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939B1 -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939B1
KR101860939B1 KR1020160111008A KR20160111008A KR101860939B1 KR 101860939 B1 KR101860939 B1 KR 101860939B1 KR 1020160111008 A KR1020160111008 A KR 1020160111008A KR 20160111008 A KR20160111008 A KR 20160111008A KR 101860939 B1 KR101860939 B1 KR 10186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parking lot
user
predic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146A (ko
Inventor
박흥록
Original Assignee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48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주차장의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주차 정보를 획득하는 주차장 단말; 및 상기 주차장 단말로부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를 수신하며, 기 설정된 예측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별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의 주차장의 만차율에 대한 예측 결과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차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및 상기 예측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Parking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장별로 사용자가 선택한 주차시간에 주차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측 결과를 보다 높은 정확성으로 산출하여 주차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운전자가 길 안내용으로 통상적으로 목적지 부근 주차장에 실시간으로 주차장 주차가능 여부 상황과 주차요금 등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짐작하여 찾아갔다가 주차장 내 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다른 곳의 이용 가능한 주차장을 찾아 선회하게 됨으로써 연료와 시간의 낭비나 주차를 하기 위한 교통량 증가로 인한 교통 체증이 가중되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전국의 자동차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여 행정자치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6월 말 현재 전국의 자동차 수는 2천55만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토면적에 비해 인구밀도가 높아 주차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여 대부분의 도시에서 도심지역 및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주차난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유동량이 많은 도심지역에서는 인근 주차장 정보를 쉽게 획득하기 어려워 주변에 있는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치기반의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들이 등장하고 있으나, 주차시설의 위치, 주차요금 또는 총 주차대수 등의 단순한 정보를 알려주는데 불과하여, 실제로 해당 주차장에 도착해서야 만차 상태임을 알고 다른 주차장을 찾아다니느라 시간과 연료를 낭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차장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심야나 주간 시간을 불문하고 일률적인 주차요금을 받는 경우가 많다. 주차요금체계를 다양화하는 경우에도, 심야 시간에 할인된 요금을 부과하거나 월 정기권을 판매하는 방식에 그쳐 주간 시간대별 만차율을 고려한 시간대별 차별화된 요금징수가 곤란하여 이윤을 극대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시간 주차장 주차 상황이나 시간별 만차율 통계 등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에 실제로 주차하기 가장 적합한 장소인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들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제공하느냐가 주차난 해소 및 공회전 방지에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 주차장 운영자는 시간대별 만차율을 고려하여 차등화된 요금체계를 구축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지와 인접한 하나 이상의 주차장의 시간별 만차율을 분석한 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주차시간에 상기 주차장에 주차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측 결과를 산출하고, 상기 예측 결과에 대한 확률적 정확도를 계산한 예측정확도를 산출하여 주차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 주변의 주차장 중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 주차가 가능한 주차장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 주차장 운영자는 시간대별 만차율에 따른 이용요금을 차등화하여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인근에 주차시설이 부족한 상점들과 제휴하여 주차장을 이용한 다양한 마케팅도 가능하도록 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주차장의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주차 정보를 획득하는 주차장 단말; 및 상기 주차장 단말로부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를 수신하며, 기 설정된 예측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별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의 주차장의 만차율에 대한 예측 결과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차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및 상기 예측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 주변의 주차장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며, 상기 서버는 전송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판단하고, 전송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예측 매커니즘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 단말은 상기 주차장의 혼잡도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는 상기 혼잡도에 대응하는 수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예측 결과는 상기 수치 데이터를 상기 예측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산출된 결과 값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에 포함된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주차장의 위치를 표시할 객체의 색상을 결정하고, 결정된 색상으로 상기 지도 상에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주차장 주차 정보를 시간대 별로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로부터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간 이내 또는 소정의 시점에 상기 주차장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예측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정확도를 판단하고, 상기 피드백을 제공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피드백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 정보와 상기 피드백에 대응되는 주차장의 위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 단말은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를 획득하는 2차원 코드 리더기 및 RF 리더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상은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주차권 또는 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가 주차장 단말로부터 주차장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기 설정된 예측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별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의 주차장의 만차율에 대한 예측 결과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차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및 상기 예측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 주변의 주차장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전송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전송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예측 매커니즘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주차장 단말이 상기 주차장의 혼잡도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장 단말이 상기 주차장의 혼잡도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는 상기 혼잡도에 대응하는 수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예측 결과는 상기 수치 데이터를 상기 예측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산출된 결과 값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에 포함된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주차장의 위치를 표시할 객체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색상으로 상기 지도 상에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및 상기 예측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장 단말로부터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간 이내 또는 소정의 시점에 상기 주차장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예측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가 전송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피드백을 제공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피드백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 정보와 상기 피드백에 대응되는 주차장의 위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부착된 2차원 코드 또는 RF 태그로부터 읽어들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상은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주차권 또는 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목적지 주변의 주차장 중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에 주차가 가능한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차 편의를 도모하고,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주차난 해소 및 불법 주정차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차가 가능한 주차장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보다 신뢰성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된 주차장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보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부정한 방법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주차장 단말이 서버와 통신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부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예측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서의 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 결과를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주차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피드백에 기초하여 예측 매커니즘을 보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1000)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1) 및 주차장 단말(1200)이 서버(1100)와 통신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1), 서버(1100) 및 주차장 단말(1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주요 구성을 제외한 공지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1001)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1)은 전용 단말기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 범용성을 갖는 전자정보 입력기기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필요에 따라 어떠한 것이든 이용될 수 있으며, 전용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1)은 네트워크(1002)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서버(1100)로 송신하거나 서버(1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002)는 각종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거나, 3G, LTE(Long Term Evolution) 및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0)는 데이터베이스부(1110), 예측부(1120), 보정부(1130), 요금정산부(1140), 수익산정부(1150) 및 통신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110)는 사용자 식별 정보, 주차장 식별 정보, 사용자 주차 정보, 주차장 주차 정보, 기 저장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주차시간에 상기 주차장에 주차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측 결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동일성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사용자의 성명, 연락처, 주소, 차량번호, 차종, 가입일 및 이용내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 데이터베이스(Data Base; DB)에 저장될 수 있다.
주차장 식별 정보는 주차장의 동일성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주차장명, 주차장의 위치, 총 주차대수, 이용시간, 시간별 이용요금, 정기권 정보, 할인방법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 식별 정보는 주차장 식별 정보 DB(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주의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시간별"은 요금 변동 또는 만차율 집계의 기준이 되는 단위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간별"은 한 시간 단위일 수도 있고, 30분 단위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 및 변동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장 식별 정보는 상기 언급한 정보들뿐만 아니라 주차장 인근의 주요 시설에 관한 정보, 당해 주차장을 이용할 경우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제휴업체 정보, 사용자들의 평가 점수 등 사용자가 주차장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장 인근의 제휴업체와의 연계를 통하여 마케팅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사용자 주차 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예약하였거나 주차하고 있는 사항에 관한 정보로서, 사용자의 성명, 연락처, 차량번호, 예약일, 예약시간 및 입출차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주차 정보는 사용자 주차 정보 DB(1113)에 저장될 수 있다.
주차장 주차 정보는 주차장의 현재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로서, 주차장명, 위치, 현재 주차대수, 현재 만차율 및 시간별 주차 예약 현황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 주차 정보는 주차장 주차 정보 DB(1114)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1100)는 주차장 주차 정보를 주차장 단말(1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주차장 단말(1200)은 실시 예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주차장 주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장 단말(1200)은 주차장에 상주하는 직원으로부터 시간대 별로 주차장의 주차대수나 혼잡/원활 등의 주차장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음으로써 획득된 주차장 주차 정보를 서버(1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장 단말(1200)은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License Plate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과 출차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입/출차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의 주차 대수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서버(1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장 단말(1200)은 2차원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를 이용하여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과 출차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2차원 코드를 주차장 단말(1200)에 구비된 입구측 리더기가 읽어들이면, 해당 2차원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에 대한 입차시간이 서버(1100)에 입력될 수 있다. 이후, 주차장에 출차하는 차량의 2차원 코드를 주차장 단말(1200)에 구비된 출구측 리더기가 읽어들이면, 해당 2차원 코드에 대응하는 차량에 대한 출차시간이 서버(1100)에 입력됨으로써 주차장 확인, 요금 조회 및 주차비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장 단말(1200)은 RF 리더기를 구비함으로써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과 출차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차장에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의 RFID 태그나 NFC 태그 등에 저장된 차량 일련번호 등을 RF 리더기가 읽어들임으로써 서버(1100)는 주차장의 입/출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주차장 주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 일시 예에 따르면, 주차장 단말(1200)에는 2차원 코드나 RFID 태그 등이 부착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1001)이 주차장에 부착된 2차원 코드나 RFID를 읽어들인 후 해당 정보를 서버(1100)에 제공하면,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주차장 주차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분석 결과는 주차장의 각 시간별 만차율 및 시간별 주차 예약 현황을 비롯한 주차장 주차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한 정보로서, 요일별, 날짜별 또는 기상상황별로 시간별 만차율 및 주차차량당 평균 주차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 결과는 분석 결과 DB(1115)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1000)에서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사용자에게 A주차장의 주차장명, 위치, 정기권 정보, 수요일의 시간별 만차율 정보, 시간별 이용요금, A주차장을 이용할 경우 혜택을 주는 제휴업체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측 결과는 예측부(1120)에서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주차시간에 주차장에 주차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로서, 예측 결과 DB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예측 결과는 '주차 가능' 또는 '주차 불가'와 같이 '예(YES), 아니오(NO)'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1110)는 사용자 식별 정보 DB(1111), 주차장 식별 정보 DB(1112), 사용자 주차 정보 DB(1113), 주차장 주차 정보 DB(1114), 분석 결과 DB(1115) 및 예측 결과 DB(1116)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측부(1120)는 데이터베이스부(1110)의 주차장 주차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한 주차시간에 주차장에 주차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측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예측부(1120)는 예측 결과를 통신부(116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1)로 전송하고, 예측 결과 DB(1116)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측부(1120)는 상기 예측 결과에 대한 확률적 정확도를 계산한 예측정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예측부(1120)는 요일별, 날짜별, 시간별 또는 기상상황별 만차율, 주차차량당 평균 주차시간 등과 같이, 분석 결과 DB(1115)에 저장된 분석 결과만을 조합하여 예측 결과를 산출할 수도 있으나, 기상상황, 주변 시설에 예정되어 있는 각종 행사 및 예상 참석 인원 등의 외부 정보를 고려하여 예측 결과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용자가 선택한 시간에 주차장 인근에 위치한 컨벤션 센터에서 대규모 집회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예상 참석 인원 및 주차장에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차량대수를 고려하여 예측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예측부(1120)는 예상 매커니즘에 의해 예측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예상 매커니즘은 프로그래밍된 로직 또는 함수를 비롯하여, 용어를 불문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정의 결과값을 산출하는 일련의 과정이나 방법을 통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측부(1120)는 분석 결과의 세부 항목(예: 날짜별 데이터, 시간별 데이터, 기상상황별 데이터 등)에 대하여 각각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예측할 수 있다. 예측부(1120)는 상술된 세부 항목 및 각각의 가중치를 변수로 하는 예상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예측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예측부(1120)는 예측 매커니즘에 의해 예측 결과에 대한 확률적 정확도를 계산한 예측정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측정확도는 예측 결과를 도출하는데 사용된 분석 결과(예: 수요일 13시부터 16시까지 A주차장의 시간별 만차율) 및 외부 정보(예: 오후 13시부터 16시까지 비가 올 가능성, A주차장 부근 컨벤션센터에서 예정된 행사가 취소될 가능성 등)의 신뢰도를 종합하여 예측 결과의 확률적 정확도를 계산한 예측정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측정확도는 '백분율'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고, '높음, 중간, 낮음'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측정확도는 예측 결과가 얼마나 정확하고 신뢰할만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표지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1000)에서 사용자에게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100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1)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1000)에서의 예측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1)에 목적지를 역삼역 사거리, 주차날짜를 15.10.14(수요일), 주차시간을 13시부터 16시까지로 입력한 경우, 네트워크(1002)를 통해 서버(1100)에 전송된다. 예측부(1120)는 역삼역 사거리 인근에 위치한 주차장의 시간별 만차율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A, B, C, D, E주차장에 주차공간이 확보 가능하다고 예측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A주차장의 예측정확도가 97%이고, E주차장의 예측정확도가 84%이므로, 사용자는 A주차장에 주차공간이 확보될 가능성이 가장 높고, E주차장에 주차공간이 확보될 가능성이 가장 낮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정부(1130)는 예측부(1120)가 산출한 예측 결과와 사용자가 선택한 주차시간에 실제로 주차 공간을 확보하였는지를 비교하여 예측부(1120)의 예측 매커니즘을 보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정부(1130)는 주차장 주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주차시간에 해당 주차장에 실제로 주차 공간이 확보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예측 결과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서로 결과가 다른 경우(예를 들어, 예측부(1120)가 A주차장에 13시부터 16시까지 주차공간이 확보된다는 예측 결과를 산출하였으나, 실제로는 13시에 A주차장이 만차되어 주차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 보정부(1130)는 예측 매커니즘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보정은 예측 결과 산출방식을 변경(예: 예측 결과를 도출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변수 및 가중치를 조정)하거나, 예측정확도 산출방식을 변경(예: 유사한 상황에 대해서는 예측정확도를 낮게 산출하도록 변경)하거나, 양자를 모두 수행하여 보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정부(1130)는 예측부(1120)의 예측 정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여 사용자에게 신뢰할만한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요금정산부(1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지에 인접한 주차장별 예상 주차요금 또는 사용자가 이용한 주차장의 주차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시간별로 세분화된 주차요금체계를 갖는 주차장의 경우, 사용자의 주차시간에 따른 각 시간별 이용요금을 합산한 주차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주차시간을 13시부터 16시까지로 입력한 경우, 각 시간별 이용요금인 5,000원, 4,000원 및 2,000원을 합산한 11,000원이 주차요금으로 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요금정산부(1140)에서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방식은 주차장에서 현금 또는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후불식 결제방식 외에도, 정기권, 시간대별 이용권 및 미리 충전한 포인트를 차감하는 후불식 결제방식도 가능하다.
수익산정부(1150)는 상기 분석 결과 중에서 주차장별로 사용자 이용내역 및 결제요금을 기초로 주차장별 이익액을 산정할 수 있다.
수익산정부(1150)는 주차장별로 상기 서버(1100)의 운영자와 상기 주차장의 운영자 간 상기 이익액 달성에 기여한 정도(이하, 기여도)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운영자가 주차장 시설을 최신식으로 보수하고, 다른 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한 독자적인 마케팅 활동을 하여 이익액이 상승한 경우, 주차장 운영자의 기여도를 높게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양자의 기여도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기여도 산출 함수 또는 로직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익액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서버 운영자와 주차장 운영자가 지출한 마케팅 비용, 주차시설 유지보수비, 제휴업체를 통한 사용자 확보 노력 등을 정량적으로 수치화하여, 기여도 산출 함수 또는 로직에 의해 반영하여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수익산정부(1150)는 상기 이익액을 상기 서버(1100)의 운영자와 상기 주차장의 운영자 간 기여한 정도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익액에서 상기 서버(1100)의 운영자의 기여도에 따른 비율을 곱한 금액을 서버(1100)의 운영자의 이익액으로 산출하고, 주차장의 운영자의 기여도에 따른 비율을 곱한 금액을 주차장의 운영자의 이익액으로 산출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1200)은 차량식별부(1210) 및 출력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식별부(1210)는 주차장에 입출입하는 차량이 어느 사용자의 차량인지를 식별하여 그 식별된 정보를 서버(110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식별부(1210)는 차량번호판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식별하거나, 차량 앞유리에 바코드를 부착하여 식별할 수도 있으며, 차량에 부착된 하이패스 단말기를 활용하여 식별할 수도 있다.
출력부(1220)는 사용자가 이용한 주차요금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220)는 주차요금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성 안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1000) 및 방법에서의 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1)을 통하여 목적지 및 주차 시간을 선택한다(S101). 예측부(1120)는 주차장별 분석 결과를 기초로 예측 결과 및 예측정확도를 산출한다(S102). 또한, 요금정산부(1140)에서 주차장별로 사용자가 입력한 주차시간에 해당하는 주차요금을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03). 사용자가 예측 결과, 예측정확도 및 주차요금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001)을 통하여 주차장을 예약하면, 예약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주차 정보 DB(1113) 및 주차장 주차 정보 DB(1114)에 저장된다(S104).
사용자가 예약한 주차장에 차량을 입차하여 주차한 후 출차하는 경우 차량식별부(1210)가 사용자의 차량을 식별하여 사용자 주차 정보 DB(1113)에 입차시간 및 출차시간을 기록한다(S105). 사용자는 요금정산부(1140)를 통하여 산출된 주차요금을 결제한다(S106). 보정부(1130)는 예측 결과와 실제 결과를 비교하여 예측 매커니즘을 보정한다(S107).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주차장에 위치한 주차장 단말(1200)은 주차장 주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주차 정보는 주차장의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의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란 주차장의 주차 공간이 여유가 있는지, 혼잡한지 또는 주차불가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장 단말(1200)이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 범용성을 갖는 전자정보 입력기기인 경우, 주차장 단말(1200)은 주차장 직원 등이 주차장의 주차 상황에 대하여 주차장의 혼잡도를 나타내는 여유, 혼잡, 또는 주차불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단말(1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차장의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를 주차장 주차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주차장 단말(1200)이 주차 공간에 대한 차량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주차 가능한 공간의 수를 결정하여 만차율을 산출할 수 있는 경우, 주차장 단말(1200)은 만차율에 따라서 주차장의 주차 상황이 여유, 혼잡 또는 주차불가 중 어느 하나인지 결정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1200)은 획득된 주차장 주차 정보를 서버(11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 주차 정보에 포함된 주차장의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는 주차장의 혼잡도에 대응하는 수치 데이터의 형태로 서버(110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의 주차 상황이 여유인 경우에는 1, 혼잡인 경우에는 2, 주차불가 상태인 경우에는 3이 주차장 단말(1200)로부터 서버(1100)에 주차장의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수치는 실시 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서버(1100)는 주기적으로 주차장 단말(1200)들로부터 주차장 주차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각 주차장들의 시간대별 주차장 주차 정보(810)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0)는 오전 9시 부터 정오 사이에 수신된 주차장 주차 정보는 오전 시간대의 주차장 정보이고, 정오부터 오후 3시 사이에 수신된 주차장 주차 정보는 오후1 시간대의 주차장 주차 정보이고, 오후 3시부터 오후 6시 사이에 수신된 주차장 주차 정보는 오후2 시간대의 주차장 주차 정보이고, 오후 6시부터 오후 9시 사이에 수신된 주차장 주차 정보는 저녁 시간대의 주차장 주차 정보이고, 오후 9시부터 오전 9시 사이의 주차장 주차 정보는 심야 시간대의 주차장 주차 정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 주차 정보는 주차장 주차 정보를 전송한 주차장 단말(1200)에 대응하는 주차장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서버(1100)는 수신된 주차장 주차 정보가 어느 주차장에 대한 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1200)들로부터 주차장 주차 정보를 수신한 서버(1100)는 기 설정된 예측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주차장 별로 주차장 주차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의 주차장의 만차율에 대한 예측 결과(820)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부(111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 결과는 일정 기간(예를 들어, 3개월) 동안 해당 시간대에 대해 수신된 주차장의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들의 평균값일 수 있다. 여기서, 실시 예에 따라서 수치 데이터의 평균값은 각 수치데이터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한 값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1)은 서버(1100)에 주차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정보 요청은 사용자가 원하는 주차 위치 정보(예를 들어, 목적지)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0)는 주차 정보 요청에 포함된 시간대의 주차 위치 정보 주변 주차장들에 대한 주차장 주차 정보(810) 및 예측 결과(820)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1001)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수신된 시간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1시간) 이내 또는 소정의 시점(예를 들어,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요일의 해당 시간 또는 시간대)에 주차장 단말(1200)로부터 주차장 주차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예측 결과(820)를 사용자 단말(1001)에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서버(1100)는 주차장 주차 정보가 수신된 시간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간 이내 또는 소정의 시점에 주차장 단말(1200)로부터 수신된 경우에는 주차장 주차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1)에 제공할 수 있다.
주차장 주차 정보(810) 또는 예측 결과(820)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1)은 지도(830) 상에 주차장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1)은 주차장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지도(830) 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객체(831, 832, 833)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아이콘이나 말풍선 등과 같이 지도(830) 상에서 주차장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1)은 주차장 주차 정보(810) 또는 예측 결과(820)에 포함된 수치 데이터인 입력값 또는 누적값에 기초하여 객체(831, 832, 833)의 색상을 결정하고, 결정된 색상으로 지도(830) 상에 각 객체(831, 832, 833)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1)은 해당 주차장에 대한 수치 데이터가 1.5 이하인 경우 녹색의 객체(831)를 표시하고, 수치 데이터가 1.5보다 크고 2.5 이하인 경우 주황색의 객체(832)를 표시하고, 수치 데이터가 2.5보다 큰 경우 적색의 객체(833)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1)은 서버(1100)로부터 수신된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1)은 입력 받은 피드백을 서버(1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은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가 정확한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가 주차 공간이 여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주차장에 방문한 후 주차 공간이 남아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 사용자는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가 정확하지 않다는 피드백을 사용자 단말(1001)에 입력할 수 있다.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1)에 제공된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는 서버(1100)가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일 뿐 서버(1100)가 정확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서버(1100)는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의 정확도에 기초하여 예측 매커니즘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의 정확도에 따라서 예측 결과 산출 시에 주차장 주차 정보에 대해 부여되는 가중치를 조절하거나 예측 결과 산출의 대상이 되는 주차장 주차 정보들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정확도가 높을 수록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어떤 기간 동안 수신된 주차장 주차 정보들을 예측 결과 산출의 대상이 되도록 할 것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경우, 피드백을 제공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결정하고, 보상을 부여할 수 있다. 피드백을 제공한 사용자에 대해 보상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은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주차권 또는 주차 요금 정산에 사용될 수 있는 포인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이 경우 해당 주차장에 방문하지 않은 사용자가 부당하게 보상을 취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은 주차장의 상태에 관한 피드백을 서버(11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부당하게 보상을 취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버(1100)는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1001)의 현재 또는 일정 기간 이내의 과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 정보가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주차장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 결과를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서버(1100)는 주차장 단말(1200)로부터 주차장 주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1). 여기서 주차장 주차 정보는 주차장의 혼잡도에 대응하는 수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서버(1100)는 주차장 주차 정보에 포함된 수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측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S202). 여기서, 서버(1100)는 과거부터 누적하여 저장된 주차장 주차 정보들 및 단계 S201에서 수신된 주차장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예측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서버(1100)는 산출된 예측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부(1110)에 저장할 수 있다(S203).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주차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주차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301). 여기서 주차 정보 요청은 사용자가 주차하고자 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 위치 정보와 주차하고자 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주차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수신된 시간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1시간) 이내 또는 소정의 시점(예를 들어,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요일의 해당 시간 또는 시간대)에 주차장 단말(1200)로부터 주차장 주차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2).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수신된 시간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간(예를 들어 1시간) 이내 또는 소정의 시점(예를 들어,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요일의 해당 시간 또는 시간대)에 주차장 단말(1200)로부터 주차장 주차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예측 결과(820)를 사용자 단말(1001)에 제공할 수 있다(S304). 반대로 서버(1100)는 주차장 주차 정보가 수신된 시간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간 이내 또는 소정의 시점에 주차장 단말(1200)로부터 수신된 경우에는 주차장 주차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1)에 제공할 수 있다(S303).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피드백에 기초하여 예측 매커니즘을 보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S401). 여기서, 피드백은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가 정확한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의미할 수 있다.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1)에 제공된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S402). 다만, 본 실시 예는 서버(1100)가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일 뿐 서버(1100)가 정확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후, 서버(1100)는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의 정확도에 기초하여 예측 매커니즘을 보정할 수 있다(S403).
또한,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경우, 피드백을 제공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결정하고, 보상을 부여할 수 있다. 피드백을 제공한 사용자에 대해 보상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해당 주차장에 방문하지 않은 사용자가 부당하게 보상을 취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은 주차장의 상태에 관한 피드백을 서버(11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부당하게 보상을 취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버(1100)는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1001)의 현재 또는 일정 기간 이내의 과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100)는 사용자 단말(1001)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 정보가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주차장의 위치 정보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0 :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1001 : 사용자 단말
1002 : 네트워크
1003 : 금융기관 서버
1100 : 서버
1110 : 데이터베이스부
1111 : 사용자 식별 정보 DB
1112 : 주차장 식별 정보 DB
1113 : 사용자 주차 정보 DB
1114 : 주차장 주차 정보 DB
1115 : 분석 결과 DB
1116 : 예측 결과 DB
1120 : 예측부
1130 : 보정부
1140 : 요금정산부
1150 : 수익산정부
1160 : 통신부
1200 : 주차장 단말
1210 : 차량 식별부
1220 : 출력부

Claims (14)

  1.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2차원 코드 또는 RF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는 사용자 단말;
    주차장의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주차장 단말; 및
    상기 주차장 단말이 획득한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2차원 코드 또는 상기 RF 태그로부터 읽어들인 정보를 주차장 주차 정보로서 수신하며, 기 설정된 예측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별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의 주차장의 만차율에 대한 예측 결과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차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및 상기 예측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 주변의 주차장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피드백에 기초하여 전송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판단하고, 전송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와 상기 예측 결과가 상이한 경우, 예측 결과 산출방식을 변경하여 상기 예측 결과를 도출하는데 사용되는 변수를 조정하는 방법, 날짜별 데이터, 시간별 데이터 및 기상상황별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예측정확도 산출방식을 변경하여 기존의 예측정확도 보다 상기 예측정확도를 낮게 산출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예측 매커니즘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2차원 코드 또는 상기 RF 태그는 상기 주차장 단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용한 주차장의 주차요금을 정산하여 결제하고, 결제된 주차요금에 기초하여 주차장별 이익액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이익액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대한 운영자의 기여도 및 상기 주차장에 대한 운영자의 기여도를 산출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주차장 주차 정보를 시간대 별로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로부터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간 이내 또는 소정의 시점에 상기 주차장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예측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로부터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간 이내 또는 소정의 시점에 상기 주차장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단말은,
    상기 주차장의 혼잡도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는 상기 혼잡도에 대응하는 수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결과는 상기 수치 데이터를 상기 예측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산출된 결과 값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에 포함된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주차장의 위치를 표시할 객체의 색상을 결정하고, 결정된 색상으로 상기 지도 상에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피드백을 제공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 정보와 상기 피드백에 대응되는 주차장의 위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은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주차권 또는 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8. 서버가 주차장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주차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2차원 코드 또는 RF 태그로부터 읽어들인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장 주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기 설정된 예측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별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의 주차장의 만차율에 대한 예측 결과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차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및 상기 예측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 주변의 주차장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전송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전송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와 상기 예측 결과가 상이한 경우, 예측 결과 산출방식을 변경하여 상기 예측 결과를 도출하는데 사용되는 변수를 조정하는 방법, 날짜별 데이터, 시간별 데이터 및 기상상황별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예측정확도 산출방식을 변경하여 기존의 예측정확도 보다 상기 예측정확도를 낮게 산출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예측 매커니즘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원 코드 또는 상기 RF 태그는 상기 주차장 단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이용한 주차장의 주차요금을 정산하여 결제하는 단계; 및
    결제된 주차요금에 기초하여 주차장별 이익액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이익액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대한 운영자의 기여도 및 상기 주차장에 대한 운영자의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전송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상기 예측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및 상기 예측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주차장 주차 정보를 시간대 별로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로부터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간 이내 또는 소정의 시점에 상기 주차장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예측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장 단말로부터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소정의 기간 이내 또는 소정의 시점에 상기 주차장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주차장 단말이 상기 주차장의 혼잡도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장 단말이 상기 주차장의 혼잡도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는 상기 혼잡도에 대응하는 수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결과는 상기 수치 데이터를 상기 예측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산출된 결과 값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주차장 주차 정보 또는 예측 결과에 포함된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주차장의 위치를 표시할 객체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색상으로 상기 지도 상에 상기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피드백을 제공한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 정보와 상기 피드백에 대응되는 주차장의 위치 정보가 소정의 거리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14. 삭제
KR1020160111008A 2015-10-23 2016-08-30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60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43 2015-10-23
KR20150148343 2015-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146A KR20170048146A (ko) 2017-05-08
KR101860939B1 true KR101860939B1 (ko) 2018-05-24

Family

ID=6016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008A KR101860939B1 (ko) 2015-10-23 2016-08-30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070B1 (ko) 2017-04-13 2020-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함질소 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JP6815954B2 (ja) * 2017-08-29 2021-01-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プラントの操業状態推定装置及び操業状態推定方法
CN107844858B (zh) * 2017-10-25 2021-11-02 驭势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驾驶场景确定定位特征及布局的方法与系统
KR102350456B1 (ko) * 2019-06-05 2022-01-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393619B1 (ko) * 2020-03-09 2022-05-02 김경식 딥러닝을 이용한 주차지도 제작 및 주차장내 차량위치확인 시스템
CN115346389A (zh) * 2022-06-30 2022-11-15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车位预约方法、平台、电子装置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2193A (ja) * 2004-02-04 2005-08-18 Denso Corp 情報システムおよび車載情報システム
JP2008225930A (ja) * 2007-03-13 2008-09-25 Mishima:Kk 駐車場運営管理システム
JP2009211253A (ja) * 2008-03-03 2009-09-17 Toyota Motor Corp 駐車場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情報端末
JP2010079819A (ja) * 2008-09-29 2010-04-08 Sanyo Electric Co Ltd 施設管理装置および施設管理システム
KR101522605B1 (ko) * 2013-12-27 2015-05-27 (주)미래엔씨티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2193A (ja) * 2004-02-04 2005-08-18 Denso Corp 情報システムおよび車載情報システム
JP2008225930A (ja) * 2007-03-13 2008-09-25 Mishima:Kk 駐車場運営管理システム
JP2009211253A (ja) * 2008-03-03 2009-09-17 Toyota Motor Corp 駐車場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情報端末
JP2010079819A (ja) * 2008-09-29 2010-04-08 Sanyo Electric Co Ltd 施設管理装置および施設管理システム
KR101522605B1 (ko) * 2013-12-27 2015-05-27 (주)미래엔씨티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146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939B1 (ko)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3144862A1 (en) Activity control system and activity control method
US104307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dynamic origin-destination matrix
US912303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payment for parking using autonomous position sensing
CA2843287C (en) Method of using virtual gantries to optimize the charging performance of in-vehicle parking systems
US20180096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geolocation based parking data analysis
US8928494B2 (en) Parking method and system
TWI427560B (zh) Fee collection system
US9123246B2 (en)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vehicle human occupancy
WO20170354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parking selection, transaction, management and data provision
CN105849750A (zh) 用于管理对资源的访问的设备和方法
US11514463B2 (en) Instant personal electronic parking system and method
KR101766858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80137438A1 (en) Booking of rentable vehicles in a car sharing system
CN110118567A (zh) 出行方式推荐方法及装置
KR1012218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할인 시스템
Gragera et al. A model for estimation of the demand for on-street parking
Shimi et al. A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echnology based on user preferences
US20210116259A1 (en) Adaptive transit resource allocation
CN108205888B (zh) 一种判断乘客进出站的方法及装置
WO2003098556A1 (en) A system for evaluating a vehicles usage within zones
KR102320495B1 (ko) 주차장 자동결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3449902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Zakharenko Pricing shared vehicles
JP2021064344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