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768B1 - Method for preventing crack of externally restraints by hydration heat of concrete and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 crack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venting crack of externally restraints by hydration heat of concrete and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 crack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768B1
KR101864768B1 KR1020160094310A KR20160094310A KR101864768B1 KR 101864768 B1 KR101864768 B1 KR 101864768B1 KR 1020160094310 A KR1020160094310 A KR 1020160094310A KR 20160094310 A KR20160094310 A KR 20160094310A KR 101864768 B1 KR101864768 B1 KR 101864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temperature
temperature control
measurement information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1916A (en
Inventor
강원호
김성수
배성재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768B1/en
Publication of KR20180011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9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7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한 외부 구속 균열 방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은, 기 타설된 제1 콘크리트와 접촉하여 타설되는 제2 콘크리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측정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온도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온도 측정 장치; 상기 제1 콘크리트에 설치되고, 입력되는 온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콘크리트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 및 상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콘크리트의 온도가 상기 온도 측정 정보와 기 설정된 온도차 이내가 되도록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상기 가열 장치로 전송하는 온도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preventing external restraint cracking due to the heat of hydration of concrete and a concrete crack preventing system using the same. Specifically, the concrete crack preve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ncrete placed in contact with the preexisting first concrete, measur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 he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first concrete and heating the first concrete according to an inputted temperature control signal;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is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

Description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한 외부 구속 균열 방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METHOD FOR PREVENTING CRACK OF EXTERNALLY RESTRAINTS BY HYDRATION HEAT OF CONCRETE AND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 CRACK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external cracking due to heat of hydration of concrete, and a concrete crack preventing system using the same.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크리트의 균열 방지 기술과 관련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echniques for preventing cracking of concrete.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토목공사에서 구조재료로 매우 빈번히 이용되는 재료로 자연재료인 흙을 제외하면 사용량이나 사용빈도가 제일 높으며, 대부분의 경우 콘크리트는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물을 만드는데 이용된다. 콘크리트는 자갈, 모래, 물 그리고 시멘트를 계산된 비율로 혼합하여 만드는데, 혼합 초기에는 유동성이 낮은 액체의 상태로 존재하고 거푸집 속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굳게 되면 경화되면서 점차 강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강도증가는 수화반응(hydration)에 의해 가능하고 수화반응시에 화학반응에 의한 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수화열이라고 한다. In general, concrete is a material frequently used as a structural material in civil engineering work. Excluding soil which is a natural material, it is used most frequently and is used most frequently. In most cases, concrete is used to make a structure for supporting a load. Concrete is made by mixing gravel, sand, water and cement at a calculated ratio. In the early stage of mixing, the concrete is in a state of low fluidity. When it hardens in time, it hardens and gradually increases in strength. The increase in strength is possible by hydration, and heat is generated by chemical reaction during hydration reaction, which is called hydration heat.

건설분야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형상에 따라 일정 시차를 두고 구조물이 서로 분리되어 복수회 타설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대형 타워, 교각, 교량, 벽체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일정 시차를 두고 복수회 타설됨으로써 생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물은 콘크리트가 유체로 거동하므로 형상의 특성에 따라 분리 타설이 불가피하다. Concrete structures in the construction field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time interval depending on the shape thereof, and may be poured multiple times. For example, a concrete structure such as a large tower, a pier, a bridge, a wall, and the like is generated by being poured a plurality of times with a certain time lag. Since the concrete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behaves as a fluid, it is inevitable to install the concret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먼저 타설한 콘크리트(즉, 기초 콘크리트) 위에 벽체를 추가로 타설할 경우, 기초 콘크리트는 굳고 수화열이 거의 소멸하여 주위 온도에 근접하는데 반하여 새로 타설하는 콘크리트는 수화열이 발생하여 발열 및 냉각 과정을 거쳐 수축하게 된다. 새로 타설한 콘크리트의 수축을 먼저 타설한 콘크리트가 구속하게 되는 것을 외부구속이라 하며, 외부구속의 결과로 새로 타설한 콘크리트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발생한 인장응력 값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넘으면 균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수화열에 의한 외부 구속 균열이라 한다.In the case of placing additional concrete walls on the concrete (ie, foundation concrete) laid down first, the foundation concrete hardens and the hydration heat almost disappears and the ambient temperature is close to that of the newly laid concrete, hydration heat is generated, . It is known that external restraint is the restraint of the concrete placed first, and the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the newly installed concrete as a result of external restraint. When the tensile stress value exceed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ncrete, This is called external restraint crack due to heat of hydration.

예를 들어, 기초 콘크리트와 분리하여 타설되는 벽체 콘크리트와 같이 구속되는 면이 넓어서 구속도가 높은 경우, 인장응력에 저항하기 힘들게 되어 외부 구속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concrete having a large restrained surface such as a wall concrete placed separately from a foundation concrete, it is difficult to resist tensile stress and external restraint cracking occurs.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종래의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의 온도 및 응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Here, referring to FIG. 1, FIG. 1 is a graph showing a temperature and a stress in a newly installed concrete.

도 1을 (a)를 참조하면,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타설 시 수화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타설된 시간으로부터 12시간에서 24시간 정도의 시간 동안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며, 최고 온도에 도달하고, 이후 36시간에서 60시간까지 온도가 감소하여 주위 온도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된다. 또한, 도 1의 (b)를 참조하면,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팽창함으로써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수축하게 되고, 기초 콘크리트는 주위 온도와 비슷한 온도이므로 큰 체적 변화가 없어서 두 콘크리트의 온도차에 따른 변형률의 차이가 구속응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a), the newly installed concrete is subjected to hydration heat at the time of pouring, so that the temperature rapidly increases for a period of about 12 to 24 hours from the time of pouring, Then the temperature decreases from 36 hours to 60 hours and becomes equal to or similar to the ambient temperature. Also, referring to FIG. 1 (b), the newly laid concrete is expanded as the temperature rises and compressive stress is generated. Since the new concrete is shrinking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and the base concrete is at a temperature close to the ambient temperature, there is no large volume change, and the difference in strain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two concrete causes confining stress.

그러나,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온도가 하강하여 콘크리트의 수축이 발생하는 경우, 기초 콘크리트가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구속함에 따라(즉, 구속 인장력이 발생함에 따라)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인장응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지 않은 상태이므로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하는 균열은 벽 두께를 관통하는 균열로 누수로 사용성이 저하하거나 2차적인 철근의 부식으로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f the concrete is shrunk due to the temperature drop of the new concret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newly installed concrete is restrained by the newly installed concrete (that is, due to the restraint tensile force) Tensile stress is applied. In this way, when tensile stress is generated, cracks are generated because the newly laid concrete does not have a sufficient tensile strength. Cracks that occur are cracks that penetrate the wall thickness, resulting in poor usability due to leakage, and secondary durability of the steel due to corrosion of the rebar.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55285호(2012.06.04)Korean Patent No. 10-1155285 (June 4, 201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의 온도가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온도와 유사하도록 기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기초 콘크리트 간의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한 외부 구속 균열 방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foundation concret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oundation foundation concrete is similar to the temperature of the newly laid concrete so that the external restraint crack due to the heat of hydration of the concrete between the newly installed concrete and the foundation concrete And a concrete crack prevent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은, 기 타설된 제1 콘크리트와 접촉하여 타설되는 제2 콘크리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측정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온도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온도 측정 장치; 상기 제1 콘크리트에 설치되고, 입력되는 온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콘크리트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 및 상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콘크리트의 온도가 상기 온도 측정 정보와 기 설정된 온도차 이내가 되도록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상기 가열 장치로 전송하는 온도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The concrete crack preve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second concrete placed in contact with a preexisting first concrete and generates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 he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first concrete and heating the first concrete according to an inputted temperature control signal;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is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제1 콘크리트에서 상기 제2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의 온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heating device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a temperature change of a portion of the first concrete contacting the second concrete may occur.

상기 온도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주위의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콘크리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간의 온도차를 확인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can confirm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and the first concrete using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round the first concrete.

상기 온도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와 상기 제1 콘크리트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차 이상 나지 않도록 온도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do not exceed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상기 온도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 변화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 변화율에 따라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may check the rate of chang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by using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may generate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ate of chang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한 외부 구속 균열 방지 방법은, 온도 제어 장치가, 기 타설된 제1 콘크리트와 접촉하여 타설되는 제2 콘크리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측정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온도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온도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제어 장치가,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콘크리트의 온도가 상기 온도 측정 정보와 기 설정된 온도차 이내가 되도록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상기 가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eanwhile, a method for preventing external restraint cracking due to hydration heat of a concre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installed in a second concrete placed in contact with the preexisting first concrete, Receiving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a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that generates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is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제1 콘크리트에서 상기 제2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의 온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heating device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a temperature change of a portion of the first concrete contacting the second concrete may occur.

상기 제2 콘크리트와 제1 콘크리트 간의 온도차를 확인하여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가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제어 장치가,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주위의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콘크리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간의 온도차를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The step of confirm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and the first concrete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may be performed by using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round the first concrete And check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and the first concrete.

상기 제2 콘크리트와 제1 콘크리트 간의 온도차를 확인하여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가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제어 장치가,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와 상기 제1 콘크리트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차 이상 나지 않도록 온도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check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and the first concrete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comprises the step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And generating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so as not to cause an abnormality.

상기 제2 콘크리트와 제1 콘크리트 간의 온도차를 확인하여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가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제어 장치가,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 변화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 변화율에 따라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confirm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and the first concrete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comprises the step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second concrete by using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internal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second concre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초 콘크리트의 표면 온도를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기초 콘크리트의 온도 차를 최소화하여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heating device so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oundation concrete reach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newly installed concret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newly installed concrete and the foundation concrete is minimized, .

도 1은 종래의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의 온도 및 응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를 제어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방지 방법에 따른 흐름도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and stress in a newly installed concrete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crete crack preve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concrete is not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a case where temperature of concrete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crete crack preve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illustrating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one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 transmission ", "transmission "," transmission ", "reception ", and the like, of a signal or information refer not only to the direct transmiss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But also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a signal or information to an element is indicative of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not a direct destination. This is the same for "reception" of a signal or information.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fact that two or more pieces of data or information are "related" means that when one piece of data (or information) is acquired,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data (or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ased there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를 제어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한 그래프이다. 3 is a graph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concrete is not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 cas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concre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100)은 가열 장치(102), 온도 측정 장치(104) 및 온도 제어 장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crete crack prevent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ting device 102,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4,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온도 측정 장치(104)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셀룰라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온도 제어 장치(106)와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온도 제어 장치(106)의 예들은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데스크탑, 노트북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 장치(10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104 may be a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cellular network, the Internet, 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g., Bluetooth, WiFi, And i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in a mutually communicable manner. Examples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 MP3, a tablet PC,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가열 장치(102)는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 장치(102)는 제1 콘크리트(10)의 표면에 설치되어 온도 제어 장치(106)의 제어에 따라 가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크리트(10)란 기 타설되어 굳어있는 콘크리트를 의미한다. 가열 장치(102)는 예를 들어, 전열 방식, 온수 보일러 방식 등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열되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장치일 수 있다. 가열 장치(102)는 온도 제어 신호에 따라 가열됨으로써,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제어 신호란 온도 제어 장치(106)가 상기 가열 장치(102)의 작동 여부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The heating device 102 can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Specifically, the heating device 102 may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10 and he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Here, the first concrete 10 refers to concrete that is hardened and hardened. The heating device 102 may be a device made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n electric heating system, a hot water boiler system, or the like, which is heated by a user's operation. The heating device 102 can be he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Here,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may mean a signal for notifying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whether or not the heating device 102 is operating.

온도 측정 장치(104)는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콘크리트(20)란 제1 콘크리트(10)와 맞닿아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2 콘크리트(20)가 타설되는 경우, 온도 측정 장치(104)는 제2 콘크리트(20)의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철근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측정 장치(104)는 예를 들어, 온도 센서 등과 같이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는, 온도 측정 장치(104)가 철근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측정 장치(104)는 제2 콘크리트(20) 내부 온도의 측정이 가능한 모든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온도 측정 장치(104)는 온도 측정 정보를 온도 제어 장치(106)로 전송한다. 여기서, 온도 측정 정보란 온도 측정 장치(104)에서 수집된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측정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4 can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Here, the second concrete 20 refers to a concrete newly pu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crete 10.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4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ars installed for the placement of the second concrete 20 to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can do.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4 may be various devices capable of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such as, for example, a temperature sensor. Here,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4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a part of the reinforcing ba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4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whe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can be measured Of course. The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104 transmits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 Here,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may refer to an internal measured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collected by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4.

온도 제어 장치(106)는 제1 콘크리트(10)에 설치된 가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제어 장치(106)는 온도 측정 장치(104)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가열 장치(102)를 가열하거나, 가열 장치(102)의 가열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가 제2 콘크리트(20)의 온도차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열 장치(102)는 상기 제1 콘크리트(10)에서 제2 콘크리트(20)가 접촉되는 부분의 온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102)는 상기 제1 콘크리트(10)에서 제2 콘크리트(20)가 접촉되는 부분의 연장선에 있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first concrete 10.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is configured to heat the heating device 102 based o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4, or adjust the heating intensity of the heating device 102, May be such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second concrete 2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t this time, the heating device 102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portion of the first concrete 10 where the second concrete 20 is contacted may occur. For example, the heating device 102 may be installed on a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concrete 10 to a portion where the second concrete 20 contacts.

여기서,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를 제어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제1 콘크리트(10) 표면의 온도 곡선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콘크리트(10)는 주위 온도와 동일 또는 유사한 온도를 가지게 되고, 도 3의 (a)와 같은 온도 곡선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 곡선(즉, 도 3의 (a))과 제2 콘크리트(20) 내의 온도 곡선(즉, 도 1의 (a))을 비교하면,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와 제1 콘크리트(10)의 표면 온도에 큰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콘크리트(20)의 온도가 하강하면서 수축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2 콘크리트(20)는 인장응력을 받게 되어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a), the temperature curve of the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10 can be confirm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is not controlled. The first concrete 10 has the same or similar temperature as the ambient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curve as shown in FIG. 3 (a) is displayed. 3 (a)) of the first concrete 10 is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curve (i.e., FIG. 1 (a)) of the second concrete 20, the second concrete 20 )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econd concrete 20 shrinks a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falls, and thus the second concrete 20 receives tensile stress and cracks are generated.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를 제어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제2 콘크리트(20)의 응력곡선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콘크리트(20)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팽창되기 때문에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제2 콘크리트(20)는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수축하게 되고, 제1 콘크리트(10)와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며, 두 콘크리트의 온도차에 따른 변형률의 차이가 구속응력을 발생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 3 (b), the stress curve of the second concrete 20 can be confirm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is not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since the second concrete 20 expands as the temperature rises, compressive stress is generated. Thereafter, the second concrete 20 shrinks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a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first concrete 10 occurs, and a difference in strain due to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the two concrete generates a constraining stress.

온도 제어 장치(106)는 상기 도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제1 콘크리트(10)와 제2 콘크리트(20)의 온도차로 발생되는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콘크리트(10)에 설치된 가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제어 장치(106)는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가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와 유사한 온도가 되도록 가열 장치(102)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한 온도란 제1 콘크리트(10)가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에 가까운 온도가 되기 위한 온도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temperature controller 106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in order to prevent cracking of the concrete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oncrete 10 and the second concrete 20, Lt; / RTI >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heat the heating device 102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becomes a temperature similar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Here, the similar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at which the first concrete 10 becomes a temperature close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온도 제어 장치(106)는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와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차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온도 제어 장치(106)는 가열 장치(102)가 가열되도록 온도 제어 신호를 가열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와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차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온도 제어 장치(106)는 가열 장치(102)를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온도 제어 장치(106)가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와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차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가열 장치(102)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온도 제어 장치(106)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열 장치(10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제어 장치(106)는 실제 작업이 일어나는 환경, 콘크리트 타설 시간, 주위 온도 및 습도 등에 따른 환경 요인들에 따른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열 장치(102)를 제어함으로써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가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와 유사한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ontrols the heating device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102 so that the heating device 102 is heate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may stop the heating device 102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first concrete 10 a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Here, the temperature controller 106 check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first concrete 10, and controls the heating device 102 according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control the hea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ontrols the hea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ccording t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environment where the actual operation takes place, the concrete placement time,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is equal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온도 제어 장치(106)는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를 통해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 변화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제어 장치(106)는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를 확인하여 내부 온도의 변화율을 확인할 수 있다. 온도 제어 장치(106)는 확인한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 변화율에 따라 가열 장치(102)의 가열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제어 장치(106)는 온도 측정 정보를 통해 제2 콘크리트(20)가 수화열에 의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제2 콘크리트(20) 내부 온도의 상승율에 대응하여 가열 장치(102)를 강하게 가열하기 위한 온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온도 제어 장치(106)는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와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 차가 기 설정된 범위 내가 되도록 가열 장치(102)의 가열을 정지하거나, 가열되는 세기를 약하게 조절하기 위한 온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confirm the rate of chang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through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check the change rat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by check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in real time 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adjust the heating intensity of the heat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rate of change 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that has been confirmed. For exampl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onfirm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is rapidly rising due to the heat of hydration through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To generate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for strongly heating the device 102. [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is lowered, the temperature controller 106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such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and the first concrete 1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102, or to generate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for weakly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heating.

이와 같이, 온도 제어 장치(106)는 제1 콘크리트(10)의 표면을 가열한 뒤 냉각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와 와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차 이내가 되도록 가열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가열과 냉각 시점을 제2 콘크리트(20)의 온도 곡선(즉, 발열 특성)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도 제어 장치(106)는 제1 콘크리트(10)와 제2 콘크리트(20) 간의 온도차와 이에 따른 체적 차이를 줄여 구속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are se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are preliminarily set The heating and cooling times can be made to correspond to the temperature curve (i.e.,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concrete 20 by adjusting the heating intensity to be with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Accordingly,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06 can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oncrete 10 and the second concrete 20, and thus the volume difference, thereby reducing the constraining stress.

여기서, 도 4의 (a)를 참조하면, 도 4의 (a)는 온도 제어 장치(106)가 가열 장치(102)를 가열하여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를 제어함에 따라 측정되는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a)와 같이 온도 제어 장치(106)가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를 온도 측정 장치(104)로부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에 따라 제어할 때의 온도 곡선은 제2 콘크리트(20) 내의 온도 곡선(즉, 도 1의 (a))과 유사한 온도 곡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a)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rst concrete 10 measured by heating the heating device 102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10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curve of the concrete. The temperature curve at the time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4 as shown in FIG. (Fig. 1 (a))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heat source (e.g.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도 4의 (b)는 온도 제어 장치(106)가 가열 장치(102)를 가열하여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를 제어함에 따라 확인되는 제2 콘크리트(20)의 응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2 콘크리트(20)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팽창하게 되어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제2 콘크리트(20)는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수축하게 된다. 이때,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가 온도 제어 장치(106)에 의해 제2 콘크리트(20)의 온도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어됨으로써, 두 콘크리트의 온도차에 따른 구속응력이 발생되지 않거나 아주 작게 발생되게 된다. 4 (b),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heats the heating device 102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FIG. 7 is a graph showing a stress curve of the concrete 20; FIG. The second concrete 20 expands as the temperature rises and compressive stress is generated. Thereafter, the second concrete 20 shrinks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is controlled to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b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so that no constraining stress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two concrete, .

온도 제어 장치(106)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가열 장치(102)를 제어하여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콘크리트(10)와 제2 콘크리트(20)의 온도가 유사하도록 조절하고, 체적 차이를 줄이게 되어 구속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온도 제어 장치(106)는 구속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구속응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2 콘크리트(20)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ontrols the heating device 102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so that the temperatures of the first concrete 10 and the second concrete 20 are similar And the volume difference is reduced, so that the constraining stress can be reduced. Thus,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prevent cracking of the second concrete 20 caused by the restraining stress by reducing the restraining stres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 방지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crete crack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method is described by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steps. However, at least some of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sequence, combined with other steps, performed together, omitted, divided into detailed steps, Step may be added and performed. Also, one or more steps not shown i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erformed with the method.

도 5를 참조하면, 온도 제어 장치(106)는 온도 측정 장치(104)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한다(S502). 구체적으로, 온도 제어 장치(106)는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 측정 장치(104)로부터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에 대한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receives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104 (S502).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receiv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from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4 installed inside the second concrete 20.

다음으로, 온도 제어 장치(106)는 수신된 온도 측정 정보를 통해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가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와 유사한 온도가 되도록 가열 장치(102)를 가열한다(S504). 구체적으로, 온도 제어 장치(106)는 제2 콘크리트(20)의 내부 온도와 유사하도록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체적 차이를 줄이게 되어 구속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온도 제어 장치(106)는 구속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구속응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2 콘크리트(20)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Next, th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106 heats the heating apparatus 102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becomes a temperature similar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through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S504 ).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10 so as to be similar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20, thereby reducing the volume difference and reducing the restraining stress. Thus,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prevent cracking of the second concrete 20 caused by the restraining stress by reducing the restraining stress.

예를 들어, 온도 제어 장치(106)는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와 주위 온도를 비교하여 온도차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콘크리트(10)는 주위 온도와 비슷한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온도 제어 장치(106)는 온도 측정 정보와 주위 온도의 온도차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지 않도록, 가열 장치(102)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 제어 장치(106)는 상기 생성한 온도 제어 신호를 가열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제어 장치(106)는 상기 생성한 온도 제어 신호를 가열 장치(102)로 전송하여 가열 장치를 가열시키거나 가열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온도 제어 장치(106)는 가열 장치(102)의 제어를 통해 제2 콘크리트(20)와 제1 콘크리트(10)의 온도차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check the temperature difference by comparing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with the ambient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first concrete 10 may exhibit a temperature similar to the ambient temperatur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generate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eating device 102 so that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temperature do not differ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transmit the generated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102. [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transmit the generated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102 to heat the heating device or to stop the heating.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can control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20 and the first concrete 10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the control of the heating device 102.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않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illustrating a computing environment 1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of the components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capabilities than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ose not described below.

도시된 컴퓨팅 환경(1)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가열 장치(102)의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예를 들어, 온도 제어 장치(106))일 수 있다. The illustrated computing environment 1 includes a computing device 12. In one embodiment, computing device 12 may be a device (e.g., temperature control device 106) that controls the temperature of heating device 102.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1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4,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The processor 14 may cause the computing device 12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exemplary embodiment discussed above. For example, processor 14 may execute one or more programs stored o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The one or more programs may include one or m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14 cause the computing device 12 to perform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illustrative embodiment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6 is configured to st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program code, program data, and / or other suitable forms of information. The program (2)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6) includes a set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14). In one embodiment,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6 may be any type of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ny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Memory devices, or any other form of storag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the computing device 12 and store the desired information, or any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Communication bus 18 interconnects various other components of computing device 12, including processor 14,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computing device 12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input / output interfaces 22 and one or mor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s 26 that provide an interface for one or more input / output devices 24.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2 and th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 26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18. The input / output device 24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12 via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2. The exemplary input and output device 24 may be any type of device, such as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or trackpad), a keyboard, a touch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d or touch screen), a voice or sound input device, An input device, and / or an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device, a printer, a speaker, and / or a network card. The exemplary input and output device 24 may be included within the computing device 12 as a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12 and may be coupled to the computing device 12 as a separate device distinct from the computing device 12 It is possibl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 컴퓨팅 환경
12: 컴퓨팅 장치
14: 프로세서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통신 버스
2: 프로그램
22: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입출력 장치
26: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 : 제1 콘크리트(분리 타설되는 경우의 먼저 타설되어 굳은 콘크리트)
20 : 제2 콘크리트(분리 타설되는 경우의 새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100 :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
102 : 가열 장치
104 : 온도 측정 장치
106 : 온도 제어 장치
1: Computing environment
12: computing device
14: Processor
16: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8: Communication bus
2: Program
22: I / O interface
24: input / output device
26: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
10: First concrete (concrete poured in the case of separation piling)
20: Second concrete (newly laid concrete in case of separation piling)
100: Concrete crack prevention system
102: Heating device
104: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106: Temperature control device

Claims (11)

기 타설된 제1 콘크리트와 접촉하여 타설되는 제2 콘크리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측정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온도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온도 측정 장치;
상기 제1 콘크리트에 설치되고, 입력되는 온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콘크리트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 및
상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콘크리트의 온도가 상기 온도 측정 정보와 기 설정된 온도차 이내가 되도록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상기 가열 장치로 전송하는 온도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장치는 상기 제1 콘크리트에서 제2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의 연장선에 있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콘크리트에서 제2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의 온도 변화를 발생시키는,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installed in the second concrete placed in contact with the preexisting first concrete to generat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 he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first concrete and heating the first concrete according to an inputted temperature control signal;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is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 / RTI &
Wherein the heating device is installed on a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where the second concrete contacts the extension line to cause a temperature change of a portion of the first concrete contacting the second concr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주위의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콘크리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간의 온도차를 확인하는,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cludes: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and the first concrete is confirmed using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round the first concr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와 상기 제1 콘크리트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차 이상 나지 않도록 온도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cludes:
And generates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so that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and a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do not exceed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 변화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 변화율에 따라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콘크리트 균열 방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cludes:
And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internal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second concrete, by checking the internal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second concrete using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온도 제어 장치가, 기 타설된 제1 콘크리트와 접촉하여 타설되는 제2 콘크리트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측정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온도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온도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도 제어 장치가,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콘크리트의 온도가 상기 온도 측정 정보와 기 설정된 온도차 이내가 되도록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상기 가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콘크리트에서 제2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의 연장선에 있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콘크리트에서 제2 콘크리트가 접촉되는 부분의 온도 변화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한 외부 구속 균열 방지 방법.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concrete placed in contact with the preexisting concrete and generates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Receiving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from a measurement device;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is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temperature change in a portion of the first concrete contacting the second concrete,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of the first concret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crete, Method of constrained crack prevention.
삭제dele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크리트와 제1 콘크리트 간의 온도차를 확인하여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가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제어 장치가,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 및 상기 제1 콘크리트 주위의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콘크리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간의 온도차를 확인하는 단계인,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한 외부 구속 균열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check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and the first concrete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comprises: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a step of confirming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and the first concrete by using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emperature information around the first concrete, Wa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크리트와 제1 콘크리트 간의 온도차를 확인하여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가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제어 장치가,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와 상기 제1 콘크리트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차 이상 나지 않도록 온도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인,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한 외부 구속 균열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check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and the first concrete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comprises: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generates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such that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crete and a temperature of the first concrete do not exceed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크리트와 제1 콘크리트 간의 온도차를 확인하여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가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제어 장치가, 상기 수신한 온도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 변화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제2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 변화율에 따라 상기 온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인,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한 외부 구속 균열 방지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check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concrete and the first concrete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heating device comprises: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check the internal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second concrete using the received temperatur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o generate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l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verified second concrete Method for preventing external restraining cracks due to hydration heat.
삭제delete
KR1020160094310A 2016-07-25 2016-07-25 Method for preventing crack of externally restraints by hydration heat of concrete and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 crack using the same KR1018647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310A KR101864768B1 (en) 2016-07-25 2016-07-25 Method for preventing crack of externally restraints by hydration heat of concrete and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 crac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310A KR101864768B1 (en) 2016-07-25 2016-07-25 Method for preventing crack of externally restraints by hydration heat of concrete and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 crack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16A KR20180011916A (en) 2018-02-05
KR101864768B1 true KR101864768B1 (en) 2018-06-07

Family

ID=6122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310A KR101864768B1 (en) 2016-07-25 2016-07-25 Method for preventing crack of externally restraints by hydration heat of concrete and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 crack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7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2088B (en) * 2021-08-06 2021-11-05 成都建工第五建筑工程有限公司 Temperature control cloud platform and interface setting method of user side
CN113958143A (en) * 2021-09-13 2022-01-21 浙江乔兴建设集团有限公司 Intelligent temperature control system suitable for mass c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CN113961025B (en) * 2021-10-26 2022-06-24 海峡(福建)交通工程设计有限公司 Temperature control system applied to large-volume concrete of lower bearing platform of swivel cable-stayed bridge
CN115288442B (en) * 2022-08-10 2023-10-1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suitable for ultra-thick concrete constru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8260A (en) * 2012-11-14 2014-05-29 Shirakai:Kk Curing management system for concrete structure
JP2015218511A (en) * 2014-05-19 2015-12-07 株式会社安藤・間 Method for preventing temperature crack on concret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568A (en) * 1999-08-12 2001-03-05 신승교 Method for reducing temperature crack in concrete and apparatus the same
KR101155285B1 (en) 2009-11-27 2012-06-18 현대건설주식회사 Reduction Device of Concrete Temperature Gap, Reduction Method using the Device and Structure us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8260A (en) * 2012-11-14 2014-05-29 Shirakai:Kk Curing management system for concrete structure
JP2015218511A (en) * 2014-05-19 2015-12-07 株式会社安藤・間 Method for preventing temperature crack on concret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218511호(2015.12.07.)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16A (en) 201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768B1 (en) Method for preventing crack of externally restraints by hydration heat of concrete and system for preventing concrete crack using the same
Bao et al. Modeling of reinforced concrete assemblies under column-removal scenario
Pham et al. Investigations of tensile membrane action in beam-slab systems under progressive collapse subject to different loading configurations and boundary conditions
Sørensen et al. Test and analysis of a new ductile shear connection design for RC shear walls
Tsai et al. Welded end‐slot connection and debonding layers for buckling‐restrained braces
Murcia-Delso et al. Bond-slip model for detailed finite-element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Di Donna et al. Numerical analysis of the geotechnical behaviour of energy piles
Benboudjema et al. Early-age behaviour of concrete nuclear containments
Dwaikat et al. Response of restrained concrete beams under design fire exposure
Han et al. Fire performance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s
Klemczak et al. Reinforced concrete tank walls and bridge abutments: Early-age behaviour, analytic approaches and numerical models
Dong Advanced finite element analysis of deep excavation case histories
Hong et al. Initiation and failure mechanism of base instability of excavations in clay triggered by hydraulic uplift
Rudeli et al. Striking of vertical concrete elements: An analysis using the maturity method
Oettel et al. Structural behavior of profiled dry joints between precast ultra‐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Liu et al. Early‐age behaviour of precast concrete immersed tunnel based on degree of hydration concept
Randl et al. Post‐installed reinforcement connections at ultimate and serviceability limit states
Sulel et al. Effect of reinforcement on early-age cracking in high strength concrete
Xu et al. Uplift tests of jet mixing anchor pile
Vatteri et al. Time‐variant reliability analysis of RC bridge girders subjected to corrosion–shear limit state
Zhou et al. Early-age temperature and strain in basement concrete walls: Field monitoring and numerical modeling
Hosseinzadeh et al. Design optimisation of retaining walls in narrow trenches using both analytical and numerical methods
Florides et al. Numerical modelling of composite floor slabs subject to large deflections
Pavlović et al. Reinforced jet-grouted piles. Part 1: Analysis and design
Patsalides et al. Influence of hardening and softening on limit pressure of cylindrical cavity expa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