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783B1 -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783B1
KR101857783B1 KR1020150135923A KR20150135923A KR101857783B1 KR 101857783 B1 KR101857783 B1 KR 101857783B1 KR 1020150135923 A KR1020150135923 A KR 1020150135923A KR 20150135923 A KR20150135923 A KR 20150135923A KR 101857783 B1 KR101857783 B1 KR 10185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destination
unit
departure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570A (ko
Inventor
유광진
신효식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15013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7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추천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산출된 경로 및 출발지의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추천 출발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ROUTE RECOMMENDING METHOD, MOBILE TERMINAL, BROKERAG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APPLICATION USING THE SAME METHOD}
실시 예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에 도달하는 최적의 경로를 이용하여, 고객들 간의 운송 서비스를 중개할 수 있는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 서비스(예를 들어, 택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이용자는 노상에서 공차 상태의 택시를 호출하여 승차하거나, 콜센터를 통하여 공차인 택시를 배정받아 승차한다.
콜센터는 이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용자의 위치 또는 출발지 및 도착지를 확인하고,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택시에 설치된 단말기로 이용자의 정보를 제공한다. 택시 운전자는 단말기로 출력되는 이용자의 정보를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의사를 콜센터로 전달한 후, 해당 이용자의 위치 또는 출발지로 이동한다.
근래에는, 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를 통해 이용자의 위치 또는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택시를 호출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이용자가 택시를 배정받기 위해서는 택시 운전자의 서비스 제공 의사 표현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택시 운전자가 택시의 현재 위치에서 이용자의 위치 또는 출발지로 이동이 어렵거나, 도착지까지의 운행이 힘들다고 판단하는 경우, 택시 운전자는 서비스 제공 의사를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가 택시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실시 예는 이용자가 편리하게 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실시 예는 이용자 및 택시 운전자에게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추천하는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 예는 이용자 및 택시 운전자를 용이하게 매칭시킬 수 있는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추천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산출된 경로 및 출발지의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추천 출발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추천 출발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산출된 경로를 이용하여, 출발지 주변에서의 경로 방향과 출발지의 승차 방향을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비교 결과에 따라, 출발지 주변의 제1 지점을 제1 출발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출발지 결정 단계는 출발지 주변의 복수의 지점 각각의 승차 방향과 복수의 지점 각각에서 도착지로 향하는 방향이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출발지와 최단 거리를 가지는 제1 지점을 제1 출발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점의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주변 영역 내의 제2 지점을 제2 출발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발지 결정 단계는 복수의 단위 격자로 주변 영역이 구분될 때, 각각의 단위 격자에 포함되는 지점들을 출발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따른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위 격자에서의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각각의 단위 격자에서의 수락 정도를 비교하여, 복수의 단위 격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발지 결정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 중 제1 지점과 인접한 하나의 단위 격자에 포함된 제2 지점을 제2 출발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착지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추천 도착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천 도착지 결정 단계는, 복수의 단위 격자로 주변 영역이 구분될 때, 각각의 단위 격자에 포함되는 지점들을 도착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따른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위 격자에서의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각각의 단위 격자에서의 수락 정도를 비교하여, 복수의 단위 격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추천 도착지 결정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 중 도착지와 인접한 하나의 단위 격자에 포함된 제3 지점을 추천 도착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도착지 결정 단계는,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장소들을 출발지 또는 도착지로 설정한 횟수에 따라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관심 지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심 지점 중 도착지와 인접한 제3 지점을 추천 도착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복수의 제1 단말기 및 복수의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들과 통신하는 통신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간 및 장소로 분류되는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저장하는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통신부를 통해 제1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면,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출발지 주변의 제1 지점을 추천 출발지로 결정하는 위치 추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는 길 찾기부를 더 포함하고, 위치 추천부는 산출된 경로를 이용하여, 출발지 주변에서의 경로 방향과 출발지의 승차 방향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지점을 제1 출발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추천부는,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2 지점의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독출하고, 제2 지점의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주변 영역 내의 제1 지점을 추천 출발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추천부는,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착지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독출하고, 도착지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주변 영역 내의 제3 지점을 추천 도착지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그리고 출발지의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결정된 출발지 주변의 제1 지점을 추천 출발지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도착지 정보를 입력받고, 제어부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와 출발지의 승차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된 출발지 주변의 제2 지점을 제1 출발지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와 통신하는 외부 서버를 통해, 다른 이동 단말기로 추천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고,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프로그램된 동작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출발지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외부 서버로부터 추천 출발지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로 추천 출발지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추천 출발지 정보는 출발지의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결정된 출발지 주변의 제1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용자는 편리하게 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용자는 도착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이용하여 도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택시 운전자는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이용자를 폭 넓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 예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 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관련된 이용자의 위치, 출발지, 도착지 및 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관련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관련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관련된 경로 추천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관련된 경로 추천 방법 및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관련된 출발지 근처의 지도 및 경로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의 제1 옵션에 따라 추천된 출발지 근처의 지도 및 경로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의 제2 옵션에 따라 추천된 출발지 근처의 지도 및 경로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의 제1 옵션에 따라 추천된 도착지 근처의 지도 및 경로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의 제2 옵션에 따라 추천된 도착지 근처의 지도 및 경로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은 실시 예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제1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관련된 이용자의 위치, 출발지, 도착지 및 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택시를 이용하려는 승객은, 현지 승객의 위치 즉, 호출지(C)에서 택시를 호출한다. 승객의 호출에 응답한 택시는 출발지(A)로 이동하고, 승객은 호출지(C)에서 출발지(A)로 이동한다. 이때, 출발지(A)와 호출지(C)는 동일한 장소일 수 있다.
승객은 출발지(A)에서 호출에 응답한 택시를 탑승한다. 택시는 출발지(A)에서 경로(T)를 따라 주행한다. 경로(T)는 출발지(A)에서 출발한 차량이 도착지(B)에 도착하기 위한 최단 거리 경로, 최단 시간 경로일 수 있다.
택시 운전자가 택시의 현재 위치에서 출발지(A)로 이동이 어렵거나, 경로(T)를 따라 도착지(B)까지의 운행이 힘들다고 판단하는 경우, 승객은 택시를 배정받는데 어려움이 있다.
실시 예는 택시를 배정받기 쉽도록, 출발지, 도착지 및 경로를 승객에게 추천하고, 택시와 승객간을 중개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도 2를 참조하여, 승객, 택시 및 서버를 포함하는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예에 관련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는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의 제1 단말기(100)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또한, 택시 운전자의 제2 단말기(200)도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제1 단말기(100)와 하나의 제2 단말기(200)를 도시하였으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제1 단말기(100) 및 복수의 제2 단말기(2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in-vehicle infotainment device),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과 함께 설명하면, 제1 단말기(100)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택시 호출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지(C)에서 승객은 제1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택시를 호출할 수 있다. 승객이 제1 단말기(100)로 출발지(A) 및 도착지(B)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제1 단말기(100)는 통신망을 통해 승객의 현재 위치(호출지, C), 출발지(A) 및 도착지(B)에 대한 정보(이하, 경로 정보)를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제2 단말기(200)로 승객의 경로 정보 및 택시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네비게이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택시 각각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또는 택시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로 승객의 경로 정보 및 택시 요청을 전달하고, 네비게이션 또는 이동 단말기 등은 출력부를 통해 이를 출력한다.
복수의 제2 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택시 요청에 대한 수락이 수신되면,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요청을 수락한 택시와 관련된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는 제1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망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틱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예에 관련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부(310), 데이터베이스(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먼저, 통신부(310)는 통신망을 통해,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와 통신하도록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여 제어부(33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제어부(330)에서 처리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320)는 경로 추천 서비스 및 중개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32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2),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 및 지도 데이터베이스(32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2)는 복수의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2)는 각 단말기의 전화 번호, 단말기 사용자의 이름, 성별, 주소, ID(identification), 패스워드(password) 및 E-mail 주소 등을 저장한다.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는 시간 및 장소로 분류되는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저장할 수 있다.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는 소정 장소들을 출발지 및 도착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요일별, 시간대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에는 각각의 요일과 시간대별로 소정 장소를 출발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 횟수와 각각의 택시 호출 요청이 수락되는 횟수를 이용하여 집계된 배차 이력이 저장된다.
또는,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에는 시간대를 평일과 주말, 아침, 점심, 저녁 및 밤 등으로 구분하여, 장소 X를 출발지로 설정하고 장소 Y를 도착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 횟수 및 각각의 택시 호출 요청이 수락되는 횟수를 이용하여 집계된 배차 이력이 저장된다.
또는,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에는 각각의 요일과 시간대별로, 장소 X를 출발지로 설정하고 장소 Y를 도착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 횟수 및 각각의 택시 호출 요청이 수락되는 횟수를 이용하여 집계된 배차 이력이 저장된다.
지도 데이터베이스(326)는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 위치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 지도 정보, 도로 정보 및 건물 정보 등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제어부(33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며, 중개 처리부(332), 위치 추천부(334) 및 길 찾기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중개 처리부(332)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2)를 참조하여, 제1 단말기(100) 또는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개 처리부(332)는 택시 호출을 요청한 고객의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하기 위한 수락 메시지, 중개 서비스에 따른 대금 결제를 요청하는 메시지 등을 생성하고, 요청을 수락한 택시 운전자의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 및 경로 정보 등을 생성한다.
중개 처리부(332)는 단말기들(100, 200) 간의 대화 메시지를 처리하고, 각각의 단말기로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개 처리부(332)는 택시 호출을 요청한 제1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중개 처리부(332)는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정보와 요청 수락에 대한 정보를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개 처리부(332)는 택시 호출 요청에 포함되는 경로 정보, 택시 호출 요청의 시간대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요일과 시간대별로 소정 장소를 출발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 횟수를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에 저장한다.
또한, 중개 처리부(332)는 상기 요청이 수락되었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택시 호출 요청이 수락되는 횟수를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에 집계한다. 즉, 중개 처리부(332)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를 중개하기 위한 정보를 처리하며, 이를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개 처리부(332)와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322)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통신하는 메시지 서버(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메시지 서버는 단말기들(100, 200) 간의 대화 메시지를 처리하고, 각각의 단말기로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서버는 택시 호출을 요청한 제1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서버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들(100, 200) 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택시 호출이 요청되면, 중개 처리부(332)는 메시지 서버로 제1 단말기(100)의 택시 호출 요청을 전달한다. 그러면, 메시지 서버는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택시 호출 요청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1 단말기(100)의 택시 호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외부의 메시지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택시 호출 요청을 제2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길 찾기부(336)는 경로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와 지도 데이터베이스(326)를 참조하여 출발지로부터 도착지에 이르는 경로들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길 찾기부(336)는 통신부(310)를 통해 외부의 교통 상황 서버와 통신하여, 출발지로부터 도착지에 이르는 경로들의 교통상황을 더 고려하여 최단 시간 경로와 예상 주행 시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위치 추천부(334)는 길 찾기부(336)에서 산출된 경로 및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를 이용하여, 출발지 및 도착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할 수 있다. 즉, 위치 추천부(334)는 통신부(310)를 통해, 추천된(또는 결정된) 위치를 출발지 또는 도착지로 설정하도록,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승객)에게 제안할 수 있다.
위치 추천부(334)는 출발지의 도로 상의 위치 및 경로를 고려하여, 현재 설정된 출발지 근처의 지점을 출발지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추천부(334)는 배차 이력을 고려하여, 현재 설정된 출발지 근처의 지점을 출발지로 추천할 수 있고, 현재 설정된 도착지 근처의 지점을 도착지로 추천할 수 있다.
이하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경로 추천 방법 및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실시 예에 관련된 경로 추천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1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에 대한 정보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S10)받는다. 사용자는 제1 단말기(100)로 출발지의 정보를 입력하고, 도착지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발지와 도착지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을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출발지의 주소, 출발지의 명칭, 도착지의 주소, 도착지의 명칭 등을 검색창에 입력한다.
다른 예로,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지도를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출발지의 위치 또는 도착지의 위치를 지도 상에서 터치 입력을 통해 지정한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이하, 경로 정보라 함)를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출발지의 정보 및 도착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를 추천(S20)한다.
출발지 추천 단계(S20)에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출발지 주변 영역에서의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고려하여, 출발지를 추천할 수 있다.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요일 및 해당 시간대의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 주변 100m 반경의 영역 내에 출발지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지점이 포함된다. 복수의 지점 각각은 좌표, 주소 또는 명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지점을 출발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비교한다.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교 결과에 따라 가장 수락 정도가 높은 지점을 출발지로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진행방향과 출발지에서의 승차 방향을 고려하여 출발지를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진행방향과 출발지에서의 승차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출발지 주변 영역 중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는 지점을 출발지로 추천한다.
또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교 결과에 따라 가장 수락 정도가 높은 복수의 지점 중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는 지점을 판단하여, 출발지로 추천할 수 있다. 또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출발지 주변 영역 중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는 복수의 지점 중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판단하여, 출발지로 추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출발지의 정보 및 도착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도착지를 추천(S30)한다.
도착지 추천 단계(S30)에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도착지 주변 영역에서의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고려하여, 도착지를 추천할 수 있다.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요일 및 해당 시간대의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착지 주변 100m 반경의 영역 내에 도착지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지점이 포함된다. 복수의 지점 각각은 좌표, 주소 또는 명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복수의 지점을 도착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비교한다.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교 결과에 따라 가장 수락 정도가 높은 지점을 도착지로 추천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출발지 추천 단계(S20)와 도착지 추천 단계(S30)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출발지 추천 단계(S20)와 도착지 추천 단계(S30)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추천 출발지의 정보와 추천 도착지의 정보를 함께 제1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관련된 경로 추천 방법 및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실시 예에 관련된 출발지 근처의 지도 및 경로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실시 예에 따라 추천된 출발지 또는 도착지 근처의 지도 및 경로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는 승객으로부터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S100, S110)받는다. 즉, 승객은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출발지(A1)와 도착지(B1)를 입력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출발지(A1)가 입력될 때,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출발지(A1)와 관련된 연관 출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단말기(100)는 도착지(B1)가 입력될 때에도 출발지(A1)가 입력될 때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경로 정보를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S112)한다. 경로 정보는 입력된 출발지(A1) 및 도착지(B1)에 대한 정보와, 제1 단말기(100)에 구비된 위치정보 모듈을 통해 결정된 제1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길 찾기부(336)는 입력된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경로들을 산출(S200)한다. 이때 산출된 경로들은 최단 거리 경로, 최단 시간 경로 및 최소 요금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체적으로, 상기의 경로들은 출발지 근처 및 도착지 근처에서 서로 유사한 경로로 산출된다.
다음으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위치 추천부(334)는 출발지 근처에서의 경로와 출발지(A1)의 위치를 이용하여, 출발지(A1)의 방향을 판단(S210)한다. 관련하여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함께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0단계에서, 길 찾기부(336)에 의해 출발지(A1) 주변의 경로(T11-T12-T13-T14)가 산출된다. T11경로는 출발지(A1)로부터 도보로 이동하는 경로이고, T12, T13 및 T14 경로는 택시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경로이다.
T12 경로는 도착지(B1) 방향으로 주행하기 위한 T14 경로와 반대 방향이다. 따라서,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출발지(A1)와 인접한 도로에서 택시에 승차하게 되면, 택시는 출발지(A1)에서 도착지(B1)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출발지를 A1으로 설정하는 경우, 택시는 T12-T13 경로를 따라 유턴한 후, T14 경로를 따라 주행해야 한다. T14 경로는 출발지(A1)에서 도착지(B1)로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이다.
즉, 위치 추천부(334)는 산출된 경로 상의 T11 경로를 따라 택시를 승차한 후의 주행방향(이하, A1지점에서의 승차방향)과 출발지(A1)에서 도착지(B1)로 향하는 방향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역방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출발지(A1)와 인접한 도로로 주행중인 택시들의 운전자는, 도로 상의 주행 방향과 도착지(B1)의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택시 호출 요청을 수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출발지(A1)의 건너편 도로로 주행중인 택시들의 운전자는, 출발지(A1)와 인접한 도로로 차를 이동시키는 것이 불편하므로, 택시 호출 요청을 수락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위치 추천부(334)는 승차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옵션으로 출발지를 결정(S212)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 지점에서의 승차방향이 출발지(A1)에서의 도착지(B1) 방향의 역방향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치 추천부(334)는 출발지(A1) 주변의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신규 출발지로 결정할 수 있다.
위치 추천부(334)는 각각의 지점에서의 승차방향과 각각의 지점에서 도착지(B1)로 향하는 방향이 대체적으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지점에서의 승차방향과 각각의 지점에서 도착지(B1)로 향하는 방향이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후보 지점들 중 기존 출발지(A1)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일 지점(A2)을 신규 출발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길 찾기부(336)는 제1 옵션 출발지(A2)로부터 도착지(B1)에 이르는 경로(T21, T22)를 재산출할 수 있다. 길 찾기부(336)에 의해 기존 출발지(A1)에서 제1 옵션 출발지(A2)를 거쳐 도착지(B1)에 이르는 새로운 경로가 산출된다. T21 경로는 기존 출발지(A1)로부터 제1 옵션 출발지(A2)까지 도보로 이동하는 경로이고, T22 경로는 택시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경로이다.
제1 옵션 출발지(A2)의 승차방향은 제1 옵션 출발지(A2)로부터 도착지(B1)로 향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제1 옵션 출발지(A2)와 인접한 도로로 주행중인 택시들의 운전자는, 도로 상의 주행 방향과 도착지의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택시 호출 요청을 수락할 가능성이 기존 출발지(A1)가 출발지로 설정되었을 때보다 더 높다.
위치 추천부(334)는 제1 옵션 출발지(A2)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S214)한다. 일례로, 제1 옵션 출발지(A2)에 대한 정보는 제1 옵션 출발지(A2)의 좌표 정보, 기존 출발지(A1)로부터 제1 옵션 출발지(A2)로 이동하는 경로 정보 및 제1 옵션 출발지(A2)에서부터 도착지(B1)까지의 경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제1 옵션 출발지(A2)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S210단계에서, 출발지의 승차방향과 도착지로 향하는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위치 추천부(334)는 기존 출발지(A1)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출발지의 추천을 선택(S120)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출발지 추가 추천을 요청(S122)한다.
위치 추천부(334)는 출발지 추가 추천 요청에 따라, 출발지 주변의 그리드 영역을 판단(S220)한다. 그리드(GR)는 지도를 소정 넓이 및 형태로 구분하는 단위 영역일 수 있다. 그리드(GR)는 삼각형,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및 원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복수의 그리드(GR)가 서로 접하되 중첩하지 않게 배치되어 지도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그리드(GR)는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그리드(GR)는 정육각형 형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위치 추천부(334)는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를 참조하여, 출발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그리드(PA)에서의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복수의 그리드(PA)는 출발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리드와 이를 여러 겹으로 둘러싸는 그리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겹은, 출발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리드를 둘러싸는 6개의 그리드들을 포함하고, 제2 겹은 제1 겹 그리드를 둘러싸는 12개의 그리드들을 포함하며, 제3 겹은 제2 겹 그리드를 둘러싸는 18개의 그리드들을 포함한다.
위치 추천부(334)는 출발지 추가 추천 요청이 수신된 때의 요일과 시간대에, 복수의 그리드(PA) 각각을 출발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요일 오후 7시 30분에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출발지 추가 추천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위치 추천부(334)는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를 참조하여, 금요일 오후 7시와 8시 사이의 시간대에 복수의 그리드(PA) 각각을 출발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추천부(334)는 산출된 수락 정도를 ‘낮음’, ‘보통’ 및 ‘높음’의 3개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9에는 제1 옵션 출발지(A2)를 포함하는 복수의 그리드(PA)가 도시된다. 그리고, 복수의 그리드(PA) 각각은 3개의 구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수락 정도로 구분된다. ‘높음’구간에 속하는 그리드(GR_1)는 제1 색으로 도시되고, ‘보통’ 구간에 속하는 그리드(GR_2)는 제2 색으로 도시된다.
위치 추천부(334)는 수락 정도를 이용하여 출발지 주변의 복수의 그리드(PA)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옵션 출발지로 결정(S22)한다. 예를 들어, 위치 추천부(334)는 제1 옵션 출발지(A2) 주변의 ‘높음’구간에 속하는 그리드 중 제1 옵션 출발지(A2)와 가장 가까운 하나를 제2 옵션 출발지로 결정한다. 또는, 위치 추천부(334)는 제1 옵션 출발지(A2) 주변의 ‘높음’구간에 속하는 그리드 중 가장 높은 수락 정도를 가지는 하나의 그리드를 제2 옵션 출발지로 결정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5개의 그리드들이 ‘높음’구간에 속하며, 위치 추천부(334)는 5개의 그리드 중 A3 지점이 포함된 그리드(GR_1)를 제2 옵션 출발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길 찾기부(336)는 제2 옵션 출발지(A3)로부터 도착지(B1)에 이르는 경로를 재산출할 수 있다. 길 찾기부(336)에 의해 제1 옵션 출발지(A2)에서 제2 옵션 출발지(A3)를 거쳐 도착지(B1)에 이르는 새로운 경로가 산출된다. T31 경로는 제1 옵션 출발지(A2)로부터 제2 옵션 출발지(A3)까지 도보로 이동하는 경로이다.
위치 추천부(334)는 제2 옵션 출발지(A3)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S224)한다. 일례로, 제2 옵션 출발지(A3)에 대한 정보는 제2 옵션 출발지(A3)의 좌표 정보, 제1 옵션 출발지(A2)로부터 제2 옵션 출발지(A3)로 이동하는 경로 정보 및 제2 옵션 출발지(A3)에서부터 도착지(B1)까지의 경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제2 옵션 출발지(A3)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도착지의 추천을 선택(S130)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도착지 추천을 요청(S132)한다.
위치 추천부(334)는 도착지 추가 추천 요청에 따라, 도착지 주변의 영역을 판단(S230)하고, 도착지를 결정(S232)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 및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양태로, 위치 추천부(334)는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를 참조하여, 도착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그리드(PA)에서의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그리드(PA)는 도착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리드와 이를 여러 겹으로 둘러싸는 그리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겹은, 도착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리드를 둘러싸는 6개의 그리드들을 포함하고, 제2 겹은 제1 겹 그리드를 둘러싸는 12개의 그리드들을 포함하며, 제3 겹은 제2 겹 그리드를 둘러싸는 18개의 그리드들을 포함한다.
위치 추천부(334)는 도착지 추천 요청이 수신된 때의 요일과 시간대에, 복수의 그리드(PA) 각각을 도착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요일 오후 7시 30분에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도착지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위치 추천부(334)는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를 참조하여, 금요일 오후 7시와 8시 사이의 시간대에 복수의 그리드(PA) 각각을 도착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추천부(334)는 산출된 수락 정도를 ‘낮음’, ‘보통’ 및 ‘높음’의 3개의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0에는 도착지(B1)를 포함하는 복수의 그리드(PA)가 도시된다. 그리고, 복수의 그리드(PA) 각각은 3개의 구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수락 정도로 구분된다. ‘높음’ 구간에 속하는 그리드(GR_1)는 제1 색으로 도시되고, ‘보통’ 구간에 속하는 그리드(GR_2)는 제2 색으로 도시된다.
위치 추천부(334)는 수락 정도를 이용하여 도착지(B1) 주변의 복수의 그리드(PA) 중 적어도 하나를 도착지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위치 추천부(334)는 도착지(B1) 주변의 ‘높음’구간에 속하는 그리드 중 도착지(B1)와 가장 가까운 하나를 도착지로 결정한다. 또는, 위치 추천부(334)는 도착지(B1) 주변의 ‘높음’구간에 속하는 그리드 중 가장 높은 수락 정도를 가지는 하나의 그리드를 도착지로 결정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2개의 그리드들이 ‘높음’구간에 속하며, 위치 추천부(334)는 2개의 그리드 중 B2가 포함된 그리드(GR_1)를 도착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길 찾기부(336)는 제2 옵션 출발지(A3)로부터 신규 도착지(B2)를 거쳐 기존 도착지(B1)에 이르는 경로를 재산출할 수 있다. 길 찾기부(336)에 의해 신규 도착지(B2)에서 기존 도착지(B1)에 이르는 경로가 산출된다.
제2 양태로, 위치 추천부(334)는 도착지를 기준으로 소정 반경을 가지는 영역에 포함되는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을 도착지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위치 추천부(334)는 도착지와 인접한 관심 지점들 중 하나를 도착지로 결정할 수 있다.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에 저장된 소정 장소 또는 건물 등이 출발지 또는 도착지로 설정되는 횟수에 따라, 소장 장소 또는 건물 등이 관심 지점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위치 추천부(334)는 제1 단말기들의 사용자들이 경로 정보 전송 시에 설정한 도착지 또는 출발지의 명칭이나 주소를 이용하여 소정 장소 또는 건물 등이 출발지 또는 도착지로 설정되는 횟수를 누적하여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추천부(334)는 제1 단말기들의 사용자들이 택시 호출 요청 시에 설정한 도착지 또는 출발지의 명칭이나 주소를 이용하여 소정 장소 또는 건물 등이 출발지 또는 도착지로 설정되는 횟수를 누적하여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324)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위치 추천부(334)는 도착지를 기준으로 소정 반경을 가지는 영역에 포함되는 장소가 출발지 또는 도착지로 설정되는 횟수를 이용하여, 관심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이 도착지(B1)이고, 반경이 R인 영역(PR)내에 2개의 관심 지점(PI_1, PI_2)이 포함된다. 그러면, 위치 추천부(334)는 2개의 관심 지점(PI_1, PI_2) 중 하나를 도착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추천부(334)는 복수의 관심 지점의 도로 주행 방향이 기존 도착지(B1)의 하차 방향과 동일한지를 더 고려하여 도착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추천부(334)는 하나의 관심 지점 주변의 도로 주행 방향이 복수인 경우, 기존 도착지의 하차 방향과 동일한 주행 방향에 대응하는 지점을 도착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관심 지점(PI_1, PI_2) 중 제2 관심 지점(PI_2)의 도로 주행 방향들은 도착지(B1)에서의 하차방향과 일치하지 않는다. 제1 관심 지점(PI_1)의 도로 주행 방향들 중 B2에서의 도로 주행방향은 도착지(B1)에서의 하차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위치 추천부(334)는 제1 관심 지점(PI_1)의 일 지점(B2)을 도착지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위치 추천부(334)는 복수의 관심 지점 중 최단 거리로 위치한 관심 지점을 도착지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위치 추천부(334)는 도착지(B2)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S234)한다. 일례로, 신규 도착지(B2)에 대한 정보는 신규 도착지(B2)의 좌표 정보, 신규 도착지(B2)로부터 기존 도착지(B1)로 이동하는 경로 정보 및 제2 옵션 출발지(A3)에서부터 신규 도착지(B2)까지의 경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신규 도착지(B2)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1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제 옵션을 변경(S140)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현금 결제 방식 또는 카드 결제 방식 등을 선택하거나, 요청 수락 시 택시 요금 이외에 추가적으로 택시 운전자에게 지급할 금액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기(100)는 변경된 결제 옵션으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택시를 요청(S142)한다.
그러면,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중개 처리부(332)는 결정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 및 결제 옵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택시 요청 메시지를 생성(S240)한다. 그리고, 중개 처리부(332)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2)에 저장된 제2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택시 요청 메시지를 복수의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복수의 제2 단말기(200)는 택시 요청 메시지를 수락하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요청 수락 메시지를 생성(S300)하고, 이를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전송(S302)한다.
중개 처리부(332)는 요청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택시 중개 완료 메시지를 생성(S250)하고, 이를 해당 제1 단말기(100)로 전송(S252)한다. 택시 중개 완료 메시지는 결정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와 결제 옵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한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택시 중개 완료 메시지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S150)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택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방법은, 승차 방향 및 배차 이력 등을 이용하여 출발지와 도착지를 추천함으로써, 택시 운전자와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간의 운송 계약을 중개한다.
한편,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와 관련된 추가 추천 선택 단계들(S120, S122)을 생략하고, 출발지 추천 단계들(S200, S210, S212, S220, S222)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옵션으로 출발지를 결정하는 단계(S200~S212)와 제2 옵션을 출발지를 결정하는 단계(S220, S222)의 순서를 변경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와 관련된 도착지 추천 선택 단계들(S130, S132)을 생략하고, 출발지 추천 단계(S20) 이후에 도착지 추천 단계(S230, S232)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제1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8은 실시 예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제1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택시 호출 화면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발지 정보(1110), 도착지 정보(1120), 결제 옵션 정보(113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발지 객체(1142), 도착지 객체(1144) 및 경로(1146)가 표시된 지도(1140)와 결제 옵션 변경 객체(1132), 호출 요청 객체(115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출발지 정보가 표시된 영역(1110)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도 13과 같은 출발지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기존 출발지와 제1 옵션 출발지에 대한 정보(1210)가 상세히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기존 출발지 객체(1252), 제1 옵션 출발지 객체(1254) 및 경로(T21, T22)가 표시된 지도(1240)와, 출발지 변경 확인 객체(1220), 출발지 변경 취소 객체(1230), 출발지 추천 객체(123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출발지 추천 객체(1232)가 터치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도 13과 같은 출발지 추천 화면을 표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제1 옵션 출발지와 제2 옵션 출발지에 대한 정보(1310)가 상세히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제1 옵션 출발지 객체(1342), 제2 옵션 출발지 객체(1344), 수락 정도가 높은 그리드들(GR_1) 및 제1 옵션 출발지로부터 제2 옵션 출발지까지의 경로(T31)가 표시된 지도(1340)와, 출발지 변경 확인 객체(1320), 출발지 변경 취소 객체(1330)가 표시될 수 있다.
택시 호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도착지 정보가 표시된 영역(1120)이 터치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도 15 또는 도 16과 같은 도착지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기존 도착지와 신규 도착지에 대한 정보(1410)가 상세히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기존 도착지 객체(1442), 신규 도착지 객체(1444), 수락 정도가 높은 그리드들(GR_3) 및 신규 도착지로부터 기존 도착지까지의 경로(T41)가 표시된 지도(1440)와, 도착지 변경 확인 객체(1420), 도착지 변경 취소 객체(143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기존 도착지와 신규 도착지에 대한 정보(1510)가 상세히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기존 도착지 객체(1542), 신규 도착지 객체(1544), 관심 지점(PI_1, PI_2) 및 신규 도착지로부터 기존 도착지까지의 경로(T51)가 표시된 지도(1540)와, 도착지 변경 확인 객체(1520), 도착지 변경 취소 객체(1530)가 표시될 수 있다.
출발지와 도착지의 변경이 완료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택시 호출 화면을 재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변경된 출발지 정보(1610), 변경된 도착지 정보(1620), 결제 옵션 정보(163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변경된 출발지 객체(1642), 변경된 도착지 객체(1644) 및 변경된 경로(1646)가 표시된 지도(1640)와 결제 옵션 변경 객체(1632), 호출 요청 객체(1650)가 표시될 수 있다.
택시 호출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결제 옵션 변경 객체(1632)가 터치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도 18과 같은 결제 옵션 변경 화면(1710)을 표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택시의 차종을 표시하는 영역(1720)과 택시의 차종에 대응하는 객체들(1722, 1724, 1726)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객체들(1722, 1724, 172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호출할 택시의 차종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에는 결제 방식을 표시하는 영역(1730)과 카드 결제 가능 택시만을 호출하는 객체(1732)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요청 수락 시 택시 요금 이외에 추가적으로 택시 운전자에게 지급할 금액을 표시하는 영역(1740)과 금액을 선택하는 객체(1742)가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제1 단말기(100)에 출발지 및 도착지를 추천하여, 택시 운전자와 제1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운송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가 편리하게 운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도착지까지 최적의 경로를 이용하여 도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택시 운전자가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이용자를 폭 넓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제1 단말기 200: 제2 단말기
300: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310: 통신부
320: 데이터베이스 330: 제어부

Claims (18)

  1. 제1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발지 정보 및 상기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출발지의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추천 출발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출발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단위 격자로 상기 주변 영역이 구분될 때, 각각의 단위 격자에 포함되는 지점들을 출발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따른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단위 격자에서의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단위 격자에서의 수락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격자 중 상기 수락 정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 중 상기 출발지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에 포함된 제1 지점을 제1 출발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추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산출된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출발지 주변에서의 경로 방향과 상기 출발지의 승차 방향을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출발지 주변의 제2 지점을 제2 출발지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을 상기 제1 출발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 중 상기 제2 출발지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에 포함된 제1 지점을 상기 제1 출발지로 결정하는 단계인,
    경로 추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점을 제2 출발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지 주변의 복수의 지점 각각의 승차 방향과 상기 복수의 지점 각각에서 상기 도착지로 향하는 방향이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중 상기 출발지와 최단 거리를 가지는 상기 제2 지점을 상기 제2 출발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추천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지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추천 도착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경로 추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도착지 결정 단계는,
    복수의 단위 격자로 상기 주변 영역이 구분될 때, 각각의 단위 격자에 포함되는 지점들을 도착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따른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단위 격자에서의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각각의 단위 격자에서의 수락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격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추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도착지 결정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 중 상기 도착지와 인접한 하나의 단위 격자에 포함된 제3 지점을 상기 추천 도착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추천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도착지 결정 단계는,
    상기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장소들을 출발지 또는 도착지로 설정한 횟수에 따라 상기 주변 영역에 포함되는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관심 지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심 지점 중 상기 도착지와 인접한 제3 지점을 상기 추천 도착지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로 추천 방법.
  11. 복수의 제1 단말기 및 복수의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들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저장하는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 및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출발지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독출하고, 복수의 단위 격자로 상기 주변 영역이 구분될 때 각각의 단위 격자에 포함되는 지점들을 출발지로 설정한 택시 호출 요청에 따른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단위 격자에서의 택시 호출 요청에 대한 수락 정도를 산출하며, 상기 각각의 단위 격자에서의 수락 정도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격자 중 상기 수락 정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 중 상기 출발지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에 포함된 제1 지점을 추천 출발지로 결정하는 위치 추천부
    를 포함하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지 정보 및 상기 도착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도착지까지의 경로를 산출하는 길 찾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추천부는 상기 산출된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출발지 주변에서의 경로 방향과 상기 출발지의 승차 방향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지점을 제1 출발지로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 중 상기 제1 출발지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단위 격자에 포함된 상기 제1 지점을 상기 추천 출발지로 결정하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13. 삭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천부는 상기 배차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도착지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독출하고, 상기 도착지 주변 영역에서의 배차 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영역 내의 제3 지점을 추천 도착지로 결정하는,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50135923A 2015-09-24 2015-09-24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KR10185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23A KR101857783B1 (ko) 2015-09-24 2015-09-24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23A KR101857783B1 (ko) 2015-09-24 2015-09-24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570A KR20170036570A (ko) 2017-04-03
KR101857783B1 true KR101857783B1 (ko) 2018-05-14

Family

ID=5858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923A KR101857783B1 (ko) 2015-09-24 2015-09-24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8886B (zh) * 2017-05-11 2019-05-28 厦门大学 一种基于轨迹数据的出租车巡游路径推荐方法和系统
US10401858B2 (en) * 2017-08-29 2019-09-03 Waymo Llc Arranging passenger pickups for autonomous vehicles
WO2019061129A1 (en) * 2017-09-28 2019-04-04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ROGRAMMING STRATEGY ASSOCIATED WITH DESIGNATED DRIVING SERVICES
KR102040566B1 (ko) 2018-01-04 2019-11-06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명확한 픽업 장소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46366B1 (ko) * 2018-04-11 2019-11-19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등록 및 위치 확인 시스템
KR102125472B1 (ko) 2018-06-20 2020-06-22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공차시간 감소를 위한 추천경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6267B1 (ko) 2018-06-20 2020-08-20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대기시간 감소를 위한 차량과 승객 매칭 시스템
CN111861628A (zh) * 2020-04-30 2020-10-30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服务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7191A (ja) * 2002-04-19 2003-11-07 Fujitsu Ten Ltd タクシー配車受付方法
JP2005018392A (ja) * 2003-06-26 2005-01-20 Casio Comput Co Ltd 目的地案内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11842A (ja) * 2007-11-12 2008-05-15 Navitime Japan Co Ltd 乗車位置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乗車位置案内端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7191A (ja) * 2002-04-19 2003-11-07 Fujitsu Ten Ltd タクシー配車受付方法
JP2005018392A (ja) * 2003-06-26 2005-01-20 Casio Comput Co Ltd 目的地案内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11842A (ja) * 2007-11-12 2008-05-15 Navitime Japan Co Ltd 乗車位置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乗車位置案内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570A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783B1 (ko) 경로 추천 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US11716408B2 (en) Navigation using proximity information
US10638264B1 (en) Geohash-related location predictions
US11946756B2 (en) Determining matches using dynamic provider eligibility model
US11714414B2 (en) Autonomous vehicle pickup and drop-off management
US10375526B2 (en)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among devices
US20200034943A1 (en) Travel coordination system implementing pick-up location optimization
US20190051174A1 (en) Travel path and location predictions
US20170094479A1 (en) Location based assisting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s
EP3446070B1 (en) Map downloading based on user's future location
US20220044345A1 (en) Flexible api framework
KR101569021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11415212A (zh) 订单信息处理方法、客户端及终端设备
CN110231048B (zh) 场所信息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19106150A (ja) 車載装置、情報提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