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356B1 -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 - Google Patents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356B1
KR101868356B1 KR1020170026606A KR20170026606A KR101868356B1 KR 101868356 B1 KR101868356 B1 KR 101868356B1 KR 1020170026606 A KR1020170026606 A KR 1020170026606A KR 20170026606 A KR20170026606 A KR 20170026606A KR 101868356 B1 KR101868356 B1 KR 101868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coupling hole
coupling
extended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수
Original Assignee
(주)큰산인디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큰산인디컴 filed Critical (주)큰산인디컴
Priority to KR102017002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빔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확장고정브래킷을 확장시켜 지지빔부와 확장고정브래킷을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을 개시한다. 개시된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은

Description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KNOCKDOWN FRAM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빔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확장고정브래킷을 확장시켜 지지빔부와 확장고정브래킷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의자에 앉아서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는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테이블은 상판과 다리를 더욱 안정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은 상판, 다리, 지지프레임이 안정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체결구조가 적용되며, 지지프레임이 가로빔과 세로빔 및 연결브래킷으로 이루어지고, 가로빔과 세로빔이 연결브래킷에 볼트나 스크루 고정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테이블은 가로빔과 세로빔이 스크루를 통해 연결브래킷에 고정되므로, 체결구조가 취약하여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09503호(등록일:2003년03월24일)에는 "식탁다리 조인트"가 개시되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93614호(등록일:2002년10월17일)에는 "식탁"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지지빔부와 결합되는 확장고정브래킷이 체결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확장되면서 지지빔부에 밀착고정시켜 지지빔부와 확장고정브래킷을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은, 결합홀부를 구비하는 지지빔부와,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홈부로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확장되면서 상기 결합홀부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확장고정브래킷과, 상기 확장고정브래킷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빔부와 다른 지지빔부와 조립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빔부는,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는 상기 확장고정브래킷이 분할되어 삽입되도록 분할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빔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분할판을 통해 체결되면 상기 확장고정브래킷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고정브래킷은,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삽입지지돌부와, 상기 삽입지지돌부를 분할하며,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확장되는 확장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홈부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원활한 삽입을 위한 가이드홈부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지지빔부와 결합되는 확장고정브래킷이 체결부재에 결합됨과 동시에 확장되면서 지지빔부의 결합홀부에 밀착고정되므로, 지지빔부와 확장고정브래킷을 2중 결합구조로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을 도시한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연결부와 다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연결부와 다리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을 도시한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연결부와 다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연결부와 다리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100)은,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빔부(110)와, 지지빔부(110)를 고정하기 위한 빔연결부(120)와, 빔연결부(120)에 결합되는 다리부(130)를 포함한다.
지지빔부(110)는 빔연결부(120)의 일측에 조립되는 제1빔부재(111)와, 제1빔부재(111)와 수직을 이루도록 빔연결부(120)의 타측에 조립되는 제2빔부재(113)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빔부(110)는 빔연결부(120)가 삽입되도록 제1빔부재(111) 및 제2빔부재(113)에 결합홀부(115)가 각각 형성된다.
결합홀부(115)는 빔연결부(120)가 삽입될 때 분할되어 삽입되도록 내부에 분할판(117)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홀부(115)는 분할판(117)에 의해 제1결합홀(115a)과 제2결합홀(115b)로 구획된다.
제1빔부재(111) 및 제2빔부재(113)는 체결부재(101)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홀부(119)가 각각 형성된다. 체결홀부(119)는 제1빔부재(111) 및 제2빔부재(113)와 빔연결부(120)의 결합된 상태가 더욱 안정돠게 고정되도록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체결홀부(119)는 지지빔부(110)에 안정되게 체결되도록 분할판(117)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체결홀부(119)를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재(101)는 분할판(117)에 체결됨에 따라 그 외면이 결합홀부(115)로 노출되면서 빔연결부(120)에 접촉하게 된다.
빔연결부(120)는 지지빔부(110) 및 다리부(130)와 조립되며, 체결부재(101)의 체결을 통해 지지빔부(110) 및 다리부(130)와 결합된다. 이때, 빔연결부(120)는 지지빔부(110) 및 다리부(130)와 더욱 안정되고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빔연결부(120)는 지지빔부(110)와 다리부(130)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121)와, 지지빔부(110)의 결합을 위한 확장고정브래킷(123)과, 다리부(130)의 결합을 위한 다리고정브래킷(129)을 포함한다.
확장고정브래킷(123)은 결합홀부(115)에 삽입되며, 체결홀부(119)를 통해 결합홀부(115)로 결합되는 체결부재(101)에 의해 확장되면서 지지빔부(110)에 긴밀하고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확장고정브래킷(123)은 결합홀부(115)에 삽입되도록 본체(121)에서 연장 형성되는 삽입지지돌부(125)와, 삽입지지돌부(125)를 분할하며 체결부재(101)가 체결됨에 따라 확장되는 확장홈부(127)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확장고정브래킷(123)은 체결부재(101)가 확장홈부(127)로 삽입되면 삽입지지돌부(125)가 벌어지면서 결합홀부(115)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하게 된다.
삽입지지돌부(125)는 확장홈부(127)에 의해 제1결합홀(115a)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125a)와, 제2결합홀(115b)에 삽입되는 제2지지부재(125b)로 구획된다. 이러한 삽입지지돌부(125)는 제1지지부재(125a)와 제2지지부재(125b)가 확장홈부(127)로 결합되는 체결부재(101)에 의해 상호 이격되면서 결합홀부(115)의 내면에 긴밀하게 접촉되어 지지된다.
확장홈부(127)는 체결홀부(119)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01) 예를 들어 스크루가 내부로 결합됨에 따라 확장하게 된다. 이때, 확장홈부(127)에는 체결부재(101)인 스크루가 원활하고 안정되게 결합되면서 삽입되도록 가이드홈부(127a)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부(127a)는 체결홀부(119)와 정렬되도록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다리고정브래킷(129)은 다리부(130)의 조립홀부(131)에 삽입되며, 본체(121)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재(101)에 의해 확장되면서 조립홀부(131)에 밀착고정된다. 이러한 다리고정브래킷(129)은 체결부재(101)의 결합을 통해 확장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확장슬롯(129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확장슬롯(129a)을 통해 체결부재(101)가 결합된다.
확장슬롯(129a)에는 체결부재(101)의 결합을 위한 조립홈부(129b)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121)에는 체결부재(101)의 결합을 위한 볼트결합구멍(121a)이 조립홈부(129b)와 연통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빔연결부(120)의 다리고정브래킷(129)을 다리부(130)의 조립홀부(131)에 삽입한 후, 본체(121)의 볼트결합구멍(121a)을 통해 체결부재(101)인 스크루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그러면, 체결부재(101)가 확장슬롯(129a)으로 조립홈부(129b)로 삽입됨에 따라 확장슬롯(129a)이 확장되고 이를 통해 다리고정브래킷(129)이 이격되면서 다리부(130)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하게 된다.
이처럼, 빔연결부(120)와 다리부(130)의 조립이 완료되면, 빔연결부(120)의 확장고정브래킷(123)에 지지빔부(110)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확장고정브래킷(123)을 지지빔부(110)의 결합홀부(115)로 삽입하면 제1결합홀(115a) 및 제2결합홀(115b)로 제1지지부재(125a) 및 제2지지부재(125b)가 각각 삽입됨과 동시에 확장홈부(127)로 분할판(117)이 삽입되면서 확장고정브래킷(123)이 체결홀부(119)로 삽입된다.
그리고 확장고정브래킷(123)을 결합홀부(115)에 완전하게 삽입하면 체결홀부(119)와 가이드홈부(127a)가 정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부재(101)를 체결홀부(119)로 결합하면 분할판(117)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101)가 가이드홈부(127a)로 결합됨에 따라 확장홈부(127)가 넓어지면서 확장고정브래킷(123)을 확장시킨다. 또한 확장고정브래킷(123)이 확장되면서 제1지지부재(125a) 및 제2지지부재(125b)가 결합홀부(115)의 내면에 긴밀하게 접촉하게 된다.
특히, 확장고정브래킷(123)과 지지빔부(110)를 결합할 때 확장고정브래킷(123)과 지지빔부(110)가 체결부재(101)를 통해 고정됨은 물론 확장고정브래킷(123)이 확장되면서 결합홀부(115)에 밀착된다. 즉, 확장고정브래킷(123)과 지지빔부(110)가 2중 결합구조로 결합되므로,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 110 : 지지빔부
111 : 제1빔부재 113 : 제2빔부재
115 : 결합홀부 117 : 분할판
120 : 빔연결부 121 : 본체
123 : 확장고정브래킷 125 : 삽입지지돌부
127 : 확장홈부 129 : 다리고정브래킷
130 : 다리부

Claims (4)

  1. 결합홀부를 구비하는 지지빔부;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홀부로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확장되면서 상기 결합홀부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확장고정브래킷; 및
    상기 확장고정브래킷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빔부와 다른 지지빔부와 조립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빔부는,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는 상기 확장고정브래킷이 분할되어 삽입되도록 분할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분할판을 통해 체결되면서 상기 확장고정브래킷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고정브래킷은,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삽입지지돌부; 및
    상기 삽입지지돌부를 분할하며,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확장되는 확장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홈부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원활한 삽입을 위한 가이드홈부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
KR1020170026606A 2017-02-28 2017-02-28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 KR101868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06A KR101868356B1 (ko) 2017-02-28 2017-02-28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06A KR101868356B1 (ko) 2017-02-28 2017-02-28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356B1 true KR101868356B1 (ko) 2018-06-18

Family

ID=6276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606A KR101868356B1 (ko) 2017-02-28 2017-02-28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3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2826A1 (fr) * 1990-01-15 1991-08-21 Merlin Gerin Armoire pour appareillage électrique à ossature assemblée par des tripo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2826A1 (fr) * 1990-01-15 1991-08-21 Merlin Gerin Armoire pour appareillage électrique à ossature assemblée par des tripod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7604B2 (en) Connector for modular rack assembly
GB2450947A (en) Modular shelf system
US3944308A (en) Frame for supporting articles
KR101868356B1 (ko) 가구용 조립식 프레임
KR20200062017A (ko) 조립식 가구
KR20180087650A (ko) 가구용 골격 조립구조
KR20170053961A (ko) 제작이 용이한 조립식 가구용 브라켓,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976667B1 (ko) 조립식 가구용 프레임 연결장치
US20200362898A1 (en) Frame structure for a piece of furniture
US6848368B2 (en) Stand device
KR20190000913U (ko) 조립식 책상프레임
KR100789193B1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JP6163764B2 (ja) テーブルの配線ダクト装置
KR101714865B1 (ko) 책상
KR101229561B1 (ko) 책상
KR20220070174A (ko) 플레이트 결합구조
KR20210063778A (ko)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200396163Y1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CN210184930U (zh) 一种组合会议台
KR200374430Y1 (ko) 조립식 서랍
KR20110011344U (ko) 책상용 발 받침대
JP5917585B2 (ja) 収納ユニット
CN217309484U (zh) 便于组装和运输的桌架
CN210408001U (zh) 一种脚架组件及使用该脚架组件的衣帽架
CN211130088U (zh) 一种可拆装的桌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