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694B1 -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 - Google Patents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694B1
KR101862694B1 KR1020180026640A KR20180026640A KR101862694B1 KR 101862694 B1 KR101862694 B1 KR 101862694B1 KR 1020180026640 A KR1020180026640 A KR 1020180026640A KR 20180026640 A KR20180026640 A KR 20180026640A KR 101862694 B1 KR101862694 B1 KR 101862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as
valve train
discharge pipe
gas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환
김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밸
Priority to KR102018002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15Mixtures of gaseous fuels; Natural gas; Biogas; Mine gas; Landfill gas
    • B63B277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반원통 구조의 제1커버(12), 반원 형상을 가지는 제1커버(12)의 좌측면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점검창(121), 일정크기의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반원통 구조로서 힌지(13)에 의해 제1커버(12)와 결합되는 제2커버(14), 반원 형상을 가지는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점검창(141), 제2점검창(141)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선박연료 주입관(143) 및 선박연료 배출관(144), 선박연료 주입관(143) 및 선박연료 배출관(144)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퍼지가스 주입관(145) 및 퍼지가스 배출관(146), 선박연료 주입관(143) 일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고압공기 주입관(147), 퍼지가스 배출관(146) 타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고압공기 배출관(148), 고압공기 배출관(148) 타측 부위에 마련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선박의 연료가 함유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누설가스 감지기(15), 선박연료 주입관(143)에 마련되어 선박 연료의 주입을 차단하는 비상 밸브(17), 제2커버(14)의 하측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8)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부(10);를 포함하는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Shielding structure for gas valve train}
본 발명은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박의 연료 공급 라인에 설치되는 가스밸브 트레인의 가스 누설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감지수단을 마련하여, 연료 가스의 누설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대량의 화물을 매우 경제적으로 운송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꾸준히 이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선박의 구동원은 내연기관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대량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화석연료 연소가 뒤따르게 되고 이는 필연적으로 대기 오염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때문에, 연소과정에서 대기 오염 물질 생성 자체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LNG)와 같은 연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료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선박용 내연기관이 개발되어 상용화 단계에 있다.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이러한 상용 내연기관의 경우, LNG를 150 내지 400 bar 정도로 고압으로 압축하여 공급하게 되며, 도 4와 같이 LNG저장탱크(100)로부터 내연기관(ME)으로 LNG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용 라인(FL)은 가스밸브 트레인(gas valve train, GVT)을 지나도록 설계된다.
연료 공급용 라인에는 LNG 공급을 안전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수많은 밸브들이 설치되는데, 이들 밸브들을 안전 규격에 맞춘 공간에 모아둔 곳이 가스밸브 유닛(gas valve unit, GVU)이다. 가스밸브 트레인은 이러한 가스밸브 유닛 개념을 확장하여 연료 공급용 라인의 내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밸브 집합체로서, 도 5에는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2017-0037556호로 제안한 바 있는 가스밸브 트레인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5에 개시된 예와 같이 관련 업계에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가스밸브 트레인은, 복수 개의 선박연료 내부유로 및 복수 개의 퍼지가스 내부유로 각각이 형성되는 블록과, 블록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각 내부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복수 개의 밸브 및 선박연료의 상태를 점검하는 복수 개의 압력 트랜스미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밸브의 작동은 별도의 밸브 제어체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4의 LNG저장탱크(100)로부터 내연기관(ME)으로 선박의 연료가 공급될 때, 공급되는 연료를 도 5와 같은 가스밸브 트레인을 통과시켜 사전에 점검함으로써 내연기관(ME)에서 요구하는 최적 상태의 선박 연료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내연기관(ME)의 셧다운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밸브 제어체의 작동에 따라 가스밸브 트레인의 선박연료 내부유로와 연결된 밸브를 차단함과 동시에 퍼지가스 내부유로와 연결된 밸브를 개방하여 연료 공급용라인(FL)에 잔존하는 선박 연료를 강제배출시킴으로써 폭발 등으로 인한 선박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그런데, 종래 알려진 가스밸브 트레인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기본적으로 블록 내부에 복수 개의 내부유로를 형성하고, 각 내부유로에는 밸브를 결합하여 내부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블록과 밸브 상호 간의 결합이 완벽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씰링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선박연료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다.
가스밸브 트레인에서의 선박연료 누설은 선박의 안전사고와 직결될 수 있으나 지금까지는 그 누설 상황 자체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웠다. 게다가, 지금까지 상용화되고 있는 가스밸브 트레인 대부분은 내연기관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7780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111968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연기관과 일정 거리 떨어져 선박의 외부에 설치되더라도 선박연료의 누설 여부를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파악할 수 있는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크기의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반원통 구조의 제1커버(12), 반원 형상을 가지는 제1커버(12)의 좌측면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점검창(121), 일정크기의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반원통 구조로서 힌지(13)에 의해 제1커버(12)와 결합되는 제2커버(14), 반원 형상을 가지는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점검창(141), 제2점검창(141)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선박연료 주입관(143) 및 선박연료 배출관(144), 선박연료 주입관(143) 및 선박연료 배출관(144)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퍼지가스 주입관(145) 및 퍼지가스 배출관(146), 선박연료 주입관(143) 일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고압공기 주입관(147), 퍼지가스 배출관(146) 타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고압공기 배출관(148), 고압공기 배출관(148) 타측 부위에 마련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선박의 연료가 함유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누설가스 감지기(15), 곡률을 이루는 제2커버(14)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개폐해들(16), 선박연료 주입관(143)에 마련되어 선박 연료의 주입을 차단하는 비상 밸브(17), 제2커버(14)의 하측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8)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부(10);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제2커버(16)의 내부수용공간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판(21), 복수 개의 밸브(224)가 마련되어 제1, 2커버(12, 14) 각각의 좌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선박연료 주입관(143)과 선박연료 배출관(144) 및 퍼지가스 주입관(145)과 퍼지가스 배출관(146) 각각과 연결되어 지지판(21)의 일측 부위 상면에 설치되는 가스밸브 트레인(22), 제1, 2커버(12, 14) 각각의 우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지지판(21)의 타측 부위 상면에 설치되는 내부제어박스(23), 지지판(21)의 중앙 부위 상면에 설치되어 가스밸브 트레인(22)을 경유하는 선박 연료의 상태를 점검하며 가스밸브 트레인(22)의 각 밸브(222)를 제어하는 밸브제어체(24)로 이루어지는 가스밸브 트레인부(20);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점검창(121, 141) 각각의 내면에는 가스밸브 트레인(22)에서 누설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는 제1, 2변색필름(122, 142)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스밸브 트레인을 커버로서 밀폐하여 외부 환경과 격리하여 설치할 수 있는 차폐구조를 제안하되 가스밸브 트레인으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 및 연료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가스밸브 트레인을 선박의 내연기관과 인접하여 선박의 내부에 설치하던 종래 방식을 탈피하여 가스밸브 트레인 자체를 선박의 외부 데크에 설치하더라도 가스밸브 트레인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 누설을 즉각적으로 발견하여 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밸브 트레인을 밀폐하는 커버에 점검창을 복수 개 형성하고, 가스밸브 트레인에서 누설되는 가스를 서로 다른 방법으로 감지하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가스밸브 트레인의 작동 상황을 육안으로 매우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음은 물론 일부 장치가 오작동되더라도 가스밸브 트레인으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보다 완전하게 파악하여 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에 있어 정면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에 있어 좌측면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종래 LNG를 연료로 구종되는 선박의 파워트레인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5는 종래 가스밸브 트레인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이며, 도 2 및 도 3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에 있어 정면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및 좌측면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커버부(10) 및 가스밸브 트레인부(20)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각각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커버부(10)는 가스밸브 트레인부(20)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수단으로, 제1 2커버(12, 14), 누설가스 감지기(15), 개폐핸들(16), 비상 밸브(17), 지지프레임(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2커버(12, 14) 각각은 일정크기의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반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며, 힌지(13)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2커버(12, 14)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개폐핸들(16)은 곡률을 이루는 제2커버(14)의 일 측면에 마련된다. 가스밸브 트레인부(20)의 점검이 필요할 경우, 점검자가 외력을 가하면 힌지(13)를 기점으로 제1커버(12)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내부수용공간이 개방된다.
도면부호 162는 제1커버(12)의 개방을 위한 유압실린더이다. 이처럼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별도의 유압실린더(162)가 마련되고, 그 단부가 힌지(13)에 결합되면 제1커버(12)가 일정 중량을 가지더라도 제1커버에 대한 매우 용이한 개방이 가능하다.
지지프레임(18)은 제2커버(14)의 하측 부위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도면과 같이 복수 개의 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가로바 및 복수 개의 세로바 상호 간을 연결하여 반원통 구조의 제2커버(14)의 하측 부위를 지면으로 일정 수직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커버(12)의 좌측면에는 제1점검창(121)이 형성되고, 제2커버(14)의 좌측면에는 제2점검창(141), 선박연료 주입관(143) 및 선박연료 배출관(144), 퍼지가스 주입관(145) 및 퍼지가스 배출관(146), 고압공기 주입관(147) 및 고압공기 배출관(148) 각각이 형성된다.
제1점검창(121)은 반원 형상을 가지는 제1커버(12)의 좌측면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제2점검창(141)은 반원 형상을 가지는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형성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제1, 2점검창(121, 141) 각각은 외부와 격리되어 제1, 2커버(12, 14) 내부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가스밸브 트레인부(20)의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거나 또는 내부수용공간 내부의 상황을 파악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선박연료 주입관(143) 및 선박연료 배출관(144) 각각은 가스밸브 트레인으로 선박용 연료가 주입되고 가스밸브 트레인으로부터 선박용 연료가 배출되는 부분으로, 제2점검창(141)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된다.
선박연료 주입관(143)의 일측 부위는 도 4에 있어 연료 공급용 라인(FL)과 연결되며, 타측 부위는 후술할 가스밸브 트레인(22)과 연결된다. 선박연료 배출관(144)의 일측 부위는 가스밸브 트레인(22)과 연결되며, 타측 부위는 도 4에 있어 내연기관(ME)과 연결된다.
퍼지가스 주입관(145) 및 퍼지가스 배출관(146) 각각은 내연기관 셧다운시 질소와 같은 퍼지가스가 가스밸브 트레인으로 주입되고 가스밸브 트레인으로부터 배출되는 부분으로, 선박연료 주입관(143) 및 선박연료 배출관(144)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된다.
퍼지가스 주입관(145)의 일측 부위는 미도시된 퍼지가스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타측 부위는 가스밸브 트레인(22)과 연결된다. 퍼지가스 배출관(146)의 일측 부위는 가스밸브 트레인(22)과 연결되며, 타측 부위는 연료 공급용 라인과 연결된다.
고압공기 주입관(147)은 제1, 2커버(12, 14)의 내부수용공간으로 고압의 공기가 주입되는 부분이며, 고압공기 배출관(148)은 제1, 2커버(12, 14)의 내부수용공간에 충전된 고압 공기를 배출하는 부분이다.
고압공기 주입관(147)의 일측 부위는 미도시된 펌프와 연결되고, 타측 부위는 제1, 2커버(12, 14)의 내부수용공간과 연통된다. 고압공기 배출관(148)의 일측 부위는 제1, 2커버(12, 14)의 내부수용공간과 연통되며, 타측 부위는 외기와 연통되거나 또는 미도시된 외부 공기저장탱크와 연결된다.
누설가스 감지기(15)는 제1, 2커버(12, 14)의 내부수용공간에 충전된 다음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고압공기 중에 가스밸브 트레인(22)으로부터 누설된 선박 연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고압공기 배출관(148)의 타측 부위에 마련된다.
비상 밸브(17)는 선박 연료의 주입을 차단하는 수단으로, 선박연료 주입관(143)에 마련된다. 누설가스 감지기(15)에 의해 누설 연료가 감지되면, 별도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박연료 주입관(143)을 폐쇄하여 가스밸브 트레인(22)으로 주입되는 선박의 연료를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제1, 2점검창(121, 141) 각각의 내면에 제1, 2변색필름(122, 142)이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누설가스 감지기(15)와 더불어 제1, 2점검창(121, 141) 각각에 제1, 2변색필름(122, 142)이 마련되면, 가스밸브 트레인(22)에서 선박용 연료가 누설되더라도 보다 완전하면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러한 변색필름은 유기 안료로 이루어진 염료, 또는 금속질산염이나 금속황산염 등의 금속 염화물로 구성되어, LNG와 같은 선박용 연료와 반응하면 수소 이온 농도(pH)의 값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57789호 등과 같이 관련 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스밸브 트레인부(20)는 선박용 연료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내연기관(ME)의 셧다운시 가스 상태의 연료 폭발로 인한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지지판(21), 가스밸브 트레인(22), 내부제어박스(23), 밸브제어체(24)를 포함한다.
지지판(21)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제2커버(16)의 내부수용공간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지지판(21)의 하측 부위는 제2커버(16)의 내면을 따라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밸브 트레인(22)은 제1, 2커버(12, 14) 각각의 좌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지지판(21)의 일측 부위 상면에 설치된다. 가스밸브 트레인(22)은 복수 개의 내부유로가 마련되는 블록(222) 및 각 내부유로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밸브(224)로 이루어진다.
블록(222)의 각 내부유로는 선박연료 주입관(143) 및 선박연료 배출관(144) 각각의 일측 부위, 그리고 퍼지가스 주입관(145) 및 퍼지가스 배출관(146) 각각의 일측 부위와 연결된다. 밸브(224)는 밸브제어체(24)의 작동에 따라 각 내부유로를 개폐한다. 이러한 가스밸브 트레인(22)의 구체적인 작동구성은 관련 업계에 얼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부제어박스(23)는 가스밸브 트레인(22)의 상태에 따라 밸브제어체(24)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제1, 2커버(12, 14) 각각의 우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지지판(21)의 타측 부위 상면에 설치된다. 내부제어박스는 통상적인 제어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제어체(24)는 가스밸브 트레인(22)을 경유하는 선박 연료의 상태를 점검하며 가스밸브 트레인(22)의 각 밸브(222)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지지판(21)의 중앙 부위 상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제어체(24)는 도 2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242) 및 압력 트랜스미터(2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242)는 가스밸브 트레인(22)에 마련되는 각 밸브(224)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이며, 압력 트랜스미터(244)는 가스밸브 트레인(22)에서의 선박 연료의 압력 상태를 체크하여 솔레노이드밸브(242)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면부호 26은 외부제어박스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 내부제어박스(23)를 통해 가스밸브 트레인(22)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미도시된 외부 중앙 서버로 전송한다. 누설가스 감지기(15)에서 감지되는 신호 역시 외부제어박스(26)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을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선박이 운항하는 과정 중에 내연기관이 셧다운되는 상황이 발생되면 그에 대한 긴급 신호가 내, 외부제어박스(23, 26)로 전달된다. 내, 외부제어박스(23, 26)는 전달되는 긴급 신호에 따라 밸브제어체(24)의 솔레노이드밸브(242)를 작동시켜 가스밸브 트레인(22)의 특정 밸브들을 폐쇄함으로써 선박연료 배출관(144)을 통한 연료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가스밸브 트레인(22)의 특정 밸브들을 개방하여 퍼지가스 배출관(146)을 통해 불활성인 퍼지가스를 연료 공급 라인으로 신속하게 공급함으로써, 가스 상태인 연료의 폭발에 의해 선박이 파손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선박의 내연기관은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고 있으나 가스밸브 트레인(22)에 이상이 발생하여 선박용 연료가 누설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즉, 가스밸브 트레인(22)의 블록(222) 자체, 또는 블록(222)과 밸브(224) 상호 간의 연결 부위에서 선박의 연료가 되는 가스가 누설되는 경우이다.
가스가 누설되면, 누설되는 가스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제2커버(14)의 내부수용공간 하측으로 이동하여 채워진다. 이때, 제1, 2커버(12, 14)의 내부수용공간에는 고압공기 주입관(147)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주입되고 고압공기 배출관(148)을 통해 순차적으로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고 있는 상태로서, 제2커버(14)의 내부수용공간 하측으로 이동하여 채워지는 누설 가스는 고압공기 배출관(148)을 통해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누설된 가스가 공기와 섞여 고압공기 배출관(14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고압공기 배출관(148) 타측 부위에 마련되어 있는 누설가스 감지기(15)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내, 외부제어박스(23, 26)로 송신한다. 한편, 제1, 2커버(12, 14) 각각의 좌측면에는 수직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제1, 2점검창(121, 141)이 형성되고, 이들 각각에는 제1, 2변색필름(122, 142)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가 누설되면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제2변색필름(142)의 색상이 변하게 된다.
내, 외부제어박스(23, 26)로 가스 누설 신호가 전송되면, 필요에 따라 경고등이 작동하며 그 상황을 주위로 전파하게 되고,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비상 밸브(17)가 작동하여 선박연료 주입관(143)을 통한 연료 주입을 차단한다. 또한, 현장으로 파견된 점검자는 점검창들을 간단하게 육안으로 식별하는 것에 의해 제1, 2커버(12, 14) 내부의 수용공간에 어느 정도 양의 가스가 누설되어 채워져 있는지를 재빨리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점검자는 그 누설 정도를 파악하여, 가스의 누설되는 정도가 내연기관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경미한 경우에는 비상 밸브(17)를 작동시켜 선박연료 주입관(143)을 개방하여 선박의 내연기관을 가동하면서 그에 따른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하지만, 만일 가스의 누설 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 공급 라인에 퍼지가스를 공급하여 퍼징시킨 다음 제1커버(12)를 개방하여 가스밸브 트레인(22) 자체에 대한 점검을 수행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스밸브 트레인으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제공함으로써, 가스 상태의 연료 폭발에 따라 선박이 침몰하거나 파손되는 대형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해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커버부 12 : 제1커버
121 : 제1점검창 122 : 제1변색필름
13 : 힌지 14 : 제2커버
141 : 제2점검창 142 : 제2변색필름
143 : 선박연료 주입관 144 : 선박연료 배출관
145 : 퍼지가스 주입관 146 : 퍼지가스 배출관
147 : 고압공기 주입관 148 : 고압공기 배출관
15 : 누설가스 감지기 16 : 개폐핸들
17 : 비상 밸브 18 : 지지프레임
20 : 가스밸브 트레인부
22 : 가스밸브 트레인 222 : 밸브
23 : 내부제어박스 24 : 밸브제어체
242 : 솔레노이드 밸브 244 : 압력 트랜스미터
26 : 외부제어박스

Claims (2)

  1. 일정크기의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반원통 구조의 제1커버(12), 반원 형상을 가지는 제1커버(12)의 좌측면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점검창(121), 일정크기의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반원통 구조로서 힌지(13)에 의해 제1커버(12)와 결합되는 제2커버(14), 반원 형상을 가지는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수직 높이를 달리하며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점검창(141), 제2점검창(141) 좌우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선박연료 주입관(143) 및 선박연료 배출관(144), 선박연료 주입관(143) 및 선박연료 배출관(144)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퍼지가스 주입관(145) 및 퍼지가스 배출관(146), 선박연료 주입관(143) 일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고압공기 주입관(147), 퍼지가스 배출관(146) 타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2커버(14)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고압공기 배출관(148), 고압공기 배출관(148) 타측 부위에 마련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선박의 연료가 함유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누설가스 감지기(15), 곡률을 이루는 제2커버(14)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개폐해들(16), 선박연료 주입관(143)에 마련되어 선박 연료의 주입을 차단하는 비상 밸브(17), 제2커버(14)의 하측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8)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부(10);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제2커버(16)의 내부수용공간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판(21), 복수 개의 밸브(224)가 마련되어 제1, 2커버(12, 14) 각각의 좌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선박연료 주입관(143)과 선박연료 배출관(144) 및 퍼지가스 주입관(145)과 퍼지가스 배출관(146) 각각과 연결되어 지지판(21)의 일측 부위 상면에 설치되는 가스밸브 트레인(22), 제1, 2커버(12, 14) 각각의 우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지지판(21)의 타측 부위 상면에 설치되는 내부제어박스(23), 지지판(21)의 중앙 부위 상면에 설치되어 가스밸브 트레인(22)을 경유하는 선박 연료의 상태를 점검하며 가스밸브 트레인(22)의 각 밸브(222)를 제어하는 밸브제어체(24)로 이루어지는 가스밸브 트레인부(20);를
    포함하는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점검창(121, 141) 각각의 내면에는 가스밸브 트레인(22)에서 누설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는 제1, 2변색필름(122, 14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
KR1020180026640A 2018-03-07 2018-03-07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 KR101862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640A KR101862694B1 (ko) 2018-03-07 2018-03-07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640A KR101862694B1 (ko) 2018-03-07 2018-03-07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694B1 true KR101862694B1 (ko) 2018-05-31

Family

ID=6245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640A KR101862694B1 (ko) 2018-03-07 2018-03-07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6984A1 (de) * 2018-09-26 2020-04-15 UNI-GERÄTE E. Mangelmann ELEKTROTECHNISCHE FABRIK GmbH Einhausung zur aufnahme einer gas-ventil-einheit (guv) für schiffe mit gasantrieb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859Y1 (ko) 2000-06-29 2000-11-15 성신공업주식회사 차량용 엘피지탱크 보호케이스
KR200257462Y1 (ko) 2001-09-17 2001-12-24 최종각 차량용 액화석유가스 연료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859Y1 (ko) 2000-06-29 2000-11-15 성신공업주식회사 차량용 엘피지탱크 보호케이스
KR200257462Y1 (ko) 2001-09-17 2001-12-24 최종각 차량용 액화석유가스 연료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36984A1 (de) * 2018-09-26 2020-04-15 UNI-GERÄTE E. Mangelmann ELEKTROTECHNISCHE FABRIK GmbH Einhausung zur aufnahme einer gas-ventil-einheit (guv) für schiffe mit gasantrieb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1576B2 (en) Secondary containment leak prevention an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6978660B2 (en) Power head secondary containment leak prevention an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20305430A1 (en) Use of hydrogen sensor to detect hydrogen storage system pressure regulator failure
JPH05500561A (ja) 漏洩保護容器
CN102798504B (zh) 测漏仪
KR101862694B1 (ko) 차폐구조의 가스밸브 트레인
AU2009267648B2 (en) Leakage self-help container for stocking hazardous chemical products
Cebolla et al. GASTEF: The high pressure gas tank testing facility of the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CN105546325A (zh) 一种加注船用液化天然气储罐
MXPA04012104A (es) Aparato de tapa de contencion secundaria.
US6997042B2 (en) Secondary containment leak prevention an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A2729822C (en) Rescue device for leakage of dangerous chemicals
KR102239352B1 (ko) 원유저장탱크 레벨 및 밀도측정장치, 이의 밀폐시스템
WO2018077240A1 (zh) Cng运输船天然气存储系统的密封装置及编组单元
CN115575303A (zh) 一种输送含硫化氢的油气管道的腐蚀模拟试验装置及方法
CN216431232U (zh) 一种供气装置和实验室供气排气系统
KR102590526B1 (ko) 전자 솔밸브를 이용한 가스 누출 방지 시스템
CN214171405U (zh) 一种船用燃油隔离阀的控制装置
KR101790274B1 (ko) 유지보수장치가 설치된 선박용 가스 기화기
KR101776907B1 (ko) 능동안전형 cng 연료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1970336B (zh) 加油站设施处气体回收系统的监控装置
KR20220145979A (ko) 엔진의 가스연료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205982273U (zh) 滑油管路中水分传感器安装装置
CN116358625A (zh) 一种用于测试元器件功能的测试装置及方法
CA1136495A (en) Spill overflow prevention system for tanker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