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371B1 - 차 우림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차 우림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371B1
KR101859371B1 KR1020160131593A KR20160131593A KR101859371B1 KR 101859371 B1 KR101859371 B1 KR 101859371B1 KR 1020160131593 A KR1020160131593 A KR 1020160131593A KR 20160131593 A KR20160131593 A KR 20160131593A KR 101859371 B1 KR101859371 B1 KR 101859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everage container
head portion
container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031A (ko
Inventor
조성위
Original Assignee
조성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위 filed Critical 조성위
Priority to KR102016013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3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차 우림 카트리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 우림 카트리지는: 음료용기의 입구에 걸리며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헤드부 및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음료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며 헤드부와 연통되어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헤드부와 몸체부에는 찻잎이 저장되며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용수에 접하면서 찻물이 우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 우림 카트리지{TEA MAKING CARTRIDGE}
본 발명은 차 우림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트리지 형태로 이루어져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음료용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찻물을 우려낼 수 있는 차 우림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식생활이 점차 웰빙(Well-being)화 되어가면서, 최근 차(TEA)에 대한 관심도 점차 확대되어 좋은 차를 선호하는 소비자층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가정 등에서 다양한 차를 마시는 것은 가능하나 외부에서 마실 수 있는 페트(PET) 용기에 담겨진 차 종류는 다양하지 않다. 이는 수요와 수익성의 고려시 대중이 많이 선호하는 일부의 차만을 만들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쉽게 해결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2-0001466호(2012. 03. 05. 공개, 고안의 명칭 : 차 우림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 형태로 이루어져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음료용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찻물을 우려낼 수 있는 차 우림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는: 음료용기의 입구에 걸리며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헤드부 및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음료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며 헤드부와 연통되어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헤드부와 몸체부에는 찻잎이 저장되며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용수에 접하면서 찻물이 우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드부는, 몸체부와 연통되며 음료용기의 입구 내측에 걸리는 헤드몸체 및 헤드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커버하며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제1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드부는, 헤드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음료용기의 외측에 걸리는 스토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드부는, 제1커버에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몸체와 몸체부의 측면에 눈금을 형성하는 눈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는: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음료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며 헤드부와 연통되어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몸체부 및 헤드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권선되며 몸체부가 음료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헤드부에서 풀려서 음료용기에 걸리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부에 구비된 측면통공과 연통되는 내측공을 구비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측면통공의 개구된 면적을 조절하는 내측회전부 및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회전부에 연결되어 내측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는 조절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드부와 몸체부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는, 내측에 찻잎이 보관되는 헤드부와 몸체부가 연통되어 카트리지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용수가 담김 음료용기에 헤드부와 몸체부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개인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차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다.
또한 조절노브를 회전시켜 몸체부에 구비된 측면공의 개구된 면적을 조절하므로 개인 기호에 맞게 차의 농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 우림이 이루어지는 몸체부의 측면공 보다 헤드부의 연결공 직경이 작게 형성되므로 의도치 않게 음료용기가 쓰러진 경우에도, 음료용기의 음용수가 음료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를 몸체부에서 분리하거나 헤드몸체에서 제1커버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찻잎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가 음료용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가 음료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음료용기의 용기입구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가 음료용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가 음료용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가 음료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부가 음료용기의 용기입구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1)는, 음료용기(10)의 입구에 걸리며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헤드부(40)와, 헤드부(40)에서 연장되어 음료용기(10)의 내측에 위치하며 헤드부(40)와 연통되어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몸체부(50)를 포함하며, 헤드부(40)와 몸체부(50)에는 찻잎(30)이 저장되며 음료용기(10)에 저장된 음용수(16)에 접하면서 찻물이 우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료용기(10)는 생수가 담긴 패트(PET)병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의 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로 생수가 담겨있는 패트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음료용기(10)는, 음용수(16)가 내측에 저장되는 용기몸체부(14)와, 용기몸체부(14)에 연결되어 음용수(16)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용기입구부(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음료용기(10)의 용기입구부(12)를 통해 차 우림 카트리지(1)가 설치된다. 차 우림 카트리지(1)는 수용되어지는 음료용기(10)에 맞게 정해진 높이와 폭을 갖는 다각형 기둥타입이거나 원기둥 형상이며, 내부공간에는 찻잎(30) 및 고형차가 정해진 양만큼 저장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1)는 단위포장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없이 차를 음용할 수 있다.
또한 차 우림 카트리지(1)에는 찻잎(30)이나 고형차가 음용수(16)에 잘 우러나게 하기 위하여 헤드부(40)와 몸체부(50)에 일정한 간격으로 타공을 하여 거름망형태를 형성한다. 또한 차 우림 카트리지(1)에 저장된 찻잎(30)이 외측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 우림 카트리지(1)의 상부와 하부 일정 부분에 격막을 설치한다.
헤드부(40)는 음료용기(10)의 입구에 걸리며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40)는 용기입구부(12)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용기입구부(12)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부(40)는, 헤드몸체(41)와 제1커버(46)와 스토퍼돌기(48)와 손잡이부재(49)를 포함한다.
헤드몸체(41)는 몸체부(50)와 연통되며 음료용기(10)의 입구 내측에 걸린다. 헤드몸체(41)의 내측에는 찻잎(30)이 저장되는 내측공간이 구비되며, 용기입구부(1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원형관 형상의 헤드몸체(41)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헤드몸체(41)의 하측은 몸체부(50)의 상측에 연결된다. 헤드몸체(41)의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헤드통공(45)이 설치된다.
용기입구부(12)에 삽입되는 헤드몸체(41)의 하부 외경이 상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헤드몸체(41)가 용기입구부(1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며 용기입구부(12)에 끼워질수록 헤드몸체(41)의 상측이 용기입구부(12)에 밀착 고정된다.
즉, 헤드몸체(41)의 상부 측면을 제1측면(42)이라 설정하며, 제1측면(42)의 하측을 제2측면(43)이라 설정할 때, 제1측면(42)은 용기입구부(1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측면(43)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제2측면(43)과 용기입구부(12)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설정각도(A)를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헤드부(40)가 용기입구부(12)로 삽입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측면(42)은 용기입구부(12)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므로 제1측면(42)과 용기입구부(12)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헤드부(40)가 용기입구부(12)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커버(46)는 헤드몸체(41)의 개구된 입구를 커버하며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커버(46)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헤드몸체(41)에 결합된다. 제1커버(46)에는 복수의 제1통공(47)이 구비되므로 제1통공(47)을 통해 음료용기(10)의 찻잎(30) 우린 물이 배출된다. 제1커버(46)는 제1측면(42)과 제2측면(43)의 경계 부위에 걸린 상태로 설치된다.
스토퍼돌기(48)는 헤드몸체(41)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음료용기(10)의 외측에 걸리므로 헤드몸체(41)가 음료용기(10)의 내측으로 낙하됨을 방지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돌기(48)는 헤드몸체(41)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이며, 헤드몸체(41)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이러한 스토퍼돌기(48)는 음료용기(10)의 상단에 걸쳐지므로 헤드부(40)가 용기몸체부(14)의 내측으로 낙하됨을 방지한다.
또한 음료용기(10)의 내측으로 헤드몸체(41)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스토퍼돌기(48)를 설치하므로, 음용 후 음료용기(10)로부터 차 우림 카트리지(1)를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 및 분리 수거를 가능하게 한다.
손잡이부재(49)는 제1커버(46)에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재(49)는 제1커버(46)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리 형상이다.
제1커버(46)의 제1통공(47)은 차 우림이 이루어지는 몸체부(50)의 측면통공(52)에 비해 구멍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므로, 의도치 않게 음료용기(10)가 쓰러진 경우에도 음료용기(10) 내측에 있는 음용수(16)가 헤드부(40)를 통해 음료용기(10)의 외부로 배출됨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40)와 몸체부(50)는 식용 재질로 이루어져서 음용에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1)는 식용이 가능한 옥수수 전분과 같은 재질로 제조하여 건강 관련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50)와 헤드부(40)에 폴리아미드 재질로 망을 형성하여 찻잎(30)의 외부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46)를 헤드몸체(41)에서 분리 가능하므로 찻잎(3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제1커버(46)가 헤드몸체(41)에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우림이 완료된 찻잎(30)을 다른 찻잎(30)으로 교체 가능하다.
몸체부(50)는 헤드부(4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음료용기(10)의 내측에 위치하며, 헤드부(40)와 연통되어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몸체부(50)는 제2커버(54)를 포함한다.
헤드부(40)와 몸체부(50)의 내측에는 찻잎(30)이 저장되며, 음료용기(10)에 저장된 음용수(16)에 접하면서 찻물이 우려진다. 제1실시예에 따른 몸체부(50)는 헤드부(40)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50)의 하측은 제2커버(54)에 의해 커버된다. 몸체부(50)의 둘레를 따라 측면통공(52)이 복수로 설치되며, 제2커버(54)에도 복수의 제2통공(56)이 설치된다.
몸체부(50)는 헤드부(40)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부(40)와 단차를 형성하며 헤드부(40) 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50)와 헤드부(40)의 내측은 연통되어 있으며, 몸체부(50)와 헤드부(40)의 내측에는 찻잎(30)이 설정된 양만큼 저장된다.
기존 상용제품의 다기나 인퓨저는 용기와 잎차 및 고형차를 휴대하여야 하고 필요시 용기에 직접 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본 발명은 잎차를 저장한 차 우림 카트리지(1)만 휴대하면 되므로 사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기에 휴대하지 않는 잎차나 고형차는 눌리는 압력에 의해 부서지거나 가루가 나올 수 있지만, 차 우림 카트리지(1)에 담기는 잎차나 고형차는 부서지거나 가루가 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찻잎(30)의 저장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헤드몸체(41)와 몸체부(50)의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눈금을 형성하는 눈금부(60)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눈금부(60)의 눈금을 보고 몸체부(50)와 헤드부(40)의 내측에 저장된 찻잎(30)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차 우림 카트리지(1)는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음용수(16)가 저장된 음료용기(10)에 삽입하여 차를 우릴 수 있으므로, 개인 기호에 맞는 차를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우려먹을 수 있다.
헤드부(40)의 헤드몸체(41)가 용기입구부(12)에 걸린 상태에서, 몸체부(50)는 음료용기(10)에 저장된 음용수(16)에 접하므로 찻잎(30)이 우려져서 측면통공(52)과 헤드통공(45)을 통해 차 우림 카트리지(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헤드부(40)는 헤드몸체(41)의 제1측면(42)이 용기입구부(12)의 내측에 접하며 고정되므로, 설정된 힘에 의해 헤드부(40)를 이동시키기 전에는 마찰력에 의해 헤드부(40)의 이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료용기(10)를 들어 용기입구부(12)를 하측으로 향하는 동작에 의해 음료용기(10) 내측에 있는 음용수(16)는 헤드부(40)를 통해 음료용기(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는 사용자가 용기입구부(12)에 입을 접촉하여 흡입하는 동작에 의해 음료용기(10) 내측의 음용수(16)가 헤드부(40)를 통해 음료용기(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만약 실수로 차 우림 카트리지(1)가 설치된 음료용기(10)를 넘어뜨린 경우, 음료용기(10)의 내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음료용기(10)의 외부에서 작용하는 두 힘이 평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음용수(16)가 음료용기(10)의 외측으로 흘러나오지 않는다.
제1커버(46)의 제1통공(47)과 헤드몸체(41)의 헤드통공(45) 및 몸체부(50)의 측면통공(52)의 구멍 크기는 공기가 쉽게 이동되지 않는 작은 구멍이며, 복수로 이루어져서 공기나 음용수(16)의 통과시 마찰저항이 발생하므로 용기입구부(12)를 하측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향한 경우에는 음용수(16)의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휴대용 차 우림 카트리지(1)는 원 또는 다각형의 기둥형태이며, 휴대와 보관이 간편하고, 음용수(16)에 바로 삽입하여 차를 우려 마실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2)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가 음료용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2)는,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헤드부(40)와, 헤드부(40)에서 연장되어 음료용기(20)의 내측에 위치하며 헤드부(40)와 연통되어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몸체부(50) 및 헤드부(4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권선되며 몸체부(50)가 음료용기(2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헤드부(40)에서 풀려서 음료용기(20)에 걸리는 연결부재(7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70)는 헤드부(40)의 외측에 권선된 형태로 설치되며, 차 우림 카트리지(2)가 컵과 같은 음료용기(20)에 사용되는 경우, 헤드부(40)의 장착홈부(44)에서 풀려서 음료용기(20)의 용기손잡이(22)에 감겨지므로 차 우림 카트리지(2)가 음료용기(2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헤드몸체(41)의 외측 둘레에는 장착홈부(44)가 형성되며, 일단이 헤드몸체(41)에 연결된 띠 형상의 연결부재(70)가 장착홈부(44)의 외측에 권선된다. 장착홈부(44)에 권선된 연결부재(70)는 헤드몸체(4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패트병과 같은 음료용기(10)에도 차 우림 카트리지(2) 설치가 가능하다.
머그컵과 같은 음료용기(20)에 차 우림 카트리지(2)가 설치되는 경우, 장착홈부(44)에서 연결부재(70)를 풀어서 음료용기(20)의 테두리나 용기손잡이(22)에 연결부재(70)를 설치하여 패트병 외의 용기에서도 차 우림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3)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3)는 헤드부(40,140)와 몸체부(5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몸체부(50)의 상측에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체결부(57)가 구비되므로 다양한 직경의 헤드부(40,140)와 체결될 수 있다.
헤드부(40,140)와 몸체부(50)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0.5리터의 음료용기(10)에 차 우림 카트리지(3)를 설치하는 경우, 직경이 작은 헤드부(40)에 몸체부(50)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1리터의 음료용기(10)에 차 우림 카트리지(3)를 설치하는 경우, 직경이 큰 헤드부(140)에 몸체부(50)를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몸체부(50)를 공용으로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4)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4)는, 몸체부(5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부(50)에 구비된 측면통공(52)과 연통되는 내측공(202)을 구비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측면통공(52)의 개구된 면적을 조절하는 내측회전부(200) 및 몸체부(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회전부(200)에 연결되어 내측회전부(200)와 함께 회전하는 조절노브(300)를 포함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 카트리지(4)는, 차 우림 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몸체부(50)의 측면통공(52)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내측회전부(200)와 조절노브(300)를 추가 설치한다. 또는 몸체부(50)의 측면통공(52)의 홀의 개수와 직경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한 복수의 몸체부(50)를 구비하여 교체 사용할 수도 있다.
내측회전부(200)는 몸체부(5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몸체부(50)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원형관 형상이다. 내측회전부(200)에는 몸체부(50)의 측면통공(52)에 대응하는 내측공(202)이 구비된다. 따라서 내측공(202)과 측면통공(52)의 개구된 구멍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찻잎(30)과 음용수(16)의 접촉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차 우림 속도가 증가한다.
그리고 내측회전부(200)의 회전으로 내측공(202)과 측면통공(52)의 개구된 구멍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에는 차 우림 속도가 감소한다.
내측회전부(200)는 상측은 개구되고 하측은 막혀 있는 원형관 형상이며, 제2커버(54)의 하측에 위치한 조절노브(300)는 연결축부재(302)를 통해 내측회전부(200)와 연결된다. 조절노브(30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축부재(302)는 조절노브(300)의 회전중심과 내측회전부(200)의 하측을 연결하므로, 조절노브(300)와 함께 연결축부재(302)가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절노브(300)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내측회전부(200)가 회전되며, 내측회전부(200)의 내측공(202)과 몸체부(50)의 측면통공(52)이 마주할 때 연통이 이루어지는 홀부의 크기에 따라 차 우림 속도가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에 찻잎(30)이 보관되는 헤드부(40)와 몸체부(50)가 연통되어 카트리지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용수(16)가 담김 패트(PET)병인 음료용기(10)에 헤드부(40)와 몸체부(5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개인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차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다. 또한 조절노브(300)를 회전시켜 몸체부(50)에 구비된 측면공의 개구된 면적을 조절하므로 개인 기호에 맞게 차의 농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 우림이 이루어지는 몸체부(50)의 측면공 보다 헤드부(40)의 연결공 직경이 작게 형성되므로 의도치 않게 음료용기(10)가 쓰러진 경우에도, 음료용기(10)의 음용수(16)가 음료용기(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40)를 몸체부(50)에서 분리하거나 헤드몸체(41)에서 제1커버(46)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찻잎(3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익성 면에서 한정될 수밖에 없는 패트병 용기에 담긴 차 종류를 본 발명에 의한 차 우림 카트리지(1,2,3,4)를 활용함으로써 다양화할 수 있고, 생수나 원하는 차를 자신이 원하는 때에 바로 음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3,4: 차 우림 카트리지
10: 음료용기 12: 용기입구부 14: 용기몸체부 16: 음용수
20: 음료용기 22: 용기손잡이 30: 찻잎
40, 140: 헤드부 41: 헤드몸체 42: 제1측면 43: 제2측면 A: 설정각도 44: 장착홈부 45: 헤드통공 46: 제1커버 47: 제1통공 48: 스토퍼돌기 49: 손잡이부재
50: 몸체부 52: 측면통공 54: 제2커버 56: 제2통공 57 체결부
60: 눈금부 70: 연결부재
200: 내측회전부 202: 내측공
300: 조절노브 302: 연결축부재

Claims (8)

  1. 음료용기의 입구에 걸리며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부와 연통되어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에는 찻잎이 저장되며, 상기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용수에 접하면서 찻물이 우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와 연통되며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내측에 걸리는 헤드몸체;
    상기 헤드몸체의 개구된 입구를 커버하며,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에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용기는, 음용수가 내측에 저장되는 용기몸체부; 및
    상기 용기몸체부에 연결되어 음용수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용기입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입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헤드몸체의 하부 외경이 상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측면통공과 연통되는 내측공을 구비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측면통공의 개구된 면적을 조절하는 내측회전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측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는 조절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회전부는 원형관 형상이며,
    상기 조절노브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축부재를 통해 상기 내측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축부재는 상기 조절노브의 회전중심과 상기 내측회전부의 하측을 연결하므로 상기 조절노브와 함께 상기 연결축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 카트리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외측에 걸리는 스토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 카트리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몸체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눈금을 형성하는 눈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 카트리지.
  6.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서 연장되어 음료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부와 연통되어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권선되며, 상기 몸체부가 상기 음료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부에서 풀려서 상기 음료용기에 걸리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측면통공과 연통되는 내측공을 구비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측면통공의 개구된 면적을 조절하는 내측회전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측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는 조절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회전부는 원형관 형상이며,
    상기 조절노브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축부재를 통해 상기 내측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축부재는 상기 조절노브의 회전중심과 상기 내측회전부의 하측을 연결하므로 상기 조절노브와 함께 상기 연결축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 카트리지.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 카트리지.
KR1020160131593A 2016-10-11 2016-10-11 차 우림 카트리지 KR101859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593A KR101859371B1 (ko) 2016-10-11 2016-10-11 차 우림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593A KR101859371B1 (ko) 2016-10-11 2016-10-11 차 우림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031A KR20180040031A (ko) 2018-04-19
KR101859371B1 true KR101859371B1 (ko) 2018-05-21

Family

ID=6208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593A KR101859371B1 (ko) 2016-10-11 2016-10-11 차 우림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35U (ko) 2021-10-05 2023-04-12 안성수 부유체 회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34Y1 (ko) * 2006-05-26 2006-08-03 병 호 양 휴대용 차(茶) 용기
JP2011195196A (ja) * 2010-02-26 2011-10-06 Chatteii Japan Kk 飲料ボトル用開口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用いた飲料ボト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34Y1 (ko) * 2006-05-26 2006-08-03 병 호 양 휴대용 차(茶) 용기
JP2011195196A (ja) * 2010-02-26 2011-10-06 Chatteii Japan Kk 飲料ボトル用開口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用いた飲料ボト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35U (ko) 2021-10-05 2023-04-12 안성수 부유체 회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031A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7394B2 (en) Lid for a beverage cup including a snack storage reservoir
US9957095B2 (en) Combined wine glass and wine bottle package
CA2133714C (en) Dispenser for granular material
US4619372A (en) Cap for hot beverage cup
EP1477056B1 (en) Pet drinking jar for receiving and opening a closed beverage can, such closed and filled beverage can and unit for complementing a drinking jar
US5325996A (en) Beverage vessel with flavoring concentrate dispenser
US20160046407A1 (en) Food container with discard compartment
US20120067890A1 (en) Dispensing cap
US20070240580A1 (en) Disposable lid with filter for drink container
US20070075079A1 (en) Flavored container lid
US20110278314A1 (en) Sealing means for beverage container
KR101348415B1 (ko) 2액형 음료용기
US6082575A (en) Hybrid beverage container
KR101859371B1 (ko) 차 우림 카트리지
US20090045206A1 (en) Disposable non-spillable childs dispensing cup
KR200464522Y1 (ko) 여러 음료를 선택적으로 취식할 수 있는 컵
IL295751A (en) Dual-access container closure
US20180078080A1 (en) Fluid infusing apparatus
US7448518B2 (en) Dispenser cap and method of use
US20150209706A1 (en) Lid for liquid filtration
EP3060191B1 (en) A dispenser
US20210030190A1 (en) Drip container and portable coffee drinking container
US6419130B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a small amount of the contents
KR200458422Y1 (ko) 차 음용을 위한 물병 마개형 휴대용 인퓨저
KR200488897Y1 (ko) 디저트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