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278B1 - 운동장 정리장비 - Google Patents

운동장 정리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278B1
KR101863278B1 KR1020150187634A KR20150187634A KR101863278B1 KR 101863278 B1 KR101863278 B1 KR 101863278B1 KR 1020150187634 A KR1020150187634 A KR 1020150187634A KR 20150187634 A KR20150187634 A KR 20150187634A KR 101863278 B1 KR101863278 B1 KR 10186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ollecting
front frame
brack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595A (ko
Inventor
문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츠
Priority to KR102015018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27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23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23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 E01C19/25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propelled by animals 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23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 E01C19/26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self-propelled or fitted to road vehicles
    • E01C19/264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self-propelled or fitted to road vehicles with attachments for work other than rolling, e.g. grading, scarif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장을 정리하는 장비로서, 평탄부에서 운동장 지면의 뭉친 모래를 파쇄하고 포집부를 통하여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여, 4륜 오토바이나 승용차에 본 발명의 운동장 정비 장비를 견인시킴으로써 운동장의 평탄 작업과 이물질 제거작업을 쉽고 빠르게 하는 운동장 정비 장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장 정리장비{Ground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운동장을 정리하는 장비로서, 평탄부에서 운동장 지면의 뭉친 모래를 파쇄하고 포집부를 통하여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여, 4륜 오토바이나 승용차에 본 발명의 운동장 정비 장비를 견인시킴으로써 운동장의 평탄 작업과 이물질 제거작업을 쉽고 빠르게 하는 운동장 정비 장비에 관한 것이다.
구기 종목의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지는 운동장은 바닥이 모래나 흙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래나 흙으로 된 운동장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그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되거나 돌멩이가 생기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리를 자주 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관리는 먼저 노면을 고르게 하거나 돌멩이 등의 이물질을 없애기 위해 브러시를 사용하여 여러 번에 걸쳐 노면을 비질하듯 쓴다. 그리고 큰 하중을 갖는 롤러장비를 이용하여 노면을 단단하게 다진다. 이때, 브러시를 이용하여 바닥을 정리하는 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사용되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간과 인력의 투자에도 불구하고 바닥이 고르게 정리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바닥에 남는 돌멩이와 같은 이물질이 여전히 노면에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물질은 스포츠 활동 시에 참여자에게 부상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되어왔다.
이러한 운동장 정리를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847호 로 게시된 바 있다.
종래의 기술은 테니스 코트와 같은 흙으로 된 경기장 바닥을 평탄하게 정리하는 경기장 바닥 정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길이와 폭이 각각 500 ~ 3000mm 되는 판형상으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누름판과 누름판의 저면에 촘촘히 식재되는 다수의 브러시 및 누름판을 경기장 바닥에 놓고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수단으로 구성되었었다. 이를 통하여 브러시를 통하여 이물질을 걸러 내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운동장의 평탄화 작업은 사실상 불가능하여 뭉친 흙을 부수고 평탄화 하기 위해 별도의 기구를 이용한 별도의 작업을 추가로 진행해야 했다. 이러한 추가작업으로 인하여 시간과 인력이 추가로 소모되야 하므로 관리 효율성이 낮았고, 이물질이 운동장에 그대로 방치되어 제대로 회수 되지 않는 이물질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시간과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 시키며, 효과적으로 운동장 정비를 할 수 있는 장비가 요구 되고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847호 (2012.11.2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4륜 오토바이나 승용차에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를 견인시킴으로써 운동장 지면의 뭉친 모래를 파쇄하고 이물질을 포집하여 청소하는 작업을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후방에 위치하는 롤러를 통하여 모래 파쇄, 이물질 제거, 및 롤러작업을 별도의 장비 또는 작업 없이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운동장 정비 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 정리장비는,
전방프레임(111) 및 측면프레임(112)이 결합되고, 후방에는 롤러(113)가 결합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전방프레임(111)에 결합하며, 상기 본체부(110)를 견인하는 이동장치와 결합되는 연결부(120), 상기 본체부(110) 내측 전방에서 상기 본체부(110)와 체인 혹은 로프로 연결되고, 지면의 돌출부를 긁어 지면을 평탄하게 하는 평탄부(130), 상기 본체부(110) 내측 후방에서 상기 본체부(110)와 체인 혹은 로프로 연결되고, 상기 평탄부(130)를 거쳐 뒤로 이동된 흙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포집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이동장치와 결합하는 견인봉(121), 상기 견인봉(121)과 결합하는 'ㄷ'자 형상의 견인봉 브라켓(122), 상기 전방프레임(111)과 결합하는 'ㄷ'자 형상의 전방프레임브라켓(123),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은 상하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은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연결구(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20)에는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의 양측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구(124)는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의 양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과 상기 연결구(124)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과 상기 연결구를 힌지 결합하는 수직고정핀(125)이 구비되고,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의 양측은 좌우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구(124)는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의 양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의 양측과 상기 연결구(124)의 좌우측면을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측, 우측 수평고정볼트(1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111)은 상기 전방프레임(111)과 상기 평탄부(130)를 로프 혹은 체인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된 평탄부 높이조절수단(114)을 구비하되,
상기 평탄부 높이조절수단(114)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은 상기 평탄부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은 상기 평탄부의 상면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부(130)는 전방과 후방의 일부분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연직하방으로 접혀져 상기 평탄부(13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직하방으로 'ㄷ'자 형태가 되도록 평탄전방부(131)와 평탄후방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평탄부(130)의 하면에는 상기 평탄전방부(131)와 상기 평탄후방부(132) 보다 더 길게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면의 돌출된 부분을 파쇄하는 '∧'형상 또는 '['형상의 파쇄수단(133)이 다수 개 포함되되, 2열로 지그재그(zigzag)로 배치되되, 상기 평탄부(130)의 하면 양측면에는 상기 파쇄수단(133)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평탄부(130)의 중심을 향하는 쐐기 형상의 모래유도수단(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전방과 후방의 일부분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연직하방으로 접혀져 상기 평탄부(13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직하방으로 'ㄷ'자 형태가 되도록 평탄전방부(131)와 평탄후방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평탄전방부(131)는 중앙에서 하부끝까지 다수 개의 사각형 통공이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평탄전방부(131)의 하단에는 수의 균일한 크기의 제1파쇄수단(135)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부(130)의 하면에는 직사각형의 부재가 상기 평탄전방부(131)와 동일한 길이로 하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부재의 전방은 중심방향으로 15 ~ 45도 기울여지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제2파쇄수단(136)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포집부(140)는 다수의 포집체(141)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체(141)는 지면과 평행한 상면(141a), 상기 상면(141a)의 후방 끝단에서 연직하방으로 연결되며 지면과 수직인 전면(141b), 상기 전면(141b)의 하부 끝단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하면(141c), 상기 하면(141c)의 후방 끝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포집면(141d)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141b)에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집면(141d)에는 상기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 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개의 이물질제거공(141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집체(141)의 전면(141b)에 형성된 개구부의 크기보다 상기 포집체(141)의 전방에 연결된 포집체(141)의 포집면(141d)에 형성된 이물질제거공(141e)의 크기가 같거나 더 큰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집체(140)는 상기 포집면(141d)이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포집체(141)는 전면(141b)과 하면(141c)이 형성하는 모서리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면(141c)과 지면사이에서는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면(141c)과 전면(141b)이 형성하는 모서리에서부터는 전면방향으로 기울여져지도록 형성는 패드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142)의 높이는 30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집체(141)는 전면(141b)과 하면(141c) 사이에는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전면(141b)과 하면(141c) 사이에는 모따기부(143)가 형성되되, 상기 모따기부(143)의 높이는 30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140)는 사각형상으로 절단된 철망(144), 상기 철망(144)의 한 변 혹은 네 변에서 상기 철망(144)의 끝단 변을 따라 걸림 결합된 환봉(145), 상기 철망(144)의 한 변 끝단과 상기 환봉(145)을 수용하는 'ㄷ'자 형태의 포집부연결구(146), 상기 포집부연결구(146)의 개구부 양 끝단을 관통하도록 볼트 결합하여 상기 환봉(145)을 상기 포집부연결구(146)의 내부로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볼트(14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112)에는 상기 측면프레임(112)을 중심으로 측면에서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포집부보관수단(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롤러(11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와 결합되며,
물저장탱크(115a), 물분사노즐(115b) 및 수량조절밸브(115c)로 구성되는 물분사수단(115)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 정리장비에 의하면,
4륜 오토바이나 승용차에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를 견인시킴으로써 운동장 지면의 뭉친 모래를 파쇄하고 이물질을 포집하여 청소하는 작업을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후방에 위치하는 롤러를 통하여 모래 파쇄, 이물질 제거, 및 롤러작업을 별도의 장비 또는 작업 없이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 및 사용되는 인력을 최소화 하여 정비 효율 및 비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본 발명의 정리장비를 통하여 운동장에서 제거되어 포집부에 모이게 되어 포집부에 모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통하여 운동장에서 이물질의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이물질의 제거가 제대로 되지 않아 운동장에서 스포츠를 즐기다가 이물질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었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파쇄부의 경우 포집부에 포개어 보관할 수 있어 정리장비를 보관할 때 사용되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보관을 위한 조작 및 견인을 위한 연결이 쉽고 편리하여 작업에 최소한의 인력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포집부를 다양한 형태로 필요에 맞추어 구성할 수 있어, 운동장의 환경 및 상태에 따라 이에 맞는 구성의 포집부를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정리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의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부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구 결합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평탄부 전면도
도 6은 도 5의 평탄부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평탄부의 다른 실시예 전면도
도 8은 도 7의 평탄부 저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포집부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패드부 및 모따기부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포집부 다른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포집부보관수단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물분사수단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의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부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구 결합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평탄부 전면도, 도 6은 도 5의 평탄부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평탄부의 다른 실시예 전면도, 도 8은 도 7의 평탄부 저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포집부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패드부 및 모따기부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포집부 다른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포집부보관수단 실시예,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물분사수단 실시예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11) 및 측면프레임(112)이 결합되고, 후방에는 롤러(113)가 결합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전방프레임(111)에 결합하며, 상기 본체부(110)를 견인하는 이동장치와 결합되는 연결부(120), 상기 본체부(110) 내측 전방에서 상기 본체부(110)와 체인 혹은 로프로 연결되고, 지면의 돌출부를 긁어 지면을 평탄하게 하는 평탄부(130), 상기 본체부(110) 내측 후방에서 상기 본체부(110)와 체인 혹은 로프로 연결되고, 상기 평탄부(130)를 거쳐 뒤로 이동된 흙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포집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이동장치와 결합하는 견인봉(121), 상기 견인봉(121)과 결합하는 'ㄷ'자 형상의 견인봉 브라켓(122), 상기 전방프레임(111)과 결합하는 'ㄷ'자 형상의 전방프레임브라켓(123),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은 상하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은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연결구(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연결부(120)는 견인력을 제공하는 이동장치와 결합하는 견인봉(121)과 상기 본체부(110)의 전방프레임(111)을 연결하여 이동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본체부(110)가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이 상기 연결구(124)와 상하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이동장치의 이동에 따른 상기 견인봉(121)의 수직이동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이 상기 연결구(124)와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견인되는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의 회전 시 좌우회전을 통하여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대응 회전을 통하여 이동장치의 견인할 때에, 이동장치의 수직이동 및 본 발명의 운동장정비장비의 회전으로 인한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장비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20)에는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의 양측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구(124)는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의 양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과 상기 연결구(124)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과 상기 연결구를 힌지 결합하는 수직고정핀(125)이 구비되고,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의 양측은 좌우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구(124)는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의 양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의 양측과 상기 연결구(124)의 좌우측면을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측, 우측 수평고정볼트(12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연결구(124)는 별도의 구성요소 없이 도 4에서 도시한 예처럼 2개의 회전축을 갖도록 연결되어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과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각각에 각기 다른 회전을 제공할 수 있어 소모되는 구성요소의 최소화를 통한 유지보수 효율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111)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프레임(111)과 상기 평탄부(130)를 로프 혹은 체인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된 평탄부 높이조절수단(114)을 구비하되, 상기 평탄부 높이조절수단(114)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은 상기 평탄부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은 상기 평탄부의 상면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는 필요에 따라 상기 평탄부(130)와 연결되는 상기 본체부(110)의 평탄부 높이조절수단(114)의 결합공을 변경하여 연결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좀 더 강한 힘으로 평탄작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평탄부 높이조절수단(114)의 결합공 중 낮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결합공과 상기 평탄부(130)를 연결하여 상기 평탄부(130)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표면에 약한 힘으로 평탄작업을 진행해야할 경우 상기 평탄부 높이조절수단(114)의 결합공 중 높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는 결합공과 상기 평탄부(130)를 연결하여 상기 평탄부(130)의 높이를 높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운동장 정리장비의 경우 평탄작업을 하나의 강도로 밖에 할 수 없어 각각의 환경에 맞는 운동장 정리장비를 각각 구매하여 사용해야 했으나,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의 경우 상기 평탄부(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각각의 환경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어 활용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부(130)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의 일부분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연직하방으로 접혀져 상기 평탄부(13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직하방으로 'ㄷ'자 형태가 되도록 평탄전방부(131)와 평탄후방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평탄부(130)의 하면에는 상기 평탄전방부(131)와 상기 평탄후방부(132) 보다 더 길게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면의 돌출된 부분을 파쇄하는 '∧'형상 또는 '['형상의 파쇄수단(133)이 다수 개 포함되되, 2열로 지그재그(zigzag)로 배치되되, 상기 평탄부(130)의 하면 양측면에는 상기 파쇄수단(133)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평탄부(130)의 중심을 향하는 쐐기 형상의 모래유도수단(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평탄부(130)의 파쇄수단(133)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수개가 '∧'형상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부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운동장 지면의 뭉쳐 있는 모래를 파쇄할 수 있으며, 2열로 지그재그(zigzag)로 배치되어 파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파쇄된 모래를 분산시켜 후방으로 배출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모래유도수단(134)을 통하여 모래의 이동을 상기 파쇄수단(132)으로 유도하여 파쇄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운동장 정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에서는 평탄부(130)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방과 후방의 일부분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연직하방으로 접혀져 상기 평탄부(13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직하방으로 'ㄷ'자 형태가 되도록 평탄전방부(131)와 평탄후방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평탄전방부(131)는 중앙에서 하부끝까지 다수 개의 사각형 통공이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평탄전방부(131)의 하단에는 수의 균일한 크기의 제1파쇄수단(135)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부(130)의 하면에는 직사각형의 부재가 상기 평탄전방부(131)와 동일한 길이로 하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부재의 전방은 중심방향으로 15 ~ 45도 기울여지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제2파쇄수단(13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쇄수단(135)가 직접 지면과 접촉하여 전진하며 접촉하는 운동장 지면의 뭉친 모래를 파쇄하고, 상기 제1파쇄수단(135)에서 파쇄된 모래가 상기 제2파쇄수단(136)과 재차 접촉하여 파쇄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작업을 통하여 뭉친 모래를 파쇄하는 효율을 극대화 시켜 운동장 정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운동장 정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더불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집부(140)는 다수의 포집체(141)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체(141)는 지면과 평행한 상면(141a), 상기 상면(141a)의 후방 끝단에서 연직하방으로 연결되며 지면과 수직인 전면(141b), 상기 전면(141b)의 하부 끝단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하면(141c), 상기 하면(141c)의 후방 끝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포집면(141d)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141b)에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집면(141d)에는 상기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 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개의 이물질제거공(141e)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평탄부(130)을 거쳐 파쇄되어 배출된 모래 내부에 있는 쓰레기, 자갈, 잡풀 등의 이물질이 상기 포집체(141)를 통하여 필터링 된다. 이는, 상기 포집체(141)에 전면(141b)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모래가 유입되고, 유입된 모래는 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포집면(141d)을 통하여 이물질이 필터링 되고 모래만 배출된다.
이때, 상기 포집체(141)의 전면(141b′)에 형성된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포집체(141)의 전방에 연결된 포집체(141)의 포집면(141d)에 형성된 이물질제거공(141e)의 크기보다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방에 위치한 포집체(141)의 포집면(141d)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상기 전면(141b′)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한 이물질이 다시 포집면(141d′)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이를 통하여 보다 세밀한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여 운동장 정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포집체(140)는 상기 포집면(141d)이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장의 환경 또는 상태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상기 포집면(141d)을 사용할 수 있어 맞춤 정리가 가능하며, 종래의 기술에서 포집을 위한 구성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장비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것에 반해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는 상기 포집면(141d)만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포집체(141)는 전면(141b)과 하면(141c)이 형성하는 모서리가 지면에 직접 닿아 지면이 파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면(141c)과 지면사이에서는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면(141c)과 전면(141b)이 형성하는 모서리에서부터는 전면방향으로 기울여져지도록 형성는 패드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142)의 높이는 30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집체(141)는 전면(141b)과 하면(141c) 사이에는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전면(141b)과 하면(141c) 사이에는 모따기부(143)가 형성되되, 상기 모따기부(143)의 높이는 30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0의 (a)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142)가 상기 포집체(141)의 전면(141b)과 하면(141c)이 형성하는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하면(141c)과 운동장 지면이 직접 접촉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패드부(142)가 전면(141b) 과 하면(141c)이 형성하는 모서리에서부터는 전면방향으로 기울여져지도록 형성되어 모래와 모래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미리 밀어내어 효과적으로 상기 포집부(14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부(142)가 교체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142)가 운동장 지면과의 접촉으로 파손이 심해질 경우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운동장 정리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활용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패드부(142) 없이, 상기 포집체(141)는 전면(141b)과 하면(141c) 사이에는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전면(141b)과 하면(141c) 사이에는 모따기부(143)가 형성되어 상기 포집체(141)를 보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별도의 구성없이 구조 자체만으로도 상기 포집체(141)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지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도 11는 포집부(140)의 또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포집부(140)는 사각형상으로 절단된 철망(144), 상기 철망(144)의 한 변 혹은 네 변에서 상기 철망(144)의 끝단 변을 따라 걸림 결합된 환봉(145), 상기 철망(144)의 한 변 끝단과 상기 환봉(145)을 수용하는 'ㄷ'자 형태의 포집부연결구(146), 상기 포집부연결구(146)의 개구부 양 끝단을 관통하도록 볼트 결합하여 상기 환봉(145)을 상기 포집부연결구(146)의 내부로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볼트(147)를 포함할 수 있다.
뭉침이 심한 습도가 높은 운동장의 경우, 모래의 점성이 높아 상기 포집체(141)형태의 포집부를 이용할 경우 운동장 정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이물질과 모래가 잘 분리되지 않아 상기 포집체(141)의 경우 이물질제거공(141e)이 막히게 되어 운동장 정리장비의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는, 철망을 이용한 새로운 포집부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포집부는 상기 철망(144)의 한 변 혹은 네 변에서 상기 철망(144)의 끝단 변을 따라 걸림 결합된 환봉(145), 상기 철망(144)의 한 변 끝단과 상기 환봉(145)을 수용하는 'ㄷ'자 형태의 포집부연결구(146), 상기 포집부연결구(146)의 개구부 양 끝단을 관통하도록 볼트 결합하여 상기 환봉(145)을 상기 포집부연결구(146)의 내부로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볼트(147)로 구성된다. 즉, 상기 철망(144)의 끝단 변을 따라 상기 환봉(145)이 걸림 결합되고, 결합된 상기 철망(144)과 상기 환봉(145)이 'ㄷ'자 형태상기 상기 포집부연결구(146)에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상기 철망(144)과 상기 환봉(145)은 다수의 상기 고정볼트(147)를 통하여 상기 포집부연결구(146)의 개구부 양 끝단을 관통하도록 볼트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환봉(145)는 운동장 정리작업중 상기 철망(144)에 가해지는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힘이 집중될 경우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에 발생될 수 있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112)에는 상기 측면프레임(112)을 중심으로 측면에서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포집부보관수단(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장 정리작업이 아닌 일반적인 이동시 상기 포집부(140)가 지면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집부(140)의 경우, 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일반적인 이동에도 지면과 접촉하여 지속적인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의 경우, 정리작업 이외의 이동시에는 상기 포집부보관수단(116)을 통하여 상기 포집부(140)를 지면과 분리하여 이동할 수 있어 상기 포집부(1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탄부(130)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114)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포집부(140)위에 포개고 이동하여 상기 평탄부(140)가 지면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1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와 결합되며, 물저장탱크(115a), 물분사노즐(115b) 및 수량조절밸브(115c)로 구성되는 물분사수단(115)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한 상태의 운동장의 정리작업을 진행할 때에 분진이 발생되어 작업자 및 주변 인원들의 호흡기 계통에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운동장 정리장비의 경우 상기 본체부(110)에 물저장탱크(115a), 물분사노즐(115b) 및 수량조절밸브(115c)로 구성되는 상기 물분사수단(115)을 더 포함하여, 상기 롤러(113)작업이후 물을 분사하여,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 및 주변 인원들의 호흡기 계통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쾌적한 상태에서 운동장 정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본체부
111: 전방프레임 112: 측면프레임
113: 롤러 114: 높이조절수단
115: 물분사수단 115a: 물저장탱크
115b: 물분사노즐 115c: 수량조절밸브
116: 포집부보관수단
120: 연결부
121: 견인봉 122: 견인봉 브라켓
123: 전방프레임브라켓 124: 연결구
125: 수직고정핀 126: 수평고정볼트
130: 평탄부
131: 평탄전방부 132: 평탄후방부
133: 파쇄수단 134: 모래유도수단
135: 제1파쇄수단 136: 제2파쇄수단
140: 포집부
141: 포집체 141a: 상면
141b, 141b': 전면 141c, 141c': 하면
141d, 141d': 포집면 141e, 141e': 이물질제거공
142: 패드부 143: 모따기부
144: 철망 145: 환봉
146: 포집부연결구 147: 고정볼트

Claims (15)

  1. 전방프레임(111) 및 측면프레임(112)이 결합되고, 후방에는 롤러(113)가 결합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전방프레임(111)에 결합하며, 상기 본체부(110)를 견인하는 이동장치와 결합되는 연결부(120);
    상기 본체부(110) 내측 전방에서 상기 본체부(110)와 체인 혹은 로프로 연결되고, 지면의 돌출부를 긁어 지면을 평탄하게 하는 평탄부(130);
    상기 본체부(110) 내측 후방에서 상기 본체부(110)와 체인 혹은 로프로 연결되고, 상기 평탄부(130)를 거쳐 뒤로 이동된 흙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포집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포집부(140)는 다수의 포집체(141)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체(141)는 지면과 평행한 상면(141a), 상기 상면(141a)의 후방 끝단에서 연직하방으로 연결되며 지면과 수직인 전면(141b), 상기 전면(141b)의 하부 끝단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하면(141c), 상기 하면(141c)의 후방 끝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포집면(141d)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141b)에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집면(141d)에는 상기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 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개의 이물질제거공(141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이동장치와 결합하는 견인봉(121),
    상기 견인봉(121)과 결합하는 'ㄷ'자 형상의 견인봉 브라켓(122),
    상기 전방프레임(111)과 결합하는 'ㄷ'자 형상의 전방프레임브라켓(123),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은 상하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은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연결구(1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에는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의 양측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구(124)는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의 양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과 상기 연결구(124)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전방프레임브라켓(123)과 상기 연결구를 힌지 결합하는 수직고정핀(125)이 구비되고,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의 양측은 좌우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구(124)는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의 양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견인봉 브라켓(122)의 양측과 상기 연결구(124)의 좌우측면을 각각 힌지결합하는 좌측, 우측 수평고정볼트(1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111)은
    상기 전방프레임(111)과 상기 평탄부(130)를 로프 혹은 체인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된 평탄부 높이조절수단(114)을 구비하되,
    상기 평탄부 높이조절수단(114)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은 상기 평탄부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은 상기 평탄부의 상면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130)는
    전방과 후방의 일부분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연직하방으로 접혀져 상기 평탄부(13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직하방으로 'ㄷ'자 형태가 되도록 평탄전방부(131)와 평탄후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탄부(130)의 하면에는 상기 평탄전방부(131)와 상기 평탄후방부보다 더 길게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면의 돌출된 부분을 파쇄하는 '∧' 형상 또는 '['형상의 파쇄수단(133)이 다수 개 포함되되, 2열로 지그재그(zigzag)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130)의 하면 양측면에는 상기 파쇄수단(133)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평탄부(130)의 중심을 향하는 쐐기 형상의 모래유도수단(1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7. 제 1항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의 일부분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연직하방으로 접혀져 상기 평탄부(13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직하방으로 'ㄷ'자 형태가 되도록 평탄전방부(131)와 평탄후방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평탄전방부(131)는 중앙에서 하부끝까지 다수 개의 사각형 통공이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평탄전방부(131)의 하단에는 다수의 균일한 크기의 제1파쇄수단(135)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부(130)의 하면에는 직사각형의 부재가 상기 평탄전방부(131)와 동일한 길이로 하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부재의 전방은 중심방향으로 15 ~ 45도 기울여지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제2파쇄수단(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141)의 전면(141b)에 형성된 개구부의 크기보다 상기 포집체(141)의 전방에 연결된 포집체(141)의 포집면(141d)에 형성된 이물질제거공(141e)의 크기가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140)는
    상기 포집면(141d)이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141)는
    전면(141b)과 하면(141c)이 형성하는 모서리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면(141c)과 지면사이에서는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면(141c)과 전면(141b)이 형성하는 모서리에서부터는 전면방향으로 기울여져지도록 형성는 패드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142)의 높이는 30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141)는
    전면(141b)과 하면(141c) 사이에는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전면(141b)과 하면(141c) 사이에는 모따기부(143)가 형성되되,
    상기 모따기부(143)의 높이는 30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140)는
    사각형상으로 절단된 철망(144);
    상기 철망(144)의 한 변 혹은 네 변에서 상기 철망(144)의 끝단 변을 따라 걸림 결합된 환봉(145);
    상기 철망(144)의 한 변 끝단과 상기 환봉(145)을 수용하는 'ㄷ'자 형태의 포집부연결구(146);
    상기 포집부연결구(146)의 개구부 양 끝단을 관통하도록 볼트 결합하여 상기 환봉(145)을 상기 포집부연결구(146)의 내부로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볼트(14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112)에는 상기 측면프레임(112)을 중심으로 측면에서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ㄴ'자 형상의 포집부보관수단(1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11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와 결합되며,
    물저장탱크(115a), 물분사노즐(115b) 및 수량조절밸브(115c)로 구성되는 물분사수단(115)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 정리장비.
KR1020150187634A 2015-12-28 2015-12-28 운동장 정리장비 KR101863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634A KR101863278B1 (ko) 2015-12-28 2015-12-28 운동장 정리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634A KR101863278B1 (ko) 2015-12-28 2015-12-28 운동장 정리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595A KR20170077595A (ko) 2017-07-06
KR101863278B1 true KR101863278B1 (ko) 2018-05-30

Family

ID=5935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634A KR101863278B1 (ko) 2015-12-28 2015-12-28 운동장 정리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034A (ko)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스마츠 스포츠 그라운드 관리용 무인 전기카트
KR20240065577A (ko) 2022-11-02 2024-05-14 주식회사 스마츠 운동장관리기 전동형 견인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487B1 (ko) * 2019-10-08 2021-08-12 유한회사 도원산업기계 롤러를 부착한 빔 그레이더
KR102380742B1 (ko) * 2021-08-24 2022-03-31 주식회사 스마츠 마사토 운동장 유지보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1768A (ja) * 2009-06-19 2011-01-06 Golf Jo Yohin Kk 牽引式のグラウンド整備作業機
KR101526519B1 (ko) * 2014-10-17 2015-06-05 주식회사 스마츠 운동장 정리 장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1768A (ja) * 2009-06-19 2011-01-06 Golf Jo Yohin Kk 牽引式のグラウンド整備作業機
KR101526519B1 (ko) * 2014-10-17 2015-06-05 주식회사 스마츠 운동장 정리 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034A (ko)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스마츠 스포츠 그라운드 관리용 무인 전기카트
KR20240065577A (ko) 2022-11-02 2024-05-14 주식회사 스마츠 운동장관리기 전동형 견인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595A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278B1 (ko) 운동장 정리장비
US7962995B2 (en) Apparatus for cleaning synthetic grass
DE69212153T2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spieloberflächen aus künstlichem rasen
CA2200431C (en) Device for collection of debris
AU2006320978B2 (en) Tine raking device
CN207322341U (zh) 鸡蛋自动收集装置
CN107931254A (zh) 一种用于建筑施工安全网清洗的自动化节水环保设备
US8250696B2 (en) Device for collection of debris
EP2842473A2 (de) Reinigungseinheit und Verfahren zur Grundreinigung von Hallenböden
KR101526519B1 (ko) 운동장 정리 장비
CN205518828U (zh) 一种清洁高效的纺织除尘装置
US6454018B2 (en) Ground surface debris collection mat
KR102501664B1 (ko) 나물 세척장치
WO1992010614A1 (en) A sweeping machine
CN216474777U (zh) 一种道路桥梁安全除冰装置
CN110067577A (zh) 一种利用静电发生清理尘粒的隧道施工板材翻转装置
US20170009414A1 (en) Improved Apparatus for Cleaning Synthetic Grass
WO2010060156A1 (en) A cleaning apparatus
CN204500544U (zh) 压力接触式拖地机
DE102021210602B4 (de) Bodenreinigungsmaschine
CN208711328U (zh) 储料除尘仓
KR102611193B1 (ko) 4 x 4 미끄럼방지 보행매트 제작시스템
CN212026066U (zh) 一种改进的路面施工用移动粉粒收集设备
KR101531537B1 (ko) 스트리퍼 이물 제거 장치 및 방법
RU180824U1 (ru) Ворошильный эле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