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205B1 - 신발끈 조임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끈 조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205B1
KR101864205B1 KR1020170079389A KR20170079389A KR101864205B1 KR 101864205 B1 KR101864205 B1 KR 101864205B1 KR 1020170079389 A KR1020170079389 A KR 1020170079389A KR 20170079389 A KR20170079389 A KR 20170079389A KR 101864205 B1 KR101864205 B1 KR 101864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oelace
rack member
housing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익
Original Assignee
신윤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윤익 filed Critical 신윤익
Priority to KR102017007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는,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기어 조립체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수평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의 일정 영역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는 랙부재와; 랙부재와 톱니에 의해 맞물림 결합되는 피니언이 그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랙부재에 의해 발생한 직선운동력을 피니언에 의해 회전운동력으로 전달받은 것을 교차하는 다른 축 방향의 회전운동력으로 발생하는 베벨 기어와; 베벨 기어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베벨 기어에 의해 발생한 회전운동력을 소정 토크의 회전운동력으로 전달하는 제1 기어와; 제1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며, 제1 기어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 제2 기어와; 제2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며, 제2 기어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 제3 기어와; 제3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며, 제3 기어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 제4 기어; 및 제4 기어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제4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신발끈을 감거나 푸는 신발끈 권취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끈 조임 장치{Shoelace fastener}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신발끈이 달린 신발에 장착하여 원터치로 신발끈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발끈이 달린 신발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가장 필요한 필수품들 중의 하나인 신발은 용도에 따라 수많은 종류가 있으나, 용도에 관계없이 상당수의 신발에는 신발의 착용시 신발을 발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신발끈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보행시 벗겨지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로 선택되어야 하고, 통상 신고 벗기에 편리하도록 신발끈을 다소 느슨하게 묶은 상태로 신발을 사용한다. 그러나 보행시에 신발이 발을 압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발에 적절히 맞도록 신발끈을 조여주는 것이 발의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조이고 푸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발끈을 적당히 묶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발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일반 보행시에도 신발끈이 풀어져 걸음을 멈추고 신발끈을 다시 묶어야 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신발끈이 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신발끈의 양 단부가 가지런히 고정되지 않아 미관상 단정치 못한 인상을 줄 수도 있다.
더욱이, 초등학교 저학년 내지는 초등학교 이전의 어린아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신발끈을 조였다 풀었다 하는 일이 쉽지 않다. 특히, 일반 사람들이 등산을 하는 경우나, 경륜 등과 같은 운동선수가 운동하는 경우, 고정되지 않은 신발끈의 양 단부나 매듭이 격렬한 움직임에 의해서, 혹은 외부의 물체에 걸려 풀리게 되면 안전사고의 발생이나 기록 저하 등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초래되기 때문에 신발끈의 풀림은 절대적으로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운동 중 쉬는 시간에는 꽉 조여진 신발끈을 손쉽게 풀 수 있어야만 발의 피로를 풀 수 있는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신발끈을 쉽게 조일 수 있고, 조여진 상태가 지속되어야 하는 동시에 필요시 손쉽게 신발끈을 느슨하게 풀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315194호(특허문헌 1)에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신발끈(41)을 조이는 신발끈 조임장치에 있어서, 레버(11)는 일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손잡이(12)와, 상판축(24)이 끼워지는 상판축구멍(14)과, 레버탄성돌기(33)가 끼워지는 하판걸림홈(13)이 형성되고, 타측에 레버걸림돌기(25)가 끼워지는 상판걸림홈(15)과, 하판축(34)이 끼워지는 하판축구멍(16)이 형성되며, 상판(21)은 중앙에 레버(11)가 하측에서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레버삽입구멍(22)이 형성되고, 레버삽입구멍(22)의 일측은 상판축구멍(14)에 끼워지는 상판축(24)이 형성되며, 타측은 상판걸림홈(15)이 끼워지거나 이탈되는 레버걸림돌기(25)가 형성되고, 하판(31)은 일측에 형성된 하판구멍(32)에 하판걸림홈(13)에 끼워지거나 이탈되는 레버탄성돌기(33)가 형성되고, 타측은 하판축구멍(16)에 끼워지는 하판축(34)이 형성되며, 상판(21)과 하판(31)의 일측에 신발끈 고정구멍(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신발끈 조임장치가 접철형 구조로 되어 있어 어린이나 노인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신발끈의 상단 부분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편리한 장점이 있기는 하나, 신발끈을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는 메커니즘이 원터치식 접철형 구조로 되어 있어, 신발을 신고 뛰거나 이동시 발등의 물리적인 움직임에 의해 레버탄성돌기에 걸려있던 손잡이가 해제되어 신발의 조임 상태가 곧바로 느슨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2375호(특허문헌 2)에는 "텐셔너를 이용한 신발끈 조임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에 따른 신발끈 조임장치는 디스크 박스 형상으로 신발 상단 일측에 설치되고, 상단의 회동레버(355)의 회동으로 디스크 박스 내부를 통과하는 어느 하나의 신발끈(200)이 당겨져 조여지는 조임모듈(300); 및 디스크 박스 형상으로, 신발 상단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신발끈(200) 단부가 고정연결되고, 상기 조임모듈(300) 내부에서 통과되어 노출된 상기 어느 하나의 신발끈 단부가 내부로 연결되어 자동으로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는 텐셔너(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2의 경우, 간단한 조작으로 신발끈의 조임 상태를 팽팽하게 혹은 느슨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신발의 착용 상태를 더욱 안정되게 할 수 있고, 신발을 벗을 때 수월하게 벗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텐셔너 (400)에 의해 신발끈이 항상 어느 정도의 장력으로 당겨지고 있는 상태이므로, 신발끈의 조임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때는 상관없겠으나, 신발끈을 느슨하게 할 때는 충분히 신속하게 느슨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15194호(2013.09.30.)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2375호(2016.06.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신발끈이 달린 신발에 장착하여 원터치로 신발끈을 쉽게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발끈이 달린 신발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는,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기어 조립체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평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의 일정 영역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는 랙(rack)부재와;
상기 랙부재와 톱니에 의해 맞물림 결합되는 피니언(pinion)이 그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랙부재에 의해 발생한 직선운동력을 상기 피니언에 의해 회전운동력으로 전달받은 것을 교차하는 다른 축 방향의 회전운동력으로 발생하는 베벨 기어와;
상기 베벨 기어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베벨 기어에 의해 발생한 회전운동력을 소정 토크의 회전운동력으로 전달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며,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며,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 제3 기어와;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며, 상기 제3 기어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 제4 기어; 및
상기 제4 기어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4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신발끈을 감거나 푸는 신발끈 권취 롤러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기어 조립체가 설치되는 메인 몸체부와, 메인 몸체부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부재의 소정 부위에는 랙부재의 왕복 직선이동 거리를 제한하고, 하우징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어, 제3 기어 및 제4 기어는 각각 상대적으로 반경이 큰 기어와 반경이 작은 기어가 동일 회전축 상에 일체로 형성된 복합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소정 부위에는 상기 신발끈 권취 롤러에 그 단부가 고정되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신발끈이 하우징 내부의 기어에 간섭받음 없이 원활하게 신발끈 권취 롤러에 감기고, 신발끈 권취 롤러로부터 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신발끈 유도관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발끈 유도관의 양 단부는 유도관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신발끈과의 걸림 마찰을 줄여 신발끈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나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신발끈 권취 롤러에 감기고, 신발끈 권취 롤러로부터 풀리는 신발끈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롤러와 끈이탈 방지막이로 구성된 롤러 모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끈 권취 롤러에는 신발끈의 양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신발끈 고정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끈이 달린 신발에 장착하여 원터치로 신발끈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발끈이 달린 신발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신발끈 조임 장치가 착탈형으로 되어 있어 기존의 사용중인 신발끈 달린 신발에 즉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중에 신발을 다른 신발로 바꿔 신게 될 경우 장치를 기존의 신발에서 간단히 분리하여 새로운 신발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신발이 낡아 폐기하는 경우에도 신발끈 조임 장치는 분리하여 다른 신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장치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의 신발끈 권취 롤러와 신발끈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의 신발끈 권취 롤러에 설치되어 있는 신발끈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가 신발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100)는 하우징, 랙(rack)부재(120), 베벨 기어(130), 제1 기어(140), 제2 기어(150), 제3 기어(160), 제4 기어(170) 및 신발끈 권취 롤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은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기어 조립체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하우징은 내부에 후술하는 다수의 기어에 의한 기어 조립체가 설치되는 메인 몸체부(110m)와, 메인 몸체부(110m)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10c)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110c)는 메인 몸체부(110m)에 슬라이드식 또는 힌지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폐 가능한 방식이라면 다른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하우징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랙부재(120)는 하우징의 내부(대략 하우징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의 일정 영역에는 톱니(120t)가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이나 발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구동력을 발생한다. 이상과 같은 랙부재(120)의 소정 부위에는 랙부재의 왕복 직선이동 거리를 제한하고, 랙부재(120)가 하우징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120s)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랙부재(12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베벨 기어(130)는 랙부재(120)와 톱니에 의해 맞물림 결합되는 피니언 (pinion)(130w)이 그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랙부재(120)에 의해 발생한 직선운동력을 상기 피니언(130w)에 의해 회전운동력으로 전달받은 것을 교차하는(예를 들면, 직각으로 교차하는) 다른 축 방향의 회전운동력으로 발생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피니언(130w) 일체형 베벨 기어(13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기어(140)는 베벨 기어(130)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베벨 기어(130)에 의해 발생한 회전운동력을 소정 토크의 회전운동력으로 전달한다.
제2 기어(150)는 제1 기어(140)와 맞물림 결합되며, 제1 기어(140)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다.
제3 기어(160)는 제2 기어(150)와 맞물림 결합되며, 제2 기어(150)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다.
제4 기어(170)는 제3 기어(160)와 맞물림 결합되며, 제3 기어(160)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다.
신발끈 권취 롤러(180)는 제4 기어(170)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제4 기어 (17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신발끈을 감거나 푼다. 이에 의해 신발끈이 조여지거나 느슨해지게 된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제2 기어(150), 제3 기어(160) 및 제4 기어(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대적으로 반경이 큰 기어와 반경이 작은 기어가 동일 회전축 상에 일체로 형성된 복합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복합기어가 상호 맞물림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복합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랙부재(120)의 이동거리(A)는 수 배∼수십 배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제1 기어(140) 내지 제4 기어(170)와 신발끈 권취 롤러(18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소정 부위에는 상기 신발끈 권취 롤러(180)에 그 단부가 고정되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신발끈(300a)(300b)이 하우징 내부의 기어에 간섭받음 없이 원활하게 신발끈 권취 롤러(180)에 감기고, 신발끈 권취 롤러(180)로부터 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신발끈 유도관(190a)(190b)(190c)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우측의 신발끈 유도관(190b)(190c)에 삽입되어 있는 신발끈(300b)이 좌측의 신발끈 유도관(190a)에 삽입되어 있는 신발끈(300a)에 비해 그 굵기가 가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실제로 이와 같이 신발끈이 가는 것이 아니라 편의상 가늘게 도시한 것일 뿐, 실제로는 양쪽의 신발끈(300a)(300b)의 굵기는 동일하다.
이때, 상기 신발끈 유도관(190a)(190b)(190c)의 양 단부는 유도관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신발끈(300a)(300b)과의 걸림 마찰을 줄여 신발끈(300a)(300b)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깥쪽이 안쪽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큰 나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의(즉, 메인 몸체부(110m)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신발끈 권취 롤러(180)에 감기고, 신발끈 권취 롤러(180)로부터 풀리는 신발끈(300a)(300b)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롤러(310)와 끈이탈 방지막이(320)로 구성된 롤러 모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 권취 롤러(180)에는 신발끈 (300a)(300b)의 양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신발끈 고정부(300f)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신발끈 권취 롤러(180)가 감긴 상태 또는 풀린 상태에서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스톱퍼(미도시)가 신발끈 권취 롤러(180)에 근접하여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지금까지는 랙부재(120)의 직선운동력을 피니언(130w) 일체형 베벨 기어(130)가 전달받아 회전운동력으로 변환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랙부재(120)와 피니언(130w) 일체형 베벨 기어(130)를 생략하고, 제1 기어(140)의 회전축에 소형 DC 모터를 설치하여 제1 기어(140)가 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직접 받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모터 구동형으로 구성될 경우, 물론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예컨대, 리튬 전지)과 모터의 정역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칭 수단이 부수적으로 구비됨은 당연하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의 동작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가 신발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100)는 신발 (500)의 발등 부분에 설치되며, 신발끈(300a)(300b)의 양쪽 단부가 신발끈 조임 장치(100) 내부의 신발끈 권취 롤러(18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사용자는 신발끈(300a)(300b)의 양쪽 단부의 길이가 거의 같은 길이인 상태로 조정한 상태에서 신발끈(300a)(300b)의 양쪽 단부를 신발끈 권취 롤러(180)에 고정한다. 도 5에는 신발끈 조임 장치(100)가 한쪽 신발에만 적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신발끈 조임 장치(100)는 양쪽 신발에 모두 적용된다.
이상과 같이, 신발끈 조임 장치(100)가 적용된 신발(500)을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손으로 혹은 발로 신발끈 조임 장치(100)의 랙부재(120)에 힘을 가하면, 랙부재(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랙부재(120)의 톱니(120t)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130w)이 회전 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130w) 일체형 베벨 기어(130)도 동시에 회전 운동하게 된다. 그 결과, 베벨 기어(130)의 축과 동일한 축에 고정되어 있는 제1 기어(14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기어(140)와 맞물려 있는 제2 기어(150)가 제1 기어 (14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 기어(150)가 회전하면, 제2 기어(150)와 맞물려 있는 제3 기어(160)가 제2 기어(15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결과 제3 기어(160)와 맞물려 있는 제4 기어(170)가 제3 기어(160)와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4 기어(170)가 회전하면, 제4 기어(170)와 동일한 축에 고정되어 있는 신발끈 권취 롤러(180)가 동시에 회전하고, 이에 따라 신발끈(300a)(300b)이 신발끈 권취 롤러(180)에 감기거나, 신발끈 권취 롤러(180)로부터 풀리게 된다. 그 결과 신발끈이 조여지거나 느슨하게 되며, 따라서 신발의 착용 상태가 견고하게 되거나, 견고하게 착용된 상태에서 느슨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신발을 발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신발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느슨한 상태로 되어 신발을 쉽게 벗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이 동작 시발점부터 마무리 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이는 그 동작 원리를 순차적으로 자세히 설명함에 따라 그와 같이 보이는 것일 뿐, 실제적으로는 원터치에 의해 모든 과정이 연쇄적으로 비교적 빠르게 진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발끈을 조이고 푸는 번거로움 없이 신발끈을 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 장치는 신발끈이 달린 신발에 장착하여 원터치로 신발끈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발끈이 달린 신발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신발끈 조임 장치가 착탈형으로 되어 있어 기존의 사용중인 신발끈 달린 신발에 즉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중에 신발을 다른 신발로 바꿔 신게 될 경우 장치를 기존의 신발에서 간단히 분리하여 새로운 신발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신발이 낡아 폐기하는 경우에도 신발끈 조임 장치는 분리하여 다른 신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장치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신발끈 조임 장치
110m: 메인 몸체부 110c: 커버
120: 랙부재 120t: 톱니
130: 베벨 기어 130w: 피니언
140: 제1 기어 150: 제2 기어
160: 제3 기어 170: 제4 기어
180: 신발끈 권취 롤러 190a∼190c: 신발끈 유도관
300a,300b: 신발끈 300f: 신발끈 고정부
310: 롤러 320: 끈이탈 방지막이
500: 신발

Claims (8)

  1.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기어 조립체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평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의 일정 영역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는 랙(rack)부재와;
    상기 랙부재와 톱니에 의해 맞물림 결합되는 피니언(pinion)이 그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랙부재에 의해 발생한 직선운동력을 상기 피니언에 의해 회전운동력으로 전달받은 것을 교차하는 다른 축 방향의 회전운동력으로 발생하는 베벨 기어와;
    상기 베벨 기어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베벨 기어에 의해 발생한 회전운동력을 소정 토크의 회전운동력으로 전달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며,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며,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 제3 기어와;
    상기 제3 기어와 맞물림 결합되며, 상기 제3 기어의 회전운동력을 전달받는 제4 기어; 및
    상기 제4 기어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4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신발끈을 감거나 푸는 신발끈 권취 롤러를 포함하는 신발끈 조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기어 조립체가 설치되는 메인 몸체부와, 메인 몸체부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부재의 소정 부위에는 랙부재의 왕복 직선이동 거리를 제한하고, 하우징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 제3 기어 및 제4 기어는 각각 상대적으로 반경이 큰 기어와 반경이 작은 기어가 동일 회전축 상에 일체로 형성된 복합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소정 부위에는 상기 신발끈 권취 롤러에 그 단부가 고정되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신발끈이 하우징 내부의 기어에 간섭받음 없이 원활하게 신발끈 권취 롤러에 감기고, 신발끈 권취 롤러로부터 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신발끈 유도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유도관의 양 단부는 유도관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신발끈과의 걸림 마찰을 줄여 신발끈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나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신발끈 권취 롤러에 감기고, 신발끈 권취 롤러로부터 풀리는 신발끈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롤러와 끈이탈 방지막이로 구성된 롤러 모듈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권취 롤러에는 신발끈의 양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신발끈 고정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 장치.
KR1020170079389A 2017-06-22 2017-06-22 신발끈 조임 장치 KR101864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89A KR101864205B1 (ko) 2017-06-22 2017-06-22 신발끈 조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89A KR101864205B1 (ko) 2017-06-22 2017-06-22 신발끈 조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205B1 true KR101864205B1 (ko) 2018-06-04

Family

ID=6262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389A KR101864205B1 (ko) 2017-06-22 2017-06-22 신발끈 조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684A (ko) 2018-12-18 2020-06-26 정연도 매듭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9423A (en) * 1988-12-19 1990-02-13 Randall Richard C Rope cleat
KR20060024377A (ko) * 2003-08-04 2006-03-16 가부시키가이샤자파나 케이블식 슈즈에 있어서의 인장 케이블, 특히 복수 라인의인장 케이블다발의 장착 장치
KR101315194B1 (ko) 2013-07-09 2013-10-07 김은규 신발끈 조임장치
KR101493994B1 (ko) * 2014-04-17 2015-02-17 소연실 완강기
KR20160042081A (ko) * 2013-09-13 2016-04-18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파손 보상 레이스 인장 장치 및 방법
KR20160072375A (ko) 2014-12-12 2016-06-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텐셔너를 이용한 신발끈 조임장치
WO2016195965A1 (en) * 2015-05-29 2016-12-08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motorized tensioning device with split spool system
WO2016195957A1 (en) * 2015-05-29 2016-12-08 Nike Innovate C.V. Motorized tensioning device with compact spool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9423A (en) * 1988-12-19 1990-02-13 Randall Richard C Rope cleat
KR20060024377A (ko) * 2003-08-04 2006-03-16 가부시키가이샤자파나 케이블식 슈즈에 있어서의 인장 케이블, 특히 복수 라인의인장 케이블다발의 장착 장치
KR101315194B1 (ko) 2013-07-09 2013-10-07 김은규 신발끈 조임장치
KR20160042081A (ko) * 2013-09-13 2016-04-18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파손 보상 레이스 인장 장치 및 방법
KR101493994B1 (ko) * 2014-04-17 2015-02-17 소연실 완강기
KR20160072375A (ko) 2014-12-12 2016-06-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텐셔너를 이용한 신발끈 조임장치
WO2016195965A1 (en) * 2015-05-29 2016-12-08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motorized tensioning device with split spool system
WO2016195957A1 (en) * 2015-05-29 2016-12-08 Nike Innovate C.V. Motorized tensioning device with compact spo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684A (ko) 2018-12-18 2020-06-26 정연도 매듭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437B1 (ko) 물품을 조이기 위한 폐쇄 시스템
JP5618244B2 (ja) 靴紐の締め装置
US7648404B1 (en) Adjustable foot strap and sports board
KR101249420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20100111031A (ko) 신발끈 조임장치
WO2016008448A1 (zh) 收束物系绑装置
KR100953398B1 (ko) 신발끈 조임장치
EP2672937B1 (en) Tightening system for an orthopedic article
JP4538836B2 (ja) ケーブル式靴における引張りケーブル、特に複数本の引張りケーブル束の装着装置
US8468657B2 (en) Reel based lacing system
JP4708931B2 (ja) 空気袋付きバンドの締結機構、それを含むエアマッサージ装置および血圧計
JP2017513679A (ja) ワイヤー締付装置
EP3578069A1 (en) Rope adjusting device and assembly
KR20170042577A (ko) 신발끈 권취 장치의 부착 구조
JP7073507B2 (ja) ひも調節装置及びアセンブリ
US10558052B2 (en) Adjusting mechanism and head mounted display
TWM563427U (zh) 捲線器
JP2022163729A (ja) 締結装置
KR101864205B1 (ko) 신발끈 조임 장치
CN110068928B (zh) 绑带调节装置及头戴显示产品
KR101572647B1 (ko) 잠금커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KR101651402B1 (ko) 캔 레버타입의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JP2005124597A (ja) 靴紐締結装置
JP5371267B2 (ja) 巻取装置
CN110297326B (zh) 调整机构以及头戴式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