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502B1 -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nd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nd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502B1
KR101859502B1 KR1020160167516A KR20160167516A KR101859502B1 KR 101859502 B1 KR101859502 B1 KR 101859502B1 KR 1020160167516 A KR1020160167516 A KR 1020160167516A KR 20160167516 A KR20160167516 A KR 20160167516A KR 101859502 B1 KR101859502 B1 KR 10185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booth
content
contents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지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피엠 filed Critical (주)지피엠
Priority to KR102016016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5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Abstract

Disclosed is a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with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mprises: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including a wall body which surrounds an internal space and has an entrance on one side, a booth computer which stores and implements virtual reality content, a virtual reality apparatus, a projector, and a speaker; a development company terminal used by a virtual reality content developer; and a service server which communicates with the booth computer of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nd the development company terminal, and is equipped with a content registration part, a content provision part, a competition game support part, e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simply enjoy plenty of virtual reality content without a burden. In addition, new popular play culture, in which many persons are able to share virtual reality experiences, can be provided. Also, from a position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developer, once the developer′s content is registered, the content is immediately exposed to the public. Accordingly, costs for promotion and marketing can be reduced, and plenty of feedback can be received.

Description

가상현실 체험 부스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nd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nd a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본 발명은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여러 사람이 함께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고 콘텐츠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콘텐츠 유통 플랫폼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people can easily enjoy various virtual reality contents together with a user and a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and appropriate feedback ≪ / RTI >

가상현실 기기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interaction)이 가능한 가상의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초기에는 비행기 조종사의 훈련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게임, 마케팅, 엔터테인먼트, 교육, 의학, 공학 등의 분야까지 그 사용범위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The virtual reality device is a device that provides a virtual environment in which interaction with the user is possible. In the beginning, it was developed for the training of an airplane pilot. Recently, however, the field of game, marketing, entertainment, education, medicine, The use range is rapidly expanding.

가상현실 기기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의 출력부, 가상현실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가 머리 등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부 등을 포함하며,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영상의 범위, 방향 등)이나 영상 내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속성(방향, 속도 등)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가상현실 기기에 설치된 모션센서, 가상현실 기기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카메라, 사용자가 착용 또는 휴대하는 컨트롤러 등에 의해 생성된다.The virtual reality apparatus basically includes an output unit such as a display and a speaker, a memory for stor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a wearer for wearing the user's head, etc., (Range, direction, etc.) of the image displayed in the image and the attribute (direction, speed, etc.) of the object displayed in the image.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a motion sensor installed in the virtual reality device, a camera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a controller worn or carried by the user, or the like.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현실 기기 또는 이와 연결된 컴퓨터에 원하는 콘텐츠를 미리 저장해 둔 상태에서 가상현실 기기를 착용하고 원하는 콘텐츠를 실행시킴으로써 가상현실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enjo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by pre-storing the desired contents in the virtual reality device or the computer connected thereto and by wearing the virtual reality device and executing the desired content.

그런데 기존의 가상현실 기기와 콘텐츠 유통방식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점을 안고 있다.However, existing virtual reality devices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s have some limitations as follows.

첫째,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가상현실 기기 및 주변 기기가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설치가 복잡하고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부담 없이 간편하게 가상현실 콘텐츠를 즐기는데 한계가 있다.First, since the virtual reality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are expensive, the installation is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retrieve a desired content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in easily enjoy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easily.

최근 스마트폰을 장착하는 저가형 가상현실 기기가 많이 보급되면서 스마트폰용 콘텐츠가 많이 개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저가형 기기는 스마트폰의 하드웨어적인 한계로 인해 고사양이 요구되는 게임 등의 콘텐츠를 즐기는 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용 기기에 비하여 어지럼증 등과 같은 사용상 불편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Recently, a lot of low-priced virtual reality devices equipped with smart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a lot of contents for smartphone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these low-priced devices have difficulties in enjoying contents such as games requiring high- It is known that there is a great inconvenience to use such as dizziness compared with a dedicated device.

둘째, 가상현실 기기는 헤드마운트 타입이 대부분이므로 사용자가 일단 가상현실 기기를 착용하면 혼자만의 체험이 가능할 뿐이고 옆에 있는 다른 사람과 체험을 공유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즉, 아직까지는 헤드마운트 타입의 가상현실 기기를 사용할 경우에 가상현실 콘텐츠를 여러 명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가상현실 체험이 대중적인 놀이 문화로 자리잡는데 어려움이 있다.Second, because the virtual reality device is mostly head mount type, once the user wears the virtual reality device, it is only possible to experience the experience alone, and it is impossible to share experiences with other people next to the virtual reality device. In other words, there is no way that a plurality of people can enjoy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when the head mount type virtual reality device is used so that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is difficult to be established as a popular play culture.

셋째, 가상현실 콘텐츠의 유통 플랫폼이 아직 정착되지 않은 상태이어서 콘텐츠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홍보와 마케팅에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유료화하더라도 고가의 고사양 가상현실 기기가 널리 대중화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매출 증대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자신의 콘텐츠에 대한 고객선호도, 이용시간, 고객층 등과 같은 실질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피드백 받는데 어려움이 있다.Third, since the distribution platform of virtual reality contents has not been settled yet, the content developers are burdened with publicity and marketing, and even if the contents are charged, expensive high-definition virtual reality devices are widely populariz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Also, there is a difficulty in receiving feedback on actual and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ustomer's preference, usage time, and customer's level of the contents.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1538호(2013.06.11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61538 (published on June 11, 2013)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부담 없이 간편하게 즐길 수 있고, 특히 가상현실 체험을 혼자만이 아니라 여러 사람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놀이 문화로 정착시킬 수 있는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game system capable of easily enjoying various virtual reality contents without the burden of the user, and in particular, to establish a popular play culture in which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can be enjoyed not only by himself,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system.

또한 콘텐츠 개발자에게 안정적인 유통 플랫폼을 제공하고, 콘텐츠별 고객선호도, 이용시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also provides a reliable distribution platform for content developers, and provides a system that can feed back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ustomer preference, usage time, etc. for each conten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내부공간을 둘러싸고 일측에 출입구를 구비하는 벽체와, 가상현실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부스용 컴퓨터와,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스용 컴퓨터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가상현실 기기와, 상기 벽체의 천정에 설치되며 상기 부스용 컴퓨터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을 상기 가상현실 기기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벽체의 내벽에 설치된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와, 상기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과 동기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가상현실 체험 부스;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자가 사용하는 개발사단말; 상기 개발사단말로 콘텐츠 등록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콘텐츠등록부와, 등록된 콘텐츠를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콘텐츠제공부와, 다수의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부터 대전게임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대전게임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대전게임지원부와,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실행정보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통계자료DB에 저장하는 통계분석부와,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실행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개발사에 지급할 정산금액을 산출하는 수익정산부를 구비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wall enclos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n entrance at one side thereof, a booth computer for storing and execu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 virtual reality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of the wall and adapted to output an image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selected by the booth computer through the display, And a speaker installed inside the wall for outputting a sound synchronized with the video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 developer terminal used by a virtual reality contents developer;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content registration interface to the developer terminal;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registered content to the booth computer;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receiving a competition game request from a plurality of the booth computers, A statistical analysis unit for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contents execu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ooth computer and storing the contents in the statistical data DB; And a service settlement unit for calculating a settlement amount to be paid to a content developer using the service settlement unit.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개발사단말이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가상현실 콘텐츠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가상현실 콘텐츠를 콘텐츠DB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가상현실 체험부스에 구비된 부스용 컴퓨터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가상현실 체험부스에서 상기 부스용 컴퓨터가 가상현실 콘텐츠를 실행하면, 상기 가상현실 체험부스의 내부에 구비된 가상현실 기기가 상기 부스용 컴퓨터가 실행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프로젝터가 벽체의 내벽에 설치된 스크린으로 상기 부스용 컴퓨터가 실행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상기 부스용 컴퓨터가 콘텐츠 사용내역 정보를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각 콘텐츠의 이용시간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virtual reality contents, the method comprising: a developer terminal accessing a service server to request registration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Stor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in the contents DB and registering the registered virtual reality contents in the contents DB, and storing the transferred virtual reality contents in a booth computer provided in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When the booth computer execu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n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the virtual reality device provided in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outputs the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executed by the booth computer through the display Projecting an image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executed by the computer for the booth to a screen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wall of the wall of the wall; The computer for the booth transmitting content usage history information to a service server; And performing a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usage time of each content by the service ser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내부공간을 둘러싸고 일측에 출입구를 구비하는 벽체; 상기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가상현실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와, 콘텐츠 선택을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부스용 컴퓨터;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스용 컴퓨터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가상현실 기기; 상기 벽체의 천정에 설치되며, 상기 부스용 컴퓨터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을 상기 가상현실 기기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벽체의 내벽에 설치된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과 동기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체험 부스를 제공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wall surround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n entrance at one side; A booth computer installed in the wall and having a storage for stor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 display for providing a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an input unit for content selection; A virtual reality device that is worn by a user and outputs an image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elected by the computer for the booth through a display; A projector installed on a ceiling of the wall for projecting an image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elected by the computer for the booth through a display on the virtual reality apparatus and project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onto a screen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the wall; And a speaker installed inside the wall and outputting a sound synchronized with the video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 부스에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의 반대쪽을 향해 출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로젝터의 전방에는 출사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미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천정에는 상기 미러를 중심으로 상기 프로젝터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터의 출사광 또는 산란광이 상기 스크린의 반대쪽으로 도달하지 않도록 막는 차광판이 설치될 수 있다.In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or may be installed to emit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and a mirror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projector to reflect the emitted image toward the screen. In this case, the ceiling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shielding plate which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jector with respect to the mirror so as to prevent the outgoing light or scattered light of the projector from reach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체험부스를 이용함으로써 고가의 가상현실 기기를 구매하지 않고도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부담 없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체험부스 내에서 가상현실 기기를 착용한 사람과 착용하지 않은 사람이 동일한 영상과 사운드를 함께 즐길 수 있으므로 여러 사람이 가상현실 체험을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대중적인 놀이 문화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xperiential booth in the position of the user, various virtual reality contents can be easily enjoyed easily without purchasing an expensive virtual reality device. In addition, people wearing virtual reality devices and people who are not wearing virtual reality devices can enjoy the same video and sound in the booth, thereby providing a new popular play culture in which people can share virtual reality experiences.

또한 가상현실 콘텐츠의 개발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콘텐츠를 서비스서버에 등록하기만 하면 즉시 대중에게 노출되므로 홍보와 마케팅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객선호도, 이용시간, 고객층 등과 같은 실질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간편하게 피드백 받을 수 있으므로 콘텐츠 개발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s a developer of virtual reality content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ublicity and marketing cost because the content is immediately exposed to the public only by registering the content in the service server, and the actual and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ustomer preference, You can help set up content development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부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부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부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부스의 블록도
도 6은 부스용 컴퓨터의 콘텐츠 선택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erimental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experiential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n experiential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 experimental b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selection screen of a booth computer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중간에 다른 요소가 개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요지를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 됨을 미리 밝혀 둔다.Note that,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connected to, coupled with, or communicates with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mmunicated with another element, Or indirectly connecting, combining, or communicating. Also, when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no other element is interposed in between. Also,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part including or including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r be equipped with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Furth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are only illustrativ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gist of the invention,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의 개략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부스(100), 콘텐츠 개발자가 사용하는 개발사단말(300), 통신망(10)을 통해 체험부스(100) 및 개발사단말(300)과 통신하는 서비스서버(200)를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서버(200)에는 관리자단말(280)이 통신망(10)을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체험부스(100)와 개발사단말(300)의 개수가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the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the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perience booth 100 capable of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 developer terminal 300 used by a content developer, And a service server 200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periencing booth 100 and the developer terminal 300 via the Internet 10. Also, the service server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28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number of the experiencing booth 100 and the developer terminal 30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체험부스(100)는 여러 사람이 함께 들어 갈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고, 내부에는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다양한 기기가 설치된다. 체험부스(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experiencing booth 100 has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people can enter together, and various devices for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are installed inside.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xperiential booth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서비스서버(200)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콘텐츠등록부(210), 콘텐츠제공부(220), 대전게임지원부(230), 통계분석부(230), 수익정산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200)는 체험부스DB(291), 콘텐츠DB(292), 통계자료DB(293) 등과 연동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200 may include a content registration unit 210, a content providing unit 220, a competition game support unit 230, a statistical analysis unit 230, a profit settlement unit 250, .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can work with the experiential booth DB 291, the contents DB 292, the statistical data DB 293, and the like.

콘텐츠등록부(210)는 개발사가 가상현실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등록 인터페이스는 개발사단말(300)로 제공되는 등록신청 인터페이스와 콘텐츠 업데이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관리자단말(280)로 제공되는 등록심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registration unit 210 provides a registration interface for a developer to register a virtual reality content. The registration interface may include a registration application interface provided to the developer terminal 300, an interface for content update, a registration examination interface provid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280, and the like.

콘텐츠제공부(220)는 콘텐츠등록부(210)를 통해 신규 등록된 콘텐츠 또는 업데이트된 콘텐츠를 체험부스(100)에 구비된 부스용 컴퓨터(11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tents providing unit 220 transmits the newly registered contents or the updated contents through the contents registering unit 210 to the booth computer 110 provided in the experiencing booth 100 and stores the contents.

대전게임지원부(230)는 다수 체험부스(100)로부터 특정 콘텐츠의 대전게임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대전게임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통신을 지원한다.The competition game support unit 230 supports an interface and a communication for a competition game when receiving a competition game request of a specific content from the plurality of experience booths 100. [

통계분석부(240)는 각 체험부스(100)의 부스용 컴퓨터(11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실행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별, 연령별, 성별, 지역별 이용시간 등과 같은 각종 통계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통계자료DB(293)에 저장한다.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240 analyzes various statistics such as contents, age, sex, and usage time of each area by using the contents execu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ooth computer 110 of each experiential booth 100, And stores it in the data DB 293.

수익정산부(250)는 각 체험부스(100)의 부스용 컴퓨터(11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실행정보를 이용하여 각 콘텐츠의 개발사에 지급할 정산금액을 산출한다.The profit settlement unit 250 calculates a settlement amount to be paid to the developer of each content using the content execu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ooth computer 110 of each experiential booth 100. [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서비스서버(200)는 개발사단말(300)의 요청에 응하여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제공하는 SDK제공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200)는 상기 각 기능부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ervice server 200 may include an SDK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developer terminal 300.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of the functional units.

한편 서비스서버(200)의 상기 각 기능부는 서로 독립된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기능부가 하나의 프로그램을 통해 통합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기능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Meanwhile, each of the functional units of the service server 200 may be provided through independent programs, or two or more functional units may be integrally provided through one program. At least one of the functional units may be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체험부스DB(291)는 체험부스(100)의 운영자, 설치지역, 콘텐츠별 이용내역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DB(292)는 콘텐츠등록부(210)를 통해 등록되거나 업데이트된 콘텐츠를 개발사정보와 맵핑하여 저장한다. 또한 통계자료DB(293)는 통계분석부(240)에서 생성된 각종 통계정보를 저장한다. The experiential booth DB 291 can store information on the operator, installation area, usage details for each content, and the like of the experiential booth 100. The contents DB 292 maps the contents registered or updated through the contents registering unit 210 with developer information and stores the contents. The statistical data DB 293 stores various statist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240.

개발사단말(300)은 개발사업체 또는 개인 개발자가 사용하는 데크스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일 수도 있다. The developer terminal 300 may be a deck-s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which is used by a developer company or an individual developer, or may b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통신망(10)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유선망, 무선망, 유무선결합망 등이 선택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us a wired network, a wireless network, a wired / wireless combined network, and the like can be selectively used.

체험부스(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규모의 공간을 둘러싸는 벽체(102)와 벽체(102)의 일측에 형성된 출입구(106)를 포함하며, 벽체(102)에는 창(104)이 형성될 수 있다. 창(104)은 강화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 재질일 수도 있고, 반투명 재질일 수도 있다.2, the experiential booth 100 includes a wall body 102 surrounding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n entrance 106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l body 102. The wall body 102 is provided with a window 104, Can be formed. The window 104 may be a transparent material made of tempered glass or the like, or a translucent material.

도 3의 평단면도 및 도 4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험부스(100)의 내부에는 부스용 컴퓨터(110), 프로젝터(120), 스크린(125), 가상현실 기기(130), 컨트롤러(140), 카메라(150), 스피커(160), 마이크(17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108)가 설치될 수도 있다.3, the booth computer 110, the projector 120, the screen 125,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the controller 140 (see FIG. 3) A camera 150, a speaker 160, a microphone 170, and the like. A chair 108 for the user to sit on may also be provided.

부스용 컴퓨터(110)는 서비스서버(200)에서 제공된 다수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대한 실행명령을 입력하면, 부스용 컴퓨터(110)는 실행되는 콘텐츠의 영상데이터를 프로젝터(120)와 가상현실 기기(130)로 전송한다. The booth computer 110 stores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200 and provides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user can select contents. When the user inputs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selected content, the booth computer 110 transmits the video data of the executed content to the projector 120 and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스용 컴퓨터(110)는 도 5의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11), 디스플레이(112), 입력부(113), 저장부(114), 통신부(115)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구성이 일체화된 키오스크(Kiosk) 형태의 부스용 컴퓨터(110)를 사용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통상의 데스크톱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5, the booth computer 110 includes a control unit 111, a display 112, an input unit 113, a storage unit 114, a communication unit 115, and the like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oth computer 110 in the form of a kiosk integrated with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s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us a typical desktop computer or the like may be used.

제어부(111)는 부스용 컴퓨터(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과 이를 실행하는 CPU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2)는 콘텐츠 선택화면, 콘텐츠 실행화면 등을 표시하는 것이고, 입력부(113)는 콘텐츠 선택 및/또는 실행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이다. 입력부(113)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111 may comprise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ooth computer 110 and a CPU for executing the control program. The display 112 displays a content selection screen, a content execution screen, and the like, and the input unit 113 is operated by a user for content selection and / or execution. The input unit 113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6은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표시된 콘텐츠 선택화면을 예시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다수의 콘텐츠 이미지를 드래그하면서 콘텐츠를 검색하고 콘텐츠 이미지를 터치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FIG. 6 illustrates a content selection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12. The user can search for content while dragging a plurality of content images, and select a desired content by touching the content image.

저장부(113)는 서비스서버(200)에서 제공된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한편, 부스용 컴퓨터(110)의 제어 및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13 stores various contents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200 and stores programs necessary for control and operation of the booth computer 110. [

통신부(115)는 부스용 컴퓨터(11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프로젝터(120), 가상현실 기기(130), 컨트롤러(140) 등의 주변 기기와의 통신인터페이스도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5 includes an interface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the booth computer 110 and also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a peripheral device such as the projector 120,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and the controller 140.

프로젝터(120)는 부스용 컴퓨터(110)에서 전송된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을 스크린(125)으로 투사한다. The projector 120 projects the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booth computer 110 onto the screen 125. [

스크린(125)은 체험부스(100)의 한쪽 벽면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하면 가상현실 기기(130)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도 스크린(125)을 통해 현재 실행되고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대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스크린(125)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체험부스(100)의 벽체(102) 자체를 흰색으로 도색하여 스크린(125)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screen 125 is preferably installed over one wall of the experi- mental booth 100 so that a person who does not wear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can view the virtual reality content currently being executed through the screen 125 You can appreciate it in big screen. The wall 102 itself of the experiential booth 100 can be painted white and utilized as the screen 125 without separately installing the screen 125.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좁은 체험부스(100) 내에서 여러 사람이 활동하는 경우에도 프로젝터(120)에서 출사된 영상을 스크린(125)에 안정적으로 투사하기 위하여 미러(122)를 사용한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rror 122 is used to stably project the image emitted from the projector 120 on the screen 125 even when several persons are active in the narrow experience booth 10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험부스(100)의 천정에 프로젝터(120)를 설치하되 스크린(125)의 반대쪽을 향해 영상을 투사하도록 설치하고, 프로젝터(120)의 전방에 소정 각도의 미러(122)를 설치하여 미러(122)에서 하향 반사된 영상이 스크린(125)에 표시되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projector 12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experiential booth 100, and the image is project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125, A mirror 122 of the mirror 122 is installed so that the image reflected downward from the mirror 122 is displayed on the screen 125.

이렇게 하면 프로젝터(120)에서 출사된 후 미러(122)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가 스크린(125)과 매우 근접한 영역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체험부스(100) 내부에서 여러 사람이 움직이더라도 스크린(125)에 일부러 접근하지 않는 이상 스크린(125)에 표시되는 영상이 사람에 의해 가려지지 않게 된다.Since the path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mirror 122 after being emitted from the projector 120 is formed in a region very close to the screen 125, even if a number of people move inside the experiential booth 100,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125 is not covered by the human being unless it is approached.

한편 이와 같이 스크린(125)의 반대쪽을 향해 영상을 투사하도록 프로젝터(120)를 설치하면, 비록 미러(122)를 설치하더라도 미러(122)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산란광이나 출사광에 의한 조명효과로 인해 스크린(125)의 반대쪽에 위치한 사람의 몰입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ojector 120 is installed to project an image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125, even if the mirror 122 is provided, due to the scattering light generated at the edge of the mirror 122, The degree of immersion of the pers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125 can be reduced.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러(122)의 후방에 차광판(127)을 설치하여 프로젝터(120)의 출사광이나 미러(122) 주변의 산란광이 스크린(125)의 반대쪽에 도달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a light shielding plate 127 is provided behind the mirror 122 so that the outgoing light of the projector 120 and the scattered light around the mirror 122 do not reach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125 .

한편 프로젝터(120)와 스크린(125)을 사용하는 대신 LCD 디스플레이나 OLED 디스플레이 등을 벽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만으로는 벽면 전체를 커버할 수 없기 때문에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해야 하므로 과도한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간의 경계 부분으로 인해 현실감이나 몰입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프로젝터(120)와 스크린(125)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stead of using the projector 120 and the screen 125, an LCD display, an OLED display, or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wall. However, in this case, since a single display can not cover the entire wall,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large number of displays, which causes an excessive cost, and a realistic feeling or immersion is deteriorated du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display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virtual reality image using the projector 120 and the screen 125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상현실 기기(130)는 부스용 컴퓨터(110)에서 전송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직접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부스용 컴퓨터(110)에서 실행되고 있는 콘텐츠의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다. 가상현실 기기(130)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마운트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virtual reality apparatus 130 directly execute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booth computer 110 and displays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or receives the image data of the contents being executed in the booth computer 110, do.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is preferably a head mount type that the user wears on the hea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컨트롤러(140)는 가상현실 기기(130) 또는 부스용 컴퓨터(110)로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착용하는 것일 수도 있고, 가상현실 기기(130)에 장착된 모션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벽체(102) 또는 천정에 설치된 카메라(150)를 모션 감지를 위한 컨트롤러(140)로 활용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40 transmits a control signal of a user to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or the booth computer 110. The controller 140 may be carried by a user or may be worn by a user, Lt; / RTI > The wall 102 or the camera 150 installed on the ceiling may be used as a controller 140 for motion detection.

스피커(160)는 벽체(102) 또는 천정에 설치되며 가상현실 영상과 동기된 사운드를 출력한다. 따라서 가상현실 기기(130)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도 가상현실 기기(130)를 착용한 사람과 동일한 사운드를 들으면서 스크린(125)에 표시된 가상현실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The speaker 160 is installed on the wall 102 or the ceiling and outputs sound synchronized with the virtual reality image. Therefore, a person who does not wear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can enjoy th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125 while listening to the same sound as the person wearing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

마이크(170)는 음악 콘텐츠가 실행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70 can be used when music contents are execu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기기(130)를 착용한 사람은 가상현실 기기(13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상현실 영상을 보게 되고, 가상현실 기기(130)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도 동일한 가상현실 영상을 프로젝터(120)에서 출사된 영상을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who wears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sees a virtual reality image through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and a person who does not wear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also experiences the same virtual So that the real image can be viewed through the image outputted from the projector 120.

따라서 체험부스(100) 내에 있는 모든 사람이 동일한 가상현실 영상과 사운드를 함께 즐길 수 있게 되므로 서로 간의 유대감이 강화되어 재미가 배가될 수 있고, 체험부스(100)가 남녀 노소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놀이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everyone in the experiencing booth 100 can enjoy the same virtual reality video and sound together, the feeling of bond between them can be strengthened and the fun can be doubled, and the experience booth 100 can be enjoyed by all persons, It can be used as a play space.

이하에서는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virtual reality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먼저 가상현실 콘텐츠를 개발한 개발사는 개발사단말(300)을 통해 서비스서버(200)에 접속하여 콘텐츠 등록을 요청해야 한다.(ST11)The developer who developed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first needs to access the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e developer terminal 300 and request the contents registration (ST11)

서비스서버(200)는 콘텐츠 등록요청이 있는 경우 관리자단말(280)로 등록심사를 요청하고, 관리자단말(280)을 통해 등록심사의 통과 여부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ST12)When there is a content registration request, the service server 200 requests a registration examin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280 and confirms whether or not the registration examination is pass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280 (ST12)

등록심사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에는 서비스서버(200)는 개발사단말(300)로 등록거절 통지를 전송하고(ST13), 등록심사를 통과한 경우에는 콘텐츠DB(289)에 해당 콘텐츠를 개발사 정보 정보와 맵핑하여 저장한다. (ST14)If the registration examination has not been passed, the service server 200 transmits a registration rejection notification to the developer terminal 300 (ST13). If the registration examination has passed, the contents server 30 stores the contents in the contents DB 289 as developer information information And stores it. (ST14)

이어서 서비스서버(200)는 연결된 모든 체험부스(100)의 부스용 컴퓨터(110)로 등록된 콘텐츠를 전송하며, 부스용 컴퓨터(110)는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부(114)에 저장한다. (ST15, ST16)Then, the service server 200 transmits contents registered in the booth computer 110 of all connected experience booths 100, and the booth computer 110 stores the received contents in the storage unit 114. (ST15, ST16)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체험부스(100)에 입장하여 부스용 컴퓨터(110)를 통해 원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선택하고 실행시키면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은 가상현실 기기(130)의 디스플레이와 프로젝터(120)를 통해 동시에 표시되고, 사운드는 체험부스(100)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된다. (ST17)In this state, when the user enters the experiencing booth 100 and selects and executes a desired virtual reality content through the booth computer 110, the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130 and the projector 120 And the sound is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160 installed in the experi- mental booth 100. (ST17)

부스용 컴퓨터(110)는 콘텐츠 이용내역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설정된 기간 동안의 콘텐츠 이용내역을 일괄적으로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콘텐츠가 실행될 때마다 이용내역을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ST18)The booth computer 110 transmits the content usage history to the servic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set criteria. For example, the content usage history for a set period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in a lump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each time the content is executed. (ST18)

서비스서버(200)의 통계분석부(240)는 수신한 콘텐츠 이용내역을 이용하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다양한 통계분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별 이용시간, 콘텐츠별 선호도, 연령/성별/지역 등의 요소에 따른 콘텐츠 이용시간 또는 선호도 등의 통계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통계자료DB(293)에 저장한다.(ST19)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240 of the service server 200 performs various statistical analyzes according to the set criteria by using the received content use history. For example, contents usage time or preference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usage time by contents, preference by contents, age / gender / region, etc. and stores the analysis result in the statistical database 293 (ST19).

이와 같이 콘텐츠별 이용시간 등의 정보가 정리되면 서비스서버(200)의 수익정산부(250)는 설정된 또는 계약된 기준에 따라 각 콘텐츠 개발사에 지급할 정산금액을 산출한다.(ST20)When the information such as the usage time for each content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profit settlement unit 250 of the service server 200 calculates the settlement amount to be paid to each content developer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or contracted standard (ST20)

또한 서비스서버(200)는 개발사단말(3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각 개발사별 또는 콘텐츠별 통계분석자료를 개발사단말(300)로 제공한다. (ST21)Also, the service server 200 provides statistical analysis data for each developer or each content to the developer terminal 3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or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developer terminal 300. (ST21)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100: 체험부스 102: 벽체 104: 창
106: 출입구 110: 부스용 컴퓨터 111: 제어부
112: 디스플레이 113: 입력부 114: 저장부
115: 통신부 120: 프로젝터 122: 미러
125: 스크린 127: 차광판 130: 가상현실기기
140: 컨트롤러 150: 카메라 160: 스피커
170: 마이크 200: 서비스서버 210: 콘텐츠등록부
220: 콘텐츠제공부 230: 대전게임지원부 240: 통계분석부
250: 수익정산부 280: 관리자단말 300: 개발사단말
100: Experience booth 102: Walls 104: Window
106: entrance / exit 110: computer for booth 111:
112: display 113: input unit 114:
115: communication unit 120: projector 122: mirror
125: screen 127: shield plate 130: virtual reality device
140: Controller 150: Camera 160: Speaker
170: microphone 200: service server 210: content registration unit
220: Content providing unit 230: Daejeon game support unit 240: Statistical analysis unit
250: profit settlement unit 280: manager terminal 300: developer terminal

Claims (6)

내부공간을 둘러싸고 일측에 출입구를 구비하는 벽체와, 가상현실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부스용 컴퓨터와,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스용 컴퓨터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가상현실 기기와, 상기 벽체의 천정에 설치되며 상기 가상현실 기기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것과 동일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가상현실 기기와 동기된 영상을 상기 벽체의 내벽에 설치된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와, 상기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과 동기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가상현실 체험 부스;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자가 사용하는 개발사단말;
상기 개발사단말로 콘텐츠 등록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콘텐츠등록부와, 등록된 콘텐츠를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콘텐츠제공부와, 다수의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부터 대전게임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대전게임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대전게임지원부와,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실행정보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통계자료DB에 저장하는 통계분석부와,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실행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개발사에 지급할 정산금액을 산출하는 수익정산부를 구비하는 서비스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현실 체험부스에 설치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의 반대쪽을 향해 출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로젝터의 전방에는 출사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미러가 설치되며, 상기 천정에는 상기 미러를 중심으로 상기 프로젝터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터의 출사광 또는 산란광이 상기 스크린의 반대쪽으로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차광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
A booth computer for storing and executing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a display control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selected by the booth computer as worn by the user from the booth computer A virtual reality device installed on a ceiling of the wall and receiving the same image data as that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from the booth computer and outputting an image synchronized with the virtual reality device,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installed in the wall and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synchronized with an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A developer terminal used by a virtual reality contents developer;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content registration interface to the developer terminal;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registered content to the booth computer;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receiving a competition game request from a plurality of the booth computers, A statistical analysis unit for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contents execu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ooth computer and storing the contents in the statistical data DB; And a profit settlement unit for calculating a settlement amount to be paid to the content developer using the service server
Wherein the projector installed in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is installed to emit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and a mirro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rojector so as to reflect the projected image toward the screen, And a light shielding plat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jector with respect to the mirror so as to prevent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or scattered light from reach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내부공간을 둘러싸고 일측에 출입구를 구비하는 벽체;
상기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가상현실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와, 콘텐츠 선택을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부스용 컴퓨터;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스용 컴퓨터에서 선택된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가상현실 기기;
상기 벽체의 천정에 설치되며, 상기 가상현실 기기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것과 동일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부스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가상현실 기기와 동기된 영상을 상기 벽체의 내벽에 설치된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과 동기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의 반대쪽을 향해 출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프로젝터의 전방에는 출사된 영상을 상기 스크린을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미러가 설치되며, 상기 천정에는 상기 미러를 중심으로 상기 프로젝터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터의 출사광 또는 산란광이 상기 스크린의 반대쪽으로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차광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부스
A wall surrounding the inner space and having an entrance at one side;
A booth computer installed in the wall and having a storage for stor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 display for providing a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an input unit for content selection;
A virtual reality device that is worn by a user and receives image data of virtual reality contents selected by the computer for the booth from the booth computer and outputs the image data through a display;
A projector installed on a ceiling of the wall for receiving image data identical to that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apparatus from the booth computer and projecting an image synchronized with the virtual reality apparatus onto a screen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wall; ;
And a speaker installed inside the wall for outputting a sound synchronized with the video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Wherein the projector is installed to emit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and a mirro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rojector so as to reflect the emitted image so as to face the screen, And a light shielding plat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to prevent outgoing light or scattered light of the projector from reach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67516A 2016-12-09 2016-12-09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nd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859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16A KR101859502B1 (en) 2016-12-09 2016-12-09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nd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16A KR101859502B1 (en) 2016-12-09 2016-12-09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nd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502B1 true KR101859502B1 (en) 2018-05-18

Family

ID=6245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516A KR101859502B1 (en) 2016-12-09 2016-12-09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nd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50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596A (en) * 2018-10-18 2019-01-04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Viewing room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20210076553A (en) * 2019-12-16 2021-06-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System using Projector
KR102389329B1 (en) * 2021-04-09 2022-04-22 이우현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using variable space platfor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using thereof
KR20220081075A (en) * 2020-12-08 2022-06-1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Vr and ar contents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450B1 (en) * 2008-07-29 2009-05-12 신동호 A booth system for simul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450B1 (en) * 2008-07-29 2009-05-12 신동호 A booth system for simula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596A (en) * 2018-10-18 2019-01-04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Viewing room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20210076553A (en) * 2019-12-16 2021-06-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System using Projector
KR102270754B1 (en) * 2019-12-16 2021-06-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System using Projector
KR20220081075A (en) * 2020-12-08 2022-06-15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Vr and ar contents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430914B1 (en) * 2020-12-08 2022-08-0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Vr and ar contents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389329B1 (en) * 2021-04-09 2022-04-22 이우현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using variable space platfor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us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502B1 (en)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nd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1782667B2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US20200193713A1 (en) Smart mirror for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US7225414B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touch entertainment
US201301452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data-bearing mirror interface
US20130084970A1 (en) Sharing Games Using Personal Audio/Visual Apparatus
US20120122062A1 (en) Reconfigurable platform management apparatus for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simulator
US10679427B1 (en) Systems, methods, and storage media for conveying virtual content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2021001984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and providing data for business services
CN110460893A (en) Dynamic image dissemination system and it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20164156A1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US20230385010A1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KR20110082868A (en) Smart show window and user interfacing method for the same
US201702465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Immersion Gaming Room
WO20201140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19216462A1 (en) Virtual reality experience booth and virtual real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RU2744626C2 (en) Device for location-based services
US11157230B2 (en) Motion activated sound generating and monitoring mobile application
US20230125444A1 (en) Motion activated sound generating and monitoring mobile application
US20240111474A1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KR1022663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service
US11553805B2 (en) Product showcase system
KR20240044205A (en) Virtual reality-based performance experience providing system
KR20240041478A (en) Virtual reality-based tourism experience provi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