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404B1 - Docking device and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ocking device and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404B1
KR101863404B1 KR1020140131445A KR20140131445A KR101863404B1 KR 101863404 B1 KR101863404 B1 KR 101863404B1 KR 1020140131445 A KR1020140131445 A KR 1020140131445A KR 20140131445 A KR20140131445 A KR 20140131445A KR 101863404 B1 KR101863404 B1 KR 101863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connector
lever
housing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8402A (en
Inventor
서용근
정종훈
김중기
Original Assignee
지멘스 메디컬 솔루션즈 유에스에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메디컬 솔루션즈 유에스에이, 인크. filed Critical 지멘스 메디컬 솔루션즈 유에스에이, 인크.
Priority to KR102014013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404B1/en
Publication of KR2016003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4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3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involving a dock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7Device being portable or laptop-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를 하우징 내에 수용할 수 있고 휴대 기기와의 접속 시에만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할 수 있는 도킹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는 접속 구멍을 구비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휴대 기기의 접속 단자와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모듈과, 상기 커넥터 모듈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는 상기 커넥터 모듈을 장착하는 승강 블록과 상기 승강 블록을 캠 구동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cking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connector in a housing and projecting out of the housing only when connected to a portable device. A d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plate having a connection hole and a housing coupled to the cover plate.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connector module having a connector connectable with a connection terminal of a portable device, and a connector lift assembly for supporting the connector modul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herein the connector lift assembly includes a lift block And a connector lift lever for moving the lift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cam driving.

Description

도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 진단 장치{DOCKING DEVICE AND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진단 기기의 도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도킹 장치를 구비하는 영상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king device for a portable diagnostic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image diagnostic apparatus having such a docking apparatus.

도킹 장치는 휴대 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일련의 하드웨어 장치와 접속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를 사무실 등에서 사용할 때는 도킹 장치를 이용하여 확장 슬롯, 외부 기억 장치, 로컬 인쇄기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외부로 이동할 때는 휴대 기기만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A docking device is a device used to enhance the usability of a portable device and includes a series of hardware devices and a connection interface. For example, when a portable device is used in an office or the like, an expansion slot, an external storage device, a local printer, or the like can be used by using a docking device.

도킹 장치는, 통상 휴대 기기가 거치되는 본체와, 휴대 기기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8-030354호는 본체에 휴대 기기의 후면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돌출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도킹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30570호는 본체에 휴대 기기의 저면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도킹 장치를 제공한다.The docking device usually includes a main body to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mounted and a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ortable device.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8-030354 proposes a docking device having a connector protruding forward corresponding to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a portable devic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30570 also provides a docking device having a connector protruding upward in correspondence with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a portable devi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8-03035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8-03035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3057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30570

종래기술에 따른 도킹 장치에서는, 커넥터가 항상 외부로 돌출되도록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기기의 사용자나 외부 구조물이 예기치 않게 커넥터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상이나 외부 구조물의 손상이 생길 수 있으며, 커넥터도 이러한 걸림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고정된 커넥터에 대해 휴대 기기를 이동시켜 접속 단자를 끼워 맞춰야 하기 때문에 접속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이 과정에서 커넥터나 접속 단자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파손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휴대 기기가 도킹 장치로부터 쉽게 접속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와 접속 단자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기능상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도킹 장치는 파손되기 쉬운 커넥터 구조로 인해 안정적인 성능을 확보하기 어렵다.In the d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connector is always fixed to the main body so as to protrude outward, the user or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portable device may be unexpectedly caught in the connector. Therefore, the user may be injured or the external structure may be damaged, and the connector may be damaged by this hitch.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device must be moved relative to the connector fixed to the main body to fit the connection terminal, it is not easy to connect. In this process, excess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nd breakage may occur. Furth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since the portable device can be easily disconnected from the docking device, excess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connectors and connection terminals connected to each other, resulting in a functional failure. That is, the d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fficult to secure stable performance due to a connector structure that is easily broken.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를 본체 내에 수용할 수 있고 휴대 기기와의 접속 시에는 본체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는 도킹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cking apparatus capable of accommodating a connector in a main body and capable of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connected to a portabl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휴대 기기를 본체에 거치한 상태에서 커넥터의 접속이 가능하게 하고, 휴대 기기의 거치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커넥터의 접속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도킹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cking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a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preventing disconnection of the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unseated.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을 갖는 도킹 장치를 구비하는 영상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diagnostic apparatus having a dock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featur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버판과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는 외부의 휴대 기기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커버판에 결합될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저면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와 정렬되는 접속 구멍을 구비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대 기기의 접속 단자와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모듈과, 상기 커넥터 모듈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는 상기 커넥터 모듈을 장착하는 승강 블록과 상기 승강 블록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쪽의 제1 방향으로의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당김에 의해 상기 승강 블록이 캠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 구멍을 통해 상승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누름에 의해 상기 승강 블록이 캠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접속 구멍을 통해 하강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ck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plate and a housing.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plate detachably mountable to an external portable device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align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coupled to the cover plate, And a housing coupled to the cover plate. The housing includes a connector module having a connector connectable to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connector lifting assembly for lifting and supporting the connector module. 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includes a connector module And a connector lift lever for moving the lift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or is rais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so that the lift block is cam driven by the connector lift lever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housing and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s lower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so that the lift block is cam-driven and received in the housing by press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상기 커버판의 하면에 승강용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용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접속 구멍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 블록의 상하 방향에서의 이동을 유도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late further includes a guide protrusion for lifting and lowering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the lifting guide protrusion is disposed at an edge of the connection hole to move the lift block in the up-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는,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지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블록은,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을 연결하는 장착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벽에는, 상기 지지핀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활주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판에는, 상기 커넥터 모듈을 장착하는 장착 구멍이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or lift lever includes a support pin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or lift lever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lift lever, and the lift block includes: And a mounting plate connecting the pair of side walls to each other. Further, the pair of side walls are formed with a slide slit in which the support pin is movably inserted, and the mounting plat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for mounting the connector modu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주 슬릿은 경사지게 연장하는 부분과, 상기 경사지게 연장하는 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수평하게 연장하는 부분들로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slide slit is formed of portions extending obliquely and portions extending horizontally at both ends of the obliquely extending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판을 상기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cover plate detachable assembly releasably securing the cover plate to the hous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하우징으로의 누름에 의해 상기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의 일부가 걸리는 한 쌍의 체결 구멍이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late is formed with a pair of fastening holes for engaging a part of the cover plate attaching / detaching assembly by pressing the hous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는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돌출된 후크를 구비하는 한 쌍의 커버판 고정용 래치와, 상기 커버판 고정용 래치에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에서 접하고 상기 커버판 고정용 래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압축되도록 장착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당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커버판 고정용 래치를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커버판 고정용 래치와 결합되는 커버판 분리용 레버와,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에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에서 접하고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압축되도록 장착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late attaching / detaching assembly includes a pair of cover plate fixing latches movabl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nector lift lever and having protruding hooks, A first elastic member that is attached to the latch for latching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mounted so as to be com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latch for fixing the cover plate to the housing; A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which is engaged with the pair of cover plate securing latches so as to move the pair of cover plate securing latch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resilient member which is abutt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ever for being pressed to the housing by the movement of the lever for separating the cover plat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 고정용 래치는 상기 후크의 돌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에는 상기 연결 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활주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 고정용 래치가 상기 활주 구멍에서 이동하는 상기 연결 돌기에 의해 캠 구동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has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hook, and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is provided with a slide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movably inserted And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is cam driven by the coupling protrusion moving in the slide ho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압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late further includes a pressure sensing device for limiting movement of the connector lift lev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는 일단측 상면에 돌출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감지 장치는 상기 커버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핀 하우징과, 상기 핀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핀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핀 돌기를 구비하는 누름핀과, 상기 누름핀을 상기 커버판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핀이 하측 방향으로 눌리면 상기 걸림 돌기에 상기 핀 돌기가 걸린 상기 누름핀이 하강하여 상기 누름핀과 상기 걸림 돌기와의 걸림이 해제된다.In one embodiment, the connector lifting lever includes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one end side, and the pressure sensing device includes a pin housing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a third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pressing pin toward the cover plate. The pressing pin has a pin protrus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pin housing. When the pressing pin is pushed downward, the pressing pin with the pin projection is lowered to the latching protrusion, so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pressing pin and the latching protrusion is releas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회전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잠금 장치는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의 이동을 제한한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rotation locking device, which restricts movement of the cover plate separation lever by movement of the connector lift lev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잠금 장치는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와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 사이에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제4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는 상기 회전체가 걸리게 할 수 있는 제1 레버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는 상기 회전체가 걸리게 할 수 있는 제2 레버홈을 구비한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locking device includes a rotating body rotating between the connector lifting lever and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and a fourth elastic member elastically pressing the rotating body toward the connector lifting lever And the connector lifting lever has a first lever groov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rotating body, and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has a second lever groov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rotating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체가 상기 제1 레버홈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제2 레버홈에 걸리고, 상기 회전체의 상기 제2 레버홈의 걸림에 의해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In one embodiment, by moving the connector lifting lever in the first direction, the rotating body is released from the first lever groove to engage with the second lever groove, and the second lever groove The movement of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in the second direction is restrict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 진단 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영상 진단 장치는 카트와, 상기 카트에 장착되는 전술한 도킹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agnostic apparatus is provided.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art and the above-described docking device mounted on the ca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는 초음파 영상 진단 기기이다.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device is an ultrasound imag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판과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내부에 도킹 장치의 커넥터가 수용되고, 커버판에 휴대 기기가 장착되는 조건에서 본체의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다. 즉, 휴대 기기와의 접속을 위해서 커넥터를 외부에 선택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나 외부 구조물 등의 예기치 못한 걸림에 의한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를 움직일 필요가 없이 휴대 기기를 커버판에 거치한 상태에서 커넥터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커넥터를 휴대 기기의 접속 단자에 용이하게 접속 또는 접속 해제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휴대 기기의 접속 단자나 도킹 장치의 커넥터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장치는 휴대 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만 커넥터를 하우징의 외부에 돌출시킬 수 있고, 휴대 기기의 거치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커넥터의 접속 해제를 위한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휴대 기기의 예기치 못하거나 강제적인 장착 해제로 인해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영상 진단 장치는 커넥터의 손상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of the docking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omposed of the cover plate and the housing, and ca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portable device is mounted on the cover plate. That is, the connector can be selectively protruded to the outside for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connector due to unexpected jamming of a user or an external structure.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or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portable device is mounted on the cover plate without moving the portable device, the connector can be easily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ortable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xcessive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docking device or the connector of the docking device. Further, the docking device can protrude the connecto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only when the portable device is stationary, and the movement for disconnecting the connector is restricted when the portable device is unstuc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or from being damaged due to unexpected or forced release of the portable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docking apparatus and the image diagnostic apparatus having the same can prevent the connector from being damaged, thereby ensuring stable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와 휴대 기기의 도킹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에 캠 구동되도록 연결되는 승강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커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에 의한 상기 승강 블록의 승강 이동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가압 감지 장치의 누름핀을 상하 방향에서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에 대한 상기 가압 감지 장치에 있어서의 누름핀의 승강 이동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2에 도시한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버판 고정용 래치를 상하 방향에서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커버판 고정용 래치와 캠 구동되도록 연결되는 커버판 분리용 레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커버판 분리용 레버에 형성된 활주 구멍의 확대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에 의한 커버판 고정용 래치의 이동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9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 잠금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회전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에 의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를 구비하는 영상 진단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ocking example of a docking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nector lifting lever constituting 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shown in Fig. 2 in different directions.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 block connected to the connector lift lever in a cam driven manner.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plate shown in Fig.
7 and 8 are reference views show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vement of the elevating block by the connector lifting lever.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showing the push pins of the pressure s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2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 11 and Fig. 12 are reference views show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vement of the push pin i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lifting lever.
Figs. 13 and 14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showing the cover plate fixing latches constituting the assembly for attaching / detaching the cover plate shown in Fig. 2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connected to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so as to be cam driven.
16 is an enlarged view of a slide hole formed in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of Fig. 15;
17 and 18 are reference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by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19 is a plan view showing a rotation lock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ng body constituting the rotation locking device of Fig. 19;
21 and 22 are reference views show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by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diagnostic apparatus having a d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 진단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 embodiment of a docking apparatus and an image diagnost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or par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휴대 기기가 도킹 장치에 대해 놓인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direction indicators such as " upward ", " up ", and the like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placed relative to the docking devic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irection indicators such as " .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100)와 휴대 기기(10)의 도킹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기기(10)는 도킹 장치(100)의 상부에 도킹을 위해 장착되며, 이를 위해 휴대 기기(10)는 저면에 접속 단자(11)(도 7 및 도 8 참조)를 구비한다. 여기서, 휴대 기기(10)의 '도킹을 위한 장착'은, 휴대 기기(10)가 도킹 장치(100)의 상부에 안착 또는 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 기기(10)의 접속 단자(11)는 도킹 장치(100)에 구비되는 커넥터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접속 단자로서, 인터페이스 커넥터 또는 슬롯을 포함한다. 휴대 기기(10)는 이동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독립적인 기능(예컨대, 초음파 진단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참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휴대 기기(10)가 대략 직육면체인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1 to 22, a doc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schematically shows a docking example of a docking device 100 and a portabl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device 10 is mounted on the docking device 100 for docking. To this end, the portable device 10 has a connection terminal 11 (see FIGS. 7 and 8) Respectively. Here, the 'mounting for docking' of the portable device 10 includes the mounting or mounting of the portable device 1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ocking device 100. The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portable device 10 is a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connector provided in the docking apparatus 100 and includes an interface connector or a slot. The portable device 10 can be referred to as a device capable of moving independently of its size and shape and performing independent functions (e.g., an ultrasonic diagnostic function, etc.). 1, the portable device 10 is shown t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에서, 화살표(U)는 상방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화살표(L)는 하방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도 1에서, 도킹 장치(100)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 화살표(D1)는 도킹 장치(100)의 우측 방향을 가리키고, 화살표(D2)는 도킹 장치(100)의 좌측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도 1에서, 화살표(D3)는 도킹 장치(100)의 전방을 가리키고, 화살표(D4)는 도킹 장치(100)의 후방을 가리킨다.In Fig. 1, the arrow U indicates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arrow L indicates the downward direction. 1, the arrow D1 indicates the right direction of the docking device 100 and the arrow D2 indicates the left direction of the docking device 100 when the docking device 100 is viewed from the front. 1, an arrow D3 indicates the front of the docking device 100, and an arrow D4 indicates the rear of the docking device 100. As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100)는 휴대 기기(10)의 기능 확장을 위한 다양한 전자장치의 내장 또는 외장이 가능하고, 외부 모니터나 프린터 등의 주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확장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장치(100)는 본체를 구성하는 커버판(110) 및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커버판(110)은 외부의 휴대 기기(10)에 착탈 가능하고, 하우징(120)은 커버판(110)에 결합된다. 하우징(120)은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들로서, 휴대 기기(10)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커넥터(131)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130)과,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커넥터 모듈(130)을 상하 방향(U, L)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doc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mbed or cover various electronic devices for expanding functions of the portable device 10, And may have an expansion slot for connection. The dock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ver plate 110 and a housing 120 constituting the main body. The cover plate 110 is detachable from the portable device 10 and the housing 120 is coupled to the cover plate 110. The housing 120 includes components such as a connector module 130 including a connector 131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portable device 10 and a connector module 13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20, And a connector lifting and lowering assembly 200 that supports the connector lifting and lowering member in a vertical direction (U, L).

커버판(110)은 하우징(120)의 개방된 상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며, 휴대 기기(10)의 저부가 일부 수용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가 상방으로 굽힌 곡면 형상을 가진다. 커버판(110)은 휴대 기기(10)를 정확한 위치에 거치시키고 고정할 수 있는 돌기와 홈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판(110)은 후방 가장자리에 휴대 기기(10)가 걸려 끼워지는 단턱(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며, 전방 가장자리의 양측에 휴대 기기(10)의 저면에 구비되는 홈 및 돌기에 대응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끼워맞춤 돌기(113a) 및 한 쌍의 끼워맞춤 홈(113b)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판(110)에 휴대 기기(10)를 장착시키기 위해 끼워맞춤 돌기(113a)와 끼워맞춤 홈(113b)을 커버판(110)에 모두 구비하였지만, 이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판(110)은 가장자리에 휴대 기기(10)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그 등의 클램핑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over plate 1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20 and has a curved shape whose edges are bent upward so that a bottom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10 can be partially accommodated. The cover plate 110 has protrusions and grooves that can fix and fix the portable device 10 at an accurate position. In one embodiment, the cover plate 110 has a step (not shown)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10 is hooked on the rear edge, and a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 on both sides of the front edge. And a pair of fitting protrusions 113a and a pair of fitting grooves 113b having a complementary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Although the fitting protrusion 113a and the fitting groove 113b are provided on the cover plate 110 in order to mount the portable device 10 on the cover plate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You may. The cover plate 110 may further include a clamp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 jig for releasably fixing the portable device 10 to an edge thereof.

휴대 기기(10)가 상면(111)에 안착되는 커버판(110)은 휴대 기기(1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11)를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커버판(110)에 관통 형성되는 접속 구멍(115)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10)가 커버판(110)에 결합될 경우에 접속 구멍(115)은 휴대 기기(10)의 접속 단자(11)와 정렬된다. 또한, 커버판(110)은 휴대 기기(10)의 안착 시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핀(240)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완충핀 설치 구멍(114a)을 전방 양 코너부에 구비하며, 가압 감지 장치(230)를 설치하기 위한 가압 감지 장치 설치용 구멍(114b)을 우측 가장자리에 구비한다.The cover plate 110 on which the portable device 1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111 is formed to penetrate the cover plate 110 so as to expose the connection terminal 11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0 to the outside And has a connection hole 115. The connection hole 115 is aligned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portable device 10 when the portable device 10 is coupled to the cover plate 110. [ The cover plate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ushioning pin mounting holes 114a for mounting a cushioning pin 240 for relieving an impact when the portable device 10 is seated, And a pressure sensing device mounting hole 114b for installing the device 230 at the right edge.

하우징(120)은 대략 사각형의 바닥면(121)을 갖는 중공형의 박스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120)은 상부가 개방되며, 하우징(120)의 상부는 커버판(110)에 의해 개폐된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휴대 기기(10)를 도킹시킬 수 있는 각종 장치 또는 부품이 내장된다. 하우징(120)에 있어서, 바닥면(121)의 중앙부에는 도킹을 위한 각종 장치 또는 부품에 연결된 배선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 구멍(122)이 관통 형성된다. 하우징(120)은 바닥면(121)에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 및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3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돌기(123a) 및 복수의 가이드 레일(123b)을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120)에는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 및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300)를 하우징(120)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양측(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조작 구멍(127)이 형성된다.The housing 120 has a hollow box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ttom surface 121.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20 is open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2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plate 110. In the housing 120, various devices or components capable of docking the portable device 10 are incorporated. In the housing 120, a draw-out hole 1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121 so as to allow the wiring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or parts for docking to be drawn out. The housing 12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123a and a plurality of guide rails 123b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200 and the cover plate attaching and detaching assembly 300 to the bottom surface 121 do. The connector 120 and the cover plate attaching / detaching assembly 300 are provided on both sides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20 so as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connector lifting / Is formed.

커넥터 모듈(130)은 휴대 기기(10)와 접속되는 커넥터(131)를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하고, 후술하는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에 장착되는 메인 기판(132)과, 메인 기판(132)의 주변에 확장되도록 형성되며 커넥터(13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 등을 배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외부의 주변 기기로 전달할 수 있는 서브 기판(133)을 포함한다. 메인 기판(132)의 하부에는 복수의 장착핀(134)(도 7 및 도 8 참조)이 돌출되어 있어, 커넥터 모듈(130)을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다.The connector module 130 includes a main board 132 mounted on 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main board 132 provid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onnector 131 connected to the portable device 10, And a sub substrate 133 which is formed to exten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131 and can transmit signals and the like received through the connector 131 to external peripheral devices through wiring (not shown). A plurality of mounting pins 134 (see FIGS. 7 and 8) protrud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ard 132 so that the connector module 130 can be fitted to 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200 in a fitting manner .

하우징(120)에 내장된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는 커넥터 모듈(130)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는 하우징(120)의 측면 쪽의 제1 방향(이하, '우측 방향(D1 방향)'이라고도 한다)과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이하, '좌측 방향(D2 방향)'이라고도 한다)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는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D1, D2)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200 built in the housing 120 supports the connector module 130 in a liftable manner.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200 is configured to move the connector 120 in a first direc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right direction (D1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leftward direction (D2 direction) "). That is, 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200 has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1 and D2 inside the housing 120. [

이러한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 중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레버를 우측 방향(D1 방향)으로 당겨주면, 커넥터(131)가 상승하여 커넥터(131)의 적어도 일부가 접속 구멍(115)을 통해 하우징(120)의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 중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레버를 좌측 방향(D2 방향)으로 누르거나 밀어주면, 접속 구멍(115)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20)의 외부로 돌출된 커넥터(131)가 하강하여 하우징(120)의 내부에 다시 수용된다.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 중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레버(즉,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일부분이 하우징(120)의 우측에 형성된 조작 구멍(127)을 통해 하방에 노출되며, 사용자가 레버를 용이하게 당기거나 밀어줄 수 있도록 하우징(120)의 하측에서 손잡이부재(128)가 결합된다.The connector 131 is lift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connector 131 is lifted up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15 to the housing 120 As shown in Fig. When a lever capable of being operated by a user is pressed or pushed in the left direction (D2 direction) out of 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200, at least a part of the lever 130, which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15 Is lowered and housed in the housing 120 again. A lever that is user-operable among 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200 (that is,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partially exposed downward through an operation hole 127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120, The knob member 128 is engag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20 so that the knob member 128 can be easily pulled or pushed.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100)는, 커넥터(131)를 휴대 기기(10)와의 접속 시에는 하우징(120)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휴대 기기(10)와의 접속 해제 시에는 하우징(120)에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어서, 항상 외부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커넥터에 비해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d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otrudes the connector 131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when the connector 131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device 10 and when the connector 131 is disconnected from the portable device 10,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breakage as compared with a connector fixedly installed so as to always protrude to the outside.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를 설명한다.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작하고 길게 연장하는 막대 형상의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와 길이방향으로의 양측부가 개방된 형상의 승강 블록(220)을 포함한다.3 to 8, a connector lifting assembly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200 includes a rod-shaped connector lifting lever 210 which is flat and elongated, And includes an elevated block 220 of an open configuration.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사용자가 커넥터(131)의 작동(예컨대, 커넥터(131)의 승강 제어)을 컨트롤 하기 위해 조작하는 레버이다.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그 길이방향이 제1 방향(D1 방향)과 제2 방향(D2 방향)을 포함하는 제1 슬라이딩 방향으로 놓이도록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a lever operated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131 (for example, the elevation control of the connector 131).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housing 120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in the first sliding direction including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D2 direction , And is reciprocally movable in the first sliding direction.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제1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슬릿(211)(이하, '제1 가이드 슬릿'이라 한다)을 구비한다. 한 쌍의 가이드 슬릿(211)은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가이드 슬릿(211)에는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에서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돌출하는 가이드 돌기(123a)가 끼워진다. 여기서,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123a)가 형성되며, 제1 가이드 슬릿(211)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123a) 중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가 놓이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23a)가 끼워진다. 가이드 돌기(123a)의 상부에는 제1 가이드 슬릿(211)보다 큰 헤드를 갖는 나사(124)(도 19 참조)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이동 시에 제1 가이드 슬릿(211)으로부터 가이드 돌기(123a)가 이탈되어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가 정해진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에 놓이는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홈(211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복수의 홈(211b)(도 4 참조)을 통해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123b)에 탑재되어 이동될 수 있다.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guide slits 2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guide slit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movement in the first sliding direction. The pair of guide slits 211 are formed in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guide slit 211 is fitted with a guide protrusion 123a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housing 120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123a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housing 120.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123a are formed in the first guide slit 211 at positions where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The guide protrusion 123a is inserted. A screw 124 (see FIG. 19) having a larger head than the first guide slit 211 can b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rojection 123a. Therefore, when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moved, the guide protrusion 123a is released from the first guide slit 211 and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can be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211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or 120 that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housing 120. [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can be mounted on a guide rail 123b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121 of the housing 120 through a plurality of grooves 211b (see FIG. 4).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승강 블록(220)과의 결합을 위해, 길이방향에서의 대략 중간부에서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하우징(120)에의 설치 시에 전방 및 후방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도록 결합하는 지지핀(212)을 포함한다.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지지핀(212)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중간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block 220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And a support pin 212 which protrudes in a forward and a backward direction, respectively.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may be formed in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other portions so that the support pins 212 can be stably engaged.

승강 블록(220)은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이동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U, L)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에 결합된다. 승강 블록(220)은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에 연동하는 이동을 한다. 즉,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왕복 이동에 의해 승강 블록(2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직선 왕복 이동을 하도록, 승강 블록(220)은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에 캠(cam) 구동되도록 결합된다.The lifting block 22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U and L within the housing 120 by the movement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The lifting block 220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That is, the elevation block 220 moves the connector lift lever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connector lift lever 2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 블록(220)은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221)과, 한 쌍의 측벽(221)을 연결하는 장착판(225)을 포함한다. 측벽(221)에는 지지핀(212)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캠 구동용 슬릿, 즉 활주 슬릿(222)이 형성된다. 또한, 장착판(225)에는, 커넥터 모듈(130)을 상부에 장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메인 기판(132)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장착핀(134)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 구멍(226)이 형성된다.The elevating block 220 includes a pair of side walls 221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opposite sides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and a mounting plate 225 connecting the pair of side walls 221 ). A cam slit, that is, a slide slit 222, is formed in the side wall 221 in which the support pin 212 is movably inserted. The mounting plate 22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134 to which a plurality of mounting pins 134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ard 132 are fitted, 226 are formed.

승강 블록(220)의 측벽(221)에 형성되는 활주 슬릿(222)은, 승강 블록(220)의 설치 시에 제1 방향(D1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연장하는 부분(이하, '경사부'라고 한다)(222a)과, 경사부(222a)의 제1 방향(D1 방향)을 향하는 일단에서 수평하게 연장하는 부분(이하, '하측 수평부'라고 한다)(222b) 및 경사부(222a)의 제2 방향(D2 방향)을 향하는 타단에서 수평하게 연장하는 부분(이하, '상측 수평부'라고 한다)(222c)을 포함한다.The slidable slit 222 formed in the side wall 221 of the lifting block 220 is a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inclined downward in the first direction D1 in the installation of the lifting block 220 A lower horizontal portion 222b and an inclined portion 222a which extend horizontally at on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22a in the first direction (direction D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 upper horizontal portion ") 222c that extends horizontally at the other end toward the second direction (D2 direction).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에 캠 구동이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승강 블록(220)이 승강하는 도중에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 블록(220)이 안정적으로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에 유지 및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핀(212)이 사용되며, 이에 대응하여 승강 블록(220)의 측벽(221)에는 복수의 활주 슬릿(222)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양측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한 쌍의 지지핀(212)이 결합된다. 또한, 승강 블록(220)은, 이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이격되는 복수의 활주 슬릿(222)이 측벽(221)에 형성된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from being inclined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block 220 that is pin-coupled to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so that the lifting block 220 stably holds and supports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And a plurality of slide slits 222 are formed in the sidewalls 221 of the lift block 220. In this case,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coupled to a pair of support pins 212 so as to be longitudinally spaced from each other on either side. The lifting block 220 has a plurality of sliding slits 222 formed on the side wall 221, the sliding slits 222 being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커버판(11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블록(220)의 상하 방향(U, L)으로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승강용 가이드 돌기(116)를 구비한다. 승강용 가이드 돌기(116)는 하우징(120)의 내부를 향하는 커버판(110)의 하면(112)에서 돌출하고, 커넥터(131)가 접속 구멍(115)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접속 구멍(115)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속 구멍(115)은 직사각형의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데, 승강용 가이드 돌기(116)는 이러한 접속 구멍(115)의 가장자리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에워싸는 형상으로 배치된다.6, the cover plate 110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116 for lifting and lowering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ift block 22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U and L. As shown in Fig. The elevating guide protrusion 116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cover plate 110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115 so that the connector 131 can be guided to the connection hole 115. [ As shown in FIG.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hole 115 has a rectangular opening shape, and the elevating guide protrusion 116 is disposed in such a shape as to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surround the edge of the connecting hole 11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200)에 의한 커넥터(131)를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130)의 승강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가 제1 방향(D1 방향)으로 당겨지기 전(예컨대,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가 제2 방향(D2 방향)으로 하우징(120) 내에 최대로 밀려 있는 상태)에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지지핀(212)이 승강 블록(220)의 측벽(221)에 형성된 활주 슬릿(222) 중 상측 수평부(222c)에 위치(제1 승강 위치)된다. 이때, 지지핀(212)은 승강 블록(220)을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가장 낮은 높이로 지지 및 유지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를 제1 방향(D1 방향)으로 당기면, 상측 수평부(222c)에 위치된 지지핀(212)이 경사부(222a)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지지핀(212)이 승강 블록(220)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승강 블록(220)의 가장자리가 승강용 가이드 돌기(116)로 둘러싸여 있어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로부터 힘을 받는 승강 블록(220)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된다.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를 충분히 당겨, 지지핀(212)이 경사부(222a)를 지나 하측 수평부(222b)에 위치(제2 승강 위치)하게 되면 지지핀(212)은 승강 블록(220)을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가장 높은 높이로 상승시켜 지지 및 유지한다.Up and down movement of the connector module 130 including the connector 131 by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lifting assembly 200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will be described. 7, before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for example,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D2 direction) to the housing 120) The supporting pin 212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222c of the sliding slit 222 formed on the side wall 221 of the lifting block 220 The first lift position). At this time, the support pin 212 supports and holds the lifting block 220 at the lowest height inside the housing 120. 8, when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the support pin 212 positioned on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222c moves along the inclined portion 222a And the support pin 212 pushes up the lift block 220 upward. The elevating block 220 is surrounded by the elevating guide protrusion 116 so that the elevating block 220 receiving the force from the connector elevating lever 210 is guided to move upward. When the connector lift lever 210 is fully pulled and the support pin 212 reaches the lower horizontal portion 222b through the inclined portion 222a, the support pin 212 is lifted up by the lift block 220 ) To the highest height inside the housing 120 to support and hold it.

상기 제1 승강 위치에서는, 승강 블록(220) 상에 장착된 커넥터 모듈(130)이 모두 하우징(1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즉, 커넥터 모듈(130)의 커넥터(131)가 커버판(110)에 형성된 접속 구멍(11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승강 위치에서는, 승강 블록(220) 상에 장착된 커넥터 모듈(130)에서 커넥터(131)의 적어도 일부(상부)가 커버판(110)에 형성된 접속 구멍(11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커버판(110)에는 휴대 기기(10)가 정해진 위치(예컨대, 휴대 기기(10)의 접속 단자(11)가 접속 구멍(115)에 정렬된 위치)에 거치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판(1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커넥터(131)를 휴대 기기(10)의 접속 단자(11)에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In the first elevating position, all the connector modules 130 mounted on the lifting block 220 ar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20. That is, the connector 131 of the connector module 130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15 formed in the cover plate 110. At the second elevation position, at least a part (upper portion) of the connector 131 in the connector module 130 mounted on the elevation block 22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15 formed in the cover plate 110 Respectively. Since the portable device 10 is fixed to the cover plate 11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portable device 10 is aligned with the connection hole 115), the cover plate 110 The connector 131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portable device 10. [

휴대 기기(10)의 접속 단자(11)에 접속된 커넥터(131)를 접속 해제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 방향(D1 방향)으로 당긴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를 당겨주었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즉 제2 방향(D2 방향)으로 누르거나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활주 슬릿(222)의 하측 수평부(222b)에 위치한 지지핀(212)이 하측 수평부(222b)로부터 벗어나 경사부(222a)를 지나고, 상측 수평부(222c)에 다시 위치하게 된다. 승강 블록(220)은 상측 방향(U)으로 승강하는 것과 반대로 하측 방향(L)으로 하강하고, 승강 블록(220) 상에 장착된 커넥터 모듈(130)도 하강하여 외부로 돌출되었던 커넥터(131)의 일부가 다시 하우징(120)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휴대 기기(10)의 접속 단자(11)에 접속된 커넥터(131)는 하우징(120)으로의 하강을 통해 접속 단자(11)로부터 접속 해제된다.When the connector 13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portable device 10 is to be disconnec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131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That is, in the second direction (D2 direction). In this case, the support pin 212 located on the lower horizontal portion 222b of the slide slit 222 is moved away from the lower horizontal portion 222b, passes through the inclined portion 222a, and is again located on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222c . The elevator block 220 descends in the downward direction L as opposed to the elevator U in the upward direction U and the connector module 130 mounted on the elevator block 220 also descends, Is received in the housing 120 again. The connector 13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portable device 10 is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11 through the descent to the housing 120. [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100)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제1 슬라이딩 방향(D1 및 D2 방향)에서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압 감지 장치(230)를 더 포함한다.The dock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pressure sensing device 230 that restricts movement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n the first sliding direction D1 and D2 direction.

실시예에서,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가압 감지 장치(230)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 돌기(213)를 구비한다(도 3, 도 4, 도 11 및 도 12 참조). 걸림 돌기(213)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제1 방향(D1 방향)으로 향해지는 길이방향에서의 일단측 상면에서 돌출한다. 걸림 돌기(213)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사면부(213a)와, 사면부(213a)의 상단에서 상기 외측 방향을 향해 세워지는 걸림부(213b)와, 사면부(213a)와 걸림부(213b)를 일측에서 지지하고 걸림부(213b)의 하방에서 사면부(213a)와 함께 걸림 해제 공간(S)을 형성하는 수직부(213c)를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213 (see FIGS. 3, 4, 11, and 12) for latching or unlatching the pressure sensing device 230. The latching protrusion 213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n the first direction (direction D1). The latching protrusion 213 has a slope portion 213a inclin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atching portion 213c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lope portion 213a toward the outward direction And a vertical portion 213c that supports the slope portion 213a and the latch portion 213b from one side and forms the latch release space S together with the slope portion 213a below the latch portion 213b .

가압 감지 장치(230)는 커버판(110)의 하면(112)에 결합되고 덮개(231a)에 의해 하부가 개폐되는 핀 하우징(231)과, 하우징(231)에 상하 방향(U, L)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적어도 일부(상부)가 커버판(110)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며, 핀 하우징(231)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핀 돌기(232a)를 갖는 누름핀(232)과, 핀 하우징(231)의 내부에서 누름핀(232)을 커버판(110)을 향해 상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3)(이하, '제3 탄성부재'라 한다)를 포함한다(도 2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판(110)에 핀 하우징(231)이 결합되었지만, 커버판(110)의 사출 성형 등을 통한 제작 시에 핀 하우징(231)은 커버판(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ressure sensing device 230 includes a pin housing 231 coupled to a lower surface 112 of the cover plate 110 and having a lower portion opened and closed by a lid 231a, A push pin 232 having a pin protrusion 232a protruding sideward from the pin housing 231 and movably received in the pin housing 210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in housing can protrude upward from the cover plate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elastic member) elastically urging the pressing pins 232 in the upward direction toward the cover plate 110 in the inside ). Although the pin housing 231 is coupled to the cover plate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in housing 23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plate 110 when the cover plate 110 is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It is possible.

일 실시예에서, 누름핀(232)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판(110)의 상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반구 형상인 접촉부(232b)와, 핀 돌기(232a)가 양측에서 돌출되는 몸체부(232c)를 포함하며, 몸체부(232c)의 하부면에는 제3 탄성부재(233)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환형의 홈(232d)이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핀(232)은 통상 포고 핀(pogo pi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탄성부재(233)는 스프링, 특히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하지만, 제3 탄성부재(233)는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누름핀(232)을 핀 하우징(231)의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 및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9 and 10, the pressing pin 232 includes a contact portion 232b having a hemispherical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ver plate 110 and a contact portion 232b having a pin projection 232a And an annular groove 232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32c so that the third elastic member 233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32c. These push pins 232 may be generally formed of pogo pins. In addition, the third elastic member 233 includes a spring, particularly a compression coil spring. However, the third elastic member 233 is not limited to the spring, and may include various elastic members capable of elastically supporting and pressing the push pin 232 inside the pin housing 231. [

도 11을 참조하면, 커버판(110)의 상면(111)에 휴대 기기(10)가 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3 탄성부재(233)에 의해 상측 방향(U)으로 가압된 누름핀(232)이 가압 감지 장치 설치용 구멍(114b)을 통해 커버판(1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누름핀(232)은 핀 하우징(231)의 내부에서 커버판(110)의 하면(112)에 인접한 상측에 위치되며, 누름핀(232)의 핀 돌기(232a)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에 형성된 걸림 돌기(213)에 있어서 걸림부(213b)의 제1 방향(D1 방향)으로의 옆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를 제1 방향(D1 방향)으로 당기더라도 걸림 돌기(213)의 걸림부(213b)가 누름핀(232)의 핀 돌기(232a)에 걸리기 때문에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를 이동시킬 수 없다.11, when the portable device 10 is no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cover plate 110, the push pin 232 pressed in the upward direction U by the third elastic member 233, And is held in a protruded state to the upper side of the cover plate 110 through the pressure sensing device attachment hole 114b. The pressing pins 232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pin housing 231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cover plate 110 and the pin protrusions 232a of the pressing pins 232 are positioned on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D1 direction) of the latching portion 213b in the latching protrusion 213 formed in the latching portion 213a. In this position, even i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the latching portion 213b of the latching protrusion 213 is caught by the pin projection 232a of the pushing pin 232, The lever 210 can not be moved.

또한, 커버판(110)의 상면(111)에 휴대 기기(10)가 거치되는 경우에는, 커버판(110)의 상측으로 돌출된 누름핀(232)이 휴대 기기(10)에 의해 눌리게 된다. 누름핀(232)이 하측 방향(L 방향)으로 눌리게 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핀(232)의 핀 돌기(232a)가 걸림 돌기(213)의 걸림부(231b)의 옆에서 벗어나 사면부(213a)의 제1 방향(D1 방향)으로의 옆에 위치하게 된다. 사면부(213a)의 아래에는 누름핀(232)의 핀 돌기(232a)가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걸림 해제 공간(S)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 해제 공간(S)의 옆에 누름핀(232)의 핀 돌기(232a)가 위치하게 되면,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를 제1 방향(D1 방향)으로 당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에 승강 블록(220)을 통해 결합된 커넥터(131)를 승강시킬 수 있다.When the portable device 1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cover plate 110, the push pins 232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ver plate 110 are pressed by the portable device 10 . 12, the pin projection 232a of the pressing pin 232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231b of the latching protrusion 213 from the side of the latching portion 231b of the latching protrusion 213, And is positioned beside the slope portion 213a in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Since the latching space S is formed under the slope portion 213a so that the pin projection 232a of the pushing pin 232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can be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when the pin protrusion 232a of the push pin 232 is positioned beside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The connector 131 coupled through the lifting block 220 can be raised and lowered.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20)은, 커버판(110)을 하우징(12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30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커버판(110)은 하우징(120)으로의 누름에 의해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300)의 일부가 끼워져 걸릴 수 있는 한 쌍의 체결 구멍(117)(도 2 참조)을 전방의 양 코너부 측에 구비한다.13 to 18, the housing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ver plate attaching / detaching assembly 300 releasably fixing the cover plate 110 to the housing 120. As shown in FIG. To this end, the cover plate 110 has a pair of fastening holes 117 (see FIG. 2) into which a part of the cover plate attaching / detaching assembly 300 can be inserted by being pushed into the housing 120, And is provided on the corner portion side.

실시예에서,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300)는 돌출된 후크(311)를 상면에 구비하는 한 쌍의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와,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에 연결되는 탄성부재(320)(이하, '제1 탄성부재'라 한다)와, 한 쌍의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와 상호 연결되는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 및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40)(이하, '제2 탄성부재'라 한다)를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the cover plate attaching / detaching assembly 300 includes a pair of cover plate fixing latches 310 having a protruded hook 311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 elastic member 310 coupled to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A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and a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which are interconnected with a pair of cover plate fixing latches 3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elastic members) And an elastic member 3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elastic member).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작하고 길게 연장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면의 일단부에서 돌출하는 후크(311)와, 상면과 반대되는 하면의 중앙부에서 돌출하는 연결 돌기(312)를 구비한다.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고 하우징(120)의 외부를 향하는 제3 방향(이하, '전방(D3 방향)'이라고도 한다)과 제3 방향과 반대되는 제4 방향(이하, '후방(D4 방향)'이라고도 한다)을 포함하는 제2 슬라이딩 방향에서 하우징(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는 연장하는 길이방향이 제2 슬라이딩 방향을 향하고, 이때, 후크(311)가 돌출되는 일단부가 후방, 즉 제3 방향(D3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우징(120)에 결합된다. 후크(311)는 커버판(110)에 형성된 체결 구멍(117)에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상단부에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의 타단부를 향해 돌출되는 후크 헤드(311a)를 포함한다. 후크 헤드(311a)는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의 타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상부면을 가진다.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has a flat and elongated shape and includes a hook 311 projecting from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And a connecting protrusion 312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protrusion 312.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third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ward (D3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liding direction and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0,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rear direction (D4 direction) ") in the second sliding direction.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second sliding direction so that the one end of the hook 311 protruding is positioned rearward, ). The hook 311 includes a hook head 311a protrud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at an upper en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7 formed in the cover plate 110. [ The hook head 311a has a top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슬릿(313)(이하, '제2 가이드 슬릿'이라 한다)을 구비한다. 제2 가이드 슬릿(313)에는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에서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돌출하는 가이드 돌기(123a)(도 2 참조)가 끼워진다. 가이드 돌기(123a)의 상부에는 나사(124)가 체결될 수 있어 가이드 돌기(123a)가 제2 가이드 슬릿(313)으로부터 이탈되어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는 하면의 일부가,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에서 돌출하는 가이드 레일(123b) 상에 홈 결합될 수 있다.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guide slits 3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guide slit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movement in the second sliding direction. The second guide slit 313 is fitted with a guide protrusion 123a (see FIG. 2) protruding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at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housing 120. The screw 124 can b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123a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123a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guide slit 313 and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also has a lower surface on which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mounted on a guide rail 123b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housing 120 to guide sliding movement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Groove coupling.

커버판(110)을 하우징(120)에 놓고 누르면, 커버판(110)에 접촉하는 후크(311)가 후크 헤드(311a)의 경사진 상부면에 의해 제4 방향(D4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힘을 받는다. 즉,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가 제4 방향(D4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이동한다. 이때,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에 일단에서 접하는 제1 탄성부재(320)는 하우징(120)으로 밀리면서 압축된다.When the cover plate 110 is placed on the housing 120 and the hook 311 contacting the cover plate 110 is pushed in the fourth direction D4 by the inclined upper surface of the hook head 311a, . That is,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moved so as to be pushed in the fourth direction (D4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member 3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at one end, is compressed while being pushed by the housing 120.

실시예에서,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는 하우징(120)에서의 설치 시에 제4 방향(D4 방향)을 향하는 일단부에서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는 탄성부재 연결 돌기(314)를 가지며, 탄성부재 연결 돌기(314)에 제1 탄성부재(320)가 삽입된다. 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재(320)는 스프링, 특히 코일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 탄성부재(320)는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configured such that, at the one end thereof facing the fourth direction (direction D4) at the time of installation in the housing 120, And a first elastic member 320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connecting protrusion 314. [ In an embodiment, the first resilient member 320 includes a spring, particularly a coil compression spring. The first elastic member 320 is not limited to a spring but may include various elastic members.

커버판(110)이 하우징(120)에 충분히 눌리면, 후크(311)의 후크 헤드(311a)가 체결 구멍(117)을 통과하도록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가 커버판(110)의 제4 방향(D4 방향)으로 밀리면서, 이와 동시에 제1 탄성부재(320)가 압축된다. 이후, 후크(311)가 체결 구멍(117)에 끼워져 걸리게 되면,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는 압축된 제1 탄성부재(320)에 의해 제3 방향(D3 방향)으로 가압되는 탄성 복원력을 받아 밀리기 전의 위치(제1 정지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cover plate 110 is sufficiently pressed against the housing 120,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moved to the fourth position of the cover plate 110 so that the hook head 311a of the hook 311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117 The first elastic member 320 is compressed at the same time while being pushed in the direction (D4 direction). Thereafter, when the hook 311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hole 117,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presses the elastic resilient force urged in the third direction (the direction D3) by the compressed first elastic member 320 (The first stop position) before it is received.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방향에서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제2 방향(D2 방향)으로의 당김에 의해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가 제4 방향(D4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도록 한 쌍의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와 상호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와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는 교차하도록 포개어져 연결된다. 이때,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의 하부에서 연결된다.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housing 120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using 120 in the first sliding direction.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s push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direction) so that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pushed in the fourth direction (D4 direction) 310). In the embodiment,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and the cover plate latching latch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cross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작하고 길게 연장하는 막대 형상을 가진다. 또한,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길이방향으로의 양단부에서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확장부(331)를 가진다.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한 쌍의 확장부(331)가 제3 방향(D3 방향)을 향하도록 하우징(120)에 결합된다. 확장부(331)에는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의 하면에서 돌출하는 연결 돌기(312)가 끼워지는 활주 구멍(332)(캠 구동용 구멍)이 구비된다. 또한, 확장부(331)에는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에서 돌출하여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의 제2 가이드 슬릿(313)에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123a)가 통과하는 사각 구멍(336)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활주 구멍(332)은 꼭지점부가 라운드진 직각삼각형인 형상을 가진다.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의 설치 시에, 활주 구멍(332)은 직각 꼭지점부(332a)를 제외한 2개의 꼭지점부(332b, 332c)가 제1 방향(D1 방향) 및 제3 방향(D3 방향)을 향한다.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has a rod shape that is flat and extends long. Further,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has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331 projecting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s coupled to the housing 120 such that the pair of extending portions 331 are directed in the third direction (D3 direction). The extension 331 is provided with a slide hole 332 (a cam drive hol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12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fitted. A guide protrusion 123a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housing 120 and fitted in the second guide slit 313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portion 331, (336) is formed. In the embodiment, the slide hole 332 has a shape in which the vertex portion is rounded to a right triangle. When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s installed, the slide hole 332 has two vertexes 332b and 332c excluding the vertex vertex 332a in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D3 Direction).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가이드 슬릿(333)(이하, '제3 가이드 슬릿'이라 한다)을 구비한다. 실시예에서는,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3개의 제3 가이드 슬릿(333)을 구비한다. 제3 가이드 슬릿(333)에는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에서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돌출하는 가이드 돌기(123a)가 끼워진다. 가이드 돌기(123a)의 상부에는 나사(124)가 체결될 수 있어 가이드 돌기(123a)가 제3 가이드 슬릿(333)으로부터 이탈되어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slits 333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guide slit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movement in the first sliding direction. In the embodiment,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has three third guide slits 333. The third guide slit 333 is fitted with a guide protrusion 123a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housing 120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The screw 124 can b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123a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123a is separated from the third guide slit 333 to prevent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from being separated arbitrarily .

제2 탄성부재(340)는 후방 측으로 밀려난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2 방향(D2 방향)으로 당겨진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를 제1 방향(D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실시예에서, 제2 탄성부재(340)는 제3 가이드 슬릿(333)과 같이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탄성부재 삽입 슬릿(334)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탄성부재 삽입 슬릿(334) 내에는, 제2 탄성부재(340)의 길이방향으로의 일단부를 구속하는 탄성부재 연결 돌기(334a)(도 15 참조)가 구비된다. 제2 탄성부재(340)는 스프링, 특히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 탄성부재(340)는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340)는 제1 방향(D1 방향)으로의 일단이 탄성부재 삽입 슬릿(334)에 고정되고, 그 반대되는 타단이 하우징(120)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의 제2 방향(D2 방향)으로의 당김 시에 압축되고,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에 제1 방향(D1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해줄 수 있다.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pull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direction)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2 direction) so that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pushed to the rear side ca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D1 direction). The second elastic member 340 is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slit 33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like the third guide slit 333.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slit 334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connection projection 334a (see FIG. 15) for restricting on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40. The second elastic member 340 includes a spring, particularly a compression coil spring. The first elastic member 340 is not limited to a spring but may include various elastic members.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40 in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is fixed to the elastic member insertion slit 334, and the opposit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40 can be engaged with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ousing 120. Therefore, it can be compressed at the time of pulling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n the second direction (D2 direction), and can apply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n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와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캠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와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동일 평면 상에서 이동하지만, 이동하는 방향이 교차하는 방향을 갖는다.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를 제2 방향(D2 방향)으로 당기기 전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의 연결 돌기(312)가 활주 구멍(332)의 전방을 향하는 꼭지점부(332c)(도 16 참조)에 위치된다.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를 제2 방향(D2 방향)으로 당기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의 연결 돌기(312)가 활주 구멍(332)의 제1 방향(D1 방향)을 향하는 꼭지점부(332b)에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따라서,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가 후방(D4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후크(311)가 체결 구멍(117)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이동한다. 따라서, 후크(311)에 걸린 커버판(110)을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17 and 18,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and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are connected to enable cam driving. That is,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and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move on the same plane, but have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 intersects. 17, before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s pull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direction), the connecting protrusion 312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pushed for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lide hole 332 (See Fig. 16) facing the vertex 332c. The coupling protrusion 312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pushe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slide hole 332 as shown in Fig. 18 by pulling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n the second direction (D2 direction) (D1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is pushed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D4), and the hook 311 is moved so as to be released from the fastening hole 117. Therefore, the cover plate 110 caught by the hook 311 can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20.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의 제2 방향(D2 방향)으로의 당김이 해제되면,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제2 탄성부재(3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즉,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의 연결 돌기(312)가 활주 구멍(332)의 전방측을 향하는 꼭지점부(332c)에 다시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이 경우, 후방으로 밀려난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도 압축된 제1 탄성부재(3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When the pulling of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n the second direction (direction D2) is released,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40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 312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moves back to the vertex portion 332c facing the front side of the slide hole 332. In this case,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310 pushed rearward also moves forward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first elastic member 320.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100)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제1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이동에 의해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의 제1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이동을 단속하는 회전 잠금 장치(400)를 더 포함한다.19 to 22, the doc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figured to move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n the first sliding direction by the first sliding direction of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400) for interrupting the movement of the lock (400).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잠금 장치(400)는 회전체(410)와 제4 탄성부재(420)를 포함한다. 회전체(410)는, 하우징(120)과 나사결합되는 구멍(411)을 가지며, 구멍(411)을 축으로 하여 회전(R)된다. 회전체(410)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와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20)의 내부에 결합된다. 또한, 제4 탄성부재(420)는 회전체(410)에 일부가 감기며, 나머지 부분이 회전체(4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4 탄성부재(420)의 나머지 부분은 하우징(120)의 바닥면(121)으로부터 돌출된 탄성부재 지지 돌기(430)에 걸린다. 제4 탄성부재(420)는 회전체(410)가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에 접촉되도록 가압한다. 제4 탄성부재(420)는 회전체(410)에 감기는 부분을 중심축으로 하여 비틀림힘을 받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the rotation locking device 400 includes a rotating body 410 and a fourth elastic member 420. The rotating body 410 has a hole 411 to be screwed with the housing 120 and is rotated (R) about the hole 411. The rotating body 41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and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The fourth elastic member 420 is partially wound on the rotating body 410 and the remaining por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body 410.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ourth elastic member 420 is engaged with the elastic member support protrusion 430 projecting from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housing 120. The fourth elastic member 420 urges the rotating body 410 to contact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The fourth elastic member 420 includes a torsion spring receiving a twisting force about a portion wound around the rotating body 410 as a central axis.

회전 잠금 장치(400)가,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이동 여부에 따라,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 및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 중 어느 하나에 걸릴 수 있도록,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는 커버판 분리용 레버와 마주하는 일측에 회전체(410)의 걸림이 가능한 제1 레버홈(214)을 구비한다. 또한,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와 마주하는 일측에 회전체(410)의 걸림이 가능한 제2 레버홈(335)을 구비한다.The rotation locking device 400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lift lever (not shown) so that it can be engaged with either the connector lift lever 210 or the cover plate separation lever 330 depending on whether the connector lift lever 210 is moved 210 has a first lever groove 214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rotating body 410 at one side facing the lever for separating the cover plate.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has a second lever groove 335 which is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rotating body 410 at one side facing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제1 방향(D1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회전체(410)가 제1 레버홈(214)으로부터 빠지면서, 회전체(410)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일측(제1 레버홈이 구비되는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갖는 부분)의 가장자리에 의해 밀리면서 소정 각도로 회전(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한다. 소정 각도로 회전된 회전체(410)는 일부가 제2 레버홈(214)에 걸리게 된다. 이 때문에, 회전체(410)의 제2 레버홈(214)의 걸림에 의해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의 제2 방향(D2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반대로, 제1 방향(D1 방향)으로 당긴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를 제2 방향(D2 방향)으로 누르거나 밀어주면,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의 제1 레버홈(214)이 회전체(410)의 측방에 위치되고, 회전체(410)는 제4 탄성부재(4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회전체(410)는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의 제2 레버홈(335)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된다.21 and 22, when the connector 410 is moved out of the first lever groove 214 by the movement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n the first direction (direction D1)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le being pushed by the edge of one side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the portion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portion where the first lever groove is provided). A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410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caught by the second lever groove 214.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in the second direction (direction D2) is restricted by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lever groove 214 of the rotating body 410. On the contrary, when the connector lever 210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in the second direction (D2 direction), the first lever groove 214 of the connector lift lever 210 is pressed And the rotating body 41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fourth elastic member 420. That is, the rotating body 410 is rotated so as not to be caught by the second lever groove 335 of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이와 같이, 커넥터(131)가 상승되어 휴대 기기(10)에 접속된 상태, 즉 커넥터 승강용 레버(210)가 제1 방향(D1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 혹은 회전체(410)가 제1 레버홈(214)으로부터 빠지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커버판 분리용 레버(330)를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커버판 고정용 래치(310)를 움직일 수 없고, 결국 하우징(120)에 고정된 커버판(110)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커버판(110)에는 휴대 기기(1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기기(10)의 무리한 이탈에 의한 커넥터(1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onnector 131 is raised and connected to the portable device 10, that is, when the connector lifting lever 210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D1 direction or the rotating body 410 is in the first lever groove The cover plate fixing lever 310 can not be moved because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0 can not be operated and thus the cover plate 110 fixed to the housing 12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Since the portable device 10 is fixed to the cover plate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or 131 from being damaged due to unreasonable detachment of the portable device 10. [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장치(100)를 구비하는 영상 진단 장치(10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영상 진단 장치(1000)의 일 예로서, 초음파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신체 내부의 영상을 표시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도시한다. 영상 진단 장치(1000)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자기 공명 영상 장치(MRI), 양전자방출 단층촬영 장치(PET), 컴퓨터 단층촬영 장치(CT) 등의 피검자의 신체 내부를 영상으로 표현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23 shows an example of an image diagnostic apparatus 1000 having a doc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shows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that displays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body of a subject using ultrasonic waves as an example of the image diagnosis apparatus 1000. As shown in Fig. Another embodiment of the image diagnostic apparatus 1000 includes an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inside of a body of a subject such as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MRI),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pparatus (PET), a computer tomography apparatus (CT) .

도 23을 참조하면, 영상 진단 장치(1000)는 휴대 기기(10)로서 휴대가 가능한 초음파 영상 진단 기기(500)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진단 장치(1000)는 초음파 영상 진단 기기(500)가 거치되는 도킹 장치(100) 및 도킹 장치(100)가 탑재되는 이동가능한 카트(6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3, the image diagnostic apparatus 1000 includes a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500 that can be carried as a portable device 10. The image diagnosis apparatus 1000 includes a docking apparatus 100 on which the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500 is mounted and a movable cart 600 on which the docking apparatus 100 is mounted.

초음파 영상 진단 기기(500)는 전면에 컨트롤 패널(511)을 구비한 본체(510)와, 프로브(520)와, 영상표시장치(530)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초음파 영상 진단 기기(500)는 휴대가 가능하며, 도킹 장치(100)에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The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500 includes a main body 510 having a control panel 511 on its front side, a probe 520, an image display apparatus 530, and the like. Such a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500 can be portable and can be used even when it is not mounted on the docking apparatus 100.

프로브(520)는 피검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피검자의 신체 내부로 초음파를 송신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한다. 초음파 영상 진단 기기(500)는, 도 23에서는 하나의 프로브(520)가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브(520)를 구비할 수 있고, 각 프로브(520)는 본체(510)와 접속된다. 영상표시장치(53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본체(510)에 결합되며, 수신한 초음파를 처리하여 생성된 피검자의 신체 내부의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표시장치(530)는 LCD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컨트롤 패널(511)은 사용자가 초음파 영상 진단 기기(500)의 작동(예컨대, 프로브(520)의 동작 제어, 초음파 진단 모드의 선택, 생성된 영상의 제어 등)을 컨트롤 하기 위해 조작하는 다종의 입력장치가 배치된다. 컨트롤 패널(511)에 배치되는 상기 입력장치는, 회전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트랙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키보드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의 초음파 영상 진단 기기(500)의 본체(510)는 초음파의 송수신과 수신한 초음파를 처리하여 신체 내부의 영상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전자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초음파 영상 진단 기기(500)는 도 23에 도시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robe 520 contacts the body of the examinee and transmits ultrasonic waves into the body of the examinee and receives the reflected ultrasonic waves. The ultrasound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5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bes 520 and each probe 52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510 although one probe 520 is shown in FIG. The image display device 5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510 so as to adjust the angle, and displays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subject generated by processing the received ultrasound. The image display device 530 includes an LCD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trol panel 511 includes various types of input terminals that are operated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ltrasound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500 (e.g.,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probe 520, selection of the ultrasound diagnostic mode, The device is deployed. The input device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511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rotary switch, a slide switch, a trackball,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keyboard, and the like. The main body 510 of the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500 of the embodiment incorporates a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und and processing the received ultrasound to generate an image inside the body. The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50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 23, and may have various shapes.

위와 같은 초음파 영상 진단 기기(500)를 커버판(110)의 상면에 장착하는 도킹 장치(100)는 커버판(110)에 결합되는 하우징(120)이 카트(600)에 탑재된다. 도킹 장치(100)는 하우징(120)이 카트(60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우징(120)과 결합되는 상부 지지판(610)을 포함한다. 상부 지지판(610)의 우측 또는 좌측의 가장자리에는 프로브 홀더(612)가 구비된다. 프로브 홀더(612)에는 미사용되는 프로브(520)를 끼워 넣어 보관할 수 있다. 카트(600)는 상부 지지판(610)의 아래에 복수의 휠(640)을 구비한 하부 지지판(630)과, 상부 지지판(610)과 하부 지지판(630)을 연결하는 지지부(620)를 포함한다. 지지부(620)의 내부에는 유압 실린더 등이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는 하부 지지판(630)에 대한 상부 지지판(6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부 지지판(630)에 구비되는 복수의 휠(640)을 통해 카트(600)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The docking apparatus 100 for mounting the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5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0 is mounted on the cart 600 with the housing 120 coupled to the cover plate 110. The dock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upper support plate 610 coupled to the housing 120 such that the housing 120 can sl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rt 600. [ A probe holder 612 is provided on the right or left edge of the upper support plate 610. An unused probe 520 can be inserted and stored in the probe holder 612. The cart 600 includes a lower support plate 630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640 under the upper support plate 610 and a support 620 connecting the upper support plate 610 and the lower support plate 630 . A hydraulic cylinder or the like is built in the support part 620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 plate 610 with respect to the lower support plate 630. 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cart 600 through the plurality of wheels 640 provided on the lower support plate 63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휴대 기기 11: 접속 단자
100: 도킹 장치 110: 커버판
115: 접속 구멍 116: 승강용 가이드 돌기
120: 하우징 130: 커넥터 모듈
131: 커넥터 200: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
210: 커넥터 승강용 레버 211: 제1 가이드 슬릿
212: 지지핀 213: 걸림 돌기
214: 제1 레버홈 220: 승강 블록
221: 측벽 222: 활주 슬릿
225: 장착판 230: 가압 감지 장치
232: 누름핀 233: 제3 탄성부재
300: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 310: 커버판 고정용 래치
311: 후크 312: 연결 돌기
313: 제2 가이드 슬릿 314: 탄성부재 연결 돌기
320: 제1 탄성부재 330: 커버판 분리용 레버
332: 활주 구멍 333: 제3 가이드 슬릿
334: 탄성부재 삽입 슬릿 335: 제2 레버홈
340: 제2 탄성부재 400: 회전 잠금 장치
410: 회전체 420: 제4 탄성부재
500: 초음파 영상 기기 600: 카트
10: Portable device 11: Connection terminal
100: docking device 110: cover plate
115: connecting hole 116: elevating guide projection
120: housing 130: connector module
131: connector 200: connector lifting assembly
210: connector lifting lever 211: first guide slit
212: Support pin 213:
214: first lever groove 220: elevating block
221: side wall 222: slide slit
225: mounting plate 230: pressure sensing device
232: pressing pin 233: third elastic member
300: Cover plate detachable assembly 310: Cover plate holding latch
311: Hook 312: Connecting projection
313: second guide slit 314: elastic member connecting projection
320: first elastic member 330: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332: Slide hole 333: Third guide slit
334: elastic member insertion slit 335: second lever groove
340: second elastic member 400: rotation locking device
410: rotating body 420: fourth elastic member
500: Ultrasonic imaging device 600: Cart

Claims (15)

커버판과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킹 장치로서,
외부의 휴대 기기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커버판에 결합될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저면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와 정렬되는 접속 구멍을 구비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대 기기의 접속 단자와 접속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모듈과, 상기 커넥터 모듈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용 조립체는 상기 커넥터 모듈을 장착하는 승강 블록과 상기 승강 블록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커넥터 승강용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쪽의 제1 방향으로의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당김에 의해 상기 승강 블록이 캠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접속 구멍을 통해 상승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누름에 의해 상기 승강 블록이 캠 구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접속 구멍을 통해 하강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압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감지 장치의 일부는 상기 커버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커버판에 결합될 때 상기 가압 감지 장치의 일부는 상기 휴대 기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커버판 내로 하향 이동되는
도킹 장치.
A docking device comprising a cover plate and a housing,
A cover plate detachably attached to an external portable device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align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coupled to the cover plate;
And a housing coupled to the cover plate,
The housing
A connector module having a connector connectable to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connector lift assembly for supporting the connector modul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herein the connector lifting assembly includes a lift block for mounting the connector module and a connector lift lever for sliding in the housing to move the lift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lift-up lever is moved up through the connection hole so that the lift block is cam-driven and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pulling the connector lift lever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housing, The elevating block descends through the connecting hole such that the elevating block is cam-driven and received in the housing by press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Wherein the cover plate further includes a pressure sensing device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connector lift lever, a part of the pressure sensing device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ver plate, and when the portable device is coupled to the cover plate, A portion of the pressure sensing device is pressed by the portable device and is moved downwardly into the cover plate
Dock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상기 커버판의 하면에 승강용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용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접속 구멍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 블록의 상하 방향에서의 이동을 유도하는
도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plate further comprises a guide projection for lifting and lowering on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The elevating guide projection is disposed at an edge of the connecting hole to guide the elevating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Dock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는,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지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블록은,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을 연결하는 장착판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벽에는, 상기 지지핀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활주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판에는, 상기 커넥터 모듈을 장착하는 장착 구멍이 형성되는
도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lifting lever includes a support pin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Wherein the elevating block includes a pair of side wall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opposite sides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and a mounting plate connecting the pair of side walls,
Wherein the pair of side walls are formed with a slide slit in which the support pin is movably inserted, and a mounting hole for mounting the connector module is formed on the mounting plate
Dock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슬릿은 경사지게 연장하는 부분과, 상기 경사지게 연장하는 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수평하게 연장하는 부분들로 형성된, 도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liding slit is formed with portions extending obliquely and portions extending horizontally at both ends of the portion extending obliqu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판을 상기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도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further comprises a cover plate detachment assembly releasably securing the cover plate to the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에는, 상기 하우징으로의 누름에 의해 상기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의 일부가 걸리는 한 쌍의 체결 구멍이 형성된, 도킹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ver plate is provided with a pair of fastening holes to which a part of the cover plate attaching / detaching assembly is caught by the pressing of the hou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 착탈용 조립체는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돌출된 후크를 구비하는 한 쌍의 커버판 고정용 래치와,
상기 커버판 고정용 래치에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에서 접하고 상기 커버판 고정용 래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압축되도록 장착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당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커버판 고정용 래치를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커버판 고정용 래치와 결합되는 커버판 분리용 레버와,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에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에서 접하고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압축되도록 장착되는 제2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도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ver plate attaching / detaching assembly
A pair of cover plate fixing latches movabl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onnector lift lever and having projected hooks,
A first elastic member which abuts against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essed to the housing by movement of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The pair of cover plates being movable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and moving the pair of cover plate fixing latch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direction by pulling in the second direction, A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which is engaged with the fixing latch,
And a second elastic member which abuts on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essed to the housing by the movement of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And a dock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 고정용 래치는 상기 후크의 돌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에는 상기 연결 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활주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 고정용 래치가 상기 활주 구멍에서 이동하는 상기 연결 돌기에 의해 캠 구동하는, 도킹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has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hook, and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is formed with a slide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movably inserted,
And the cover plate fixing latch is cam-driven by the coupling protrusion moving in the slide ho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는 일단측 상면에 돌출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 감지 장치는 상기 커버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핀 하우징과, 상기 핀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핀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핀 돌기를 구비하는 누름핀과, 상기 누름핀을 상기 커버판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핀이 하측 방향으로 눌리면 상기 걸림 돌기에 상기 핀 돌기가 걸린 상기 누름핀이 하강하여 상기 누름핀과 상기 걸림 돌기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도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lifting lever includes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n one side,
The pressure sensing device includes: a pin housing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 pressing pin having a pin protrusion that is received in the pin housing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pin housing; And a third elastic member elastically biased toward the cover plate,
Wherein when the pressing pin is pushed downward, the pressing pin with the pin projection is lowered to the latching protrusion, so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pressing pin and the latching protrusion is releas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회전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잠금 장치는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도킹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rotation locking device,
Wherein the rotation locking device restricts movement of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by movement of the connector lift lev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잠금 장치는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와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 사이에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제4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는 상기 회전체가 걸리게 할 수 있는 제1 레버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는 상기 회전체가 걸리게 할 수 있는 제2 레버홈을 구비하는, 도킹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otation locking device includes a rotating body rotating between the connector lifting lever and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and a fourth elastic member elastically pressing the rotating body toward the connector lifting lever,
Wherein the connector lifting lever has a first lever groov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rotating body, and the cover plate separating lever has a second lever groov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rotating bod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승강용 레버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체가 상기 제1 레버홈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제2 레버홈에 걸리고, 상기 회전체의 상기 제2 레버홈의 걸림에 의해 상기 커버판 분리용 레버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도킹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otary member is released from the first lever groove and engaged with the second lever groove by the movement of the connector lifting lev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by engagement of the second lever groove of the rotary member, The movement of the plate-separating lever in the second direction is restricted.
카트와,
상기 카트에 장착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도킹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진단 장치.
Cart,
Comprising a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nd 10 to 13 mounted on said cart,
Imaging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는 초음파 영상 진단 기기인 영상 진단 장치.
15. The imaging device of claim 14, wherein the portable device is an ultrasound imaging device.
KR1020140131445A 2014-09-30 2014-09-30 Docking device and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8634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445A KR101863404B1 (en) 2014-09-30 2014-09-30 Docking device and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445A KR101863404B1 (en) 2014-09-30 2014-09-30 Docking device and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402A KR20160038402A (en) 2016-04-07
KR101863404B1 true KR101863404B1 (en) 2018-05-31

Family

ID=5578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445A KR101863404B1 (en) 2014-09-30 2014-09-30 Docking device and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4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6528A (en) * 2019-11-22 2021-05-25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Locking structure and ultrasonic imaging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0658A (en) * 1998-04-30 2000-01-14 Hewlett Packard Co <Hp> Computer docking station
JP2000260541A (en) * 1999-03-11 2000-09-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Device for connecting connector
JP2009213868A (en) 2008-03-07 2009-09-24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Docking station and ultrasonic diagnos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0658A (en) * 1998-04-30 2000-01-14 Hewlett Packard Co <Hp> Computer docking station
JP2000260541A (en) * 1999-03-11 2000-09-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Device for connecting connector
JP2009213868A (en) 2008-03-07 2009-09-24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Docking station and ultrasonic diagno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402A (en)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657B1 (en) A port replicator
US6191938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witch operated by rotatable display-unit
US8066308B2 (en) Latch mechanism assembly
US6816383B2 (en) Cassette housing for printed circuit cards
US20130003291A1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US8430103B2 (en) Fixing/releasing mechanism and the base using such mechanism
JP2010250699A (en) Docking device
KR20150081189A (en) Detach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on apparatus usable with the same
EP0776070B1 (en) Connecting apparatus
CN113253810B (en) Quick detach formula hard disk bracket
TW201315043A (en) Electronic device
US7866987B2 (en) Burn-in test socket having spring-biased latches facilitating electrical interconnection between chips and socket when actuated
KR101863404B1 (en) Docking device and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918678B2 (en) Connector assemblies having guide rails with latch assemblies
CN102063157A (en) Computer shell locking device
JP7199205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5815369A (en) Computer PC tray to monitor assembly connec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JP2909200B2 (en) Expansion equipment for small electronic equipment
KR101658003B1 (en) Electrical connector
CN212305868U (en) Movable clamping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CN211128670U (en) Pull module array
JP5027900B2 (en) Card reader
TWI569710B (en) Tray module
CN107832186B (en) Diagnosis unit, hard disk module and server
CN215340948U (en) Fixing device, circuit board assembly and serv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