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716B1 - 직접관측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직접관측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716B1
KR101860716B1 KR1020160103740A KR20160103740A KR101860716B1 KR 101860716 B1 KR101860716 B1 KR 101860716B1 KR 1020160103740 A KR1020160103740 A KR 1020160103740A KR 20160103740 A KR20160103740 A KR 20160103740A KR 101860716 B1 KR101860716 B1 KR 101860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observation
observation information
airborne
phy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412A (ko
Inventor
서성규
장기호
정진임
양하영
채상희
최지원
고아름
박동오
김백조
김경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0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7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8Adaptations of balloons, missiles, or aircraft for meteorological purposes; Radioson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Landscapes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은 실험항공기의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1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2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의 상기 연직관측정보, 및 상기 직선관측정보 및 실험설계에 기초하여 구름씨앗 시딩을 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4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상기 구름씨앗 시딩 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 그리고 상기 구름씨앗 시딩 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를 이용하여 구름 내 미세물리적 변화를 관측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접관측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및 시스템{PHYSICAL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BY USING IN-SITU CLOUD PHYSICS AIRBORNE OBSERVATIONAL INSTRUMENTS IN THE AIRBORNE CLOUD SEEDING EXPERIMENTS}
본 발명의 실시예는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공증설(우) 실험은 가뭄을 대비하기 위한 저비용 고효율의 대표적인 수자원확보 방안으로 미국, 중국, 이스라엘 등에서 활용 중이다.
인공증설(우)란 강수구름으로 발달하지 못한 구름 속에 인위적으로 구름씨앗 역할을 하는 응결핵(Cloud Condensation Nuclei, CCN)을 시딩(seeding)하여 구름의 발달을 촉진하여 더 많은 강수를 내리게 하거나 다른지역에 강수를 미리 내리게 하는 기술로서, 여름철에는 온 구름(0℃이상의 구름)을 대상으로 하여 구름씨앗으로 흡습물질(hygroscopic material)인 염화칼슘(CaCl2) 또는 염화나트륨(NaCl)을 시딩하여 수증기와 물방울들의 충돌, 병합과정을 통해 인공적인 비를 내리는 인공증우를 실시하고, 겨울철에는 냉 구름(0℃이하의 구름)을 대상으로 하여 구름씨앗으로 빙정을 생성시키는 요오드화은(AgI)을 시딩하여 인공적인 눈을 내리는 인공증설을 실시한다.
인공증설(우)실험은 구름씨앗을 시딩하는 위치에 따라 항공기를 이용하여 하늘에서 구름에 직접 구름씨앗을 시딩하는 항공실험과 산악지역의 지상연소기를 이용하여 지상에 인접한 구름에 구름씨앗을 시딩하는 지상실험으로 나뉜다.
항공실험과 지상실험 둘 다 성공적인 실험을 위한 실험설계와 실험운영이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러한 실험의 결과로 증가된 강수량이며, 그 증가된 강수량이 과연 실험에 의해서 증가되었는지 아닌지 과학적으로 밝히는 실험효과의 검증이다.
인공증설(우) 실험 후 구름씨앗 시딩에 의한 구름 내 구름물방울의 성장과 이로 인한 지상에서의 강수 증가를 증명하기 위하여, 보다 정확성 높은 물리적 검증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험항공기에 탑재된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하여 구름 내 구름물방울의 성장과 이를 통한 강수입자의 발생과 같은 구름 미세물리 변화 관측을 통해 기존의 물리적 검증을 위한 관측방법 보다 명확하게 실험 후 구름 및 강수의 발달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상관측장비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도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가 탑재된 실험항공기만으로 인공증설 및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수행 및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며, 구름 미세물리 변화 입증을 통한 물리적 검증을 통해 인공증설 및 인공증우 실험 결과의 과학적인 신뢰성을 높이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은 실험항공기의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1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2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의 상기 연직관측정보, 및 상기 직선관측정보 및, 실험설계에 기초하여 구름씨앗 시딩을 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4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상기 구름씨앗 시딩 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 그리고 상기 구름씨앗 시딩 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를 이용하여 구름 내 미세물리적 변화를 분석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꼭대기에서부터 바닥까지의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 또는 와상기 제5 단계는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시딩고도 또는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항공관측장비로 등속 유입구(Isokinetic Inlet)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로졸을 구름씨앗 시딩 전후로 비교분석하는 구름응결핵계수기(CCN Counter)를 이용하여 구름씨앗 시딩에 따른 구름응결핵의 농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실험항공기의 날개에 부착하여 에어로졸, 구름 및 작은 강수입자를 직접 관측하는 구름콤비네이션프로브(Cloud Combination Probe), 상기 구름콤비네이션프로브에서 측정되는 강수입자 보다 더 큰 범위의 강수입자를 직접 관측하는 강수이미징프로브(Precipitation imaging probe)를 이용하여 구름입자가 강수입자로 성장하는 구름 내 미세물리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시스템은 실험항공기에 설치되며, 구름씨앗 시딩 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 그리고 상기 구름씨앗 시딩 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를 이용하여 구름 내 미세물리적 변화를 관측하는 항공관측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항공관측장비는구름의응결핵으로 작용하는 에어로졸을 관측하는 구름응결핵계수기(Cloud Condensation Nuclei Counter); 에어로졸, 구름물방울 및 작은 강수입자의 크기분포와 형태를 관측하는 구름콤비네이션프로브(Cloud Combination Probe); 및 상기 구름콤비네이션프로브에서 측정되는 강수입자 보다 더 큰 범위의 큰 구름물방울 및 강수입자의 크기분포와 형태를 관측하는 강수이미징프로브(Precipitation Imaging Prob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공관측장비는 구름의 꼭대기에서부터 바닥까지의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고, 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고,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시딩고도 또는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험항공기에 탑재된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하여 구름 내 구름물방울의 성장과 이를 통한 강수입자의 발생과 같은 구름 미세물리 변화 관측을 통해 기존의 물리적 검증을 위한 관측방법 보다 명확하게 실험 후 구름 및 강수의 발달을 증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상관측장비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도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가 탑재된 실험항공기만으로 인공증설 및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수행 및 검증이 가능하며, 또한 구름 미세물리 변화 입증을 통한 물리적 검증은 인공증설 및 인공증우실험 결과의 과학적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시스템의 항공관측장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항공기 상에 배치된 항공관측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슈트직접관측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들이 탑재된 실험항공기를 이용하여 시딩 전,후 목표지역 최저비행고도와 시딩라인의시딩고도 사이의 직선관측 및 목표지역 상공의 최저비행고도에서 구름꼭대기 높이까지의 연직관측방법으로 구름 속에서의 직접 관측을 통해 풍속에 따라 살포된 구름씨앗들의 확산 범위와 구름씨앗들에 의한 구름 및 강수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는 검증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을 위하여, 기상조건을 모니터링 한다(S110).
이때, 실험항공기 및 항공관측장비의 점검 등 실험준비를 마치고 실험항공기는 공항에서 이륙 대기를 할 수 있으며, 기상조건 모니터링을 통해 실험의 실시가 결정되면, 실험항공기는 공항에서 이륙하여 실험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실험항공기의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한다(S120). 이는 실험항공기의 항공관측장비가 시딩 전에 연직관측을 수행하는 것으로, 실험항공기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꼭대기에서부터 바닥까지의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딩 전 연직관측은 연직관측경로(310) 또는 도 3의 연직관측경로(320) 중 한 가지가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2의 연직관측경로(310)는 실험항공기가 구름꼭대기에서부터 구름바닥 고도 또는 구름바닥 고도가 실험항공기의 최저비행고도 보다 낮을 경우 최저비행고도까지 약 150m/min의 하강속도로 나선형으로 수직하강하면서항공관측장비가 관측을 실시한다.
도 3의 연직관측경로(320)는 구름꼭대기에서 구름바닥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까지 약 150m/min의 하강속도로 수직하강하면서 500m 간격의 일정한 고도에서는 구름의 고도별 구름미세물리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수평구간(325)을 100m/s를 초과하지 않는 비행속도로 1회 편도 비행하며 항공관측장비가 관측한다. 수평구간은 구름의 수평 측면에서 반대편 측면까지 이고, 구름의 폭이 넓을 경우 수평구간의 관측 최대폭은 10km로 한다.
이후,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한다(S130).
보다 구체적으로, 시딩 전 연직관측 수행이 구름바닥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에서 끝나면, 실험항공기는 선회한 후 시딩고도에 위치한 시딩라인의 중앙점까지 100m/s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도 2의 직선관측 경로(330)를 서서히 상승하면서 항공관측장비가 시딩 전 직선관측 수행을 실시한다.
목표지점에서 시딩라인 중앙점까지의 직선관측구간의 거리는 실험지역의 지상에서 시딩고도까지의 평균 수평 풍속에 의해 공기보다 무거운 구름씨앗이 수평이동하면서 서서히 낙하하여 시딩 후 1시간 뒤에 목표지점에 도착하도록 설정한다.
이후에는 항공관측장비의 상기 연직관측정보 및 상기 직선관측정보, 실험설계에 기초하여 구름씨앗 시딩을 수행한다(S14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시딩 전 직선관측 수행 종료와 함께 도 2의 구름씨앗 시딩라인에실험항공기가도착하면 구름씨앗 시딩을 수행 한다.
이때, 구름씨앗이 들어있는 연소탄을 8∼10발 터트려서 구름씨앗을 시딩한 후,시딩고도에서 목표지점의 구름바닥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까지 100m/s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이동한다. 이 이동구간동안 초기에 시딩된 구름씨앗들의 확산을 관측할 수 있다.
이후,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며(S150), 이때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시딩 후 목표지점의 구름바닥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에 실험항공기가 도착하면 항공관측장비가 시딩 후 연직관측 수행을 실시한다. 시딩 후 연직관측 수행은 시딩 전 연직관측 경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며, 관측시작점은 시딩 전과 달리 구름바닥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에서 시작하며, 약 150m/min의 상승속도로 구름꼭대기 고도까지 나선형으로 수직상승하면서 관측을 실시한다.
시딩 후 연직관측 수행은 구름씨앗의 이동시간을 고려해서 약 40분 동안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관측을 실시할 수 있다. 실험종료 후 시딩 전 연직관측 수행과 시딩 후 연직관측 수행 기간 동안 항공관측장비들의 관측자료 비교를 통해 구름씨앗 시딩에 의해 목표지점 상공의 구름 내 미세물리적 변화, 즉 시딩에 의한 구름물방울 및 강수입자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는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하며(S160),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시딩고도 또는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름바닥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에서 시딩 후 연직관측 수행이 종료되면 시딩 후 직선관측 수행을 실시한다. 도 2의 직선관측 경로를 따라 목표지점의 구름바닥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에서 시딩라인 중앙점의 시딩고도까지 100m/s를 초과하지 않는 속도로 서서히 상승하면서 시딩 후 직선관측 수행을 실시한다.
그에 따라, 실험종료 후 시딩 전 직선관측 수행과 시딩 후 직선관측 수행 기간 동안 항공관측장비들의 관측자료 비교를 통해 구름씨앗 시딩 후 시딩라인과목표지점사이의 구름 내 미세물리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항공관측장비가 상기 구름씨앗 시딩 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 그리고 상기 구름씨앗 시딩 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를 이용하여 구름 내 미세물리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S170).
또한, 등속 유입구(Isokinetic Inlet)을 통해 항공기 내 설치된 구름응결핵계수기(CCN Counter)로 유입되는 에어로졸을 시딩 전,후를비교분석하여 구름씨앗이 풍향에 따라 목표지점으로 잘 확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험항공기에 탑재된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하여 구름 내 구름물방울의 성장과 이를 통한 강수입자의 발생과 같은 구름 미세물리 변화 관측을 통해 기존의 물리적 검증을 위한 관측방법 보다 명확하게 실험 후 구름 및 강수의 발달을 증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시스템의 항공관측장비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항공기 상에 배치된 항공관측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시스템에 사용되는 항공관측장비(200)는 실험항공기(210)에 설치되며, 구름씨앗 시딩 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 그리고 상기 구름씨앗 시딩 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를 이용하여 구름 내 미세물리적 변화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공관측장비(200)는 실험항공기(210)에 배치되어 구름의 꼭대기에서부터 바닥까지의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고, 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고, 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시딩고도 또는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항공관측장비(200)는 구름응결핵계수기(240), 구름조합프로브(220) 및 강수이미징프로브(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름응결핵계수기(Cloud Condensation Nuclei Counter: 240)는 구름의 응결핵으로 작용하는 에어로졸의 크기분포를 관측한다.
상기 구름응결핵계수기(240)는 0.75∼10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구름응결핵으로 작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을 관측할 수 있는 장비로서,시딩전,후 직선관측 및 연직관측자료 비교를 통해 구름씨앗의 확산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름응결핵계수기(Cloud Condensation Nuclei Counter)는 실험항공기(210)의 내부에 배치되며, 등속 유입구(Isokinetic Inlet)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로졸을 구름씨앗 시딩 전후로 비교분석하여 구름응결핵의 농도 변화 확인을 통해 구름씨앗의 확산을 확인할 수 있다.
구름콤비네이션프로브(Cloud Combination Probe: 220)는 에어로졸, 구름물방울 및 작은 강수입자의 크기분포와 형태를 관측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름콤비네이션프로브(220)는 2∼50마이크로미터 사이의 에어로졸 및 작은 구름물방울의 크기분포와 동시에 25∼1550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구름물방울 및 작은 강수입자의 크기분포와 형태를 관측할 수 있는 장비로서,시딩 전,후 직선관측 및 연직관측자료 비교를 통해 구름씨앗의 시딩에 의한 구름물방울의 성장과 이에 강수입자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강수이미징프로브(Precipitation Imaging Probe: 230)는 큰 구름물방울 및 강수입자의 크기분포와 형태를 관측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강수이미징프로브(230)는 100∼6200마이크로미터 사이의 큰 구름물방울 및 강수입자의 크기분포와 형태를 관측할 수 있는 장비로서, 시딩 전,후 직선관측 및 연직관측자료 비교를 통해 구름씨앗의 시딩에 의한 구름물방울 및 강수입자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상관측장비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도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가 탑재된 실험항공기만으로 인공증설 및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수행 및 검증이 가능하며, 또한 구름 미세물리 변화 입증을 통한 물리적 검증은 인공증설 및 인공증우 실험 결과의 과학적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항공관측장비
220: 구름콤비네이션프로브
230: 강수이미징프로브
240: 구름응결핵계수기

Claims (7)

  1. 실험항공기의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1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2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의 상기 연직관측정보,및 상기 직선관측정보 및,실험설계에 기초하여 구름씨앗 시딩을 수행하는 제3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4 단계;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상기 구름씨앗 시딩 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 그리고 상기 구름씨앗 시딩 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를 이용하여 구름 내 미세물리적 변화를 분석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는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꼭대기에서부터 바닥까지의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와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시딩고도 또는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항공관측장비가 등속 유입구(Isokinetic Inlet)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로졸을 구름씨앗 시딩 전후로 비교분석하는구름응결핵계수기(CCN Counter)를 이용하여 구름씨앗 시딩에 따른 구름응결핵의 농도 변화를 확인하고, 실험항공기의 날개에 부착하여 에어로졸, 구름 및 작은 강수입자를 직접 관측하는 구름콤비네이션프로브(Cloud Combination Probe), 상기 구름콤비네이션프로브에서 측정되는 강수입자 보다 더 큰 범위의 강수입자를 직접 관측하는 강수이미징프로브(Precipitation imaging probe)를 이용하여구름입자가 강수입자로 성장하는 구름 내 미세물리적 변화를 확인하는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6. 실험항공기에 설치되며, 구름씨앗 시딩 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 그리고 상기 구름씨앗 시딩 후의 연직관측정보와 직선관측정보를 이용하여 구름 내 미세물리적 변화를 관측하는 항공관측장비;
    를 포함하고,
    상기 항공관측장비는,
    구름의 응결핵으로 작용하는 에어로졸을 관측하는 구름응결핵계수기(Cloud Condensation Nuclei Counter);
    에어로졸, 구름물방울 및 작은 강수입자의 크기분포와 형태를 관측하는 구름콤비네이션프로브(Cloud Combination Probe); 및
    상기 구름콤비네이션프로브에서 측정되는 강수입자보다 더 큰 범위의 큰 구름물방울 및 강수입자의 크기분포와 형태를 관측하는 강수이미징프로브(Precipitation Imaging Probe);
    를 포함하는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항공관측장비는,
    구름의 꼭대기에서부터 바닥까지의 고도 또는 최저비행고도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고,
    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나선형의 연직관측정보를 측정하고,
    구름의 바닥 또는 최저비행고도로부터 시딩고도 또는 구름의 꼭대기까지의 직선관측정보를 측정하는 직접관측(In-situ)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시스템.

KR1020160103740A 2016-08-16 2016-08-16 직접관측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86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40A KR101860716B1 (ko) 2016-08-16 2016-08-16 직접관측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40A KR101860716B1 (ko) 2016-08-16 2016-08-16 직접관측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412A KR20180019412A (ko) 2018-02-26
KR101860716B1 true KR101860716B1 (ko) 2018-05-24

Family

ID=6153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740A KR101860716B1 (ko) 2016-08-16 2016-08-16 직접관측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7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536A (ko) * 2020-09-14 2022-03-22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겨울철 산악지역 지형성 구름 대상의 인공증설 항공실험 및 물리적 검증 방법
KR20220170013A (ko) * 2021-06-22 2022-12-29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인공강우 항공실험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효과 분석방법
KR102489866B1 (ko) 2021-12-24 2023-01-19 대학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구름 물리 실험용 이중구조 챔버장치
KR102509552B1 (ko) 2021-12-24 2023-03-15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구름챔버와 에어로졸챔버를 구비하는 구름 물리 실험 시스템
KR20230087643A (ko) * 2021-12-09 2023-06-19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풍계에 따른 시딩영향영역 및 시딩비영향영역 결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048B1 (ko) * 2020-06-24 2022-12-05 대한민국 기상 항공기 기반의 인공증우 실험을 위한 시딩 가능한 유효운 탐지 방법
KR102575240B1 (ko) * 2021-03-29 2023-09-07 대한민국 이중 구름관측을 통한 인공강우 항공실험 씨뿌리기 효과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628541B1 (ko) * 2021-05-04 2024-01-25 대한민국 구름씨뿌리기 효과 확인을 위한 인공강우 성분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2663384B1 (ko) * 2021-10-21 2024-05-08 대한민국 구름씨 뿌리기 항공 실험을 통해 살포된 흡습성 시딩 물질이 지상 에어로졸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방법
KR20230110851A (ko) * 2022-01-17 2023-07-25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강수 증가 검증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060B1 (ko) 2008-12-19 2011-11-09 대한민국 인공증설 또는 인공증우 목표지역 시딩 및 검증방법
KR101566381B1 (ko) 2014-05-30 2015-11-09 대한민국 지상 검증망에 적합한 인공증설 항공실험의 시딩라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060B1 (ko) 2008-12-19 2011-11-09 대한민국 인공증설 또는 인공증우 목표지역 시딩 및 검증방법
KR101566381B1 (ko) 2014-05-30 2015-11-09 대한민국 지상 검증망에 적합한 인공증설 항공실험의 시딩라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재원 외 10인, ‘산악지형을 이용한 인공증설 항공실험 실시 및 분석 방법: 대관령지역 적용 사례’,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국립기상연구소 기술노트 2013, NIMR-TN-2013-014.
정진임 외 13인, ‘흡습성물질을 이용한 안개조절 실험 수행에 대한 가이드라인’,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국립기상연구소 기술노트 2013, NIMR-TN-2013-013.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536A (ko) * 2020-09-14 2022-03-22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겨울철 산악지역 지형성 구름 대상의 인공증설 항공실험 및 물리적 검증 방법
KR102511156B1 (ko) * 2020-09-14 2023-03-17 대한민국 겨울철 산악지역 지형성 구름 대상의 인공증설 항공실험 방법
KR20220170013A (ko) * 2021-06-22 2022-12-29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인공강우 항공실험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효과 분석방법
KR102625890B1 (ko) 2021-06-22 2024-01-17 대한민국 인공강우 항공실험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효과 분석방법
KR20230087643A (ko) * 2021-12-09 2023-06-19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풍계에 따른 시딩영향영역 및 시딩비영향영역 결정방법
KR102625891B1 (ko) 2021-12-09 2024-01-18 대한민국 풍계에 따른 시딩영향영역 및 시딩비영향영역 결정방법
KR102489866B1 (ko) 2021-12-24 2023-01-19 대학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구름 물리 실험용 이중구조 챔버장치
KR102509552B1 (ko) 2021-12-24 2023-03-15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구름챔버와 에어로졸챔버를 구비하는 구름 물리 실험 시스템
KR20230098479A (ko) 2021-12-24 2023-07-04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구름 물리 실험용 이중구조 챔버장치
KR20230098477A (ko) 2021-12-24 2023-07-04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구름 물리 실험용 이중구조 챔버장치
KR20230098480A (ko) 2021-12-24 2023-07-04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구름챔버와 에어로졸챔버를 구비하는 구름 물리 실험 시스템
KR20230098478A (ko) 2021-12-24 2023-07-04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구름 물리 실험용 이중구조 챔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412A (ko) 201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716B1 (ko) 직접관측 구름물리 항공관측장비를 이용한 인공증설과 인공증우 항공실험의 물리적 검증 방법 및 시스템
Altstädter et al. ALADINA–an unmanned research aircraft for observing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of ultrafine particles with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JP2018072308A (ja) エアロゾル、雲及び降雨の遠隔観測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0071305A2 (en) Seeding and verification method for targetted cloud seeding
KR101566381B1 (ko) 지상 검증망에 적합한 인공증설 항공실험의 시딩라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Lu et al. Examination of microphysical relationships and corresponding microphysical processes in warm fogs
KR101820728B1 (ko) 인공강설를 위한 시딩 조건 및 고도를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Houze Jr Nimbostratus and the separation of convective and stratiform precipitation
Byers et al. Meteorological aspects of aircraft icing
KR20180118092A (ko) 에어로졸, 구름 및 강우 원격관측시스템 및 방법
Isaac et al. Summer cumulus cloud seeding experiments near Yellowknife and Thunder Bay, Canada
KR20210117761A (ko) 인공강우 항공 실험을 위한 비행 경로 설계 시스템 및 방법
Black et al. The mystery of cloud electrification
Wu et al. The microphysical characteristics of wintertime cold clouds in North China
Kucera et al. Features of the Weather Modification Assesment Project in Southwest Region of Saudi Arabia
Stewart et al. Precipita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during accretion in Canadian east coast winter storms
US12007528B2 (en) Method and system of verifying increase in precipitation
Scott The influence of primary nucleation and rime splintering on ice number concentrations in Southern Ocean cumuli
Orikasa et al. In situ measurements of cloud and aerosol microphysical properties in summertime convective clouds over Eastern United Arab Emirates
Altstädter et al. ALADINA–an unmanned research aircraft for observing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of ultrafine particles with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Taylor et al. Observations of cloud microphysics and ice formation during COPE.
Pokharel et al. The impact of glaciogenic seeding on snowfall from shallow orographic clouds over the Medicine Bow Mountains in Wyoming
KR102575240B1 (ko) 이중 구름관측을 통한 인공강우 항공실험 씨뿌리기 효과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511156B1 (ko) 겨울철 산악지역 지형성 구름 대상의 인공증설 항공실험 방법
Varcie Precipitation growth processes in the comma head region of an east coast winter st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