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604B1 -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 Google Patents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604B1
KR101856604B1 KR1020160075845A KR20160075845A KR101856604B1 KR 101856604 B1 KR101856604 B1 KR 101856604B1 KR 1020160075845 A KR1020160075845 A KR 1020160075845A KR 20160075845 A KR20160075845 A KR 20160075845A KR 101856604 B1 KR101856604 B1 KR 101856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fixing member
passage
open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413A (ko
Inventor
정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융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융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융합기술
Priority to KR1020160075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604B1/ko
Priority to PCT/KR2016/013552 priority patent/WO2017217615A1/ko
Publication of KR2017014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는 고정부재, 외부 지주 및 내부 지주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지주는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1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통로를 가진다.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되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2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내부 지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된다.
한편, 상기 외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에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를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는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지주와 연결되는 결합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구조물에는 카메라, 감지센서, 가로등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장착물이라 함-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지주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은 상기 장착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pole structure for shockproof}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지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지주 내부에 형성되는 통로에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내부 지주를 배치하고, 내부 지주와 연결되는 결합구조물에 카메라, 감지센서, 가로등 등의 장착물을 배치함으로써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장착물에 전달되지 아니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 국토의 약 70%는 산악 지대이며, 해방 이후 국민, 지자체, 정부 등이 합심하여 장기간에 걸쳐 산림녹화를 적극 추진함으로써 산림녹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상황이다. 해방 이후 한국전쟁의 아픔이 있었지만, 우리나라 모든 국민들이 합심하여 노력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 국가경쟁력은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에 상응하여 국민 생활수준 역시 크게 향상된 상황이다.
국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여가 시간을 즐기려는 많은 국민들이 휴일이면 일상을 벗어나 산이나 강으로 이동하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이러한 추세는 주 5일제의 안정적인 정착에 따라 가속화되어 최근에는 국민 일상의 한 모습으로 정착된 상황이다.
여가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등산객들의 부주의로 인한 산불발생, 피서객의 부주의로 인한 해수욕장 안전사고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산불의 경우 등산객의 실화에 의한 산불뿐만 아니라 낙뢰 등 자연현상에 의한 산불의 발생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산불은 우거진 산림을 매개체로 하여 점점 대형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산불이 발생하면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지난 수십 년간 국민, 지자체, 정부 등이 합심하여 가꾸어 온 산림이 한 순간에 잿더미로 변해버리게 된다. 산불은 한 번 발생하면 초기에 진압이 되지 않을 경우에 이후 대규모의 장비와 인력을 투입하더라도 진압이 어려운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산불 발생을 사전에 안정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감시장비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KR 10-2013-0143262 “태양광을 이용한 무정전 하이브리드 무선 감시 카메라 시스템”, 한국등록실용 KR 20-0360332 “산불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등이 있다. 이들 종래의 기술은 화재 등 관찰을 요하는 지점에 지주를 설치한 후 설치된 지주에 카메라 등의 관찰 수단을 장착하여 화재나 주변 상황을 감지한다는 점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과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이들 종래의 기술의 경우에 화재나 주변 상황 등을 감시하는 과정에서 특정영역을 확대하여 감시할 때 지주에 가해지는 외부 환경에 의한 진동에 따른 관찰 이미지의 떨림 현상을 해소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과는 차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외부 지주 내부에 형성되는 통로에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내부 지주를 배치하고, 내부 지주와 연결되는 결합구조물에 카메라, 감지센서, 가로등 등의 장착물을 배치함으로써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장착물에 전달되지 아니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는 고정부재, 외부 지주 및 내부 지주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지주는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1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통로를 가진다.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되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2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내부 지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된다.
한편, 상기 외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에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를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는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지주와 연결되는 결합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구조물에는 카메라, 감지센서, 가로등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장착물이라 함-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지주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은 상기 장착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는 외부 지주 내부에 형성되는 제1통로에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내부 지주를 배치하고, 내부 지주와 연결되는 결합구조물에 카메라, 감지센서, 가로등 등의 장착물을 배치함으로써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장착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는 고정부재로서 내부에 내부 지주가 통과할 수 있는 제2관통홀을 가지는 제1고정부재 및 제1고정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지주 및 내부 지주를 각각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에 고정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는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장착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는 외부 지주에 배치되는 풍력발전기 또는 태양력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풍력발전기 또는 태양력발전기를 통하여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는 장착물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풍력발전기가 발전하는 과정, 태양력발전기의 태양광 패널에 바람이 강하게 부딪히는 과정 또는 태양력발전기의 태양광 패널이 태양을 트랙킹하는 과정 등에 의하여 외부 지주에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때 발생되는 진동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부 지주와 내주 지주의 구조에 의하여 장착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된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는 장착물로서 줌 기능을 구비하는 카메라를 채용하여 주변 영상을 확대하더라도 풍력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므로 주변의 확대된 영상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의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내부 지주와 결합구조물의 연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외부 지주 및 내주 지주가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개폐 가능한 외부 지주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가이드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장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장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의 개념도이다. 도 1의 (a)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의 개념도를 보여주며, (b)는 외부 지주와 내부 지주의 단면도의 개념도를 보여준다. 도 2 내지 도 4는 내부 지주와 결합구조물의 연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는 각각 내부 지주와 연결되는 결합구조물의 개념도 및 연결부와 결속부를 통한 내부 지주와 결합구조물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는 각각 내부 지주와 연결되는 결합구조물의 개념도 및 덮개를 통한 내부 지주와 결합구조물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각각 내부 지주와 연결되는 결합구조물의 개념도 및 가이드부를 통한 내부 지주와 결합구조물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외부 지주 및 내주 지주가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외부 지주 및 내부 지주의 결합의 일례 및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개폐 가능한 외부 지주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개폐 가능한 외부 지주의 개념도이며, (b)는 외부 지주와 함께 개폐되는 가이드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가이드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각각 내부 지주와 연결되는 결합구조물의 개념도 및 가이드부의 변형 예를 통한 내부 지주와 결합구조물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는 고정부재(110), 외부 지주(120) 및 내부 지주(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결합구조물(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구조물(140)에는 장착물(150)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는 선택적으로 덮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는 선택적으로 가이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는 선택적으로 풍력발전기(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10)에는 외부 지주(120) 및 내부 지주(130)가 고정된다. 고정부재(110)의 소재로는 콘크리트 소재가 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외부 지주(120) 및 내부 지주(130)를 고정할 수 있는 한 고정부재(110)의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외부 지주(120)는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1체결부(120a)라 함-이 고정부재(110)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통로(122)를 가진다. 한편, 도 6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구조물(140)과 내부 지주(1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부 지주(120)는 개폐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내부 지주(130)는 외부 지주(120)와 이격되게 외부 지주(120)의 제1통로(122)에 배치되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2체결부(130a)라 함-이 고정부재(110)에 고정된다. 내부 지주(130)는 외부 지주(120)와 이격되게 외부 지주(120)의 제1통로(122)에 배치됨으로써 외부 지주(1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내부 지주(130)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된다.
다시 말하면, 내부 지주(130)를 외부 지주(120)와 이격되게 외부 지주(120)의 제1통로(122)에 배치함으로써 외부 지주(120)와 내부 지주(1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외부 지주(1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내부 지주(130)로 직접 전달되지 아니하고, 고정부재(110)를 통하여 내부 지주(130)에 전달되거나, 외부 지주(120)와 내부 지주(13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 흙 등과 같은 매개체를 통하여 내부 지주(130)에 전달되게 된다. 고정부재(110)의 소재, 구조 등의 변경과 매개체의 소재, 구조 등의 변경을 통하여 내부 지주(130)에 전달되는 외부 지주(120)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을 차단하거나 감쇠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는 외부의 진동이 내부 지주(130)로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지주 구조체를 제안한다.
고정부재(1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고정부재(110)는 도 1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10)에 배치되는 하나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지주(120)와 내부 지주(130)는 하나의 구조물인 고정부재(1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부재(110)는 도 5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10)에 설치되며,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112)와 제2고정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부재(114)는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제1고정부재(11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12)는 내부에 제2관통홀(112a)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지주(130)는 제2관통홀(112a)의 내면과 이격되게 제2관통홀(112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지주(120)는 외부 지주(120)의 제1체결부(120a)를 제1고정부재(112)에 고정함으로써 고정부재(110)에 고정될 수 있다. 내부 지주(130)는 내부 지주(130)의 제2체결부(130a)를 제2고정부재(114)에 고정함으로써 고정부재(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12)와 제2고정부재(114)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외부 지주(120)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이 내부 지주(130)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0)는 제1고정부재(112)와 제2고정부재(114)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116)는 외부 지주(120)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이 내부 지주(13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는 완충부재(116)로서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자갈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완충부재(116)로서 다양한 크기의 자갈, 다양한 크기의 자갈과 모래의 혼합물 또는 고무, 스프링 등의 탄성체 등과 같이 상술한 완충부재(116)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료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외부 지주(120)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 중에서 저주파 진동을 차단하거나 감쇠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완충부재(116)로서 탄성을 강화한 스펀지 소재,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소재, 발포 고무소재, 크기 및 배합 비율이 조절된 자갈 및 모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외부 지주(120)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 중에서 고주파 진동을 차단하거나 감쇠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완충부재(116)로서 고무소재, 크기 및 배합 비율이 조절된 자갈 및 모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12), 제2고정부재(114) 및 완충부재(116)를 포함하는 고정부재(110)는 예로서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지면(10)에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지면(10)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공간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간에 제2고정부재(114)를 배치 또는 형성한다. 이 경우, 제2고정부재(114)는 예로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을 통하여 배치 또는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2고정부재(114)에 내부 지주(130)의 제2체결부(130a)를 고정한다. 제2체결부(130a)의 고정은 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체결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2고정부재(114) 위에 완충부재(116)를 배치 또는 형성한다. 이 경우, 토양으로 제2고정부재(114)를 덮을 경우에는 완충부재(116)를 배치 또는 형성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완충부재(116) 또는 성토한 토양 위에 제2관통홀(112a)을 가지는 제1고정부재(112)를 배치 또는 형성한다. 이 경우, 제1고정부재(112)는 예로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을 통하여 배치 또는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1고정부재(112)에 외부 지주(120)의 제1체결부(120a)를 고정한다. 제1체결부(120a)의 고정은 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체결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는 하나의 형상으로 된 외부 지주(120) 및 내부 지주(13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고정부재(110)에 외부 지주(120) 및 내부 지주(130)를 고정하는 작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외부 지주(120) 및 내부 지주(130)는 분리되어 제공되는 단위체의 결합을 통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110)에 고정되는 외부 지주(120)의 단위체 및 내부 지주(130)의 단위체-이하 제1단위체라 함-를 먼저 고정부재(110)에 고정한 후 나머지 단위체를 상기 제1단위체에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과정을 통하여 고정부재(110)에 외부 지주(120) 및 내부 지주(13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외부 지주(120)는 외부 지주(120)에 형성되며, 제1통로(122)를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지주(130)는 개구부(124)를 통하여 상기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내부 지주(130)를 상기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는 한 개구부(124)의 크기, 모양, 위치 등에는 제한이 없다.
결합구조물(140)은 외부 지주(12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개구부(124)를 통하여 내부 지주(130)와 연결될 수 있다. 결합구조물(140)에는 카메라, 감지센서, 가로등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장착물(150)이라 함-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구조물(140)은 개구부(124)를 통하여 내부 지주(130)와 연결됨으로써 외부 지주(120)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이 장착물(150)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면에는 장착물(150)로서 카메라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장착물(150)을 외부 지주(120)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결합구조물(140)을 통하여 외부 지주(120)와 이격되게 내부 지주(130)와 연결할 경우에 여러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감지센서는 예로서 적외선 감지센서, 동작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풍속감지센서, 풍향감지센서 등일 수 있다.
일례로, 외부 지주(120)에 장착물(150)을 직접 장착할 경우에 외부 지주(120)가 배치된 외부 환경, 예를 들면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처럼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외부 지주(120)가 흔들릴 경우에 장착물(150) 역시 흔들리게 된다. 장착물(150)로서 카메라는 화재 예방, 도난 방지 등을 위하여 외부 지주(120)가 배치된 주변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카메라는 필요에 따라 특정 지역의 확대 영상을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확대 영상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 카메라에 가해지는 약간의 흔들림은 카메라 영상에서는 큰 흔들림으로 나타나게 되어 정확한 영상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는 장착물(150)이 외부 지주(120)에 직접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지주(120)와 이격되게 외부 지주(120)의 제1통로(122)에 배치되는 내부 지주(130)에 배치되는 기술을 제공한다. 내부 지주(130)는 외부 지주(120) 내부에 위치하므로 외부 환경, 예를 들면 강한 바람이 불어 외부 지주(120)에 연결된 보조발전 수단인 풍력발전기(180)가 강하게 회전하거나, 태양력발전기(30)의 태양광 패널이 바람의 영향으로 흔들리거나, 태양력발전기(30)의 태양광 패널이 태양을 트랙킹하는 것과 같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외부 지주(120)가 흔들리더라도 이러한 외부 환경의 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 지주(130)와 연결되는 장착물(150)로서 카메라는 외부 환경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특정 지역의 확대 영상을 안정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 지주(120)에 장착되는 장착물(150)은 산불 감시, 재난 감시, 적대국의 군사동향 감시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외부 지주(120)의 설치 지역은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장소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외부 지주(120)에는 장착물(150)의 동작 전원을 자체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풍력발전기나 태양 트랙킹 기능이 부가된 태양력발전기 등이 외부 지주(120)에 장착될 수 있다. 풍력발전기는 발전과정에서 날개의 회전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고, 트랙킹 기능이 부가된 태양력발전기 역시 트랙킹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외부 지주(120)에 장착물(150)을 직접 장착할 경우에 동작 전원의 자체적인 확보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장착물(150)에 전달되게 된다. 장착물(150)에 전달되는 상기 진동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장착물(150)의 안정적인 동작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는 장착물(150)이 외부 지주(120)에 직접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지주(120)와 이격되게 외부 지주(120)의 제1통로(122)에 배치되는 내부 지주(130)에 배치되는 기술을 제공한다. 내부 지주(130)는 외부 지주(120) 내부에 위치하므로 자체적인 동작 전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발생하는 진동은 내부 지주(130)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므로 장착물(150)은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받더라도 미미한 영향만을 받게 된다. 따라서, 내부 지주(130)와 연결되는 장착물(150), 예로서 카메라는 자체 동력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특정 지역의 확대 영상을 안정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결합구조물(140)은 다양한 방식으로 내부 지주(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a), 도 3의 (a) 및 도 4의 (a)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구조물(140)은 내부 지주(13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구조물(140)은 내부 지주(130)에 형성된 홈(미도시)과 나사 결합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구조물(140)은 개구부(124)에 대향하는 내부 지주(130)의 표면에 형성되는 연결부(132)를 가질 수 있다. 결합구조물(140)은 결합구조물(140)의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결속부(140a)라 함-이 개구부(124)를 통하여 연결부(132)와 연결됨으로써 내부 지주(130)와 연결될 수도 있다.
결합구조물(140)을 내부 지주(130)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 지주(130)와 연결되지 아니하는 결합구조물(140)의 자유단 부분 또는 결합구조물(140)의 상기 자유단 부분에 인접하는 부분은 와이어 형상의 구조물(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와이어 형상의 상기 구조물의 일단은 결합구조물(140)의 상기 자유단 부분 또는 결합구조물(140)의 상기 자유단 부분에 인접하는 상기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형상의 상기 구조물의 타단은 개구부(124)와 이격되게 외부 지주(120)에 형성되는 추가적인 개구부(미도시)를 통하여 내부 지주(130)과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형상의 상기 구조물을 결합구조물(140) 및 내부 지주(130)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형상의 상기 구조물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결합구조물(140)은 개구부(124)와 이격된 상태로 내부 지주(130)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구조물(140)은 내부 지주(13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덮개(160)는 개구부(124)를 덮을 수 있다. 덮개(160)의 내면에는 절개부(미도시), 제1관통홀(160a)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지주(130)는 상기 절개부, 제1관통홀(160a)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예로서 제1관통홀(160a)로부터 방사상으로 덮개(160)의 상기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결합구조물(140)을 내부 지주(130)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결합구조물(140)의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해 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덮개(160)는 상기 외부에서 생성되는 눈 또는 물이 개구부(124)를 통하여 제1통로(1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덮개(160)는 결합구조물(14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외부에서 생성되는 눈 또는 물이 개구부(124)를 통하여 제1통로(122)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결합구조물(140)과 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지주(120)의 흔들림이나 진동이 결합구조물(14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덮개(160)는 고주파 또는 저주파 진동을 잘 흡수할 수 있는 고무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외부에서 생성되는 눈 또는 물이 개구부(124)를 통하여 제1통로(1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덮개(160)는 마개, 패킹, 뚜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70)의 내부에는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는 제2통로(17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b)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70)의 상기 일측은 개구부(124)를 감싸도록 외부 지주(12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70)의 상기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124)는 제2통로(172)를 통하여 상기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부(170)의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일례로, 가이드부(170)로서 고무 등과 같은 유연성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구조물(140)과 가이드부(170)가 접촉하더라도 외부 지주(120)의 흔들림이나 진동은 가이드부(170)에 의하여 흡수되어 결합구조물(140)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70)로서 고무 등과 같은 유연성 소재로 제작된 주름관 구조(170a)가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지주(120)의 흔들림이나 진동은 주름관 구조의 가이드부(170a)를 통하여 흡수되어 결합구조물(140)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될 수 있다.
결합구조물(140)은 제2통로(172) 및 개구부(124)를 통하여 내부 지주(13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170)는 소정의 길이를 가져 상기 외부에서 생성되는 눈 또는 물이 개구부(124)를 통하여 제1통로(1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170)는 제2통로(172)에 배치되는 결합구조물(14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상술한 내부 지주(130)와 결합구조물(140)을 연결하는 와이어 형상의 상기 구조물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결합구조물(140)은 제2통로(172)와 이격된 상태로 내부 지주(130)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에서 생성되는 눈 또는 물이 가이드부(170)의 상기 타측을 통하여 제2통로(172)로 유입된 후 개구부(124)를 통하여 제1통로(122)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부(170)의 상기 타측에는 마감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지주(120)의 흔들림이나 진동이 결합구조물(14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감부재는 고주파 또는 저주파 진동을 잘 흡수할 수 있는 고무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외부에서 생성되는 눈 또는 물이 가이드부(170)의 상기 타측을 통하여 제2통로(172)로 유입된 후 개구부(124)를 통하여 제1통로(122)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부(170)는 가이드부(170)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70)는 제2통로(172)로 유입되는 눈 또는 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아래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70)에는 지면(1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2통로(172)를 상기 외부와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제2통로(172)로 유입되는 눈 또는 물은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이드부(170)의 존재 하에서 결합구조물(140)과 내부 지주(1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170)는 외부 지주(120)에서 분리 가능한 구조, 복수의 부분으로 분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다르게는 도 6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70)가 배치되는 외부 지주(120)면은 개폐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170)는 예로서 외부 지주(120)의 절개면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면을 가져 외부 지주(120)의 개폐시 함께 개폐될 수 있다.
풍력발전기(180)는 외부 지주(120)의 타단 또는 상기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풍력발전기(180)는 발전과정에서 회전에 따른 회전진동을 외부 지주(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지주(130)는 외부 지주(120)와 이격되게 외부 지주(120)의 제1통로(122)에 배치됨으로써 외부 지주(120)에 제공되는 상기 회전진동이 내부 지주(130)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된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는 외부 지주(120)의 내부에 외부 지주(12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부 지주(130)를 포함한다. 장착물(150)은 개구부(124)와 결합구조물(140)을 통하여 외부 지주(120)와 이격된 상태로 내부 지주(130)와 연결된다. 즉, 장착물(150)은 외부 지주(1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아니한다. 이를 통하여 장착물(150)은 외부 지주(120)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아니하거나 영향을 덜 받음으로써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가 설치된 주변 영역을 안정적으로 감시하거나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112) 및 제2고정부재(114)에 각각 외부 지주(120) 및 내부 지주(130)를 고정함으로써 고정부재(110)를 통하여 외부 지주(120)로부터 내부 지주(130)로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흔들림이나 진동을 차단하거나 감쇠시켜주는 기능을 아울러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100)에 장착되는 카메라 등의 장착물(150)은 외부 환경, 내부 환경 등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거나 덜 받으면서 주변 상황을 안정적으로 감시,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 지면
20 : 가로등
30 : 태양력발전기
100 :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110 : 고정부재
112 : 제1고정부재
112a : 제2관통홀
114 : 제2고정부재
116 : 완충부재
120 : 외부 지주
120a : 제1체결부
122 : 제1통로
124 : 개구부
130 : 내부 지주
130a : 제2체결부
132 : 연결부
140 : 결합구조물
140a : 결속부
150 : 장착물
160 : 덮개
160a : 제1관통홀
170, 170a : 가이드부
172, 172a : 제2통로
180 : 풍력발전기

Claims (11)

  1. 고정부재;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1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통로를 가지는 외부 지주; 및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되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2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내부 지주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내부 지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고,
    상기 외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에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를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지주와 연결되는 결합구조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구조물에는 카메라, 감지센서, 가로등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하 장착물이라 함-가 배치되며,
    상기 결합구조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지주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은 상기 장착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2. 고정부재;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1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통로를 가지는 외부 지주; 및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되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2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내부 지주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내부 지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고,
    상기 외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에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를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절개부, 제1관통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되,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절개부, 상기 제1관통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외부에서 생성되는 눈 또는 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3. 고정부재;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1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통로를 가지는 외부 지주; 및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되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2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내부 지주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내부 지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고,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는 제2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개구부를 감싸도록 상기 외부 지주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되,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통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결합구조물은 상기 제2통로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지주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져 상기 외부에서 생성되는 눈 또는 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결합구조물은 상기 결합구조물의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결속부라 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내부 지주와 연결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절개부, 제1관통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되,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절개부, 상기 제1관통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외부에서 생성되는 눈 또는 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는 제2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은 상기 개구부를 감싸도록 상기 외부 지주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되,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통로를 통하여 상기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결합구조물은 상기 제2통로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지주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져 상기 외부에서 생성되는 눈 또는 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1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지면에 설치되며,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고정부재는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는 내부에 제2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제2관통홀의 내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2관통홀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체결부를 상기 제1고정부재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내부 지주의 상기 제2체결부를 상기 제2고정부재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이 상기 내부 지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이 상기 내부 지주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 상기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면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공간에 상기 제2고정부재를 배치 또는 형성하는 과정;
    상기 제2고정부재에 상기 내부 지주의 상기 제2체결부를 고정하는 과정;
    상기 제2고정부재 위에 상기 완충부재를 배치 또는 형성하는 과정;
    상기 완충부재 위에 상기 제2관통홀을 가지는 상기 제1고정부재를 배치 또는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1고정부재에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체결부를 고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지면에 설치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타단 또는 상기 타단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는 풍력발전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풍력발전기는 발전과정에서 회전에 따른 회전진동을 상기 외부 지주에 제공하되,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부 지주에 제공되는 상기 회전진동이 상기 내부 지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11. 고정부재;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1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통로를 가지는 외부 지주; 및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되며, 일단 또는 상기 일단에 인접한 부분-이하 제2체결부라 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내부 지주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와 이격되게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통로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내부 지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지면에 설치되며,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고정부재는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고정부재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는 내부에 제2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제2관통홀의 내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2관통홀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지주는 상기 외부 지주의 상기 제1체결부를 상기 제1고정부재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 지주는 상기 내부 지주의 상기 제2체결부를 상기 제2고정부재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외부 지주에서 발생하는 상기 진동이 상기 내부 지주에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감쇠되어 전달되는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KR1020160075845A 2016-06-17 2016-06-17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KR101856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845A KR101856604B1 (ko) 2016-06-17 2016-06-17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PCT/KR2016/013552 WO2017217615A1 (ko) 2016-06-17 2016-11-23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845A KR101856604B1 (ko) 2016-06-17 2016-06-17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413A KR20170142413A (ko) 2017-12-28
KR101856604B1 true KR101856604B1 (ko) 2018-05-10

Family

ID=6066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845A KR101856604B1 (ko) 2016-06-17 2016-06-17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6604B1 (ko)
WO (1) WO2017217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6010B (zh) * 2021-06-04 2022-08-3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电力电网电线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7165A (ja) * 2009-06-23 2011-01-13 Minoru Iwabuchi 風力発電支柱を用いた多段式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工法
KR101546524B1 (ko) * 2014-10-29 2015-08-24 박세현 유지관리 효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가로등 지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779U (ko) * 2007-11-15 2009-05-20 박인수 가로등의 지주구조
JP2010193557A (ja) * 2009-02-16 2010-09-0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柱の補強方法
KR200473273Y1 (ko) * 2013-08-27 2014-06-25 나충용 Cctv 카메라를 위한 제어함이 일체로 형성된 지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7165A (ja) * 2009-06-23 2011-01-13 Minoru Iwabuchi 風力発電支柱を用いた多段式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工法
KR101546524B1 (ko) * 2014-10-29 2015-08-24 박세현 유지관리 효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가로등 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615A1 (ko) 2017-12-21
KR20170142413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604B1 (ko)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KR200473273Y1 (ko) Cctv 카메라를 위한 제어함이 일체로 형성된 지주
KR20120137772A (ko) 선박의 연돌 구조물
CN206192499U (zh) 防水抗冲击的爆破振动监测仪器保护箱
Tsuruda Nuclear power plant explosions at Fukushima-Daiichi
Hwang Magnetopause waves controlling the dynamics of Earth’s magnetosphere
KR20060114028A (ko) 풍력 발전 시설
JP2009246959A (ja) 防風スクリーン
Galang A decade of Philippines-Japan strategic partnership
CN103775749B (zh) 防火元件
CN107990012B (zh) 配电箱的压力平衡保护结构
JP2010095884A (ja) 防護構造
Hiemstra The US and Ecuador: is intervention on the table?
CN103693215B (zh) 一种可展开机构防护高能电子方法
RU147823U1 (ru) Плавучий волногаситель
CN208815570U (zh) 电力智能井盖
KR101314951B1 (ko) 방사 및 전도로 침입하는 hemp 차단 건물 시공 방법
JP2018025007A (ja) 支柱構造体及び津波バリア
KR200234982Y1 (ko) 케이블 보호관 밀폐용 마개
RU25513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JP2009021312A (ja) 筐体用気圧調整器およびこれを有する筐体
Pinto et al. Geomagnetically induced currents: The ultimate threat to system security
Wolf et al. Guaraní Aquifer: The development of a coordinated management approach
US20130025212A1 (en) Atmospheric retention passive system for nuclear buildings
Hewish et al. Interplanetary scintillation imaging of disturbances in the solar w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