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941B1 -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941B1
KR101860941B1 KR1020170153292A KR20170153292A KR101860941B1 KR 101860941 B1 KR101860941 B1 KR 101860941B1 KR 1020170153292 A KR1020170153292 A KR 1020170153292A KR 20170153292 A KR20170153292 A KR 20170153292A KR 101860941 B1 KR101860941 B1 KR 101860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wound
slit
cas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주
신병철
Original Assignee
박근주
신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주, 신병철 filed Critical 박근주
Priority to KR102017015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2009/425Pull chain or cord attached to bottom edge of screen

Abstract

작동줄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동줄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BLIND WIRE HOLDER}
본 발명은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줄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동줄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사무실이나 가정 또는 음식점등에서 커튼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스크린 권취장치 일측에 루프타입으로 설치된 작동줄 중 어느 하나의 작동줄을 하측으로 잡아기면서 스크린이 권취장치에서 풀리면서 하강하여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고 작동줄 중 다른 하나의 작동줄을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스크린이 권취장치에 감기면서 상승하여 창문을 통해 빛이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루프타입으로 설치된 작동줄에 유아들의 목이 걸리면서 유아들의 안전사고가 급증하고 있는 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만 9세 어린이를 기준으로 적용 장소를 구분해 만 9세 이하에 대한 출입 제한이 없는 곳에서 사용하는 블라인드에 대해서는 작동줄 길이를 바닥으로부터 80cm 이격되도록 제한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경우 작동줄이 바닥에서 80cm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사용이 불편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의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거동이 불편한 경우 사용이 용이하도록 작동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블라이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작동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 내에서 작동줄이 엉킴이 없이 원할하게 작동할 수 있는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에는 상단이동공이 형성되며, 내부상측에는 제1지지봉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부하측에는 제2지지봉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봉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제1지지봉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보빈과;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제2지지봉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빈과; 상기 상단이동공으로 인입된 후 제1보빈과 제2보빈에 권취된 후 상기 상단이동공으로 인출되되, 상단이동공으로 인입된 후 제1보빈의 좌측에서 제2보빈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나서 제2보빈의 하단을 거쳐 제2보빈의 좌측에서 제1보빈의 우측을 경유하여 제1보빈과 제2보빈 사이에서 X자로 권취된 후 상단이동공으로 인출되거나 제1보빈의 상면을 거쳐 다시 X자로 권취된 후 상단이동공으로 인출되어, X자 권취횟수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작동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이드 작동줄 손잡이는 유아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다시 길이를 늘려 사용할 수 있도록 작동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 내에서 작동줄이 엉킴이 없이 원할하게 작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의 분리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의 분리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이드 작동줄 손잡이는 케이스(110), 제1보빈(120), 제2보빈(130) 및 작동줄(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단에는 상단이동공(111)이 형성되며, 내부상측에는 제1지지봉(112)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부하측에는 제2지지봉(113)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10)는 우측커버(110-1)와 좌측커버(110-2)로 분리형성되는 데, 우측커버(110-1)는 상단에는 반홈(111)이 형성되며, 내부상측에는 제1지지봉(112)이 고정설치되며 내부하측에는 제2지지봉(113)이 고정설치되며, 좌측커버(110-2)는 상단에는 반홈(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우측커버와 좌측커버는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커버의 양측 중간에는 걸림턱(114)을 형성하고 좌측커버의 양측 중간에는 상기 걸림턱(114)에 걸려 결합되는 후크(115)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상하측은 절개홈(116)에 절개된 후 상기 후크(115)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우측커버(110-1)와 좌측커버(110-2)는 상기 후크(115)가 상기 걸림턱(114)에 걸려 서로 조립되며 서로 분리할 경우에는 후크(115)를 내측으로 밀면 후크(115)가 걸림턱(114)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용이하게 우측커버와 좌측커버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의 케이스(110)의 상단에는 우측커버의 반홈과 좌측커버의 반홈이 협력하여 상단이동공(11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보빈(120)은 케이스(110) 내부의 제1지지봉(112)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보빈(130)은 케이스 내부의 제2지지봉(113)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1보빈(120)과 제2보빈(130)은 우측커버와 좌측커버가 조립되기 전에 제1지지봉(112)과 제2지지봉(113)에 각각 삽입된 후 우측커버와 좌측커버가 조립되어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작동줄(140)은 루프형상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동공(111)으로 인입된 후 제1보빈(120)과 제2보빈(130)에 권취된 후 다시 상단이동공(111)으로 인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줄(140)은 상단이동공(111)으로 인입된 후 제1보빈(120)의 좌측에서 제2보빈(130)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나서 제2보빈(130)의 하단을 거쳐 제2보빈(130)의 좌측에서 제1보빈(120)의 우측을 경유하여 제1보빈(120)과 제2보빈(130) 사이에서 X자로 권취된 후 상단이동공(111)으로 인출되거나 제1보빈의 상면을 거쳐 다시 X자로 권취된 후 상단이동공(111)으로 인출된다.
즉, 작동줄의 길이를 감소시키고자 할 경우 바로 상단이동공으로 인출되지 않고 작동줄을 감소하고자 하는 길이에 따라 다수회 X자로 권취한 다음 상단이동공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2(a)의 상태에서 작동줄(14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빈(120)과 제2보빈(130) 사이에서 권취되는 작동줄의 X자 권취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X권취 횟수 만큼 작동줄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동줄이 바닥으로부터 80cm 이상 이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적용할 경우에는 작동줄의 길이가 다시 길어져야 하는 데, 이 경우에는 케이스를 분리한 다음 작동줄의 X자 권취횟수를 감소시키면 도2(a)와 같이 작동줄의 길이가 다시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동줄의 길이를 적용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증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형상으로 권취되는 작동줄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한 위해, 작동줄 상측가이더(150)와 작동줄 하측가이더(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줄 상측가이더(150)는 제1보빈(120)의 하측에 설치되며 중앙판(151)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다수의 슬릿편(152, 153)이 돌출되며 슬릿편(152, 153)과 슬릿편(152, 153) 사이로는 작동줄(150)이 지나가는 슬릿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줄 하측가이더(160)는 제2보빈(130)의 상측에 설치되며 중앙판(161)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다수의 슬릿편(162, 163)이 돌출되며 슬릿편(162, 163)과 슬릿편(162, 163) 사이로는 작동줄(140)이 지나가는 슬릿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작동줄 상측가이더(150) 및 작동줄 하측가이더(160)에 대해, 제1보빈(120)과 제2보빈(130) 사이에서 X자로 권취되는 작동줄(140)이 상기 작동줄 상측가이더(150)의 슬릿과 작동줄 하측가이더(160)의 슬릿을 차례대로 통과하게 권취되어 작동줄의 엉킴이 방지된다.
즉, 작동줄은 X자 형상으로 권취될 때 우측커버 바닥부터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방식으로 권취되는 데, 적층될 때 차례대로 작동줄 상측가이더(150) 및 작동줄 하측가이더(160) 최 좌측 슬릿 부터 우측방향 슬릿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하여 각각의 작동줄이 서로 간섭됨이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1보빈와 제2보빈 사이에서 X자로 권취되는 작동줄의 권취형상과 대응되게 작동줄 상측가이더의 슬릿편(152, 153)은 상광하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동줄 하측가이더의 슬릿편(162, 163)은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작동줄의 이동경로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이드 작동줄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케이스의 하단에 길이조절봉을 형성하여 작동줄의 길이를 다시 한번 조절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는 하단이동공(115)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결속돌기(117)를 구비한 결속편(116)이 탄성을 가지도록 U자형상으로 절개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하단 외면으로는 케이스(110) 보다 직경이 큰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길이조절봉(170)이 삽입되는 데, 상기 길이조절봉(170)은 그 일면에 상기 결속편의 결속돌기(117)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속공(171)이 길이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내부 하측에는 제3지지봉(172)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봉(170) 내부의 제3지지봉(172) 외면에는 제3보빈(18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는 상기 제2보빈(130)의 하단을 거쳐 권취된 작동줄을 케이스의 하단이동공(115)으로 잡아당겨 통과시킨 다음 상기 제3보빈(180)의 하단에 권취하여 작동줄이 상기 상단이동공(111)으로 인입된 후 제1보빈(120), 제2보빈(130) 및 제3보빈(180)에 권취된 다음 다시 상단이동공(111)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작동줄(140)은 제1보빈(120)과 제2보빈(130) 사이에서는 X자 형상으로 권취되며, 제2보빈(130)과 제3보빈(180) 사이에서는 11자 형상으로 권취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와 길이조절봉(170)은 길이조절봉(170)이 케이스(110)의 하단 외면으로 삽입된 다음 케이스의 결속돌기(117)가 길이조절봉의 결속봉(171)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조립된다.
그리고, 탄성을 가지도록 U자형상으로 절개된 결속편(116)을 가압하면 결속돌기(117)가 내측으로 인입되며, 그 상태에서 길이조절봉(170)을 케이스(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킨 다음 결속돌기(117)가 다수의 결속공(171) 중 어느 하나의 결속공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길이조절봉에 의해 작동줄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도4(a)와 같이 케이스(110)와 길이조절봉(170)이 조립된 상태에서 길이조절봉(170)을 케이스(110)의 상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킨 다음 결속돌기(117)와 결속공(171)을 서로 결합하면 도4(b)와 같이 제3보빈(180)과 제2보빈(130)의 간격이 좁아져서 작동줄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도4(b)의 상태에서 길이조절봉(170)을 케이스(110)의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킨 다음 결속돌기(117)와 결속공(171)을 서로 결합하면 도4(a)와 같이 제3보빈(180)과 제2보빈(130)의 간격이 길어져서 작동줄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길이조절봉의 케이스 삽입정도에 따라 제2보빈과 제3보빈에 권취되는 작동줄의 길이가 조절되는 잇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1보빈(120), 제2보빈(130) 및 제3보빈(180)에서 권취되는 작동줄 량에 의해 작동줄을 바닥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한 다음 길이조절봉(170)과 케이스(110)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작동줄(140)의 길이를 재차 조절하여 손잡이를 사용자의 편리한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케이스 120: 제1보빈
130: 제2보빈 140: 작동줄
150: 작동줄 상측가이더 160: 작동줄 하측가이더
170: 길이조절봉

Claims (4)

  1. 상단에는 상단이동공이 형성되며, 내부상측에는 제1지지봉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부하측에는 제2지지봉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봉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제1지지봉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보빈과;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제2지지봉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빈과;
    상기 상단이동공으로 인입된 후 제1보빈과 제2보빈에 권취된 후 상기 상단이동공으로 인출되되, 상단이동공으로 인입된 후 제1보빈의 좌측에서 제2보빈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나서 제2보빈의 하단을 거쳐 제2보빈의 좌측에서 제1보빈의 우측을 경유하여 제1보빈과 제2보빈 사이에서 X자로 권취된 후 상단이동공으로 인출되거나 제1보빈의 상면을 거쳐 다시 X자로 권취된 후 상단이동공으로 인출되어, X자 권취횟수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작동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는 하단이동공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결속돌기를 구비한 결속편이 탄성을 가지도록 U자형상으로 절개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단 외면으로는 케이스 보다 직경이 큰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길이조절봉이 삽입되되, 상기 길이조절봉의 일면에는 상기 결속편의 결속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속공이 길이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내부 하측에는 제3지지봉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길이조절봉 내부의 제3지지봉 외면에는 제3보빈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보빈의 하단을 거쳐 권취된 작동줄을 하단이동공으로 통과시켜 상기 제3보빈의 하단에 권취하여 작동줄이 상기 상단이동공으로 인입된 후 제1보빈, 제2보빈 및 제3보빈에 권취된 다음 상기 상단이동공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길이조절봉의 케이스 삽입정도에 따라 제2보빈과 제3보빈에 권취되는 작동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빈의 하측에는 중앙판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다수의 슬릿편이 돌출되며 슬릿편과 슬릿편 사이로는 작동줄이 지나가는 슬릿이 형성되는 작동줄 상측가이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2보빈의 상측에는 중앙판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다수의 슬릿편이 돌출되며 슬릿편과 슬릿편 사이로는 작동줄이 지나가는 슬릿이 형성되는 작동줄 하측가이더가 설치되어,
    제1보빈와 제2보빈 사이에서 X자로 권취되는 작동줄이 상기 작동줄 상측가이더의 슬릿과 작동줄 하측가이더의 슬릿을 차례대로 통과하게 권취되어, 작동줄의 엉킴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제1보빈와 제2보빈 사이에서 X자로 권취되는 작동줄의 권취형상과 대응되게, 작동줄 상측가이더의 슬릿편은 상광하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동줄 하측가이더의 슬릿편은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
  4. 삭제
KR1020170153292A 2017-11-16 2017-11-16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 KR10186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92A KR101860941B1 (ko) 2017-11-16 2017-11-16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92A KR101860941B1 (ko) 2017-11-16 2017-11-16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941B1 true KR101860941B1 (ko) 2018-05-24

Family

ID=6229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292A KR101860941B1 (ko) 2017-11-16 2017-11-16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9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204B1 (ko) 2011-07-08 2013-05-31 이동원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204B1 (ko) 2011-07-08 2013-05-31 이동원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76504A1 (en) Manually movable rails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8539645B2 (en) Cord lock guide for blinds
US5553653A (en) Cord retractor for window blinds
US4271893A (en) Window blind cord control apparatus
US65718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the length of a pull cord
US5577543A (en) Child safety device for looped cords
US11142945B2 (en) Bias activated safety blind control
CA2156474A1 (en) Child safety device for looped cords
EP3203007B1 (en) Cordless curtain
US9045934B1 (en) Devices and systems for accumulat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GB2517547A (en) Operating mechanism for a screen assembly
KR101860941B1 (ko) 블라인드 작동줄 손잡이
US20060027341A1 (en) Pull cord operation mechanism for blinds
US2910121A (en) Fixtures for hanging wall to wall drapes
TWI638090B (zh) curtain
US20180094480A1 (en) Stiffened pull cord for architectural coverings
US20110083818A1 (en) Roman blind safety release mechanism
US1904588A (en) Curtain rod
US2680482A (en) Guiding device for curtain draw-cords
US2989120A (en) Support apparatus for drapery materials
TWI494497B (zh) 無拉繩式窗簾組合結構
US3482618A (en) Cafe traverse rod assembly
US9719296B1 (en) Apparatuses and systems for selectively lock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US8863813B1 (en) Cord retracting shade operating assembly
KR200492614Y1 (ko) 블라인드 조작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