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568B1 -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 Google Patents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568B1
KR101863568B1 KR1020110070282A KR20110070282A KR101863568B1 KR 101863568 B1 KR101863568 B1 KR 101863568B1 KR 1020110070282 A KR1020110070282 A KR 1020110070282A KR 20110070282 A KR20110070282 A KR 20110070282A KR 101863568 B1 KR101863568 B1 KR 101863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application
specific key
event information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289A (ko
Inventor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5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운영체제 환경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단말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구동하던 어플리케이션이 강제적으로 종료되는 경우 특정 키 입력으로 인한 이벤트 발생 유무에 따라 강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자동으로 재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BACKGROUND APPLICATION MANAGEMNT METHOD AND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운영체제 환경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단말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구동하던 어플리케이션이 강제적으로 종료되는 경우 특정 키 입력으로 인한 이벤트 발생 유무에 따라 강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자동으로 재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모바일 운영체제를 통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모바일 운영체제는 PC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윈도우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처럼 모바일 단말 상에서 구동하는 운영체제를 말한다. 이러한 모바일 운영체제는 모바일 단말에 단말의 특성과 제조사 기술에 맞는 것으로 탑재된다. 대표적으로 애플사의 iOS 운영체제, 구글 사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윈도우 운영체제, 노키아 상의 심비안 운영체제 등이 있다.
이러한 모바일 운영체제를 도입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도 PC처럼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동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멀티태스킹 동작시, 모바일 단말에서는 특정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다른 작업과는 관계없이 동작하기 위해 백그라운드로 수행된다. 이를 테면, 파일 전송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게임이나 전화 통화와 같이 다른 기능과 관계없이 동작하기 위해 단말에서 백그라운드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단말에서는 백그라운드로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현재 백그라운드로 수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지, 해당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는지, 또는 계속 수행되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백그라운드로 프로그램이 수행되고 있음을 모르고 전원을 끄거나 배터리를 교체하여 강제적으로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에서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가용 메모리가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램(RAM) 확보를 위해 초기 부팅하는 것과 같은 수준으로 램(RAM)을 정리하거나, 태스크 킬러(task killer)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일괄적으로 종료시킬 수 있다.
이때, 기본으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까지 강제 종료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구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서는 알람(alarm) 정보를 모바일 운영체제에 등록하여 특정 알람 시간이 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알람 정보를 전달하게끔 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강력한 태스크(task) 관리 프로그램이 나오면서 백그라운드로 수행되던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시키면 모바일 운영체제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알림 정보까지 모두 삭제되어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전까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던 어플리케이션이 강제 종료되는 경우 특정 키를 이용한 이벤트 발생 유무에 따라 강제 종료하였던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재 실행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말기는, 백그라운드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강제적으로 종료시킨 단말기에 있어서,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이벤트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이벤트 동작 감지부; 상기 특정 키 입력에 대하여 이벤트 정보를 등록해 두고, 상기 이벤트 동작 감지부로부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기등록한 이벤트 정보를 수행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이벤트 설정부; 및 상기 이벤트 설정부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와 매핑되는 브로드캐스트 리시버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동 요청하는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는 다수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를 포함하고, 각 브로드캐스트 리시버가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입력되는 이벤트 중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할 것인지를 사전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특정 키 입력 발생시 어떤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실행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 키는 스마트 폰의 홈 키, 통화 키, 종료 키, 잠금 설정/해제 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설정부는 상기 특정 키의 입력이 발생하면 브로드캐스팅 하기 전에 상기 특정 키에 대한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이벤트를 추가적으로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설정부는 상기 특정 키에 대한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이벤트 정보를 새로 등록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말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은, 특정 키 입력에 대하여 이벤트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백그라운드 상의 어플리케이션이 강제적으로 종료된 후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이벤트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기 등록한 이벤트 정보를 수행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한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동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가 각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별로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입력되는 이벤트 중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할 것인지를 사전에 등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특정 키 입력 발생시 어떤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실행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브로드캐스팅 하기 전에 상기 특정 키에 대한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상기 특정 키에 대한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이벤트 정보를 새로 등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던 어플리케이션이 강제 종료되는 경우 특정 키를 이용한 이벤트 발생 유무에 따라 기 설정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전달받은 리시버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를 다시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구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강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재 실행하도록 관리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강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재 실행하도록 관리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강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재 실행하도록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강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재 실행하도록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강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재 실행하도록 관리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의 단말기는 모바일 운영체제를 탑재한 휴대 단말기로서, 이동 통신망(CDMA, W-CDMA 등)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단말, 무선 인터넷망(WiBro 등) 또는 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10)은 노트북,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벤트 설정부(110), 이벤트 동작 감지부(120),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 설정부(110)는 특정 키 입력 발생하면 어떤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실행할 것인지에 대한 이벤트 등록을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홈 키를 누르면 알람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관련 어플리케이션,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터치 패드에 손을 데면 단말의 라이트(light)가 켜지는 것도 하나의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키는 스마트 폰의 홈 키가 될 수 있고, 종료 키나 통화 키, 잠금 설정/해제 키 등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키는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키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설정부(110)는 특정 키 입력이 발생하면 기 등록한 이벤트 정보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이때, 브로드캐 리시버 모듈부(130)로 브로드캐스팅하는 이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라 칭한다.
또한, 이벤트 설정부(110)는 특정 키의 입력이 발생하면 특정 키에 대한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이벤트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동작 감지부(120)로부터 홈 키가 입력되면 홈 키에 대한 이벤트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으면 이벤트 동작 감지부(120) 또는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로 이를 알린다.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새로운 이벤트 정보를 등록하도록 한다.
이벤트 동작 감지부(120)는 이벤트 설정부(110)에서 등록한 특정 키에 대하여 입력 유무를 감지한다. 특정 키의 입력이 있으면 이벤트 설정부(110)에 이벤트 발생 유무를 알린다.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는 이벤트 설정부(110)로부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과 맞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선택하여 자동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요청한다.
이러한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는 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다수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receiver)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백그라운드 상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는 사전에 각 브로드캐스트 리시버가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입력되는 이벤트 중 특정 이벤트 발생시에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할 것인지를 등록한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그라운드 상태 감지부(14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 상에 동작하고 있는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에 동작되고 있으면 이벤트 설정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이벤트 정보를 수행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에 동작되지 않고 있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강제 종료된 경우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에 동작하지 않은 경우가 일반적일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다음의 도 3 및 도 4와 같이 동작한다.
도 3은 강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재 실행하도록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은 이벤트 설정부(110)를 통해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어떤 이벤트를 발생할 것인지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사전에 등록한다. 그리고, 단말은 백그라운드 상에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인지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 대해서도 사전에 등록한다.
이후, 단말은 태스크 관리 어플리케이션이나 램 정리 등을 통해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S100).
그러면, 이벤트 동작 감지부(120)에서 특정 키 입력 유무에 따라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S110).
특정 키는 스마트 폰의 홈 키, 통화 키, 잠금 설정/해제 키 등 사용자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키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키로 설정하면 강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 중 기본적으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재 실행할 수 있다.
이벤트 동작 감지부(120)에서 특정 키의 입력이 발생하면 이벤트 설정부(110)로 이벤트가 발생함을 알리고, 특정 키의 입력이 없으면 특정 키 입력이 있을 때까지 현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S140).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설정부(110)는 기 등록한 이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로 브로드캐스팅한다(S120).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는 이벤트 설정부(11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와 매핑되는 브로드캐스트 리시버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동 요청을 한다(S130). 예를 들어, 알람(alarm)에 대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mainreceiver라고 정해진 알림 브로드캐스트 리시버가 수신하여 자신의 프로세스를 동작시키고, 홈 키에 대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subreceiver 라고 정해진 리시버가 수신하여 자신의 프로세스를 동작시킨다.
예컨대, 홈 키를 이용하여 알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일 예를 보면, 여기서 알람 어플리케이션은 모닝콜과 같은 기본적인 알람 시계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알람 또는 볼륨 증가 알람, 바로전화하기 등과 같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홈 키의 입력이 있으면 단말 내 이벤트 설정부가 알람 어플을 실행하라는 이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로 전송하고,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에서는 mainreceiver가 알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므로 알람 어플리케이션에 이벤트로 등록한 음악 알람, 볼륨 증가 등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수행하여 서비스를 재 구동할 수 있다.
도 4는 강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재 실행하도록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말에서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강제적으로 종료되면, 단말 내 이벤트 동작 감지부(120)가 특정 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감지한다(S200, S210).
특정 키의 입력이 없으면 이벤트 동작 감지부(120)는 특정 키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현 동작 상태를 유지하고, 특정 키의 입력이 있으면 이벤트 설정부(110)로 이벤트가 발생됨을 알린다(S220).
그러면, 이벤트 설정부(110)는 특정 키에 대한 이벤트 정보가 등록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30).
특정 키 입력에 대한 이벤트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면 등록한 이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로 브로드캐스팅한다(S250).
특정 키 입력에 대한 이벤트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이벤트 설정부(11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이벤트 정보를 새로 등록하도록 한다(S240). 단말 화면에 실행할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해 주고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새로 등록 후 등록한 이벤트 정보를 브로드캐스 리시버 모듈부(130)로 브로드캐스팅한다(S250).
이후,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130)는 이벤트 설정부(11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와 매핑되는 브로드캐스트 리시버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동 요청을 한다(S260).
예를 들어, 알람 이벤트 정보를 등록하는 키 코드(key code)의 일부를 발췌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1054470938-pat00001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종래 모바일 운영체제에서는 태스크 킬러(task killer)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강제 종료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알람 정보로 미리 등록해 두어 일정 시간이 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재 실행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키 입력이 발생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재 실행하도록 하는 이벤트를 미리 등록해 두고 이벤트 발생시 어플리케이션에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전달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강력한 태스크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기존 알람 정보가 삭제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뿐만 아니라 다른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컴포넌트 선언 작업으로 충분히 구현 가능하며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단말 110: 이벤트 설정부
120: 이벤트 동작 감지부 130: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

Claims (11)

  1. 백그라운드 상의 어플리케이션이 강제적으로 종료된 후 특정 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특정 키 입력에 대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정보를 수행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이벤트 설정부; 및
    다수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정보를 기 등록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브로드캐스트 리시버가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동 요청하는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모듈부는,
    각 브로드캐스트 리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정보 중 특정 이벤트 정보 발생시에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할 것인지를 사전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특정 키 입력 발생시 어떤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실행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키는 스마트 폰의 홈 키, 통화 키, 종료 키, 잠금 설정/해제 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이벤트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이벤트 동작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설정부는
    상기 특정 키의 입력이 발생하면 브로드캐스팅 하기 전에 상기 특정 키에 대한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이벤트를 추가적으로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설정부는
    상기 특정 키에 대한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이벤트 정보를 새로 등록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백그라운드 상의 어플리케이션이 강제적으로 종료된 후 특정 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특정 키 입력에 대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정보를 수행하기 위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다수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정보를 기 등록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브로드캐스트 리시버가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동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각 브로드캐스트 리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정보 중 특정 이벤트 정보 발생시에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할 것인지를 사전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특정 키 입력 발생시 어떤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실행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키의 입력이 발생하면 브로드캐스팅 하기 전에 상기 특정 키에 대한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키에 대한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이벤트 정보를 새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11. 삭제
KR1020110070282A 2011-07-15 2011-07-15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KR10186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282A KR101863568B1 (ko) 2011-07-15 2011-07-15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282A KR101863568B1 (ko) 2011-07-15 2011-07-15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380A Division KR101863566B1 (ko) 2016-11-02 2016-11-02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289A KR20130009289A (ko) 2013-01-23
KR101863568B1 true KR101863568B1 (ko) 2018-06-04

Family

ID=4783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282A KR101863568B1 (ko) 2011-07-15 2011-07-15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5732A (zh) * 2018-10-31 2020-02-1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操作切换方法、装置及遥控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7849A (ja) * 2001-12-10 2003-06-27 Fujitsu Ltd コマンド入力装置、プログラム
US20090113444A1 (en) * 2007-10-31 2009-04-30 Google Inc. Application Manag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7849A (ja) * 2001-12-10 2003-06-27 Fujitsu Ltd コマンド入力装置、プログラム
US20090113444A1 (en) * 2007-10-31 2009-04-30 Google Inc. Application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289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66322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基站及终端
US2020036651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smart home device in smart home system
JP6096992B2 (ja) 記憶空間を節約するための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8920195B (zh) 开机处理方法及相关产品
CN104320774B (zh) 一种升级方法、装置及设备
CN109769279B (zh) 无服务状态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2740638B (zh) 分组数据单元(pdu)会话控制方法和设备
JP2006065865A (ja) 移動通信端末機の外部装置検出方法
CN107423064B (zh) 消息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4714815A (zh) 一种对应用软件进行升级的方法及装置
US2022021070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network switching resour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network switching resource
CN113038593A (zh) 连接建立方法、装置和用户设备
CN107885588B (zh) 应用服务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和移动终端
CN104346563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EP3457669B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ending messages
CN106797613B (zh) 一种控制终端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1863568B1 (ko)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EP3188566B1 (en)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KR101863566B1 (ko)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CN112395018A (zh) 一种方向控制应用启动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57205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장 메모리 카드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783825A (zh) 移动终端多后台进程启动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6817370B (zh) 传输网络数据的方法及装置
US112218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screensaver of application program, and mobile terminal
WO2021254318A1 (zh) 终端设备及其手势操作方法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