풍공(10c)을 통해 신속하고 원활하며 효율적인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땀, 분비물 등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1)는 공기충진공간(21b,22a)에 충진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압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60)는 그 재질이 고무줄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그 형상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분기부(21)의 외면에 장착되되, 간헐적으로 X자 형태가 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분기부(21)에 고루게 접촉되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60)는 상기 분기부(21)가 공기 충진에 의해 팽창될 경우 함께 팽창되어, 상기 분기부(2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분기부(21)의 가압을 통해 공기배출방지부(50)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공기를 배출시키면 상기 분기부(21)가 수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부(60)는 탄성복원 되면서 분기부(21)를 고루게 가압함에 따라, 공기충진공간(21b,22a)에 충진된 공기가 공기출입구(21a)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포켓부(20)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의자에 앉아 등받이에 등을 기댈 경우, 후면부(13)가 바닥과 접촉하도록 누울 경우 등에는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후면부(13) 상에 위치된 분기부(21)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가 다시 공기전달부(22) 측으로 새어나가게 되며, 이로 인해 후면부(13) 상에 위치된 분기부(21) 간에 틈새가 발생되어 보온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1)는 후면부(13) 상에 위치된 분기부(21)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1)에 밀폐부(40)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밀폐부(40)는 암밀폐부(41)와 수밀폐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암밀폐부(41)는 상기 후면부(13) 상에 위치된 공기전달부(22)의 전측 또는 후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암밀폐부(41)가 공기전달부(22)의 후측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암밀폐부(4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전달부(22)의 후측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가압판(411)과, 상기 제1가압판(411)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전달부(22)를 관통하여 공기충진공간(22a)에 수용되는 사각블록 형상의 수용부(4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412) 중 수밀폐부(42)와 마주하는 면에는 수밀폐부(42)와의 결합을 위한 사각형 형상의 수용홈(412a)이 형성된다.
상기 수밀폐부(4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전달부(22)의 전측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공기전달부(22)를 사이에 두고 제1가압판(411)과 대칭되는 제2가압판(421)과, 상기 제2가압판(421)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전달부(22)를 관통하여 공기충진공간(22a)에 수용되어 수용홈(412a)과 마주하는 사각블록 형상의 수용돌기(422)가 형성된다.
즉, 도 9(b)와 같이 공기전달부(22)의 공기충진공간(22a)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1가압판(411)과 제2가압판(421)을 각각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수용돌기(422)가 수용홈(412a)에 수용되도록 하면, 공기전달부(22)의 양측이 수용부(412)와 수용돌기(422)에 의해 밀폐되어 후면부(13) 상에 위치된 분기부(21)의 공기충진공간(21b)에 충진된 공기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해당 분기부(21)가 수축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당부분의 보온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10 : 착용부
10a : 내피 10b : 외피
10c : 통풍공 11 : 제1전면부
12 : 제2전면부 13 : 후면부
14 : 팔부 15 : 구획부
20 : 포켓부 21 : 분기부
21a : 공기출입구 21b,22a: 공기충진공간
22 : 공기전달부 30 : 공기충진부
31 : 공급호스 40 : 밀폐부
41 : 암밀폐부 411 : 제1가압판
412 : 수용부 412a : 수용홈
42 : 수밀폐부 421 : 제2가압판
422 : 수용돌기 50 : 공기배출방지부
60 : 가압부 70 : 개폐장치

Claims (7)

  1. 상체 또는 하체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공기출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기충진공간이 형성된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착용시 상체 또는 하체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착용시 상체 또는 하체 후면에 위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에는 다수개의 통풍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출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충진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부는,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공기출입구가 형성된 다수개의 분기부,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분기부를 연결하여 공급된 공기를 상기 분기부로 전달하는 공기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부 및 공기전달부는 상기 공기충진공간에 공기가 충진될 경우 팽창에 의해 통풍공을 가려 통풍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가 배출될 경우에는 수축에 의해 통풍공이 노출되도록 하여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전달부 중 상기 후면부에 위치되는 부분의 양측을 가압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공간에 충진된 공기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출입구를 폐쇄하는 공기배출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방지부는 상기 공기출입구가 형성된 분기부를 가압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공기출입구를 개방시키는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공기충진공간에 충진된 공기의 배출속도를 증가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KR1020170080968A 2017-06-27 2017-06-27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KR10186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68A KR101868582B1 (ko) 2017-06-27 2017-06-27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68A KR101868582B1 (ko) 2017-06-27 2017-06-27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582B1 true KR101868582B1 (ko) 2018-06-19

Family

ID=6279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968A KR101868582B1 (ko) 2017-06-27 2017-06-27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5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370B1 (ko) * 2020-12-08 2021-12-16 김영식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침구
KR20220044005A (ko) 2020-09-29 2022-04-06 주식회사 카이언스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와 살균 열선이 구비된 스마트 의류 및 운용방법
KR102404437B1 (ko) 2022-02-04 2022-06-02 김영식 개폐식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CN114754504A (zh) * 2022-03-07 2022-07-15 江苏科技大学 一种多功能户外防护服操控系统及其操控方法
WO2023286939A1 (ko) * 2021-07-16 2023-01-19 김태영 냉난방 의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030Y1 (ko) * 2004-06-24 2004-09-16 협우물산 주식회사 방제복
KR100735132B1 (ko) * 2006-01-24 2007-07-03 김선호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방한복
JP3162628U (ja) * 2010-06-29 2010-09-09 東洋物産株式会社 空気入り衣服
KR200454066Y1 (ko) 2011-01-03 2011-06-15 (주) 민성정밀 통기공을 갖는 에어자켓
KR20160142046A (ko) * 2015-06-02 2016-1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능성 의류의 자동 공기 순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030Y1 (ko) * 2004-06-24 2004-09-16 협우물산 주식회사 방제복
KR100735132B1 (ko) * 2006-01-24 2007-07-03 김선호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방한복
JP3162628U (ja) * 2010-06-29 2010-09-09 東洋物産株式会社 空気入り衣服
KR200454066Y1 (ko) 2011-01-03 2011-06-15 (주) 민성정밀 통기공을 갖는 에어자켓
KR20160142046A (ko) * 2015-06-02 2016-1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능성 의류의 자동 공기 순환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005A (ko) 2020-09-29 2022-04-06 주식회사 카이언스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와 살균 열선이 구비된 스마트 의류 및 운용방법
KR102340370B1 (ko) * 2020-12-08 2021-12-16 김영식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침구
WO2023286939A1 (ko) * 2021-07-16 2023-01-19 김태영 냉난방 의류
KR102404437B1 (ko) 2022-02-04 2022-06-02 김영식 개폐식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WO2023149601A1 (ko) * 2022-02-04 2023-08-10 김영식 개폐식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CN114754504A (zh) * 2022-03-07 2022-07-15 江苏科技大学 一种多功能户外防护服操控系统及其操控方法
CN114754504B (zh) * 2022-03-07 2023-07-25 江苏科技大学 一种多功能户外防护服操控系统及其操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582B1 (ko) 체감온도 조절이 가능한 의류
US3706102A (en) Ventilated garments
KR100826093B1 (ko) 입체 공기순환 방수 다운 점퍼
US20180352895A1 (en) Three-Dimensional Sock-Shoe
WO2015139649A1 (zh) 充气装备及其制造方法
CA2650434A1 (en) Glove with inflatable air chamber
CN107019260B (zh) 一种具有吸汗、排汗功能的衣服
CN212545616U (zh) 一种新型防寒服
CN212088155U (zh) 一种棉服
CN214179200U (zh) 一种防风抗寒棉服
CN109907428A (zh) 一种鞋面
CN210642733U (zh) 一种保暖透气型拖鞋
CN207492095U (zh) 一种可吸湿排汗的内裤
CN213939774U (zh) 一种可控温型棉服
CN211483042U (zh) 一种超长保暖棉衣
CN113100513A (zh) 运动紧身裤
CN216315789U (zh) 一种具有透气速干功能的校服
CN211747289U (zh) 一种酒店用环保拖鞋
CN213404890U (zh) 一种带透气孔的服装
CN215381717U (zh) 一种保温面料
CN217592068U (zh) 一种防风保暖的带帽防寒服
CN209749955U (zh) 一种透气雨鞋
CN210642583U (zh) 户外上衣
CN218682134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羽绒服
CN214127068U (zh) 新型的女士运动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