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891B1 - 도브테일 가공 지그 - Google Patents

도브테일 가공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891B1
KR101858891B1 KR1020170008173A KR20170008173A KR101858891B1 KR 101858891 B1 KR101858891 B1 KR 101858891B1 KR 1020170008173 A KR1020170008173 A KR 1020170008173A KR 20170008173 A KR20170008173 A KR 20170008173A KR 101858891 B1 KR101858891 B1 KR 101858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fixing
region
dovetail
fix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범
황원상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3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turbin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02Blade-carrying members, e.g.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10Devices for clamping workpieces of a particular form or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제공한다. 도브테일 가공 지그는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버켓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들, 가공하는 상기 버켓의 일측의 끝부분과 연결되는 제1 기준부 및 상기 버켓의 타측의 끝부분과 연결되는 제2 기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버켓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들은 상기 버켓과 접촉되는 접촉부들을 가진다.

Description

도브테일 가공 지그{Dovetail processing jig}
본 발명은 도브테일 가공 지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버켓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준부를 구비하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에 관한 것이다.
터빈로터는 원료의 연소에서 얻어지는 고열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고속 회전하며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의 핵심장비로, 증기의 흐름으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회전동력기관이다. 이러한 터빈로터는 로터의 외주면에 결합된 버켓을 통해 증기의 흐름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며, 버켓은 로터에 형성된 도브테일 홈(Dovetail groove)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버켓을 로터에 결합하기 위해 버켓의 도브테일을 가공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다. 도브테일 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도브테일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버켓을 고정시키는 지그가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버켓에 손상이 가지 않으면서 버켓을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지그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브테일의 가공 공정 시 버켓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브테일의 가공 공정 시 버켓을 항상 일정한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한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제공한다. 도브테일 가공 지그는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버켓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들, 가공하는 상기 버켓의 일측의 끝부분과 연결되는 제1 기준부 및 상기 버켓의 타측의 끝부분과 연결되는 제2 기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버켓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들은 상기 버켓과 접촉되는 접촉부들을 가진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접촉부들 각각은 상기 고정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어 상기 버켓과 접촉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제2 영역은 그 일부가 상기 제1 영역에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버켓의 곡면에 따라 움직인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버켓과 접촉하는 상면을 가지고, 상기 상면은 복수개의 돌기들을 가진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면이 기준면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상면은 상기 기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움직인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에서 상기 버켓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고정 부재들 및 상기 제2 바디부에서 상기 버켓을 향해 돌출되는 제2 고정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들과 상기 2 고정 부재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개수로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제1 기준부는 상기 버켓의 일측의 끝부분에 형성된 제1 삽입부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기준부는 상기 버켓의 타측의 끝부분에 형성된 제2 삽입부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되, 상기 제1 기준부와 상기 제2 기준부는 상기 버켓이 배치되는 위치를 가이드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수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복수개로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여, 평면적인 관점에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기준부에서 상기 제2 기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제1 기준부 및 상기 제2 기준부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에 제공된 접촉부를 통해 도브테일 가공 공정 시 버켓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는 버켓의 곡면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구성이므로, 버켓과 고정 부재의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버켓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준부와 제2 기준부를 포함하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이용하여 버켓을 항상 일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버켓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통해 가공한 버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영역 및 B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통해 가공한 버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켓(bucket, 10)은 도브테일(dovetail, 11), 플랫폼(platform, 12) 및 베인(vane, 13)을 포함할 수 있다. 버켓(10)은 터빈을 구성하는 일 구성으로, 가공 공정 후에 로터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버켓(10)은 금속 물질일 수 있고, 도브테일(11), 플랫폼(12) 및 베인(13)은 모두 동일한 금속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버켓(10)의 종류로는 파인 트리 타입(Pine Tree Type), 사이드 엔트리 타입(Side Entry Type), 핑거 타입(Finger Type) 및 도브테일 타입(Dovetail Type)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브테일 타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브테일(11)은 터빈을 구성하는 로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브테일(11)은 로터에 형성된 도브테일 홈에 삽입되어 로터에 고정될 수 있다. 도브테일(10)은 버켓(10)의 회전시에 원심응력에 잘 견디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브테일(11)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홈들(11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브테일(11)의 외측면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홈(11a)을 가지고, 세로 방향으로 홈들(11a)이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로 방향은 도브테일(11)에서 베인(13)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고, 상기 가로 방향은 상기 세로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브테일(11)의 끝부분에는 제1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미도시)는 후술하는 버켓 가공 지그에 배치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플랫폼(12)은 도브테일(11)과 베인(13)의 경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도브테일(11)이 로터에 삽입되면 로터 상에 플랫폼(12)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인(13)은 로터의 특성에 따라 곡면들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베인(13)의 단면은 초승달, 에어포일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인(13)의 끝부분에는 제2 삽입부(1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13a)는 움푹 페인 부분일 수 있고,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인(13)은 플랫폼(12)과 연결되어 보일러에서 발생된 증기를 받아 증기의 유체에너지, 즉 열에너지와 속도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베인(13)의 곡면에 의해, 유체가 베인(13)를 통과할 때 양력 등이 발생되어 유체의 속도에너지를 증가시킴으로써 로터의 회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브테일 가공 지그(1)는 버켓(10)의 도브테일(11)의 홈들(11a)을 형성하기 위한 장비일 수 있다. 도브테일(11)의 홈들(11a)을 형성하는 공정은 버켓(10) 가공 공정시 가장 먼저 진행되는 공정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버켓(10)은 도브테일 가공 지그(1)에 배치되어 가공될 수 있다. 도브테일 가공 지그(1)는 버켓(10)의 도브테일(11)의 홈들(11a)을 형성하는 공정 동안에 버켓(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도브테일(11)의 홈들(11a)은 버켓(10)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켓(10)이 연장되는 방향은 후술하는 제1 기준부(200a, 200b)에서 제2 기준부(30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버켓(10)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은 후술하는 베이스(50)의 상면과 평행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브테일 가공 지그(1)는 베이스(50) 상에 배치되는 고정부들(100a, 100b, 100c) 및 제1 기준부들(200a, 200b) 및 제2 기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들(100a, 100b, 100c)은 제1 기준부들(200a, 200b)과 제2 기준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100a), 제2 고정부(100b) 및 제3 고정부(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00a), 제2 고정부(100b) 및 제3 고정부(100c)는 제1 기준부들(200a, 200b)에서 제2 기준부(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들(100a, 100b, 100c)은 버켓(10)을 가공하는 공정동안 버켓(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기준부들(200a, 200b)과 제2 기준부(300)는 버켓(10)이 배치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기준부들(200a, 200b)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기준부들(200a, 200b)은 베이스(50) 상에 배치된 제1 지지 유닛(210)에 결합되어 일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기준부(300)는 베이스(50) 상에 배치된 제2 지지 유닛(310)에 결합되어 일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유닛(210)과 제2 지지 유닛(310)의 높이는 버켓(10) 가공 시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1 기준부들(200a, 200b)은 버켓(10)의 일측의 끝부분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기준부(300)는 버켓(10)의 타측의 끝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버켓(10)의 일측은 도브테일(11)을 의미할 수 있고, 버켓(10)의 타측은 베인(13)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기준부들(200a, 200b) 각각은 버켓(10)의 일측을 향하도록 돌출된 제1 돌출부들(250a, 250b)을 가질 수 있고, 제2 기준부(300)는 버켓(10)의 타측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2 돌출부(350)를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들(250a, 250b)과 제2 돌출부(350)는 버켓(10)에 형성된 삽입부들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켓(10)은 도브테일 가공 지그(1) 상에 항상 일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준부들(200a, 200b)과 제2 기준부(300)는 베이스(50)의 상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출부들(250a, 250b)과 제2 돌출부(350)도 베이스(50)의 상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영역 및 B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들(250a, 250b)은 도브테일(11)의 끝부분에 형성된 제1 삽입부(11b)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1b)와 제1 돌출부들(250a, 250b)은 동일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1b)는 도브테일(11)의 내부를 향해 움푹 페인 부분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돌출부(350는 베인(13)의 끝부분에 형성된 제2 삽입부(13a)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삽입부(13a)와 제2 돌출부(350)는 동일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삽입부(13a)는 베인(13)의 내부를 향해 움푹 페인 부분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들(250a, 250b)과 제2 돌출부(350)는 제1 삽입부(11b)와 제2 삽입부(13a)에 각각 삽입되어 버켓(10)이 배치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1 고정부(100a)와 제2 고정부(100b)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이므로, 제1 고정부(100a)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100a)는 제1 바디부(110a), 제2 바디부(130a), 제1 고정 부재들(115a) 및 제2 고정 부재들(13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a)와 제2 바디부(130a)는 베이스(50)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10a)는 양 끝부분이 베이스(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바디부(130a)는 양 끝부분 중 한쪽 끝부분은 베이스(50)에 고정될 수 있고, 나머지 다른 한쪽 끝부분은 회전부(150a)의 움직임을 통해 베이스(50)와 분리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버켓(10)이 제1 바디부(110a)와 제2 바디부(13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바디부(130a)의 한쪽 끝부분을 개방하여 버켓(10)을 제1 바디부(110a) 상에 위치시킬 수 있고, 버켓(10)이 위치하면 제2 바디부(130a)의 한쪽 끝부분을 베이스(50)과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들(115a) 및 제2 고정 부재들(135a)은 제1 바디부(110a)와 제2 바디부(130a)와 각각 결합할 수 있고, 버켓(10)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들(115a) 및 제2 고정 부재들(135a)은 버켓(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버켓(10)의 움직임을 최소화로 하기 위해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들(115a)과 제2 고정 부재들(135a)은 서로 동일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들(115a) 및 제2 고정 부재들(135a) 각각은 버켓(10)과 제1 및 제2 고정 부재들(115a, 135a)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접촉부들(400)을 가질 수 있다. 접촉부들(400)은 버켓(10)과 직접 접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접촉부들(400)은 버켓(10)과의 접촉에 의해 버켓(10)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버켓(10)을 구성하는 물질보다 강성이 약한 금속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촉부(225)는 황동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들(4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B-B'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고정부(100c)는 제3 바디부(110c), 제4 바디부(130c), 제3 고정 부재들(115c) 및 제4 고정 부재들(13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 부재들(115c) 및 제4 고정 부재들(135c) 각각은 접촉부들(400)을 가질 수 있다.
제3 고정부(100c)는 제1 고정부(100a)과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00a)는 베인(13)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나 제1 및 제2 고정 부재들(115a, 135a)의 배치가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버켓(10)은 베인(13)의 끝부분의 형상이 유사하므로, 제3 고정부(100c)는 버켓(10)의 종류와 무관하게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고정 부재들(115c)이 연장되는 방향은 제4 고정 부재들(135c)이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접촉부(400)는 고정 부재들(115a, 115c, 135a, 135c)과 연결되는 제1 영역(410) 및 제1 영역(410)과 연결되어 버켓과 접촉하는 제2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10)은 나사 홈들이 형성된 연결부(415)를 가질 수 있고, 연결부(415)를 통해 고정 부재들(115a, 115c, 135a, 135c)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영역(430)의 일부는 제1 영역(410)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430)은 그 일부가 제1 영역(410)에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영역(430)은 버켓과 접촉하는 상면(430a) 및 이에 대향하는 하면(430b)을 가질 수 있다. 평면적으로 상면(430a)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면(430a)은 복수개의 돌기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430)의 상면(430a)은 접촉부(400)와 버켓 사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제2 영역(430)은 그 일부만이 제1 영역(410)에 삽입되어 연결됨에 따라, 유동성이 있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부(400)에서 고정 부재들(115a, 115c, 135a, 135c)을 향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면이 기준면(20)이고 제2 영역(430)의 상면(430a)과 동일한 면이 가변면(30)이라고 정의한 경우, 제2 영역(430)의 상면(430a)이 이루는 가변면(30)은 기준면(20)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즉, 제2 영역(430)의 그 상면(430a)이 기준면(20)과 예각을 이루도록 일정 각도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430)이 움직일 수 있는 상기 예각은 0° 내지 10°일 수 있다.
접촉부(400)는 버켓의 곡면들에 따라 일정 각도 움직일 수 있으므로, 버켓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버켓과 견고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브테일 가공 지그는 버켓의 가공 공정 동안 더욱 견고하게 버켓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브테일 가공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설명의 간략을 위해 중복되는 내용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기준부(200)는 한 개로 제공될 수 있고, 제1 돌출부(250)도 1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브테일(11)의 제1 삽입부(미도시)도 1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평면적인 관점에서, 제1 기준부(200)와 제2 기준부(300)는 버켓(10)이 연장되는 제1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기준부(200)와 제2 기준부(300)는 제3 고정부(100c)에서 제1 고정부(100a)를 향하는 방향(도면을 참조할 때 가로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출부(250)와 제2 돌출부(350)는 제1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기준부(200) 및 제2 기준부(300)의 배치는 작업자에 의해 변동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버켓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들;
    가공하는 상기 버켓의 일측의 끝부분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를 가지는 제1 기준부; 및
    상기 버켓의 타측의 끝부분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가지는 제2 기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버켓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들은 상기 버켓과 접촉되는 접촉부들을 가지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버켓의 일측의 끝부분에 형성된 제1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버켓의 타측의 끝부분에 형성된 제2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기준부와 상기 제2 기준부는 상기 버켓이 배치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들 각각은:
    상기 고정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어 상기 버켓과 접촉하는 제2 영역,
    을 포함하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그 일부가 상기 제1 영역에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버켓의 곡면에 따라 움직이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버켓과 접촉하는 상면을 가지고,
    상기 상면은 복수개의 돌기들을 가지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면이 기준면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상면은 상기 기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움직이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에서 상기 버켓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고정 부재들; 및
    상기 제2 바디부에서 상기 버켓을 향해 돌출되는 제2 고정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들과 상기 제2 고정 부재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개수로 제공되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의 일측은 도브테일인, 도브테일 가공 지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삽입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수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복수개로 제공되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
  9.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적인 관점에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기준부에서 상기 제2 기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들은 상기 제1 기준부 및 상기 제2 기준부 사이에 배치되는 도브테일 가공 지그.

KR1020170008173A 2017-01-17 2017-01-17 도브테일 가공 지그 KR101858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173A KR101858891B1 (ko) 2017-01-17 2017-01-17 도브테일 가공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173A KR101858891B1 (ko) 2017-01-17 2017-01-17 도브테일 가공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891B1 true KR101858891B1 (ko) 2018-06-28

Family

ID=6278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173A KR101858891B1 (ko) 2017-01-17 2017-01-17 도브테일 가공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8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4440A (ja) * 1994-02-02 1995-08-15 Ohashi Kogyo Kk ブレード等弾性特性加工品のチャッキング装置
JP2008229827A (ja) * 2007-03-23 2008-10-02 Toyota Motor Corp ワークの支持ブロック
JP2016198837A (ja) * 2015-04-08 2016-12-0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翼の加工方法、翼の加工装置、この加工装置の加工順序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4440A (ja) * 1994-02-02 1995-08-15 Ohashi Kogyo Kk ブレード等弾性特性加工品のチャッキング装置
JP2008229827A (ja) * 2007-03-23 2008-10-02 Toyota Motor Corp ワークの支持ブロック
JP2016198837A (ja) * 2015-04-08 2016-12-0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翼の加工方法、翼の加工装置、この加工装置の加工順序制御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518B2 (en) Steep angle turbine cover buckets having relief grooves
US73443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embling shrouded turbine bucket and tangential entry dovetail
US5509784A (en) Turbine bucket and wheel assembly with integral bucket shroud
US8038404B2 (en) Steam turbine and rotating blade
EP1808577B1 (en) A welded nozzle assembly for a steam turbine
US8277186B2 (en) Turbine blade assembly and steam turbine
JP6106021B2 (ja) タービンアセンブリ
GB2274688A (en) Retaining and sealing arrangement for the blades of a rotor disc
US5152669A (en) Turbomachine blade fastening
KR20080057180A (ko) 로터 조립체 내의 하중 전달용 방법 및 장치
JP2001073703A (ja) ターボ機械のための流体作用要素またはブレード
JP6214677B2 (ja) ターボ機械ロータブレード、ターボ機械ロータディスク、ターボ機械ロータ、複数のルートおよびスロット接触面角を有する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
KR101858891B1 (ko) 도브테일 가공 지그
US8047797B2 (en) Steam turbine and rotating blade
EP2955328A1 (en) Rotor assembly for gas turbine with a sealing wire
US9664054B2 (en) Turbomachine rotor with blade roots with adjusting protrusions
US7140841B2 (en) Rotor blade connecting arrangement for a turbomachine
KR101862980B1 (ko) 도브테일 가공 지그
WO2016148692A1 (en) Stator vane dampening system usable within a turbine engine
US20160333707A1 (en) Turbo engine rotor comprising a blade-shaft connection means, and blade for said rotor
JP5227241B2 (ja) タービンロータ、タービン動翼結合構造、蒸気タービンおよび発電設備
JP2023514100A (ja) 回転機械内の軸方向エントリブレードにシュラウド干渉を与えるための方法及び回転機械
EP3575556A1 (en) Turbine bla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blades
US20160084088A1 (en) Stress relieving feature in gas turbine blade platform
EP2840232B1 (en) Turbine rotor for a thermoelectric power station, thermoelectric power station comprising such a r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