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954B1 - 차량용 진공 장착식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진공 장착식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954B1
KR101860954B1 KR1020127010294A KR20127010294A KR101860954B1 KR 101860954 B1 KR101860954 B1 KR 101860954B1 KR 1020127010294 A KR1020127010294 A KR 1020127010294A KR 20127010294 A KR20127010294 A KR 20127010294A KR 101860954 B1 KR101860954 B1 KR 10186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acuum
vehicle
attached
carri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917A (ko
Inventor
챨스 엘 카사그랜드
Original Assignee
챨스 엘 카사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챨스 엘 카사그랜드 filed Critical 챨스 엘 카사그랜드
Publication of KR20120094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60R9/1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Abstract

차량용 캐리어 시스템은 프레임에 부착된 마운트를 갖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마운트는 레크레이션 물품과 착탈 가능하게 정합하고 고정시키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다. 진공 디바이스는 마운트의 아래쪽에 부착되고 진공 공동을 형성하도록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 패드를 포함한다. 진공 디바이스는 패드에 부착되고 진공 공동과 유체 연통하는 플런저와, 플런저 상에 위치되어 진공 공동 내에 진공 압력의 레벨을 지시하는 지시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진공 장착식 캐리어{VACUUM MOUNTED CARRI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장착면의 무결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유지하면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해 자동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진공 조립체를 이용하여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스키, 스노우보드, 서프보드 등과 같은 다양한 레크레이션 장비를 운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캐리어 또는 랙이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캐리어는 루프, 트렁크, 리어 윈도우, 트렁크 베드, 또는 트레일러 히치의 지점들 중 하나에 장착된다. 자동차가 이동하는 동안에 캐리어 및 지지된 물품에 작용하는 큰 힘을 견디기 위하여, 종래의 캐리어는 물품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캐리어는 파스너에 의해 자동차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거나, 브래킷, 스트랩, 또는 걸쇠를 이용하여 자동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러나, 양자의 방법에는 단점이 있다.
영구적으로 설치된 캐리어는 구입 및 설치가 비싸고, 통상적으로 차량에 대해 변경을 요구한다. 또한, 이들 캐리어는 제거될 수 없다. 착탈 가능한 캐리어는 설치가 어렵고 시간 소모적이며 반복적으로 설치 및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착탈 가능한 캐리어는 움푹 파임 및 스트래칭을 유발하는 인장 하에 자동차에 적용되는 플레이트 및 스트랩으로 인해 설치 및 사용 중에 자동차를 손상시키기 쉽다. 부적절하게 설치되면, 차량 및 운반되는 물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랙은 통상적으로 특정한 차량의 구조 및 모델에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랙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어댑터나 변경없이는 다른 차량들에 사용되지 못한다. 그 결과, 제조업자들은 부품들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하고 소매업자들은 소비자에게 점점 더 복잡한 부품 선택 리스트를 제공해야 하는데, 이는 또한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한 차량을 위해 랙을 구입한 소비자는 동일한 랙을 다른 차량들에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다수의 차량에 쉽고 신뢰성 있게 설치 및 제거되고 장착면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캐리어가 요구된다.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캐리어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자전거를 고정하는 도 1의 캐리어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진공 디바이스의 분해도이고,
도 4는 후방 휠 마운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휠 마운트의 변경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캐리어 시스템의 제1 변경예의 평면도이며,
도 7은 캐리어 시스템의 제2 변경예의 평면도이고,
도 8은 캐리어 시스템의 제3 변경예의 사시도이며,
도 9는 캐리어 시스템의 제4 변경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캐리어 시스템의 제5 변경예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캐리어 시스템의 제6 변경예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캐리어 시스템의 제7 변경예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캐리어 시스템의 제8 변경예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캐리어 시스템의 제9 변경예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캐리어 시스템의 제10 변경예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캐리어 시스템의 제11 변경예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캐리어 시스템의 제12 변경예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로킹 클립의 정면도이며,
도 19는 로킹 클립의 측면도이고,
도 20은 로킹 시스템에 의해 차량에 고정된 자전거의 사시도이며,
도 21은 차량 윈도우와 결합된 로킹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캐리어 시스템의 제13 변경예의 평면도이다.
대응하는 참조 번호는 여러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는 부품을 가리킨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이 아니라 일례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고 있다. 상세한 설명으로 인해 당 분야의 숙련자들이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하며, 본 발명을 수행하는 최상의 모드라고 현재 생각하는 것을 비롯하여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 개조, 수정, 변경 및 용도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의 세부 및 구성요소들의 배열로 그 용례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제한으로 간주되어서는 않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캐리어 시스템(10)이라고 칭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레임 부재(12), 이 프레임 부재(12)에 부착되고 레크레이션 물품과 결합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 마운트(14), 및 프레임 부재(12)에 부착되고 차량의 장착면(17)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진공 디바이스(16)를 포함한다. 캐리어 시스템(10)은 제한하지는 않지만 자전거, 스키, 스노우보드, 서프보드, 카누, 또는 카약을 비롯한 임의의 레크레이션 물품과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2)는 각각의 진공 디바이스(16; 도 3)와 정합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각각 갖는 확대된 대체로 원형부(20)를 각 단부에 갖는 대체로 선형 바아(18)이다. 그러나, 원형부(20)는 진공 디바이스(16)와 정합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 및 크기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재(12)는 예컨대 파스너(13)에 의해 2개의 진공 디바이스(16)와 정합하여 작동 중에 캐리어 시스템(10)에 작용하는 인장, 전단, 및 다른 힘들을 견디기에 충분한 진공 강도를 제공한다. 다수의 진공 디바이스(16)는 하중을 안정화하는 데에 일조하고 하나 이상의 진공 디바이스(16)가 고장나면 여분을 제공한다. C형 핸들 등의 안전 부재(22)가 프레임 부재(12)로부터 연장되어, 밧줄, 로프, 코드, 케이블, 또는 기타 부재 등의 부착 부재(1500)가 아래에서(도 18 내지 도 21)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람직하게는 안전 클립(1504)에 의해 안전 부재(22)와 차량 사이에 자물쇠(1502)와 함께 부착될 수 있다. 차량에 고정될 때에, 안전 부재(22)는 도난 억지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부재(12)는 금속, 유리 섬유, 플라스틱, 또는 기타 적절한 재료와 같이 캐리어 시스템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하중과 인장을 처리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된다.
마운트(14)는 예컨대 용접, 접착제, 파스너 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에 의해 프레임(12)의 외부면(26)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24)를 포함한다(도 1 및 도 2). 자전거의 전방 또는 후방 포크 아암(35)과 결합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 꼬챙이 조립체(28)가 부착 부재(24)로부터 연장된다. 꼬챙이 조립체(28)는 종축 A-A를 따라 보어(32)를 형성하는 대체로 관형 하우징(30)을 포함한다. 종축 A-A를 따라 하우징(30)의 각 단부로부터 대체로 원통형 돌출부(34)가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돌출부(34)는 포크 아암의 전방 U자형 갈고리(36)와 정합하는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포크 아암(35)을 꼬챙이 조립체(28)에 고정하기 위하여, 꼬챙이 로드(36)가 보어(32)를 통해 삽입되어 너트(38) 및 캠 클램프(40) 등의 파스너에 의해 고정된다. 캠 클램프(40)는 포크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하여 조이거나 풀어질 수 있다. 당 분야의 숙련자들은 마운트(14)가 스트랩, 파스너, 클램프, 케이블, 브래킷, 밧줄 등과 같이 레크레이션 물품을 적절하게 고정시키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마운트(14)는 15 mm 또는 20 mm 스루 액슬(through-axle) 모델을 위해 Hurricane Components사에서 시판 중인 "포크업(Fork Up)"과 같이 다양한 포크 크기 및 모델에 적합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37)의 후방 휠은 전방 휠이 제거될 필요가 없도록 전방 포크 대신에 랙에서 지탱될 수 있다.
진공 디바이스(16)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는 미국 특허 공개 제2007/0216154호에 개시된 디바이스와 유사하다. 각 진공 디바이스(16)는 진공 패드(42) 및 부착된 진공 펌프(44; 도 3)를 포함한다. 하우징(46)이 진공 패드(42)에 부착되어 진공 펌프(44)를 둘러싸고 진공 펌프를 진공 패드(42)에 고정시킨다. 하우징(46)의 형태 및 크기는 마찬가지로 차량의 표면에 대한 부속물의 부착을 허용하면서 진공 펌프(44)를 둘러싸도록 정해진다.
진공 패드(42)는 파스너(52)를 이용하여 하우징(46)을 장착하도록 나사식 홀(50)을 갖는 상부면(48)을 규정하는 대체로 절두 원추형이다. 진공 패드(42)는 또한 상부면(48)과 대체로 평행한 오목형 진공면(54)과, 상부면(48)과 진공면(54) 사이에서 연장하는 경사 측면(56)과, 진공면(54)의 외주를 따르는 대체로 원주 방향 밀봉 에지(58)를 포함한다. 이 구조에서, 밀봉 에지(58)는 진공 공동(60)을 형성하도록 차량의 장착면(17)에 안착할 수 있다. 진공 패드(42)는 상부면(48)으로부터 진공면(54)을 향해 연장되고 진공 펌프(44)와 정합하는 크기를 갖는 채널(62)을 규정한다. 측면(56)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해제 탭(64)이 연장된다. 해제 탭(64)은 진공 패드(42)의 강성을 강화하고, 예컨대 따뜻한 온도에 노출되는 동안에 진공 디바이스(16)가 장착면(17)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일조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대체로 T형 리브이다.
바람직하게는, 진공 패드(42)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나, 진공 패드(42)는 진공 패드(42)가 장착면(17)에 안착하게 하는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재료는 설치 또는 작동 중에 장착면을 상하게 하는 경향이 있어서는 않된다. 또한, 재료는 임의의 적절한 칼라를 가질 수 있고 기타 바람직한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진공 패드(42)는 어두운 환경에서 볼 수 있도록 반사성 또는 야광 물질일 수 있다.
진공 펌프(44)는 대체로 원통형 플런저(66)와, 이 플런저(66)를 수용하는 크기와 형태를 갖는 챔버(70)를 규정하는 중공 실린더(68)를 포함한다. 플런저(66)는 챔버(70) 내에서 압입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여 진공면(54)과 장착면(17) 사이에 진공 공동(60)을 생성한다. 실린더(68)는 챔버(70)에 대한 개구를 일단부에 갖고 대향 단부에서 폐쇄된다. 실린더(68)의 폐쇄 단부로부터 대체로 수직으로 튜브(72)가 연장된다. 튜브(72)는 실린더 챔버(70)와 진공 공동(60)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도록 채널(62)과 진공 패드(42) 내로 삽입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다. 플런저(66)는 이 플런저(66)가 실린더(68) 내에서 전후로 이동하게 하는 슬라이딩 끼워맞춤에 의해 실린더(68) 내로 삽입되는 크기를 갖는다. 챔버(70) 및 튜브(72)와 연통하도록 실린더 챔버(70) 내에 체크 밸브(74)가 위치되므로, 유체 및 가스가 실린더(68)의 외측으로부터 튜브(72) 내로만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진공 디바이스(16)가 잔존하는 진공의 손실없이 재펌핑되게 한다. 변경예에서, 진공 디바이스의 진공 레벨이 예정된 레벨 미만이면 진공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자동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변경예에서, 진공 디바이스는 제한하지는 않지만 청각 신호, 시각 신호, 전자 신호, 또는 무선 또는 Bluetooth® 신호를 비롯하여 지정된 압력양의 손실을 지시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지시할 수 있는 시그널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컨대, 시그널링 구성요소는 무선 전화에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전화의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함께 진공 압력을 지시한다.
플런저(66)는 일단부에 푸시 버튼(76)을, 대향 단부에 시일(78)을, 그리고 그들 사이에 편향 부재(80)를 갖는 로드이다. 시일(78)은 실린더(68)의 내벽에 대해 안착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다. 플런저(66)가 실린더 챔버(70) 내로 삽입될 때에, 편향 부재(80)는 플런저(66)를 해제 위치로 편향시킨다. 해제 위치에서 플런저(66)의 위치는 진공 공동(60) 내에서 진공 압력의 양에 대해 각각 변할 것이다.
푸시 버튼(76)의 하부 둘레에 위치된 지시기(82)는 조작자에게 진공 공동(60) 내의 진공 압력의 상대적 양을 지시한다. 지시기(82)는 푸시 버튼(76)의 하부 둘레에 부착되게 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착색된 링 또는 슬리브이다. 지시기(82)는 적색, 황색, 또는 쉽게 눈에 띄는 임의의 칼라일 수 있다. 또한, 지시기(82)는 어두운 분위기에서 그리고 물에서 보일 수 있도록 반사성 또는 야광 물질일 수 있다. 진공 압력이 진공 공동(60)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편향 부재(80)는 플런저(66)를 그 최대 연장된 해제 위치로 연장시킨다. 이 위치에서, 지시기(82)는 전체가 보일 수 있다. 진공 공동(60) 내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진공의 힘은 편향 부재(80)의 편향을 적게 만들어, 플런저(66)는 챔버(70)로부터 덜 연장하여 지시기(82)가 덜 보이게 된다.
하우징(46)은 상부면(84), 바닥면(86), 제1 측면(88), 제2 측면(90), 제3 측면(92), 및 펌프 측면(94)을 포함하는 대체로 장방형 베이스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 부재이다. 하우징(46)의 바닥면(86)은 파스너를 이용하여 진공 패드(42)에 부착하기 위한 하우징 구멍(96)을 형성한다. 상부면(84)은 파스너, 스트랩 및 기타 적절한 부재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부속물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98)을 형성한다. 하우징 구멍(96)과 부착 구멍(98)은 하우징(46)의 상부면(84) 상에 도시되어 있지만, 당 분야의 숙련자들은 하우징 구멍(96)과 부착 구멍(98)이 하우징(46)의 어떠한 측면(88, 90, 92, 94)에도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하우징 구멍(96)과 부착 구멍(98)은 다양한 제조업자들의 부속물의 상이한 치수에 적합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홀, 슬롯, 또한 임의의 다른 구성일 수 있다. 하우징(46)은 마린 그레이드(marine grade) 스테인리스강, 분말 코팅된 알루미늄, 고무 또는 플라스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작동시에, 조작자는 차량의 장착면(17)에 대해 진공 패드(42)의 진공면(54)을 배치하고, 진공 패드(42)의 진공면(54)과 장착면(17) 사이에 진공 공동(60)을 생성한다. 이 실시예는 바람직하게는 픽업 트럭에 사용되는데, 이 경우에 장착면은 트럭의 리어 윈도우를 포함한다. 조작자는 플런저(44)를 해제 위치로부터 압박 위치로 압박하여 진공 공동(60)으로부터 유체(공기, 가스 및/또는 물)를 제거함으로써 압력을 주위 대기압 미만으로 감소시킨다. 이는 에지(58)와 진공 패드(42)의 진공면(54)이 장착면(17)에 대해 안착하도록 진공을 생성한다. 공간 내의 압력이 공간을 둘러싸는 압력보다 낮을 때에는 반드시 진공이 존재한다. 작동을 위한 적절한 진공을 얻기 위하여, 조작자는 플런저(66)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지시기(82)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을 때까지 플런저(66)를 반복적으로 압박해야 한다. 작동 중에 언제라도, 지시기(82)가 보이게 되어 진공의 손실을 지시하면, 조작자는 지시기(82)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을 때까지 플런저(66)를 반복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캐리어 시스템(10)이 차량의 장착면에 일단 부착되면, 자전거 등의 레크레이션 장치가 마운트(14)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포크 아암(35)의 U자형 갈고리가 돌출부(34)와 정합하고 꼬챙이 로드(36)를 삽입하여 조임으로써 고정된다. 원할 때에, 꼬챙이 로드(36)를 풀고 자전거(37)를 제거할 수 있다.
진공을 해제하고 캐리어 시스템(10)을 제거하기 위하여, 조작자는 진공 패드(42)의 측면(56) 상의 해제 탭(64)을 장착면(17)으로 멀어지게 올린다. 다른 실시예에서, 진공 디바이스(16)를 해제하기 위하여 밸브 스템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진공 패드(42)의 상부면에 배치된 코스 나사를 갖는 트위스트 버튼이 진공 디바이스(16)를 해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시스템(10)은 또한 자전거(37)의 전방이 마운트(14)에 고정되어 있는 동안에 자전거(37)의 후방 휠을 고정시키는 후방 휠 마운트(91)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휠 마운트(91)는 자전거(37)의 후방 휠을 고정시키도록 후크와 루프 재료 스트랩 등의 고정 스트랩(93)을 포함하는 진공 디바이스(16)이다. 후방 휠 마운트(91)의 사용은 마운트(14)에 대한 자전거(37)의 고정을 강화시키고 자전거(37)의 후방 휠이 차량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지지 부재(95)에 장착된 한쌍의 진공 디바이스(16)를 포함하는 후방 휠 마운트(91)의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후크와 루프 재료 스트랩과 같은 한쌍의 고정 스트랩(93)은 자전거(37)의 후방 휠을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 부재(95)로부터 연장된다. 후방 휠 마운트(91)의 사용은 마운트(14)에 대한 최대 2대의 자전거(37)의 고정을 강화하고 자전거의 후방 휠이 차량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캐리어 시스템(10)은 또한 도 6 내지 도 20의 다양한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제2 실시예의 참조 번호가 "100" 접두사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변경예들 간에 공통적인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참조 번호로 식별된다. 예컨대, 제1 실시예의 프레임 부재는 참조 번호 12로 식별되고, 유사한 프레임 부재를 갖는 제2 실시예는 112로서 식별된다. 물론, 임의의 새로운 구성요소들은 특유의 참조 번호로 식별된다.
도 6의 제1 변경예에서, 캐리어 시스템(110)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프레임 부재(12)는 파스너(113)를 이용하여 각각의 원형부(120)에 대해 마운트(114)를 부착하는 것에 순응하도록 더 긴 선형 바아(118)를 갖는다. 각 원형부(120)는 파스너(113)를 수용하고 각도 위치 범위에서 마운트(114)의 부착을 제공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원호형 슬롯(115)을 획정한다. 마운트(114)는 각각의 마운트에 대한 레크레이션 물품의 고정에 순응하도록 서로 적절한 거리에 떨어져 있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 시스템(110)은 픽업 트럭의 베드 내에 2개의 레크레이션 물품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의 제2 변경예에서, 캐리어 시스템(210)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프레임 부재(212)는 3개의 대체로 확대된 원형부(220) 사이에서 연장되는 2개의 선형 바아(218)를 갖는 대체 V 형태이다. 진공 디바이스(216)는 각 원형부(220)에 부착되고 마운트(214)는 각 원형부(220)의 대향면 상에 배치된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 시스템(210)은 픽업 트럭의 베드 내에 3개의 레크레이션 물품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의 제3 변경예에서, 캐리어 시스템(310)은 3개의 대체로 장방형 부분(320) 사이에서 연장되는 2개의 선형 바아(318)를 갖는 대체로 V 형태인 프레임 부재(312)를 포함한다. 선형 바아(318)는 프레임 부재(312)의 가요성을 강화하는 슬릿(317)을 획정하는데, 이 슬릿은 프레임 부재(312)가 차량의 곡률에 순응하도록 반곡되게 한다. 마운트(314)는 각각의 장방형 부분(320)의 외표면에, 예컨대 파스너(313)를 이용하여 부착된다. 2개의 외측 장방형 부분(320)의 내표면에는 진공 디바이스(316)가 부착된다. 2개 이상의 진공 디바이스(316)가 각각의 선형 바아(318)의 내표면에 예컨대 파스너(313)를 이용하여 부착된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 시스템(310)은 최대 3개의 레크레이션 물품을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리어 윈도우 또는 트렁크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의 제4 변경예에서, 캐리어 시스템(410)은 대체로 선형 패턴으로 배치된 3개의 대체로 장방형 부분(420)을 갖는 프레임 부재(412)를 포함한다. 장방형 부분(420)은 프레임 부재(412)의 가요성을 강화하도록 슬릿(417)을 획정하는 세그먼트(421)에 의해 결합되는데, 슬릿은 차량의 곡률에 순응하도록 프레임 부재(412)가 만곡되게 한다. 마운트(414)는 중앙 장방형 부분(420)의 외표면에 예컨대 파스너(413)를 이용하여 부착된다. 진공 디바이스(416)는 각 장방형 부분(420)의 내표면에 부착된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 시스템(410)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리어 윈도우 또는 트렁크에 레크레이션 물품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의 제5 변경예에서, 캐리어 시스템(510)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프레임 부재(512)는 대체로 하방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1 선형 바아(518)에 대해 약 10°의 각도로 연장되고 대체로 원형부(520)에서 종결되는 제2 선형 바아(523)를 갖는다. 슬릿(517)은 프레임 부재(512)의 가요성을 강화하도록 프레임 부재(512)를 따라 대략 동일하게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데, 이 슬릿은 차량 루프의 곡률에 순응하도록 프레임 부재가 만곡되게 한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 시스템(410)은 레크레이션 물품을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리어 윈도우 또는 트렁크에, 바람직하게는 진공 압력의 모니터링을 위한 운전자의 관점에서 루프 상에 고정된 상부 진공 디바이스(116)와 프론트 윈드실드에 고정된 하부 진공 디바이스(116)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의 제6 변경예에서, 캐리어 시스템(610)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프레임 부재(612)는 대체로 윙 형태의 플레이트이다. 캐리어 시스템(610)이 차량의 루프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진공 디바이스(616)(6개가 도 11에 도시됨)가 프레임 부재(612)의 길이를 따라, 예컨대 파스너(613)에 의해 부착된다. 프레임 부재(612)는 파스너(613)를 수용하고 각도 위치 범위에서 마운트(614)를 부착시키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원호형 슬롯(615)을 획정한다. 3개의 자전거에 적합하도록 3개의 마운트(614)가 대체로 삼각형 배치로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3개의 후방 휠 마운트(91)가 차량의 루프에 대해 소정 지점에서 개별적으로 부착되어, 각 후방 휠 마운트(91)가 각 자전거(637)의 각각의 후방 타이어를 고정시키게 한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 시스템(610)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루프에 3개의 레크레이션 물품을 고정시킬 수 있다. 슬릿(617)은 프레임 부재(612)의 가요성을 강화시키도록 프레임 부재(612)를 따라 대략 동일하게 이격된 지점에 획정되는데, 이 슬릿은 차량 루프의 곡률에 순응하도록 프레임 부재가 만곡되게 한다. 프레임 부재(612)는 프레임 부재가 절반으로 접히게 하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한다면, 프레임 부재(612)는 추가 마운트, 전방 휠 홀더, 또는 기타 장치용 부속물과 같은 추가 장치들에 순응하기에 충분히 크다.
도 12의 제7 변경예에서, 프레임 부재(712)는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사다리 형태 부분(743)을 갖는 대체로 삼각형 형태 부분(741)을 포함한다. 사다리 형태 부분(743)은 차량 및 윈드실드의 상이한 구조에 순응하도록 삼각형 형태 부분(741)에 대해 소정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사다리 형태 부분은 복수 개의 크로스바(751)에 의해 결합되는 2개의 측면 부재(745)를 갖는다. 크래들 부재(753)는 각 측면 부재(745)의 하부(755)를 따라 부착된다. 각 크래들 부재(753)는 자전거 등의 레크레이션 물품의 프레임을 수용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오목부를 획정한다. 각 오목부(757)는 대응하는 크로스바(751)의 위쪽에서 약간 전방을 향해 위치된다. 이 구조는 조작자가 스트램, 밧줄 또는 기타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프레임을 각 크로스바(751)에 고정시키게 한다. 바꿔 말하면, 크로스바(751)는 각 오목부(757)의 후방 및 아래에 위치되어, 스트랩 또는 기타 고정 부재가 자전거를 오목부(757)의 가장 깊은 섹션으로 당긴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 시스템(710)은 최대 3개의 레크레이션 물품을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리어 윈도우 또는 트렁크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의 제8 변경예에서, 프레임 부재(812)는 복수 개의 크로스바(851)에 의해 결합되는 2개의 측면 부재(845)를 갖는 대체로 사다리 형태이다. 진공 디바이스(816)는 차량의 루프에 부착하도록 측면 부재(845)와 크로스바(854)의 각 교차점에서 프레임(812)의 상부에 부착된다. 크래들 부재(853)는 각 측면 부재(845)의 하부를 따라 부착된다. 각 크래들 부재(853)는 자전거와 같은 레크레이션 물품의 프레임을 수용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오목부(857)를 획정한다. 각 오목부(857)는 대응하는 크로스바(851)의 위쪽에서 약간 전방으로 위치된다. 이 구조는 조작자가 자전거의 프레임을 스트랩, 밧줄 또는 기타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각 크로스바(851)에 고정시키게 한다. 바꿔 말하면, 크로스바(851)는 각 오목부(857)의 후방 및 아래에 위치되어, 스트랩 또는 기타 고정 부재가 자전거를 오목부(857)의 가장 깊은 섹션으로 당긴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 시스템(810)은 최대 3개의 레크레이션 물품을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트렁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원한다면, 캐리어 시스템(810)은 크로스바(854)들 중 한 크로스바로부터 차량의 범퍼로 연장되는 망원경식 지지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제9 변경예에서, 볼 마운트(961)가 진공 디바이스(916)의 상부로부터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소켓 부재(963)는 볼 마운트(961)와 소켓 부재(963) 사이에 회전 조정을 허용하는 파스너(913)를 이용하여 볼 마운트(9610)에 조정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2 진공 디바이스(916)는 아이패드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에 부착하도록 소켓 마운트(963)에 부착된다. 작동시에, 캐리어 시스템(910)은 전자 디바이스를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5의 제10 변경예에서, 캐리어 시스템(1010)은 진공 디바이스(1016)용 마운트(14)에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1068)과, 브래킷(1068)에 피봇 장착되는 롤러(1070)를 포함한다. 롤러(1072)는 카약, 카누, 또는 모래시계 형태와 같은 기타 탈것에 대해 안착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 시스템(1010)은 레크레이션 물품을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루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6의 제11 변경예에서, 캐리어 시스템(1110)은 진공 디바이스(1116)용 마운트(1114)에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1112)과, 브래킷(1112)에 장착되는 지지부(1170)를 포함한다. 지지부(1172)는 카약, 카누, 또는 모래시계 형태와 같은 기타 탈것에 대해 안착하기 위한 대체로 V 형태이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 시스템(1010)은 레크레이션 물품을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루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7의 제12 변경예에서, 캐리어 시스템(1200)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마운트(1214)는 레크레이션 물품과 결합하기 위해 상단부에 위치되는 클램프(1215)를 갖는 L형 튜브이다. 마운트(1214)는 수직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1210)는 레크레이션 물품을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리어 윈도우 또는 트렁크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시스템(1200)은 또한 레크레이션 물품을 위한 자립형 정비대로서 차량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2의 제13 실시예에서, 캐리어 시스템(1310)은 진공 디바이스(1316)용 마운트(1314)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1312)와, 브래킷(1312)에 장착되는 지지부(1370)를 포함한다. 지지부(1372)는 서프보드 또는 기타 물품에 대해 안착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다. 이 방식에서, 캐리어 시스템(1010)은 장방형 물품을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루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시스템(10)은 캐리어 자체 및 임의의 고정된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도 18 내지 도 21). 안전 클립(1504)은 차량 윈도우(1506) 또는 차량 도어 심(1508)과 결합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클립은, 차량 윈도우(1506) 또는 차량 도어 심(1508)을 수용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오목부(1512)를 형성하는 대체로 U형 세그먼트(1510)와, 이 U형 세그먼트로부터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내측 설형부(1514)와, U형 세그먼트로부터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대향된 외측 설형부(1516)를 갖는 브래킷이다. 범퍼(1518)가 U형 세그먼트(1510)의 연장부에 부착된다. 설치될 때에, 오목부(1512)는 범퍼가 윈도우(1506)의 외표면에 대해 안착하고 외측 설형부(1516)가 윈도우(1506)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하도록 차량 윈도우(1506)를 수용한다. 자물쇠(1502)와 함께, 부착 부재(1500), 예컨대 밧줄, 로프, 코드, 케이블 또는 기타 부재가 외측 설형부(1516)에 의해 형성되는 홀(1518)과 레크레이션 물품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원한다면, 추가 안전을 위해 임의의 개수의 안전 클립(1504), 부착 부재(1500) 및 자물쇠(1502)가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프레임들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등의 경량 금속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제한하지는 않지만 강철, 플라스틱, 또는 복합 재료를 비롯하여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레임은 Starboard® 폴리머 재료 또는 슬릿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다른 플라스틱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상기 구성에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물질은 예시적으로 해석되고 제한의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0)

  1. 차량용 캐리어 시스템으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고, 레크레이션 물품과 착탈 가능하게 정합하고 고정시키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마운트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는 적어도 세 개의 진공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 디바이스 각각은 진공 공동을 형성하도록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 패드와, 이 패드에 부착되고 진공 공동과 유체 연통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 상에 위치되어 진공 공동 내에 진공 압력의 레벨을 지시하는 지시기를 갖고,
    상기 프레임은 내표면과 외표면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내표면은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진공 디바이스 각각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운트는 상기 프레임의 외표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진공 디바이스들이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프레임부들과 상기 프레임부들에 연결되는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가요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세그먼트들에 슬릿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 대체로 V 형태를 갖고, 상기 프레임부들은 상기 진공 디바이스들이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대체로 확대된 원형부들 또는 대체로 장방형 부분들이거나; 또는
    - 상기 프레임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레크레이션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크래들 부분을 획정하는 대체로 사다리 형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캐리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심과 결합하기 위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안전 클립과,
    상기 레크레이션 물품과 안전 클립 사이에 결합하기 위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부착 부재와,
    상기 부착 부재를 안전 클립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자물쇠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캐리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부착되고, 수중 레크레이션 물품과 안착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지지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캐리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자전거 포크와 착탈 가능하게 정합하도록 구성된 꼬챙이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캐리어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진공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부착을 위해 구성된 슬롯을 획정하는 것인 차량용 캐리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레크레이션 물품의 지지를 위해 구성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캐리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레크레이션 물품의 지지를 위해 구성된 V 형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캐리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레크레이션 물품의 고정을 위해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캐리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제2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부착되고, 레크레이션 물품에 착탈 가능하게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마운트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부착되고, 차량과 착탈 가능하게 안착하도록 구성된 패드를 갖는 제2 진공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캐리어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7010294A 2009-09-22 2010-09-22 차량용 진공 장착식 캐리어 KR101860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476909P 2009-09-22 2009-09-22
US61/244,769 2009-09-22
PCT/US2010/049864 WO2011038029A2 (en) 2009-09-22 2010-09-22 Vacuum mounted carrier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917A KR20120094917A (ko) 2012-08-27
KR101860954B1 true KR101860954B1 (ko) 2018-05-24

Family

ID=4379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294A KR101860954B1 (ko) 2009-09-22 2010-09-22 차량용 진공 장착식 캐리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168481A1 (ko)
EP (1) EP2480430B1 (ko)
KR (1) KR101860954B1 (ko)
CA (1) CA2775120C (ko)
ES (1) ES2485822T3 (ko)
MX (1) MX2012003463A (ko)
PT (1) PT2480430E (ko)
WO (1) WO20110380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1721B2 (en) 2006-03-03 2017-11-21 Charles L. Casagrande Vacuum mounted carrier for a vehicle
WO2012142593A2 (en) * 2011-04-14 2012-10-18 Casagrande Charles L Vacuum mount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4043261A1 (en) * 2012-09-11 2014-03-20 Casagrande Charles L Vacuum mounted carrier for a vehicle
US8939482B2 (en) 2012-09-19 2015-01-27 Kara M. Rasmussen Support system for digital tablet devices
US9145158B2 (en) * 2012-11-02 2015-09-29 Luis Cruz Tablet computer holder
DK178077B1 (en) * 2013-11-18 2015-05-04 Easystrap Holding Aps Anordning til montering på overfladen af et køretøjs karrosseri
MX2018003223A (es) * 2015-09-15 2018-06-20 L Casagrande Charles Transportador montado por vacio para un vehículo.
CA3066720A1 (en) * 2017-06-09 2018-12-13 Seasucker, Llc Reduced footprint vacuum mounted carriers for vehicles
KR102053018B1 (ko) * 2017-09-19 2019-12-06 문수만 전동 진공 흡착식 거치 장치
US20200269768A1 (en) * 2019-02-26 2020-08-27 Andrew Jarrard Bicycle and Accessory Carrier Mount
AU2020379769A1 (en) * 2019-11-04 2022-05-19 Seasucker, Llc Vacuum mounted carrier for a vehicle
US11648883B1 (en) * 2020-12-21 2023-05-16 Neil Thomas Buttermore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 cargo carrier mount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6154A1 (en) * 2006-03-03 2007-09-20 Casagrande Charles L Mounting system and methods for attaching accessory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7001A (en) * 1938-10-06 1939-05-02 Charles E Morley Clothes hanger for automobiles
US2474513A (en) * 1948-01-17 1949-06-28 Paul H Behrens Bracket attachment for motor vehicle windows
US3712524A (en) * 1971-03-19 1973-01-23 R Ames Boat loader for automobiles
US3924787A (en) * 1974-01-07 1975-12-09 James Pershing Gothrup Carrier bracket for attaching a bicycle relative to a motor vehicle's bumper
US4039106A (en) * 1975-04-18 1977-08-02 Joseph V. Graber Automobile bicycle carrier
US4231501A (en) * 1978-01-13 1980-11-04 Goode David P Window mount ski rack
US4366605A (en) * 1981-02-02 1983-01-04 Mckenney John Anti-theft cable device for car top carriers
AU521966B3 (en) * 1982-02-12 1982-06-17 Warwick Peter Freeland Securing an object to a vehicle
US4941602A (en) * 1987-12-29 1990-07-17 Wells Todd A Air drying air chilling container attachable to a car window
US4842148A (en) * 1988-02-23 1989-06-27 Bowman Tracy L Quick release bicycle rack
US5184858A (en) * 1991-09-17 1993-02-09 Toyo Sangyo Co., Ltd. Sucker for plate glass
US5372287A (en) * 1992-10-05 1994-12-13 Deguevara; Orlando Article carrier
US5390837A (en) * 1993-02-11 1995-02-21 Ruffolo Enterprises, Inc. Snowboard rack
US5474065A (en) * 1994-04-04 1995-12-12 Graphic Controls Corporation Non-invasive fetal probe
US5639134A (en) * 1996-01-16 1997-06-17 Auto Glass Specialists, Inc. Multiposition windshield lifting attachment
US5904463A (en) * 1998-07-30 1999-05-18 Christensen; Robyn M. Cargo loading and carrying device for use on a motor vechicle roof
TW447424U (en) * 2000-05-16 2001-07-21 Formosa Saint Jose Corp Retaining device for sled capable of adjusting position
US20020053581A1 (en) * 2000-11-08 2002-05-09 Peschmann Joseph J. Vehicle roof mounted bicycle carrier
HK1053581A2 (en) * 2002-08-01 2003-10-10 Golden Peak Plastic Works Ltd Suction-adhesive device
US6827396B1 (en) * 2004-03-29 2004-12-07 Charles C. Jewell Remora powerboat chair
US7448812B2 (en) * 2004-05-27 2008-11-11 Heibel Thomas S Camera mount
WO2006019996A2 (en) * 2004-07-14 2006-02-23 Palmetto West Trading Company, Llc Ball mounted mounting device
CN2779138Y (zh) * 2005-02-04 2006-05-10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带吸盘的固定装置
US7707765B2 (en) * 2007-03-23 2010-05-04 Lih Yann Industrial Co., Ltd. Fishing rod fixing device
US8505861B2 (en) * 2007-10-26 2013-08-13 Jeffrey D. Carnevali Suction cup mounting platform having flexible b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6154A1 (en) * 2006-03-03 2007-09-20 Casagrande Charles L Mounting system and methods for attaching accessory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8029A3 (en) 2011-10-20
CA2775120C (en) 2020-09-22
CA2775120A1 (en) 2011-03-31
WO2011038029A2 (en) 2011-03-31
US20120168481A1 (en) 2012-07-05
EP2480430A4 (en) 2013-05-08
EP2480430B1 (en) 2014-05-07
AU2010298318A1 (en) 2012-05-03
PT2480430E (pt) 2014-07-30
KR20120094917A (ko) 2012-08-27
MX2012003463A (es) 2012-07-23
ES2485822T3 (es) 2014-08-14
EP2480430A2 (en)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954B1 (ko) 차량용 진공 장착식 캐리어
US11752948B2 (en) Vacuum mounted carrier for a vehicle
EP3350021B1 (en) Vacuum mounted carrier for a vehicle
AU2018279953B2 (en) Reduced footprint vacuum mounted carriers for vehicles
US7198443B2 (en) Motorcycle transport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10421405B2 (en) Step hitch assembly
CA2611996A1 (en) Universal attachment system
WO2014043261A1 (en) Vacuum mounted carrier for a vehicle
US6863199B2 (en) Snowboard rack for snowmobiles
AU2010298318B2 (en) Vacuum mounted carrier for a vehicle
US6702317B2 (en) Apparatus for temporarily retaining a component within a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US20070045986A1 (en) Hitch accessory receiving mount
US8998050B1 (en) Bicycle carry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