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722B1 -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722B1
KR101860722B1 KR1020170004603A KR20170004603A KR101860722B1 KR 101860722 B1 KR101860722 B1 KR 101860722B1 KR 1020170004603 A KR1020170004603 A KR 1020170004603A KR 20170004603 A KR20170004603 A KR 20170004603A KR 101860722 B1 KR101860722 B1 KR 10186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ensing device
management
cradl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성
Original Assignee
태현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현식품 filed Critical 태현식품
Priority to KR102017000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굼벵이와 풍뎅이 등의 유충 또는 성충을 원격에서도 체계적으로 양식해서 고품질의 곤충 상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양식함(100) 안에 환경과 흔들림을 감지해서 자체 식별코드와 감지데이터를 감지신호로 발신하는 감지장치(300); 근거리 무선통신을 매개로 감지장치(300)와 통신하여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의 식별코드와 감지데이터를 안내창에 자동 출력하는 모바일(30);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FARMING FOR RAISING HIGH QUALITY INSECT BASED IN IOT}
본 발명은 일반 굼벵이와 풍뎅이 등의 유충 또는 성충을 원격에서도 체계적으로 양식해서 고품질의 곤충 상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곤충은 생명산업 분야에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통한다. 애완용과 체험학습용은 물론 의약품 소재, 병해충 퇴치, 환경 정화 등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되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애완용 시장만 하더라도 이웃 일본에서는 사슴벌레 시장 규모만 무려 3000억원에 달한다. 크기가 8cm에 달하는 초대형 사슴벌레는 가격이 무려 1억원에 팔릴 정도로 부가가치가 높다.
우리나라는 사슴벌레를 포함한 전체 애완용 곤충시장이 1000억원 수준이다. 갈수록 인기가 높아지고 있어 2015년에는 국내 애완용 곤충시장 규모가 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정부는 전망하고 있다.
한편, 굼벵이는 딱정벌레 종류의 유충을 통칭해 부르는 명칭으로, 흔히 느린동작이나 사람 또는 사물 등을 지칭하는 명칭이기도 하다. 지리산 토종 굼벵이에서 취급하는 굼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으로 동의보감에 명시된 품종이다. 굼벵이와 관련한 상품은 곤충시장에서도 주목받는 사업 아이템이며, 특히 의료와 식품 분야에서 기대되면서 곤충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블루오션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이외에도 메뚜기목 귀뚜라미과에 속하는 귀뚜라미는 고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오메가-3 계열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키토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곤충이며, 귀뚜라미 등의 곤충은 미래 6차 산업으로써, FAO(유엔식량농업기구)에 의하면 전세계 미래식량위기 해결, 소와 돼지 등의 축산분야의 메탄가스로부터의 환경오염 방지 및 안정적인 단백질 공급원으로 곤충을 사료용 뿐만 아니라 식용으로 양식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
참고로, 프랑스를 비롯한 선진국의 경우에는 메뚜기나 개미 등을 고단백질 식료품으로 만드는 가공회사가 설립되어 있고, 미국은 이미 FDA의 승인을 획득한 귀뚜라미 첨가 영양바를 상품화하여 미국 전역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판매중이며, 일본 및 유럽 등지에서도 애벌레, 유충 및 번데기로 각종 영양음료와 식료품을 제조하고, 레스토랑에서는 스테이크를 대체하는 식사로 제공되거나 또는 햄버거를 대체하는 귀뚜라미버거 등을 판매하고 있는바, 한국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사료 및 식용화 활용이 미비한 실정인 관계로 정부에서도 곤충사업화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미래의 산업으로써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한 예로, 정부에서는 귀뚜라미, 밀웜, 흰점박이꽃무지 및 장수풍뎅이 등 4가지의 곤충을 식용화하기 위하여 약리반응 검사 등을 수행하여 2015년 하반기까지는 상기 4가지 곤충들을 식의약처의 승인을 거쳐 식용으로 고시할 계획에 있다.
곤충 산업은 UN에서도 미래식품 산업이라고 인정할 정도로 영양학적이고 곤충은 친환경적이다. 가축은 예를 들어 소 한 마리를 키우기 위해 엄청난 물과 토지 및 사료가 들어가는 한편, 곤충은 친환경적이며 소요되는 물과 양식 공간의 절대우위 및 소에 소요되는 사료의 10분지 1 정도면 소고기의 단백질 부분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곤충의 쓰임새를 확대한다면 앞으로 21세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국내외 시장에 있어서 2020년 세계시장 규모는 총 38조원에 이를 것으로 FAO(유엔식량농업기구)는 전망하고 있다. 더불어, 시장성이 크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연구 및 투자를 병행한다면 엄청난 기대 효과가 큰 산업, 특히 친환경적 씨니어 비즈니스 산업으로 육성하면 고령층의 경제활동에도 지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귀뚜라미와 같은 곤충류가 대량으로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인 동시에 자동센서가 부착되어서 곤충의 생태적 특성인 항온과 항습을 모두 유지하여 생육기간을 최단으로 줄일 수 있게 한 기술이나, 곤충의 서식 환경을 단순히 센싱만하고 온도와 습도를 설정된 수치로 조정하는 기술만이 개시되었을 뿐, 곤충의 생장 정도에 따른 생태 환경에 직접적인 변화과 조정 및 관리 기술은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곤충 양식은 지정 개수의 곤충을 일정 크기의 박스에 각각 분할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사육사가 실수 등으로 임의의 박스에 대해 계획된 관리를 누락할 경우에는 해당 박스에 양식되는 곤충들이 상기 계획된 관리 절차에 따라 생장하지 못하고 변화하거나 불량해질 수 있다. 물론, 해당 곤충의 변화 또는 불량 생장은 관련 상품에 변화 또는 불량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변화 또는 불량은 곤충 사업 자체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주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다량의 곤충을 체계적으로 일관되게 양식해서 항시 고품질의 곤충 상품을 균일하게 생산할 수 있고, 양식 대상 곤충에게 맞는 최적의 생태환경 조성을 통해서 생장 또한 촉진시킬 수 있는 곤충 양식 관련 기술이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69343호(2010.06.24 공개)
선행기술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100392호(2015.09.02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다량의 곤충 양식을 원격에서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항상 일정한 고품질의 곤충양식 상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곤충에게 맞는 최적의 생태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해서 양식 생산 또한 촉진시킬 수 있는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식함 안에 환경과 흔들림을 감지해서 자체 식별코드와 감지데이터를 감지신호로 발신하는 감지장치; 및
근거리 무선통신을 매개로 감지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의 식별코드와 감지데이터를 안내창에 자동 출력하는 모바일;
을 포함하는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이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식함 안에 환경과 흔들림을 감지해서 자체 식별코드와 감지데이터를 감지신호로 발신하는 감지장치;
감지장치의 상기 감지신호를 수집하는 중계장치;
중계장치가 수집한 상기 감지신호를 이더넷 또는 인터넷으로 발신하는 통신장치; 및
양식장 또는 양식함별 관리자의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DB와, 곤충양식 이력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DB와, 상기 감지신호를 받아 설정프로세스에 따라 회원DB와 정보DB에서 검색모듈을 통해 해당하는 정보데이터를 검색하고 처리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다량의 곤충 양식을 원격에서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항상 일정한 고품질의 곤충양식 상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곤충에게 맞는 최적의 생태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해서 양식 생산 또한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에 구성되는 산란실 내 양식함의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에서 작업자의 작업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에 구성된 감지장치의 구성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신한 모바일에 출력되는 안내창의 일실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서버에 접속한 관리단말기에 출력된 관리창의 실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로부터 경고정보를 수신한 모바일에 출력되는 안내창의 다른 실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함의 일실시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A' 및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함에 구성되는 바이브레이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함의 단면 모습을 순차로 보인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에 구성되는 산란실 내 양식함의 일실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에서 작업자의 작업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의 양식관리 시스템은 유충 또는 성충 등의 곤충(C)을 수용하는 양식함(100a 내지 100e; 이하 '100')과, 양식함(100)에 설치된 감지장치(300)의 감지신호를 1차 수신하는 중계장치(10)와, 중계장치(10)가 수신한 감지신호를 이더넷 또는 인터넷의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200)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30, 30')로 발신하는 통신장치(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에서 양식 대상 곤충(C)은 굼벵이 또는 풍뎅이 등의 유충과 성충일 수 있다. 그런데 굼벵이와 같은 유충의 경우에는 어두운 곳을 좋아하고 이동성 미약하며 굴착성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의 양식관리 시스템에서는 유충을 수용하는 양식함(100)을 주기적으로 흔들어 주는 일명 브라질 땅콩효과(Brazil nut effect) 환경을 조성해서 유충에게 최소한의 스트레스를 가하고, 이를 통해 유충의 활동성을 높여서 유익한 성분을 방출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유충을 수용하는 양식함(100a 내지 100c)는 상대적으로 체적이 작고, 암실 조성과 주기적인 흔들기를 위한 덮개를 갖춘다.
반면, 풍뎅이와 같은 성충의 경우에는 비상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고, 교미를 위해 하루 4시간 이상 실내를 밝게 해야 함은 물론 배지를 교체하며, 원활한 통풍도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성충을 수용하는 양식함(100d, 100e)은 유충을 수용하는 양식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체적의 본체(101)를 갖추고, 본체(101) 상면은 개폐가 용이하며 통풍과 조명이 가능한 망(102)으로 덮힌다.
참고로, 양식함(100)은 채움부재(S)로 톱밥 등을 수용할 수 있고, 특히 곤충(C)의 경우에는 유충의 종류에 따라 톱밥 이외에도 해당 곤충(C)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채움부재(S)로 톱밥을 대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의 양식에서는 곤충 사료를 젤리 그릇에 혼합하여 양식함(100)에 삽입한다. 따라서 곤충은 젤리 그릇을 파고 들며 사료를 섭취한다.
이렇게 준비된 다수의 양식함(100)은 관리자(W)가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양식장에 구성되는 관리선반(400)에 배치될 수 있고, 양식함(100)의 채움부재(S)에는 다수의 곤충(C), 특히 유충이 서식한다. 또한 채움부재(S) 안에는 양식함(100)에 환경을 감지해서 곤충(C)의 양식 환경을 관리자(W)가 외부에서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채움부재(S)의 환경을 자동 감지하는 감지장치(300)를 매립한다.
감지장치(300)는 블루투스의 일종인 비콘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외부와 통신하고, 감지장치(300)가 발신한 감지신호는 양식장에 설치된 중계장치(10)가 수집하고, 하나 이상의 중계장치(10)가 수집한 감지신호는 별도의 통신장치(20)를 통해서 이더넷 또는 인터넷으로 외부에 발신한다. 본 실시의 감지장치(300)는 방수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젤라틴 성분의 실리콘 방수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에서 별도의 중계장치(10)가 감지장치(300)의 감지신호를 수집하고, 별도의 통신장치(20)가 이더넷 또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으로 상기 감지신호를 발신하나, 중계장치(10)와 통신장치(20)가 하나의 '통신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을 통해 발신된 감지신호는 지정된 IP에 따라 관리서버(200)로 발신되고, 관리서버(200)는 감지신호를 확인해서 관리자의 모바일 또는 데스크탑 등의 관리단말기(300, 300')로 데이터를 발신한다.
이외에도 감지장치(300)는 유효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관리단말기(300, 300')로 감지신호를 발신할 수 있고, 관리자(W)가 소지한 관리단말기인 모바일(300)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해당 데이터를 실행 및 출력시킬 수 있다.
미설명한 인출부호 '40'은 '양식장'에 구성된 CCTV이며, CCTV(40)가 촬영한 영상신호는 감지신호와 같이 중계장치(10)와 통신장치(20)를 경유해서 관리서버(200)에 전달된다.
한편, 본 실시에서 우아실로 명명되는 산란실에는 다른 양식함과는 달리 감시카메라(50)가 설치된 양식함(100f)이 배치된다. 상기 산란실에 양식함(100f)은 성충을 수용하면서 상기 성충이 산란한 알을 받는다. 이를 위해 양식함(100f)에는 성충이 산란한 알을 받는 배지가 배치된다.
그런데 양식 중인 성충은 산란을 지속하는 성질은 있으나, 아울러 자신이 낳은 알을 확인하면 추가 산란은 하지 않는 성질 또한 있다. 그러므로, 해당 양식함(100f) 내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면서 성충의 산란 여부를 파악하고, 성충의 산란을 확인하면, 관리자는 해당 양식함(100f)의 배지를 교체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의 양식함(100f)은 내부를 촬영해 촬영하는 감시카메라(50)가 설치된다. 본 실시의 감시카메라(50)는 양식함(100f)의 덮개에 해당하는 망(102')에 설치되는데, 망(102')에는 감시카메라(50)의 설치를 위한 지지패널(1021)이 구성되고, 감시카메라(50)는 지지패널(1021)의 저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망(102')이 양식함(100f)을 덮으면, 감시카메라(50)가 양식함(100f)의 내부 천정에 위치하면서 양식함(100f)의 배지 전체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감시카메라(50)가 촬영한 영상신호는 관리서버(200)를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30, 30')에 전달되며,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30, 30')에서 양식함(100f)을 확인하여 필요시마다 해당하는 양식함(100f)의 배지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는 감시카메라(50)가 양식함(100f) 내에 설치된 것으로 했으나, 양식함(100f)의 바닥면을 매쉬 형태로 하고, 상기 배지를 매쉬형 바닥에 안착하며, 양식함(100f)과는 분리된 별도의 감시카메라는 상기 매쉬형 바닥의 저면을 촬영해서, 상기 배지에 산란된 알의 실루엣을 상기 배지를 투영해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에 구성된 감지장치의 구성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신한 모바일에 출력되는 안내창의 일실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의 감지장치(300)는 온도센서(310)와 습도센서(320)와 탄소농도센서(330)와 자이로센서(34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온도센서(310)와 습도센서(320)와 탄소농도 감지센서(330)와 자이로센서(34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생성한 신호를 감지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모듈(370)과, 처리모듈(370)이 변환한 감지데이터를 식별코드와 함께 감지신호로 발신하는 통신모듈(380)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감지장치(300)는 구성된 센서 및 모듈들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스위치(350)와, 스위치(350)의 조작에 의한 감지장치(300)의 온/오프를 관리자(W)가 시각 또는 청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출력모듈(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의 스위치(350)는 관리자(W)의 손가락 조작이 가능한 버튼식이고, 출력모듈(360)은 서로 다른 색상의 LED 램프로 되어서, 감지장치(300)가 ON이 되면 청색 LED 램프가 점등하고, 감지장치(300)가 OFF가 되면 적색 LED 램프가 점등한다.
온도센서(310)와 습도센서(320)와 탄소농도 감지센서(330)는 명칭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양식함(100) 내 채움부재(S)의 온도와 습도와 탄소농도를 감지하고, 해당 신호를 처리모듈(370)에 전달한다.
한편, 전술한 '브라질 땅콩효과'를 위해서 관리자가 양식함(100)을 주기적으로 흔들게 되는데, 자이로센서(340)는 양식함(100)의 이러한 흔들림을 감지해서 신호를 일으키고, 해당 신호를 처리모듈(370)에 전달한다.
감지장치(300)의 통신모듈(380)은 처리모듈(370)이 생성한 감지데이터를 자체 식별코드와 함께 감지신호로 통합해 발신하는데, 중계장치(10)는 상기 감지신호를 통신장치(2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발신할 수도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서 유효거리에 위치하는 모바일(30)으로 발신할 수도 있다.
도 5에서 보인 대로, 감지장치(300, 3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 모바일(30)은 설치된 관리앱이 실행하면서 안내창을 출력한다. 상기 안내창은 감지신호에 구성된 감지데이터인 해당 양식함(100)의 식별코드인 양식함 No.와 온도와 습도와 탄소배출량과 흔들기 여부 등이 표시된다. 상기 안내창의 표시 내용을 확인한 관리자(W)는 해당 양식함(100)의 인근에 위치하므로, 표시 내용에 이상이 있다면 곧바로 대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관리자(W)가 해당 양식함(100)에 대해 더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해야 할 경우에는 하단에 위치한 '상세정보 보기' 메뉴를 클릭해서 관리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고, 모바일(30)의 관리앱은 관리서버(200)에서 해당 양식함(100)에 대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 검색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서버에 접속한 관리단말기에 출력된 관리창의 실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의 관리서버(200)는 관리자의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DB(210)와, 곤충양식 이력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DB(220)와, 인터넷 또는 이더넷 등의 통신망에 접속해서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관리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모듈(230)과, 관리자의 조작을 위한 입출력모듈(240)과, 입출력모듈(240)의 입력신호를 받아서 설정프로세스에 따라 정보데이터를 처리하는 컨트롤러(250)와, 회원DB(210)와 정보DB(220)의 정보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모듈(260)과, 감지장치(300)로부터 발신되는 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양식함(300)의 환경을 체크하는 자동관리모듈(270)을 포함한다.
회원DB(210)는 관리서버(200)에 회원으로 가입된 관리자의 정보를 정보데이터로 저장하고, 특히 관리서버(200)와의 통신이 허용된 관리단말기를 등록한다. 따라서 유사시에는 관리서버(200)가 등록된 관리단말기(3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관리자별로 관리서버(200) 편집 및 관리권한에 대한 정보를 정보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정보DB(220)는 양식장 명칭과 양식장 주소와 대표자 명과 연락처 등에 대한 양식장 정보, 사료명과 구입처와 구매량과 구매금액 및 구입일자 등에 대한 사료구매내역, 사료 재고량, 약품명과 구입처와 구매량과 구매금액 및 구입일자 등에 대한 약품구매관리, 양식함 개수와 양식함별 고유코드와 양식함 배치 맵 등에 대한 양식한 정보, 배지교환 이력에 대한 정보, 약품 투약와 폐사 관리와 출고 관리 등에 대한 관리 이력정보, 양식함별 감지 환경정보, CCTV 모니터링 정보, 감시카메라 정보, 월별 생산 이력과 양식장 생산량 등에 대한 통계정보 등의 정보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모듈(230)은 통상적인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관리서버(200)의 인터넷 또는 이더넷 통신을 처리한다.
입출력모듈(240)은 관리자가 관리서버(200)를 조작하기 위한 통상적인 입출력 장치이다.
컨트롤러(250)는 설정프로세스에 따라 관리서버(200)로의 로그인/아웃과 정보데이터 검색과 정보데이터 저장 관리 등을 수행한다.
검색모듈(260)은 컨트롤러(250) 또는 자동관리모듈(270)의 제어를 받아 회원DB(210)와 정보DB(220)를 검색한다.
자동관리모듈(270)은 감지장치(300)가 발신하는 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확인해서 기준치를 벗어난 수치를 확인하면 지정된 관리자에게 통지해서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의 관리서버(200)의 구동 모습을 일 예를 들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리자가 자신의 모바일(30) 또는 데스크탑(30')을 활용해서 관리서버(200)에 접속하면, 관리서버(200)의 컨트롤러(250)는 도 7의 (a)도면에서 보인 대로 로그인창을 출력한다. 관리자가 자신의 ID와 PW를 입력하면 컨트롤러(250)는 입력된 ID/PW를 확인해서 관리서버(200)에 로그인 여부를 결정한다.
이후, 관리서버(200)는 로그인을 결정하면, 도 7의 (b)도면에서 보인 대로 지정 홈페이지를 출력한다.
참고로, 도 8의 (a)도면에 도시한 웹페이지에서 관리자는 관리서버(200)에 자신을 등록할 수 있고, 컨트롤러(250)는 입력된 관리자정보를 회원DB(210)에 정보데이터로 저장한다.
한편, 도 8의 (b)도면에 도시한 웹페이지에서 관리자는 관리서버(200)에 양식함(100)의 개수와 배치 위치를 등록할 수 있고, 컨트롤러(250)는 입력된 양식함 정보를 정보DB(220)에 저장데이터로 저장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리자가 양식장에 배치되는 양식함(100)을 관리서버(200)에 등록하기 위해서 가로에 위치하는 양식함(100)의 개수와 세로에 위치하는 양식함(100)의 개수와 배치된 층수를 입력한다. 컨트롤러(250)는 입력된 개수와 층수를 확인해서 해당하는 개수의 양식함(100) 이미지를 2D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양식함(100) 이미지는 관리자(W)가 직접 일일이 이동시켜서 실제 배치 위치로 조정할 수도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로부터 경고정보를 수신한 모바일에 출력되는 안내창의 다른 실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의 자동관리모듈(270)은 감지장치(300)의 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며 기준치를 벗어난 양식함을 확인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임의의 양식함(100)에 설치된 감지장치(300)가 양식함(300)의 환경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감지신호는 관리서버(200)가 수신한다. 자동관리모듈(270)은 수신한 상기 감지신호에서 온도를 확인한 결과, 양식장 4층에 위치하는 'D03' 양식함(100)의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했음이 확인됐다. 자동관리모듈(270)은 해당 정보를 컨트롤러(250)에 전달하고, 컨트롤러(250)는 검색모듈(260)을 매개로 회원DB(210)를 검색해서 해당 양식함(100) 관리자의 모바일(30)에 경고정보를 발신한다.
상기 관리자 모바일(30)은 경고정보를 수신하면 설치된 관리앱이 실행하면서 안내창을 출력한다. 관리자는 상기 안내창에 출력되는 경고정보를 통해서 신속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지정 기일 내에 자이로센서(340)의 감지신호를 감지하지 않으면 지정 기일 내에 해당 양식함(100)의 흔들기를 하지 않은 것이므로, 자동관리모듈(270)은 도 9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당 정보를 컨트롤러(250)에 전달하고, 컨트롤러(250)는 검색모듈(260)을 매개로 회원DB(210)를 검색해서 해당 양식함(100)의 관리자의 모바일(30)에 경고정보를 발신한다.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30)은 경고정보를 수신하면 설치된 관리앱이 실행하면서 안내창을 출력한다. 관리자는 상기 안내창에 출력되는 경고정보를 통해서 신속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함의 일실시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A' 및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함에 구성되는 바이브레이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함의 단면 모습을 순차로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양식함(100)은, 상하로 관통하며 내면 하단에 걸림턱(111)이 형성된 함체(110); 걸림턱(111)에 안착하는 띠 형상의 제1완충부재(120); 제1완충부재(120)에 안착하는 띠 형상의 베이스(131)와, 베이스(13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32a)을 갖는 한 쌍의 레일(132, 132')과, 베이스(131)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부(133)와, 감지장치(300)를 거치하여 이동하는 이동체(134)를 구비하되, 이동체(134)는 레일(132, 132')의 각 경사면(132a)과 맞닿아서 경사면(132a)을 따라 롤링하여 이동하는 한 쌍의 롤러(134a)와, 한 쌍의 롤러(134a)를 연결하는 연결대(134b)와, 감지장치(300) 설치를 위하여 연결대(134b)에 구성되는 안착대(134c)를 갖춘 거치대(130); 걸림돌부(134)에 안착하는 띠 형상의 제2완충부재(140); 가장자리가 제2완충부재(140)와 맞물려서 개구된 함체(110)의 하면을 덮는 망체(160); 개구된 함체(110)의 상면을 덮는 덮개(170);로 이루어진다.
결국, 본 실시 양식함(100)의 하면은 망체(160)에 의해서 하단이 환기구가 되고, 상면은 덮개(170)에 의해서 폐기구가 된다. 결국, 유사시 신속한 온도 조정 및 습기 조정이 가능하고 탄소량 조정 또한 가능하다.
한편, 양식함(300)의 체적 대비 감지장치(300)의 감지 유효범위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감지장치(300)는 양식함(300)에서 지속적으로 이동하면서 다양한 지점의 환경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감지장치(300)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자체 구동 기능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감지장치(300)의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다. 더욱이 감지장치(300)가 자발적으로 채움부재(S)를 굴착하며 이동할 경우에는 양식 중인 곤충에게 심한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
감지장치(300)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양식 대상 곤충에게 최소한의 스트레스만을 가하도록, 본 실시의 양식함(300)은 경사면(132a)을 갖는 한 쌍의 레일(132, 132')을 구성하고, 이동체(134)는 감지장치(300)를 거치하고 레일(132, 132')을 따라 상위에서 하위로 이동한다.
그런데, 레일(132, 132')의 경사면(132a)을 타고 롤링하는 롤러(134a)는 자체 마찰은 물론, 채움부재(S)와의 저항 등에 의해서 원활히 롤링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양식관리 시스템은 양식함(100)의 안착을 위한 관리선반(400)을 구성하되, 관리선반(400)은 상면에 안착된 함체(110)의 중공과 연통하는 홀을 형성하는 안착판(430); 거치대(130)에 주기적인 충격을 가하기 위하여 진동을 일으키는 바이브레이터(420); 바이브레이터(420)로부터 인출되는 진동라인(411)과, 안착판(430)의 상기 홀을 관통하도록 진동라인(411)으로부터 인출하게 형성되어서 거치대(130)를 받아 지지하며 상기 진동을 거치대(130)에 전달하는 스탠드(412)를 구비한 진동대(410);로 이루어진다.
결국, 바이브레이터(420)에서 주기적으로 일으키는 충격은 거치대(130)에서 레일(132, 132')과 롤러(134a) 사이에 순간적인 마찰을 소멸시키고, 이로 인한 미세한 떨림 에너지는 감지장치(300)의 자체 중력과 부합해서 도 13에서 보인 대로, 감지장치(300)를 이동체(134)와 함께 경사면(132a)을 따라 상위에서 하위로 이동하게 한다. 물론, 채움부재(S)는 톱밥과 같이 상대적으로 저항력이 작은 물질이므로, 감지장치(300)의 이동은 양식대상 곤충에게 주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로, 제1,2완충부재(120, 140)는 거치대(130)의 진동이 함체(110)와 망체(16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서 양식대상 곤충은 본 실시의 진동 발생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양식함(100) 안에 환경과 흔들림을 감지해서 자체 식별코드와 감지데이터를 감지신호로 발신하는 감지장치(300); 및
    근거리 무선통신을 매개로 감지장치(300)와 통신하여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의 식별코드와 감지데이터를 안내창에 자동 출력하는 모바일(30);을 포함하며,
    상기 양식함(100)은 상하로 관통하며 내면 하단에 걸림턱(111)이 형성된 함체(110); 걸림턱(111)에 안착하는 띠 형상의 제1완충부재(120); 제1완충부재(120)에 안착하는 띠 형상의 베이스(131)와, 베이스(13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32a)을 갖는 한 쌍의 레일(132, 132')과, 베이스(131)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부(133)와, 감지장치(300)를 거치하여 이동하는 이동체(134)를 구비하되, 이동체(134)는 레일(132, 132')의 각 경사면(132a)과 맞닿아서 경사면(132a)을 따라 롤링하여 이동하는 한 쌍의 롤러(134a)와, 한 쌍의 롤러(134a)를 연결하는 연결대(134b)와, 감지장치(300) 설치를 위하여 연결대(134b)에 구성되는 안착대(134c)를 갖춘 거치대(130); 걸림돌부(134)에 안착하는 띠 형상의 제2완충부재(140); 가장자리가 제2완충부재(140)와 맞물려서 개구된 함체(110)의 하면을 덮는 망체(160); 개구된 함체(110)의 상면을 덮는 덮개(170);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식함(100)이 안착하는 관리선반(4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선반(400)은, 상면에 안착된 함체(110)의 중공과 연통하는 홀을 형성하는 안착판(430); 거치대(130)에 주기적인 충격을 가하기 위하여 진동을 일으키는 바이브레이터(420); 바이브레이터(420)로부터 인출되는 진동라인(411)과, 안착판(430)의 상기 홀을 관통하도록 진동라인(411)으로부터 인출하게 형성되어서 거치대(130)를 받아 지지하며 상기 진동을 거치대(130)에 전달하는 스탠드(412)를 구비한 진동대(410);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
  2. 양식함(100) 안에 환경과 흔들림을 감지해서 자체 식별코드와 감지데이터를 감지신호로 발신하는 감지장치(300);
    감지장치(300)의 상기 감지신호를 수집하는 중계장치(10);
    중계장치(10)가 수집한 상기 감지신호를 이더넷 또는 인터넷으로 발신하는 통신장치(20); 및
    양식장 또는 양식함별 관리자의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DB(210)와, 곤충양식 이력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DB(220)와, 상기 감지신호를 받아 설정프로세스에 따라 회원DB(210)와 정보DB(220)에서 검색모듈(260)을 통해 해당하는 정보데이터를 검색하고 처리하는 컨트롤러(250)를 구비한 관리서버(200);를 포함하며,
    상기 양식함(100)은 상하로 관통하며 내면 하단에 걸림턱(111)이 형성된 함체(110); 걸림턱(111)에 안착하는 띠 형상의 제1완충부재(120); 제1완충부재(120)에 안착하는 띠 형상의 베이스(131)와, 베이스(13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32a)을 갖는 한 쌍의 레일(132, 132')과, 베이스(131)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부(133)와, 감지장치(300)를 거치하여 이동하는 이동체(134)를 구비하되, 이동체(134)는 레일(132, 132')의 각 경사면(132a)과 맞닿아서 경사면(132a)을 따라 롤링하여 이동하는 한 쌍의 롤러(134a)와, 한 쌍의 롤러(134a)를 연결하는 연결대(134b)와, 감지장치(300) 설치를 위하여 연결대(134b)에 구성되는 안착대(134c)를 갖춘 거치대(130); 걸림돌부(134)에 안착하는 띠 형상의 제2완충부재(140); 가장자리가 제2완충부재(140)와 맞물려서 개구된 함체(110)의 하면을 덮는 망체(160); 개구된 함체(110)의 상면을 덮는 덮개(170);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식함(100)이 안착하는 관리선반(4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선반(400)은, 상면에 안착된 함체(110)의 중공과 연통하는 홀을 형성하는 안착판(430); 거치대(130)에 주기적인 충격을 가하기 위하여 진동을 일으키는 바이브레이터(420); 바이브레이터(420)로부터 인출되는 진동라인(411)과, 안착판(430)의 상기 홀을 관통하도록 진동라인(411)으로부터 인출하게 형성되어서 거치대(130)를 받아 지지하며 상기 진동을 거치대(130)에 전달하는 스탠드(412)를 구비한 진동대(410);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200)는
    감지장치(300)의 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양식함(300)의 환경을 체크하며, 상기 감지신호에서 기준치를 벗어난 수치를 확인하면 컨트롤러(250)에 신호를 전달하는 자동관리모듈(2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250)는 자동관리모듈(270)의 신호에 해당하는 양식함(100)의 관리자 모바일(30)을 확인해서, 해당 양식함(100)의 식별코드를 포함한 경고정보를 발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
  4. 삭제
KR1020170004603A 2017-01-12 2017-01-12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 KR10186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603A KR101860722B1 (ko) 2017-01-12 2017-01-12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603A KR101860722B1 (ko) 2017-01-12 2017-01-12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722B1 true KR101860722B1 (ko) 2018-05-24

Family

ID=6229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603A KR101860722B1 (ko) 2017-01-12 2017-01-12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7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8975A1 (ko) * 2019-01-30 2020-08-06 이봉학 곤충 사육을 위한 스마트팜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210075787A (ko) 2019-12-13 2021-06-23 김대경 IoT기반 곤충사육 시스템
CN115053839A (zh) * 2022-07-04 2022-09-16 安徽创源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水蛭养殖池进排水系统及其使用方法
RU2797912C1 (ru) * 2022-11-22 2023-06-13 Сергей Алексеевич Бут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личинок насекомы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54Y1 (ko) * 2013-04-15 2015-04-10 대한민국 거저리 배설물 분리장치
KR101677274B1 (ko) * 2014-12-26 2016-11-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사육장의 온도 및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54Y1 (ko) * 2013-04-15 2015-04-10 대한민국 거저리 배설물 분리장치
KR101677274B1 (ko) * 2014-12-26 2016-11-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사육장의 온도 및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8975A1 (ko) * 2019-01-30 2020-08-06 이봉학 곤충 사육을 위한 스마트팜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210075787A (ko) 2019-12-13 2021-06-23 김대경 IoT기반 곤충사육 시스템
CN115053839A (zh) * 2022-07-04 2022-09-16 安徽创源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水蛭养殖池进排水系统及其使用方法
CN115053839B (zh) * 2022-07-04 2023-12-22 安徽创源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水蛭养殖池进排水系统及其使用方法
RU2797912C1 (ru) * 2022-11-22 2023-06-13 Сергей Алексеевич Бут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личинок насекомы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eti et al. Insect pest monitoring with camera-equipped traps: Strengths and limitations
US11395474B2 (en) Harvesting and incubating systems for cultivation of insects
US11771074B2 (en) Sensor based observation of anthropods
KR101860722B1 (ko) 고품질 곤충 양식을 위한 IoT 기반의 양식관리 시스템
WO2021142270A1 (en) Methods for generating consensus feeding appetite forecasts
Kodan et al. Internet of things for food sector: Status quo and projected potential
Edney et al. Applications of digital imaging and analysis in seabird monitoring and research
AU2004246753B2 (en) Pest control system
CN109062160A (zh) 一种智能畜禽养殖管理系统及方法
JP2021510303A (ja) 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0533026A (ja) 双翅類昆虫の生産のための機器および方法
CN102378981A (zh) 用于监控家畜群中无名动物健康的系统和方法
Horn et al. How do we feed grazing livestock in the future? A case for knowledge‐driven grazing systems
CN111587069B (zh) 用于监控家畜动物的食物摄取的方法及设备
US20230284600A1 (en) Smart aquaculture grow out system
TWI661770B (zh) 智慧深度學習農漁培養系統
JP2017143794A (ja) 育成システム、栽培機器、育成管理サーバー、栽培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育成方法
CN109635902A (zh) 一种基于rfid的养殖追溯管理系统
Fernández-Juricic et al. A dynamic method to study the transmission of social foraging information in flocks using robots
Baatrup et al. Predation of the mite Hypoaspis aculeifer on the springtail Folsomia fimetaria and the influence of sex, size, starvation, and poisoning
WO202302650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888935A (zh) 用于查明样品材料属性的便携式扫描设备
Dupray et al. Population dynamics of a poultry hematophagous mite: characterization of the population growth and identification of factors of its slowdown using closed mesocosms
CN112704022A (zh) 一种养殖用饲料自动供给清洁系统
Hammond Daily survival rate of nests is lower in fruiting than non-fruiting tree species for a Hawaiian forest bird, the Kaua̒i ̒elepaio (Chasiempis sclate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