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585B1 - 무선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585B1
KR101859585B1 KR1020170181490A KR20170181490A KR101859585B1 KR 101859585 B1 KR101859585 B1 KR 101859585B1 KR 1020170181490 A KR1020170181490 A KR 1020170181490A KR 20170181490 A KR20170181490 A KR 20170181490A KR 101859585 B1 KR101859585 B1 KR 101859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ase station
base stations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규
Original Assignee
(주)온리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온리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온리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7018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기지국; 복수의 기지국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되,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셀 고유의 계열로 정의되는 제1 참조신호와 제1 참조신호와는 독립된 계열로 정의되는 제2 참조신호를 수신하며, 제1 참조신호를 적어도 알림 채널의 복조에 사용하며, 제2 참조신호를 적어도 수신품질의 측정에 사용하는 제1 무선통신 단말기; 복수의 서빙 게이트웨이; 및 사용자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이며 복수의 기지국과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에 설정되는 논리경로인 사용자 플레인 경로를 제어하는 교환국;을 포함하고, 복수의 기지국은,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개시시에 스스로에게 무선 접속되어 있던 제1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신개시 후에 무선접속처를 다른 기지국으로 전환하면, 제1 무선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제2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무선통신 단말기 앞으로 송신되는 정보를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기준 기지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 단말기가 다른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다른 네트워크 사이를 이동할 때,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전환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에 따르는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 3GPP에 규정되는 LTE/SAE(Long Term Evolution/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규격에 따르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유저 데이터의 통신에 사용되는 논리적인 통신경로(사용자 플레인 경로(U 플레인 경로))가 서빙 게이트웨이 및 기지국인 eNB를 경유하여 패킷 게이트웨이와 사용자 장치에 확립된다. 사용자 장치는 확립된 U 플레인 경로를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인터넷 등)와의 통신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패킷 게이트웨이와 사용자 장치에 확립되는 U 플레인 경로(EPS 베어러)는, 패킷 게이트웨이와 서빙 게이트웨이에 확립되는 U 플레인 경로(S5/S8 베어러), 서빙 게이트웨이와 기지국(eNB)에 확립되는 U 플레인 경로(S1-U) 베어리) 및 기지국(eNB)과 사용자 장치에 확립되는 U 플레인 경로(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포함한다.
이상의 U 플레인 경로의 제어(확립, 변경, 해방 등)은, 교환국인 MME(Mobile Management Entity)의 주도하에 실행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42328호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기지국이 인접 기지국의 무선리소스를 일괄하여 관리하는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간의 핸드오버 처리부하가 저감되고, 각 셀에 있어서의 수신품질 측정이 가능한 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 전환시 통신이 끊어지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에 기지국의 간섭을 저감시켜 적절한 핸드오버의 실시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송신이 최소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기지국; 복수의 기지국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되,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셀 고유의 계열로 정의되는 제1 참조신호와 제1 참조신호와는 독립된 계열로 정의되는 제2 참조신호를 수신하며, 제1 참조신호를 적어도 알림 채널의 복조에 사용하며, 제2 참조신호를 적어도 수신품질의 측정에 사용하는 제1 무선통신 단말기; 복수의 서빙 게이트웨이; 및 사용자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이며 복수의 기지국과 서빙 게이트웨이에 설정되는 논리경로인 사용자 플레인 경로를 제어하는 교환국;을 포함하고, 복수의 기지국은,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개시시에 스스로에게 무선 접속되어 있던 제1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신개시 후에 무선접속처를 다른 기지국으로 전환하면, 제1 무선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제2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무선통신 단말기 앞으로 송신되는 정보를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기준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 기지국은 제1 무선통신 단말기가 무선 접속처를 다른 기지국으로 전환하면, 기준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의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통신개시요구를 다른 기지국에 대해 송신한다.
또한, 다른 기지국은 제1 무선통신 단말기와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제1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되어 수신한 정보를 기준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1 참조신호는 제2 참조신호와 다른 시간에 맵핑되며, 제2 참조신호에 비해 촘촘히 맵핑된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이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경우, 송신 안테나마다 제2 참조신호가 다른 시간 및 다른 주파수 리소스에 맵핑되어 송신된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이 복수의 리모트 기지국을 갖는 경우, 제2 참조신호는 복수의 리모트 기지국 간에 서로 부호분할 다중, 주파수분할 다중 및 시분할 다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직교화된다.
또한,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의 제1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에, 어느 하나의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에 대해 다른 기지국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사이에 통신에 대한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리소스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기지국은 다른 하나의 기지국 및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할당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할당수단은 다른 기지국 및 제1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고 핸드오버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에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또한, 통지수단은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신호에 중첩하여 리소스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리소스 정보에는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 가능한 유효 기한이 설정된다.
또한, 리소스 정보에는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은 중첩된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제1 셀영역과 제2 셀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패킷은 각각 동일한 크기를 갖고 랜덤선형부호화를 적용하여 부호화되고, 제1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제2 무선통신 단말기는 제1 셀영역 또는 제2 셀영역 내에 포함되고, P2P(Peer-to-Peer)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제2 무선통신 단말기가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대 잡음비(SNR)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 제1 셀영역 내에 포함된 경우이면,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부호화된 복수의 패킷을 수신하고, 제1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제2 무선통신 단말기가 제1 셀영역을 벗어난 제2 셀영역에 포함된 경우이면, 일정 거리에 인접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P2P 통신하여 복수의 패킷을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기지국이 인접 기지국의 무선리소스를 일괄하여 관리하는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간의 핸드오버 처리부하가 저감되고, 각 셀에 있어서의 수신품질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 전환시 통신이 끊어지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에 기지국의 간섭을 저감시켜 적절한 핸드오버의 실시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송신이 최소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빙 게이트웨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국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무선통신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00)은 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 제1 및 제2 서빙 게이트웨이(400, 500), 교환국(600) 및 패킷 게이트 웨이(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은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는 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제2 무선통신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와 무선통신하되, 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으로부터 셀 고유의 계열로 정의되는 제1 참조신호와 제1 참조신호와는 독립된 계열로 정의되는 제2 참조신호를 수신하며, 제1 참조신호를 적어도 알림 채널의 복조에 사용하며, 제2 참조신호를 적어도 수신품질의 측정에 사용한다. 제1 참조신호는 제2 참조신호와 다른 시간에 맵핑되며, 제2 참조신호에 비해 촘촘히 맵핑된다. 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이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경우, 송신 안테나마다 제2 참조신호가 다른 시간 및 다른 주파수 리소스에 맵핑되어 송신된다. 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이 복수의 리모트 기지국을 갖는 경우, 제2 참조신호는 복수의 리모트 기지국 간에 서로 부호분할 다중, 주파수분할 다중 및 시분할 다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직교화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나의 기지국이 인접 기지국의 무선리소스를 일괄하여 관리하는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간의 핸드오버 처리부하가 저감되고, 각 셀에 있어서의 수신품질 측정이 가능하다.
교환국(600)은 사용자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이며 제1 및 제2 기지국 (100, 200)과 제1 및 제2 서빙 게이트웨이(400, 500)에 설정되는 논리경로인 사용자 플레인 경로를 제어한다.
제1 기지국(100)은,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개시시에 스스로에게 무선 접속되어 있던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가 통신개시 후에 무선접속처를 제2 기지국(200)으로 전환하면,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와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제2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 앞으로 송신되는 정보를 제2 기지국(200)에 전송하는 기준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기지국은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가 무선 접속처를 제2 기지국(200)으로 전환하면, 기준 기지국과 제2 기지국(200)의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통신개시요구를 제2 기지국(200)에 대해 송신한다. 제2 기지국(200)은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와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로부터 발신되어 수신한 정보를 기준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기지국 전환시 통신이 끊어지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기지국을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으로 간단히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기지국(100)에서 제2 기지국(200)으로 무선접속처를 전환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무선통신 시스템(1000) 내의 각 요소는, 소정의 액세스 기술 (Access Technology), 예를 들면, 3GPP 규격(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규정된 LTE/SAE(Long Term Evolution/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에 따라 통신을 실행한다. 3GPP 규격에 규정된 용어에 따르면,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는 User Equipment이며, 제1 기지국(100)은 evolved Node B이며, 교환국(600)은 Mobile Management Entity이며, 제1 및 제2 서빙 게이트웨이(400, 500)의 각각은 Serving Gateway이며, 패킷 게이트웨이(700)는 Packet Data Network(PDN) Gateway이다. 또한, 제2 기지국(200)은 제1 기지국(100)과는 다른 새로운 종별의 기지국이며, 그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칙으로서 무선통신 시스템(1000)이 LTE/SAE에 따라 동작하는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본 발명은 필요한 설계상의 변경을 실시한 후 다른 액세스 기술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는 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과 무선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와 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과의 무선통신의 방식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면, 하향링크에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채용될 수 있으며, 상향링크에서는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채용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00)은 제2 기지국(200), 교환국(600) 및 제1 서빙 게이트웨이(400)와 유선으로 접속된다. 제2 기지국(200)은 제1 기지국(100) 및 제2 서빙 게이트웨이(500)와 유선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1 기지국(100)과 제2 기지국(200)이 무선으로 접속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교환국(600)은 제1 기지국(100) 외에, 제1 및 제2 서빙 게이트웨이(400, 500)와 유선으로 접속된다. 패킷 게이트웨이(700)는 제1 및 제2 서빙 게이트웨이(400, 500)와 접속되는 외에, 무선통신 시스템(1000)의 외부 네트워크인 인터넷(10)에 접속된다. 즉, 패킷 게이트웨이(700)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접속점(액세스 포인트)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빙 게이트웨이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서빙 게이트웨이(400)는 네트워크 통신부(410), 제어부(420) 및 기억부(430)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통신부(410)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 교환국(600), 패킷 게이트웨이(700) 등)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요소이다.
기억부(430)는 통신 제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제어부(420)는 통신 제어부(421), 응답부(422), 경로 설정부(423) 및 데이터 송수신부(424)를 구비한다. 데이터 송수신부(424)는 S1-U 베어러(S1B)를 통해 패킷 게이트웨이(700)와 사용자 신호를 송수신(중계)한다. 제어부(420)가 포함되는 그 외의 요소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420) 및 제어부(420)에 포함되는 이상의 각 요소는, 제1 서빙 게이트웨이(400) 내에 CPU(도시되지 않음)가 기억부(430)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기능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 블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서빙 게이트웨이를 제1 서빙 게이트웨이(400)와 제2 서빙 게이트웨이(500)로 설명하기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서빙 게이트웨이(40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제2 서빙 게이트웨이(500)도 제1 서빙 게이트웨이(4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국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교환국(600)은 사용자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이며 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과 제1 및 제2 서빙 게이트웨이(400, 500)에 설정되는 논리경로인 사용자 플레인 경로를 제어한다. 교환국(600)은 네트워크 통신부(610), 제어부(620) 및 기억부(630)를 구비한다.
네트워크 통신부(610)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제1 및 제2 서빙 게이트웨이((400, 500), 제1 기지국(100) 등)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요소이며, 제1 기지국(100)의 네트워크 통신부(61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기억부(630)는 통신 제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제어부(620)는 기지국 리스트 생성부(621), 기지국 리스트 송신부(622), 게이트웨이 선택부(623) 및 경로 제어부(624)를 구비한다. 제어부(620)가 포함되는 이상의 요소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620) 및 제어부(620)에 포함되는 이상의 각 요소는 교환국(600) 내의 CPU(도시되지 않음)가 기억부(630)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기능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 블록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무선통신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는 무선통신 처리부(310), 액세스 포인트 특정부(320), 통화처 지정부(330) 및 제어부(340) 등을 구비한다.
무선통신 처리부(310)는 소정의 IP 어드레스(예를 들면, "IP: 192.168.1.10" 등)을 이용해서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무선통신 처리부 (310)는 송수신용 안테나(311)를 구비한다.
송수신용 안테나(311)는 액세스 포인트와 신호의 송수신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용 안테나(311)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서브 네트워크에 따른 소정의 식별자 "ESSID"를 이용해서 소정의 주파수 채널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통신 처리부(310)는 해당 제1 무선통신 단말기의 주변의 무선링크를 확립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검색하는 경우에, 서브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모든 식별자 "ESSID" 및 주파수 채널에 대해 송수신용 안테나(311)로부터 프로브 요구를 송신한다. 즉, 무선통신 처리부(310)는 예를 들면, 식별자를 "ESSID1"M "ESSID2", "ESSID3" 등으로 하는 프로브 요구를 송수신용 안테나(311)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무선통신 처리부(310)는 액세스 포인트 특정부(320)에 의해 접속처로서 특정된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링크를 확립할 때에는, 송수신용 안테나(311)로부터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송신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어소시에이션 응답에 의해 해당 액세스 포인트와 제1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이에서 무선링크가 확립된다.
또한, 무선통신 처리부(310)는 무선링크의 확립 후에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해당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는 서브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IP 어드레스를 도시하지 않은 DHCP 서버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무선통신 처리부(310)는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무선통신 처리부(310)는 액세스 포인트 특정부(320)에 의해 핸드오버처의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면, 제2 및 제3 액세스 포인트(1B, 1C) 등)가 특정된 경우에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를 핸드오버처로 하는 핸드오버처 정보를 실제로 접속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면, 제1 액세스 포인트(1A) 등)에 송신한다.
또한, 무선통신 처리부(310)는 통화종료 후에 핸드오버처의 액세스 포인트가 저속되는 네트워크와 동일한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무선통신 처리부(310)는 통화종료 후에 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DHCP 서버로부터 해당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는 서브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통신 처리부(310)는 해당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의 조작부의 통화 종료 버튼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나, 통화처 단말로부터 송신된 절단요구의 수신에 의거하여 통화의 종료를 판단하여 해당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는 서브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액세스 포인트 특정부(320)는 접속처나 핸드오버(전환)처의 액세스 포인트를 특정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 특정부(320)는 무선통신 처리부(310)로부터 송신된 프로브 요구에 대해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응답(프로브 응답)이 있던 경우에 해당 프로브 응답의 수신레벨을 검출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 특정부(320)는 갖아 수신레벨이 높은 액세스 포인트를 접속처나 핸드오버처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특정한다.
즉, 액세스 포인트 특정부(320)는 핸드오버처를 특정하는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되어 송수신용 안테나(311)에 의해 수신한 신호의 수신레벨을 소정의 타이밍에서 검출하여 수신레벨이 소정값 이하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수신레벨이 소정값 이하로 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 특정부(320)는 주변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프로브 응답의 수신레벨을 검출하여 가장 수신레벨이 높은 액세스 포인트를 핸드오버처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특정한다.
통화처 지정부(330)는 특정의 통신상대를 지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통화처 지정부(330)는 통화처 단말의 전화번호를 지정함으로써 통화하는 상대를 지정한다.
제어부(34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CPU, RAM, ROM 등으로 구성되어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100)으로부터 제2 기지국(200)으로의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의 핸드오버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 기지국(100)은 제2 기지국(200)에 대해 제2 기지국(200)과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와의 사이에 통신에 대한 제1 기지국(100)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리소스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수단(110)을 구비한다.
제2 기지국(200)은 제2 기지국(200) 및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 사이의 통신에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할당수단(210)을 구비한다.
할당수단(210)은 제2 기지국(200) 및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 사이의 통신이고, 핸드오버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에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한다.
통지수단(110)은 제1 기지국(100)으로부터 제2 기지국(200)으로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신호에 중첩하여 리소스 정보를 송신한다. 리소스 정보에는 제1 기지국 (100)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 가능한 유효 기한이 설정되며, 리소스 정보에는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의 핸드오버시에 제1 기지국(100)의 간섭을 저감시켜 적절한 핸드오버의 실시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용량 데이터를 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으로부터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에 전송해야만 하는 경우, 브로드캐스팅 방식과 함께 근거리 통신을 효과적으로 혼용하여 데이터 전송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은 스마트폰과 가은 네트워크에서 셀 내의 거의 모든 객체가 데이터를 수신해야만 하는 경우 응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 TV, 케이블 방송, 인기 컨텐츠, 상품/영화 등의 광고 컨텐츠에 적용되어 빠른 시간 내에 소정 영역 내의 모든 개체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기지국(100, 200)이 중첩된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제1 셀영역과 제2 셀영역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패킷들로 분할하고 랜덤선형부호화(RLC)를 적용하여 부호화한 복수의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하고,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가 제1 셀영역 또는 제2 셀영역 내에 포함되고 P2P(Peer-to-Peer)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셀영역 내에 포함된 제1 무선통신 단말기(300)는 제1 기지국(10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부호화된 복수의 패킷을 수신하고, 제2 셀영역 내에 포함된 제2 무선통신 단말기는 일정 거리에 인접한 다른 무선통신 단말기와 P2P 통신을 하여 부호화된 복수의 패킷을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지국(100)으로부터의 신호대 잡음비가 일정값 이상인 제1 셀영역 내의 무선통신 단말기들은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이 영역을 벗어나는 제2 셀영역 내의 무선통신 단말기들은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P2P 통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제1 기지국으로부터 모든 무선통신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이 최소시간에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제1 기지국 110 : 통지수단
200 : 제2 기지국 210 : 할당수단
300 : 제1 무선통신 단말기 400 : 제1 서빙 게이트웨이
410 : 네트워크 통신부 420 : 제어부
421 : 통신 제어부 422 : 응답부
423 : 경로 설정부 424 : 데이터 송수신부
430 : 기억부 500 : 제2 서빙 게이트웨이 600 : 교환국 610 : 네트워크 통신부 620 : 제어부 621 : 기지국 리스트 생성부 622 : 기지국 리스트 송신부 623 : 게이트웨이 선택부 624 : 경로 제어부 630 : 기억부
700 : 패킷 게이트웨이 1000 : 무선통신 시스템

Claims (13)

  1.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복수의 기지국;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되, 상기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셀 고유의 계열로 정의되는 제1 참조신호와 상기 제1 참조신호와는 독립된 계열로 정의되는 제2 참조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참조신호를 적어도 알림 채널의 복조에 사용하며, 상기 제2 참조신호를 적어도 수신품질의 측정에 사용하는 제1 무선통신 단말기;
    복수의 서빙 게이트웨이; 및
    사용자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경로이며 복수의 기지국과 상기 서빙 게이트웨이에 설정되는 논리경로인 사용자 플레인 경로를 제어하는 교환국;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지국은, 상기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개시시에 스스로에게 무선 접속되어 있던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신개시 후에 무선접속처를 다른 기지국으로 전환하면,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상기 제2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기 앞으로 송신되는 정보를 상기 다른 기지국에 전송하는 기준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무선 접속처를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 전환하면, 상기 기준 기지국과 상기 다른 기지국의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통신개시요구를 상기 다른 기지국에 대해 송신하되, 상기 다른 기지국에 대해 상기 다른 기지국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사이에 통신에 대한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리소스 정보를 상기 통신개시요구에 중첩하여 송신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다른 하나의 기지국 및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상기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리소스 정보는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상기 무선 리소스를 사용 가능한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2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되어 수신한 정보를 상기 기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참조신호는 상기 제2 참조신호와 다른 시간에 맵핑되며, 상기 제2 참조신호에 비해 촘촘히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경우, 상기 송신 안테나마다 상기 제2 참조신호가 다른 시간 및 다른 주파수 리소스에 맵핑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이 복수의 리모트 기지국을 갖는 경우, 상기 제2 참조신호는 복수의 리모트 기지국 간에 서로 부호분할 다중, 주파수분할 다중 및 시분할 다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직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은 중첩된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제1 셀영역과 제2 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킷은 각각 동일한 크기를 갖고 랜덤선형부호화를 적용하여 부호화되고,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셀영역 또는 제2 셀영역 내에 포함되고, P2P(Peer-to-Peer)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대 잡음비(SNR)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 상기 제1 셀영역 내에 포함된 경우이면, 상기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부호화된 복수의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셀영역을 벗어난 상기 제2 셀영역에 포함된 경우이면, 일정 거리에 인접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P2P 통신하여 상기 복수의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KR1020170181490A 2017-12-27 2017-12-27 무선통신 시스템 KR101859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490A KR101859585B1 (ko) 2017-12-27 2017-12-27 무선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490A KR101859585B1 (ko) 2017-12-27 2017-12-27 무선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585B1 true KR101859585B1 (ko) 2018-05-21

Family

ID=6245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490A KR101859585B1 (ko) 2017-12-27 2017-12-27 무선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585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36.300 V11.2.0, 2012.06.*
3GPP TSG-RAN WG4 Meeting #68bis, R4-135540, 201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945B1 (ko) 셀룰러망에서 세션의 다양한 ssc 모드 지원을 위한 upf 변경 방안
CN109479221B (zh) 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1838958B2 (en) UE access method and apparatus
CN115280898A (zh) Ue到网络中继的基于路径切换的服务连续性的方法和设备
US96031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default path and direct pa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244468A1 (en) Relay terminal reselection method and device
US201601985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ata pa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09045027A2 (en) Method of fast uplink data transmission for handover
CN113785552B (zh) 会话管理功能选择
CN111630824A (zh) 用于卸载数据流量的方法和系统
US9775180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11876777B2 (en) Management of identifiers in a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etwork
CN112073163B (zh) 邻小区配置信息传输方法和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492578B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相关设备
WO2021136379A1 (en) Early packet filtering for sidelink ue discovery
WO202016708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80324655A1 (en) Method of identifying traffic to 3gpp ran handed over from wlan to 3gpp ran
CN109804708B (zh) 控制通信的方法、无线通信设备、接入点和无线通信系统
KR101859585B1 (ko) 무선통신 시스템
CN116406024A (zh) 经由中继用户设备与另一远程用户设备连接的方法和设备
KR102047960B1 (ko) 단말의 직접 통신 방법
TWI819462B (zh) 用於移動性更新報告之技術
CN111901899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6896774A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中继用户设备支持与另一远程用户设备的连接的方法和设备
CN116133111A (zh) 一种切片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