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341B1 -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341B1
KR101865341B1 KR1020170147880A KR20170147880A KR101865341B1 KR 101865341 B1 KR101865341 B1 KR 101865341B1 KR 1020170147880 A KR1020170147880 A KR 1020170147880A KR 20170147880 A KR20170147880 A KR 20170147880A KR 101865341 B1 KR101865341 B1 KR 101865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replacement
user terminal
clean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인
Original Assignee
김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인 filed Critical 김용인
Priority to KR1020170147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매트리스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매트리스의 정보에 포함된 매트리스의 종류 및 구입시기로부터, 매트리스의 종류 및 구입시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청소 시기가 도래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청소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청소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교체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교체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매트리스는,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y)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별로 교체 시기 및 청소 시기가 기 매핑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ATTRESS MAINTENANCE SERVICE FOR ASSEMBLIES OF BED}
본 발명은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어셈블리로 구성된 매트리스를 판매한 후, 각 어셈블리별 사용기한 및 교체주기를 설정하여 클리닝 및 교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침대는 산업이 발달한 미국 등 미주, 유럽 국가에서 주로 생산되어 기술을 선도하고 있음과 동시에 동 제품들이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는데, 최근 우리나라도 생활수준의 향상과 주거문화의 서구화로 침대의 매트리스를 사는 것 뿐만 아니라, 매트리스를 웰빙(Well-being)의 트랜드에 부응하여 관리하는 서비스도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매트리스를 관리하는 서비스는 사용주기별로 매트리스를 교체하는 기간을 연산 및 출력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5-0078312호(2015년07월08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1212호(2010년12월15일 공개)에는, 매트리스 탑퍼의 교체에 따른 매트리스 탑퍼의 교체 시기, 교체 대상, 교체 시기와 교체 대상에 따른 비용청구 대상 해당 여부, 비용계산이 가능한 구성을 개시하고, 구매 후에 주기적으로 관련 부품들을 관리하여 실수요자의 건강증대를 위하여, 설치하고 일정 주기 마다 매트리스의 상태를 관리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다만, 매트리스의 기한을 알려주는 것은 단순히 사용자가 매트리스를 구입할 때 사용기한을 아는 것만으로도 족하고, 매트리스를 교체하려고 할지라도 매트리스의 비용이 비싸므로 교체비용이 소비자에게는 부담이다. 또한, 매트리스를 이루는 복수의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만 교체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매트리스 전체를 교환해야 하므로 과다한 자원 낭비가 발생한다. 그리고, 집중적인 사용 부위 및 지속적인 하중을 받는 부위는 다공체의 깨짐, 꺼짐 및 처짐 등의 하자가 개인별로 다르게 발생하므로, 사용자 맞춤형이면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교체를 할 수 있는 매트리스 및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매트리스를 이루는 각각의 부품을 어셈블리로 나누고, 어셈블리별로 다르게 설정된 교체 기한, 클리닝 기한에 따라 교체 및 클리닝을 시행하되, 사용자의 요구사항 또는 하자 부분에 대응되도록 기한을 증감시키고, 사용자별 및 부품별로 다르게 발생되는 클리닝 부위 및 교체 부위에 대응하는 클리닝 및 교체를 진행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성능 및 위생을 동시에 일정 품질로 유지할 수 있는,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매트리스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매트리스의 정보에 포함된 매트리스의 종류 및 구입시기로부터, 매트리스의 종류 및 구입시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청소 시기가 도래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청소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청소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교체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교체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매트리스는,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y)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별로 교체 시기 및 청소 시기가 기 매핑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매트리스를 이루는 각각의 부품을 어셈블리로 나누고, 어셈블리별로 다르게 설정된 교체 기한, 클리닝 기한에 따라 교체 및 클리닝을 시행하되, 사용자의 요구사항 또는 하자 부분에 대응되도록 기한을 증감시키고, 사용자별 및 부품별로 다르게 발생되는 클리닝 부위 및 교체 부위에 대응하는 클리닝 및 교체를 진행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성능 및 위생을 동시에 일정 품질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의 어셈블리가 적층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가 청소 및 교체 시기가 설정되는 일 실시예 및 해당 시기가 변경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와 교체와 청소주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셈블리(Assembly)는 조립되는 하나의 부품으로 정의하고, 어셈블리의 조립은 하나의 전체를 이루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센서 모듈(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센서 모듈(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센서 모듈(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사용자 단말(100) 및 센서 모듈(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매트리스를 구입, 관리를 요청하거나 관리 서비스에 승인을 한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매트리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인 어셈블리(Assembly)에 대하여 청소 또는 교체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청소 또는 교체 서비스에 대한 승인을 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과 연결 채널을 통하여 청소 또는 교체 서비스에 관한 일정을 조정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하자 또는 이상이 생긴 경우에,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하자 또는 이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센서 모듈(400)과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채널을 형성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센서 모듈(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시간에 동기화하여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재조정된 청소 또는 교체 주기에 따라 청소 또는 교체 알람을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자신의 몸무게, 수면 패턴, 수면 시간 등의 센서 모듈(400)로부터 가공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추천된 상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매 등에 따른 등록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등록한 종류의 매트리스, 해당 매트리스의 교체 시기 및 청소 시기를 설정하거나 기 설정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센서 모듈(400)을 통하여 압력, 습도, 온도 등의 센싱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센싱한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수면 패턴 등의 정보를 저장 및 가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가공된 정보를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가공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 물품을 추천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교체 시기 또는 청소 시기가 도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지역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로 교체 또는 청소에 대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일을 할당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일을 할당할 때, 이미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에 할당된 지역, 예약시간 등을 제외하고 스케줄이 가능한 단말로 일을 할당하도록 스케줄을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에서 청소 또는 교체의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 무상인 경우에는 과금을 하지 않고, 유상인 경우에는 과금을 하도록 명세서를 작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하자 또는 이상에 대한 데이터가 접수된 경우, 교체 또는 청소 시기를 재설정하는 서버일 수 있고, 하자인 경우에는 무상으로, 사용자의 사용 잘못으로 인한 이상인 경우에는 유상으로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로 과금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400)은, 매트리스 내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모듈(400)은 메쉬 형태(Mesh Type)으로 배치되어 총 무게도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어느 좌표에 어느 정도의 압력이 가해졌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측정된 시간에 매핑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400)은, 시간에 따른 압력의 변화 뿐만 아니라, 어느 시간에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졌는지, 즉 어느 시간에 사용자가 취침을 하고, 어느 시간에 사용자가 기상을 했는지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이는 역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취침을 하지 않고 누워있을 경우도 많으므로, 사용자 단말(100)이 마지막으로 이용된 시간 및 취침 시간 이후에 처음으로 이용된 시간을 고려하여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기상 시간 및 취침 시간, 잠에 들기까지의 시간을 계산하는 입력값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모듈(400)은,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몸무게의 변화까지 별도의 웨어러블 장치나 측정기계가 없을지라도 침대에 눕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도록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400)은, 사용자가 잠을 잘 때 땀을 많이 흘리는지, 방 자체의 습도가 높은지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습도가 높거나 사용자가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에는,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교체 시기나 청소 시기를 계산할 때, 디폴트 값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교체 시기나 청소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진드기나 땀에 의한 오염을 적절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은,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청소 또는 교체를 시행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은,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청소 또는 교체를 할당받는 경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청소해야 할 어셈블리가 무엇인지, 교체해야 할 어셈블리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기 할당된 업무와 할당받은 업무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은, 교체 또는 청소가 완료되는 경우, 완료 보고를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의 어셈블리가 적층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가 청소 및 교체 시기가 설정되는 일 실시예 및 해당 시기가 변경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와 교체와 청소주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추출부(320), 저장부(330), 알림 전송부(340), 재설정부(350), 청구부(360) 및 할당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로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은,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는, 매트리스를 구입을 하는 것이 목표였던 세대가 지나, 어떻게 관리를 하여 건강한 삶을 이룰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진 요즘, 매트리스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미연에 예방하도록 적절한 청소 시기나 교체 시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시기에 변화가 발생하는 요인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요인을 반영하여 시기를 증감시킴으로써, 개개인마다 다른 신체 특성, 수면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지는 청소 시기나 교체 시기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고비용의 매트리스를 일괄적인 기준에 맞추어 교체할 시기가 되지 않았는데 교체를 한다거나, 교체할 시기가 도과하였는데도 바꾸지 않아 사용자에게 문제가 발생하는 요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방법적인 방법 이외에도 매트리스 자체를 어셈블리화하여 매트리스를 제공하고, 어셈블리별로 교체 시기 및 청소 시기를 설정하고, 사용자 맞춤화를 진행하는데, 이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프로세스적인 시퀀스를 먼저 도 2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매트리스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매트리스는,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는, 매트리스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다른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베이스 코어 매트(Base Core Mat, 450) 상에 위치하는 기 설정된 탄성을 초과하는 고탄성의 폼으로 형성된 고탄성 폼(High Elastic Foam, 4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는,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y)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별로 교체 시기 및 청소 시기가 기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는, 고탄성 폼(440) 상에 위치하고 기억형상물질로 형성된 컴포트 폼(Comport Foam, 430)과, 컴포트 폼(430)을 포함한 어셈블리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항균처리, 진드기 방지, 방수, 방오, 및 방진 처리가 된 물질로 형성된 서브 커버(Sub Cover,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커버(41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메인 커버(410)와 베이스 코어 매트(450)는 교체나 청소의 객체에서 배제될 수 있다. 다만, 메인 커버(410)와 베이스 코어 매트(450)는 교체나 청소의 객체에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고탄성 폼의 교체주기는 12개월, 컴포트 폼의 교체주기는 18개월 및 서브 커버의 교체주기는 12개월이 디폴트로 설정되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체주기는 증감될 수 있다. 물론, 각 디폴트의 값은 상술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고, 재료, 각 어셈블리를 이루는 밀도, 경도, 물질, 크기, 부피 등에 따라 각각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는, 각 물질 등에 따라 다른 내구연한을 적용하고, 각각의 상이한 내구연한별로 교체를 함으로써 경제적이며 적절한 관리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추출부(320)는, 트리스의 정보에 포함된 매트리스의 종류 및 구입시기로부터, 매트리스의 종류 및 구입시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는 기 설정된 디폴트값이 있으나, 증감될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330)는, 추출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알림 전송부(340)는, 청소 시기가 도래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청소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청소 알람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고,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교체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교체 알람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경우란, 관리 단말(500)로 스케줄을 할당하고 교체가 이루어지는데 걸리는 기간을 고려하여 그 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스케줄을 할당하고 이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5영업일이고, 교체 시기가 12월 25일인 경우, 5영업일 전인 12월 18일에 교체 알람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고객과 관리자가 스케줄을 잡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그 전에 교체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물론 그 후에 교체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도 물론 아니다.
재설정부(350)는, 저장부(330)에서 추출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매트리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에 대한 이상 데이터가 접수된 경우, 이상 데이터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재설정부(350)는, 추출된 키워드가 제품 하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키워드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지 또는 추출된 키워드가 제품 오사용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키워드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재설정부(350)는, 추출된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제품 교체 단축 기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제품 교체 단축 기간에 기초하여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재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재설정부(350)는, 재산출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매트리스에 커피를 엎질렀어요 어쩌죠?"라는 문의글이 업로드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엎지르다"라는 것은 주어가 어떠한 동작을 한다는 능동형으로 사용되었고, 문장의 주어가 생략되었더라도 주어가 사용자인 것을 알 수 있고, 문장의 주어(사용자)가 실수를 했다는 것을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에 의해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키워드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여 자연어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송한 문장이 누구의 과실인지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과실이고, 교체나 청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관리 단말(500)로 할당함으로써 처리를 하도록 하되, 누구의 잘못인지를 관리 단말(500)로부터 입력받음으로써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정보는 히스토리 로그(History Log)로 쌓일 수 있고, 쌓인 로그를 빅데이터로 수집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학습시켜 질의(Query)를 자연어 처리하고, 자연어 처리된 질의에 대한 대답을 사용자의 잘못 여부를 묻도록 하는 경우, 자동으로 과금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제품의 하자인지, 사용자의 과오로 인한 불량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교체 시기 또는 청소 시기는, 이후에 센서 모듈(400)로부터 수신한 감지 데이터를 이용해서도 변경될 수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청구부(360)는, 재설정부(350)에서 추출된 키워드가 제품 하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키워드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지 또는 추출된 키워드가 제품 오사용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키워드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추출된 키워드가 제품 오사용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키워드인 경우, 청소 시기 또는 교체 시기에 사용자 단말(100)로 비용청구가 되도록 비용청구 메타데이터를 사용자 정보에 태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에 서비스에 대한 청구가 인력에 의하지 않고도 오류없이 자동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자동화될 수 있다.
할당부(370)는, 알림 전송부(340)에서 청소 시기가 도래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청소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청소 알람 메세지를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청소 알람 메세지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로부터 주소 정보와 매트리스의 종류를 이용하여 청소 요청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관리 단말(500)로 전송하여 할당할 수 있다. 즉, 어떤 종류의 매트리스나 어떤 종류의 어셈블리를 청소하는지를 알아야 이에 대응하는 청소도구만을 가져갈 수 있고, 이를 위한 청소도구를 가져가지 않아 두 번 걸음하는 경우를 제거할 수 있다.
할당부(370)는, 알림 전송부(340)에서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교체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교체 알람 메세지를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교체 알람 메세지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로부터 주소 정보와 매트리스의 종류를 이용하여 교체 요청 메세지를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관리 단말(500)로 전송하여 할당할 수 있다. 청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체하고자 하는 어셈블리가 어떤 종류의 어셈블리인지를 알아야 관리자가 재고를 확보하고 준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매트리스는,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및 분포를 측정하는 압전 센서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함된 압전 센서 모듈(400)은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되어 압전 센서 모듈(400)에서 측정한 압력의 크기 및 좌표를 공유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압력의 크기 및 좌표를 시간에 동기화하여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시간에 동기화된 압력의 크기 및 좌표에 기반하여 교체 시기를 증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무게가 40kg인 사람과, 몸무게가 140kg인 사람의 매트리스 수명 차이는 가해지는 압력 등에 따라 존재할 수 밖에는 없다.
이때, 압전 센서 모듈(400)은,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습도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등일 수 있다. 즉, 자주 뒤척이는지, 한 쪽에서만 자는지, 얼마나 오래 누워있는지, 어느 부위에 집중적으로 누워있는지, 전기 장판을 사용하는지(메모리 폼의 수분 증발로 인한 수명 짧아짐), 땀이 많이 나는지, 집이 습한지, 햇볕이 충분히 들어오는지(곰팡이나 진드기 문제) 등에 따라 교체시기는 각각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집에 반려동물이 있는지, 아기가 있는지 등의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될 수 있고, 매트리스의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또는 센서 모듈(400)로부터 수집함으로써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각의 어셈블리의 청소 또는 교체 주기를 증감시키도록 재설정할 수 있고,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교체해야할 어셈블리를 교체하지 않거나, 교체하지 않아야할 어셈블리를 교체하여 비용을 낭비하는 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매트리스는 전체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각 어셈블리의 사용연한 및 사용자의 이용 특성에 따라 증감되어 개별적으로 교체 또는 청소가 이루어지므로, 복수의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의 어셈블리만 손상이 되어도 매트리스 전체를 교체하는 일이 없고, 비용을 절감 및 웰빙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서, 센서 모듈(400)은 일조량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조량 센서는 곰팡이가 필 가능성이나, 진드기가 서식할 환경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입력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모듈(400)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일조량 센서와 함께 매트리스의 가용연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기장판 등의 사용 여부 등도 추출할 수 있는 입력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모듈(400)은,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클리닝 주기, 교체 주기를 증감할 때 입력 데이터로 이용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집된 정보와 연동하여 질의를 생성하고, 생성된 질의에 대한 답변을 도출함으로써 교체 주기를 증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100)로 사용자의 신체 정보, 수면 주기 등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가 땀을 흘리거나, 척추가 휘어서 좋지 않은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기본적으로 몇 번을 뒤척이고 자는지, 어느 부분의 쿠션이나 프레임이 약해졌는지를 알려주며, 매트리스를 어떻게 배치를 해야 쿠션이 꺼지지 않을 수 있는지를 알려줄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서,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의 수면습관 및 몸무게, 척추 상태에 따른 건강식품과 치료를 추천해줄 수 있으며, 몸무게나 수면시간이 달라지는 것을 자동으로 체크해줄 수도 있다.
또한,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 및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센서 모듈(400)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와, 복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여기서, 인공신경망 딥러닝은, 정보가 정형 데이터가 아니고, 이를 분석할 때 유용할 수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에서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체를 합쳐가면서 최종적으로 유사 특성의 그룹을 발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허리 디스크 그룹이 있을 수 있고, 목 디스크 그룹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매트리스 이용자의 그룹을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하고,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후 새로운 사용자가 이용을 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허리 디스크가 있다면, 존재했던 허리 디스크 이용자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신규 이용자를 분류해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분석하는 매트리스의 구성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 커버(420)는, 기존 커버의 항균성, 알러지 예방, 진드기 방지 등 기능성 커버는 세탁 횟수에 따라 기능이 쇠퇴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교체주기가 2개월 1회 세탁, 총 6회 세탁 후인 경우 교체 진행하고, 교체 주기 12개월로 설정될 수 있다.
메인 커버(410)는, 시대별, 계절별 흐름에 따른 디자인 변경에 대한 사용자 요구, 제품의 하자 등 대해서 메인커버 교체가 될 수는 있지만, 주기적인 교체품은 아니다. 다만, 주기적인 교체품으로 설정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컴포트 폼(430)은, 매트리스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주기 위하여 사용자의 체형 등 맞춤을 위한 메모리 폼 또는 라텍스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컴포트 폼(430)의 재질을 메모리 폼이나 라텍스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컴포트 폼(430)이 메모리 폼으로 사용된 경우, 메모리 폼의 성능이나 물질의 조합 등으로 달라질 수 있지만, 평균편차상 메모리 폼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시점인 18개월로 교체주기가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메모리 폼의 종류, 기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메모리 폼이 아닌 경우에도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고탄성 폼(440)은, 매트리스에 메모리 폼만을 적용하는 경우, 과도하게 내려가는 느낌을 보완하기 위하여 적용되고, 기존의 매트리스 탄성감을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고탄성 폼(440)이 기능을 발휘하는 시점은 사전에 측정되어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고, 물론 컴포트 폼(430)과 마찬가지로 재료, 물질 및 배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교체 주기는 12개월로 설정될 수 있고, 변경가능하다.
베이스 코어 매트(Base Core Mat, 450)는, 기존의 스프링 매트리스의 경우 사용자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처짐 등의 하자가 발생률이 높고 해당 하자 부분에 대한 개선이 어려움으로 인하여, 에어 매트의 경우 하중이 집중되어도 전체의 공기량으로 하중을 지지하므로 일부분의 처짐 등의 하자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주기적인 교체 부품은 아니지만, 교체가 되는 부품(어셈블리)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는, 디폴트로 기 설정된 교체 및 클리닝 주기로 교체 및 클리닝 서비스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교체 및 클리닝 주기를 증감하도록 변경시키는 것을 주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a)에서는 소비자 요구에 따른 매트리스의 구성 부품(어셈블리)을 교체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고, (b)에서는 디폴트로 설정된 교체 주기에 따라 교체가 이루어지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며, (c)에서는 디폴트로 설정된 클리닝 주기에 따라 청소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우선,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매트리스 구성 소재 개별 교체에 따른 소재 각각의 교체 시기, 교체 대상, 비용 청구 여부 판단 및 매트리스 클리닝 관리 일정, 기본 고객정보 관리 등의 내용을 처리할 수 있도록, 판매 설치된 제품 및 고객 기본정보 등을 입력받는다.
이때, 정보에는 각각의 제품을 식별하는 제조번호, 매트리스 설치 또는 판매일, 매트리스 판매 유형(일시불/렌탈 등)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입력된 정보는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어셈블리의 교체 일정을 연산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정보 입력과 동시에 매트리스 구성된 개별소재의 교체 일정은 확정될 수 있다. 다만, (a)의 경우에는 확정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다.
(a)를 보면,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이 오사용에 의한 소재 교체인 경우, 정보입력 교체부위를 서브 커버, 메인 커버, 컴포트 폼, 고탄성 폼, 베이스 코어 매트 등으로 각각 구분한 후, 원인 및 내용이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입력된다. 이때, 사용자 요청이 하자에 의한 구성 부품 교체인 경우, 서브 커버, 메인 커버, 컴포트 폼, 고탄성 폼 및 베이스 코어 매트로 각각 구분되어 하자 여부, 원인 및 내용이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입력된 매트리스 제품 정보 및 기본고객 정보는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저장되고,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는 입력된 제품 정보를 통해 서브 커버, 메인 커버, 컴포트 폼, 고탄성 폼 및 베이스 코어 매트의 각 부품에 대한 교체 일자를 연산하고 확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하자 또는 사용자의 요청으로 교체되는 경우에는, 각 어셈블리를 구분한 이후, 하자 여부, 원인, 내용 입력 후 교체일을 기점으로 해당 어셈블리에 대해서만 새로운 교체시기를 확정 및 저장한다.
(b)와 같은 경우에는,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등록된 제품의 매트리스 구성 부품(소재)의 교체 일자는 기 설정되었으므로, 설정된 디폴트 값으로 관리 서비스가 진행되게 된다. 이때, 교체일자가 도래하여 각 어셈블리(소재, 부품, 구성 부품)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서브 커버, 메인 커버, 컴포트 폼, 고탄성 폼 및 베이스 코어 매트의 대상 소재 중 정해진 기간 이전에 확정하여 통보할 수 있다.
(c)와 같은 경우에는,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된 제품의 매트리스 구성 부품(소재)의 클리닝(청소) 일자는 기 설정되었으므로, 설정된 디폴트 값으로 관리 서비스가 진행되게 된다. 이때, 매트리스 클리닝은, 진드기 제거 전용 청소기를 이용한 집진 및 자외선 살균기를 이용한 살균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연산된 교체 해당 품목 통보 및 매트리스 클리닝 일정을 통보하며,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은, 교체 기간 도래 제품의 대상 소재에 대한 정보 및 클리닝 일정에 대한 각 정보 수신하여 교체 처리 및 클리닝 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발송되는 정보에는, 각각의 제품을 식별하는 제조번호, 매트리스 설치/판매 일시, 해당 교환 소재, 클리닝 일정, 매트리스 판매 유형(일시불/렌탈 등) 정보가 발송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 단말(500)은 교체 완료 및 클리닝 관리 결과를 정보입력 하여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처리의 완료를 보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사시도이고,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이다. 또한, (e)는, 매트리스의 사용기한을 나타내는 표인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5의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매트리스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등록한다(S6100).
그리고 나서,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매트리스의 정보에 포함된 매트리스의 종류 및 구입시기로부터, 매트리스의 종류 및 구입시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추출하고(S6200), 추출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한다(S6300).
또한,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청소 시기가 도래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청소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청소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고(S6400),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교체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교체 알람 메세지를 전송한다(S6500). 이때, 매트리스는,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y)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별로 교체 시기 및 청소 시기가 기 매핑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단계들(S6100~S6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6100~S6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6의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매트리스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매트리스의 정보에 포함된 매트리스의 종류 및 구입시기로부터, 상기 매트리스의 종류 및 구입시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청소 시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청소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청소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청소 알람 메세지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로부터 주소 정보와 상기 매트리스의 종류를 이용하여 청소 요청 메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관리 단말로 전송하여 할당하는 단계;
    상기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교체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교체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는,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별로 교체 시기 및 청소 시기가 기 매핑되어 저장된 것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트리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에 대한 이상 데이터가 접수된 경우, 상기 이상 데이터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제품 하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키워드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지 또는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제품 오사용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키워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키워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제품 교체 단축 기간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제품 교체 단축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재산출하는 단계;
    상기 재산출된 청소 시기 및 교체 시기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제품 하자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키워드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지 또는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제품 오사용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키워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제품 오사용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키워드인 경우, 상기 청소 시기 또는 교체 시기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비용청구가 되도록 비용청구 메타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태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시기가 도래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교체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교체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교체 알람 메세지에 대한 응답 메세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로부터 주소 정보와 상기 매트리스의 종류를 이용하여 교체 요청 메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관리 단말로 전송하여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는,
    매트리스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다른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베이스 코어 매트(Base Core Mat) 상에 위치하는 기 설정된 탄성을 초과하는 고탄성의 폼으로 형성된 고탄성 폼(High Elastic Foam);
    상기고탄성 폼 상에 위치하고 기억형상물질로 형성된 컴포트 폼(Comport Foam); 및
    상기 컴포트 폼을 포함한 어셈블리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항균처리, 진드기 방지, 방수, 방오, 및 방진 처리가 된 물질로 형성된 서브 커버(Sub Cover);
    를 포함하고,
    상기 고탄성 폼의 교체주기는 12개월, 상기 컴포트 폼의 교체주기는 18개월 및 상기 서브 커버의 교체주기는 12개월이 디폴트로 설정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교체주기는 증감되는 것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매트리스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및 분포를 측정하는 압전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포함된 압전 센서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어 상기 압전 센서 모듈에서 측정한 압력의 크기 및 좌표를 공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압력의 크기 및 좌표를 시간에 동기화하여 상기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시간에 동기화된 상기 압력의 크기 및 좌표에 기반하여 상기 교체 시기를 증감하는 것인,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147880A 2017-11-08 2017-11-08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65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880A KR101865341B1 (ko) 2017-11-08 2017-11-08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880A KR101865341B1 (ko) 2017-11-08 2017-11-08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341B1 true KR101865341B1 (ko) 2018-06-07

Family

ID=6262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880A KR101865341B1 (ko) 2017-11-08 2017-11-08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3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962B1 (ko) * 2019-10-01 2020-12-22 주식회사 클린베딩 침구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193961B1 (ko) * 2019-10-01 2020-12-23 주식회사 클린베딩 침구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N114152455A (zh) * 2021-10-15 2022-03-08 杭州顾家寝具有限公司 一种床体健康监控方法
KR20220071886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더브라이트 덕트 청소 서비스 시스템 및 청소 서비스의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312A (ko) * 2013-12-30 2015-07-08 코웨이 주식회사 매트리스 탑퍼 교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312A (ko) * 2013-12-30 2015-07-08 코웨이 주식회사 매트리스 탑퍼 교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962B1 (ko) * 2019-10-01 2020-12-22 주식회사 클린베딩 침구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193961B1 (ko) * 2019-10-01 2020-12-23 주식회사 클린베딩 침구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071886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더브라이트 덕트 청소 서비스 시스템 및 청소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2619903B1 (ko) * 2020-11-24 2024-01-04 주식회사 더브라이트 덕트 청소 서비스 시스템 및 청소 서비스의 제공 방법
CN114152455A (zh) * 2021-10-15 2022-03-08 杭州顾家寝具有限公司 一种床体健康监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341B1 (ko) 어셈블리 기반 매트리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Hällfors et al. Shifts in timing and duration of breeding for 73 boreal bird species over four decades
Knapp et al. Resolving the Dust Bowl paradox of grassland responses to extreme drought
Phalkey et al.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efforts to quantify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undernutrition
CN107090693B (zh) 一种衣物管理方法、系统、洗衣机和服务器
Pantavou et al. Thermal sensation and climate: a comparison of UTCI and PET thresholds in different climates
CN103780691B (zh) 智慧睡眠系统及其用户端系统和云端系统
King et al. Geographic variation in ambulatory electronic health record adoption: implications for underserved communities
KR101641342B1 (ko)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반려 동물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N105760693A (zh) 智能睡眠监管系统及基于物联网的智能健康睡眠监管控制系统
Rose et al. Asthma prevalence among US adults, 1998–2000: role of Puerto Rican ethnicity and behavioral and geographic factors
CA3087544C (en) System and method for sleep environment management
CN106339579B (zh) 一种移动健康与医疗的饮食控制方法
Ma et al. Reassessing China’s livestock statistics: an analysis of discrepancies and the creation of new data series
US20230139923A1 (en) Computer-implemented platform for tracking and analyzing customer-mattress interactions
CN106326657A (zh) 服药计划的推荐方法及系统
KR102158984B1 (ko) 사용자 맞춤형 매트리스를 추천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obayashi et al. Stochastic rangeland use under capital constraints
Fatima et al. Analysis and effects of smart home dataset characteristics for daily life activity recognition
Moon et al. The utility of geodemographic indicators in small area estimates of limiting long-term illness
Merfeld Labor elasticities, market failures, and misallocation: Evidence from Indian agriculture
Liu et al. Identifying determinants of urban water use using data mining approach
Alexandrescu et al. Classifying hospitals as mortality outliers: logistic versus hierarchical logistic models
Quesada et al. Generation of a partitioned dataset with single, interleave and multioccupancy daily living activities
CN112418716A (zh) 一种基于物理网的床上用品智能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