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439B1 -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439B1
KR101864439B1 KR1020170048148A KR20170048148A KR101864439B1 KR 101864439 B1 KR101864439 B1 KR 101864439B1 KR 1020170048148 A KR1020170048148 A KR 1020170048148A KR 20170048148 A KR20170048148 A KR 20170048148A KR 101864439 B1 KR101864439 B1 KR 101864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se
sympathy
display field
comment
empat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훈
Original Assignee
황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훈 filed Critical 황대훈
Priority to KR102017004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터넷상의 게시글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GUI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에 있어서, 게시글 GUI 화면창을 게시글이 표시되는 게시글 표시 필드와, 게시글에 대해서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진실 선택 버튼, 게시글에 대해서 거짓이라고 생각하는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거짓 선택 버튼, 상기 진실 선택 버튼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하여 진실 공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 및 상기 거짓 선택 버튼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하여 거짓 공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 {Publication GUI display}
본 발명은 게시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창으로서,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GUI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거짓이 사실을 압도하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사실에 사회적 맥락이 더해진 진실도 자연스럽게 설 자리를 잃었다. 2016년 옥스포드 사전은 세계의 단어로 '탈진실(post-truth)'을 선정하며 탈진실화가 국지적 현상이 아닌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시대의 특성이라고 진단했다. 탈진실의 시대가 시작된 것을 반증하기라도 하듯 '가짜뉴스(Fake News)'가 사회적 논란으로 떠올랐다.
가짜뉴스의 역사는 인류 커뮤니케이션의 역사만큼이나 길다. 인류의 역사는 곧 가짜뉴스에 대한 투쟁의 역사와 다름이 없다. 역사를 조금만 들여다봐도 가짜 뉴스 사례를 무수히 많이 찾을 수 잇다. 백제 무왕이 지은 '서동요'는 선화공주와 결혼하기 위해 그가 거진 정보를 노래로 만든 가짜 뉴스였다. 1923년 관동 대지진이 났을 때 일본 내무성이 조선인에 대해 악의적으로 허위 정보를 퍼뜨린 일은 가짜뉴스가 잔인한 학살로 이어진 사건이다. 이같이 역사속에서 늘 반복되어 온 가짜 뉴스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것은 일견 새삼스러워 보인다. 하지만 최근 일어나고 있는 가짜뉴스 현상을 돌아보면 이전 사례들과는 확연히 다른 것을 발견할 수 있다.
21세기형 가짜뉴스의 특징은 그 논란의 중심에 글로벌 IT기업이 있다는 점이다. 가짜뉴스는 더 이상 동요나 입소문을 통해 퍼지지 않는다. 누구나 쉽게 이용하는 미디어 플랫폼에 '정식 기사'의 얼굴을 하고 나타난다. 감쪽같이 변장한 가짜뉴스들은 사람들의 입맛에만 맞으면 쉽게 유통/확산된다. 대중이 뉴스를 접하는 채널이 전통적 미디어인 신문/방송에서 포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등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으로 옮겨가면서다. 구글, 페이스북과 같은 IT 기업들은 '디지털 뉴스 중개자'로 부상하는 동시에 가짜뉴스의 온상지가 됐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도널드 트럼프 지지를 선언했다'는 가짜 뉴스가 지난 미 대선 기간 중 페이스북에서 가장 많이 공유된 소식이라는 사실은 이를 잘 보여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56782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GUI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게시판 운영서버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상의 게시글에 댓글을 남기고 게시글의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GUI 화면창을 표시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에 있어서, 게시글 GUI 화면창은, 게시글이 표시되는 게시글 표시 필드; 게시글에 대해서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진실 선택 버튼; 게시글에 대해서 거짓이라고 생각하는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거짓 선택 버튼; 상기 진실 선택 버튼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하여 진실 공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 및 상기 거짓 선택 버튼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하여 거짓 공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실 선택 버튼의 눌림이 있으면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가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진실 선택 버튼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시켜 상기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거짓 선택 버튼의 눌림이 있으면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가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거짓 선택 버튼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시켜 상기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게시글 GUI 화면창은, 상기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표시된 진실 공감 댓글에 대한 공감을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진실 공감 버튼; 및 상기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표시된 거짓 공감 댓글에 대한 공감을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거짓 공감 버튼;을 포함하며, 한 명의 네티즌이 상기 진실 공감 버튼이나 거짓 공감 버튼을 선택할 수 있는 각각의 최대 횟수는 미리 설정된 공감 한도 횟수까지 선택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게시글 GUI 화면창은, 상기 진실 선택 버튼에 인접하여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으로서, 상기 진실 선택 버튼이 네티즌으로부터 눌리어진 횟수와 상기 진실 공감 버튼이 눌리어진 횟수가 더해진 진실 공감 횟수가 표시되는 진실 공감 횟수 표시 아이콘; 및 상기 거짓 선택 버튼에 인접하여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으로서, 상기 거짓 선택 버튼이 네티즌으로부터 눌리어진 횟수와 상기 거짓 공감 버튼이 눌리어진 횟수가 더해진 거짓 공감 횟수가 표시되는 거짓 공감 횟수 표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실 공감 횟수가 높은 진실 공감 댓글 순서대로 상기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표시되며, 상기 거짓 공감 횟수가 높은 거짓 공감 댓글 순서대로 상기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진실 공감 횟수에 비례하여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의 크기가 결정되며, 상기 거짓 공감 횟수에 비례하여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의 크기가 결정되어 서로 다른 크기로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진실 선택 버튼의 눌림이 없더라도 네티즌의 표정이 제1표정으로 판독되면 상기 진실 공감 버튼의 눌림이 없더라도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가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거짓 선택 버튼의 눌림이 없더라도 네티즌의 표정이 제2표정으로 판독되면 상기 거짓 공감 버튼의 눌림이 없더라도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가 표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게시된 글에 대한 가짜 뉴스를 판별할 수 있어, 네티즌 입장에서는 인터넷상의 무분별한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티즌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글 표시 필드를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를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네티즌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토론과 검증을 거쳐 뉴스와 루머의 진위를 파악하도록 하며, 당사자의 빠른 반론 및 피해 구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100), 네티즌 단말기(200), 및 게시판 운영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네티즌 단말기(200)와 게시판 운영 서버(3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네티즌 단말기(200)는, 게시판 운영 서버(300)에서 운영하는 게시판에 등록된 게시글에 댓글을 남기는 네티즌이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도면에서는 데스크탑 PC를 예로 들었으나, 데스크탑 PC 이외에도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다양한 통신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데스크탑 PC(desktop PC)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데스크탑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네티즌 단말기(200)는, 인터넷상의 게시글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GUI 화면창이 표시창에 표시된다. 이러한 게시글 GUI 화면창은, 게시글이 표시되는 게시글 표시 필드(10)와, 게시글에 대해서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진실 선택 버튼(21)과, 게시글에 대해서 거짓이라고 생각하는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거짓 선택 버튼(22)을 포함하는 진위 선택 버튼과, 진실 선택 버튼(21)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하여 진실 공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와, 거짓 선택 버튼(22)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하여 거짓 공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네티즌 단말기(200)에 대해서는 도 2와 함께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게시판 운영 서버(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게시판 운영 서버(300)는, 인터넷상에서의 정치/스포츠/연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뉴스, SNS 게시글, 기업 광고글 등의 게시글을 등록, 편집, 삭제시킬 수 있도록 운영하는 서버이다. 따라서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 사이트 서버, 기업 홍보 서버, SNS 서버 등의 다양한 서버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게시판 운영 서버(300)는, 인터넷상의 게시글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창을 생성하여, 네티즌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게시글 GUI 화면창을 통한 네티즌들의 댓글 입력, 댓글 진실 공감, 댓글 거짓 공감 등을 입력받아, 게시글 GUI 화면창에 반영한다. 이하, 이러한 게시글 GUI 화면창에 대하여 하기의 도 2 내지 도 5와 함께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티즌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글 표시 필드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를 도시한 그림이다.
네티즌 단말기(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210), 단말기 표시부(230), 단말기 입력부(240), 안면 인식부(220), 및 단말기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210)는, 게시판 운영 서버(300)와 각각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단말기 통신부(2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 표시부(230)는, 게시판 운영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게시글 GUI 화면창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단말기 입력부(240)는, 게시글 GUI 화면창을 통해 네티즌의 댓글 입력을 받으며, 아울러, 다양한 버튼 선택을 통하여 각 게시글의 진실 공감, 거짓 공감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와 표시부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안면 인식부(220)는, 네티즌의 안면의 움직임 인식하는 카메라 모듈이다. 따라서 네티즌의 얼굴을 촬영하여 네티즌의 얼굴 표정(특히, 입꼬리 모양)을 판독한다.
단말기 제어부(250)는, 인터넷상의 게시글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GUI 화면창이 표시부에 나타나도록 제어한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250)는 판독되는 네티즌의 얼굴 표정(특히, 입꼬리 모양)의 특징점 정보를 게시판 운영 서버(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면 '웃는 표정'이라는 특징점 정보로서 전송하며, 입꼬리가 아래로 내려가면 '슬픈 표정'이라는 특징점 정보로서 전송한다.
게시글 GUI 화면창은, 게시글 표시 필드(10), 진실 선택 버튼(21), 거짓 선택 버튼(22),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 및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시글 표시 필드(10)는, 게시글이 표시되는 필드이다. 이러한 게시글은, 인터넷상에서의 정치/스포츠/연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뉴스, SNS 게시글, 기업 광고글 등의 다양한 게시글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진실 선택 버튼(21)은, 게시글에 대해서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버튼이다.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는 진실 선택 버튼(21)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하여 진실 공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필드이다.
따라서 진실 선택 버튼(21)의 눌림이 있으면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가 표시되도록 하여, 진실 선택 버튼(21)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시켜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에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한다.
거짓 선택 버튼(22)은, 게시글에 대해서 거짓이라고 생각하는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버튼이다.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는, 거짓 선택 버튼(22)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하여 거짓 공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이다.
따라서 거짓 선택 버튼(22)의 눌림이 있으면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가 표시되도록 하여, 거짓 선택 버튼(22)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시켜 상기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에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진실(True), 거짓(Fake)의 댓글을 분리하여 감정적 싸움이 아닌 서로 논리적으로 논쟁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며, 의문이 가는 기사나 루머를 링크나 게시글 작성을 통하여 네티즌의 집단 자성을 활용하여 비교-판단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게시글 GUI 화면창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에 표시된 진실 공감 댓글에 대한 공감을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진실 공감 버튼(41)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에 표시된 거짓 공감 댓글에 대한 공감을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거짓 공감 버튼(5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명의 네티즌이 진실 공감 버튼(41)이나 거짓 공감 버튼(51)을 선택할 수 있는 각각의 최대 횟수는 미리 설정된 공감 한도 횟수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게시글에 대해 진실이라고 선택한 네티즌은 진실 공감 댓글 중에서 공감 한도 횟수(예컨대, 3회)로 제한하여 진실 공감 버튼(41)을 눌러 동의할 수 있으며, 반대로, 게시글에 대해 거짓이라고 선택한 네티즌은 거짓 공감 댓글 중에서 공감 한도 횟수(예컨대, 3회)로 제한하여 거짓 공감 버튼(51)을 눌러 동의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선택과 댓글에 대한 동의는 ID(동일 IP 주소)로 제한하여 발생할 수 있는 조작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게시글 GUI 화면창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실 공감 횟수 표시 아이콘(31)과, 거짓 공감 횟수 표시 아이콘(32)을 포함할 수 있다.
진실 공감 횟수 표시 아이콘(31)은, 진실 선택 버튼(21)에 인접하여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으로서, 상기 진실 선택 버튼(21)이 네티즌으로부터 눌리어진 횟수와 상기 진실 공감 버튼(41)이 눌리어진 횟수가 더해진 진실 공감 횟수가 표시되는 아이콘이다.
거짓 공감 횟수 표시 아이콘(32)은, 거짓 선택 버튼(22)에 인접하여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으로서, 상기 거짓 선택 버튼(22)이 네티즌으로부터 눌리어진 횟수와 상기 거짓 공감 버튼(51)이 눌리어진 횟수가 더해진 거짓 공감 횟수가 표시되는 아이콘이다.
진실 공감 횟수가 높은 진실 공감 댓글 순서대로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에 표시되며, 거짓 공감 횟수가 높은 거짓 공감 댓글 순서대로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독자가 이러한 공감 횟수가 높은 댓글을 먼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진실 공감 횟수에 비례하여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의 크기가 결정되며, 거짓 공감 횟수에 비례하여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의 크기가 결정되어 서로 다른 크기로서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진실과 거짓 중에서 네티즌으로부터 더 공감을 많이 받은 댓글 표시 필드가 더 크게 표시되도록 하여, 네티즌 독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 진실 선택 버튼(21)의 눌림이 있으면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가 표시되도록 하여 진실 선택 버튼(21)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시켜 상기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에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거짓 선택 버튼(22)의 눌림이 있으면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가 표시되도록 하여 거짓 선택 버튼(22)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시켜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에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구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네티즌의 안면을 인식된 네티즌의 얼굴 표정에 따라서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 또는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진실 선택 버튼(21)의 눌림이 없더라도 네티즌의 표정이 제1표정(웃는 표정)으로 판독되면 진실 공감 버튼(41)의 눌림이 없더라도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가 표시되도록 하며, 거짓 선택 버튼(22)의 눌림이 없더라도 네티즌의 표정이 제2표정(우는 표정)으로 판독되면 거짓 공감 버튼(51)의 눌림이 없더라도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가 표시되도록 한다.
네티즌 단말기(200)가 안면 인식부(220)를 통하여 네티즌의 얼굴 표정(예컨대, 입꼬리)을 판독하여, 웃는 표정인지 우는 표정인지 판별한다. 판별된 표정의 특징 정보는 게시판 운영 서버(300)로 제공되며, 게시판 운영 서버(300)는 이러한 얼굴 표정에 따라서 게시글 GUI 화면창의 댓글 표시 필드를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40)로서 표시할지, 아니면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50)로서 표시할지 결정하여 화면을 구성하여 네티즌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200:네티즌 단말기
10:게시글 표시 필드
21:진실 선택 버튼
22:거짓 선택 버튼
40: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
50: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게시판 운영서버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상의 게시글에 댓글을 남기고 게시글의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GUI 화면창을 표시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시글 GUI 화면창은
    게시글이 표시되는 게시글 표시 필드;
    게시글에 대해서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진실 선택 버튼;
    게시글에 대해서 거짓이라고 생각하는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거짓 선택 버튼;
    상기 진실 선택 버튼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하여 진실 공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
    상기 거짓 선택 버튼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하여 거짓 공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
    상기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표시된 진실 공감 댓글에 대한 공감을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진실 공감 버튼; 및
    상기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표시된 거짓 공감 댓글에 대한 공감을 네티즌으로부터 선택받는 거짓 공감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한 명의 네티즌이 상기 진실 공감 버튼이나 거짓 공감 버튼을 선택할 수 있는 각각의 최대 횟수는 미리 설정된 공감 한도 횟수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진실 선택 버튼의 눌림이 있으면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가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진실 선택 버튼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시켜 상기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거짓 선택 버튼의 눌림이 있으면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가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거짓 선택 버튼을 누른 네티즌만 참여시켜 상기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진실 공감 횟수가 높은 진실 공감 댓글 순서대로 상기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표시되며, 상기 거짓 공감 횟수가 높은 거짓 공감 댓글 순서대로 상기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에 표시되며,
    상기 진실 공감 횟수에 비례하여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의 크기가 결정되며, 상기 거짓 공감 횟수에 비례하여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의 크기가 결정되어 서로 다른 크기로서 표시되고,
    상기 진실 선택 버튼의 눌림이 없더라도 네티즌의 표정이 제1표정으로 판독되면 상기 진실 공감 버튼의 눌림이 없더라도 진실 공감 댓글 표시 필드가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거짓 선택 버튼의 눌림이 없더라도 네티즌의 표정이 제2표정으로 판독되면 상기 거짓 공감 버튼의 눌림이 없더라도 거짓 공감 댓글 표시 필드가 표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GUI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
KR1020170048148A 2017-04-13 2017-04-13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 KR10186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148A KR101864439B1 (ko) 2017-04-13 2017-04-13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148A KR101864439B1 (ko) 2017-04-13 2017-04-13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439B1 true KR101864439B1 (ko) 2018-06-11

Family

ID=6260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148A KR101864439B1 (ko) 2017-04-13 2017-04-13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43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520A (ko) 2018-11-27 2020-06-04 (주)아이와즈 출처 분석 기반의 뉴스 신뢰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06231A (ko) 2019-02-22 2020-09-14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성적 가짜 뉴스 판단 시스템,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08937A (ko) 2019-03-04 2020-09-22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짜 뉴스 판단 시스템,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40554A (ko) * 2019-06-07 2020-12-16 김승희 피드백 요청을 위한 기사 제공 시스템 및 피드백 요청을 위한 기사 제공 시스템의 독자 구독 모듈
KR20210003324A (ko) 2019-07-01 2021-01-12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문사회 요소를 활용한 가짜 뉴스 판단 시스템, 가짜 뉴스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10059544A (ko) * 2019-11-15 2021-05-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화 기반의 가짜 뉴스 탐지 장치 및 방법
US11295398B2 (en) 2019-10-02 2022-04-05 Snapwise Inc. Methods and systems to generate information about news source items describing news events or topics of interes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782A (ko)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뉴스 비디오 브라우징 시스템
JP2011013384A (ja) * 2009-06-30 2011-01-20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30311388A1 (en) * 2011-06-10 2013-11-21 Lucas J. Myslinski Method of and system for fact checking flagged comments
KR20150099635A (ko) * 2014-02-21 2015-09-01 주식회사 큐엘티 게시물에 대한 의견을 표시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782A (ko)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뉴스 비디오 브라우징 시스템
JP2011013384A (ja) * 2009-06-30 2011-01-20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30311388A1 (en) * 2011-06-10 2013-11-21 Lucas J. Myslinski Method of and system for fact checking flagged comments
KR20150099635A (ko) * 2014-02-21 2015-09-01 주식회사 큐엘티 게시물에 대한 의견을 표시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서비스 서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520A (ko) 2018-11-27 2020-06-04 (주)아이와즈 출처 분석 기반의 뉴스 신뢰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106231A (ko) 2019-02-22 2020-09-14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성적 가짜 뉴스 판단 시스템,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08937A (ko) 2019-03-04 2020-09-22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짜 뉴스 판단 시스템,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40554A (ko) * 2019-06-07 2020-12-16 김승희 피드백 요청을 위한 기사 제공 시스템 및 피드백 요청을 위한 기사 제공 시스템의 독자 구독 모듈
KR102200742B1 (ko) 2019-06-07 2021-01-11 김승희 피드백 요청을 위한 기사 제공 시스템 및 피드백 요청을 위한 기사 제공 시스템의 독자 구독 모듈
KR20210003324A (ko) 2019-07-01 2021-01-12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문사회 요소를 활용한 가짜 뉴스 판단 시스템, 가짜 뉴스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295398B2 (en) 2019-10-02 2022-04-05 Snapwise Inc. Methods and systems to generate information about news source items describing news events or topics of interest
US11887199B2 (en) 2019-10-02 2024-01-30 Snapwise Inc. Systems and methods to enhance news literacy in news consumers
KR20210059544A (ko) * 2019-11-15 2021-05-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화 기반의 가짜 뉴스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2340542B1 (ko) 2019-11-15 2021-1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화 기반의 가짜 뉴스 탐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439B1 (ko) 가짜 뉴스 판별 가능한 게시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창을 구비한 가짜 뉴스 판별 시스템
US11310240B2 (en) Generating and utilizing digital visual codes to grant privileges via a networking system
US107082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mment information
US9256620B2 (en) Techniques for grouping images
CN106921777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TWI499987B (zh) 增強社交網路之技術
US10656823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operation of applications
US10282791B2 (en) Communication aggregator
CN108108012B (zh) 信息交互方法和装置
US201901884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video public opinion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60065529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0502512B (zh) 信息载体生成方法、关联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41382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a user and a public official
US11556605B2 (en) Search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704613A (zh) 一种信息管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221103A1 (zh) 显示用户情绪的方法及设备
CN112947807A (zh) 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726947B (zh) 消息展示方法、装置、用户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2333082B (zh) 消息显示方法及装置
US20180246739A1 (en) Post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12533072A (zh) 图像发送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200198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video scenario
CN106789949B (zh) 一种语音数据的发送方法、装置及终端
CN103941953A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14257443B (zh) 一种法院专用跨内网签名系统、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