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284B1 - Functional sub-insole for fitting foot - Google Patents

Functional sub-insole for fitting fo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284B1
KR101868284B1 KR1020170084981A KR20170084981A KR101868284B1 KR 101868284 B1 KR101868284 B1 KR 101868284B1 KR 1020170084981 A KR1020170084981 A KR 1020170084981A KR 20170084981 A KR20170084981 A KR 20170084981A KR 101868284 B1 KR101868284 B1 KR 101868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insole
thickness
presen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성민
Original Assignee
진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민 filed Critical 진성민
Priority to KR102017008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2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2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8Arrangements for attaching removable insoles to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4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between upper and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functional subsidiary-insole capable of being customized to a foot of a user, which is improved from a conventional insole structure capable of only length adjustment, considering foot′s width and height, and thus optimally fits a user′s foo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subsidiary-insole capable of being customized to a foot of a user which can increase resting properties and enhance wearing s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bsidiary-insole, placed as a subsidiary means in a shoe, comprises: a bottom sole unit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ed lines formed on the front end portion; a foot width/height adjusting unit in the shape of a sectional arc or reverse ′U′ which is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ole unit, has a pair of ventilation holes, and has a plurality of perforated line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a thickness adjusting means which is arranged on the foot width/height adjusting unit and adjusts the thickness of the foot width/height adjusting unit. The foot width/height adjusting unit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has both end portions fixated to a foot width side of the bottom sole unit, and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front side.

Description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FUNCTIONAL SUB-INSOLE FOR FITTING FOOT}{FUNCTIONAL SUB-INSOLE FOR FITTING FOOT}

본 발명은 신발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보조 깔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길이 조절만 가능한 단순한 깔창 구조에서 벗어나, 길이 조절뿐만 아니라 발볼과 발등의 높이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에 최적으로 맞는 보조 깔창을 제공함으로써 안착성과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lementary insole used as an auxiliary to shoe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apable of adjusting a length of a football and a foot as well as adjusting a length of an insole structure, To a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capable of providing a fitable fit and an increased fit, by providing an optimal fit of the sockliner.

사람이 걷게 되면서 발달되어 온 신발은 초기에 발을 다치지 않도록 단순히 보호하는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나, 생활 수준의 향상과 함께 각종 새로운 소재가 개발되면서 비약적으로 발전되어 오늘날에는 보행용, 산악용, 신체 교정용, 특정 운동용 등 다양한 활동에 각각 적합하도록 각종 용도의 신발들이 만들어지고 있다.Although shoes that have been developed as a result of human walking have only played a role of protecting them from hurting their feet in the beginning, they have been rapidly developed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and various new materials. Today, they are used for walking, , And specific sports, and so on.

신발은, 신고 벗을 수 있는 상부의 일정 부위를 제외하고 발을 감싸게 되는 바, 그 내부 공간이 밀폐된 형태를 취하며, 발에 맞도록 그 크기가 고정되므로, 사람이 성장함에 따라 발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신발을 바꿔 주어야만 한다.The shoe is wrapped around the foot except for a certain part of the upper part where the shoe can be taken off. The space inside the shoe is sealed, and the size of the shoe is fixed to fit the foot. If you lose, you have to change your shoes.

즉, 일반적인 신발은 특정한 길이의 최소 사이즈에서부터 5∼10mm 정도씩 그 길이를 늘려 연속적이 아닌 단계적으로 신발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다.That is, a general shoe is manufactured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shoe from a minimum size of a certain length to a length of about 5 to 10 mm,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shoe in stages rather than continuously.

이와 같이 신발의 사이즈가 연속되지 못하고 일정 간격씩 제조되기 때문에 발에 딱 맞는 신발을 고르기가 어려우며, 특히 여름과 겨울철에는 발에 신는 양말의 두께에 차이가 나는 바, 여름철을 기준으로 발에 맞는 신발을 선택하는 경우, 겨울철에는 다소 작게 느껴질 수 있고, 겨울철을 기준으로 신발을 선택하게 되면 여름철에는 다소 크게 느껴지게 될 수가 있다.Since the size of the shoe is not continuous and the shoes are manufactured at regular intervals, it is difficult to select the shoes that are suitable for the feet. In particular, in summer and winter, the thickness of the socks to be worn on the feet is different. It may feel somewhat small in winter, and if you choose shoes based on winter season, it may feel somewhat bigger in summer.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이면서 키높이 효과도 부여할 수 있는 신발 깔창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Accordingly, a lot of shoe insole has been proposed, which is a part of solving such a problem and can give a height effect.

일반적으로 신발 깔창은 신발의 내부에 끼워 넣고 사용하는 발 보호용 물품으로, 이러한 신발 깔창은 발을 편안하게 하여 신발을 신고 장시간 보행을 하거나 업무를 보더라도 발이 편안하게 유지되게 하고, 걷거나 뛰기에 편하게 하기 위해 착용하는 신발의 보조용품이다.In general, the shoe insole is a padded item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hoe. These shoe insole are designed to comfort the feet and allow them to walk for a long time or to keep their feet comfortable while walking. It is an auxiliary item of shoes to wear.

최근 들어서는 각종 기능을 추가하여 편안하게 신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다양한 신발 깔창들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 variety of shoe insole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comfortable wear by adding various functions and also to help health.

일반적으로 신발 깔창의 크기가 착용자의 발 치수와 무관하게 일률적인 크기 제공됨에 따라 깔창을 별도 구매시 사용자의 신발에 잘 맞지 않는 불편함이 있어, 최근 일부에서는 착용자의 발 치수에 알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발 치수선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신발 깔창이 제안되어 있다.In general, since the size of the shoe insole is uniformly provid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wearer's foot, there is inconvenience that the insole is not fit to the user's shoe when the shoe is purchased separately. In recent years, A shoe insole in which foot dimension lin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종래의 신발 깔창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게 발 취수선을 따라 절취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단순히 길이만을 고려하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hoe insole is cut and used along the footwear according to the foot size of the user, and there is a limit to consider only the length.

다시 말해서, 종래의 길이조절 가능한 보조 깔창은 동일 치수더라도 발 등의 높이 등이 달라 보조 깔창을 사용하더라도 안정된 착용감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length adjustable auxiliary insole has a problem in that even if the same size is used, the height of the feet and the like are different, so that even if the auxiliary insole is used, a stable fit can not be obtained.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740호(2004.01.07. 공고)(Document 1) Utility Model No. 20-0337740 registered in the Republic of Korea (Announced on July 1, 2004)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9711호(2015.04.07. 공고)(Document 2)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09711 (issued on April 4, 2015) (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0897호(2006.11.13. 공고)(Document 3) Utility Model New Publication No. 20-0430897 (published on Nov. 13, 2006)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에 길이 조절만 가능한 단순한 깔창 구조에서 벗어나, 길이 조절뿐만 아니라 발볼의 폭과 발등의 높이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에 최적으로 맞는 보조 깔창을 제공함으로써 안착성과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oo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which can provide a fitable and comfortable fit by providing a proper auxiliary sockliner.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신발 내부에 보조적으로 착용되는 보조 깔장에 있어서, 전방 단부에 복수의 절취 라인이 형성되는 바닥 깔창부; 소정 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신발의 길이방향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단면 형태가 호 형태 또는 역 "U"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상기 바닥 깔창부의 전방 측에 고정되는 발볼/발등 조절부; 및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에 형성되어 발볼/발등 조절부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는 전방부에 복수의 절취 라인이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양 가장자리가 각각 상기 바닥 깔창부의 발볼 측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xiliary grove supplementarily worn inside a shoe, comprising: a bottom insol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ut lines formed at a front end thereof; A pawl / toe control part which is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cross-section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has an arc shape or an inverted " U " shape and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insole part; And a thickness adjusting means formed on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wherein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comprises a plurality of cut lines formed at a front portion thereof, And wherein each of the edges is fixed to the bottom side of the bottom insole, respectivel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 수단은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의 후방단의 두께 면에 형성되는 소정 깊이의 슬롯(slot), 및 상기 슬롯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두께 조절편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 깔창부(100)의 뒷꿈치 말단에서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측부에 복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되는 뒤꿈치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includes a slot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on the thickness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and at least one thickness adjusting piece inserted into the slot, The heel seat 100 may further include a heel seat portion protruding upwar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heel end of the unit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cut-out lines formed on an upper side thereof.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 수단은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의 측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고 형성되는 벨로우즈부(bellows portion) 또는 신축가능한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may further comprise a bellows portion or a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ide of the ball foot / foot control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width in a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부 또는 신축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수렴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lows portion or th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is formed so as to converg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안착부는 하단부에서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el seat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ly from the lower end portion toward the upper end portion to a predetermined degree.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에 의하면, 길이 조절뿐만 아니라 발볼의 폭과 발등의 높이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에 최적으로 맞는 보조 깔창을 제공함으로써 안착성과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not only the length but also the height of the football and the foot of the football so as to provide an auxiliary sockliner that best suits the user's foo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단순히 길이조절의 보조 깔창과 차별화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the conventional sockliner from the conventional sockliner, which is effective in securing product competitivenes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을 구성하는 두께 조절수단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부는 도 1의 "A"부의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을 구성하는 발볼/발등 조절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fitabl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constituting the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capable of fi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A" of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volleyball / football control unit constituting a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that can be fol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Fur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 unit, " " module, "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Software. ≪ / RTI >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을 구성하는 두께 조절수단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부는 도 1의 "A"부의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을 구성하는 발볼/발등 조절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mbodiment of a thickness adjusting means constituting the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wl / toe control section constituting a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that can be fol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 내부에 착용되는 보조 깔장에 있어서, 전방 단부에 복수의 절취 라인(110)이 형성되는 바닥 깔창부(100); 상기 바닥 깔창부(100)의 전방부에 구비되며, 전방 단부에 복수의 절취 라인(210)이 형성되는 발볼/발등 조절부(200); 및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200)에 형성되어 발볼/발등 조절부(200)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1 to 3, the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insole (not shown) having a plurality of cut lines 110 formed at a front end thereof, 100); A pawl / toe control part 200 provided at a front part of the bottom insole part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cutout lines 210 formed at a front end thereof; And a thickness adjusting means formed on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200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200.

상기 바닥 깔창부(100)는 발바닥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전체적인 길이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데,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신발 사이즈의 최대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insole 1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ole, and has an overall length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maximum size of shoe size sold on the market.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20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양단부가 각각 바닥 깔창부(100)의 발볼 측에 고정되고, 전방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 호 형태 또는 역 "U"자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200)는 소정 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바닥 깔창부(또는 신발)의 길이방향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단면 형태가 호 형태 또는 역 "U"자 형태를 가지며, 양 가장자리부가 각각 바닥 깔창부(100)의 발볼 측에 고정되고, 전방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The ball / foot controller 20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both end portions are fixed to the football side of the bottom insole 100 and are formed in a cross-sectional arc shape or a reverse " U " In other words,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200 is formed in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insole (or the shoe) has an arc shape or an inverted U shape And both side edge portions are fixed to the ball side of the bottom insole portion 100, respectively, and become narrower toward the front side.

여기에서,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200)에는 내외로 통기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기공(220)이 형성된다.Here,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220 are formed in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200 so as to be ventilated in and out.

상기 두께 조절 수단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200)의 후방단의 두께 면에 형성되는 소정 깊이의 슬롯(slot)(310), 및 상기 슬롯(310)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두께 조절편(320)을 포함한다.2, 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includes a slot 3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on the thickness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pawl / foot controller 200, and a slot 310 inserted into the slot 310, And the thickness adjusting piece 320.

상기 두께 조절편(320)은 상하면이 소정 곡면을 갖는 반달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두께 조절편(320)은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비해도 무방하지만, 절취 라인을 따라 절취된 절취물을 이용하여 두께 조절편(320)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The thickness adjusting piece 320 has a half-moo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ed upper and lower surfaces. Here, the thickness adjusting piece 32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but it may be used as the thickness adjusting piece 320 by using the cut material cut along the cut line.

또한, 상기 두께 조절 수단은 발볼/발등 조절부(200)의 측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고 형성되는 벨로우즈부(bellows portion)(330) 또는 신축부(예를 들면, 신축가능하게 재직되어 이루어지는 신축 재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200)는 양측부의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벨로우즈부(330)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bellows portion 33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ide portion of the pawl / And a new and retracted employment section that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employees. In other words,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200 may have a bellows part 330 which is vertically stretchable on one or both sides of both sides.

상기 벨로우즈부(3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단에서 전방 단으로 갈수록 수렴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람의 발볼의 폭과 발 등의 높이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형되어 안착감을 더욱 부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ellows part 330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converge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end. It can be activ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ball and the height of the feet of a person, thereby giving more sense of seating.

이러한 벨로우즈부(330) 또는 신축 재직부는 발볼/발등 조절부(200)의 세로 방향의 일부분에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앞서 설명한 벨로우즈부(330)나 신축 재직부는 절취 라인(210)에 따른 절취 전 또는 절취 이후라도, 발의 약간의 성장이나 발의 상태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다소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발등 높이에 대한 능동적 조절이 가능하며,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벨로우즈부나 신축 재직부는 발볼의 폭에 대한 능동적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The bellows portion 330 or the retractable portion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wl / In other words, even if the bellows portion 330 or the retractable portion described above is somewhat different due to slight growth of the foot, foot state, or environmental factors even after cutting or cutting along the cut line 210, The bellows part and the stretching part which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actively adjust the width of the ball.

여기에서, 상기 벨로우즈부(330)는 신축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신축 재직부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신축 재직부로 대체되는 경우, 벨로우즈부의 첨단으로 인한 착용감의 저하를 보다 완화시킬 수가 있다.Here, the bellows portion 330 may be replaced with a retractable portion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When the bellows portion is replaced with such a retractable por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deterioration of the wearing feeling due to the tip of the bellows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깔창부(100)의 뒷꿈치 말단에서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측부에 복수의 절취라인(410)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뒤꿈치 안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the heel end of the bottom insole 100, and a plurality of cutout lines 410 And a heel seat 400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여기에서, 상기 뒤꿈치 안착부(400)는 하단부에서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신체의 발 구조상 뒤꿈치 부분에 꼭 맞는 안착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el seat 400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ly from the lower end portion toward the upper end portion by a predetermined degree. This allows the foot structure of the body to give a secure fit to the heel.

또한, 상기 뒤꿈치 안착부(400)의 절취 라인(410)은 양 가장자리에서 종방향으로도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 line 410 of the heel seat 400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dge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은 사용자의 발 길이에 맞게 바닥 깔창부(100)의 절취 라인(110)을 따라 길이 조정한 후, 뒤꿈치 안착부(400)에 뒤꿈치를 안착시킨 후, 발볼의 폭과 발등의 높이를 고려하여 발볼/발등 조절부(200)의 해당 절취라인(210)을 선택하여 절취하게 된다.In this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is adjusted along the cut-off line 110 of the bottom insole 100 according to the user's foot length, the heel is seated on the heel seat 400 The cut-off line 210 of the ball-foot / foot-ball control unit 200 is selected and cut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ball and the height of the foot.

또한, 사용자는 보조 깔창에 발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뒤꿈치를 고려하여 높이를 선택하여 뒤꿈치 안착부(400)의 절취 라인(410)을 절취하여 뒤꿈치 안착부(400)의 최종 높이를 적절하게 선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the height by considering the user's heel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puts the foot on the auxiliary insole, cut the cut line 410 of the heel seating part 400 and appropriately adjust the final height of the heel seating part 400 .

한편, 본 발명의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은 변형 예로서 발볼/발등 조절부(200)는 중앙부 측 또는 어느 측부에서 분할된 2분할 구조로 이루어지며, 분할 단부에는 각각 벨크로 부재 등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footrest / footstool regulating part 200, which has a two-part structure divided at a center side or a side part thereof, As shown in FI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에 의하면, 길이 조절뿐만 아니라 발볼의 폭과 발등의 높이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에 최적으로 맞는 보조 깔창을 제공함으로써 안착성과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기존 단순히 길이조절의 보조 깔창과 차별화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auxiliary sockl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djust not only the length but also the height of the football and the foot of the football so as to provide an auxiliary sockliner that best fits the foot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eeling of fit and to differentiate it from the conventional sockliner which is merely a length adjuster, and thu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for purposes of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바닥 깔창부
110: 바닥 깔창부의 절취 라인
200: 발볼/발등 조절부
210: 발볼/발등 조절부의 절취 라인
220: 통기공
310: 슬롯(slot)
320: 두께 조절편
330: 벨로우즈부(또는 신축부)
400: 뒤꿈치 안착부
410: 뒤꿈치 안착부의 절취 라인
100: bottom insole
110: Cutting line of bottom insole
200: volleyball /
210: Cutting line of the volleyball /
220: Ventilation holes
310: slot
320: Thickness adjustment piece
330: bellows part (or stretching part)
400: heel seat portion
410: Cutting line of the heel seat part

Claims (5)

신발 내부에 보조적으로 착용되는 보조 깔장에 있어서,
소정 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신발의 길이방향으로부터 바라볼 때의 단면 형태가 호 형태 또는 역 "U"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바닥 깔창부의 전방 측에 고정되는 발볼/발등 조절부; 및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에 형성되어 발볼/발등 조절부의 두께를 조절하는 두께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는 전방부에 복수의 절취 라인이 형성되고,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양 가장자리가 각각 상기 바닥 깔창부의 발볼 측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
In an auxiliary grove supplementarily worn inside the shoe,
A pawl / toe control part which is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cross-section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has an arc shape or an inverted " U " shape and is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insole part; And
And a thickness adjusting means formed on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The football / toe-ball contro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ut-out lines formed at a front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ormed therein, and a pair of edge portions each of which is fixed to a football side of the bottom insole portion
Functional secondary insole with foot adjus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 수단은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의 후방단의 두께 면에 형성되는 소정 깊이의 슬롯(slot), 및 상기 슬롯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두께 조절편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 깔창부(100)의 뒷꿈치 말단에서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측부에 복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되는 뒤꿈치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includes a slot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med on a thickness surface of a rear end of the ball foot / foot controller, and at least one thickness adjusting piece inserted into the slot,
Further comprising a heel seat portion projecting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a heel end of the bottom insole portion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cut-out lines formed on an upper side portion thereof
Functional secondary insole with foot adjust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절 수단은 상기 발볼/발등 조절부의 측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고 형성되는 벨로우즈부(bellows portion) 또는 신축가능한 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hickness adjust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bellows portion or a stretchable stretchabl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oot /
Functional secondary insole with foot adjustab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부 또는 신축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수렴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
The method of claim 3,
The bellows portion or the stretching portion
And is formed so as to converg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Functional secondary insole with foot adjust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안착부는 하단부에서 상단부 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소정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맞춤이 가능한 기능성 보조 깔창.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heel seat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ly from the lower end portion toward the upper end portion by a predetermined degree
Functional secondary insole with foot adjustable.
KR1020170084981A 2017-07-04 2017-07-04 Functional sub-insole for fitting foot KR1018682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81A KR101868284B1 (en) 2017-07-04 2017-07-04 Functional sub-insole for fitting fo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81A KR101868284B1 (en) 2017-07-04 2017-07-04 Functional sub-insole for fitting fo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284B1 true KR101868284B1 (en) 2018-07-17

Family

ID=6304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981A KR101868284B1 (en) 2017-07-04 2017-07-04 Functional sub-insole for fitting fo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284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066B2 (en) * 1985-07-12 1994-10-26 コニカ株式会社 Photographic material
US6138385A (en) * 1995-03-09 2000-10-31 Puma Aktiengellschaft Rudolf Dassler Sport Shoe sole, and shoe with such a sole
KR200337740Y1 (en) 2003-10-02 2004-01-07 영진실업(주) An inner sole with stimulating block
KR200430897Y1 (en) 2006-08-11 2006-11-13 주식회사 신경 The insole of being adjustable in length
KR200435452Y1 (en) * 2006-09-11 2007-01-24 윤서봉 Foot Shoe Function
KR101075789B1 (en) * 2011-01-06 2011-10-21 (주)지원에프알에스 Foot width adjustable sole set for shoes
KR101509711B1 (en) 2013-08-21 2015-04-07 김관식 The insole of being adjustable in length
JP6085066B2 (en) * 2014-03-31 2017-02-22 株式会社アシックス Shoe upp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066B2 (en) * 1985-07-12 1994-10-26 コニカ株式会社 Photographic material
US6138385A (en) * 1995-03-09 2000-10-31 Puma Aktiengellschaft Rudolf Dassler Sport Shoe sole, and shoe with such a sole
KR200337740Y1 (en) 2003-10-02 2004-01-07 영진실업(주) An inner sole with stimulating block
KR200430897Y1 (en) 2006-08-11 2006-11-13 주식회사 신경 The insole of being adjustable in length
KR200435452Y1 (en) * 2006-09-11 2007-01-24 윤서봉 Foot Shoe Function
KR101075789B1 (en) * 2011-01-06 2011-10-21 (주)지원에프알에스 Foot width adjustable sole set for shoes
KR101509711B1 (en) 2013-08-21 2015-04-07 김관식 The insole of being adjustable in length
JP6085066B2 (en) * 2014-03-31 2017-02-22 株式会社アシックス Shoe up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6794B2 (en) Insole support system
US8266825B2 (en) Shoe sole element
US8959798B2 (en) Shoe sole element
CA2534381C (en) Footwear and insole therefor
US10264847B2 (en) Footwear with metatarsal offloading
CA2998035A1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KR20180004178A (en) Outlined Shoe Insole
TW201715979A (en) Sandal with cushioning and contoured suppor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90208860A1 (en) Footwear with Metatarsal Offloading
KR20130126877A (en) Functional shoes insoles
US20160143393A1 (en) Orthotic insole for a woman's shoe
KR102140044B1 (en) Calibration area customized foot orthotics
JP5187918B2 (en) Foot pain relief / reduction / trouble solving shoes and insoles
KR102221319B1 (en) Ergonomic shoe insole
US20160286895A1 (en) Footwear
KR101868284B1 (en) Functional sub-insole for fitting foot
US201402597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varying insole camber
US20150121722A1 (en) Insole for footwear
ES2690387T3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otwear
US9974355B2 (en) Padded foot support with a ball of foot depression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20160050595A (en) Shoes insole
KR200384325Y1 (en) Insole for remedy of feet
KR200384323Y1 (en) Insole for remedy of feet
KR200462939Y1 (en) Outsole of shoes with adjustable ball width of the fo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