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715B1 - IoT service providing system with IoT smart home system and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oT service providing system with IoT smart home system and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715B1
KR101859715B1 KR1020160125126A KR20160125126A KR101859715B1 KR 101859715 B1 KR101859715 B1 KR 101859715B1 KR 1020160125126 A KR1020160125126 A KR 1020160125126A KR 20160125126 A KR20160125126 A KR 20160125126A KR 101859715 B1 KR101859715 B1 KR 101859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unit
terminal
registr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5292A (en
Inventor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주)동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연시스템 filed Critical (주)동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12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715B1/en
Publication of KR2018003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2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7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통신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어되는 IoT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IoT용 통신모듈;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록부;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등록되어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가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IoT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와 상기 등록부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도록 한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의 IoT 기기 사용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IoT의 다기능화와 대중화 및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ule for IoT, which is provided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IoT device which provides or controls information by IoT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unit adapt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registration unit for providing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with information necessary for registration of the IoT device connected by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IoT device connected by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s the terminal to perform control on the IoT device ;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registration of the registration unit, and an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the IoT smart hom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use of IoT devices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ncrease the convenience of registration, connection and control of various IoT devices to be used, And can contribute to popularizing and expanding the functions of the system.

Figure R1020160125126
Figure R1020160125126

Description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 {IoT service providing system with IoT smart home system and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n IoT smart home device and an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을 증대하며, IoT의 다기능화와 대중화 및 확대에 기여하는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smart home apparatus and an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therefo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smart home apparatus that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registration, connection and control of various IoT devices to be used, To a contributing IoT smart home device and an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therefor.

최근에는 무선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통신 기능이 구비된 가전 기기들이 댁내에 설치되고 있다. 이처럼 통신기능이 구비된 가전 기기들을 스마트홈 기기라고 한다. 통신 기능이 구비된 가전 기기 이외에 스위치, 화재감지장치, 가스감지장치 등이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이하 "IoT"라 함) 기기라고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홈 IoT 기기로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스위치가 조작 가능한 스마트 스위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실시간 파워 소모량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콘센트, 댁내 무선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스마트 네트워크 기기, 스마트홈 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댁내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home appliance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functions are installed in the home. Such home appliances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re called smart home appliances. In addition to home appliance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switch, a fire detection device, and a gas sensing devic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is called an Internet of Th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IoT") device. For example, a smart home IoT device may include a smart switch that is connected to a network and can be operated by a switch, a smart outlet that displays real-time power consumption connected to a network, a smart network device that connects a home wireless network with an external network, A display panel for controlling the Internet device, and a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the activity in the home.

종래의 IoT 시스템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3243호의 "주변환경 연계형 복합센서 사물인터넷시스템"이 있는데, 이는 다수의 센서가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지고 사물에 부착되어 외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복합센서; 상기 복합센서와 센서 전용 버스로 연결되고 시맨틱 및 온톨로지를 위한 데이터가 정형화되어 있어 시맨틱 및 온톨로지 기반으로 외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외부 장치에 통보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로부터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분석 결과를 통보받는 유관기관이나 관계자의 단말을 구비하는 외부장치를 포함한다.As a technology for the conventional IoT system, there is a "Internet system of a peripheral sensor-linked composite sensor object" of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113243, in which a plurality of sensors are formed of a single module, A complex sensor for sensing information; An analysis unit connected to the complex sensor and a sensor dedicated bus and configured to analyze 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semantics and ontology and to notify the external device of the analysis result because the data for semantic and ontology are standardized; And an external apparatus having a terminal of a relevant organization or a person concerned who is notified of the analysis result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rom the analysis unit.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한 편리한 사용에 한계가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 증대와 관련된 기술적 사상을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IoT의 다기능화, 대중화 및 확대의 기여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such prior art has a limitation in convenient use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does not provide any technical ideas related to the convenience of registration, connection and control of various IoT devices to be used. There is a limit to the contribution of multi-functionalization, popularization and expansion of IoT.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의 IoT 기기 사용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을 증대하며, IoT의 다기능화와 대중화 및 확대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nvenience of using an IoT device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provides a method of registering, connecting, and controlling various IoT devices And to contribute to the multifunctionalization and popularization and expansion of IoT.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IoT 통신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어되는 IoT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IoT용 통신모듈;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록부;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등록되어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가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IoT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와 상기 등록부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IoT 스마트 홈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module for IoT,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being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IoT device providing or controlling information by IoT communication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 communication unit adapt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registration unit for providing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with information necessary for registration of the IoT device connected by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IoT device connected by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s the terminal to perform control on the IoT device ;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for registering the registration unit.

상기 등록부를 통해 제공되는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에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제어 상태,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IoT 기기별 접속 허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registration of the IoT device provided through the registration unit and input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operation to the control unit; And a display unit for externally displaying the operation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connected by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permission terminal for each IoT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can do.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를 위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상기 IoT 홈 스마트 장치와 단말기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각 접속되도록 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상기 IoT 홈 스마트 장치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IoT 기기 및 단말기의 접속 허용을 위한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등록을 수행하고, 등록된 단말기가 상기 웹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웹페이지에서 접속이 허용되는 IoT 기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등록표시부; 및 상기 등록표시부에 의해 등록된 단말기 및 IoT 기기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요청시 허용된 범위 내에서 상기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er for providing an IoT service for an IoT smart hom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web server for connecting the IoT home smart device and a terminal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IoT hom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nd the IoT device from the terminal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registration for allowing connection of the terminal, and performs registration, and when the registered terminal receives a web page A registr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oT device which is allowed to be connected to search for an IoT device; And a database unit for storing related information of terminals and IoT devices registered by the registration display unit and for providing the related information within a range permitted upon request of a terminal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 provision server is provided.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판매용 IoT 관련 기기의 판매 및 결제를 수행하는 제품판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웹페이지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IoT 관련 기기의 판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IoT 기기 및 상기 IoT 관련 기기에 대해서 용도나 사용장소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에 접속이 허용되는 기기 및 판매용 IoT 관련 기기를 상기 카테고리별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product selling unit for performing sales and settlement of sales-related IoT-related devices provided through the web page by using a terminal connected to the web server, wherein the database unit comprises: And stores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and the IoT related devic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category according to the usage or the place of use and stores the device and the IoT related device for sale which are allowed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web server, It can be provided for each category.

상기 등록표시부는, 상기 등록부로부터 제공되는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에 접속 허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별로 제공된 패스워드가 포함되도록 하고, 단말기의 등록시 인증 절차에 의해 확인된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를 제공한 IoT 기기와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상호간에 전송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절차를 마친 단말기에 패스워드를 부여하고, IoT 기기별 접속 허용 단말기를 다수 등록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에 의해 IoT 기기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의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를 입력받아 해당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 내에서 IoT 기기의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The registration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access allowing terminal or the password provided for each terminal in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registration of the IoT device provided from the registering unit and to match the telephone number or password confirmed by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upon registration of the terminal Encrypting transmission data mutually to allow connection with an IoT device providing a telephone number or a password, providing a password to a terminal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nd completing an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can restrict the connection of the IoT device within the position range, the time zone, or the number of times by inputting the position range, the time zone or the number of the terminal which permits connection with the IoT device by th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의 IoT 기기 사용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IoT의 다기능화와 대중화 및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oT smart home apparatus and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theref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using IoT devices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to register various IoT devices to be used, The convenience of connection and control can be increased, and it can contribute to the multifunctionality, popularization and expansion of I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의 케이스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oT smart home device and an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the IoT smart hom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of an IoT smart groo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s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oT smart hom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는 IoT용 통신모듈(110), 통신부(120), 등록부(130), 제어부(140) 및 메모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는 IoT용 통신모듈(110), 통신부(120), 등록부(130), 제어부(140) 및 메모리부(150) 등의 구성이 수용되거나 설치되기 위한 케이스(190; 도 2에 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는 후술하게 될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함께, 본 발명의 IoT 홈 스마트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1, the IoT smart home apparatus 100 includes an IoT communication module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registration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nd a memory unit 150, . ≪ / RTI > The IoT smart hom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for IoT,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registration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memory unit 150, A case 190 (shown in FIG. 2) may be provided to be installed or installed. In addition, the IoT smart hom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do.

IoT용 통신모듈(110)은 IoT 통신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어되는 IoT 기기(21,22,23,24,2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된다. IoT 기기는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의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정보 제공 내지 제어되는 난방기구(21), 장난감 드론(22), 교육보조도구(23), 전력제어기(24) 및 가전기구(25)를 비롯하여, 다양한 IoT 통신 가능 기기 및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11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red or wirelessly with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that provide or control information by IoT communication. The IoT device includes a heating device 21, a toy dron 22, an education assistant 23, an electric power source 24, and an electric power source 24 by performing IoT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of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including WiFi, Bluetooth, Zigbee, A controller 24, a home appliance 25, various IoT communicable devices, sensors, and the like.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 예컨대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 단말기(10) 등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된다. 통신부(120)는 WiFi, LTE, 3G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PC를 비롯하여,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설치에 의해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여러 종류의 통신 기기가 포함될 수 있고, 일례로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는 본 발명의 구현 내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설치에 의해, 정해진 프로세스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the terminal 10, etc.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use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including WiFi, LTE, 3G, and the like. Here, the terminal 10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a PC, and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devices that perform information processing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or a program, for example, a smart phone. Meanwhile, the terminal 10 can perform a predetermined process or operation by installing a separate application or a program for receiving the implementation or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등록부(130)는 통신부(120)에 의해 접속된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IoT용 통신모듈(10)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21,22,23,24,25)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등록에 필요한 정보는 IoT 기기(21,22,23,24,25)의 식별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종류, 명칭, 모델명, 부여된 식별코드 또는 제조회사 등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1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gistering unit 130 registers information necessary for registration of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10 for IoT to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Lt; / RTI > Her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gistration includes not only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identification of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such as the type, name, model name, assigned identification code or manufacturer, (10). ≪ / RTI >

제어부(140)는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등록되어 통신부(120)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10)가 IoT용 통신모듈(110)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21,22,23,24,25)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이러한 단말기(10)가 IoT 기기(21,22,23,24,25)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4 connected to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nd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to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110, 25, and controls the terminal 10 to perform control on the IoT devices 21, 22, 23, 24,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와 등록부(130)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14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제어부(140)의 요청시 해당하는 데이터 등을 제공하게 된다.The memory unit 150 stores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control unit 140 and registration of the registration unit 130 and stores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40.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control unit 140, Data and so on.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는 입력부(160) 및 표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oT smart hom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160 and a display unit 170. [

입력부(160)는 등록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IoT 기기(21,22,23,24,25)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제어부(140)에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하도록 한다. 입력부(160)는 케이스(190; 도 2에 도시)의 외측면, 예컨대 정면이나 상면에 마련될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처럼 하드키(hard-key; 161, 도 2에 도시)만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드키(161)와 함께 또는 이를 대신하여 단일 또는 다수의 버튼이나 스위치 또는 터치패널 등의 입력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드키(161)는 메뉴 불러오기, 확인 내지 선택, 취소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input unit 160 inputs information required for registration of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provided through the registration unit 120 and input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o the control unit 140. The input unit 16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90 (shown in FIG. 2), for example, on the front surface or the top surface, and may consist of only hard keys 161 (shown in FIG. 2) Or alternatively, an input device such as a single or multiple buttons, switches, or touch panels. Here, the hard key 161 may have functions such as menu retrieval, confirmation, selection, and cancellation.

표시부(17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부(140)의 동작 제어 상태, IoT용 통신모듈(110)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21,22,23,24,25)의 식별정보, IoT 기기(21,22,23,24,25)별 접속 허용 단말기(10)의 식별정보 등을 외부로 표시한다. 표시부(170)는 케이스(190; 도 2에 도시)의 외측면, 예컨대 정면이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7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4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connected by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110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permitting terminal 10 for each of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and the like. The display portion 17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90 (shown in Fig. 2), for example, on the front surface or the top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8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건전지나 충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IoT smart hom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80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converting the power into a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external power supply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may be us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의 케이스(190)는 후면에 각종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는데, 예컨대 IoT용 통신모듈(110)에 IoT 기기(21,22,23,24,25)를 접속하기 위한 IoT 통신커넥터(111,112,113)와, 통신부(120)에 통신 회선을 접속하기 위한 통신커넥터(121) 및 전원공급부(18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커넥터(181)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90)에는 전술한 하드키(16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IoT 통신커넥터(111,112,113)는 무선용 통신커넥터(111), 유선용 통신커넥터(112) 및 센서용 통신커넥터(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case 190 of the IoT smart groo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connectors on its rear surface. For example,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be provided with IoT devices 21, 22, 23, A communication connector 121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line to the communication section 120 and a power connector 181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section 180 are provided . Further, the case 190 may be provided with the hard key 161 described above. Here, the IoT communication connectors 111, 112, and 113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or 111, a wired communication connector 112, and a sensor communication connector 113 and the lik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100)를 위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웹서버(210), 등록표시부(220) 및 데이터베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 service for the IoT smart hom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includes a web server 210, a registration display unit 220, and a database unit 230.

웹서버(210)는 IoT 스마트 홈 장치(100)와 단말기(10)가 인터넷 등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각 접속되도록 하고, 단말기(10)를 통해 검색 또는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210)는 단말기(10) 등을 통해서 회원가입을 위한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web server 210 can provide a web page to allow the IOT smart home device 100 and the terminal 10 to be connected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to be retrieved or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10 have. Also, the web server 210 may perform a procedure for membership through the terminal 10 or the like.

등록표시부(220)는 웹서버(210)에 접속된 IoT 스마트 홈 장치(100) 및 단말기(10)로부터 IoT 기기(21,22,23,24,25) 및 단말기(10)의 접속 허용을 위한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등록을 수행하고, 등록된 단말기(10)가 웹서버(210)를 통해 제공되는 웹페이지에서 접속이 허용되는 IoT 기기(21,22,23,24,25)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표시한다.The registration display unit 220 displays the IoT smart home device 100 connected to the web server 210 and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from the terminal 10, The registered terminal 10 receive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registration and registers the registered terminal 10 in the web page provided through the web server 210 to the IoT devices 21, 22, 23, Display it so that it can search.

등록표시부(220)는 등록부(130)로부터 제공되는 IoT 기기(21,22,23,24,25)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에 접속 허용 단말기(10)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10)별로 제공된 패스워드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고, 단말기(10)의 등록시 인증 절차에 의해 확인된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를 제공한 IoT 기기(21,22,23,24,25)와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상호간에 전송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웹서버(210)에 접속하여 인증절차를 마친 단말기(10)에 상기의 패스워드를 부여할 수 있고, IoT 기기(21,22,23,24,25)별 접속 허용 단말기(10)를 다수 등록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10)에 의해 IoT 기기(21,22,23,24,25)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10)의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를 입력받아 해당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 내에서 IoT 기기(21,22,23,24,25)의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절차는 부여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 공인 인증, 휴대폰 인증, 신용카드 인증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인증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와 IoT 기기(21,22,23,24,25)간의 전송데이터 암호화는 보안 강도에 따라 예컨대 WEP, WPA, WPA2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IoT 기기의 제어나 제공 정보의 중요도나 노출 위험 등에 따라 적절한 보안 강도가 선택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공지된 방식 내지 특별히 정한 방식에 따른 암호 과정을 따를 수 있다. 또한 등록표시부(220)는 IoT 기기(21,22,23,24,25)에 대한 단말기(10)의 접속 허용 위치 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단말기(10)로부터 GPS 모듈에 의한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registration display unit 220 displays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registration of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provided from the registration unit 130 with the telephone number of the access allowing terminal 10 or the password provided for each terminal 10 To allow connection with the IoT device 21, 22, 23, 24, 25 that provided the telephone number or password matching the telephone number or password confirmed by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at the time of registration of the terminal 10 It is possible to encrypt the transmission data with each other and to give the password to the terminal 10 which has accessed the web server 210 and has completed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the IoT devices 21, 22, 23, A plurality of the terminal access permitting terminals 10 can be registered and the position range or time zone of the terminal 10 permitting connection with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by the terminal 10, The number of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is set to be within the range, The can be limited. Here, various authentication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including input of the ID and password, authorized authentication, mobile phone authentication,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the like. The encryption of the transmission data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can be classified into WEP, WPA, WPA2, And the risk of exposure, etc.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llow various cryptographic processes according to various well-known methods or specially defined methods. The registration display unit 220 also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 to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in order to confirm the connection allowable position range of the terminal 10 Can receive.

데이터베이스부(230)는 등록표시부(220)에 의해 등록된 단말기(10) 및 IoT 기기(21,22,23,24,25)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웹서버(210)에 접속된 단말기(10)의 요청시 허용된 범위 내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허용된 범위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 내지 사용자가 허용한 범위 등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230)는 웹서버(210)의 웹페이지에 제공하기 위한 IoT 관련 기기의 판매 정보를 저장하고, IoT 기기(21,22,23,24,25) 및 IoT 관련 기기에 대해서 용도나 사용장소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웹서버(210)에 접속된 단말기(10)에 접속이 허용되는 기기 및 판매용 IoT 관련 기기를 카테고리별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The database unit 230 stores releva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and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registered by the registration display unit 220, 10) to provide relevant information within the allowed range. Here, the allowed range may be a minimum range required for service provision, a range allowed by the user, and the like. Also, the database unit 230 stores sales information of IoT-related devices to be provided on the web page of the web server 210 and stores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s 21, 22, 23, 24, and 25 and the IoT- It is possible to classify and store devices classified into categories according to use places and devices allowed to connect to the terminal 10 connected to the web server 210 and IoT related devices for sale by category.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웹서버(210)에 접속된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판매용 IoT 관련 기기의 판매 및 결제를 수행하는 제품판매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T 관련 기기는 IoT 기기(21,22,23,24,25) 뿐만 아니라, IoT에 사용되는 여러 장치나 용품일 수 있다. 또한 제품판매부(240)는 외부의 은행이나 카드사 또는 결제 대행사의 시스템과의 접속에 의해 단말기(10)가 구매 제품에 대한 전자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sales department that performs sale and settlement of sales IoT related devices provided through a web page by using the terminal 10 connected to the web server 210 (240). The IoT related devices may be IoT devices (21, 22, 23, 24, 25) as well as various devices or devices used in IoT. In addition, the product selling unit 240 may allow the terminal 10 to perform electronic settlement of the purchased product by connection with an external bank, a credit card company, or a payment agent system.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이를 위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의 IoT 기기 사용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IoT 기기의 등록, 접속 및 제어 등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IoT의 다기능화와 대중화 및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oT smart home apparatus and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theref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using IoT devices at remote locations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to provide various IoT devic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registration, connection and control, and can contribute to multi-functioning, popularization and expansion of Io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 단말기 21,22,23,24,25 : IoT기기
100 : IoT 스마트 홈 장치 110 : IoT용 통신모듈
111,112,113 : IoT 통신커넥터 120 : 통신부
121 : 통신커넥터 130 : 등록부
140 : 제어부 150 : 메모리부
160 : 입력부 161 : 하드키
170 : 표시부 180 : 전원공급부
181 : 전원커넥터 190 : 케이스
200 : IoT 서비스 제공 서버 210 : 웹서버
220 : 등록표시부 230 : 데이터베이스부
240 : 제품판매부
10: Terminal 21, 22, 23, 24, 25: IoT device
100: IoT smart home device 110: IoT communication module
111, 112, 113: IoT communication connector 120:
121: Communication connector 130: Register
140: control unit 150: memory unit
160: input unit 161: hard key
170: display unit 180: power supply unit
181: Power connector 190: Case
200: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210: Web server
220: registration display section 230: database section
240: Product Sales Department

Claims (5)

IoT 통신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어되는 IoT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IoT용 통신모듈;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록부;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서버에 등록되어 상기 통신부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가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IoT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와 상기 등록부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등록부를 통해 제공되는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에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제어 상태, 상기 IoT용 통신모듈에 의해 접속된 IoT 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IoT 기기별 접속 허용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IoT 스마트 홈 장치,
상기 IoT 스마트 홈 장치와 단말기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각 접속되도록 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상기 IoT 스마트 홈 장치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IoT 기기 및 단말기의 접속 허용을 위한 등록에 필요한 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등록을 수행하고, 등록된 단말기가 상기 웹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웹페이지에서 접속이 허용되는 IoT 기기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등록표시부,
상기 등록표시부에 의해 등록된 단말기 및 IoT 기기의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요청시 허용된 범위 내에서 상기 관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판매용 IoT 관련 기기의 판매 및 결제를 수행하는 제품판매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웹페이지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IoT 관련 기기의 판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IoT 기기 및 상기 IoT 관련 기기에 대해서 용도나 사용장소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웹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에 접속이 허용되는 기기 및 판매용 IoT 관련 기기를 상기 카테고리별로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등록표시부는,
상기 등록부로부터 제공되는 IoT 기기의 등록에 필요한 정보에 접속 허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별로 제공된 패스워드가 포함되도록 하고, 단말기의 등록시 인증 절차에 의해 확인된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전화번호 또는 패스워드를 제공한 IoT 기기와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상호간에 전송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절차를 마친 단말기에 패스워드를 부여하고, IoT 기기별 접속 허용 단말기를 다수 등록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에 의해 IoT 기기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단말기의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를 입력받아 해당 위치 범위나 시간대 또는 횟수 내에서 IoT 기기의 접속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communication module for IoT which is provided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IoT device that provides or controls information by IoT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unit adapt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registration unit for providing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with information necessary for registration of the IoT device connected by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IoT device connected by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s the terminal to perform control on the IoT device ;
A memory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and for registering the registering unit;
A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registration of the IoT device provided through the registration unit and input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operation to the control unit;
A display unit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externally displays an operation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connected by the IoT communication modul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 /
An IoT smart home device,
A web server for connecting the IoT smart home device and the terminal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IoT smart home device connected to the web server, the IoT smart home device connected to the web server, the IoT device, and the terminal, A registr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oT device which is allowed to be connected,
A database unit for storing related information of terminals and IoT devices registered by the registration display unit and for providing the related information within a range allowed upon request of a terminal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 product sales department for selling and settlement of sales-related IoT-related devices provided through the web page by using a terminal connected to the web server,
Lt; / RTI >
The database unit,
Stores the sales information of the IoT related device for providing to the web page, and classifies and stores the IoT device and the IoT related device according to the category according to the usage or the place of use, The allowable device and the IoT-related device for sale are provided for each category,
The registration display unit display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access allowing terminal or the password provided for each terminal may b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registration of the IoT device provided from the registering unit and the telephone number or password matching the telephone number or password confirmed by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at the time of registering the terminal Encrypts transmission data with each other to allow connection with the provided IoT device, grants a password to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nd completes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allows a plurality of access permission terminals per IoT device to be registered , And the terminal limits the connection of the IoT device within the corresponding location range, time zone, or the number of times by inputting the location range, the time zone, or the number of the terminal that permits connection with the IoT device by the terminal IoT service delivery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25126A 2016-09-28 2016-09-28 IoT service providing system with IoT smart home system and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using the same KR1018597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26A KR101859715B1 (en) 2016-09-28 2016-09-28 IoT service providing system with IoT smart home system and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126A KR101859715B1 (en) 2016-09-28 2016-09-28 IoT service providing system with IoT smart home system and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292A KR20180035292A (en) 2018-04-06
KR101859715B1 true KR101859715B1 (en) 2018-06-29

Family

ID=6197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126A KR101859715B1 (en) 2016-09-28 2016-09-28 IoT service providing system with IoT smart home system and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7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253B1 (en) 2019-03-14 2019-10-02 (주)미래로택 Ibm cloud based smart home touch switch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127A1 (en) 2018-03-27 2019-10-03 주식회사 엘지화학 Lithium metal battery
KR102044522B1 (en) * 2018-05-24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registration processing of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042689B1 (en) * 2018-05-30 2019-11-08 (주)유비벨록스모바일 IOT device setting system
KR102279147B1 (en) * 2019-08-29 2021-07-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ccess Point wireless access information change method and IOT system using the same
CN116027674A (en) * 2021-10-25 2023-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Automatic control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system based on human body percep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255B1 (en) * 2014-05-28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KR102460459B1 (en) * 2015-02-27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rd service using electronic device
KR101775823B1 (en) * 2016-03-29 2017-09-06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based internet of th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253B1 (en) 2019-03-14 2019-10-02 (주)미래로택 Ibm cloud based smart home touch switch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292A (en)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715B1 (en) IoT service providing system with IoT smart home system and IoT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using the same
CN105493538B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NFC access control for safety element center type NFC framework
US111925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CN108665250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hardware wallet and system
US9378599B2 (e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3229184A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secure resources
KR20180030642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ORDER INFORMATION
CN104504314B (en) Access control system
KR102410329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pd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7077671A (en) Use the payment mechanism and method of security module
KR20190091081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UTOMATIC Wi-Fi CONNECTION WITH ENHANCED SECURITY MEASURES WHEN MAKING ELECTRONIC WALLET PAYMENTS
CN110300083A (en) A kind of method, terminal and authentication server obtaining identity information
US201800052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based on license plate number
CN109920093A (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trol system,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5496393B1 (en) Home equipment and remote control system
KR10248383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23153843A (en)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KR102446170B1 (en) Method for Providing Exchanging Right by using Touch Module
CN106961664A (en) Communicate to connect control method, device and bluetooth keyboard
KR1012086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er management and mileage service
KR20150107591A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a smart key
US115998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evice for payment in multiple electronic devices
JP6338749B1 (en) Usag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TWI579796B (en) Smart Ticket Automatic Media Matching and Matching System
KR102549381B1 (en) Mobile terminal and product registr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