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919B1 - 맨홀뚜껑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맨홀뚜껑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919B1
KR101859919B1 KR1020170079774A KR20170079774A KR101859919B1 KR 101859919 B1 KR101859919 B1 KR 101859919B1 KR 1020170079774 A KR1020170079774 A KR 1020170079774A KR 20170079774 A KR20170079774 A KR 20170079774A KR 101859919 B1 KR101859919 B1 KR 101859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ixing
support
cen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남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24530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599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남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남금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을 잠금지지대에 고정시키는 조임축과 너트체를 잠금지지대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함에 따라 맨홀뚜껑을 보다 쉽게 맨홀받침대에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한 맨홀뚜껑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맨홀뚜껑 잠금장치는 맨홀받침대(10)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구의 하부에 잠금지지대(30)를 설치하고, 상기 잠금지지대에 설치된 고정수단(40)에 의해 뚜껑(20)을 출입구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맨홀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대(10)는 중앙에 아래쪽으로 지지대고정날개(10w)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고정날개의 내주연에 두 개 이상의 지지대고정홈(10h)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지지대(30)는 상기 지지대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30f)를 구비하여 맨홀받침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중앙에 형성된 지지관부(31)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조립공간(32)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공간의 내벽에는 다수의 결합홈(32g)이 형성되고, 중간에는 결합홈을 통해 삽입된 하기 너트체에 형성된 걸림돌기(41d)가 걸리는 걸림턱(32d)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조립공간(3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주면에 암나사산(41s)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32g)를 통과하여 걸림턱(32d)에 걸리는 걸림돌기(41d)가 형성되어 걸림돌기(41d)가 결합홈(32g)를 통과한 상태에서 수평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걸림돌기(41d)가 걸림턱(32d)에 걸려 잠금지지대의 조립공간(32)에 조립되는 너트체(41); 상기 너트체에 형성된 암나사산(41s)에 조여지는 수나사산(42s)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결합홀(42h)이 형성된 수나사(42); 및 상기 수나사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42h)에 조립되고, 상단에 볼트머리(43h)가 형성된 조임축(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맨홀뚜껑 잠금장치{locking devices of manhole cover}
본 발명은 맨홀뚜껑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뚜껑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들의 조립이 용이하고, 수분에 의해 부식이 방지된 맨홀뚜껑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을 잠금지지대에 고정시키는 조임축과 너트체를 잠금지지대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함에 따라 맨홀뚜껑을 보다 쉽게 맨홀받침대에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한 맨홀뚜껑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맨홀은 전력 및 통신 선로를 지중으로 가설하거나 지하 관로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으로 매립 설치되고, 내부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출입구가 형성되며, 출입구에는 뚜껑이 설치된다.
즉, 통상의 맨홀은 상부의 출입구에 맨홀받침대를 설치하고, 맨홀받침대 중앙의 구멍을 막을 수 있도록 뚜껑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맨홀은 뚜껑이 견고하게 맨홀받침대에 고정되지 않으면, 차량이 맨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뚜껑이 덜컹거리거나, 뚜껑이 맨홀받침대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뚜껑을 견고하게 맨홀받침대에 고정시켜야 한다.
그러나, 뚜껑은 필요에 따라 맨홀받침대로부터 분리하여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여야 하고, 이렇게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뚜껑은 맨홀받침대에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맨홀받침대 내부에서 흔들리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뚜껑을 개폐가능하게 설치하되, 보다 견고하게 맨홀받침대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고, 그 예로는 특허문헌 1 내지 2가 있다.
특허문헌 1은 맨홀뚜껑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관통구멍이 구비되되, 이 관통구멍의 중앙에 단턱이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이 단턱의 위면에 길이방향으로 단턱홈이 형성되고, 관통구멍에는 하단에 걸이부가 부설된 고정부재가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결합되면서 고정부재의 머리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단턱홈에 끼워지는 한편,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고정부재를 회전시킴에 따라 걸이부가 걸림홈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고,
특허문헌 2는 맨홀뚜껑 가장자리 복수 개소에 고정쇠홈부를 형성하며, 고정쇠홈부에 지지되는 지지축을 기준하여 맨홀받침의 내벽면 쪽에는 압박부를 그 반대측에는 레버로 이루어진 고정쇠와; 레버를 관통하여 고정쇠홈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체결되어 나사회전에 의해 하강하여 고정쇠의 레버를 하강 회동시키면 압박부가 맨홀받침 측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조작볼트;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맨홀뚜껑 고정 또는 잠금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맨홀뚜껑의 일부만이 맨홀받침대에 고정됨에 의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뚜껑이 맨홀받침대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다점이 맨홀받침대에 고정되게 한 기술로 특허문헌 3이 있으며, 이는 맨홀틀의 내주면 하단부에 다수의 설치구멍을 형성하고, 중앙에 암나사부를 형성한 지지대에 제1체결편 및 제2체결편을 형성하여 체결부재로써 지지대를 맨홀틀의 설치구멍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며, 맨홀덮개의 중앙에 통공을 형성하여 스크류를 회전 가능토록 삽입하되, 지지대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스크류의 하측에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맨홀뚜껑 고정 또는 잠금장치는 맨홀뚜껑의 저면을 타고 흐르는 물이 나사부로 유입되어 나사부가 부식됨에 의해 맨홀뚜껑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없으며, 뚜껑을 열고자 할 때 부식된 나사부가 풀리지 않아 개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특허문헌 4의 기술이다.
특허문헌 4는 조임축과 볼트관체를 일체로 구성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너트판의 중앙에 형성된 너트관부의 하부에 윤활재저장공간을 구비하여 윤활재를 충진시킴에 의해 볼트관체에 윤활재가 공급되게 하여 볼트관체의 조임 및 풀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원볼트 힌지형 잠금맨홀뚜껑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조임축과 볼트관체를 너트판부에 조립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45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60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34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28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뚜껑을 맨홀받침대에 고정시키는 잠금지지대에 조임축과 너트체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보다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한 맨홀뚜껑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의 높이를 인상시켜주기 위한 인상링이 맨홀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된 경우에도 조임축과 너트체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이 잠금지지대에 원활히 조립될 수 있게 한 맨홀뚜껑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뚜껑 잠금장치는 맨홀받침대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구의 하부에 잠금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잠금지지대에 설치된 고정수단에 의해 뚜껑이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게 한 맨홀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대는 중앙에 아래쪽으로 지지대고정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고정날개의 내주연에 두 개 이상의 지지대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지지대는 상기 지지대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맨홀받침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중앙에 형성된 지지관부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조립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공간의 내벽에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중간에는 결합홈을 통해 삽입된 하기 너트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관부의 조립공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결함홈를 통과하여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결함홈을 통과한 상태에서 수평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려 잠금지지대의 조립공간에 조립되는 너트체; 상기 너트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조여지는 수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수나사; 및 상기 수나사의 중앙에 형성된 결함홀에 조립되고, 상단에 볼트머리가 형성된 조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뚜껑 잠금장치는 잠금지지대에 결합홀과 걸림턱을 형성하고, 너트체를 결함홈과 걸림턱을 이용하여 잠금지지대에 고정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맨홀뚜껑을 맨홀받침대에 용이하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너트체와 수나사를 내구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제작함에 따라 이들이 수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의 관통홀 상부에 조임축 상단을 덮는 마개를 설치하고, 조임축과 관통홀 사이에 실리콘패킹 및 오링을 설치하여 내부로 이물질 및 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상링의 설치에 의해 맨홀 뚜껑의 설치 높이가 상승되더라도 맨홀 뚜껑의 설치 높이에 따른 제약없이 원활하게 고정수단을 잠금지지대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인상링에 설치된 맨홀 뚜껑도 맨홀받침대에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맨홀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맨홀의 일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맨홀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잠금지지대의 일부와 너트체 및 수나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너트체의 다른 일예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맨홀의 다른 일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구비한 맨홀의 다른 일예의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누수를 방지하여 잠금수단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뚜껑이 보다 쉽고 견고하게 맨홀받침대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뚜껑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맨홀뚜껑 잠금장치는 맨홀받침대(10)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구의 하부에 잠금지지대(30)를 설치하고, 상기 잠금지지대에 설치된 고정수단(40)에 의해 뚜껑(20)을 출입구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맨홀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대(10)는 중앙에 아래쪽으로 지지대고정날개(10w)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고정날개의 내주연에 두 개 이상의 지지대고정홈(10h)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지지대(30)는 상기 지지대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30f)를 구비하여 맨홀받침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중앙에 형성된 지지관부(31)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조립공간(32)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공간의 내벽에는 다수의 결합홈(32g)이 형성되고, 중간에는 결합홈을 통해 삽입된 하기 너트체에 형성된 걸림돌기(41d)가 걸리는 걸림턱(32d)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조립공간(3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주면에 암나사산(41s)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32g)를 통과하여 걸림턱(32d)에 걸리는 걸림돌기(41d)가 형성되어 걸림돌기(41d)가 결합홈(32g)를 통과한 상태에서 수평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걸림돌기(41d)가 걸림턱(32d)에 걸려 잠금지지대의 조립공간(32)에 조립되는 너트체(41); 상기 너트체에 형성된 암나사산(41s)에 조여지는 수나사산(42s)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결합홀(42h)이 형성된 수나사(42); 및 상기 수나사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42h)에 조립되고, 상단에 볼트머리(43h)가 형성된 조임축(43)을 포함한다.
상기 맨홀받침대(10)은 통상의 맨홀에 설치되는 것과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 것으로 맨홀의 입구에 설치되며, 하단의 일부가 지중에 묻혀 고정됨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맨홀 출입구에 고정된다.
이러한 맨홀받침대(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출입구의 내벽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지지대고정날개(10w)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고정날개(10w)의 내주연에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방향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대고정홈(10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고정홈(10h)에는 상기 잠금지지대(30)의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돌기(30f)가 끼워지도록 상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 타측으로는 하측으로 단차진 단차홈(10s)이 형성되어 고정돌기(30f)가 단차홈(10s)으로 수용되면서 잠금지지대(30)가 지지대고정홈(10h)에 유동없이 고정력있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맨홀받침대(10)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구와 같은 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판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표면에는 해당 맨홀의 용도 즉, 우수 맨홀, 오수맨홀, 전선맨홀 등의 용도가 표시되어 있다. 물론, 일측에는 손잡이를 더 설치하여 맨홀받침대로부터 분리할 때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의 중앙에는 관통홀(20h)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수단(40)을 구성하는 조임축(43)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관통홀(20h)의 상부 주변에는 중앙부홈(20g)이 형성되며, 중앙부홈(20g)은 조임축(43)의 상단에 형성된 볼트머리(43h)가 안치될 수 있도록 볼트머리(43h)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볼트머리(43h)가 중앙부홈(20g)에 안치됨에 따라 조임축의 볼트머리가 뚜껑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였다.
상기 중앙부홈(20g)에는 상기 볼트머리(43h)를 덮을 수 있는 탄성력있는 고무재질의 마개(23)가 설치되어 중앙부홈(20g)과 볼트머리(43h) 사이로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부홈(20g)에는 마개(23)의 설치와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두 개이상의 수직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0h)과 조임축(43)의 사이에는 물이 관통홀과 조임축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부홈(20g)에 안치된 볼트머리(43h)의 하단으로 실리콘패킹(24)이 설치되며, 관통홀(20h)의 하부 내측에서 조임축(43)의 외주연으로 오링(25)이 설치되어 조임축(43) 외주연에 각각 설치된 실리콘패킹(24)과 오링(25)이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해주어 물이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주게 된다.
상기 뚜껑(20)을 맨홀받침대(10)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상기한 잠금지지대(30), 고정수단(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잠금지지대(30)은 맨홀받침대(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뚜껑을 관통한 고정수단(40)이 고정되게 하는 수단으로, 맨홀받침대(10)에 형성된 출입구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 판체에 고정돌기(30f)를 형성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링의 외주면에 다수의 고정돌기(30f)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원형링 형상으로 구성할 경우, 중앙에 설치되는 고정수단(40)을 구성하는 너트체(41)가 조립되는 지지관부(31)를 연결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연결대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관부(31)는 도 2,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지지대(30)의 중앙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관부(31)의 내측으로는 원통형의 조립공간(32)이 형성되어 조립공간으로 상기 고정수단(40)을 구성하는 너트체(41)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조립공간(32)의 내부에 설치되는 너트체(41)는 도 3 및 도 5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을 이루어,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1s)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의 하단에는 걸림돌기(4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체(4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공간(32)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32d)에 걸림돌기(41d)가 걸린 상태로 조립공간의 내부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너트체(41)는 조립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조립공간에 너트체를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조립공간의 내벽에는 결합홈(32g)이 형성되어 있고, 너트체(41)에는 상기 결합홈(32g)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걸림돌기(41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너트체(41)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 외주면에서 걸림돌기(41d)의 내측으로 상협하광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홈(41e)이 형성되어 걸림돌기(41d)의 탄성 가압이 용이하므로 상기 조립공간(32)에 너트체(41)의 탈착을 좀더 용이하게 한다.
상기 너트체(41)를 조립공간(32)에 조립하는 방법은, 너트체에 형성된 걸림돌기(41d)를 결합홈(32g)에 대응되게 정렬한 후, 너트체를 아래로 밀어 걸림돌기가 조립공간의 내부로 들어가 걸림돌기의 상단이 걸림턱(32d)의 하단에 정렬되게 한 후, 너트체(41)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너트체(4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41s)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암나사산에 수나사(42)의 수나사산(42s)이 조여지며, 이 수나사에 일체로 결합된 조임축의 회전에 의해 너트체에 수나사가 조여지면, 수나사가 조여집에 의해 조임축 상단의 볼트머리(43h)가 뚜껑(20)을 잠금지지대(30)측으로 당겨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조립공간(32)의 상단을 뚜껑을 향해 연장시켜 누수방지관부(33)를 형성하였으며, 이 누수방지관부(33)는 뚜껑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누수방지관부(33)는 그 내부에 위치하는 너트체(41)와 수나사(42)의 나사산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수방지관부(33)의 상단에는 뚜껑의 저면으로 흐르는 물이 누수방지관부의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방수캡(33c)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캡(33c)은 저면에 누수방지관부의 단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원형 링의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탄성을 갖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공간(32)의 바닥에는 상기 너트체와 수나사에 공급되는 윤활재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공간(32)의 바닥에는 관통홀(31h)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홀(31h)은 조림공간의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될 경우에는 폐윤활유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고, 윤활유가 저장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조입축이 조여져 수나사가 너트체에 조여지는 과정에서 조립공간의 내부에 압력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맨홀뚜껑 잠금장치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고, 빗물이나 바람에 노출된 상태이며, 장시간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 너트체와 수나사의 나사산이 서로 고착되어 뚜껑을 개방하기 위해 조임축(43)을 회전시켜도 수나사가 너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너트체와 수나사의 나사산에 윤활재를 공급하여 나사산들 사이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상기 조임축(43)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나사(42)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임축(43)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볼트머리(43h)는 뚜껑에 형성된 관통홀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조임축이 조여지면 뚜껑이 잠금지지대(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렇게 큰 볼트머리(43h)를 갖는 조임축(43)을 수나사(42)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수나사와 조임축을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나사(42)의 중앙에 결합홀(42h)을 형성하고, 이 결합홀에 조임축(43)을 끼운 후, 결합핀(44)을 설치하여 수나사와 조임축이 서로 결함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0)의 중앙에는 관통홀(20h)이 형성되어 관통홀에 조임축(43)이 설치되며, 조임축(43)에는 외부 충격에 의한 조임축(4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20h)의 하단부에서 조임축(43)의 외주연으로 와셔(26)가 설치되고, 와셔(26)의 하단으로 조임축(43)을 수평 관통하는 고정핀(27)이 설치되어 조임축(43)이 와셔(26)와 고정핀(27)에 의해 뚜껑의 관통홀(20h)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임축(43)의 볼트머리(43h) 하단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실리콘패킹(24)이 설치되는데, 실리콘패킹(24)과 볼트머리(43h)의 사이에도 와셔를 더 설치하여 외부충격에 의한 조임축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너트체(41)와 수나사(42)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맨홀은 지상의 물을 지하수로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너트체(41)와 수나사(42)는 수분에 노출된 상태에 있으며, 이렇게 수분에 노출된 상태가 지속되면 너트체(41)와 수나사(42)가 수분에 의해 부식될 수 있으므로, 수분에 강한 고강도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보수시 덧쒸워지는 포장재의 높이에 맞게 상기 뚜껑(20)의 높이를 인상시켜야 할 경우 상기 맨홀받침대(10)의 상부에는 인상링(11)이 더 설치된다.
상부로 상기 뚜껑(20)이 설치되는 상기 인상링(11)은 하단이 맨홀받침대(10)에 형성된 지지대고정날개(10w)의 상측으로 안착되어 설치되면서 도로의 보수작업시 노면으로 포장재가 덧쒸워져 높아진 도로의 노면 높이에 맞게 뚜껑(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인상링(11)은 포장재의 높이에 맞게 뚜껑의 높이를 높여야 할 경우에만 설치되는 것임.)
그리고 상기 인상링(11)이 맨홀받침대에 설치되면서 맨홀받침대로부터 설치 높이가 높아진 뚜껑(20)에 맞혀 상기 고정수단의 너트체(41)가 지지관부(31)의 조립공간(32)으로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잠금지지대(30)에 형성된 지지관부(31)를 상기 고정돌기(30f)의 높이보다 일정높이 상부로 상승시켜 형성 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보수작업으로 도로의 노면 높이가 높아지면서 상기 인상링이 맨홀받침대에 설치된 경우에도 상부는 상기 인상링의 상부에 설치된 뚜껑(20)과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잠금지지대(30)와 결합되는 고정수단(40)을 높아진 뚜껑의 설치 높이에도 제약없이 원활하게 뚜껑(20)과 잠금지지대(30)에 설치하여 인상링에 설치된 맨홀 뚜껑도 용이하게 맨홀받침대에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한다.
10: 맨홀받침대
10w: 지지대고정날개 10h: 지지대고정홀
11: 인상링
20: 뚜껑
20g: 중앙부홈 20h: 관통홀
23: 마개 24: 실리콘패킹
25: 오링 26: 와셔
27: 고정핀
30: 잠금지지대 30f: 고정돌기
31: 지지관부 31h: 관통홀
32: 조립공간 32g: 결합홈
32d: 걸림턱 33: 누수방지관부
33c: 방수캡
40: 고정수단
41: 너트체 41s: 암나사산
41d: 걸림돌기 41e: 절개홈
42: 수나사 42s: 수나사산
43: 조임축 43h: 볼트머리
44: 결합핀

Claims (11)

  1. 맨홀받침대(10)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구의 하부에 잠금지지대(30)를 설치하고, 상기 잠금지지대에 설치된 고정수단(40)에 의해 뚜껑(20)을 출입구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맨홀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대(10)는 중앙에 아래쪽으로 지지대고정날개(10w)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고정날개의 내주연에 두 개 이상의 지지대고정홈(10h)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지지대(30)는 상기 지지대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30f)를 구비하여 맨홀받침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중앙에 형성된 지지관부(31)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조립공간(32)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공간의 내벽에는 다수의 결합홈(32g)이 형성되고, 중간에는 결합홈을 통해 삽입된 하기 너트체에 형성된 걸림돌기(41d)가 걸리는 걸림턱(32d)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조립공간(3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주면에 암나사산(41s)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32g)를 통과하여 걸림턱(32d)에 걸리는 걸림돌기(41d)가 형성되어 걸림돌기(41d)가 결합홈(32g)를 통과한 상태에서 수평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걸림돌기(41d)가 걸림턱(32d)에 걸려 잠금지지대의 조립공간(32)에 조립되는 너트체(41); 상기 너트체에 형성된 암나사산(41s)에 조여지는 수나사산(42s)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결합홀(42h)이 형성된 수나사(42); 및 상기 수나사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42h)에 조립되고, 상단에 볼트머리(43h)가 형성된 조임축(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간(32)의 상단에는 뚜껑의 저면으로 흐르는 물이 조립공간의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누수방지관부(33)가 형성되고, 이 누수방지관부에는 방수캡(33c)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0h)의 주변에는 상기 조임축(43)의 볼트머리(43h) 보다 직경이 큰 중앙부홈(20g)이 형성되며, 중앙부홈(20g)에는 볼트머리(43h)를 덮는 마개(23)가 설치되어 중앙부홈(20g)으로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0h)과 조임축(43)사이에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머리(43h) 하단으로 실리콘패킹(24)과 관통홀의 하부측에 조임축(43)의 외주연으로 오링(2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20h)에 설치된 조임축(43)에는 조임축(4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 하단의 조임축(43) 외주연으로 와셔(26)가 설치되고, 와셔(26)의 하단으로 조임축(43)을 수평 관통하여 고정핀(2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체(41)와 수나사(42)는 고강도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간(32)의 바닥에는 관통홀(31h)을 형성하여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고정홈(10h)은 상부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 타측에 잠금지지대(30)의 고정돌기(30f)가 수용되는 단차홈(10s)이 형성되어 잠금지지대(3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체(41)의 하단 외주면에는 걸림돌기(41d)의 내측으로 상협하광 형상의 절개홈(41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대(10)에 형성된 지지대고정날개(10w)의 상부에는 뚜껑(20)의 높이를 인상시켜주기 위한 인상링(1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지지대(30)의 중앙에 형성된 지지관부(31)는 상기 고정돌기(30f)의 높이보다 일정높이 상부로 상승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20170079774A 2017-03-24 2017-06-23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1859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37561 2017-03-24
KR1020170037561 2017-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919B1 true KR101859919B1 (ko) 2018-05-21

Family

ID=6245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774A KR101859919B1 (ko) 2017-03-24 2017-06-23 맨홀뚜껑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91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3330A (zh) * 2018-07-09 2018-10-12 嘉兴亨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防儿童误拆地漏
KR200491356Y1 (ko) 2019-10-11 2020-03-25 주식회사 기남금속 맨홀뚜껑 잠금장치 및 맨홀뚜껑 개폐용 작업공구
KR102106515B1 (ko) 2019-10-11 2020-05-06 주식회사 기남금속 역류해소와 소음저감이 가능한 맨홀뚜껑과 그 작동방법
KR102238870B1 (ko) * 2020-07-29 2021-04-12 주식회사 코비스 오토 락킹 실린더
KR102239610B1 (ko) * 2020-08-26 2021-04-14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잠금 기능을 갖는 맨홀뚜껑
KR102305876B1 (ko) * 2021-01-11 2021-09-28 주식회사 코비스 숭상 전용 오토 락킹 실린더
US20210310210A1 (en) * 2020-04-07 2021-10-07 RAM Canada Rapid Access Management Inc. Secured service cover assembly
CN115341579A (zh) * 2022-09-19 2022-11-15 山东鲁润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拆装的井盖防坠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838B1 (ko) 2011-07-08 2011-12-14 주식회사 서강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1672828B1 (ko) 2016-06-14 2016-11-04 주식회사 기남금속 원볼트 힌지형 잠금맨홀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838B1 (ko) 2011-07-08 2011-12-14 주식회사 서강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1672828B1 (ko) 2016-06-14 2016-11-04 주식회사 기남금속 원볼트 힌지형 잠금맨홀뚜껑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3330A (zh) * 2018-07-09 2018-10-12 嘉兴亨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防儿童误拆地漏
CN108643330B (zh) * 2018-07-09 2024-01-09 嘉兴亨泰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防儿童误拆地漏
KR200491356Y1 (ko) 2019-10-11 2020-03-25 주식회사 기남금속 맨홀뚜껑 잠금장치 및 맨홀뚜껑 개폐용 작업공구
KR102106515B1 (ko) 2019-10-11 2020-05-06 주식회사 기남금속 역류해소와 소음저감이 가능한 맨홀뚜껑과 그 작동방법
US20210310210A1 (en) * 2020-04-07 2021-10-07 RAM Canada Rapid Access Management Inc. Secured service cover assembly
KR102238870B1 (ko) * 2020-07-29 2021-04-12 주식회사 코비스 오토 락킹 실린더
KR102239610B1 (ko) * 2020-08-26 2021-04-14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잠금 기능을 갖는 맨홀뚜껑
KR102305876B1 (ko) * 2021-01-11 2021-09-28 주식회사 코비스 숭상 전용 오토 락킹 실린더
CN115341579A (zh) * 2022-09-19 2022-11-15 山东鲁润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快速拆装的井盖防坠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919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CN101287875B (zh) 带锁定装置的检测孔
KR101686577B1 (ko) 맨홀뚜껑 결합체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밸브실
US4516196A (en) Luminaire hinge and latch
US6523982B1 (en) Tool-less entry landscape fixture
TWI463055B (zh) 用於一公共設施箱之密封蓋總成及將一密封蓋總成固定在一公共設施箱上之方法
US7730901B2 (en) Hydrant roof mount
US4363086A (en) Luminaire
US61492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ofitting canopy luminaire assemblies
KR20180001937U (ko) 방수 기능을 구비한 누전차단기 케이스
KR101908296B1 (ko) 원볼트 잠금형 맨홀뚜껑
US7726849B2 (en) Traditional style post-top luminaire with relamping module and method
KR101672828B1 (ko) 원볼트 힌지형 잠금맨홀뚜껑
CA2110604C (en) Light fixture for use in hazardous environments having adapter ring for alternative ballast housing
US20170227209A1 (en) Low-Profile IP65 Rated Easy Access LED Light Fixture Housing
KR101228181B1 (ko) 인상링을 구비한 우수유입 방지용 pps 맨홀
KR101862588B1 (ko) 개폐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기구의 상부커버 조립구조
KR101419774B1 (ko)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US3679886A (en) Lighting unit
US3517853A (en) Light fixture fastening means
KR100539108B1 (ko) 가로등기구
KR200403392Y1 (ko) 매입형 등기구
KR101111495B1 (ko) 맨홀 방수장치
KR10117943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구
KR101544964B1 (ko) 조명등의 암대와 등주를 고정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36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129

Effective date: 20200519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5000049;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00602

Effective date: 20200804

J203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invalidation of limit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693;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69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200902

Effective date: 202111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4556;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618

Effective date: 2022042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3000004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530

Effective date: 2022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