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473B1 -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473B1
KR101858473B1 KR1020170125025A KR20170125025A KR101858473B1 KR 101858473 B1 KR101858473 B1 KR 101858473B1 KR 1020170125025 A KR1020170125025 A KR 1020170125025A KR 20170125025 A KR20170125025 A KR 20170125025A KR 101858473 B1 KR101858473 B1 KR 101858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camera
lens
iris recogni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310A (ko
Inventor
박대진
최영훈
최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03009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584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조산업
Priority to KR102017012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47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G06K9/0060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20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1Control of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홍채영상을 2진 데이터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줄여 인식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홍채의 패턴 및 경로의 변화를 통해 오인식률을 줄일 수 있으며, 낮은 사양의 시스템을 통해서도 처리할 수 있어 소형화 및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고, 밤낮 및 조명에 따른 패턴의 진하기에 관계없이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장치{IDENTIFICATION APPRATUS OF IRIS USING SHORT RANGE IRIS PHOTOGRAPHING CAMERA IN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홍채영상을 2진 데이터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줄여 인식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홍채의 패턴 및 경로의 변화를 통해 오인식률을 줄일 수 있는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홍채 인식 시스템은 사람마다 고유한 눈동자의 홍채 패턴을 구별해 신분을 증명하는 장치로 다른 생체 인식 방법인 음성이나 지문보다 그 신분 확인의 정확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고도의 보안성을 자랑한다. 홍채는 눈의 동공과 흰자위의 사이에 존재하는 영역이며 홍채 인식이란 개인마다 각기 다른 홍채 패턴을 분석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의 신원을 인식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체의 특징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고 응용하려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핵심이 되는 기술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독특한 특징 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하는 것이며, 홍채 영상에 대한 특징 추출 방법으로는 가버 변환과 웨이블렛 변환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웨이블렛 변환은 신호를 다중 해상도(multi-resolution)로 해석하는 기법의 일종이며, 푸리에 변환에 기반을 둔 기존의 신호 처리 알고리즘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시간과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의 국소화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최근 신호 및 영상처리 분야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62248호(2004.07.07. 공개) “위치 이동에 무관한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46770호(2011.07.06. 공고) “근거리 홍채 인식용 카메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홍채 카메라가 스마트폰에 적용된 기술이 개발되지 않았고, 이를 소형으로 제작하기에는 구조상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홍채 인식 또는 영상 처리 등에서 사용하는 웨이블렛 변환은 입력 영상의 위치 이동에 따라서 특징값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홍채 인식 시스템의 보안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홍채 영상을 등록할 때 동공과 홍채의 반지름 비율을 설정한 후 설정된 비율과 일치하는 홍채 영상만을 등록하기 때문에 인증시 조명에 따라 설정된 비율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인식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홍채영상을 2진 데이터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줄여 인식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홍채의 패턴 및 경로의 변화를 통해 오인식률을 줄일 수 있는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이 고가이고, 이의 내부에 저장된 개인적인 비밀자료가 모두 내장되어 있는 집약형 비밀장비이어서, 이를 분실시에는 개인정보가 모두 누설되거나 인터넷 접속 등 함부로의 사용으로 비용이 등록소유자에게 청구되어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키는 등의 문제가 상당히 있었으므로, 이를 분실시에도 등록된 홍채가 아니면 로그온을 할 수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키입력부에서 홍채인식이 선택된 경우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작동시켜 조명의 밝기에 따라 홍채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홍채영상에서 동공의 크기변화가 있는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공의 크기변화가 있는 경우 하나의 홍채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홍채영상에 대해 각 픽셀을 2진 데이터로 정규화하여 홍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홍채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된 홍채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본체(500)(600)의 일측상부에 홍채인식기(530)(63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시작하는 단계; 상기 홍채인식기(530)(630)의 제어부가 키입력부에서 홍채인식이 선택된 경우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작동시켜 조명의 밝기에 따라 홍채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홍채영상에서 동공의 크기변화가 있는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공의 크기변화가 있는 경우 하나의 홍채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홍채영상에 대해 각 픽셀을 2진 데이터로 정규화하여 홍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홍채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된 홍채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결과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홍채를 촬영하는 단계에서 상기 홍채 촬영용 카메라의 작동상태를 표시램프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홍채 촬영용 카메라는 조명 광원은 렌즈의 렌즈 중심선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렌즈의 물체면(object plane)은 홍채가 놓이는 위치이고, 상기 렌즈의 끝으로부터 일정 거리(L) 떨어져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상기 렌즈 중심선 주변의 영역이 되고, 상기 렌즈의 결상면(結像面)은 이미지 센서면이며, 상기 조명 광원의 중심선은 상기 렌즈의 물체면을 향하도록 상기 렌즈 중심선과 아크탄젠트(D/L) 만큼의 조명 경사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홍채 촬영용 카메라는 상기 렌즈 중심선과 평행하게 또는 평행에 가깝게 상기 조명 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렌즈 중심선과 이격시키고 상기 물체면에 경사지게 조명하도록 설치된 프리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어부에 연동되는 홍채인식기(530)(630)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할 경우 자신의 눈을 홍채인식기(530)(630)에 근접되게 댐으로서, 스마트폰을 로그인되게 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본체(500)(600)는 통상의 터치스크린(510)(610)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 상부에는 일반적인 신호표시부(520)(6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상부에 홍채인식기(530)(63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사용시 신호가 오거나 발신하기 위하여 로그 인을 할 경우 자신의 눈을 홍채인식기(530)(630)에 근접되게 댐으로서, 스마트폰을 로그 인되게 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홍채영상을 2진 데이터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줄여 인식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홍채의 패턴 및 경로의 변화를 통해 오인식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홍채영상을 2진 데이터로 처리함으로써 낮은 사양의 시스템을 통해서도 처리할 수 있어 소형화 및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홍채영상을 2진 데이터로 처리함으로써 밤낮 및 조명에 따른 패턴의 진하기에 관계없이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더구나, 소형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적용함으로서, 자신의 스마트폰을 분실하더라도 등록된 홍채가 아니면, 타인이 사용할 수 없도록 되어 비밀누설이나 잘못된 인터넷접속에 의한 비용청구 등의 사회적 문제를 없애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장치에서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에서 조명의 밝기에 따른 동공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에서 2진 데이터로 정규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적용시킨 스마트폰의 외형구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적용시킨 스마트폰의 외형구조로서, 눈의 형상을 스마트폰에 도시된 외형구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장치에서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장치는 홍채 촬영용 카메라(1), 키입력부(2), 저장부(4), 제어부(3), 출력부(5) 및 표시램프(300)를 포함한다.
홍채 촬영용 카메라(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IR LED(20)의 가이드 상부에 경사면을 갖고 요철부가 형성된 프리즘(200)을 설치하여 홍채 주변의 밝기 균일도를 향상시켜 홍채 인식을 향상시키고 조명 IR LED(20)를 통해서 정전기가 내부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홍채 촬영용 카메라(1)는 센서(도시되지 않음) 및 부속회로(도시되지 않음), 렌즈(10), 표시램프(300), 백색 조명과 조명 IR LED을 포함하는 조명 광원(20)이 구성된다.
표시램프(300)는 사용자의 홍채가 렌즈의 물체면에 정확하게 놓이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어부(3)에서 사용자에게 홍채 인식이 진행중 임을 시각으로 알려주는 것이나 음성소자를 이용하여 청각으로 알려줄 수 있고, 표시램프(300)와 음성소자 양자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조명광원(20)은 렌즈(10)의 렌즈 중심선(L/O)과 일정 거리(D) 이격되어 있다.
렌즈(10)의 물체면(object plane)은 홍채가 놓이는 위치이고, 렌즈(10)의 끝으로부터 일정 거리(L) 떨어져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렌즈 중심선(L/C) 주변의 영역이 되고, 렌즈의 결상면(結像面)은 이미지 센서면이다. 조명 중심선(I/C)은 렌즈(10)의 물체면을 향하도록 렌즈의 렌즈 중심선(L/C)과 아크탄젠트(arctan)(D/L) 만큼의 조명경사각을 갖는다.
여기에서, 렌즈(10)의 렌즈 중심선(L/C)과 평행하게 또는 평행에 가깝게 조명 광원(20)을 배치하고, 렌즈(1)의 렌즈 중심선(L/C)과 이격시키고 물체면에 경사지게 조명하도록 가이드(30)에 조명 광원(IR LED: 20)을 커버한 상태로 프리즘(200)을 설치된다.
프리즘(200)의 입사면(210)은 조명 IR LED(20)의 수직 배치에 대하여 물체면에 조명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적은 광량에도 홍채 주변의 밝기 균일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조명 광원(20)은 조명 IR LED의 일측에 형성된 백색조명(White LED)은 불빛을 조명하여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홍채인식을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홍채의 근거리, 바람직하게 3~20cm 범위에서 인식이 가능하다.
그리고 프리즘(200)의 출사면(220)은 카메라 모듈의 케이스(100)의 윗면과 같은 평면상에 구성하는 것이 외관적으로 바람직하므로 평면으로 형성된다.
키입력부(2)는 홍채 인식 장치를 통해 홍채를 등록할 것인지 홍채를 인식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저장부(4)는 홍채의 등록 및 인식을 위한 프로그램 및 등록시 인식된 홍채영상에 대한 홍채데이터를 저장한다.
출력부(5)는 제어부(3)에서 홍채인식한 결과를 출력하여 주변기기(미도시)에서 홍채 인식결과에 따라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는 키입력부(2)의 선택에 따라 홍채 촬영용 카메라(1)를 작동시켜 조명의 밝기에 따라 홍채를 촬영한 후 동공의 크기변화를 통해 살아있는 사람의 홍채인지 판별한 후 홍채영상에 대해 2진 데이터로 정규화하여 홍채데이터를 생성하여 홍채영상에 대한 홍채데이터를 저장하여 등록하거나 저장부(4)에 저장된 홍채영상에 대한 홍채데이터와 홍채인식을 수행한다.
표시램프(300)는 제어부(3)에서 홍채 촬영영 카메라(1)를 작동시켜 홍채 인식 중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점등된다. 이때 표시램프(300)는 다양한 색상을 통해 진행상황을 세분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에서 조명의 밝기에 따른 동공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에서 2진 데이터로 정규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은 제어부(3)가 키입력부(2)에서 홍채인식이 선택된 경우(S10) 홍채 촬영용 카메라(1)를 작동시켜 조명의 밝기에 따라 홍채를 촬영한다(S22).
이때 홍채 촬영용 카메라(1)의 작동상태를 표시램프(300)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작동되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사람의 홍채는 동일인이라 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의 밝기에 따라 동공의 크기가 변하면서 홍채 무늬도 변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명의 밝기를 달리하면서 홍채를 촬영함으로써 개인의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유지하면서 홍채영상을 취득한다.
이와 같이 조명의 밝기에 따라 홍채를 촬영한 후 동공의 크기 변화가 있는가 판단한다(S24).
이때 동공의 크기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살아있는 사람으로 판단할 수 없어 이후 과정을 생략하고 종료된다.
살아있는 사람의 눈을 촬영한 경우 동공의 크기 변화가 있게 됨에 따라 이렇게 변화하는 홍채영상 중 홍채인식을 위해 하나의 홍채영상을 취득한다(S26).
취득한 하나의 홍채영상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홍채영상의 각 픽셀에 대해 2진 데이터로 정규화하여 홍채데이터를 생성한다(S28).
즉, 홍채데이터는 홍채패턴의 진하기와는 무관하게 패턴의 있고 없음을 나타내는 2진 데이터로 정규화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처리속도가 향상되어 인식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낮은 사양의 시스템을 통해서도 처리할 수 있어 소형화 및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고, 밤낮 및 조명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홍채데이터를 저장부(4)에 저장된 조명의 밝기에 따라 홍채를 촬영한 다수의 홍채영상에 대한 홍채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비교한다(S30).
그런 다음 비교결과를 출력부(5)를 통해 출력하여 주변기기(미도시)에서 홍채의 인식결과를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S32).
반면에, 제어부(3)가 키입력부(2)에서 홍채등록이 선택된 경우(S10) 홍채 촬영용 카메라(1)를 작동시켜 조명의 밝기에 따라 홍채를 촬영한다(S12).
이때 홍채 촬영용 카메라(1)의 작동상태를 표시램프(300)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작동되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사람의 홍채는 동일인이라 하더라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의 밝기에 따라 동공의 크기가 변하면서 홍채 무늬도 변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명의 밝기를 달리하면서 홍채를 촬영함으로써 개인의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유지하면서 홍채영상을 취득한다.
이와 같이 조명의 밝기에 따라 홍채를 촬영한 후 동공의 크기 변화가 있는가 판단한다(S14).
이때 동공의 크기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살아있는 사람으로 판단할 수 없어 이후 과정을 생략하고 종료된다.
살아있는 사람의 눈을 촬영한 경우 동공의 크기 변화가 있게 됨에 따라 이렇게 변화하는 홍채 영상 중 홍채등록을 위해 다수의 홍채영상을 취득한다(S16).
취득한 다수의 홍채영상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홍채영상의 각 픽셀에 대해 2진 데이터로 정규화하여 다수의 홍채영상에 대한 홍채데이터를 생성한다(S18).
즉, 홍채데이터는 홍채패턴의 진하기와는 무관하게 패턴의 있고 없음을 나타내는 2진 데이터로 정규화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다수의 홍채영상에 대한 홍채데이터를 저장부(4)에 저장함으로써 등록이 이루어진다(S2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방법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홍채영상을 2진 데이터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량을 줄여 인식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홍채의 패턴 및 경로의 변화를 통해 오인식률을 줄일 수 있으며, 낮은 사양의 시스템을 통해서도 처리할 수 있어 소형화 및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고, 밤낮 및 조명에 따른 패턴의 진하기에 관계없이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적용시킨 스마트폰의 외형구조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을 적용시킨 스마트폰의 외형구조로서, 눈의 형상을 스마트폰에 도시된 외형구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본체(500)(600)는 통상의 터치스크린(510)(610)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 상부에는 일반적인 신호표시부(520)(62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고, 다른 일측 상부에 홍채인식기(530)(6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시 신호가 오거나 발신하기 위하여 로그 인을 할 경우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화면을 켠 후에 자신의 눈을 홍채인시기(530)(630)에 근접되게 대므로서, 스마트폰은 로그 인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사용시 신호가 오거나 발신하기 위하여 로그 인을 할 경우에는 직접 화면을 켜지 않고도 자신의 눈을 홍채인시기(530)(630)에 근접되게 대므로서, 스마트폰은 로그 인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도 6에는 스마트폰의 핵심기술이 상단 표면에 나타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도 7은 그 외곽에 눈의 표시형태로 스마트폰에 홍채인식기가 부착된 표시를 한 것으로, 상업적 활용으로 유익한 표시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홍채 촬영용 카메라 2 : 키입력부
3 : 제어부 4 : 저장부
5 : 출력부 10 : 렌즈
20 : 조명 IR LED 30 : 가이드
100 : 케이스 200 : 프리즘
210 : 입사면 220 : 출사면
230 : 요철 300 : 표시램프
310 : 유도 거울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스마트폰 본체(500)(600)는 통상의 터치스크린(510)(610)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 상부에는 일반적인 신호표시부(520)(6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상부에 홍채인식기(530)(63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로그인을 할 경우 자신의 눈을 홍채인식기(530)(630)에 근접되게 댐으로서, 홍채촬영용 카메라의 작동상태를 표시램프로 표시하면서 스마트폰을 로그인되게 하되, 상기 스마트폰 본체(500)(600)의 일측상부에 형성된 홍채인식기(530)(630)는 상기 홍채인식기(530)(630)의 제어부가 키입력부에서 홍채인식이 선택된 경우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작동시켜 조명의 밝기에 따라 홍채를 촬영하고, 촬영된 홍채영상에서 동공의 크기변화가 있는 경우 하나의 홍채영상을 취득하며, 상기 하나의 홍채영상에 대해 각 픽셀을 패턴의 있고 없음을 나타내는 2진 데이터로 정규화하여 홍채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홍채 촬영용 카메라의 조명 광원은 렌즈의 렌즈 중심선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렌즈의 물체면(object plane)은 홍채가 놓이는 위치이고, 상기 렌즈의 끝으로부터 일정 거리(L) 떨어져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상기 렌즈 중심선 주변의 영역이 되고, 상기 렌즈의 결상면(結像面)은 이미지 센서면이며, 상기 조명 광원의 중심선은 상기 렌즈의 물체면을 향하도록 상기 렌즈 중심선과 아크탄젠트(D/L) 만큼의 조명 경사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장치.
  4. 스마트폰 본체(500)(600)는 통상의 터치스크린(510)(610)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 상부에는 일반적인 신호표시부(520)(6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상부에 홍채인식기(530)(63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로그인을 할 경우 자신의 눈을 홍채인식기(530)(630)에 근접되게 댐으로서, 홍채촬영용 카메라의 작동상태를 표시램프로 표시하면서 스마트폰을 로그인되게 하되, 상기 스마트폰 본체(500)(600)의 일측상부에 형성된 홍채인식기(530)(630)는 상기 홍채인식기(530)(630)의 제어부가 키입력부에서 홍채인식이 선택된 경우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작동시켜 조명의 밝기에 따라 홍채를 촬영하고, 촬영된 홍채영상에서 동공의 크기변화가 있는 경우 하나의 홍채영상을 취득하며, 상기 하나의 홍채영상에 대해 각 픽셀을 패턴의 있고 없음을 나타내는 2진 데이터로 정규화하여 홍채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홍채 촬영용 카메라의 조명 광원은 렌즈의 렌즈 중심선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렌즈의 물체면(object plane)은 홍채가 놓이는 위치이고, 상기 렌즈의 끝으로부터 일정 거리(L) 떨어져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상기 렌즈 중심선 주변의 영역이 되고, 상기 렌즈의 결상면(結像面)은 이미지 센서면이며, 상기 홍채 촬영용 카메라는 상기 렌즈 중심선과 평행하게 상기 조명 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렌즈 중심선과 이격시키고 상기 물체면에 경사지게 조명하도록 설치된 프리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장치.
KR1020170125025A 2017-09-27 2017-09-27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장치 KR101858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025A KR101858473B1 (ko) 2017-09-27 2017-09-27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025A KR101858473B1 (ko) 2017-09-27 2017-09-27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927A Division KR101894273B1 (ko) 2013-05-24 2013-05-24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10A KR20170119310A (ko) 2017-10-26
KR101858473B1 true KR101858473B1 (ko) 2018-05-16

Family

ID=6030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025A KR101858473B1 (ko) 2017-09-27 2017-09-27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874B1 (ko) * 2020-11-23 2022-10-17 (주)아이리스아이디 홍채 인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10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9456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authenticating a user
JP5034359B2 (ja) 画像認証装置、画像認証方法、画像認証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電子機器
KR101894273B1 (ko)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KR100854890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다중 조명을 이용한 홍채 등록 및인식방법
US751928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and fingerprint security function
US1086715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alm biometric sensor layer and related methods
CN108038479B (zh) 指纹识别装置及识别方法
KR102160137B1 (ko) 특징점 변동을 이용한 위조 얼굴 판별장치 및 그 방법
EP32278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biometric add-on
JP2009015518A (ja) 眼画像撮影装置及び認証装置
KR101858473B1 (ko)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장치
KR100572626B1 (ko) 홍채 등록 장치
JP2022068055A (ja) 生体認証装置および生体認証方法
KR101858474B1 (ko)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JP2006318374A (ja) 眼鏡判別装置および認証装置ならびに眼鏡判別方法
KR101862373B1 (ko)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KR20170088798A (ko)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KR101827298B1 (ko)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KR101715309B1 (ko) 홍채 인식 장치
JP2004086614A (ja) 目画像撮像装置及び目画像認証装置
JP4842780B2 (ja) 個人情報認証装置および個人情報認証方法
KR101791463B1 (ko) 홍채 인식 방법
JP2019128630A (ja) 生体認証装置
KR20220059417A (ko) 홍채 인식을 위한 컴팩트 시스템 및 방법
JP2006181012A (ja) 眼画像撮影装置および認証装置ならびに誘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15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409

Effective date: 2020090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062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225

Effective date: 2020090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671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1019

Effective date: 2021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