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630B1 -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630B1
KR101865630B1 KR1020160104267A KR20160104267A KR101865630B1 KR 101865630 B1 KR101865630 B1 KR 101865630B1 KR 1020160104267 A KR1020160104267 A KR 1020160104267A KR 20160104267 A KR20160104267 A KR 20160104267A KR 101865630 B1 KR101865630 B1 KR 101865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chant
payment
information
wireless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940A (ko
Inventor
최희식
홍성훈
고재형
나주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노스
Priority to KR102016010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6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2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n audio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을 통해 특정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 시, 상기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근거리로 제공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대한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가맹점단말에 구비된 가맹점식별정보를 상기 가맹점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절차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의 지정된 가맹점 측 매체를 통해 근거리로 제공된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에 방문한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대한 자기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하는 절차 중 중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가맹점단말로부터 결제금액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 과정을 통해 수신된 정보나 상기 수신된 정보와 매칭되어 사전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상의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결제 요청하는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과 실시간 연동하지 않는 비점유 상태에서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과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원결제를 자동 식별하여 결제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여 저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에 대한 상기 가맹점단말의 점유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와 매칭되는 원결제를 처리하지 않고 대신결제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할 결제 대상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자동 식별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저장시킴으로써 상기 가맹점단말의 비점유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처리할 원결제를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 처리하도록 요청하고,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대신결제가 가맹점단말의 비점유 상태에서 승인되는지 확인하고,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대신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의 원결제를 요청한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맹점단말로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에 대한 결제완료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결제는,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개입시켜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하거나 또는 결제금액을 등록받아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중에 상기 가맹점단말과 선택적으로 연동하고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가 생성된 이후에 가맹점단말을 비점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되는 결제를 포함하고, 상기 대신결제는, 결제자가 가맹점에 방문하지 않고도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단말을 비점유하여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되는 결제를 포함하며, 상기 가맹점단말은, 상기 점유 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나 상기 결제완료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다른 결제를 처리 가능하다.

Description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Nonoccupational Substitute Settlement}
본 발명은 지정된 앱을 설치한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을 통해 특정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 시, 상기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근거리로 제공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대한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가맹점단말에 구비된 가맹점식별정보를 상기 가맹점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절차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의 지정된 가맹점 측 매체를 통해 근거리로 제공된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에 방문한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대한 자기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하는 절차 중 중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가맹점단말로부터 결제금액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 과정을 통해 수신된 정보나 상기 수신된 정보와 매칭되어 사전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상의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결제 요청하는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과 실시간 연동하지 않는 비점유 상태에서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과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원결제를 자동 식별하여 결제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여 저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에 대한 상기 가맹점단말의 점유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와 매칭되는 원결제를 처리하지 않고 대신결제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할 결제 대상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자동 식별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저장시킴으로써 상기 가맹점단말의 비점유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처리할 원결제를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 처리하도록 요청하고,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대신결제가 가맹점단말의 비점유 상태에서 승인되는지 확인하고,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대신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의 원결제를 요청한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맹점단말로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에 대한 결제완료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결제는,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개입시켜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하거나 또는 결제금액을 등록받아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중에 상기 가맹점단말과 선택적으로 연동하고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가 생성된 이후에 가맹점단말을 비점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되는 결제를 포함하고, 상기 대신결제는, 결제자가 가맹점에 방문하지 않고도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단말을 비점유하여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되는 결제를 포함하며, 상기 가맹점단말은, 상기 점유 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나 상기 결제완료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다른 결제를 처리 가능한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다변화되고 효율성과 편의성이 우선 추구되면서 구매지불과 같은 경제활동에서 구매자와 지불자가 분리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예를들어, 구매자와 지불자가 함께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해야 하는 상황에서 구매자와 지불자가 서로 시간을 맞추기 애매하여 구매자가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고 이를 원거리의 지불자에게 지불 요청하여 결제하는 대리 결제 방식이 제안되었다(특허공개공보 제10-2004-0081819호(2004년09월23일)).
한편 오프라인 매장에서 종래의 대리 결제를 제공할 경우 대리 결제를 위해 계산대의 매장단말을 이용하게 되는데 동기식으로 전문을 교환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매장단말의 특성 상 대리 결제를 위해 매장단말을 점유한 상태에서 원거리의 지불자의 결제가 지연되는 경우에 매장단말을 통해 다른 결제도 처리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정된 앱을 설치한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을 통해 특정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 시, 상기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근거리로 제공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대한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가맹점단말에 구비된 가맹점식별정보를 상기 가맹점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절차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의 지정된 가맹점 측 매체를 통해 근거리로 제공된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에 방문한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대한 자기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하는 절차 중 중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가맹점단말로부터 결제금액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 과정을 통해 수신된 정보나 상기 수신된 정보와 매칭되어 사전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상의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결제 요청하는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과 실시간 연동하지 않는 비점유 상태에서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과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원결제를 자동 식별하여 결제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여 저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에 대한 상기 가맹점단말의 점유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와 매칭되는 원결제를 처리하지 않고 대신결제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할 결제 대상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자동 식별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저장시킴으로써 상기 가맹점단말의 비점유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처리할 원결제를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 처리하도록 요청하는 제5 단계와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대신결제가 가맹점단말의 비점유 상태에서 승인되는지 확인하는 제6 단계 및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대신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의 원결제를 요청한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맹점단말로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에 대한 결제완료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결제는,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개입시켜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하거나 또는 결제금액을 등록받아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중에 상기 가맹점단말과 선택적으로 연동하고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가 생성된 이후에 가맹점단말을 비점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되는 결제를 포함하고, 상기 대신결제는, 결제자가 가맹점에 방문하지 않고도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단말을 비점유하여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되는 결제를 포함하며, 상기 가맹점단말은, 상기 점유 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나 상기 결제완료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다른 결제를 처리 가능한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은, 지정된 앱을 설치한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을 통해 특정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 시, 상기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근거리로 제공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대한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가맹점단말에 구비된 가맹점식별정보를 상기 가맹점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절차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의 지정된 가맹점 측 매체를 통해 근거리로 제공된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에 방문한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대한 자기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하는 절차 중 중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가맹점단말로부터 결제금액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 과정을 통해 수신된 정보나 상기 수신된 정보와 매칭되어 사전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상의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결제 요청하는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과 실시간 연동하지 않는 비점유 상태에서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과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원결제를 자동 식별하여 결제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여 저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에 대한 상기 가맹점단말의 점유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와 매칭되는 원결제를 처리하지 않고 대신결제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할 결제 대상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자동 식별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저장시킴으로써 상기 가맹점단말의 비점유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처리할 원결제를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 처리하도록 요청하는 제5 단계와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대신결제가 가맹점단말의 비점유 상태에서 승인되는지 확인하는 제6 단계 및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대신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의 원결제를 요청한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맹점단말로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에 대한 결제완료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결제는,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개입시켜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하거나 또는 결제금액을 등록받아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중에 상기 가맹점단말과 선택적으로 연동하고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가 생성된 이후에 가맹점단말을 비점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되는 결제를 포함하고, 상기 대신결제는, 결제자가 가맹점에 방문하지 않고도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단말을 비점유하여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되는 결제를 포함하며, 상기 가맹점단말은, 상기 점유 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나 상기 결제완료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다른 결제를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은,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자기를 고유 식별하는 자기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등록 저장된 자기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무선단말의 앱을 개입시켜 상기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측 매체는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송출하는 블루투스 매체,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구비하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제공하는 NFC 매체,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부호화한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음파 매체,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구비한 이미지 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 측 매체는 상기 가맹점에 구비되는 별도의 매체이거나, 또는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상식별정보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설정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입력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사용자 무선단말의 연락처 목록으로부터 앱을 통해 선택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대신결제를 하겠다고 요청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은, 상기 대상식별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확인된 대상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대상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에 상기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앱의 설치를 유도하거나 또는 대신결제를 취소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가 본인 무선단말을 개입시켜 자신이 방문한 가맹점을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식별하고 결제금액을 확인하여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동안에만 가맹점단말과 연동(=점유)하되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한 이후에는 가맹점단말과 연동(=점유)하지 않고도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를 처리하여 가맹점의 계산대에서 장시간 대기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가맹점 결제를 제공하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한 이후에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와 매칭되는 원결제를 지정된 대신결제 대상에게 대신결제 요청 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기반으로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전환 생성하여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여 상기 원결제의 대신결제를 요청함으로써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의 비점유 결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하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점유 대신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역방향 식별을 이용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 생성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순방향 식별을 이용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 생성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로 전환 생성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비점유 대신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점유 대신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오프라인 상의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개입시켜 상기 방문한 가맹점을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가맹점에서 결제 요청한 결제금액과 매칭되어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을 점유하지 않고도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 가능한 원결제의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한 후,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에서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할 결제자를 지정하여 대신결제 요청 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대체 생성한 후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상기 생성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여 대신결제를 요청함으로써 가맹점단말(180)을 비점유하여 원결제의 대신결제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비점유 대신결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처리할 결제를 '원결제'라고 명명하고,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지정된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처리할 결제를 상기 원결제의 '대신결제'라고 명명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또는 결제자)가 소유(또는 소지)하고 무선 통신 가능하며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한 원결제(또는 대신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된 앱이 설치된 무선단말(190)과, 소정의 상품(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가맹점에 구비되며 가맹점 식별 기반의 원결제(또는 대신결제)를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가맹점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가맹점단말(180)과, 하나 이상의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190)과 통신 가능하고 상기 가맹점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과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개입시켜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상의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가맹점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한 결제금액과 매칭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와 매칭되는 원결제의 대신결제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할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처리할 원결제를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 처리하도록 요청하고,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대신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로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에 대한 결제완료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 중 서버 측에서 구현 가능하거나 서버 측에 구현되어야 할 구성에 대응하는 운영서버(100)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 설명되는 운영서버(100)는 어느 한 물리적인 서버형 장치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을 위해 서버 측에 구현 가능하거나 구현되어야 할 구성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둘 이상의 서버 조합, 하나 이상의 서버 측 소프트웨어, 또는 이 들의 선택적 조합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영서버(100)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든 청구범위에 기재된 서버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지정된 대상(예컨대, 무선단말(190) 및/또는 가맹점단말(180))으로 하여금 그러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명령/관여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운영서버(100)의 범주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무선단말(190)은 사용자(또는 결제자)가 소유(또는 휴대)하고 본 발명에 따른 원결제(또는 대신결제)를 위해 이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지정된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단말(180)은 지정된 상품(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측 단말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가맹점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POS단말, 태블릿POS, 가맹점 주(또는 직원)의 지정된 무선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측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단말(180)을 구비한 오프라인 가맹점은 상기 가맹점단말(180) 이외에 특정 사용자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가맹점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중의 하나로서 하나 이상의 가맹점 측 매체(185)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는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인식 가능한 매체식별정보를 구비하거나 및/또는 송출하거나 및/또는 출력하는 매체(185)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매체식별정보를 저장(또는 일회용 형태로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블루투스 신호(예컨대, 양방향 블루투스 통신용 블루투스 신호, 비동기 방식으로 송출되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송출되는 블루투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신호)를 송출하는 블루투스 매체(185), 지정된 매체식별정보를 구비(또는 일회용 형태로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통해 무선단말(190)과 인터페이스하여 상기 무선단말(190)로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제공 가능한 NFC 매체(185), 지정된 매체식별정보를 저장(또는 일회용 형태로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음파 매체(185), 지정된 매체식별정보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가 표시(또는 인쇄)되거나 지정된 매체식별정보를 저장(또는 일회용 형태로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전자적으로 표시하는 이미지 매체(185) 중 적어도 하나의 매체(18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체식별정보는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매체(185)를 구비한 가맹점 또는 둘 이상의 이종의 매체(185)를 다중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하기 위해 각 가맹점 측 매체(185)에 고유하게 구비된 식별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와 같이 매체(185)를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하기 위해 각 가맹점 측 매체(185)에서 중복되지 않으면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가맹점을 식별 가능한 정보를 포함(또는 은닉)하여 생성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는 상기 가맹점에 구비되는 별도의 매체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가 별도의 매체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는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과 근거리 통신하거나 또는 별도의 독립된 매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과 가맹점단말(180)이 상호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에서 상기 가맹점단말(180)을 통해 상기 가맹점을 식별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가맹점단말(180)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을 식별 가능한 경우 별도의 가맹점 측 매체(185)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가맹점 식별결과에 기반한 비점유 대신결제를 구현하기 위한 서버 측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190)과 통신 가능하고 지정된 가맹점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과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개입시켜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상의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가맹점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한 결제금액과 매칭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와 매칭되는 원결제의 대신결제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기능, 상기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할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처리할 원결제를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 처리하도록 요청하는 기능,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대신결제가 승인되는지 확인하는 기능, 상기 대신결제의 승인 시 상기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로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에 대한 결제완료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비하거나 또는 지정된 대상을 통해 상기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시하게 하는데 관여하는 서버로 실시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개입시킨 가맹점 식별을 제공하며 상기 가맹점 식별 기반의 원결제와 대신결제를 허용하는 가맹점을 등록받는 가맹점 등록부(105)를 구비하며, 상기 가맹점에 소정의 가맹점 측 매체(185)를 구비한 경우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를 등록받는 매체 등록부(1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가맹점 등록부(105)와 매체 등록부(110)는 각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을 통해 등록받거나 또는 지정된 등록단말(도시생략)을 통해 등록받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가맹점이나 매체(185)를 등록하는 경로나 단말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편의상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을 이용하여 가맹점과 매체(185)를 등록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지정된 가맹점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가맹점단말(180)에서 상기 가맹점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소정의 가맹점 등록정보(예컨대, 가맹점 상호, 주소, 대표자명, 사업자번호, 연락처 등)를 입력받아 등록 요청하면, 상기 가맹점 등록부(105)는 상기 가맹점 등록정보를 수신하고 지정된 심사 절차에 따라 유효성을 확인한 후 유효한 가맹점 등록정보를 지정된 가맹점관리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가맹점 등록부(105)는 상기 등록된 가맹점 등록정보를 근거로 상기 가맹점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예컨대,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가맹점번호(가맹점코드) 등)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가맹점단말(180)의 가맹점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가맹점정보를 제공받아 지정된 가맹점관리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 등록부(105)는 상기 가맹점정보와 가맹점 등록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결제 처리를 위해 가맹점단말(180)에서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19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190)에서 가맹점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가맹점 등록부(105)는 상기 가맹점단말(180)로부터 상기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가맹점관리DB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식별정보는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개입시킨 가맹점 식별을 제공하며 상기 가맹점 식별 기반의 원결제와 대신결제를 허용하는 특정 가맹점을 식별하기 위해 별도로 할당(또는 확인)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맹점식별정보는 상기 가맹점정보 및/또는 가맹점 등록정보와 연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식별정보는 상기 가맹점 등록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가맹점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가맹점에 별도의 가맹점 측 매체(185)가 구비된 경우, 상기 매체 등록부(110)는 상기 가맹점단말(180)로부터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의 매체식별정보(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에서 블루투스 신호 인식, NFC, 음파 신호 인식, 코드이미지 인식 중 하나 이상을 통해 가맹점 측 매체(185)로부터 인식 가능한 매체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가맹점관리DB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에서 매체식별정보(예컨대, 일회용 형태로 생성된 매체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매체 등록부(110)는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를 통해 생성되어 인식 가능한 매체식별정보(예컨대, 일회용 형태로 생성된 매체식별정보)를 식별/인증하는데 필요한 매체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가맹점관리DB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체 등록부(110)는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상기 가맹점정보 및/또는 가맹점 등록정보와 연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자기를 식별하는 자기식별정보를 등록받는 정보 등록부(115)를 구비한다.
사용자 무선단말(190)에 지정된 앱이 설치되고 최초 구동(또는 등록 전 구동)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앱이 설치된 무선단말(190), 상기 무선단말(190)에 설치된 앱, 상기 무선단말(190)/앱을 사용하는 사용자 중 하나 이상(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식별하는 자기식별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자기식별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무선단말(190)의 전화 통화를 위해 상기 무선단말(190)에 기 할당되어 있던 전화번호를 입력받거나 확인하고, 상기 입력/확인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등록부(115)는 상기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9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단말(19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자기식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자기식별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무선단말(190)에 상기 앱이 설치되기 전부터 상기 무선단말(190)에 기 할당되어 있던 고유코드(예컨대, IMSI, IMEI, MSISDN, UICCID 등)를 확인하거나 입력받고, 상기 확인/입력된 무선단말(190)의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등록부(115)는 상기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90)의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단말(190)의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자기식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자기식별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무선단말(190)에 상기 앱이 설치된 후(또는 최초 구동 시) 상기 무선단말(190)에 설치된 앱을 고유 식별/인증하거나 상기 앱을 설치한 무선단말(190)을 고유 식별/인증하기 위해 (지정된 서버와 연동하여) 중복되지 않는 별도의 토큰코드를 생성/할당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생성/할당된 중복되지 않는 별도의 토큰코드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등록부(115)는 상기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상기 생성/할당된 별도의 토큰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토큰코드를 포함하는 자기식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자기식별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무선단말(190)에서 자기식별 시점에 중복되지 않게 동적으로 생성할 동적번호를 식별/인증하기 위한 식별등록정보를 확인/구성하여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등록부(115)는 상기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상기 식별등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등록정보를 포함하는 자기식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동적번호가 상기 무선단말(190)의 전화번호와 별도 생성/결정되어 상기 무선단말(19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코드값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경우 상기 식별등록정보는 상기 동적번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상기 전화번호와 코드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자기식별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제1 내지 제4 자기식별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정보 등록부(115)는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자기식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무선단말(190)(또는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등록부(115)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고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개입시켜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상의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식별부(120)와, 상기 식별된 결제 대상 가맹점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한 결제금액을 확인하는 결제금액 확인부(125)와,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된 결제금액과 매칭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하는 식별결과 확인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가맹점 식별부(120)는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개입시켜 임의의 오프라인 가맹점 중 사용자가 방문해 있으면서 상기 사용자가 결제하고자 하는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가맹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또는 결제할)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로 지정된 고유식별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가맹점단말(180)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에서 제공하는 지정된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게 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이 자기를 식별하는 자기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전화번호, 사용자 무선단말(190)에 할당된 고유코드, 사용자 무선단말(190)에 상기 앱이 설치된 후 중복되지 않게 별도로 할당된 토큰코드, 사용자 무선단말(190)에서 중복되지 않게 생성된 동적번호, 지정된 서버를 통해 중복되지 않게 생성되어 사용자 무선단말(190)로 제공된 동적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가맹점 식별을 위해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에서 가맹점단말(180)로 제공하는 고유식별정보가 상기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식별정보가 이용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제1 가맹점 식별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을 통한 근거리 무선신호, NFC, 음파 신호, 코드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또는 결제할)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로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가맹점단말(180)에서 근거리 무선신호, NFC, 음파 신호, 코드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에서 제공하는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단말(18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로부터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가맹점단말(180)이 구비된 가맹점을 고유 식별하는 가맹점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가맹점식별정보와 상기 획득된 고유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며, 상기 가맹점 식별부(120)는 상기 가맹점단말(180)로부터 상기 가맹점식별정보와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가맹점 식별부(120)는 상기 정보 등록부(115)를 통해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무선단말(190)(또는 앱)의 사용자를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 등록부(105)를 통해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맹점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가맹점을 확인한 후, 상기 가맹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을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방문한(또는 결제할)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 식별부(120)는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의 가맹점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단말(180)은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가맹점식별정보와 고유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연동하여(또는 별도의 통신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가맹점을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식별한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할 결제금액을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결제금액 확인부(125)는 상기 가맹점단말(180)로부터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한 무선단말(190)(또는 앱)의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할 결제금액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2 가맹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가맹점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인식 가능한 지정된 매체식별정보를 송출/출력하는 가맹점 측 매체(18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로부터 송출/출력되는 매체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는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송출하는 블루투스 매체(185),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구비하고 NFC를 통해 인터페이스 가능한 NFC 매체(185),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부호화한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음파 매체(185),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구비한 이미지 매체(185) 중 적어도 하나의 매체(18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제2 가맹점 식별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신호, NFC, 음파 신호, 코드이미지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에서 송출/출력하는 매체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자기를 식별하는 자기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인식된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확인된 자기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며, 상기 가맹점 식별부(12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자기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가맹점 식별부(120)는 상기 정보 등록부(115)를 통해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기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90)(또는 앱)의 사용자를 확인하고, 상기 매체 등록부(110)를 통해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매체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측 매체(185)를 구비한 가맹점을 확인한 후, 상기 매체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측 매체(185)를 구비한 가맹점을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또는 결제할)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 식별부(120)는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의 가맹점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단말(18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이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의 매체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전 또는 중의 일 시점에 상기 가맹점을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식별한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할 결제금액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제금액 확인부(125)는 상기 가맹점을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식별한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할 결제금액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의 송출/출력 시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할 결제금액을 더 포함하여 송출/출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결제금액을 인식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결제금액 확인부(12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할 결제금액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가맹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인식 가능한 지정된 가맹점식별정보를 송출/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가맹점단말(180)로부터 송출/출력되는 가맹점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단말(180)은 블루투스 신호, NFC, 음파 신호, 코드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가맹점식별정보를 송출/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블루투스 신호, NFC, 음파 신호, 코드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가맹점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자기를 식별하는 자기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인식된 가맹점식별정보와 상기 확인된 자기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맹점 식별부(12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상기 가맹점식별정보와 자기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가맹점 식별부(120)는 상기 수신된 자기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90)(또는 앱)의 사용자를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 등록부(105)를 통해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맹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을 확인한 후, 상기 가맹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을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또는 결제할)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 식별부(120)는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의 가맹점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단말(180)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이 상기 가맹점단말(180)로부터 상기 가맹점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전 또는 중의 일 시점에 상기 가맹점을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식별한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할 결제금액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제금액 확인부(125)는 상기 가맹점을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식별한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할 결제금액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가맹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식별부(1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가맹점 식별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결제할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할 수 있고, 상기 결제금액 확인부(125)도 동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된 결제금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식별결과 확인부(130)는 상기 제1 내지 제4 가맹점 식별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가맹점 식별부(120)를 통해 식별된 결제 대상 가맹점의 가맹점정보를 포함(또는 연계)하며, 상기 결제금액 확인부(125)를 통해 확인된 결제금액을 포함(또는 연계)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이 자기를 식별하는 자기식별정보(또는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또는 확인)한다.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의 자기식별정보(또는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포함된 결제 대상 가맹점의 가맹점정보와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과 실시간 연동하지 않고(=가맹점단말(180)을 점유하지 않고) 사용자 무선단말(190)(또는 앱)에서 이용 가능한 지정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금액으로 결제 처리하는 원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과 연동하여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기반한 원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절차부(1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지정된 결제시스템(195) 상의 보안매체에 사용자 결제수단을 등록하여 관리하거나, 또는 무선단말(190)의 지정된 보안영역에 사용자 결제수단을 등록 관리하거나, 또는 결제 시점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하여 결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의 식별결과 확인부(130)를 통해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자기를 식별하는 자기식별정보(또는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지정된 결제시스템(195)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해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이 추출/입력되어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의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의 결제금액이 결제 되도록 처리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원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결제시스템(195) 상의 보안매체에 사용자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결제시스템(195) 상의 보안매체에 등록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추출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의 결제금액과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결제시스템(195)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결제 절차부(155))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시스템(195)으로 전달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시스템(195)은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를 통해 지정된 보안매체에 등록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추출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금액을 결제 처리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결제 절차부(155))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전달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원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무선단말(190)의 지정된 보안영역에 저장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추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추출/입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의 결제금액과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상기 결제시스템(195)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결제 절차부(155))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시스템(195)으로 전달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시스템(195)은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수단정보를 통해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금액을 결제 처리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결제 절차부(155))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전달되게 처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와 매칭되는 원결제의 대신결제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대상 확인부(135)와, 상기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할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식별결과 전환부(145)를 구비하며, 상기 대상식별정보를 판독하여 결제자 무선단말(190)에 지정된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앱이 설치되지 않은 대상자 무선단말(190)에 앱의 설치를 유도하는 대상 인증부(1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처리할 원결제를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내부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지정된 대신결제 대상을 통해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하도록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 확인부(13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한 원결제를 지정된 대신결제 대상을 통해 대신결제 처리하도록 요청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결제의 대신결제 처리가 요청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상식별정보는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에 설정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입력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연락처 목록으로부터 앱을 통해 선택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대신결제를 하겠다고 요청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상식별정보는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90)의 전화번호,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자의 계정정보(예컨대, 운영서버(100)에 회원 가입하면서 등록된 ID정보, 연락처 목록이나 지인 목록을 통해 공유 가능함),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자의 메일주소(예컨대, 운영서버(100)에 회원 가입하면서 등록한 메일주소, 연락처 목록이나 지인 목록을 통해 공유 가능함),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90)로부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수신된 대상자 무선단말(190)에 할당된 고유코드, 상기 대상자 무선단말(190)에 앱이 설치된 후 중복되지 않게 별도로 할당되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수신된 대상자 무선단말(190)의 토큰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처리할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대상 확인부(13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상기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확인부(135)를 통해 대상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대상 인증부(140)는 상기 대상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에 지정된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에 상기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대상 인증부(140)는 상기 앱을 설치하지 않은 대상자 무선단말(190)을 통해 상기 앱의 설치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대상 확인부(135)를 통해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대상식별정보가 확인되거나 및/또는 상기 대상 인증부(140)를 통해 대상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대신결제 대상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식별결과 전환부(145)는 상기 대상 확인부(135)를 통해 확인된 대상식별정보와 상기 식별결과 확인부(130)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할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식별결과 전환부(145)는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복사한 후 상기 복사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에 대한 자기식별정보(또는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대상 확인부(135)를 통해 확인된 대상식별정보로 대체(또는 교체)함으로써,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할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대상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대신결제 대상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처리할 원결제를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 처리하도록 요청하는 대신결제 요청부(150)와,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과 연동하여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기반한 대신결제를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절차부(155)와,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기반한 대신결제가 승인되는지 확인하는 결제 확인부(160)와, 상기 대신결제 승인 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로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에 대한 결제완료정보를 제공하는 결제 완료부(165)를 구비한다.
상기 식별결과 전환부(145)를 통해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대신결제 요청부(150)는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포함된 대상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대신결제 대상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처리할 원결제를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 처리하도록 요청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신결제 요청부(150)는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대신결제 요청 시 상기 대신결제 요청에 대하여 소정의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을 카운트 개시할 수 있다.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지정된 결제시스템(195) 상의 보안매체에 결제자 결제수단을 등록하여 관리하거나, 또는 무선단말(190)의 지정된 보안영역에 결제자 결제수단을 등록 관리하거나, 또는 결제 시점에 결제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입력하여 결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의 식별결과 전환부(145)를 통해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지정된 결제시스템(195)과 지정된 경로를 경유해 연동하여 상기 결제자의결제수단이 추출/입력되어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의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의 결제금액이 결제 되도록 처리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대신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결제시스템(195) 상의 보안매체에 결제자 결제수단이 등록된 경우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결제시스템(195) 상의 보안매체에 등록된 결제자 결제수단을 추출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의 결제금액과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결제시스템(195)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결제 절차부(155))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시스템(195)으로 전달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시스템(195)은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를 통해 지정된 보안매체에 등록된 결제자 결제수단을 추출하여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금액을 결제 처리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결제 절차부(155))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전달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대신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무선단말(190)의 지정된 보안영역에 저장된 결제자 결제수단을 추출하거나 결제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추출/입력된 겨레자의 결제수단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의 결제금액과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정보를 상기 결제시스템(195)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결제 절차부(155))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시스템(195)으로 전달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시스템(195)은 상기 결제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수단정보를 통해 상기 가맹점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대상 가맹점으로 상기 결제금액을 결제 처리하는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제결과를 포함하는 결과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결제 절차부(155))를 경유하여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전달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확인부(160)는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을 카운트하며, 상기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기반한 대신결제가 승인되는지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 확인부(160)는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수신된 대신결제의 결과정보를 판독하여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기반한 대신결제가 승인되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결제 절차부(155)와 연동하여 대신결제의 결과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판독하여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기반한 대신결제가 승인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대신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결제 완료부(165)는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로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에 대한 결제완료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기반한 원결제를 대신에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기반한 대신결제가 결제 승인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단말(180)은 상기 대신결제의 승인 결과를 기반으로 원결제가 승인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자기식별정보와 사용자정보를 등록하고, 가맹점단말(180)을 통해 가맹점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190)은 지정된 앱을 설치 구동하고(20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구동된 앱은 자기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식별정보 형태의 자기식별정보를 확인하거나(205) 또는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동적번호를 포함하는 자가식별정보를 식별/인증하는데 필요한 식별등록정보를 확인하고(205),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상기 자기식별정보를 등록 요청하며(210),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앱을 설치한 무선단말(190)의 앱이 자기를 식별하기 위한 자기식별정보를 확인하고(215), 상기 확인된 자기식별정보를 저장한다(220). 바람직하게, 상기 자기식별정보는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전화번호, 사용자 무선단말(190)에 할당된 고유코드, 사용자 무선단말(190)에 상기 앱이 설치된 후 중복되지 않게 별도로 할당된 토큰코드, 사용자 무선단말(190)에서 중복되지 않게 생성된 동적번호, 지정된 서버를 통해 중복되지 않게 생성되어 사용자 무선단말(190)로 제공된 동적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사용자정보를 입력받(225),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등록 요청하며(23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190)의 앱으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된 사용자정보를 수신하고(235), 상기 사용자정보와 자기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240).
한편 가맹점의 가맹점단말(180)은 해당 가맹점단말(180)을 통해 입력된 정보나 및/또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설정 저장된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등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등록 요청하며(24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가맹점단말(180)로부터 상기 가맹점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250), 상기 가맹점 등록정보를 대응하는 가맹점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를 확인(예컨대, 가맹점 등록정보로부터 추출, 별도의 채널을 통해 가맹점단말(180)로부터 수신, 가맹점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관리서버(도시생략)로부터 요청하여 수신)하고(255), 상기 가맹점정보와 가맹점 등록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260).
한편 상기 가맹점에 별도의 가맹점 측 매체(185)가 구비된 경우, 상기 가맹점단말(180)은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상기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측 매체(185)의 매체식별정보를 등록 요청하며(26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 측 매체(185)에 대한 매체식별정보를 수신하고(270), 상기 가맹점정보와 매체식별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한다(275).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역방향 식별을 이용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 생성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원결제를 처리할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에서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측 매체(185)로부터 송출/출력된 매체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면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식별/인증하여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를 구비한 가맹점을 식별하여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가맹점 식별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측 매체(185)는 해당 매체(185)를 구비한 가맹점을 고유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를 확인/생성한다(300)(생략 가능).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는 해당 매체(185)를 구비한 가맹점을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를 송출/출력한다(30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는 상기 매체식별정보 이외에 결제 요청하는 결제금액을 더 송출/출력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또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가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송출/출력하기 전 내지 후의 지정된 일 시점에,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를 구비한 가맹점단말(180)은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결제 요청할 결제금액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로부터 송출/출력된 매체식별정보를 인식하고(310), 상기 가맹점 측 매체(185)로부터 인식된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자기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며(31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로부터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자기식별정보를 수신한다(32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측 매체(185)를 구비한 결제 대상 가맹점의 가맹점정보를 확인하고(325),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이 자기를 식별하는 자기식별정보와 결제 대상 가맹점의 가맹정보 및 결제 요청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한다(330).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며(335),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33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340).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순방향 식별을 이용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 생성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가맹점단말(180)에서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고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가맹점식별정보와 함께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면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가맹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을 식별하여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가맹점 식별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가맹점 식별을 위해 지정된 고유식별정보를 송출/출력한다(400). 가맹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에서 송출/출력한 고유식별정보를 획득한 후(40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로부터 획득된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가맹점단말(180)에 설정된 가맹점식별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며(41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결제 요청하는 결제금액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410).
한편 운영서버(100)는 상기 가맹점단말(180)로부터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가맹점식별정보를 수신하고(41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단말(180)에서 결제 요청하는 결제금액을 더 수신할 있다(41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가맹점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대상 가맹점의 가맹점정보를 확인하고(420), 사용자 무선단말(190)에 대응하는 고유식별정보와 결제 대상 가맹점의 가맹정보 및 결제 요청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한다(425).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며(430),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43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및/또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435).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로 전환 생성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3 또는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기반으로 대신결제를 위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전환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의 전환 생성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도면3 또는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와 매칭되는 원결제가 대신결제 요청되는지 확인한다(500). 만약 상기 원결제가 대신결제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하고(505), 운영서버(100)로 상기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전송한다(51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수신하고(515), 상기 대상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을 통해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할 수 있는지 인증한다(520).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에 대신결제를 위한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인증할 있다.
한편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을 통해 대신결제할 수 있는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할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한다(52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대상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고(530),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535). 한편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가맹점단말(180)과 실시간 연동하지 않고 비점유 대신결제를 처리할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540),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를 위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545).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비점유 대신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해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기반한 비점유 대신결제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는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비점유 대신결제를 요청하며(600),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에 대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605).
한편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수신하거나(610),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제공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하고(610),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포함된 결제 대상 가맹점의 가맹점정보와 결제금액을 확인하고(615),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지정된 결제시스템(195)으로 지정된 결제자의 결제수단과 상기 가맹점정보 및 결제금액을 이용한 비점유 대신결제를 승인 요청하며(620), 상기 결제시스템(195)은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190)의 앱을 통한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625), 상기 결제 요청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승인 절차를 수행한 후(630), 상기 결제승인 절차의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지정된 경로(예컨대, 결제 요청을 수신한 경로의 역 경로)를 통해 전송하며(635), 상기 무선단말(190)의 앱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의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640).
한편 상기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의 결과정보를 제공하고(645), 상기 운영서버(100)는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을 개입시켜 처리된 비점유 대신결제의 결과정보를 확인하고(650),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의 결과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가 결제 승인되었는지 확인한다(655).
만약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가 결제 승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에 대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한다(660). 만약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가 결제 승인되지 않고 상기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으로 대신결제 실패 결과를 제공하며(665),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190)의 앱은 상기 대신결제 실패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670).
한편 상기 비점유 대신결제가 결제 승인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결제 승인된 비점유 대신결제의 결제완료정보를 생성하여 가맹점단말(180)로 제공하며(675), 상기 가맹점단말(180)은 상기 가맹점의 원결제를 비점유로 대신결제한 결제완료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680).
100 : 운영서버 105 : 가맹점 등록부
110 : 매체 등록부 115 : 정보 등록부
120 : 가맹점 식별부 125 : 결제금액 확인부
130 : 식별결과 확인부 135 : 대상 확인부
140 : 대상 인증부 145 : 식별결과 전환부
150 : 대신결제 요청부 155 : 결제 절차부
160 : 결제 확인부 165 : 결제 완료부
180 : 가맹점단말 185 : 매체
190 : 무선단말 195 : 결제시스템

Claims (12)

  1. 지정된 앱을 설치한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을 통해 특정 사용자에게 결제 요청 시, 상기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근거리로 제공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대한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가맹점단말에 구비된 가맹점식별정보를 상기 가맹점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절차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의 지정된 가맹점 측 매체를 통해 근거리로 제공된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에 방문한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대한 자기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수신하는 절차 중 중 적어도 하나의 절차를 수행하면서 상기 가맹점단말로부터 결제금액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 과정을 통해 수신된 정보나 상기 수신된 정보와 매칭되어 사전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가 방문한 오프라인 상의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결제 요청하는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단말과 실시간 연동하지 않는 비점유 상태에서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상기 결제 대상 가맹점과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원결제를 자동 식별하여 결제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여 저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고, 상기 저장된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에 대한 상기 가맹점단말의 점유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서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와 매칭되는 원결제를 처리하지 않고 대신결제 요청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원결제를 대신결제 처리할 대신결제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를 확인한 경우 상기 확인된 대신결제 대상의 대상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신결제 대상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할 결제 대상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자동 식별하는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제공하여 저장시킴으로써 상기 가맹점단말의 비점유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처리할 원결제를 상기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대신결제 처리하도록 요청하는 제5 단계;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에 대응하는 대신결제가 가맹점단말의 비점유 상태에서 승인되는지 확인하는 제6 단계; 및
    지정된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 내에 상기 대신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의 원결제를 요청한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맹점단말로 상기 승인된 대신결제에 대한 결제완료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결제는,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개입시켜 결제 대상 가맹점을 식별하거나 또는 결제금액을 등록받아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중에 상기 가맹점단말과 선택적으로 연동하고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가 생성된 이후에 가맹점단말을 비점유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되는 결제를 포함하고,
    상기 대신결제는, 결제자가 가맹점에 방문하지 않고도 상기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결제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단말을 비점유하여 결제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결제 처리되는 결제를 포함하며,
    상기 가맹점단말은, 상기 점유 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대신결제완료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나 상기 결제완료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다른 결제를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자기를 고유 식별하는 자기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등록 저장된 자기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무선단말의 앱을 개입시켜 상기 가맹점과 결제금액을 식별하는 사용자용 가맹점 식별결과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측 매체는,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송출하는 블루투스 매체,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구비하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제공하는 NFC 매체,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부호화한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음파 매체,
    상기 매체식별정보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구비한 이미지 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측 매체는,
    상기 가맹점에 구비되는 별도의 매체이거나, 또는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단말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식별정보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에 설정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입력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사용자 무선단말의 연락처 목록으로부터 앱을 통해 선택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무선단말의 앱으로 대신결제를 하겠다고 요청한 대신결제 대상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식별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확인된 대상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대상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자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에 상기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앱의 설치를 유도하거나 또는 대신결제를 취소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KR1020160104267A 2016-08-17 2016-08-17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KR101865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267A KR101865630B1 (ko) 2016-08-17 2016-08-17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267A KR101865630B1 (ko) 2016-08-17 2016-08-17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940A KR20180019940A (ko) 2018-02-27
KR101865630B1 true KR101865630B1 (ko) 2018-06-11

Family

ID=6139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267A KR101865630B1 (ko) 2016-08-17 2016-08-17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1803139UA (en) * 2018-04-13 2019-11-28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designated payment transaction
US20230169501A1 (en) * 2021-12-01 2023-06-01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Mobile device transaction credential lend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611B1 (ko) * 2015-04-22 2016-02-29 주식회사 기가월드 대리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303B1 (ko) * 2014-03-24 2016-03-0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단말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결제 중계 서버 및 그들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611B1 (ko) * 2015-04-22 2016-02-29 주식회사 기가월드 대리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940A (ko)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1572B2 (en) Online transaction system
US11593790B2 (en) Fault tolerant token based transaction systems
JP6101366B2 (ja) 支払認証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2888800C (en) Payment processing access device and method
JP5612750B2 (ja) テキストメッセージングを介して支払システムを拡張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20030848A (ja) トランザクショントークン発行権限者
US11989706B2 (en) Open infrastructure for vending machine payments from mobile devices
JP2017004557A (ja) 還付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359179A (zh) 移动令牌化枢纽
US10192247B2 (en) Method for buying and selling goods and shopping support system supporting the same
JP2014513825A (ja) 安全な2者照合取引システム
WO2012141589A1 (en) Assembly and method of handling transactions
KR101865630B1 (ko) 비점유 대신결제 제공 방법
US20160162862A1 (en) Mobile device contactless payments
US10026088B2 (en) Payment processing using multiple transaction channels
KR101844350B1 (ko) 정상 결제의 사후적 책임전가 방법
KR101833847B1 (ko) 자율적 사후 각자결제 방법
KR20180019946A (ko) 자율형 테이블 결제 방법
KR101846483B1 (ko) 무기명 내역의 기명화 가치 적립 방법
AU2013334480A1 (en) Mobile payments
KR20180001656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49440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기명 내역의 기명화 가치 적립 방법
KR20180004348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70136282A (ko) 결제 연계 정보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01644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