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779B1 -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779B1
KR101860779B1 KR1020110116644A KR20110116644A KR101860779B1 KR 101860779 B1 KR101860779 B1 KR 101860779B1 KR 1020110116644 A KR1020110116644 A KR 1020110116644A KR 20110116644 A KR20110116644 A KR 20110116644A KR 101860779 B1 KR101860779 B1 KR 101860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signal
mesh
preambl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350A (ko
Inventor
김현재
문영진
김지형
김정현
신우람
이안석
임광재
권동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16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7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은 자동이득제어부(Automatic Gain Controller)부가 인접 노드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Network Configuration, NCFG) 신호를 물리계층(PHYsical Layer, PHY)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물리계층이 상기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시간 또는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 프레임의 시작점의 위치 정보를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DSP가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메쉬 노드의 클럭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선 메쉬 통신 시스템(wireless mesh communication system)에서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인접 노드(neighbor node)의 프리앰블(preamble) 및 방송 정보를 복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SYNCHRONIZING METHOD FOR MESH NODE IN WIRELESS MESH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메쉬 시스템(wireless mesh syste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쉬 노드의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에서 단말(mobile station)은 기지국(base staion)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프리앰블(preamble)을 이용하여 다운링크(downlink) 데이터에 대한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및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반면에, 무선 메쉬 시스템(wireless mesh system)에서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프리앰블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메쉬 노드(mesh node)는 메쉬 일렉션(mesh election) 과정을 통하여 비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네트워크 설정(Network Configuration, NCFG) 신호의 PPA-프리앰블(Punctured Primary Advanced preamble)을 이용하여 AGC 및 메쉬 노드 사이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방송 정보,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설정 메시지(NCFG message) 및/또는 분배 스케줄링 메시지(Distributed Scheduling message, DSCH message)를 수신한다.
프레임(frame) 구조의 특성에 맞는 프레임의 각 영역(NCFG, DSCH, DATA)별 모듈(module)간 인터페이스(interface) 설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무선 메쉬 시스템(wireless mesh system)에서의 네트워크 동기화(network synchronization)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frame)의 각 영역별 모듈(module)간 인터페이스(interface)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은 자동이득제어부(Automatic Gain Controller)부가 인접 노드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Network Configuration, NCFG) 신호를 물리계층(PHYsical Layer, PHY)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PHY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시간 또는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 프레임의 시작점의 위치 정보를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DSP가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메쉬 노드의 클럭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메쉬 시스템(wireless mesh system)에서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인접 노드(neighbor node)의 프리앰블(preamble) 및 방송 정보를 복조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메쉬 시스템(wireless mesh communication system)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노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노드의 동기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프레임의 구조 및 초기 네트워크 설정 모드에서의 모듈 사이의 신호 전달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노드의 동기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메쉬 노드의 DSP가 내부 클럭 타이밍을 동기화하는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네트워크 설정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프레임의 구조 및 정상 네트워크 설정 모드에서의 모듈 사이의 신호 전달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프레임의 구조 및 정상 분배 스케줄링 모드에서의 모듈 사이의 신호 전달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무선 메쉬 시스템(wireless mesh communication system)의 일 예를 나타낸다.
무선 메쉬 시스템은 중계 기능을 가진 다수의 메쉬 노드(mesh node)들 사이의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는 주위의 메쉬 노드들 각각과 별개의 통신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에서의 기지국(base station)은 연속적으로 프레임(frame)마다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한다. 따라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연속적인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 및/또는 자동 주파수 제어(Auto Frequency Control, AFC) 등을 수행한다.
반면에, 무선 메쉬 시스템의 경우 연속적으로 프레임마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동기화를 위한 자동 이득 제어,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동기화가 수행되어야하고, 이를 위해 자동 이득 제어를 위한 프리앰블인 PPA-프리앰블(Punctured Primary Advanced preamble)이 도입되었다. 또한, 메쉬 노드는 PA-프리앰블(Primary advanced preamble) 및/또는 SA-프리앰블(Secondaty advanced preamble)을 이용하여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동기화를 수행한 후, 프리앰블 뒤에 오는 방송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는 메쉬 노드의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스템 클럭 동기화를 수행하는 절차를 제안하고, 무선 메쉬 시스템의 조건에 따라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을 GPS 신호 이용 가능 여부에 따라 2 가지 경우로 구분하여 기재한다.
* 모든 메쉬 노드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할 수 있는 메쉬 노드인 경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노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20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210), 물리계층(PHYsical Layer, PHY, 220), 자동이득제어부(Automatic Gain Controller, 230) 및 RF부(240)를 포함한다.
메쉬 노드의 DSP(210)는 디지털 신호를 기계장치가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집적회로를 말한다. DSP(210)는 주로 하위 맥(Low Medium Access Control, LMAC) 기능 및/또는 상위 맥(Upper MAC) 기능을 수행한다.
PHY(220)는 채널 부호화(encoding)/복호화(decoding),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고속푸리에역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등을 수행하며, 자동이득제어부(230)는 프리앰블 등의 신호를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에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변화시킨다. 즉, 자동이득제어부(230)는 디지털 신호가 양자화 잡음(quantization noise)의 영향을 덜 받게 하기 위하여 입력 신호를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가 원하는 크기가 되도록 제어한다. PHY(220) 및 자동이득제어부(230)는 하나의 FPGA에 구현될 수 있다.
RF부(240)은 자동이득제어부(230)에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다. RF부(240)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노드의 동기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무선 메쉬 시스템의 모든 메쉬 노드가 GPS 신호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메쉬 노드는 GPS 신호에 기반하여 동기화 절차를 수행한다. 이 경우, 모든 메쉬 노드는 GPS 신호의 슈퍼프레임(superframe) 시작점 및 슈퍼프레임에서의 네트워크 설정 프레임(Network Configuration Frame, NCF)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무선 메쉬 시스템의 전원이 켜지면, GPS 신호가 로킹(locking)된다(S310). 모든 메쉬 노드는 GPS 신호에 기반하여 슈퍼프레임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즉, GPS 신호에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을 맞춘다. 모든 메쉬 노드는 GPS 신호로부터 생성된 1 PPS(Pulse Per Second) 동기화 펄스(Synchronization Pulse)의 라이징엣지(rising edge) 또는 폴링엣지(falling edge)를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으로 한다.
한편, DSP는 인접 노드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Network Configuration, NCFG) 신호의 PPA-프리앰블(Punctured Primary Advancde preamble)을 찾기 위해 PHY 및 자동이득제어부에 초기 네트워크 설정 모드(initial NCFG mode)의 동작을 요청한다(S320). 이때, 메쉬 노드는 슈퍼프레임에서의 네트워크 설정 프레임의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설정 신호 탐색 시간 동안 슈퍼프레임 내 네트워크 설정 프레임 영역만을 스캔하여 PPA-프리앰블을 탐색한다.
도 3a는 무선 메쉬 시스템에 기존 메쉬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무선 메쉬 시스템에 기존 메쉬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노드는 인접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새로운 노드의 PHY 및 DSP는 자동이득제어부가 PPA-프리앰블을 탐색하여 적당한 크기의 신호로 변화시켰음을 알려주는 신호인 PPA_en 신호를 자동이득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을 수 없다. PPA_en 신호를 전달받지 못한 새로운 노드의 DSP는 네트워크 진입(Network Entry)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GPS 신호의 1 PPS 동기화 펄스의 라이징엣지 또는 폴링엣지를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으로 하는 네트워크 설정 메시지(NCFG message)를 생성하여 자신의 정보를 방송한다(S330a). 네트워크 설정 메시지는 12 비트(bit) 크기의 슈퍼프레임 인덱스(superframe index) 및 14 비트 크기의 프레임 인덱스(frame index)를 포함한다. 슈퍼프레임 인덱스는 매 20 ms 마다 슈퍼프레임 단위로 0부터 4095까지 증가하고, 프레임 인덱스는 슈퍼프레임 인덱스로부터 슈퍼프레임마다 4의 배수로 0부터 16380까지 증가한다.
이후, DSP는 정상 네트워크 설정 모드(normal NCFG mode)를 PHY 및 자동이득제어부에 요청한다(S340).
도 3b는 무선 메쉬 시스템에 기존 메쉬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무선 메쉬 시스템에 기존 메쉬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 새로운 노드는 인접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이득제어부는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자동 이득 제어하여 PPA_en 신호와 함께 PHY로 전달한다(S331b). 상기 네트워크 설정 신호는 PPA-프리앰블, PA-프리앰블 및 SA-프리앰블을 포함한다. PPA_en 신호를 전달받은 PHY는 PA-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인접 노드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복호화(decoding)하여 DSP로 전달한다(S332b). DSP는 복호화된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전달받아 슈퍼프레임 인덱스 및/또는 프레임 인덱스를 동기화한다(S333b).
이후, DSP는 정상 네트워스 설정 모드를 PHY 및 자동이득제어부에 요청한다(S340).
또한, 새로운 노드는 인접 노드 중에서 스폰서 노드(sponsor node)를 선정하여 네트워크 진입(network netry) 절차를 수행한다(S350b). 기존 노드는 네트워크에 진입하는 새로운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 새로운 노드가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새로운 노드는 전원이 켜지면 인접 노드들을 찾아보고 그 중 신호가 가장 좋은 노드를 스폰서 노드로 지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프레임의 구조 및 초기 네트워크 설정 모드에서의 모듈 사이의 신호 전달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프레임은 1 개의 네트워크 설정 프레임(Network Configuration Frame, NCF) 및 3 개의 서비스 전달 프레임(Service Delivery Frame, SDF)를 포함한다. 각 프레임의 길이는 5 ms이므로, 1 개의 슈퍼프레임의 길이는 총 20 ms이다. 네트워크 설정 프레임은 NENT(network entry) 영역, NCFG(nerwork configuration) 영역을 포함한다.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는 NCFG 영역의 수신 구간에서 PPA-프리앰블, PA-프리앰블, SA-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다. NCFG 영역은 메쉬 노드 자신의 정보를 방송하기 위한 영역이다.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수신한 메쉬 노드의 PHY는 네트워크 설정 프레임의 모든 NCFG 영역의 시작점에서 초기 네트워크 설정 모드의 동작을 자동이득제어부에 요청한다. 즉, PHY는 자동 이득 제어 신호(AGC 신호)를 자동이득제어부로 전달하며, 자동이득제어부는 각각의 NCFG 영역의 PPA-프리앰블 구간에서 자동 이득 제어 절차를 수행한다.
인접 노드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NCFG 영역에 PPA-프리앰블이 존재하고, 자동이득제어부가 상기 PPA-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자동 이득 제어 절차를 완료하면, 자동이득제어부는 PPA_en 신호를 PHY로 전달한다.
한편, PHY는 네트워크 설정 프레임으로부터 수집한 네트워크 설정 메시지, 즉 네트워크 설정 버스트(NCFG burst) 및/또는 노드 정보를 DSP로 전달한다. DSP로 네트워크 설정 메시지를 여러 번 전달하는 것은 잦은 인터럽트과 문맥 전환(context switching)에 의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설정 메시지를 수집하여 프레임당 한 번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GPS 신호를 이용할 수 있는 메쉬 노드와 GPS 신호를 이용할 수 없는 메쉬 노드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노드의 동기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GPS 신호를 이용할 수 있는 메쉬 노드와 GPS 신호를 이용할 수 없는 메쉬 노드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새로운 메쉬 노드는 무선 메쉬 시스템의 기준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을 알 수 없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무선 메쉬 시스템의 전원이 켜지면, 새로운 메쉬 노드의 DSP는 인접 노드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PPA-프리앰블을 찾기 위해 PHY 및 자동이득제어부에 초기 네트워크 설정 모드 동작을 요청한다(S520). 기준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을 알 수 없으므로, 새로운 노드는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PPA-프리앰블을 탐색하기 위해 네트워크 설정 신호 탐색 시간 동안 슈퍼프레임 내 모든 영역을 스캔해야한다.
도 5a는 무선 메쉬 시스템에 기존 메쉬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무선 메쉬 시스템에 기존 메쉬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노드는 인접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새로운 노드의 PHY 및 DSP는 PPA_en 신호를 자동 이득 제어로부터 전달받을 수 없다.
PPA_en 신호를 전달받지 못한 새로운 노드의 DSP는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내부 클럭에서 생성된 1 PPS 동기화 펄스의 라이징엣지 또는 폴링엣지를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으로 하는 네트워크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신의 정보를 방송한다(S530a).
네트워크 설정 메시지는 12 비트 크기의 슈퍼프레임 인덱스 및 14 비트 크기의 프레임 인덱스를 포함한다. 슈퍼프레임 인덱스는 매 20 ms 마다 슈퍼프레임 단위로 0부터 4095까지 증가하고, 프레임 인덱스는 슈퍼프레임 인덱스로부터 슈퍼프레임마다 4의 배수로 0부터 16380까지 증가한다.
이후, DSP는 정상 네트워크 설정 모드를 PHY 및 자동이득제어부에 요청한다(S340).
도 5b는 무선 메쉬 시스템에 기존 메쉬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무선 메쉬 시스템에 기존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 새로운 노드는 인접 노드로부터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이득제어부는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자동 이득 제어하여 PPA_en 신호와 함께 PHY로 전달한다(S531b). PPA_en 신호를 전달받은 PHY는 PA-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인접 노드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복호화(decoding)하여 DSP로 전달한다(S532b). 한편, 메쉬 노드의 초기 내부 클럭을 이용하여 생성한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은 인접 노드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프레임의 시작점과 다르기 때문에, 새로 생성된 노드는 인접 노드로부터 수신한 슈퍼프레임의 시작점과 일치하도록 내부 클럭을 수정해야한다. 따라서, PHY는 기존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의 위치 정보와 인접 노드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의 위치 정보를 DSP로 전달한다. DSP는 네트워크 설정 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설정 전송 서브프레임(subframe) 위치 정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을 계산하여 기존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을 수정한다(S533b). 한편,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은 DSP, PHY 및 자동이득제어부가 공유하는 5 ms 단위의 클럭과 20 ms 단위의 클럭의 기준이 된다. 상기 5 ms 단위의 클럭과 20 ms 단위의 클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6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DSP는 정상 네트워크 설정 모드를 PHY 및 자동이득제어부에 요청하고(S540), 인접 노드에서 스폰서 노드를 선정하여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한다(S550b).
도 6은 메쉬 노드의 DSP가 내부 클럭 타이밍을 동기화하는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무선 메쉬 시스템에 GPS 신호를 이용할 수 없는 메쉬 노드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메쉬 노드는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이 다르게 되므로, 처음 생성된 노드를 기준으로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을 맞추어야한다. 따라서, 각각의 메쉬 노드의 DSP는 인접 노드에서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프레임의 시작점과 클럭의 타이밍(timing) 차이를 계산하여 해당 메쉬 노드의 클럭을 동기화한다. 즉, 새로 생성된 노드는 인접 노드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을 계산하여, 슈퍼프레임을 나타내는 20 ms 단위의 클럭인 기준 인터럽트(20ms INT)와 프레임을 나타내는 5 ms 단위의 클럭인 프레임 인터럽트(5ms INT)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은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NCFG 영역의 위치를 지정하는 필드로부터 알 수 있다. 상기 20 ms의 기준 인터럽트와 상기 5 ms의 프레임 인터럽트는 내부 클럭 생성기(oscillator), 예를 들어 온도보상 수정발진기(TCXO:temperature-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에서 생성되며, DSP, PHY 및 자동이득제어부, 예를 들어 DSP, FPGA 및 자동이득제어부 사이에서 서로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기준 시간으로 이용되므로, 중요한 신호라고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네트워크 설정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PHY는 자동이득제어부에 정상 네트워크 설정 모드의 동작을 요청한다. 메쉬 노드가 메쉬 일렉션(mesh election)에 의해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자동이득제어부는 이네이블(AGC enable)된다. 자동이득제어부는 네트워크 설정 프레임 영역을 DSP로 전달하기 전에, 전송 서브프레임(TX Subframe)에 대한 정보를 먼저 전달한다.
자동이득제어부는 네트워크 설정 프레임 영역에 대해 PPA-프리앰블의 ADC 출력 신호(ADC output signal)로부터 자동 상관 피크(autocorr peak) 값을 계산하여 자동 상관 피크 값이 역치 값(threshold)을 넘는 곳을 PPA-프리앰블의 시작점으로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PPA-프리앰블의 시작점을 결정하기 위한 윈도 크기(window size)를 512 윈도(512 window)로 설정하였다.
자동이득제어부는 결정한 PPA-프리앰블의 시작점으로부터 [512 X 2] 구간의 수신 전계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값을 계산한다. 자동이득제어부는 계산된 RSSI 값에 기반한 자동 이득 제어 값을 RF부에 전달한다.
자동이득제어부는 RF부의 이득 조절 반응 속도에 따라 RSSI 측정 및 이득 제어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RF부의 이득 제어가 완료되면, 자동이득제어부는 PHY로 PPA_en 신호를 전달한다.
자동이득제어부는 RF부로부터 전달되는 이득 제어가 된 PPA-프리앰블의 뒷부분, PA-프리앰블 및 SA-프리앰블을 PHY로 전달한다. 또한, 자동이득제어부는 자동이득제어부의 이득 제어 값 및 RSSI 측정값과 RF부의 RSSI 측정값을 PHY로 전달한다.
AGC 모듈은 다음 NCFG 구간 시작 이전에 PHY로부터 정상 NCFG 모드 요청 신호를 받고, 전술한 절차들을 반복한다.
한편, 자동이득제어부는 자동 상관 피크 값으로부터 PA-프리앰블의 시작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PA-프리앰블의 시작점을 결정하기 위한 윈도 크기를 512×3 윈도로 설정하였다. 메쉬 노드는 PA-프리앰블을 이용하여 타이밍(timing) 및 부분 주파수 오프셋(fractional frequency offset)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SA-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정수 부분 주파수 오프셋(interger part frequency offset) 보상 및 부분 주파수/미세 타이밍(fine timing) 동기를 재수행할 수 있다.
자동이득제어부는 자동 이득 제어 기준 값으로 RF부를 리셋(reset)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프레임의 구조 및 정상 네트워크 설정 모드에서의 모듈 사이의 신호 전달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메쉬 노드의 PHY는 정상 네트워크 설정 모드의 동작을 자동이득제어부에 요청한다. PHY는 NCFG 영역의 수신 구간에서만 자동 이득 제어 신호(AGC 신호)를 자동이득제어부로 전달하며, 자동이득제어부는 NCFG 영역에 PPA-프리앰블이 존재하는 경우 PPA_en 신호를 PHY로 전달한다. PHY는 네트워크 설정 프레임으로부터 수집한 네트워크 설정 메시지, 즉 네트워크 설정 버스트(NCFG 버스트)를 DSP로 전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슈퍼프레임의 구조 및 정상 분배 스케줄링 모드(normal distributed scheduling mode)에서의 모듈 사이의 신호 전달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DSCH 영역은 분배 스케줄링 메시지를 이용하여 요청(Request)/승인(Grant)/확인(confirm)의 3 단계 핸드셰이킹(3 way handshaking)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영역이다. 메쉬 노드는 인접 노드와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분배 스케줄링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쉬 노드의 PHY는 정상 분배 스케줄링 모드의 동작을 자동이득제어부에 요청한다. PHY는 DSCH(Distributed SCHeduling) 영역의 수신 구간에서만 자동 이득 제어 신호(AGC 신호)를 AGC 모듈로 전달하며, 자동이득제어부는 DSCH 영역에 PA-프리앰블이 존재하는 경우 PPA_en 신호를 PHY로 전달한다. PHY는 DSCH 영역으로부터 수집한 분배 스케줄링 메시지, 즉 분배 스케줄링 버스트(DSCH 버스트)를 DSP로 전달한다.

Claims (5)

  1.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A) 자동이득제어부(Automatic Gain Controller)가 인접 노드로부터 다수의 네트워크 설정 영역 중 하나의 NCFG 영역에서 수신한 네트워크 설정(Network Configuration, NCFG) 신호를 물리계층(PHYsical Layer, PHY)으로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PHY가 상기 네트워크 설정 신호의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시간 또는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하나의 NCFG 영역을 나타내는 NCFG 전송 위치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 설정 신호를 복호화하여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전달하는 단계; 및
    (C) 상기 DSP가 상기 NCFG 전송 위치 정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슈퍼프레임의 시작점과 상기 인접 노드의 슈퍼프레임의 시작점과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상기 차이값을 이용하여 메쉬 노드의 클럭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단계 (A), (B) 및 (C)는,
    GPS 신호를 이용할 수 있는 메쉬 노드와 상기 GPS 신호를 이용할 수 없는 메쉬 노드가 혼재되어 있는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116644A 2011-11-09 2011-11-09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 KR101860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44A KR101860779B1 (ko) 2011-11-09 2011-11-09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44A KR101860779B1 (ko) 2011-11-09 2011-11-09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50A KR20130051350A (ko) 2013-05-20
KR101860779B1 true KR101860779B1 (ko) 2018-05-28

Family

ID=4866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644A KR101860779B1 (ko) 2011-11-09 2011-11-09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7914B (zh) * 2017-06-15 2018-06-29 深圳市晟碟半导体有限公司 一种无线mesh网络内设备时间同步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85B1 (ko) * 2006-12-22 2008-04-17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의 프레임 동기 설정 방법,이 방법을 이용한 프레임 동기 설정 유닛, 및 이를 구비한데이터 수신장치
JP2011199864A (ja) 2010-03-23 2011-10-06 Mitsubishi Electric R & D Centre Europe Bv メッシュ無線ネットワークのノードを同期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85B1 (ko) * 2006-12-22 2008-04-17 주식회사 칩스앤미디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의 프레임 동기 설정 방법,이 방법을 이용한 프레임 동기 설정 유닛, 및 이를 구비한데이터 수신장치
JP2011199864A (ja) 2010-03-23 2011-10-06 Mitsubishi Electric R & D Centre Europe Bv メッシュ無線ネットワークのノードを同期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50A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246B2 (en) Device to device (D2D) control information relay
US9363778B2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radio base station for random acces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EP3358777B1 (en) Method, base station, terminal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KR101095096B1 (ko) 전용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셀에서의 무선 송수신 유닛 동작에 대한 방법 및 장치
KR102589108B1 (ko) 통신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10542509B2 (en) Radio node and method for selectively provid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for a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US20110205984A1 (en) Methods for Scheduling Channel Activities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in a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CN113853827B (zh) 发送装置、接收装置、发送方法及接收方法
WO2013082948A1 (zh) 一种发送srs和指示srs发送的方法及设备
US10952167B2 (en) Technique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operation
EP3366064B1 (en) Optimized broadcasting of system information messages
EP303389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obile station device-to-device beacon window determination
US20230379865A1 (en) Request procedure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for wireless networks
RU2627305C2 (ru) Способ покрытия дальней связи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KR101860779B1 (ko) 무선 메쉬 시스템에서의 메쉬 노드 동기화 방법
CN110022603B (zh) 一种基站间的同步方法及装置
CN116615937A (zh) 一种寻呼指示方法及装置
US20220322266A1 (en) Timing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240007992A1 (en) Schemes on gnss position fix in connected in iot ntn
EP2255565B1 (en) Methods for provision of system information, computer programs, network node, terminal, and radio access network
WO2024002498A1 (en) Communication network
WO2014179924A1 (zh) 一种基站间同步协调的方法、装置及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