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455B1 -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455B1
KR101858455B1 KR1020160080968A KR20160080968A KR101858455B1 KR 101858455 B1 KR101858455 B1 KR 101858455B1 KR 1020160080968 A KR1020160080968 A KR 1020160080968A KR 20160080968 A KR20160080968 A KR 20160080968A KR 101858455 B1 KR101858455 B1 KR 101858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information
sens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895A (ko
Inventor
구진모
김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진
Priority to KR102016008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4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에 설정된 다수 구획에 대한 화재, 침수, 보안, 전력, 공조 등의 다양한 감시수단을 통합하여 감시함으로 사고에 대비하도록 하되 사고위험도에 따른 집중적인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REMOTE INTEGRA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FOR IMPROVED STABILITY}
본 발명은 시설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시설물에 설정된 다수 구획에 대한 화재, 침수, 보안, 전력, 공조 등의 다양한 감시수단을 통합하여 감시함으로 사고에 대비하도록 하되 사고위험도에 따른 집중적인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빌딩을 비롯한 각종 시설물에는 공조, 조명, 전력, 수도, 화재감시 등의 다양한 분야의 종합적인 감시 및 제어를 위한 관리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으며, 최근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적은 인력으로 폭넓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 시스템에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PLC는 종래의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기능을 반도체 소자로 대체하여,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장치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로직, 시퀀싱, 타이밍, 카운팅, 연산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하고 여러 종류의 기계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디지털 동작의 전자 장치로 정의된다.
이러한 PLC는 Profibus, DeviceNet, Modbus, MelsecNet, Interbus, AS-I, Foundation, Fieldbus, LonWorks, Vendor-dependant 등 생산업체 고유의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으므로, 산업현장에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PLC장비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PLC를 통합관리함에 있어 각 통신부 사이의 프로토콜의 변환과 더불어 안정적인 감시를 위해 전력 불균형이나 서지 유입 등으로 인한 전자, 통신구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특히 낙뢰나 대지전위상승(역 서지에 의한 낙뢰)에 의한 피해가 종종 발생하는 상황에서 다수의 전기기구, 전자회로, 통신기구 등으로 구성된 관리시스템은 저전력 고밀도의 집적회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낮은 서지 전압에 대해서도 치명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MOV(Mental Oxide Varistor), 피로관, 반도체 소자와 같이 주로 비선형을 가진 소자로 구성된 다양한 보호장치를 통해 전력선, 통신선, 데이터 네트워크, CCTV 회로, 전자 장비에 연결된 전력선과 통신선 등에 나타나는 매우 짧은 순간의 위험한 과전압, 과전류 등을 감쇄시켜 주고 있으나, 시설물에서의 다양한 사고 발생으로 인해 서지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고가의 설비손상 및 화재 등과 같은 큰 사고로 이어질 뿐 아니라 상황전파까지 방해받는 문제로 이어졌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6255호(2008.02.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관리 구획을 갖는 시설물에 대한 화재, 침수, 보안, 전력분야에서의 통합적인 감시를 통해 사고에 대비하도록 하되 구획 및 구획 내 작업 특성을 반영한 사고위험도를 반영한 집중적이면서도 효율적인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구획으로 분할관리되는 시설물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설정에 따른 구획으로부터 영상수집과, 화재감지와, 침수감지와, 공조감지를 수행하는 다수의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져 감시정보를 수집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수집된 감시정보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대응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대응부;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수집된 감시정보를 취합하되 공용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중계하는 중계부; 상기 중계부에서 전달된 감시정보를 구획별로 분류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수집된 감시정보를 분류 및 분석하여 이상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이상상태 판단시 해당 구획 및 상태정보를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보부를 구비하는 관제부; 상용전력을 변환하는 변환부와, 변환된 전원을 통해 충전되는 축전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용전력을 끊고 상기 축전지를 통해 상기 대응부와 중계부와 관제부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전환부를 구비하는 비상전력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은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부와, 사용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감지기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와, 침수를 감지하는 침수감지기와, 저수부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저수감지기와, 온습도감지기와, 공기 중 특정성분을 감지하는 가스감지기와,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기상정보수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응수단은 설정에 따라 각 구획의 보안과 방화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문과, 소화펌프와, 배수펌프와, 냉난방기와, 환기팬과, 전력차단기와, 일반조명 및 비상조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제부는 구획정보 및 활용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각 구획의 용도 및 활용정보에 대응하는 감지수단 및 대응수단에 대한 코드와 태세에 따른 감지수단 및 대응수단과 비상전력부의 운용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활용정보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태세를 설정하고 대응하는 운용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불러들여 감지수단 및 대응수단을 제어하는 태세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상전력부는 상기 축전지의 저장용량을 측정하는 전류측정부와, 상기 전환부를 통해 상기 축전지의 전원공급 시점으로부터 종료설정 시간까지 상기 저장부의 비상전력부 운용정보에 따라 상기 축전지의 전력소모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전력 절감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문은 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전자적으로 동작하는 잠금부와, 개방 시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문이 닫히도록 작용하는 복원부와, 상기 복원부와 문 사이의 결합상태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설정된 태세에 따라 잠김, 반자동 또는 수동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제부는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되, 감시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대응수단 및 비상전력부를 제어하되, 설정되는 태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통해 시설물의 다수 구획에 대한 통합적인 감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화재, 침수, 보안, 전력분야에서의 구획활용 및 구획 내 작업 특성을 반영한 사고위험도를 반영한 집중적이면서도 효율적인 감시와 사고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문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구획으로 분할되며, 구획별로 관리가 이루어지는 비교적 큰 규모의 시설물, 즉 건물에 적용되어 발생 가능한 사고에 대한 감시 및 대응을 위한 시스템으로, 감지부(10)와, 대응부(20)와, 중계부(30)와, 관제부(40)와, 비상전력부(50)의 주요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통상 규모가 큰 시설물일수록 출입보안을 비롯하여 화재, 침수, 공기조화(이하, 공조[空調, air conditioning]라고 칭함)에 대한 감시 및 관리에 요구설비 및 인원이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도 이러한 요인들을 주요 감시대상으로 하게 되며 많은 부분을 자동화함으로 적은 인력으로도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상상황 발생시 신속한 상황전파 및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구획은 시설물의 구조적인 격벽으로 구분되거나 관리적인 필요에 따른 설정을 통해 구획 분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 공간의 사용용도에 따라 감시, 관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요소가 상이하다.
상기 감지부(10)는 이와 같은 설정에 따른 구획으로부터 영상수집과, 화재감지와, 침수감지와, 공조감지를 수행하는 다수의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져 감시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구획의 특성상 하나의 구획에 다양한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종합적인 감시, 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으나 비교적 사고발생 확률이 낮은 요인보다는 높은 요인에 대한 집중적인 감시,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인화성 물질을 보관하거나 사용하는 용도의 격실 내에서는 당연히 화재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질 것이며, 사람이 통행하는 통로와 같은 구획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화재발생 가능성이 작으므로 화재보다는 영상을 이용한 출입인원 감시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또한, 물탱크나 저수조를 비롯하여 물의 공급을 위한 파이프라인이 지나가는 구획에서는 침수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며, 전기장치 사용이 많은 구획에서는 전력사용에 대한 감시가, 사람이 활동하는 구획이나 보관조건이 까다로운 물건이 보관되는 구획에서는 공조감지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한 대표적인 감지수단으로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부(11)와, 사용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감지기(12)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13)와, 침수를 감지하는 침수감지기(14)와, 물탱크와 같은 저수부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저수감지기(15)와, 구획 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감지기(16)와, 공기 중 특정성분을 감지하는 가스감지기(17)와,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기상정보수집부(18)를 구비하게 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11)는 주로 인원의 출입을 감시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화재의 감시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상기 화재감지기(13)는 화재발생 가능한 요인에 맞게 화염 내지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 가스 등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침수감지기(14)는 주로 지하에 위치한 구획의 바닥면 내지는 침수시 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수로, 웰 등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저수감지부(10)는 물탱크 등 시설물에서 요구되는 물의 공급을 위한 저장수단에 설치되어 저장량을 감시하게 된다. 상기 온습도감지부(10)는 일반적인 온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로 사람이 활동하는 장소를 비롯하여 장비나 물품의 특성상 온도 및 습도의 관리가 요구되는 구획에 설치되며, 가스감지기(17)는 화재에 대한 감시도 가능하나 최근 문제가 되는 미세먼지 내지는 초미세먼지를 비롯하여 구획 내에서 특정 물질 취급시 해당 물질의 누출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적절한 센서를 구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온습도감지부(10)와 더불어 공조관리를 위한 구성으로 실내의 온도·습도·세균·냄새·기류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기상정보수집부(18)는 실외에 설치되어 온/습도 및 강우량에 의해 현재 기상상태를 측량할 수도 있으나 날씨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웹으로부터 해당 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상기 대응부(20)는 상기 감지부(10), 즉 다양한 감지수단으로부터 수집된 감시정보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대응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응수단은 기본적으로 설정에 따른 각 구획 사이에서 사람 및 화물의 이동이 이루어지되 개폐를 통해 보안과 방화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문(21)을 비롯하여, 스프링쿨러와 같이 화재발생에 따라 동작하여 지적 구획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펌프(22)와, 침수 발생시 구획 내의 물을 특정 장소로 이송하는 배수펌프(23)와, 구획의 냉난방을 위한 냉난방기(24)와, 구획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팬(25)과, 구획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기(26)와, 구획에 구비된 일반조명(27) 및 비상조명(28)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대응수단은 시설물의 관리와 다양한 사고 및 이상상태 발생시 대응을 위한 기본구성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대응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계부(30)는 다양한 감지수단이 제조사마다 다른 통신 프로토콜이 적용됨에 따라 이를 통합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수집된 감시정보를 취합하되 공용 프로토콜, 즉 관제부(40)에서 통합관리가 용이한 지정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중계하는 구성이다. 다양한 프로토콜의 변환을 위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으나 시설물 관리를 위한 감지수단이 론웍스(lonworks) 기반의 장비가 많음에 따라 이를 가공하기 쉬운 이용되는 모드버스(modbus) 기반으로 일괄변환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계부(30)는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손상 발생시 전체 시스템의 동작이 마비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되 낙뢰, 서지, 전자파를 비롯하여 화재 상황 등에도 손상되지 않도록 차폐 및 내열특성을 갖는 보호재로 덮여 보호된다. 상기 보호재의 바람직한 예로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단열효과를 통해 상기 중계부(3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퓸드실리카 즉 micro porous 소재를 압축형성한 WDS 고온단열재와 금속 박막이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고온단열재는 열전도도가 극히 낮고 사용온도도 최대 1100℃까지 사용 가능하여 화재 상황에서도 상기 정보의 안정적인 중계 및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관제부(40)는 감시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대응하여 대응수단을 제어함으로 관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인터페이스(41)와, 판단부(43)와, 경보부(44)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41)는 입출력 수단으로서 상기 중계부(30)에서 전달된 감시정보를 기본적으로 구획별로 분류하여 관리자에게 출력함으로 관리자가 구획 별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비단 구획 별 분류뿐 아니라 감시정보에 따른 분류를 비롯한 수집된 감시정보의 다양한 정렬이 가능하다.
상기 판단부(43)는 수집된 감시정보를 분류 및 분석하여 이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화재나 침수, 단전 및 누전발생 여부를 비롯하여 이상 고온 및 저온, 고습 및 저습, 물 저장량 부족, 비인가자의 침입발생, 공기 중 특정물질량이 과다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되며, 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수치가 미리 설정된다.
상기 경보부(44)는 상기 판단부(43)에서 이상상태 판단시 해당 구획 및 상태정보를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급관리자를 비롯하여 이상상태가 발생한 요인에 대응하여 분야별로 지정된 관리자의 단말기로 경보를 전달하여 상황인지 및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경보 전달 대상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구획 별 담당한 내지는 분야별 담당자별로 미리 설정된다.
상기 비상전력부(50)는 기본적으로 상시 공급되는 상용전력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고로 인해 상용전력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경우 이를 대체하여 일정시간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변환부(51)와, 축전지(52)와, 전환부(53)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변환부(51)는 상용전력을 축전지(52) 충전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상용전력은 교류전력이므로 이를 설정된 전압의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축전지(52)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환부(53)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관제부 및 대응부와 중계부 또는 축전지(52)로 공급되는 전원을 전환하는 스위칭회로로서, 상용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문제발생 가능성, 보수/정비 등의 이유로 인해 상용전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관제부(40) 및 대응부(20)와, 중계부(30)와, 변환부(51)로의 상용전력 공급을 끊고, 상기 축전지(52)를 통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통상상태에서는 상용전력을 기 전력선(H)으로부터 상기 관제부(40) 및 대응부(20)와 중계부(30)를 비롯하여 변환부(51)로 공급하여 상기 축전지(52)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상기 비상전력부(50)는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비상시에 손상 발생시 전체 시스템의 동작이 마비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되 낙뢰, 서지, 전자파를 비롯하여 화재 상황 등에도 손상되지 않도록 차폐 및 내열특성이 있는 앞서 언급된 보호재로 덮여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본구성으로 더욱 효율적인 관리 및 이상상황 발생시 대응을 위한 구성들이 부가되고 있으며, 논점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재 언급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관제부(40)에는 입력부(42)와, 저장부(45)와, 태세설정부(46)와, 통신부(47)와, 인증부(48)의 구성이 부가된다.
상기 입력부(42)는 관리자 내지는 작업자로부터 구획정보 및 활용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어떤 구획이 어떤 용도로 활용되는지 또는 어떤 작업이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어떤 요소의 집중적인 감시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판단을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획의 특정기간 동안 보안레벨을 상승시켜 출입을 통제할 경우 인원 출입에 대한 집중적인 감시가 이루어져야 하며, 인화물질을 이용한 작업 또는 인화물질의 보관이 이루어질 경우 화재에 대한 집중 감시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므로 관리자나 작업자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구획정보 및 활용정보를 상기 입력부(42)를 통해 미리입력하게 된다.
상기 저장부(45)는 상기 입력부(42)를 통해 입력된 각 구획의 용도 및 활용정보를 비롯하여 이에 대응하는 감지수단 및 대응수단에 대한 코드와 태세에 따른 감지수단 및 대응수단과 비상전력부(50)의 운용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구성이다.
즉 일례로 활용정보가 화재와 관련된 경우 대응하는 감지수단은 화재감지기(13)가 될 것이며 대응수단은 소화펌프(22)가 될 것이다. 즉 다양한 활용정보에 따른 발생가능 상황에 대응하는 다양한 감지수단 및 감지수단을 통해 이상상황이 판단됨에 따라 대응하여 작동이 필요한 대응수단이 코드로 저장된다.
이러한 구획의 용도 및 활용정보가 접수됨에 따라 해당 구획에 대하여는 평상시보다 높은 레벨로 감시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빈 구획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시스템의 피로를 감소시킨 상태에서 해당 구획이 특정 용도로 사용됨에 따라 감시 레벨이 부여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감시레벨을 태세로서 관리하게 된다. 관리효율을 위해 다양한 방식 및 레벨로 태세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일례로 화재감시의 경우 빈 구획의 경우 1, 화재 위험성이 다소 낮은 일반 사용 구획의 경우 2, 화재위험성이 있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구획의 경우 3으로 태세를 지정하고, 태세 1의 경우 아무런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태세 2의 경우 화재감지기를 통한 통상적인 감시, 태세 3의 경우 감시 주기를 늘리거나 인접한 구획이 비어있음에도 함께 감시가 이루어지는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소화펌프의 스탠바이(Stand-by) 상태 유지, 방화문으로서의 복합문(21)의 자동 닫힘 상태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태세에 따른 차등화된 감시 및 대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효율적인 감시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태세설정부(46)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활용정보 및 상기 판단부(43)의 판단결과에 따라 설정된 기준에 의거하여 태세를 설정하고 대응하는 운용정보를 상기 저장부(45)로부터 불러들여 감지수단 및 대응수단을 제어하게 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활용정보 및 판단결과를 반영하여 태세 지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반영하여 지정된 감시수단의 감시주기 내지는 인접한 구획에 대한 감시수단의 운영 내지는 미운영과, 대응하는 대응수단이 언제라도 동작할 수 있도록 스탠바이 하는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만약 상기 판단부(43)가 이상상태임을 판단하게 되면 설정에 따라 즉시 대응수단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태세설정부(46)는 서지의 주요 원인이 되는 낙뢰발생 가능성을 판단하여, 낙뢰 가능성이 작은 통상상태와 낙뢰 가능성이 큰 경계상태로 경계레벨을 구분하는 구성으로, 상기 기상정보수집부(18)로부터 날씨를 포함한 기상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통해 경계레벨을 판별하게 된다.
즉 기상청에 접속하거나, 날씨와 관련 다양한 앱 내지는 사이트를 통해 해당 지역에서의 시간별로 세분화된 기상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태세설정부(46)는 전송받은 기상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낙뢰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날씨가 맑고 강수확률 또한 낮을 경우에는 통상상태, 비가 오거나 강수확률이 높을 경우에는 경계상태로 판별하며, 특히 해당지역에 낙뢰주의보 등이 발효되면 역시 경계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상정보가 시간별로 세분화됨에 따라 경계상태로부터 통상상태로 전환되는 태세종료시간 산출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부(47)는 외부 단말기(6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로서, 상용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지정된 단말기(60)와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신모듈이다.
상기 인증부(48)는 기본적으로 상기 중계부(30)를 통해 관제부(40)로 전달된 감시정보를 상기 단말기(60), 즉 해당 담당자 내지는 전체 관리자의 지정 단말기(60)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6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대응수단 및 비상전력부(50), 즉 전환부(53)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현재 설정되는 태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권한을 부여함으로 단말기(60)의 소지자가 임의로 대응수단 및 전환부(53)를 제어하는 것을 차단하여 잘못된 제어로 인한 2차 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비상전력부(50)에는 전류측정부(54)와, 전원관리부(55)의 구성이 부가된다.
상기 전류측정부(54)는 상기 축전지의 전류, 즉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의 잔량을 측정하는 구성이며, 상기 전원관리부(55)는 상기 축전지의 전력사용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환부(53)를 통해 축전지의 전원을 사용하는 시점으로부터 태세에 따른 종료설정 시간까지 상기 저장부의 비상전력부(50) 운용정보에 따라 상기 축전지(52)의 전력소모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전력 절감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비상전력부(50) 운용정보에는 태세 및 태세유지 시간 및 시간별 축전지의 전력 잔량에 대응하여 전력을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지는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일반조명(27)이 비상조명(28)에 비해 전력차단 우선순위가 높으며 비상조명은 차단 우선순위가 매우 낮게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문(21)은 보안 및 방화기능이 있는 출입문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보안 태세에 따라 크게 잠금과 개방 동작이 이루어져 인원의 출입통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동시에 화재관련 태세에 따라 개방시 자동 닫힘 및 수동 닫힘 동작의 제어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합문(21)은 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전자적으로 동작하는 잠금부(211)와, 개방 시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문이 닫히도록 작용하는 복원부(212)와, 상기 복원부(212)와 문 사이의 결합상태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결합부(213)를 구비하여, 설정된 태세에 따라 잠김, 반자동 또는 수동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문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잠금부(211)는 상기 관제부(4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전자적으로 동작하여 복합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필요시 관제부(40)를 통해 잠금부(211)를 해제시키거나 권한이 주어진 관련 담당자 내지는 관리자가 전자/기계적인 방식으로 현장에서 잠금부(211)를 해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원부(212)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통해 복합문을 개방함에 따른 탄성복원력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복합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 구성으로 복합문(21)이 방화문의 역할을 함께 따라 화재 관련 태세에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람이나 화물의 통행이 빈번한 장소에서 필요시 상기 복원부(212)가 동작하지 않도록 함으로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손으로 닫을 수도 있도록 상기 결합부(213)는 상기 복원부(212)와 문 사이의 결합상태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며, 결합시에는 복원력이 작용하고,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첨부된 도 3과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하되 내부에 수축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체가 설치된 실린더로 복원부(212)가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의 한쪽 끝은 복합문(21) 측에 다른 쪽 끝은 복합문(21)과 힌지 결합하여 지지하는 문틀에 연결되되, 실린더의 다른 쪽 끝이 복합문 개방에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213)가 실린더의 다른 쪽 끝 위치를 임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감지부 11: 카메라부
12: 전력감지기 13: 화재감지기
14: 침수감지기 15: 저수감지기
16: 온습도감지기 17: 가스감지기
18: 기상정보수집부 20: 대응부
21: 복합문 22: 소화펌프
23: 배수펌프 24: 냉난방기
25: 환기팬 26: 전력차단기
27: 일반조명 28: 비상조명
211: 잠금부 212: 복원부
213: 결합부 30: 중계부
40: 관제부 41: 인터페이스
42: 입력부 43: 판단부
44: 경보부 45: 저장부
46: 태세설정부 47: 통신부
48: 인증부 50: 비상전력부
51: 변환부 52: 축전지
53: 전환부 54: 전류측정부
55: 전원관리부 60: 단말기

Claims (5)

  1. 다수의 구획으로 분할관리되는 시설물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설정에 따른 구획으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부(11)와, 사용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감지기(12)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13)와, 침수를 감지하는 침수감지기(14)와, 저수부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저수감지기(15)와, 온습도감지기(16)와, 공기 중 특정성분을 감지하는 가스감지기(17)와,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기상정보수집부(18)를 포함하는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져 감시정보를 수집하는 감지부(10);
    상기 감지부(10)에서 수집된 감시정보에 대응하여 동작을 수행하되 설정에 따라 각 구획의 보안과 방화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문(21)과, 소화펌프(22)와, 배수펌프(23)와, 냉난방기(24)와, 환기팬(25)과, 전력차단기(26)와, 일반조명(27) 및 비상조명(28)을 포함하는 대응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대응부(20);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수집된 감시정보를 취합하되 공용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중계하는 중계부(30);
    상기 중계부(30)에서 전달된 감시정보를 구획별로 분류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41)와, 구획정보 및 활용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42)와, 수집된 감시정보를 분류 및 분석하여 이상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43)와, 이상상태 판단시 해당 구획 및 상태정보를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보부(44)와, 각 구획의 용도 및 활용정보에 대응하는 감지수단 및 대응수단에 대한 코드와 태세에 따른 감지수단 및 대응수단과 비상전력부(50)의 운용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45)와, 상기 활용정보 및 상기 판단부(43)의 판단결과에 따라 태세를 설정하고 대응하는 운용정보를 상기 저장부(45)로부터 불러들여 감지수단 및 대응수단을 제어하는 태세설정부(46)를 구비하는 관제부(40);
    상용전력을 변환하는 변환부(51)와, 변환된 전원을 통해 충전되는 축전지(52), 상기 판단부(43)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용전력을 끊고 상기 축전지(52)를 통해 상기 대응부(20)와 중계부(30)와 관제부(40)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전환부(53)를 구비하는 비상전력부(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력부(50)는 상기 축전지의 저장용량을 측정하는 전류측정부(54)와, 상기 전환부(53)를 통해 상기 축전지의 전원공급 시점으로부터 종료설정 시간까지 상기 저장부(45)의 비상전력부(50) 운용정보에 따라 상기 축전지(52)의 전력소모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전력 절감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원관리부(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문(21)은 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전자적으로 동작하는 잠금부(211)와, 개방 시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문이 닫히도록 작용하는 복원부(212)와, 상기 복원부(212)와 문 사이의 결합상태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결합부(213)를 구비하여, 설정된 태세에 따라 잠김, 반자동 또는 수동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40)는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되, 감시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대응수단 및 비상전력부(50)를 제어하되, 설정되는 태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권한을 부여하는 인증부(4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KR1020160080968A 2016-06-28 2016-06-28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KR101858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968A KR101858455B1 (ko) 2016-06-28 2016-06-28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968A KR101858455B1 (ko) 2016-06-28 2016-06-28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95A KR20180001895A (ko) 2018-01-05
KR101858455B1 true KR101858455B1 (ko) 2018-06-28

Family

ID=6100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968A KR101858455B1 (ko) 2016-06-28 2016-06-28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795B1 (ko) * 2019-06-03 2019-11-18 이현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463B1 (ko) * 2019-12-05 2021-02-01 주식회사 가디언이엔지 시설물 상태 정보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2335676B1 (ko) * 2021-01-14 2021-12-06 (주)전원테크 예비전력의 사용 시 안정적인 속도로 화재감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재감시 시스템
KR102619681B1 (ko) * 2021-11-24 2024-01-02 이찬세 건물 관리 및 공기 질 개선 자동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873A (ko) * 2003-04-14 2004-10-20 (주)극동네트워크 건물 화재 예방을 위한 원격 통합 자동 감시 시스템
KR100806255B1 (ko) 2007-10-05 2008-02-22 (주)서흥이엔지 상수도시설용 통합관리시스템
KR101717434B1 (ko) * 2014-09-03 2017-03-17 차보영 방송장치 스마트 감시제어기 및 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795B1 (ko) * 2019-06-03 2019-11-18 이현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배전반 방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95A (ko)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455B1 (ko) 안정성이 향상된 시설물 원격 통합 관리시스템
KR101872464B1 (ko) 이기종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갖는 론웍스 기반의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제어시스템
KR102257375B1 (ko) 지능형 안전관리가 가능한 태양광 접속반
CN107241214A (zh) 一种手机app机房运维系统
KR101520263B1 (ko) 화재 감지 지능형 배전반
CN110109407A (zh) 5t设备轨边机房智能监控系统及其实现方法
CN107741739A (zh) 智能设备箱及其工作方法
CN101248467A (zh) 遥测信号收集、处理、诊断、发送、控制和激活系统
KR101923131B1 (ko) 물질유출감지 및 알림 시스템
KR102410754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화재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IoT기반 수배전반 화재예방시스템
KR20130113249A (ko)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기능 물관리자동화시스템
CN105430349A (zh) 一种视频安防监控系统
CN106571972A (zh) 服务器的监控方法及装置
KR100984246B1 (ko) 지그비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화재를감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2233368A (zh) 一种综合安防管理平台
KR100820936B1 (ko) 유/무인 변전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유/무인 변전소 통합제어방법
KR101856312B1 (ko) 인공지능형 분전반
KR20160028347A (ko) 스마트 argos 감시제어기 및 제어시스템
CN205297139U (zh) 一种多模式操控的防火门智能监测控制系统
KR102391960B1 (ko) 전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2765B1 (ko)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CN212846525U (zh) 配电综合环境监控系统
KR20200064419A (ko)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원거리 시설물 관리 및 무선 iot단말기
CN211403203U (zh) 一种安消一体系统
CN105257139A (zh) 一种多模式操控的防火门智能监测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