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373B1 - 3g 및 4g 서비스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3g 및 4g 서비스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373B1
KR101865373B1 KR1020140143615A KR20140143615A KR101865373B1 KR 101865373 B1 KR101865373 B1 KR 101865373B1 KR 1020140143615 A KR1020140143615 A KR 1020140143615A KR 20140143615 A KR20140143615 A KR 20140143615A KR 101865373 B1 KR101865373 B1 KR 10186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phase shifter
antenna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327A (ko
Inventor
최종인
이갑수
이세환
진호섭
최환기
한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4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3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3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두 대역의 위상 변위된 신호를 하나의 입출력 포트로 급전함에 있어, 안테나 장치는 두 대역의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각각의 소자를 통해 송수신할 뿐만 아니라,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대역의 일부를 제2 신호가 전송할 수 있도록 소자를 추가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Description

3G 및 4G 서비스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capable of variable e-tilt by 3G and 4G service band}
본 발명은 3G 및 4G 서비스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안테나는 사용 주파수 대역별로 전용 소자 어레이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안테나 시스템에는 하나의 변위기가 공용되어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빔 틸트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빔 틸트에 있어 각 대역별 특성이 고려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개의 전용 안테나 장치를 서로 붙여 놓은 형태의 안테나 장치가 구현되었으나, 안테나의 규모가 커질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제작 및 설치가 복잡하고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작용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고주파수 신호 대역 중 3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일부 주파수 대역을 4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환하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 별도의 안테나 소자를 추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G/4G 서비스 대역별 빔(beam) 틸트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안테나 장치는,
제1 대역 및 제2 대역에 대한 제1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1 소자; 제3 대역에 대한 제2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2 소자; 상기 제1 소자에 접속하며, 대역별로 분리된 제1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여 안테나의 수직 빔 틸트를 가변하는 제1 위상 변위기와 제2 위상 변위기; 상기 제2 소자에 접속하며, 제2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여 안테나의 수직 빔 틸트를 가변하는 제3 위상 변위기; 상기 제1 위상 변위기 및 제2 위상 변위기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대역의 신호와 제2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여 제1 대역 신호는 상기 제1 위상 변위기, 제2 대역 신호는 제2 위상 변위기로 전달하거나, 위상이 제어된 제1 대역 신호와 제2 대역 신호를 결합하여 제1 입출력 포트로 전달하는 제1 듀플렉서; 및 상기 복수의 제1 소자와 제1 위상 변위기 및 제2 위상 변위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소자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상기 제1 대역 신호와 제2 대역 신호로 분리한 후 상기 제1 위상 변위기 또는 제2 위상 변위기로 전달하는 상기 제2 듀플렉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듀플렉서는 2.1GHz의 3G 신호와 1.8GHz의 4G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의 포트인 제1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위상 변위기는 상기 2.1GHz의 4G 신호 중 일부를 상기 3G 신호 대역인 1.8GHz에서 송수신하는 제2 입출력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대역에 대한 제3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3 소자; 상기 복수의 제3 소자에 연결하며, 상기 제3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여 안테나의 수직 빔 틸트를 가변하는 제4 위상 변위기; 및 상기 제4 위상 변위기로 제3 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4 위상 변위기로부터 수신한 제3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제3 입출력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의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 대역별로 분리하여 개별 틸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파수 서비스 대역별로 최적화된 빔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음영 지역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일부가 다른 대역의 서비스를 위해 전환되어 사용되더라도, 기존 안테나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안테나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안테나 시스템에 대해 먼저 도 1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안테나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안테나 시스템(10)은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는 장치로, 제1 주파수 대역용 어레이 소자(13-1 ∼ 13-3)를 포함하는 제1 안테나(13)와, 제2 주파수 대역용 어레이 소자(14-1 ∼ 14-3)를 포함하는 제2 안테나(14), 제1 안테나(13) 및 제2 안테나(14)의 각 소자(13-1 ∼ 13-3, 14-1 ∼ 14-3)에 각각 접속되어 대응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위상 제어하는 두 개의 변위기(11, 1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테나 시스템(10)은 대역별 제1 안테나(13) 및 제2 안테나(14)의 각 소자(13-1 ∼ 13-3, 14-1 ∼ 14-3)를 일렬로 배치하고, 각 안테나(13, 14)에 대응하는 변위기(11, 12)로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여, 각 안테나(13, 14)의 빔 틸트를 독립적 또는 개별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테나 시스템(10)은 각 주파수 대역마다 전용의 안테나(13, 14) 및 어레이 소자(13-1 ∼ 13-3, 14-1 ∼ 14-3)를 구비해야 한다.
즉 일반적인 안테나 시스템(10)을 이용하여 900MHz 대역과 1800MHz 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900MHz 대역에 대한 전용 안테나와 1800MHz 대역에 대한 전용 안테나를 서로 붙여 놓은 형태로 구현되기 때문에, 안테나 시스템(10)의 규모가 상당히 커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로 인해 안테나 장치 또는 시스템의 제작 및 설치가 복잡해지고, 경제적으로도 매우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서도 LB(Low Band)(814∼960MHz)와 HB(High Band)(1710∼2200MHz)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포트를 통해 두 개의 HB(3G와 4G)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위상 변위기를 통해 3G와 4G 대역에서 독립적인 가변 틸팅이 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에 대해 제안한다. 특히, 2.1G 대역을 포함한 4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에 대해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주파수 공용 안테나(110)와, 각 주파수 대역마다 구비되어 송수신 신호의 위상을 대역별로 제어하여 수직 빔이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위상 변위기(130-1∼130-4)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위상 변위기(130-1∼130-4)는 안테나 노브(150-1∼105-3)의 움직임에 따라 위상을 대역별로 제어한다.
또한, 안테나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3G 신호와 4G 신호가 합쳐진 신호를 3G 신호와 4G 신호로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복수의 듀플렉서(120-1, 120-2)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부 듀플렉서 또는 위상 변위기의 한쪽 면에는 입출력 포트(140-1∼140-3)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복수의 위상 변위기는 서비스 대역에 따라 4G 대역(1.8GHz)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여 수직 빔이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위상 변위기(130-1), 3G 대역(2.1GHz)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여 수직 빔이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위상 변위기(130-2), 3G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역 중 일부를 4G 서비스로 사용하는 대역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제3 위상 변위기(130-3) 및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제4 위상 변위기(130-4)를 포함한다.
이때, 제3 위상 변위기(130-3)가 신호 위상을 제어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설명하면, 최근 3G 통신 서비스보다 4G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3G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역인 1920MHz∼2200MHz 중 일부 주파수 대역을 4G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이럴 경우, 3G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4G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안테나를 설치하여야 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 대역의 신호 처리를 위한 소자를 안테나 장치(100)에 추가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대역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1G 대역’이라 지칭하며,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800MHz 또는 900MHz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10)의 소자들 중 제1 일렬 어레이 소자(111)는 저주파수 대역인 제4 위상 변위기(130-4)에 연결되어, 저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2 일렬 어레이 소자(112a)는 제3 위상 변위기(130-3)에 연결되어, 2.1G 대역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3 일렬 어레이 소자(112b)는 각각 제2 듀플렉서(120-2)에 연결되어 고주파수 신호인 3G 신호 또는 4G 신호를 송수신하며, 제2 듀플렉서(120-2)의 다른 한쪽은 제1 위상 변위기(130-1) 및 제2 위상 변위기(130-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일렬 어레이 소자(112b)는 3G 신호와 4G 신호를 모두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일렬 어레이 소자(111)가 제2 일렬 어레이 소자(112a) 또는 제3 일렬 어레이 소자(112b)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도시하였으나, 제2 일렬 어레이 소자(112a)와 제3 일렬 어레이 소자(112b)가 제1 일렬 어레이 소자(111)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일렬 어레이 소자가 물리적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별도로 구현되어 있다.
제1 듀플렉서(120-1)는 제1 입출력 포트(140-1)와 제1 위상 변위기(130-1) 및 제2 위상 변위기(130-2)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듀플렉서(120-1)의 한쪽 측면은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입출력되는 제1 입출력 포트(140-1)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 측면은 제1 위상 변위기(120-1) 및 제2 위상 변위기(120-2)에 병렬로 접속되도록 배치한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3G 신호와 4G 신호로 분리하여, 4G 전용 제1 위상 변위기(130-1)나 3G 전용의 제2 위상 변위기(130-2)로 전송하도록 한다. 따라서 신호가 수신되거나 송신될 때 실질적인 1 입력 및 1 출력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안테나 장치(100)에서 각 주파수 대역마다 별도의 포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포트로 두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제2 듀플렉서(120-2)는 제3 일렬 어레이 소자(112b)와 제1 위상 변위기(130-1) 및 제2 위상 변위기(130-2)에 연결되도록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3 일렬 어레이 소자(112b)가 3G 대역의 신호와 4G 대역의 신호가 하나로 합쳐진 신호를 수신한다 하더라도, 각 대역별로 신호를 분리한 뒤 전용 위상 변위기(130-1, 130-2)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위상 변위기(130-1), 제2 위상 변위기(130-2), 제3 위상 변위기(130-2) 및 제4 위상 변위기(130-4)는 각각 안테나 노브(150-1, 150-2, 150-3)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안테나 노브(150-1)는 제4 위상 변위기(130-4)와 연결되어, 저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일렬 어레이 소자(111)에 대한 신호 수신 각도를 조절한다. 제2 안테나 노브(150-2)는 제3 위상 변위기(130-3)와 연결되어 2.1G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일렬 어레이 소자(112a)의 신호 수신 각도를 조절하며, 제3 안테나 노브(150-3)는 제1 위상 변위기(130-1) 및 제2 위상 변위기(130-2)에 연결되어 3G 신호 및 4G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3 일렬 어레이 소자(112b)의 신호 수신 각도를 조절한다. 안테나 노브의 기능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듀플렉서(120-1)의 한쪽 측면이 안테나 입·출력 포트 중 높은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 입·출력 포트인 제1 입출력 포트(140-1)에 접속되어 3G 신호와 4G 신호가 하나로 포함된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제3 위상 변위기(130-3)의 한쪽 측면은 제2 입출력 포트(140-2)에 접속되어 2.1G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4 위상 변위기(130-4)는 제3 입출력 포트(140-3)에 연결되어 저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 하나의 광대역 소자를 이용하여 3G와 4G의 위상 변위기가 하나로 구성되고, 이를 통해 하나의 위상 변위기로 틸트를 동시에 구동하여 서비스 커버리지를 별도로 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던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를 별도의 가변 틸팅이 가능하도록 3G용 위상 변위기(130-2)와 4G용 위상 변위기(130-1)를 각각 포함하도록 구현한다. 또한, 3G 대역인 2.1GHz에서도 4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하기 위하여 추가로 위상 변위기(130-3)를 포함하도록 구현하여, 3G 대역 중 일부 주파수를 4G로 전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송수신하는 신호는 3G, 4G 또는 2.1G와 같이 고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G/4G 고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신호 송신의 경우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제1 입출력 포트(140-1)로부터 3G/4G 신호가 하나로 포함된 송신 신호가 입력되면, 제1 듀플렉서(120-1)는 제1 입출력 포트(140-1)가 수신한 신호를 대역별 신호로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한 대역별 신호를 각각의 위상 변위기(130-1, 130-2)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1 GHz 대역(3G) 및 1.8 GHz 대역(4G)으로 분리하여, 4G 신호는 제1 위상 변위기(130-1)로 전달하고, 3G 신호는 제2 위상 변위기(130-2)로 전달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분리된 각 대역의 신호는 해당 위상 변위기(130-1, 130-2)에서 위상이 제어된다. 이렇게 위상이 제어된 신호는 제3 일렬 어레이 소자(111b)로 전송되어 전파로 방사된다. 이렇게 주파수 대역마다 각각의 전용 위상 변위기(130-1, 130-2)에서 독립적으로 위상을 제어하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마다 원하는 빔 틸트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3G/4G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2.1G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제2 입출력 포트(140-2)로 입력된 신호를 제3 위상 변위기(130-3)로 전달하여 위상을 제어하고, 제2 일렬 어레이 소자(111a)로 전송하여 전파로 방사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며, 수신 신호의 경우에는 송신 신호와 역으로 처리된다. 먼저, 일렬 어레이 소자(112b)에 수신된 신호는 각 소자에 접속된 제2 듀플렉서(120-2)를 통해 신호가 3G 신호와 4G 신호로 분리된 뒤, 각 주파수 대역별로 전용의 위상 변위기(130-1 130-2)로 전달된다. 만약 제2 일렬 어레이 소자(112a)나 제1 일렬 어레이 소자(111)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라면, 2.1G 신호 또는 저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이 수신되기 때문에, 수신 신호를 대역폭에 따라 별도로 분리할 필요는 없다.
각각의 위상 변위기(130-1, 130-2)는 안테나 소자가 수신한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고, 위상이 제어된 3G 신호와 4G 신호는 제1 듀플렉서(130-1)를 통해 하나의 신호로 결합한 다음, 제1 입출력 포트(140-1)를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1.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제1 대역 및 제2 대역에 대한 제1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1 소자;
    제3 대역에 대한 제2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2 소자;
    상기 제1 소자에 접속하며, 대역별로 분리된 제1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여 안테나의 수직 빔 틸트를 가변하는 제1 위상 변위기와 제2 위상 변위기;
    상기 제2 소자에 접속하며, 제2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여 안테나의 수직 빔 틸트를 가변하는 제3 위상 변위기;
    상기 제1 위상 변위기 및 제2 위상 변위기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대역의 신호와 제2 대역의 신호로 분리하여 제1 대역 신호는 상기 제1 위상 변위기, 제2 대역 신호는 제2 위상 변위기로 전달하거나, 위상이 제어된 제1 대역 신호와 제2 대역 신호를 결합하여 제1 입출력 포트로 전달하는 제1 듀플렉서; 및
    상기 복수의 제1 소자와 제1 위상 변위기 및 제2 위상 변위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소자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상기 제1 대역 신호와 제2 대역 신호로 분리한 후 상기 제1 위상 변위기 또는 제2 위상 변위기로 전달하는 제2 듀플렉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듀플렉서는 2.1GHz의 3G 신호와 1.8GHz의 4G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의 포트인 제1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위상 변위기는 상기 2.1GHz의 4G 신호 중 일부를 상기 3G 신호 대역인 1.8GHz에서 송수신하는 제2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신호와 제2 대역 신호는 상기 2.1GHz의 3G 신호 또는 상기 1.8GHz의 4G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이고,
    상기 제3 대역에 대한 제2 신호는 2.1G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4G 신호인 안테나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제4 대역에 대한 제3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3 소자;
    상기 복수의 제3 소자에 연결하며, 상기 제3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여 안테나의 수직 빔 틸트를 가변하는 제4 위상 변위기; 및
    상기 제4 위상 변위기로 제3 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4 위상 변위기로부터 수신한 제3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제3 입출력 포트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신호는 800MHz 또는 900MHz 대역의 저주파수용 신호인 안테나 장치.
KR1020140143615A 2014-10-22 2014-10-22 3g 및 4g 서비스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 KR101865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615A KR101865373B1 (ko) 2014-10-22 2014-10-22 3g 및 4g 서비스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615A KR101865373B1 (ko) 2014-10-22 2014-10-22 3g 및 4g 서비스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327A KR20160047327A (ko) 2016-05-02
KR101865373B1 true KR101865373B1 (ko) 2018-06-07

Family

ID=5602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615A KR101865373B1 (ko) 2014-10-22 2014-10-22 3g 및 4g 서비스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3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512B1 (ko) * 2009-12-28 2011-12-05 (주)하이게인안테나 이동통신용 능동안테나장치
KR20130139337A (ko) * 2011-02-11 2013-12-20 알까뗄 루슨트 능동 안테나 어레이들
KR101415540B1 (ko) * 2014-04-04 2014-07-04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956B1 (ko) * 2013-02-08 2015-02-2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기지국 통신 시스템에 최적화된 어레이 안테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512B1 (ko) * 2009-12-28 2011-12-05 (주)하이게인안테나 이동통신용 능동안테나장치
KR20130139337A (ko) * 2011-02-11 2013-12-20 알까뗄 루슨트 능동 안테나 어레이들
KR101415540B1 (ko) * 2014-04-04 2014-07-04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327A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0416B1 (en) Compact antenna array using virtual rotation of radiating vectors
US9014068B2 (en) Antenna having active and passive feed networks
CN106415930B (zh) 对于共享孔径阵列天线的独立方位图案
EP2641294B1 (en) Antenna architecture for maintaining beam shape in a reconfigurable antenna
CN110797630A (zh) 多路复用的双频带天线
JP2016511598A (ja) マルチアレイアンテナ
CN109509980B (zh) 混合多波束天线
CN111869004B (zh) 利用振幅加权和相位加权的线性叠加来支持具有高视轴覆盖的高有效全向辐射功率(eirp)的基站天线
US8786383B2 (en) Metamaterial diplexers, combiners and dividers
KR101415540B1 (ko)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
JP2013207522A (ja) アレイ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システム
US9917627B2 (en) Base station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irculator arrangement to increase isolation between co-located antennas
KR101865373B1 (ko) 3g 및 4g 서비스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
CN112425082B (zh) 一种可调天线及通信终端
US9774094B2 (en) Antenna with shaped reflector(s), reconfigurable in orbit
KR101788837B1 (ko) 서비스 대역별 가변틸트 안테나 장치
US20160329916A1 (en) Multiband communications and repeater system
US1004410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th an antenna arrangement for triple band reception and transmission
KR101525911B1 (ko) 주파수 분할 및 전용을 위한 광대역 복편파 안테나 장치
US9917626B2 (en) Base station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irculator arrangement to increase isolation between co-located antenn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