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869B1 -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6869B1 KR101856869B1 KR1020160146392A KR20160146392A KR101856869B1 KR 101856869 B1 KR101856869 B1 KR 101856869B1 KR 1020160146392 A KR1020160146392 A KR 1020160146392A KR 20160146392 A KR20160146392 A KR 20160146392A KR 101856869 B1 KR101856869 B1 KR 1018568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unit
- pressure
- measuring
- b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61M16/0078—Breathing ba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66—Nasal cannulas or tub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61M16/201—Controlled valves
- A61M16/202—Controlled valves electrically actua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공기주머니; 상기 공기주머니의 후단에 연결되는 유량양압관체; 상기 유량양압관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주머니에 의해 발산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유량양압관체의 후단에 연결되며 환자의 호흡기로 주입되는 기관지부 공기의 절대압과 차압으로 측정되는 공기량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후단에 위치하여 환자에게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부의 내측에서 상기 공기주머니에 의해 발산되는 공기의 압력을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을 이용 격막전후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부; 및 상기 차압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압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기관지 공기의 절대압 또는 측정한 차압을 이용 측정되는 공기유량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기준치를 넘을 경우에는 차단부가 작동하여 공기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발 호흡이 곤란한 환자의 호흡 정지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는 기능은 물론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제한된 양을 초과하거나 제한된 기도압을 초과하거나 할 때 즉시 이를 단속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대하여 약제에 의한 호흡 중추 마비, 전기쇼크, 두개내압항진, 뇌외상, 경부척수 장애, 기도 폐쇄, 고탄산 가스혈증 환자에 대한 산소 투여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호흡정지가 생긴다.
이 경우, 산소부족에 따른 뇌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가급적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데 이때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산소가 부족한 체내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일인데 이때에 사용되는 것이 바로 백밸브마스크(Bag Valve Mask 혹 Manual Resucitator)이다.
백밸브마스크은 구급임상용으로 사용되는 비교적 간단한 기구를 지닌 수동식인공호흡요법 기구이고 백에 부속 밸브 등을 부속시킨 것 등 여러 가지의 것이 있다.
구급소생백에 필요시 에는 O2 flow를 접속시켜, 산소흡입을 실시하는데 이러한 조치는 조직 특히 심장과 뇌의 기능은 산소결핍으로 인해 단시간 내에 중대한 장애를 입게 되므로 사고 후 신속히 실시된다.
또 산소부족으로 인해 생체에 불이익한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들을 예방할 목적으로 산소흡입이 실시된다.
허혈성질환, 쇼크 등으로 혈류량의 감소가 있을 경우와 폐기능 부전상태, 고산 등에서 저산소혈증 등이 있을 경우 적용된다. 동맥혈산소포화도 85%이하, 동맥혈산소분압50mmHg이하인 경우는 산소요법의 절대적 적응증으로 되어 있다.
구급소생백의 사용 방법은, 환자의 입 크기에 맞는 적당한 마스크를 밸브에 연결을 하고, 환자에게 필요한 공기량(산소량)에 맞게 양과 속도를 혹은 압력과 속도를 조절하여 공기주머니를 쥐어짜게 된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사용되는 구급소생백의 흡입되는 공기의 양(혹 압력)과 그 속도는 사라져가는 생명을 구명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흡입속도는 주변의 의료장비 등의 생체신호의 주기를 안내받을 수 있지만 흡입되는 산소의 양(혹은 압력)은 얼마의 양(혹 압력)을 공급해야하는지 알 수가 없다.
그리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46850은 환자의 크기(몸무게)에 따른 백의 압박부위를 표시하여 해당되는 부위를 압박하여 공기량을 조절주입 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로 중요한 사항인 실제 주입된 공기의 양에 대해서는 물론 흡입되는 공기의 기도압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42830호에는 「심폐소생술용 타이머」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공기 공급 시간 및/또는 흉부 압박을 위한 권장된 페이스에 맞는 미리 정해진 페이스로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타이밍 인디케이터를 따라 소생용 백의 조작 페이스를 조절하고 적절한 수의 호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호흡에 가장 적합한 급기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강제 공급되고 있는 공기의 흐름량(혹은 압력)은 정확하기 알 수 없으므로 시술자가 소생용 백을 누르는 힘에 따라 공급량의 변화될 우려가 있어 정확하고 균등한 공기 공급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5-7017258은 환자에 공기 공급시에 환자에게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물론 환자가 토해내는 이물질로 인해 측정장치가 오염되어 위생이 불결해지게 되고,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대한 것이 있었다.
또한, 미국특허 출원공개공보 US2012/0302910호(2012.11.29.)는 수동식 인공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이용하는 구조자가 환자의 기도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도록 기도 확보된 수동식 인공호흡장치에서 환자에 유입 배출되는 공기 및 가스의 흐름을 알 수 있는 압력센서와 유량센서를 구비한 장치에 환기의 질을 좌우하는 센서들의 각종 변인들을 취득하여 구조자 및 구조기관 및 의료기관 등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 수동식 인공호흡기의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동식 인공호흡기에 있어서는 유량센서와 압력센서를 사용하여 계측된 값의 수치를 모니터링하여 알맞게 의사나 인명 구조요원이 환자의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비숙련 의사, 간호원 및 소방요원과 같은 비숙련 사용자는 교육을 통해서만 숙련되어 실제 상황에 부딪쳐 정확하게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교육과 훈련을 받지 못한 사람이 예측 혹은 예고된 바 없는 위급 구명 상황에 처하여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사용해야만 할 상황에 직면했을 때 호흡량과 압력의 단순 모니터링만으로는 수동식 인공호흡기의 사용에 문제점을 노출하게 된다, 적절한 공기량의 초과하여 주입하거나 과도한 압력으로 공기량을 주입할 때 질식 혹은 폐기관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더욱 위급한 상황의 결과에 직면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기의 유량과 유압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마련함은 물론 주입되는 공기의 양과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적정한 공기 주입과 유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공기를 주입시에 과도한 유량이 유입되거나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공기주머니; 상기 공기주머니의 후단에 연결되는 유량양압관체; 상기 유량양압관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주머니에 의해 발산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유량양압관체의 후단에 연결되며 환자의 호흡기로 주입되는 공기의 절대압과 공기유량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후단에 위치하여 환자에게 착용되는 착용부; 및 상기 측정부와 차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량 또는 공기압을 수신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기관지 절대압 또는 공기유량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기준치를 넘을 경우에는 차단부가 작동하여 공기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을 덮는 마스크, 기관지 삽관튜브 또는 코로 삽입되는 비공삽입튜브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실제호흡수와 실제호흡량 표시하는 액정부로 구성된 표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량양압관체는, 상기 공기주머니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가 상기 제1절곡부 또는 제2절곡부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의 유량과 유압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마련함으로써 주입되는 공기의 양과 압력이 실시간으로 측정되고 측정된 공기량이 수동식 인공호흡기 액정부에 표시되어 용이하게 파악되므로 적정한 공기 주입 및 압력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감지하고 차단부를 통해 사전에 유량과 유압을 제어 단속함으로써 구명활동을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구명활동의 질을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의 작동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적인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부의 작동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부의 센서연결을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출장치의 표시사항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액정부의 표시사항의 단계별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의 작동의 일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적인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부의 작동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부의 센서연결을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출장치의 표시사항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액정부의 표시사항의 단계별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의 구체적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기가 주입되는 방향을 전단, 주입된 공기가 환자의 호흡기로 배출되는 방향을 후단이라 정하여 설명을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통해 환자의 호흡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과 압력은 위급한 생명을 구명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는 크게 공기주머니(100), 유량양압관체(200), 차단부(300), 측정부(400), 착용부(500) 및 표출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주머니(100)는 인위적으로 공기를 호흡기 안으로 불어넣어 주는 것으로, 재질은 복원력이 좋고 호흡기를 통해 냄새가 유입되지 않도록 무향으로 제조되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공기주머니(100)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머니(100)의 펌핑을 통해 상기 공기주머니(100)의 전단에 형성된 입구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공기주머니(100)의 후단에 형성된 출구를 통해 상기 유량양압관체(200)로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공기주머니(100)의 후단으로 연결되는 상기 유량양압관체(200)는 관 형상으로 내측으로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상기 공기주머니(100)에서 발산되는 공기가 환자의 호흡기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300)는 상기 유량양압관체(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주머니(100)에 의해 발산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300)는 차단볼(310), 지지부(320) 및 상승막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320)는 차단부(3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차단볼(3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320)를 통해 상기 차단볼(310)이 상기 차단부(300)의 내측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볼(31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승막대(330)가 후술되는 중앙처리부(620)의 신호를 받아 상기 유량양압관체(200)의 중심을 향해 상승되고 상기 상승막대(330)에 결합된 차단볼(310)이 상기 유량양압관체(200)의 내부를 막아 상기 공기주머니(100)에서 발산되는 공기가 상기 착용부(500)를 향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절곡부에서 상기 공기펌프 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방향으로 일정각도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단바디(350), 원형의 차단볼(310), 상기 차단볼의 일단에서 막대형상으로 연장되는 상승막대(330), 상기 차단바디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2절곡부 방향인 타단은 상기 차단볼을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절곡부 반대방향인 일단은 차단바디로부터 수직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320), 상기 지지부 중 타단의 중앙부분에서 일단까지 직선의 형태로 관통되어 상기상승막대가 통과되는 상승막대통과공(321), 상기 지지부 일단에서 제2절곡부 반대방향으로 일정간격 빈 공간으로 마련되는 하부공간(35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절대압 또는 차압으로 특정되는 공기유량이 기준치를 넘을 경우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차단부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차단부를 구성하는 차단볼이 제2절곡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절곡부를 차단하여 상기 유량양압관체를 따라 이동된 공기가 상기 차압부를 통과하기 직전에 차단될 수 있다.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절곡부에서 상기 공기펌프 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방향으로 일정각도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단바디(350), 원형의 차단볼(310), 상기 차단볼의 일단에서 막대형상으로 연장되는 상승막대(330), 상기 차단바디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2절곡부 방향인 타단은 상기 차단볼을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절곡부 반대방향인 일단은 차단바디로부터 수직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320), 상기 지지부 중 타단의 중앙부분에서 일단까지 직선의 형태로 관통되어 상기상승막대가 통과되는 상승막대통과공(321), 상기 지지부 일단에서 제2절곡부 반대방향으로 일정간격 빈 공간으로 마련되는 하부공간(35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절대압 또는 차압으로 특정되는 공기유량이 기준치를 넘을 경우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차단부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차단부를 구성하는 차단볼이 제2절곡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절곡부를 차단하여 상기 유량양압관체를 따라 이동된 공기가 상기 차압부를 통과하기 직전에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400)는 주입되는 공기양 또는 공기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부분이다. 도 1은 측정부의 일예로서, 측정부(400)는 상기 유량양압관체(200)의 후단에 연결되며 환자의 호흡기로 주입되는 기관지 내압과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측정되는 압의 차이로 측정된 공기유량과 공기압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부(400)는 상기 측정부(400)의 내측에서 상기 공기주머니(100)에 의해 발산되는 공기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부(410) 및 상기 차압부(41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압부(4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를 측정하는 센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압부(410)는 상부챔버(411), 하부챔버(413) 및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41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량양압관체(200)를 통과하여 호흡기로 주입되는 공기압의 압차를 측정하여 호흡유량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절곡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챔버(411) 상기 상부챔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챔버(413)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를 구획하는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415) 상기 상부챔버의 내부에 상기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 상측에 구비되는 걸림내턱(41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절곡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챔버(411) 상기 상부챔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챔버(413)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를 구획하는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415) 상기 상부챔버의 내부에 상기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 상측에 구비되는 걸림내턱(417)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420)는 제1센서(421) 및 제2센서(4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센서(421)는 공기가 상기 차압부(410)를 통과하게 될 때 상기 상부챔버(411)와 하부챔버(413)를 동시에 측정하여 압차를 이용하여 공기의 양을 측정하게 되고 상기 제2센서(423)는 하부챔버(413)를 측정하여 최종으로 환자에게 주입되는 기관지부에 대당하는 기관지부의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도 1의 측정부(400)는 일예이며, 측정부(400)는 공기유량을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터빈방식과 같은 유량감지수단(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유량감지수단의 내부로 프로펠러를 형성하고 환자의 호흡기로 공기가 주입될 때 공기가 상기 측정부(400)를 통과하면서 상기 프로펠러가 회전하게 되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중앙처리부에 전송한 후 공기 공급량을 연산하여 액정부(6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표출장치(600)는 필요시에는 설치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측정부(400)와 차단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측정부(400)에 의해 측정된 공기량 또는 공기압을 수신하는 중앙처리부(620)와 상기 중앙처리부(62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실제호흡수(공기주머니의 펌핑횟수) 및 실제호흡량(절대압)을 표시하는 액정부(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표출장치(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을 연장하여 외측으로 이격시켜 구성하거나 유량양압관체(200)의 외측으로 일체형으로 부착시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양압관체(200)의 전단에서 후단을 통해 전달된 공기는 상기 상부챔버(411)로 진입하게 되고 상기 상부챔버(411)와 하부챔버(413)를 구획하는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415)을 후단으로 밀게 된다.
이때, 상기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415)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박막 필픔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415)을 후단으로 미는 공기로 인해 도 5a에 도시된 형상으로 상기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415)이 변형된다.
또한, 상기 차압부(410)의 구조는 상기한 설명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체의 압력을 차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앙처리부(620)는 상기 측정부(400)에 의해 측정된 절대압 또는 차압으로 측정되는 공기유량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기준치를 넘을 경우에는 상기 차단부(300)를 작동하여 상기 유량양압관체(200)의 내측공간이 서로 연통되지 못하도록 공간을 차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처리부(620)는 상기 측정부(400)에 의해 측정된 절대압 또는 차압으로 특정되는 공기유량이 기준치를 넘을 경우 상기 차단부(300)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차단부(300)를 구성하는 차단볼(310)이 상기 유량양압관체(200)의 중심을 향해 상승하여 상기 공기주머니(100)를 통해 발산되는 공기를 상기 착용부(500) 방향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상기 유량양압관체(200)의 내측공간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처리부(620)에 의해 상기 차단부(300)가 작동하여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착용부(500)는, 상기 측정부(400)의 후단에 위치하여 환자에게 착용되는 부분으로, 입을 덮는 마스크(510) 또는 기관지 삽관튜브 또는 코로 삽입되는 비공삽입튜브(520)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환자의 입 주변을 밀착시켜 구강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마스크(510)를 상기 측정부(400)의 후단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구강을 통하여 공기의 주입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관지 삽관튜브 또는 코로 삽입되는 비공삽입튜브(520)를 상기 측정부(400)의 후단에 결합하여 환자의 구강 및 비강을 통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량양압관체(200)는 제1절곡부(210) 및 제2절곡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절곡부(210)는 공기주머니(100)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절곡부(220)는 상기 제1절곡부(210)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300)는 상기 제1절곡부(210) 또는 제2절곡부(220)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절곡부(210)에 차단부(300)가 위치하게 될 경우 상기 공기주머니(100)에서 발산되는 공기를 곧바로 차단하게 되고 상기 제2절곡부(220)에 차단부(300)가 위치하게 될 경우(도 4 참조) 상기 유량양압관체(200)를 따라 이동한 공기가 상기 차압부(410)를 통과하기 직전에 상기 차단부(300)에 의해 차단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챔버(411)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챔버(411)와 하부챔버(413)를 구획하는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415)의 상측으로 걸림내턱(417)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상기 차압부(41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동하게될 때 상기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415)이 탄성변형되어 상기 상부챔버(411)에서 하부챔버(413)로 연통될 수 있게 되지만 반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챔버(413)에서 상부챔버(411)로 공기의 흐름이 작용하게 될 경우 상기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415)이 상기 걸림내턱(417)에 밀착되어 상기 유량양압관체(200)로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환자를 구급소생하게 될 때 환자의 호기말 호흡이 상기 측정부(400), 유량양압관체(200) 및 공기주머니(10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호기말 호흡은 상기 마스크(51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5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이하 설명은 상기 액정부에 표시되는 사항의 일예로, 도 7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400)를 통해 측정된 공기량을 상기 액정부(610)를 통하여 도시할 수 있으며 전원부(미도시)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도 9(a, d)와 같은 상태로 도시된다.
다음으로, 도 9(b,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연령 및 상황을 고려하여 설정값을 입력하게 되며 응급상황시 필요한 성인의 1회 호흡량은 500ml정도이고 12회 제공하므로 1분간의 총호흡량인 분당 호흡량이 6L로 설정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때,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주머니(100)를 압축시켜 환자의 호흡기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데 측정부(400)를 통해 측정되는 실제 호흡량이 도시되고 설정 호흡량에 비하여 실제 호흡량이 부족하게 될 경우 상기 공기주머니(100)를 좀 더 강하게 눌러서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호흡수 및 실제 호흡량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공기주머니(100)를 감압시켜 눌러서 공기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중앙처리부(620)는 측정되는 실제 호흡수와 실제 호흡량을 토대로 분당 호흡량을 산출하여 상기 액정부(610)에 도시함으로써 환자의 분당 호흡량을 상시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액정부(610)에 도시되는 사항을 참고하여 구급소생을 진행함으로써 순간적으로 공기가 주입되거나 과압으로 인한 환자의 폐포손상을 방지하고 공기의 과량주입으로 인한 질식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공기주머니
200: 유량양압관체
300: 차단부
400: 측정부
500: 착용부
600: 표출장치
410: 차압부
420: 센서부
510: 마스크
520: 구강 및 비공삽입튜브
210: 제1절곡부
220: 제2절곡부
610: 액정부
620: 중앙처리부
200: 유량양압관체
300: 차단부
400: 측정부
500: 착용부
600: 표출장치
410: 차압부
420: 센서부
510: 마스크
520: 구강 및 비공삽입튜브
210: 제1절곡부
220: 제2절곡부
610: 액정부
620: 중앙처리부
Claims (7)
-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공기주머니;
상기 공기주머니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유량양압관체;
상기 제2절곡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주머니에 의해 발산되는 공기를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유량양압관체의 후단에 연결되며 환자의 호흡기로 주입되는 공기의 절대압과 공기유량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후단에 위치하여 환자에게 착용되는 착용부; 및
상기 측정부와 차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량 또는 공기압을 수신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절곡부에서 공기펌프 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방향으로 일정각도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단바디;
원형의 차단볼;
상기 차단볼의 일단에서 막대형상으로 연장되는 상승막대;
상기 차단바디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2절곡부 방향인 타단은 상기 차단볼을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절곡부 반대방향인 일단은 차단바디로부터 수직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중 타단의 중앙부분에서 일단까지 직선의 형태로 관통되어 상기상승막대가 통과되는 상승막대통과공;
상기 지지부 일단에서 제2절곡부 반대방향으로 일정간격 빈 공간으로 마련되는 하부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절대압 또는 차압으로 특정되는 공기유량이 기준치를 넘을 경우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차단부로 신호를 보내고 상기 차단부를 구성하는 차단볼이 제2절곡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절곡부를 차단하여 상기 유량양압관체를 따라 이동된 공기가 차압부를 통과하기 직전에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입을 덮는 마스크, 기관지 삽관튜브 또는 코로 삽입되는 비공삽입튜브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실제호흡수와 실제호흡량 표시하는 액정부로 구성된 표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부의 내측에서 상기 공기주머니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압차를 측정하는 차압부; 및
상기 차압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압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압부는
상기 제2절곡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부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챔버;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를 구획하는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
상기 상부챔버의 내부에 상기 통기형 박막필름 저항격막 상측에 구비되는 걸림내턱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와 연결되며 공기가 차압부를 통과하게 될 때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를 동시에 측정하여 압차를 이용하여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제1센서;
상기 하부챔버에 연결되며 공기를 측정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챔버에서 상기 상부챔버로 공기의 흐름이 작용할 때 상기 통기형박막필름 저항격막이 상기 걸림내턱에 밀착되어 상기 유량양압관체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공기유량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터빈방식을 사용하고, 환자의 기관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절대압 센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6392A KR101856869B1 (ko) | 2016-11-04 | 2016-11-04 |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6392A KR101856869B1 (ko) | 2016-11-04 | 2016-11-04 |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6869B1 true KR101856869B1 (ko) | 2018-06-25 |
Family
ID=6280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6392A KR101856869B1 (ko) | 2016-11-04 | 2016-11-04 |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6869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81015A (zh) * | 2019-11-22 | 2020-01-14 | 湖南万脉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呼吸机采样结构 |
CN111001051A (zh) * | 2019-12-25 | 2020-04-14 | 武汉维斯第医用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负压封闭引流系统管路堵塞的监控报警系统 |
KR20220053199A (ko) * | 2020-10-22 | 2022-04-29 | 국립생태원 | 동물용 인공호흡기 |
KR20230068703A (ko) | 2021-11-11 | 2023-05-18 | 명보람 | 호흡량 측정을 통해 피드백이 가능한 수동형 인공호흡기 |
KR20230089744A (ko) * | 2021-12-14 | 2023-06-21 | (주)타이보메드 | 디지털 흡배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동식 인공호흡기 |
US20230226306A1 (en) * | 2018-06-01 | 2023-07-20 | safeBVM | Pressure safety device for bag valve mas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302910A1 (en) | 2011-05-23 | 2012-11-29 | Zoll Medical Corporation | Wireless ventilator reporting |
KR200466807Y1 (ko) | 2013-02-07 | 2013-05-08 | 강영환 | 휴대용 산소호흡기 |
-
2016
- 2016-11-04 KR KR1020160146392A patent/KR1018568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302910A1 (en) | 2011-05-23 | 2012-11-29 | Zoll Medical Corporation | Wireless ventilator reporting |
KR200466807Y1 (ko) | 2013-02-07 | 2013-05-08 | 강영환 | 휴대용 산소호흡기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226306A1 (en) * | 2018-06-01 | 2023-07-20 | safeBVM | Pressure safety device for bag valve mask |
US12017008B2 (en) * | 2018-06-01 | 2024-06-25 | Safebvm Corp | Pressure safety device for bag valve mask |
CN110681015A (zh) * | 2019-11-22 | 2020-01-14 | 湖南万脉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呼吸机采样结构 |
CN111001051A (zh) * | 2019-12-25 | 2020-04-14 | 武汉维斯第医用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负压封闭引流系统管路堵塞的监控报警系统 |
CN111001051B (zh) * | 2019-12-25 | 2022-05-17 | 武汉维斯第医用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负压封闭引流系统管路堵塞的监控报警系统 |
KR20220053199A (ko) * | 2020-10-22 | 2022-04-29 | 국립생태원 | 동물용 인공호흡기 |
KR102403654B1 (ko) * | 2020-10-22 | 2022-05-30 | 국립생태원 | 동물용 인공호흡기 |
KR20230068703A (ko) | 2021-11-11 | 2023-05-18 | 명보람 | 호흡량 측정을 통해 피드백이 가능한 수동형 인공호흡기 |
KR20230089744A (ko) * | 2021-12-14 | 2023-06-21 | (주)타이보메드 | 디지털 흡배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동식 인공호흡기 |
KR102663808B1 (ko) * | 2021-12-14 | 2024-05-03 | (주)타이보메드 | 디지털 흡배기 호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동식 인공호흡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6869B1 (ko) | 제어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인공호흡기 | |
US12029857B2 (en) | Flow sensor for ventilation | |
JP7093182B2 (ja) | 患者の換気有効性を診断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患者の換気有効性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 |
US11504490B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carbon dioxide-based sleep disorder therapy | |
EP1631340A1 (en) | Portable respiratory diagnostic device | |
JP2009527323A (ja) | 圧力駆動体のためのハードウェア構成 | |
US11266801B2 (en) | Ventila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 |
KR101730091B1 (ko) | 공기흡입량 측정 장치가 구비된 수동식 구급소생백 | |
US20220040428A1 (en) | Ventila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 |
CN113260401B (zh) | 用于新生儿的改进的持续气道正压通气装置 | |
CN214807554U (zh) | 呼吸治疗系统和呼吸治疗设备以及连接器元件 | |
KR20140040935A (ko) | 폐기능 평가가 가능한 수동식 공기호흡기 | |
CN114728142A (zh) | 用于呼吸治疗系统的警报器 | |
KR20180041535A (ko) | 피드백을 통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수동식 인공호흡기 및 이를 이용한 인공호흡 주입 방법 | |
US1068248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 gas mixture to a child | |
EP2585152B1 (en) | Ventilation aid, ventilator, system and method for the non-invasive ventilation of premature infants | |
JP2011030990A (ja) | 携帯用人工呼吸器の人命救助ナビゲーション装置 | |
EP3235535B1 (en) | Nasal high flow therapy device | |
US20240050675A1 (en) | Intelligent distribution module for ventilators | |
US20210023318A1 (en) | Nasal Airway Pressure Monitoring System | |
US20240350757A1 (en) | Tidal volume, pressure, inspiratory time, and ventilation rate measurement device during manual ventilation | |
WO2018134849A1 (en) |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device | |
WO2023060252A1 (en) | Tidal volume, pressure, inspiratory time, and ventilation rate measurement device during manual ventilation | |
CN116492553A (zh) | 一种呼吸检测系统 | |
Fogarty et al. | Electric Blower Based Portable Ventil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