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277B1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277B1
KR101864277B1 KR1020090066980A KR20090066980A KR101864277B1 KR 101864277 B1 KR101864277 B1 KR 101864277B1 KR 1020090066980 A KR1020090066980 A KR 1020090066980A KR 20090066980 A KR20090066980 A KR 20090066980A KR 101864277 B1 KR101864277 B1 KR 101864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hole
wash water
wat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535A (ko
Inventor
김영종
정경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277B1/ko
Priority to CA2710699A priority patent/CA2710699C/en
Priority to CA 2788503 priority patent/CA2788503C/en
Priority to US12/840,869 priority patent/US20110016927A1/en
Priority to CN2010102354799A priority patent/CN101962896B/zh
Priority to AU2010203288A priority patent/AU2010203288B2/en
Publication of KR2011000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에 형성된 배수구의 연직방향 상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설치되어, 배수시 배수구의 상부가 항상 세탁수로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수시 공기 유입에 의한 이상 소음 등이 방지되어, 세탁기의 정숙 운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펌핑 성능도 향상될 수 있다.
세탁기, 탑로드, 배수, 배수구, 공기, 소음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A 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시 발생되는 이상 소음 현상을 방지하여, 펌핑 성능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는 세탁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건조한 열풍과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젖은 포를 건조하는 건조기와,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포가 출입되는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상면에 형성되고 내조의 회전시 생기는 회전수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탑로드 타입 세탁기와, 포 출입홀이 캐비닛의 전면에 형성되고 드럼의 회전시 포의 낙차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의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면이 개구된 캐비닛과, 상 기 캐비닛의 개구된 상면에 결합되고 포 출입홀이 형성된 탑 커버와, 상기 포 출입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측에 배치되고 포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내조와, 상기 내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모터장치와, 상기 외조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상기 외조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상기 급수장치에 연통되게 배치되어, 물과 함께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외조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상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탑로드 타입 세탁기는 배수 초기시 배수양과 펌핑양의 차이로 인해, 상기 배수구 상측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물이 흐르지 않는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은 공기층으로 인해 배소 초기시 이상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층 발생시 펌핑 성능도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 초기시 이상 소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수가 일시 저장되고, 하면에 세탁수가 배수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외조와,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외조내의 세탁수를 배수 펌핑하는 배수 어셈블리와, 상기 배수구의 연직방향 상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설치되어, 배수시 상기 배수구의 상부가 항상 세탁수로 채워지도록 하는 배수구 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캡은, 상기 배수구의 상측에서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의 상측에서 연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수구의 연직방향 상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캡은, 상기 외조내의 세탁수가 측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측면에 입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외조의 하면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홈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 캡의 상단은 상기 단차홈부의 측면 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캡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어 세탁수가 빠져나가도록 개구된 출구부와, 상기 출구부에서 연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배수구의 연직방향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출구부와 덮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판 형상이고, 상기 덮개부의 단면적은 상기 배수구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조의 내측에 배치된 내조와, 상기 내조의 하부에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모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에 형성된 배수구의 연직방향 상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설치되어, 배수시 배수구의 상부가 항상 세탁수로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수시 공기 유입에 의한 이상 소음 등이 방지되어, 세탁기의 정숙 운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펌핑 성능도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실시예로서 탑로드 타입 세탁기(이하, '세탁기'라 칭함)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결합된 레그 어셈블리(10)를 포함한 다.
상기 케이스(1)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세탁기의 측면을 이루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탑 커버(3)와, 상기 캐비닛(2)의 개방된 하면에 설치된 베이스(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내에는 물이 수용되는 외조(4)와, 상기 외조(4)의 내측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6)와, 상기 내조(6)를 구동시키는 모터(8) 등의 구동장치와, 상기 외조(4)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와, 세탁 또는 탈수가 완료된후 상기 외조(4) 내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 어셈블리(2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는 상기 탑 커버(3)에 설치되어 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공급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급수되는 물과 함께 세제를 상기 내조(6)내로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탑커버(3)에는 포를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포 출입홀(3a)이 형성된다. 상기 탑커버(3)에는 포 출입홀(3a)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5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40)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글래스(glas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도어(40)는 프레임부(40a)와, 상기 프레임부(40a)에 끼워진 글래스부(4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탑커버(3)의 일측에는 세탁기의 작동을 입력하거나, 세탁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7)이 장착된다.
상기 외조(4)는 상기 캐비닛(2)의 내측 상부에 복수개의 서스펜션(15)에 의해 매달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서스펜션(15)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2)의 내측 상부 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조(4)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조(6)의 저면에는 상기 외조(4)에 수용된 물의 회전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펄세이터(9)가 설치된다. 상기 펄세이터(9)는 상기 내조(6)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8)의 회전시 상기 내조(6)와 펄세이터(9)가 함께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펄세이터(9)가 상기 내조(6)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8)의 회전시 별도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내조(6)의 상측에는 포의 치우침에 의해 상기 내조(6)가 균형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런서(12)가 설치된다. 상기 밸런서(12)는 내부에 소금물 등의 액체가 충진된 액체 밸런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조(4)의 상측에는 포의 이탈이나 물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외조 커버(14)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 어셈블리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세탁기로 안내하는 외부 호스(11)와, 상기 외부 호스(11)와 연결되어 물의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 밸브(12)와, 상기 급수 밸브(12)와 상기 세제공급부(30)를 연결하는 급수 호스(13)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 밸브(12)와 급수 호스(13)는 물을 급수하는 급수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유로상에 배치된다. 상기 세제공급부(30)는 상기 급수 호스(13)와 연통되게 설치된 세제박스 하우징(31)과,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착탈가능토록 수납되는 세제박스(32)와,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고정되고 상기 세제박스(32)의 상면에 배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세제박스 커버를 포 함한다.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은 상기 탑커버(3)의 일측에 형성된 세제박스 설치부에 설치된다.
상기 세제박스(32)는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서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으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결합된다. 상기 세제박스(32)는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32)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물의 공급시 물과 함께 세제가 상기 세제박스(32)의 배면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3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수 어셈블리(20)는 상기 외조(4)의 하면에 형성된 배수구(26)에 연결된 제 1배수 호스(21)와, 물을 펌핑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하는 배수펌프 하우징(24)과, 상기 배수펌프 하우징(24)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 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캐비닛(2)의 외부로 배수하는 제 2배수호스(25)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펌프 하우징(24)내에는 상기 배수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수 모터가 내재된다.
상기 배수 어셈블리(20)는 상기 외조(4)와 상기 베이스(5)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수구 캡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수구 캡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부분이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배수구 캡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비교 도시된 단면도이 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외조(4)의 하면 중심에는 상기 모터(8)의 회전축(8a)가 관통하는 축 관통홀(4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조(4)의 하면에는 하향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홈부(4a)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홈부(4a)의 하면에는 상기 외조(4)내에 일시 저장되었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26)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홈부(4a)는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차홈부(4a)의 일측에는 상기 히터(미도시)가 설치되는 히터 설치홈부(4c)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6)는 단면이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배수호스가(2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6)의 상측에는 상기 배수구(26)의 연직방향의 공간을 한정하여, 배수시 상기 배수구(26)의 상부가 항상 세탁수로 채워지도록 하는 배수구 캡(50)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구 캡(50)은 상기 배수구(26)의 상측에서 상기 배수구(26)와 연통되되, 상기 배수구(26)의 연직방향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수구 캡(50)은 상기 배수구(26)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세탁수가 빠져나가도록 개구되게 형성된 출구부(51)와, 상기 출구부(51)에서 연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배수구(26)의 연직방향을 덮는 덮개부(52)와, 상기 출구부(51)와 덮개부(52)를 연결하는 연결부(53)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구 캡(50)은 상기 배수구(26)에 삽입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출구부(51)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구(26)의 내측에 압입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덮개부(52)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덮개부(52)의 단면적은 상기 배수구(26)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부(52)는 상기 배수구(26)의 연직방향 상면을 완전히 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53)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 캡(50)은 상기 외조(4)내의 세탁수가 측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측면에 입구부(54)가 형성되는 바,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53) 사이가 입구부(54)를 이루게 된다.
상기 배수구 캡(50)의 상단은 상기 단차홈부(4a)의 측면 상단보다 낮게 배치된다. 즉, 상기 배수구 캡(50)의 상하방향 길이(l)가 상기 단차홈부(4a)의 깊이(d)보다 짧게 형성되거나, 상기 배수구 캡(50)의 설치시 상기 배수구 캡(50)의 상단이 상기 단차홈부(4a)의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구 캡(50)의 덮개부(52)가 상기 단차홈부(4a)의 측면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어야, 배수시 상기 배수구 캡(50)의 내부가 항상 세탁수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수 펌프가 작동되면, 상기 외조(4)내의 세탁수가 상기 배수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배수구(26), 제 1배수 호스(21), 배수 펌프(24), 제 2배수호스(25)를 차례로 거치면서, 외부로 배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구 캡(50)이 없을 경우, 배수 초기시 실제 배수양과 펌핑양의 차이로 인해, 상기 배수구(26)의 상부에 물이 채워지지 않는 빈 공간이 생긴다. 이러한 빈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층에 의해 이상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구 캡(50)이 있을 경우, 상기 배수구 캡(50)의 덮개부(52)가 상기 배수구(26)의 연직방향의 공간을 한정하게 된다. 즉, 상기 배수구 캡(50)의 덮개부(52)가 상기 배수구(50)의 연직방향 상부를 가리게 된다.
배수가 시작되면, 상기 배수구 캡(50) 주변의 세탁수는 상기 외조(4)의 하면을 따라 상기 배수구 캡(50)측으로 모인다.
상기 배수구 캡(50)측으로 모인 세탁수는 상기 배수구 캡(50)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부(54)를 통해 상기 배수구(26)로 흐르게 된다.
상기 배수구 캡(50)의 입구부(54)를 통해 상기 배수구 캡(50)내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배수구 캡(50) 내부를 채우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26)의 연직방향 상부도 세탁수로 항상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26) 상부에 빈 공간은 없어지게 되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배수 초기나 간헐 탈수시와 같이 배수 유량이 적은 경우에도, 상기 배수구(26)의 상부가 항상 세탁수로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26)의 상부로 공기가 유입될 공간이 없어지기 때문에, 상기 배수구(26)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공기층에 의한 이상 소음 발생이 방지되어, 세탁기의 정숙 운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입이 방지되면, 펌핑 성능도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조에 형성된 배수구의 연직방향 상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설치되어, 배수시 배수구의 상부가 항상 세탁수로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수시 공기 유입에 의한 이상 소음 등이 방지되어, 세탁기의 정숙 운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펌핑 성능도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로드 타입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수구 캡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수구 캡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부분이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배수구 캡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비교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4: 외조 26: 배수구
50: 배수구 캡 51: 출구부
52: 덮개부 53: 연결부

Claims (8)

  1. 세탁수가 일시 저장되고, 하면에 세탁수가 배수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외조와;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외조내의 세탁수를 배수 펌핑하는 배수 어셈블리와;
    상기 배수구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의 상측에서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게 설치되되, 상기 배수구의 상측에서 연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배수구의 연직방향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 배수구 캡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외조의 하면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홈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 캡의 상단은 상기 단차홈부의 측면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캡은,
    상기 외조내의 세탁수가 측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측면에 입구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캡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어 세탁수가 빠져나가도록 개구된 출구부와, 상기 출구부에서 연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배수구의 연직방향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출구부와 덮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판 형상이고,
    상기 덮개부의 단면적은 상기 배수구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세탁물 처리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조의 내측에 배치된 내조와,
    상기 내조의 하부에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모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90066980A 2009-07-22 2009-07-22 세탁물 처리기기 KR101864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980A KR101864277B1 (ko) 2009-07-22 2009-07-22 세탁물 처리기기
CA2710699A CA2710699C (en) 2009-07-22 2010-07-21 Laundry treating machine
CA 2788503 CA2788503C (en) 2009-07-22 2010-07-21 Drain hole for a laundry treating machine
US12/840,869 US20110016927A1 (en) 2009-07-22 2010-07-21 Laundry treating machine
CN2010102354799A CN101962896B (zh) 2009-07-22 2010-07-22 衣物处理机
AU2010203288A AU2010203288B2 (en) 2009-07-22 2010-07-22 Laundry tre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980A KR101864277B1 (ko) 2009-07-22 2009-07-22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35A KR20110009535A (ko) 2011-01-28
KR101864277B1 true KR101864277B1 (ko) 2018-06-04

Family

ID=4361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980A KR101864277B1 (ko) 2009-07-22 2009-07-22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2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441A (ja) * 2006-03-06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7341A (ja) * 1997-09-30 1999-04-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洗面化粧台の排水構造
KR20030055973A (ko) *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히터장착구조
KR20050120896A (ko) * 2004-06-21 2005-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히터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441A (ja) * 2006-03-06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35A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0699C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61280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60023016A (ko) 세탁기
CN108239847B (zh) 洗衣机
KR101445733B1 (ko)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225167B1 (ko) 배수케이싱을 구비하는 세탁기
EP1533412A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10086421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2791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EP3656910B1 (en) Washing machine
KR10186427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013060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2044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82498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595230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67572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114330B1 (ko) 세탁기
KR101236194B1 (ko) 세탁기
KR20110013059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4126797B2 (ja) 洗濯機
KR2010010519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29950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10063065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60003478A (ko) 세탁기
KR20110063064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52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01

Effective date: 201802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