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026B1 - System for psychological aptitude test using user’s moving information on multi maze zon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sychological aptitude test using user’s moving information on multi maze z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026B1
KR101860026B1 KR1020170085854A KR20170085854A KR101860026B1 KR 101860026 B1 KR101860026 B1 KR 101860026B1 KR 1020170085854 A KR1020170085854 A KR 1020170085854A KR 20170085854 A KR20170085854 A KR 20170085854A KR 101860026 B1 KR101860026 B1 KR 10186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rea
psychological
maze
apt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riority to KR1020170085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0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0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using a user′s moving information on a multi maze 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who wishes to perform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within a selectable maze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section areas are continuously formed like a labyrinth can determine a psychological aptitude type by means of movement information that moves directly to another adjacent block area according to the selected result after viewing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question provided in each section area, and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is provided in a smart terminal or HMD-reproduced augmented reality content possessed by the user arriving at each block area. As a result, by increasing the user′s understanding and immersion about the situation presented in each item, it is possible to make the user feel more comfortable by simply moving a lot of compartment areas forming the optional maze area like a multi-experience room.

Description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SYSTEM FOR PSYCHOLOGICAL APTITUDE TEST USING USER’S MOVING INFORMATION ON MULTI MAZE ZO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sychological aptitude checking system us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on a multi-

본 발명은 심리적성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구획영역이 미로처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 심리적성검사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보고 선택한 결과에 따라 인접한 다른 구획영역으로 직접 이동하는 이동정보에 의해 심리적성유형을 판별할 수 있게 하고, 심리적성검사 문항은 각 구획영역에 도착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나 HMD에서 재생되는 증강현실 콘텐츠로 제공되어 각 문항에서 제시하는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와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루는 다수의 구획영역을 멀티 체험방처럼 즐기면서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심리적성을 흥미롭게 도출할 수 있게 한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system in which a user who wishes to perform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n an optional maze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re continuously formed like a maze, And the psychological aptitude type can be determined by the movement information that moves directly to another adjacent block area according to the selected result, and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is reproduced in the smart terminal or the HMD possessed by the user who arrives in each block area By provid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increasing the user's understanding and immersion about the situation presented in each item, it is possible to make the user feel comfortable by simply moving a large number of compartment areas forming the selective maze area like a multi- A company in a multi-maze area that enables you to excite your aptitude. Now move the information relates to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systems used.

일반적으로 심리검사는 성격, 지능, 적성과 같은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들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다양한 도구들을 이용하여 검사 참여자의 특성들을 양적, 질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일련의 절차를 의미한다.In general, psychological tests are intended to identify vario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such as personality, intelligence, and aptitude. They are a series of procedures for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est participants using various tools do.

이러한 심리검사를 통해서 각 사람마다의 개인차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최근에는 청소년기에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등 개인에 대한 진단과 평가의 도구로 심리검사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Since these psychological tests allow individual persons to know about individual differences, the use of psychological tests has been increasingly used as a tool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of individuals, such as being used as a means to determine their own career in adolescence .

특히 적성검사는 개인이 잠재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검사하는 것으로서, 특정 분야의 교육훈련이나 직업과 관계되는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특수능력의 소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 검사이다. 이러한 적성검사는 교육훈련과 직업 계획을 위해 사용되는 심리검사의 한 유형으로서 심리적성검사로 칭하기도 한다.In particular, an aptitude test is an examination designed to measure the degree of possession of special abilities needed to successfully perform an educational activity or career-related activity in a particular field, This aptitude test is a type of psychological test used for training and career planning, sometimes referred to as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이처럼 각 개인의 성격이나, 적응 능력 또는 어떠한 분야에 소질을 갖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다양한 검사들이 소개되었고, 그러한 여러 검사들이 지금도 시행되고 있다.A variety of tests have been introduced to test the psychological aptitude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adaptive capacity, or disadvantages of each individual, and many such tests are still in progress.

이러한 심리적성검사의 대부분은 개인의 적성을 평가할 수 있는 다수의 문제를 출제하고 이를 제한된 시간동안 풀게 한 후, 그 결과를 평가요원들이 직접 채점하고 분석하여 검사에 참가한 개인의 적성을 평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Most of these psychological aptitude tests are based on evaluating the aptitudes of individual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test by self-assess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a number of problems that can be assessed for individual aptitude and solving them for a limited time. .

그에 따라, 종래에는 종이형태의 적성검사지를 직접 받아서 문제를 푼 후 제출하는 형태 위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1698호(발명의 명칭 :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8605호(발명의 명칭 : 적성 검사 방법)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심리적성검사를 제공하는 서버나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평가를 위한 문제를 내려 받고 컴퓨터나 스마트폰 상의 입력수단으로 선택한 답을 입력하여 평가가 이루어지는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past, the paper-type aptitude test paper was directly received and solved after the problem was solved. However, in recent years, Korean Patent No. 10-1661698 (entitled " On-line Psychological Analysis Service ) And a server or a web site providing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o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computer or a smart phon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538605 (entitled " Aptitude Test Method " And inputting the answer selected by the input means on a computer or a smart phone.

이처럼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심리적성검사를 수행할 경우, 적성검사를 위한 문제를 수령하기 위해 특정 장소에 가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이 있으며, 문제를 푼 결과를 토대로 분석되는 개인의 적성 평가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해 신속하게 도출되어 검사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되어, 적성검사를 시행하는 기관으로서도 빠르고 정확한 결과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When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s performed using a computer or a smart phone, there is a convenience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go to a specific place in order to receive a problem for an aptitude test, and the evaluation of the aptitude of the individual,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quick and accurate results even as an institution performing an aptitude test.

그러나, 이처럼 종래부터 최근까지 제공되던 대부분의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심리적성검사들은 검사지 상에 활자화되어 있는 문제를 보고, 함께 제공되는 몇 개의 선택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형태에 국한되었는바, 검사지에서 제공되는 설문에 대한 선택이 해당 상황에 실제 처하게 되었을 때 검사자의 실질적인 느낌이나 선호도에 따른 선택이라기보다는 어렴풋한 상상 속에서 행해지는 불명확한 상상에 기초하는 선택일 수 밖에 없는 근본적인 한계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most of the off-line or on-line psychological aptitude tests that have been provided from the past to the past have been limited to the form in which one of the several optional items is selected to see a problem typed on the test page, The choice of the questionnaire in question becomes a fundamental limitation that can only be a choice based on an unclear imagination that is performed in a dimly imagined rather than a choice according to the actual feelings or preferences of the examinee .

특히, 여러 측면에서 아직 경험이 많지 않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적성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심리적성검사를 수행할 경우, 적성검사지에서 제공되는 모든 설문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이 진짜 원하는 것을 가리키는 선택항목이 어떤 것인지 활자화된 문자만을 보고 정확히 판단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a young person who has not yet experienced in many aspects conducts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s a means of grasping his / her aptitude, it is necessary to clearly understand the meaning of all questionnaires provided in the aptitude test pap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judge exactly what type of item the letter type character i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8605호Korean Patent No. 10-1538605

본 발명은 다수의 구획영역이 미로처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 심리적성검사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보고 선택한 결과에 따라 인접한 다른 구획영역으로 직접 이동하는 이동정보에 의해 심리적성유형을 판별할 수 있게 하고, 심리적성검사 문항은 각 구획영역에 도착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나 HMD에서 재생되는 증강현실 콘텐츠로 제공되어 각 문항에서 제시하는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와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루는 다수의 구획영역을 멀티 체험방처럼 즐기면서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심리적성을 흥미롭게 도출할 수 있게 한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inding that a user who wishes to perform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n a selectable maze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re continuously formed like a maze can see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ovid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and directly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are provided as augmented reality contents reproduced in the smart terminal or the HMD possessed by the user who arrives at each block area, The user can understand his / her psychological aptitude easily by merely enjoying and moving as many learning zones as the multi-maze area, Providing a psychological aptitude checking system us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은, 개별적인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각각 구비된 다수의 구획영역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택형 미로영역에서, 각 심리적성검사 문항의 선택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 내의 구획영역 상호간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선택형 미로영역의 스캔 정보를 토대로 구획영역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이동정보를 획득하고,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표출시키는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의 전체적인 배치 형태인 미로 맵을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이동정보를 수신하여 각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선택형 미로영역을 거친 후 최종 구획영역에 도착한 사용자의 적성유형을 판별하여 저장하고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적성검사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system us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on a multi-maze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selectable maze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each having individual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are continuously form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user moving between the divided areas within the selective maze area and the sca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maze area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moving in the divided area is obtained, A smart terminal that displays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And a maze map, which is an overall arrangement type of the selectable maze area, receives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by the smart terminal, grasps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ach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And an aptitude test management server for discriminating and storing an aptitude type of a user who arrives at a final partition area and providing the stored aptitude type to each user.

삭제delete

이때, 상기 각 구획영역에서 제시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나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HMD)에서 재생될 수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esent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are composed of a smart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or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can be played back in a head-mounted display (HMD).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The smar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루는 구획영역들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미로 맵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미로 맵 저장부; 심리적성검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동하면서 구획영역들을 미리 스캔하여 구획영역 상호간의 방향과 거리와 심도를 측정함으로써, 추후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획득하게 되는 스캔 정보를 비교할 수 있는 초기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미로영역 스캔 저장부; 심리적성검사를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가 구획영역 상호간을 이동하는 방향과 속도와 심도를 측정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미로영역 스캔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초기 스캔 데이터와 비교하여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위치 판단부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의 사용자 이동 경로를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에서 추적할 수 있게 하는 위치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aze map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aptitude check management server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receiving and storing a maze map indicating a layout type of partition areas constituting the selective maze area; Before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s performed, the direction and distance between the divided areas are measured in advance by scanning the divided areas while moving the selective maze area, thereby comparing the sca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user for the subsequent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 maze area scan storage unit for generating and storing initial scan data; The user may generate the scan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direction, speed and depth of movement of the divided areas, and then compare the initial scan data stored in advance in the maze area scan storage unit with the initial scan data stored in the maze area scan storage unit, A user posi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display unit; And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that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ed by the user location determination unit to the aptitude check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the user aptitude path in the aptitude maze area to be tracked by the aptitude check management server And a second portion.

이때,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실내에서의 위치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방향과 속도를 포착할 수 있는 모션 추적 카메라와, 깊이와 심도를 측정할 수 있는 3D 심도 센싱용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전후, 좌우, 또는 상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계와, 각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를 더 포함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mart terminal may include a motion tracking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 direction and a velocity according to a user's motion so as to improve the accuracy of position determination in a room, a 3D depth sensing And a smart phone including a gyroscope capable of detecting an angular velocity and an accelerometer capable of detecting movement of the user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s.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형성하고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성화시켜 재생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contents implementing unit for activating and reproduc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s forming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provid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이때,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 판단부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정보를 미로 맵상의 구획영역 배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해당 구획영역에 충분히 진입한 것으로 인지되면, 그 구획영역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에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implementer compares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ed by the user position determination unit with the partition area arrangement information on the maze map, and if it is recognized that the user has sufficiently entered the partition area, And to automatically activate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to be provided to a smart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또한,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는,The aptitude check management server may further include:

선택형 미로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구획영역들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미로 맵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미로 맵 등록부; 사용자의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다수의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구획영역에 들어온 사용자에게 제시될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각 구획영역에 매치시켜 등록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 매칭부; 심리적성검사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선택형 미로영역상의 각 구획영역을 이동하는 이동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경로 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 위치 추적부;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추적부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의 선택형 미로영역 상에서의 이동정보에 의해 최종 구획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적성유형을 해당 사용자의 심리적성결과로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적성유형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abyrinth map registering unit for storing a labyrinth map representing a layout form of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forming a selectable labyrinth region in a database and providing the labyrinth map to the smart terminal; A number of psychological aptitude items to be selected by the user for the user's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re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match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to be presented to the user in the compartment area are registered in each compartment area part; A user location tracking unit for receiving movement information from a smart terminal for moving a user's mental aptitude area in each of the segment areas on an optional maze area and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 database as user's route information; And an aptitude type registration unit for storing the aptitude type assigned to the final segment area by the movement information on the user-selected maze area stored by the user location tracking unit as a psychological aptitude result of the user and providing the aptitude type to the user .

본 발명은 활자화되어 문자 등의 형태로 페이퍼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정적인 심리적성검사를 벗어나,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한 선택을 위해 사용자들이 넓은 공간에 미로처럼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구획영역을 직접 이동하는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심리적성검사에 참가하는 사용자의 검사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a static psychological aptitude test for solving the problem of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 letter or the like in the form of a letter or the like through a paper or a web pag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plurality of maz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otivation of the users participating in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by inducing the active participation to move the block area directly.

또한, 본 발명은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각 구획영역에 도착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나 HMD에서 재생되는 증강현실 콘텐츠로 제공됨으로서, 각 문항에서 제시하는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와 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심리적성검사 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provided in each block area as augmented reality contents reproduced in a smart terminal or an HMD possessed by a user who arrives at each block are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the immersion degre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result.

또한, 본 발명은, 시험형태의 적성검사를 벗어나,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루는 다수의 구획영역을 멀티 체험방처럼 즐기면서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심리적성을 흥미롭게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interesting to derive the psychological aptitude of the user by merely mo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 areas constituting the selectable maze area while enjoying it as a multi-experience room, out of the aptitude test of the test 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리적성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멀티 미로영역의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리적성검사를 위한 MBTI 16가지 성격유형 판별지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BTI 16가지 성격유형의 분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구획영역에서 인접한 다른 구획영역으로 이동하는 도어의 선택 예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오프라인 상의 멀티 미로영역에서 영역 이동을 위해 제공되는 MBTI 성격유형 판별지표의 문항 예시도.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에 따라 심리적성검사가 완료된 최종 영역에서 체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의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psychological aptitude checking system us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on a multi-maz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lti-maze area for perform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16 types of personality type discrimination indexes for MBTI for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lassification of 16 types of MBT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lection example of a door moving from a partition area to another adjacent partition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s 6 to 9 illustrate an example of an item of the MBTI personality type discrimination indicator provided for area movement in an off-line multi-maz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13 are illustrations of simulations that can be experienced in the final area where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sychological aptitude checking system us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on a multi-maz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은, 개별적인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각각 구비된 다수의 구획영역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택형 미로영역(100)에서, 각 심리적성검사 문항의 선택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 내의 구획영역 상호간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선택형 미로영역의 스캔 정보를 토대로 구획영역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이동정보를 획득하고,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표출시키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의 전체적인 배치 형태인 미로 맵을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이동정보를 수신하여 각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선택형 미로영역을 거친 후 최종 구획영역에 도착한 사용자의 적성유형을 판별하여 저장하고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적성검사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psychological aptitude checking system us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on a multi-maz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ective maze area 100 in which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each having individual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Acquires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moving in the divided area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user moving between the divided areas within the selective maze area and the sca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maze area photographed by the camera according to whether or not each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is selected A smart terminal 200 for displaying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provid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a maze map registering a maze map as a whole arrangement type of the selectable maze area, receiving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from the smart terminal, By identifying the user's choice information on the psychological aptitude items, And an aptitude test management server 300 for discriminating and storing an aptitude type of a user who has arrived at the final compartment area after passing through a station and providing the stored information to each user.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100)은, 오프라인 공간상에서 벽체에 의해 나뉘어져 있는 다수의 구획영역이 미로처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각 구획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한 선택 결과에 따라 인접한 구획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어가 각 구획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개별적인 방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In the selective maze area 100, a plurality of partition areas divided by walls in an off-line space are continuously formed like a maze, and the user selects the adjacent maze area 100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A door movable to the partition area is configured to form a separate room structure formed in each partition area.

이러한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인 정사각형 구조의 공간에 다수의 구획영역을 미로처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공간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을 구현하고자 하는 장소의 크기 및 전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2, the optional maze area 100 may be configured to form a maze of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in a space of a substantially square structure, But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and overall shape of the place where the maze area is to be implemented.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100)을 이루는 각 구획영역에는 심리적성을 검사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직접 보고 선택할 수 있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각각 구비되어 있어, 구획영역들 상호간의 이동이 각 심리적성검사 문항의 선택결과에 의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Each of the divisional areas constituting the selective maze area 100 is provided with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which can be directly selected and checked by the user who wishe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aptitude. And is configured to be dependent on the result.

이를 위하여,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100)의 각 구획영역에는 사용자의 심리적성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성검사 문항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구획영역의 출구인 도어에는 해당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항목들이 할당되어 있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출구인 도어나 통로를 통한 인접 구획영역으로의 이동에 의해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한 자신의 선택결과를 외부로 표출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various mental aptitude test items that can be used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of the user are provid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of the selective maze area 100, and the door, which is an exit of each of the divided areas, The user is able to express his / her selection result on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by moving to the adjacent compartment area through the door or the passage, which is the exit that he / she has selected .

이때, 상기 각 구획영역에 구비되어 있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은 사업자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나, 다수의 구획영역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택형 미로영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다수의 구획영역들을 통과한 사용자의 심리적성 분석이 용이하도록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접하게 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들 상호간에도 연관성이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ovided in each of the above-mentioned compartment areas can be variously set by the business operator, bu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able maze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compartment areas are continuously connected, It is desirable that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that the user continuously touches are easi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그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프라인 상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심리적성검사인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검사지 상의 문항을 기반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에서 판단하게 되는 사용자의 심리적성 결과를 MBTI 검사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16가지 유형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 구획영역에 구비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이러한 특정종류의 검사지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확장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ly,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sychological aptitude result of the user to be determined by the aptitude test management server is configured as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based on the items on the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16 types that can be derived by inspection.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ovided in the divided areas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 of the specific kind of test papers but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modified.

이러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마이어스(Myers)와 브릭스(Briggs)가 스위스의 정신분석학자인 카를 융(Carl Jung)의 심리 유형론을 토대로 고안한 자기 보고식 성격 유형 검사 도구로서, 시행이 쉽고 간편하여 학교, 직장, 군대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MBTI는 다음과 같은 4가지 분류 기준에 따른 결과에 의해 검사자를 16가지 심리 유형 중에 하나로 분류하게 되는데, 그 분류기준은 정신적 에너지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외향-내향(E-I) 지표, 정보 수집을 포함한 인식의 기능을 나타내는 감각-직관(S-N) 지표,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결정 내리는 사고-감정(T-F) 지표, 인식 기능과 판단 기능이 실생활에서 적용되어 나타난 생활양식을 보여 주는 판단-인식(J-P) 지표이다. MBTI는 이 4가지 선호 지표가 조합된 양식을 통해 16가지 성격 유형을 설명하여, 성격적 특성과 행동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돕는데 활용된다.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is a self-report personality type test tool designed by Myers and Briggs based on the psychological typology of Swiss psychoanalyst Carl Jung. It is easy and simple and widely used in schools, workplaces, and the military. The MBTI classifies the examiner into one of 16 psychological typ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ollowing four classification criteria: outward-inward (EI) index indicating the direction of mental energy, recognition (SN) indicators that represent the functions of a person, a thinking - reasoning (TF) indicator that reasonably judges and makes decisions based on collected information, a judgment - recognition JP) Indices. MBTI is used to help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behavior by explaining 16 personality types through a combination of these four preference indicators.

또한, 상기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상기 MBTI 검사지 상의 문항을 기반으로 구현될 경우,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은 하나의 분류 항목당 최소 4개의 구획영역으로 구현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구획영역 내에서의 반복선택을 통해 올바른 심리적성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ovided in the respective compartment areas are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items on the MBTI test page, the optional maze area is implemented as at least four compartment areas per one classification item, It is desirable to make it possible to perform a correct psychological aptitude test through repetitive selection at

만약 하나의 분류 항목에 대하여 한 번의 선택기회밖에 주어지지 않는다면, 사용자로서는 한 번의 미흡한 선택으로 자신의 심리적성을 잘못 도출하게 될 우려가 있는바, 하나의 분류 항목당 최소 4개의 구획영역으로 이루어져, 분류 항목마다 최소한 두 번의 선택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의 도출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only one selection opportunity is given for one classification item, there is a concern that the user may misjudge his / her psychological aptitude with one insufficient selection, It is desirable that at least two selection opportunities can be given to each classification item so that more accurate inspection results can be derived.

그에 따라, 도 2에서는 인접한 영역들로 이루어진 4개의 구획영역들을 동일한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분류 항목당 4개의 구획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을 설치하고자 하는 오프라인 상의 공간이 충분히 넓을 경우 분류항목당 6개, 8개, 10개, 12개의 구획영역으로 확장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ly, in FIG. 2, four partition areas made up of adjacent areas are displayed in the same color, so that four partition areas per classification item are shown. 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to six, eight, ten, and twelve segment areas per classification item when the space on the off-line to install the optional maze area is wide enough.

또한, 상기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은 구획영역 내부에 비치되어 있는 단순한 텍스트나 이미지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오프라인 상의 넓은 공간에 있는 다수의 구획영역을 이동하면서 심리적성검사 문항에서 제시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 단순한 페이퍼 형태나 웹페이지 형태를 벗어나 심리적성검사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활동적이고 적극적인 형태로 이루어지게 한 본 발명의 특징을 고려할 때, 상기 심리적성검사 문항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200)나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HMD : head mounted display)(미도시)에서 재생될 수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ovided in each of the above-mentioned compartment areas may be composed of simple text or images stored in the compartment area. However, Considering 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presented items can be selected so that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s out of simple paper form or web page form in an active and aggressive form that induces user's movement, And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can be reproduced in a smart terminal 200 or a head mounted display (HMD) (not shown) carried by the user.

이처럼 상기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증강현실 콘텐츠로 구성될 경우, 상기 각 구획영역에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배경 이미지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이동거리, 방향, 심도 등을 산출하여 구획영역 내에 있음을 인지한 후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When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is composed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a background image capable of activa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and a background image may be provided in the selected maze area. The moving distance, the direction, the depth, and the like, and may be automatically activated after recognizing that the area is within the divided area.

이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로 그 배경 이미지를 인식하거나,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스마트 단말기나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에서 활성화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로서는 페이퍼나 웹페이지 상의 문제형태가 아닌 현실감 있는 심리적성검사 항목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페이퍼 형태나 웹페이지 형태로 접할 경우 해당 심리적성검사 항목에서 제시하는 상황을 억지로 가정하여 떠올리면서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증강현실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체험하면서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심리적성검사 항목을 풀어가는 노력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자신의 실제 적성에 적합한 선택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background image is recognized by the smart terminal, or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to be provid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are automatically recognized by the smart terminal 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the contents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which is realistic rather than the problem form on the paper or the web page. Accordingly, when the user accesses the form of paper or web page, it becomes possible to select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while visually experienc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without the hassle of selecting and remembring assuming the situation presented in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duce the effort to solve the item, but also to select the result suitable for the actual suitability of the user.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구획영역에서 증강현실 콘텐츠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체험하면서 자신이 선호하는 선택항목을 제시하는 구획영역으로 이동하는 경로상의 최종 구획영역에는 자신이 다수의 구획영역을 통과하면서 선택한 결과에 상응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심리적성검사 상의 적성유형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can experience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provided in the form of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or the like in a plurality of compartment areas constituting the selectable maze area, It is desirable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can inform a user of an aptitude type on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that can be derived corresponding to a selected result whi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이와 같이 선택형 미로영역의 최종 구획영역에서는 각 적성유형별로 자신의 심리적성검사 결과를 알려주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로서는 검사결과를 위해 기다릴 필요가 없음은 물론, 검사결과를 설명하는 복잡하고 추상적인 분석 내용을 읽지 않고도, 자신의 적성유형을 잘 설명하는 증강현실 콘텐츠에 의해 검사결과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providing the result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of each aptitude type are provided in the final compartment area of the selectable maze area,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wait for the test result,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test result by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that well describe the aptitude type of the user without reading the complex and abstract analysis contents.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루는 구획영역들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미로 맵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미로 맵 저장부(210)와, 심리적성검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동하면서 구획영역들을 미리 스캔하여 구획영역 상호간의 방향과 거리와 심도를 측정함으로써 추후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획득하게 되는 스캔 정보를 비교할 수 있는 초기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미로영역 스캔 저장부(220)와, 심리적성검사를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가 구획영역 상호간을 이동하는 방향과 속도와 심도를 측정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미로영역 스캔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초기 스캔 데이터와 비교하여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위치 판단부(230)와, 상기 사용자 위치 판단부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의 사용자 이동 경로를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에서 추적할 수 있게 하는 위치정보 전송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mart terminal 200 includes a maze map storage unit 210 connected to the aptitude check management server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and store a maze map indicating the arrangement form of the divided areas constituting the selective maze area, The user can move the selection maze area before the examination and measure the direction, distance, and depth between the divided areas by previously scanning the divided areas to determine the initial A maze area scan storage unit 220 for generating scan data and storing scan data; and a controller 220 for generating scan information by measuring a direction, a speed and a depth of a movement between the divided areas during execution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n comparison with the initial scan data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A user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30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user in the selective maze area, And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40 that enables the route to be tracked by the aptitude checking management server.

이러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소지하고 있는 통상적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와 같은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선택형 미로영역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위성기반의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을 넘어 건물내부와 같은 실내에서의 사용자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바, 실내에서의 위치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반 카메라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방향과 속도를 포착할 수 있는 모션 추적 카메라(Motion Tracking Camera)와, 깊이(Depth)와 심도(Depth of field)를 측정할 수 있는 3D 심도 센싱용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전후, 좌우, 또는 상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계(Accelerometer)와, 각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모두 구비하고 있는 별도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mart terminal 200 may be a general smart phone or a tablet PC having general users. However, in order to grasp the user movement information on the selective maze area,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the position of the user in the room such as the inside of the building.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position in the room, not only a general camera but also a camera A motion tracking camera and a 3D depth sensing camera capable of measuring a depth and a depth of field. The camera includes a camera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user in the front, rear, right, An accelerometer and a separate gyroscope capable of detecting the angular velocit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osed of a smart phone.

그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서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피씨에 공간 지각력을 부여하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구글 탱고에 적용된 레노버 펩2 프로(phab2pro)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상기 레노버 펩2 프로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여러 개의 센서와 카메라에 의해 실내 공간을 매핑하면서 그 공간내에서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주변의 지형지물을 분석하여 시각화 할 수 있게 된다. 즉, 스마트 단말기가 움직이게 되는 위치와 방향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바,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과 같이 실내에 구현된 다수의 구획영역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나 이동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있어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mart terminal is implemented with a Lenovo Pep 2 pro (phab2pro) applied to Google Tango which can provide a platform for imparting spatial perception to a mobile phone or a tablet PC. The Lenovo Pep 2 Pro can map the indoor space by a plurality of sensors and cameras installed therein, analyze the current location in the space, and analyze and visualize nearby features. That i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 which the smart terminal moves, 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reliability of accurately grasp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r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moving in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implemented in the room, .

이처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실내에서의 사용자 위치정보나 이동정보를 높은 정확도로 획득할 수 있는 단말기로 구성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심리적성검사를 실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로서는 이러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사업자로부터 수령한 후 선택형 미로영역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mart terminal 200 is configur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quir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or movement information in a room with high accuracy, as a user who wishes to perform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nter the selective maze area.

상기 미로 맵 저장부(210)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를 실행하기 위한 선택형 미로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구획영역들의 전체적인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미로 맵을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받아 자체적으로 구비된 메모리 등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The maze map storage unit 210 stores a maze map representing a general arrangement form of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forming a selected maze area for perform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stored in a self-contained memory or the like.

이와 같이 상기 미로 맵 저장부(210)에 의해 메모리 등에 저장된 미로 맵은 심리적성검사를 실행하고자 할 때 활성화되어 스마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됨으로써,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동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미로 맵 전체를 다 보여주도록 활성화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이동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지나간 구획영역들만을 활성화시켜 보여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aze map stored in the memory or the like by the maze map storage unit 210 is activated when the psychological aptitude check is performed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of the smart terminal, so that the user moving his / You will be able to verify. At this time, the maze map can be activated to show the entire maze map,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maze map can be activated and displayed only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미로영역 스캔 저장부(220)는, 사용자가 심리적성검사를 실행하기 전에 사업자나 관리자 등이 미리 선택형 미로영역의 각 구획영역들을 스캔하면서 공간을 학습하여 구획영역 상호간의 거리와 방향 등을 측정한 초기 스캔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메모리 등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The maze area scan storage unit 220 learns the space while the operator or the manager scans each of the division areas of the selective maze area before the user performs the psychological aptitude check to measure th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the division areas And stores the initial scan data in a memory or the like provided in the smart terminal.

이를 위하여, 상기 미로영역 스캔 저장부(220)에서는,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루는 각 구획영역들의 거리와 방향 및 심도 등을 공간정보로 획득할 수 있도록 모션 추적 카메라와 3D 심도 센싱용 카메라와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 등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에서 스캔한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For this purpose, the maze area scan storage unit 220 may include a motion tracking camera, a 3D depth sensing camera, an accelerometer, and a gyroscope to acquire distance, direction, and depth of each of the segment areas constituting the selectable maze area as spatial information. And generates initial scan data using information scanned by a plurality of cameras provided in a smart terminal such as a scope.

이와 같이 상기 미로영역 스캔 저장부(220)에서 저장되는 초기 스캔 데이터에 의해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루는 각 구획영역들의 공간정보가 상기 미로 맵에 매핑되어 저장됨으로써, 추후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사용자가 이동할 때 획득하게 되는 스캔 정보를 초기 스캔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사용자의 위치정보나 이동정보를 획득하는데 이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patial information of each of the divided areas forming the selected maze area is mapped to the maze map by the initial scan data stored in the maze area scan storage unit 220, so that when the user moves for a later psychological aptitude test The acquired scan information can be used to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or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while comparing the acquired scan information with the initial scan data.

상기 사용자 위치 판단부(230)는,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선택형 미로영역상의 구획영역들을 이동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측정되는 이동 방향과 속도와 심도 등으로 획득하게 되는 스캔정보를 상기 미로영역 스캔 저장부(220)에 의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초기 스캔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이동정보를 파악하도록 구성된다.The user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ca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user in the movement direction, speed, and depth measured in the smart terminal 200 owned by the user who moves the segment areas on the selectable maze area for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s compared with the initial scan data stored in advance by the maze area scan storage unit 220 so as to grasp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selectable maze area.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형 미로영역으로 진입할 때 모션 추적 카메라와 3D 심도 센싱용 카메라와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 등의 카메라와 센서들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하며, 이러한 카메라와 센서들에서 획득한 거리와 심도 및 각속도 등의 데이터를 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스캔 데이터와 비교하면서 사용자가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토대로 미로 맵 상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For this purpose, cameras and sensors such as motion tracking cameras, 3D depth sensing cameras, accelerometers and gyroscopes must be activated when the user enters the selective maze area. The distance, depth and angular velocit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in which direction the user has moved in the selective maze area while comparing the data of the user with the initial scan data stored in the memory or the like.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 위치 판단부(230)에서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와 센서에서 지속적으로 획득하게 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선택형 미로영역 내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게 되므로,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 있는 다수의 구획영역 상호간을 이동하는 사용자로서는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이나 그와 관련된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체험하면서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심리적성과 관련된 유형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user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30 automatically grasps the position of the user in the selective maze area based on the data continuously acquired by the camera and the sensor provided in the smart terminal. Therefore, for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The user who moves between the plurality of divisional areas within the divisional area can grasp the types of his / her psychological performance by simply experiencing the contents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provided in each divisional area or contents related thereto and continuously moving.

상기 위치정보 전송부(240)는, 심리적성검사 실행 중 상기 사용자 위치 판단부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구획영역 이동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 등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40 transmits the user's partition area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etc., which are detected by the user position determination unit dur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to the aptitude check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이와 같이 상기 위치정보 전송부(240)에서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구획영역 이동정보를 적성검사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적성검사 관리서버(300)에서는 별도의 페이퍼 형태나 웹페이지 형태로 이루어진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결과들을 모으거나 취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해 선택하였던 선택정보들을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각 구획영역에서 인접한 다른 구획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도어를 통과할 때 선택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지나간 구획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것만으로도 심리적성검사를 위한 문항에 대한 각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The aptitude check management server 30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selectable maze area and the partition area movement information to the aptitude check management server 300 as described above, The selecti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for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can be acqui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even if the user does not collect or collect the user's selection results for the items in the form or web page form. That is, since the user makes a selection when passing through the door to move to another adjacent divided area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by merely transmitting and storing information on the divided area,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for the item for the question.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형성하고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성화시켜 각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나 별도의 HMD에서 재생시키는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200 activat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form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ovid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and reproduces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contents in a smart terminal or a separate HMD possessed by each user (250).

이와 같이 심리적성검사 도중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에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부(250)가 더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로서는 단순한 텍스트 형태의 심리적성검사 문항뿐만 아니라, 2D 또는 3D 형태의 다양한 이미지나 영상으로 이루어진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보고 자신이 선호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implementer 250 is further provided in the smart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dur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so that the user can not only use the simpl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but also various images or images in 2D or 3D form You will be able to select your preferred items by looking at the psychological aptitude questions that have been made.

따라서, 종래에 페이퍼 형태나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되던 정적인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벗어나, 텍스트화된 심리적성검사 문항과 그에 대응한 선택항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미지나 영상으로 이루어진 상황설정과 선택항목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므로, 심리적성검사를 체험하는 사용자로서는 단순히 상상에만 의존하는 선택이 아닌 시각적으로 확인하거나 체험할 수 있는 상황에서의 항목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심리적성검사의 흥미를 배가시키면서도 검사 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which is a conventional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that has been provided in the form of a paper form or a web page, in addition to a textual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and a corresponding selection item, Therefore, as a user who experiences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 becomes possible to select an item in a situation in which a user can visually confirm or experience a situation rather than simply relying on imagination, thereby doubling the interest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이때,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부(250)는, 각 구획영역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별도의 배경 이미지를 구비함으로써, 해당 구획영역에 들어온 사용자가 다음 구획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심리적성검사 문항의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 단말기로 해당 배경 이미지를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implementing unit 250 may include a background image for activat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so that the user who has entered the divided areas can perform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nd may be configured to scan the corresponding background image with the smart terminal to activate the item.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사용자 위치 판단부(230)에서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심도 및 각속도 등을 측정하여 어느 구획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는바,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부(250)는 상기 사용자 위치 판단부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정보를 미로 맵상의 구획영역 배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해당 구획영역에 충분히 진입한 것으로 인지되면, 그 구획영역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200)나 HMD에서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ser location determiner 230 provided in the smart terminal can measure movement direction, depth, and angular velocity of the user to determine which partition area the user has entered, If the user compares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grasped by the user position determination unit with the partition area arrangement information on the maze map and the user is found to have sufficiently entered the partition area,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It is preferable to automatically activate the smart terminal 200 or the HMD.

그에 따라, 심리적성검사를 실행하는 사용자로서는, 다수의 구획영역을 이동하면서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관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흥미롭게 체험하면서 자신의 심리적성 유형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a user who performs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ype of his / her psychological aptitude while experiencing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ovided in each compartment area while moving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interestingly.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300)는, 선택형 미로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구획영역들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미로 맵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미로 맵 등록부(310)와, 사용자의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다수의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구획영역에 들어온 사용자에게 제시될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각 구획영역에 매치시켜 등록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 매칭부(320)와, 심리적성검사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선택형 미로영역상의 각 구획영역을 이동하는 이동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경로 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 위치 추적부(330)와, 상기 사용자 위치 추적부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의 선택형 미로영역 상에서의 이동정보에 의해 최종 구획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적성유형을 해당 사용자의 심리적성결과로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적성유형 등록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ptitude test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maze map registration unit 310 for storing a maze map representing a layout form of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forming a selectable maze area in a database and providing the maze map to the smart terminal,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matching unit 320 for storing a plurality of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to be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ination and register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to be presented to the user in the area of the compartments to each of the compartment areas and registering them; A user location tracking unit 330 for receiving movement information for moving a user's mental aptitude test from the smart terminal and storing the movement information in the database as user's route information, By the movement information on the user ' And an aptitude type registration unit 340 that stores the aptitude type assigned to the inactive user as a psychological aptitude result of the user and provides the aptitude type to the user.

상기 미로 맵 등록부(310)는, 선택형 미로영역을 형성하는 구획영역들의 전체적인 배치형태를 일종의 맵 형태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미로 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형 미로영역으로 들어가는 입구와, 심리적성검사를 마친 사용자가 선택형 미로영역에서 나오는 출구를 지정하게 됨은 물론, 다수의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제공받고 그에 대한 선택결과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접해 있는 다수의 구획영역들의 크기와 모양 등이 저장되고, 이러한 다수의 구획영역들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이동경로 말단의 최종 구획영역에는 도출된 심리적성검사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적성유형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구성된다.The maze map registering unit 31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sort of the overall arrangement form of the divided regions forming the selectable maze region and store the generated mappings in a database. 2, the maze map designates an entrance for the user to enter the selectable maze area for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nd a user who has completed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to designate the exit from the selectable maze area as well as a plurality of psychological aptitudes A size and a shape of a plurality of segment areas continuously contacted so as to be able to move according to a selection result of the test item are stored and the final segment area of the end of the travel path of the user moving the plurality of segment areas is derived And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aptitude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result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또한, 상기 미로 맵에는 각 구획영역의 선택형 미로영역 내 위치와 크기, 모양, 구획영역 상호간의 이동거리, 방향 등이 함께 저장되어 있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방향, 심도 등의 이동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상응하는 구획영역이 어디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의 전체적인 이동경로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aze map stores the position, size, shape, and movement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the selectable maze area of each division area together with the moving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user acquired from the smart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arti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such as the depth and depth, and to grasp the entire movement path of the user moving in the selectable maze area as shown in FIG. 2 .

도 2에서는 사용자의 이동경로의 예시로서, 7개의 도어를 통과하여 마지막에 위치하고 있는 적성유형영역에 도달할 수 있는 최단거리의 이동경로를 붉은색 점선으로 나타내었고, 12개의 도어를 통과하여 마지막에 위치하고 있는 적성유형영역에 도달할 수 있는 최장거리의 이동경로를 검은색과 노란색의 점선으로 나타내었다.In FIG. 2, as an example of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the shortest distance traveled through the seven doors and reaching the last aptitude type area is indicated by a red dotted line. The path of the longest distance that can reach the aptitude type area is shown by the dotted lines in black and yellow.

그에 따라, 심리적성검사를 수행하는 사용자로서는 도 2에 도시된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용할 경우, 최소 7개에서 최대 12개의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보고 인접한 두 개의 구획영역 중 하나의 구획영역으로 이동하는 선택을 하면서 각 이동경로의 마지막에 위치하고 있는 적성유형영역에 도달하여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a user perform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when the selective maze area shown in Fig. 2 is used, at least 7 to 12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are viewed and selection is made to move to one of two adjacent compartment areas And reaches the aptitude type area located at the end of each movement path and confirms the resul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MBTI를 기반으로 16개의 적성유형으로 판단하게 되는바, 각 이동경로의 마지막에 위치하게 되는 적성유형 영역은 상기 도 3에 개시된 MBTI 16가지 유형 판별지표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도 4에 개시된 유형들 중의 어느 하나가 할당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16 aptitude type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MBTI, and the aptitude type area located at the end of each movement path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MBTI 16 type discrimination indexes shown in FIG. 3 Lt; RTI ID = 0.0 > 4 < / RTI >

이때, 상기 심리적성검사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MBTI가 아닌 다른 검사를 기반으로 할 경우,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변경됨은 물론, 각 이동경로의 마지막에 위치하게 되는 적성유형영역에 할당되는 결과도 기반으로 하는 검사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ovided in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re based on tests other than the MBTI,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ovided in each block zone are changed, and the aptitude The results assigned to the type area can also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exa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또한, 상기 심리적성검사 문항 매칭부(320)는,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다수의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생성하고, 각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각 구획영역에 매치시킨 후, 그 문항 내의 선택항목을 각 구획영역에서 인접한 구획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어에 매치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matching unit 320 generates a plurality of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that the user must select for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matches each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to each block area, Is matched to a door that can be moved to an adjacent partition area in each partition area and stored in the database.

이때, 하나의 구획영역에서 인접한 다른 구획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도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선택항목이 부여될 수 있으며, 이처럼 2개의 선택항목이 각각 부여된 도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인접한 다른 구획영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door that can move from one partition area to another adjacent partition area can be given two selection items as shown in FIG. 5, and by selecting one of the doors to which the two selection items are respectively assigned, In the process of moving to another divisional area, the selection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is made.

또한, 상기 심리적성검사 문항 매칭부(320)는, 하나의 분류항목에 대하여 최소한 두 번의 선택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심리적성검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각 분류항목과 관련하여 두 개의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연속적으로 제시될 수 있도록 인접한 구획영역에 동일 분류항목과 관련된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매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hat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matching unit 320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by enabling at least two selections for one classification item. For this purpos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match the items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related to the same classification item in the adjacent compartment area so that the two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can be continuously presented.

그에 따라, 각 분류항목당 최소한 4개의 구획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서는 이처럼 동일 분류항목을 나타내는 최소 4개의 구획영역을 동일한 색으로 나타내었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each classification item includes at least four segment areas. In FIG. 2, at least four segment areas representing the same classification item are represented by the same color.

이처럼 연속적으로 제시될 수 있는 동일 분류항목과 관련된 심리적성검사 문항의 일 예를 각 분류지표에 따라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An example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related to the same classification item that can be continuously presented in this way is shown in Figs. 6 to 9 according to each classification index.

먼저, 첫 번째 성격유형 판별지표로서, ‘주의집중과 에너지 방향’과 관련하여 외향성(E)과 내향성(I)을 구별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가지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구획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두 번째 성격유형 판별지표로서, ‘정보수집과 인식방법’과 관련하여 감각형(S)과 직관형(N)을 구별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가지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구획영역에 연속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First,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extroversion (E) and introversion (I) in relation to 'attention and energy direction' as the first personality type discrimination index, two psychological aptitude items as shown in FIG. To distinguish between the tangent (S) and the intuitive (N) in relation to the 'information gathering and recognizing method' as a second personality type discriminating index, The two psychological aptitude items such as the bars are continuously provided in the compartment area so that the user's choice can be made.

또한, 세 번째 성격유형 판별지표로서, ‘판단과 의사결정 과정’과 관련하여 사고형(T)과 감정형(F)을 구별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가지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구획영역에 연속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네 번째 성격유형 판별지표로서, ‘행동이해와 생활양식’과 관련하여 판단형(J)과 인식형(P)을 구별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가지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구획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In order to distinguish the thinking type (T) from the emotion type (F) in relation to the 'judgment and decision-making process' as the third personality type discrimination index, two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J) and the recognition type (P) in relation to the 'behavior understanding and lifestyle' as the fourth personality type discrimination index, in order to distinguish the recognition type (P) from the recognition type Two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as shown in Fig. 4B are successively provided in the segment area so that the user's selection can be made.

이와 같이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난 심리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판별지표는 적용하고자 하는 심리적성검사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동일한 심리적성검사의 경우에도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얼마든지 달리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riminant index for analyzing the psychological types shown in FIGS. 6 to 9 can be sel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to be applied. Also, in the case of the sam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can be set at any number of times.

또한, 각 심리적성검사 문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텍스트 형태로 제공되어, 구획영역에 들어온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심리적성검사 문항의 선택환경을 사용자가 보다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나 증강현실 콘텐츠로 구현되는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each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may be provided in a simple text form as shown in FIG. 6 so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smart terminal of the user who entered the compartment area,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various types of images such as an image as shown in FIG. 7 or an image realized as augmented reality contents so as to experience a more realistic experience.

상기 사용자 위치 추적부(330)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선택형 미로영역상의 이동정보와 현재 어느 구획영역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심리적성검사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경로 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The user location tracking unit 330 receives the movement information on the user-selected maze area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200 connected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currently exists in the divided area, And is stored in the database as path information of the user performing the inspection.

이러한 사용자의 경로 정보에는 각 구획영역에서 인접한 다른 구획영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용자의 선택정보가 포함되어 있게 되는바, 이러한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만으로도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The path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each compartment area to another compartment area adjacent to the compartment area. Thus, by storing the path information, the user's choice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Information can be acquired.

상기 적성유형 등록부(340)는, 상기 사용자 위치 추적부(330)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경로 정보와, 선택형 미로영역을 모두 통과한 사용자가 도착하게 된 최종 구획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성격유형을 사용자의 심리적성검사 결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The aptitude type registration unit 340 receives the path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by the user location tracing unit 330 and the personality type assigned to the final compartment area where the user who has passed both the selected maze area has arriv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as a result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nd provided to the user.

이때, 심리적성검사 결과 도착하게 되는 최종 구획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각 성격유형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심리적성검사 결과를 인지하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various augmented reality contents that the user can perceive and experience the result of his / her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ccording to each personality type assigned to the final division area to arrive as a result of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re shown in Figs. 10 to 13 As shown in FIG.

그에 따라, 심리적성검사를 수행한 사용자, 특히 나이 어린 학생들로서는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텍스트화된 검사 결과를 수령하기 전에 다양한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해 자신이 선호하는 바에 따라 선택한 결과를 자신의 성격을 잘 알려줄 수 있는 이미지나 영상으로 이루어진 증강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면서 알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심리적성검사 결과를 이미지나 영상으로 이루어진 증강현실 콘텐츠의 체험으로 받아 보게 됨으로써, 그 결과가 자신의 심리적성을 잘 반영한 것인지 그렇지 않은 것인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users who have performed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especially younger students, will be able to select their own personality as a result of their preference for various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before receiving intuitively perceived textual test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experienc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composed of images or images that can be well informed. As a result of receiv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result as the experience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composed of images or images, it becomes intuitive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result reflects his / her psychological aptitude well.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히 활자화 되어 문자 등의 형태로 페이퍼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정적인 심리적성검사를 벗어나, 사용자들이 넓은 공간에 미로처럼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구획영역을 직접 이동하면서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한 선택을 함과 아울러,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도 텍스트의 형태를 벗어나 다양한 이미지나 영상으로 이루어진 증강현실의 형태로 제공되는바, 심리적성검사에 참여하는 사용자로서는 일종의 멀티 체험방과 같은 선택형 미로영역을 통과하면서 자신의 적성유형을 흥미롭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증강현실의 형태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의해 각 문항에서 제시한 상황에 대한 이해와 몰입도 증가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심리적성결과의 정확성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that are formed like a maze in a wide space by going beyond the static psychological aptitude test for solving the problem of being simply typed and provided in the form of characters or the like through a paper or a web page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ovided in each compartment area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composed of various images or images beyond the form of the text, so that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s a participating user, it is possible to entertain a type of aptitude while passing through a selective maze area such as a multi-tasking room,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presented in each item by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provided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Increased commitment can also increase the accuracy of psychological aptitude results It is possible to kill.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선택형 미로영역
200 : 스마트 단말기 210 : 미로 맵 저장부
220 : 미로영역 스캔 저장부 230 : 사용자 위치 판단부
240 : 위치정보 전송부 250 :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부
300 : 적성검사 관리서버 310 : 미로 맵 등록부
320 : 심리적성 검사 문항 매칭부
330 : 사용자 위치 추적부 340 : 적성유형 등록부
100: Optional maze area
200: smart terminal 210: maze map storage unit
220: maze area scan storage unit 230: user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40: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250: augmented reality content implementation unit
300: aptitude test management server 310: maze map register
320: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matching part
330: user location tracking unit 340: aptitude type registration unit

Claims (9)

개별적인 심리적성검사 문항이 각각 구비된 다수의 구획영역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택형 미로영역에서, 각 심리적성검사 문항의 선택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 내의 구획영역 상호간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선택형 미로영역의 스캔 정보를 토대로 구획영역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이동정보를 획득하고,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표출시키는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의 전체적인 배치 형태인 미로 맵을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이동정보를 수신하여 각 심리적성검사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선택형 미로영역을 거친 후 최종 구획영역에 도착한 사용자의 적성유형을 판별하여 저장하고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적성검사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In a selective maze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division areas each having individual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are continuously formed, the motion of the user moving between the divided areas within the selective maze area, A smart terminal for acquiring movement information of a user moving in the divided area based on sca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maze area photographed in the selected maze area and display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ovid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And
A maze map, which is an overall arrangement type of the selectable maze area, receives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by the smart terminal, grasps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ach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And an aptitude test management server for discriminating and storing an aptitude type of a user who has arrived at the block area and providing the aptitude type to each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획영역에서 제시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나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HMD)에서 재생될 수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presented in each of the compartment areas are composed of a smart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or an augmented reality contents which can be reproduced in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MD)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system 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을 통과하여 도달하는 경로상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최종 구획영역에는, 자신이 다수의 구획영역을 통과하면서 선택한 결과에 상응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심리적성검사 상의 적성유형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ser can be informed of the aptitude type on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that can be deriv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sult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compartment areas to the last final compartment area located on the path reaching through the selective maze area Wherei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are provided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적성검사 문항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검사지 상의 문항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심리적성 결과를 MBTI 검사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16가지 유형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items on the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test page, and are configured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aptitude results of the user into 16 types that can be derived by the MBTI test A psychological aptitude checking system us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on a multi - maze area.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루는 구획영역들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미로 맵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미로 맵 저장부;
심리적성검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선택형 미로영역을 이동하면서 구획영역들을 미리 스캔하여 구획영역 상호간의 방향과 거리와 심도를 측정함으로써, 추후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획득하게 되는 스캔 정보를 비교할 수 있는 초기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미로영역 스캔 저장부;
심리적성검사를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가 구획영역 상호간을 이동하는 방향과 속도와 심도를 측정하여 스캔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미로영역 스캔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초기 스캔 데이터와 비교하여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사용자 위치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위치 판단부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선택형 미로영역 내에서의 사용자 이동 경로를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에서 추적할 수 있게 하는 위치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smart terminal comprises:
A maze map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aptitude check management server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receiving and storing a maze map indicating a layout type of partition areas constituting the selective maze area;
Before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s performed, the direction and distance between the divided areas are measured in advance by scanning the divided areas while moving the selective maze area, thereby comparing the sca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user for the subsequent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 maze area scan storage unit for generating and storing initial scan data;
The user may generate the scan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direction, speed and depth of movement of the divided areas, and then compare the initial scan data stored in advance in the maze area scan storage unit with the initial scan data stored in the maze area scan storage unit, A user posi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display unit; And
A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ed by the user position determination unit to the aptitude test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the aptitude check management server to track the user movement path in the selectable maze area, And a psychological aptitude checking system us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on a multi-maze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실내에서의 위치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방향과 속도를 포착할 수 있는 모션 추적 카메라와, 깊이와 심도를 측정할 수 있는 3D 심도 센싱용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전후, 좌우, 또는 상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계와, 각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를 더 포함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mart terminal includes a motion tracking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 direction and a velocity according to a user's motion so as to improve the accuracy of position determination in a room, a 3D depth sensing camera capable of measuring depth and depth, And a smartphone including a gyroscope capable of detecting an angular velocity and an accelerometer capable of detecting movement of the user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Psychological aptitude test system using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각 구획영역에서 제공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형성하고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성화시켜 재생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mar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implementing unit for activating and reproducing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ming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provid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Psychological aptitude tes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부는, 상기 사용자 위치 판단부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이동정보를 미로 맵상의 구획영역 배치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해당 구획영역에 충분히 진입한 것으로 인지되면, 그 구획영역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에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implementation unit compares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ed by the user position determination unit with the partition area arrangement information on the maze map, and if it is recognized that the user has sufficiently entered the partition area, And a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 is automatically activated to a smart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system us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on a multi-maze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성검사 관리서버는,
선택형 미로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구획영역들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미로 맵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제공하는 미로 맵 등록부;
사용자의 심리적성검사를 위해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다수의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구획영역에 들어온 사용자에게 제시될 심리적성검사 문항을 각 구획영역에 매치시켜 등록하는 심리적성검사 문항 매칭부;
심리적성검사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선택형 미로영역상의 각 구획영역을 이동하는 이동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경로 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자 위치 추적부; 및
상기 사용자 위치 추적부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의 선택형 미로영역 상에서의 이동정보에 의해 최종 구획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적성유형을 해당 사용자의 심리적성결과로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적성유형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로영역 상의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한 심리적성검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ptitude check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labyrinth map registering unit for storing a labyrinth map representing a layout form of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forming a selectable labyrinth region in a database and providing the labyrinth map to the smart terminal;
A number of psychological aptitude items to be selected by the user for the user's psychological aptitude test are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matching the psychological aptitude test items to be presented to the user in the compartment area are registered in each compartment area part;
A user location tracking unit for receiving movement information from a smart terminal for moving a user's mental aptitude area in each of the segment areas on an optional maze area and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 database as user's route information; And
And an aptitude type registration unit for storing the aptitude type assigned to the final segment area by the movement information on the user-selected maze area stored by the user location tracking unit as a psychological aptitude result of the user and providing the aptitude type to the user A psychological aptitude checking system us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on a multi - maze area.
KR1020170085854A 2017-07-06 2017-07-06 System for psychological aptitude test using user’s moving information on multi maze zone KR1018600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54A KR101860026B1 (en) 2017-07-06 2017-07-06 System for psychological aptitude test using user’s moving information on multi maze z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54A KR101860026B1 (en) 2017-07-06 2017-07-06 System for psychological aptitude test using user’s moving information on multi maze z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026B1 true KR101860026B1 (en) 2018-05-21

Family

ID=6245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854A KR101860026B1 (en) 2017-07-06 2017-07-06 System for psychological aptitude test using user’s moving information on multi maze z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026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037B1 (en) * 2018-12-12 2019-07-08 황영진 Method and Smart device for matching character type with user based augmented reality
KR20200082558A (en)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ersonality diagnosis system using multi-maze space and selective AR content
KR20210030658A (en)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ersonality analysis program by VR role-playing game
CN112567404A (en) * 2018-06-27 2021-03-26 株式会社人总研 Visual method could test method
KR102247323B1 (en) * 2020-04-27 2021-05-03 주식회사 해커스홀딩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fering non-face-to-face video survey service
WO2024075974A1 (en)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Augmented realit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454B1 (en) 2011-05-11 2013-04-26 주식회사 로보쓰리 The method and the system finding the exit using augmented reality in big maz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454B1 (en) 2011-05-11 2013-04-26 주식회사 로보쓰리 The method and the system finding the exit using augmented reality in big maz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170085854_0001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7404A (en) * 2018-06-27 2021-03-26 株式会社人总研 Visual method could test method
EP3816898A4 (en) * 2018-06-27 2022-03-16 Jinsoken Co., Ltd. Visual approach-based aptitude testing method
KR101998037B1 (en) * 2018-12-12 2019-07-08 황영진 Method and Smart device for matching character type with user based augmented reality
WO2020122445A1 (en) * 2018-12-12 2020-06-18 황영진 Method and smart device for psychological type analysis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20200082558A (en)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ersonality diagnosis system using multi-maze space and selective AR content
KR102271103B1 (en) * 2018-12-31 2021-06-30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ersonality diagnosis system using multi-maze space and selective AR content
KR20210030658A (en)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ersonality analysis program by VR role-playing game
KR102247323B1 (en) * 2020-04-27 2021-05-03 주식회사 해커스홀딩스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fering non-face-to-face video survey service
WO2024075974A1 (en)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Augmented realit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026B1 (en) System for psychological aptitude test using user’s moving information on multi maze zone
Li et al. Wayfinding behaviors in complex building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legibility and familiarity
Nash et al. A review of presence and performance in virtual environments
KR102108089B1 (en) Evaluation system of cognitive ability based on virtual reality for diagnosis of cognitive impairment
Youngblut Experience of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Liu Investigating the impact of cognitive style on multimedia learners’ understanding and visual search patterns: an eye-tracking approach
Larrue et al. Influence of body-centered information on the transfer of spatial learning from a virtual to a real environment
Tian et al. Behavior analysis of indoor escape route-finding based on head-mounted vr and eye tracking
Hekele et al. Remote vocational learning opportunities—A comparative eye‐tracking investigation of educational 2D videos versus 360° videos for car mechanics
Bianconi et al. Immersive wayfinding: virtual reconstruction and eye-tracking for orientation studies inside complex architecture
De Cock et al. Comparing written and photo-based indoor wayfinding instructions through eye fixation measures and user ratings as mental effort assessments
KR100911356B1 (en)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Vendetti et al. The floor effect: Impoverished spatial memory for elevator buttons
Zheng et al. Application of eye-tracking technology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geospatial cognition
Gazawy et al. Deep Learning for Enhanced Education Quality: Assessing Student Engagement and Emotional States
Hadiana Analysis learners’ preference in e-learning system using Kansei approach
KR20230030683A (en) Platform for online learning concentration improvement and method thereof
Kriglstein et al. Who, where, when and with whom? Evaluation of group meeting visualizations
JP202100232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17581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multiple-intelligence
KR102271103B1 (en) Personality diagnosis system using multi-maze space and selective AR content
De Bruin Automated usability analysis and visualisation of eye tracking data
Obeidat et al. Using space syntax approach to assess signs’ locations for improving wayfinding in an educational setting
KR20200000936A (en) Personality and propensity analysis system
Sasikumar et al. Students live behavior monitoring in online c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