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550B1 - Host count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erprises - Google Patents

Host count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erpri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550B1
KR101856550B1 KR1020160053091A KR20160053091A KR101856550B1 KR 101856550 B1 KR101856550 B1 KR 101856550B1 KR 1020160053091 A KR1020160053091 A KR 1020160053091A KR 20160053091 A KR20160053091 A KR 20160053091A KR 101856550 B1 KR101856550 B1 KR 10185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factor
score
attractiveness
fa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3873A (en
Inventor
한승헌
이강욱
원진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550B1/en
Publication of KR2017012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8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5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3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or inde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06F17/306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Abstract

본 발명은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 인자 선택부가 사용자에 의해 인자 선택부가 해외 건설사업 진출 후보 국가별로 다수의 국가 매력도 인자와 다수의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선택하는 단계; (b) 가중치 결정부가 퍼지(Fuzzy) 기법을 이용하여 각 국가별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단계; (c) 인자값 평가부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국가별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d) 인자값 평가부가 각 국가별 생성된 상기 가중치와 산출된 상기 표준화 점수를 통해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평가정보 생성부가 산출된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가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luation method and an evaluation system for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decision suppor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n evaluation system for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Selecting a project performance factor of the project; (b) weighting determining a weight between the factors of the selected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s of each country and a weight between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s using a fuzzy technique; (c) Evaluating the factor value Using the national data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calculating the standardization score of the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 and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 for each country; (d) calculating the national attractiveness and the project performance score for each country through the factor value evaluating unit and the standardized score calculated for each country; And (e) generat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ordering country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through the national attractiveness and the project performance score of each country calculated by the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Description

해외건설기업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시스템{HOST COUNT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ERPRIS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본 발명은 해외 건설기업의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가를 두 측면(국가매력도, 프로젝트 성과)에서 평가하고 다수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진출국가 선정 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해외건설기업의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an ordering country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more specifically, evaluating a country in two aspects (national attractiveness, project performance) and classifying it into a plurality of types, And a system for evaluating an ordering country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that supports a construction company.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발족 이래로 해외건설시장은 각국의 기업들에게 더 많은 해외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각 기업들은 국내 건설시장의 경쟁 심화, 포화 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외사업 규모를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사업은 국내사업에 비해 불확실성이 크며 정치, 제도,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in 1995,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has provided more opportunities for foreign companies to enter overseas markets. Each company is expanding its overseas busines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mpetition and saturation in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and secure financial stability. However, overseas business is more uncertain than domestic business, and it is difficult to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politics, institution, economy, society, culture.

더욱이 해외시장 진출은 대규모의 투자를 동반하기 때문에 진출 국가 선정은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Moreover, entry into the overseas market is accompanied by large-scale investments, so selection of an entry country is one of the main factors in corporate decision-making.

최근 들어 예상치 못한 경제 침체와 같은 불확실성은 해외 건설시장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가 또는 보다 광범위한 단위로 발생하는 불확실성으로 인해 해외건설시장에서 기업의 안정적인 매출과 이익을 확보하기에는 전통적인 프로젝트 기반 위험 관리체계로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급변하는 시장과 불확실한 환경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엔지니어링 및 건설 회사가 해야 하는 전략적 의사 결정 중 하나는 국가의 평가와 선택에 관한 것이다.Uncertainties such as the recent unexpected economic downturn have had a huge impact on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Generally, the traditional project-based risk management system is limited to secure stable sales and profits of companies in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due to uncertainties in the country or a wider range of units. One of the strategic decisions that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mpanies must make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rapidly changing markets and uncertain environments in this situation is the assessment and choice of the state.

기업의 전략적 선택은 내/외부 상황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개별기업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비즈니스 목표와 전략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이한 성과를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가 평가 및 선정과정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위해 진출국가의 불확실성과 개별기업별 비즈니스 목표 등을 통합적 고려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Because strategic choices are determined by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individual companies typically have different business goals and strategies and thus achieve different results.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is a need for a decision support model that considers the uncertainties of the countries of entry and the business goals of individual companies in order to make strategic decisions in the process of national evaluation and selec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0110호(공개일자: 2015년07월09일)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80110 (public date: July 09, 20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47279호(공개일자: 2003년06월18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47279 (Published Date: June 18, 2003)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ordering country for supporting the decision making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본 발명은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국가 수준의 사업환경 분석 및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evaluation system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a business environment at a national level in an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

둘째, 본 발명은 해외 건설사업 진출후보 국가를 평가하고 국가를 국가매력도와 프로젝트 성과 수준에 따라 분류함으로 기업의 해외 건설사업 진출 국가선정에 관한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정보를 제공함에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for supporting strategic decision-making regarding the selection of a country to enter an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by evaluating a candidate country for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 and classifying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country's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 level.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evalu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ordering country for supporting the decision making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객관적인 시장정보와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통해 국가를 두 측면(국가매력도, 프로젝트 성과)에서 평가하고 분류하여 해외건설기업 진출국가 선정 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First, it evaluates and classifies the country in two aspects (objective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 through objective market information and decision-makers' subjective judgment. to provide.

둘째, 본 발명은 기업들의 비즈니스 목적에 따라 진출후보 국가들의 평가를 진행하고 국가와 프로젝트 관점에서 국가를 분류하여 해외건설기업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 ordering country that evaluates candidate countries according to the business purpose of companies and classifies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untries and projects to support decision making of overseas construction companies.

셋째, 본 발명은 국가별 우선순위를 제공할 뿐 아니라 평과결과를 통해 기업의 현 포트폴리오 상태를 진단하고 국가별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priorities by country but also provides effective information to diagnose the present state of the company through evaluation results and establish a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each countr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시스템(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 결정 단계에서 쌍대비교행렬(pairwise comparison matrix)의 예시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예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매트릭스 변환단계의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자의 가중치를 계산한 결과이다.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valuating an ordering country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rdering system evaluation system 100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irwise comparison matrix in the fuzzy decision matrix determination step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fuzzy judgment matrix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sult of the matrix transformation step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sult of calculating weighting factors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Further, terms such as " part, "" uni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ay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평가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 시스템(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flow of an ordering country evaluation method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ordering country evaluation system 100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Fig.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은, (a) 인자 선택부(110)가 사용자에 의해 해외 건설사업 진출 후보 국가별로 다수의 국가 매력도 인자와 다수의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선택하는 단계; (b) 가중치 결정부(120)가 퍼지(Fuzzy) 기법을 이용하여 각 국가별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단계; (c) 인자값 평가부(130)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국가별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d) 인자값 평가부(130)가 각 국가별 생성된 상기 가중치와 산출된 상기 표준화 점수를 통해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평가정보 생성부(140)가 산출된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가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method for evaluating an ordering country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factor selection unit 110 selects a plurality of Selecting a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 and a number of project performance factors; (b) determining a weight between the selected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s of each country and a weight between project performance factors using a fuzzy technique, and generating the weight factors; (c) calculating a standardization score of the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 and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 for each country us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country data; (d) calculating a national attractiveness and a project performance score for each country through the weighting value generated by each country and the standardized score calculated by the factor value evaluating unit 130; And (e) generat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ordering country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through the calculated national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 score calculated by the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0.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 시스템(100)은, 다수의 국가 매력도 인자와 다수의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선택하는 인자 선택부(110)와,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가중치 결정부(120)와,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가중치와 산출된 상기 표준화 점수를 통해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인자값 평가부(130)와,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발주국가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평가정보 생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ordering system evaluation system 100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s and a factor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project performance factors (110), a weight determination unit (120) for determining a weight between the national attractiveness factors and a weight between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s, a score calculator (120) for calculating a national attraction factor and a standardized score of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 An evaluation value generating unit 130 for calculating the national attractiveness of each country and the project performance score through the calculated standardization score and an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0 for generating the ordering country evalu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national attractiveness and the project performance score, (14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객관적인 시장정보와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통해 국가를 두 측면(국가매력도, 프로젝트 성과)에서 평가하고 분류하여 진출국가 선정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모델을 제안하는 것으로, 진출 국가 후보들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별 우선순위를 제공할 뿐 아니라 평과결과를 통해 기업의 현 포트폴리오 상태를 진단하고 국가별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지원 할 수 있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100)을 제안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odel for supporting decision-making in selecting an entry country by evaluating and classifying the country in two aspects (national attractiveness, project performance) through objective market information and subjective judgment of decision makers. In addition to providing national priorities on the basis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candidates for entry into the country, it is also possible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the company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s and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iation strategy by country. And an evaluation system (100) for evaluating the ordering country for decision support.

여기서, 인자 선택부(110), 가중치 결정부(120), 인자값 평가부(130) 및 평가정보 생성부(1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또는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이고,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 요소에 의해 구분되는 것은 아니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로서, 특정 장치는 물론 여러 가지 컴퓨팅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actor selecting unit 110, the weight determining unit 120, the factor value evaluating unit 130, and the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0 calculate the order for supporting the decision making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omponent of a computer or a computing device that executes a program for performing a process of a country evaluation method. Each component is not classified by physical elements but is a component according to a function of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And may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devices that make up the various computing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or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optical disk,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nonvolatile memory and the lik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발명의 모델 프레임 The model frame 워크work (Model framework)(Model framework)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국가 분류를 위해 총 5단계의 평가체계를 제안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 a total of five rating systems for country classification.

첫 번째 단계는 인자 선택부(110)가 국가 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의사결정자에 의해 선택하는 단계이다. 해당 인자는 각 8가지(국가매력도)와 6가지 인자(프로젝트성과)로 구분 된다.((a) 단계)In the first step, the factor selection unit 110 selects a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 and a project performance factor by a decision maker. The factor is divided into 8 categories (national attractiveness) and 6 factors (project performance) (step (a)).

두 번째 단계는 가중치 결정부(120)가 퍼지 fuzzy LinPreRa based AHP 기법을 활용하여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이다.((b) 단계)The second step is to determine the weight between the selected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s and the weight between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s using the fuzzy fuzzy LinPreRa based AHP technique (step (b)).

세 번째 단계는 인자값 평가부(130)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 등의 실제 객관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후보 국가들 간의 상대적인 차이를 도출하기 위해 standard deviation method를 활용하여 표준화 점수로 나타낸다.((c) 단계)In the third step, the factor value evaluating unit 130 calculates each country's attractiveness factor and project performance factor using actual objective data such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country data. In order to derive the rel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candidate countries, the standard deviation method is used to indicate the standardization score (step (c)).

네 번째 단계는 인자값 평가부(130)가 도출된 가중치와 표준화 점수를 통해 진출 후보 국가별로 국가매력도와 프로젝트 성과를 평가하는 단계이다.((d) 단계)In the fourth step, the factor value evaluating unit 130 evaluates the national attractiveness and the project performance for each entry candidate country through the derived weight and the standardized score (step (d)).

마지막 다섯 번째 단계는 평가정보 생성부(140)가 국가매력도와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다수개의 유형으로 국가를 분류하여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가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e) 단계)In the final fifth step, the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0 classifies the countries into a plurality of types by using the national attractiveness and the project performance score, and generates the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ordering country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 (step (e)).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계별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인자 선택 단계(Select the variables of country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a) 단계)Selective variables of country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 (step (a))

국가 선별을 위한 평가 인자(variable)를 문헌조사와 실무자 인터뷰를 통해 다음의 [표 1]과 같이 총 14가지의 인자(국가매력도 인자: 8가지, 프로젝트 성과 인자: 6가지)로 구성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서 (a) 단계는 인자 선택부(110)가 의사결정자의 판단에 따라 국가매력도 인자(V1 C,V2 C,···VM C)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V1 P,V2 P,···VN P)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인자의 선택은 해당 기업의 비즈니스 목적이나,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중요성, 판단 등에 의해 결정된다.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the variables for national selection were composed of 14 factors (8 factors of country attractiveness, 6 factors of project performance factor)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interview with practitioners. In step (a) of the ordering country evaluation method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tor selection unit 110 selects a country charm factor (V 1 C , V 2 C , ... V M C ) and project performance factors (V 1 P , V 2 P , ... V N P ). The choice of factor is determined by the business purpose of the company, the subjective significance of the decision maker, and the judgment.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1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1

국가매력도 인자는 1) 시장 동향 및 전망 및 2) 제도적 시스템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장 동향 및 전망은 해당 국가의 건설산업의 특성을 반영하며 (V1~V4), 제도적 시스템은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수행 환경을 나타낸다 (V5~V8).The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1) market trends and forecasts, and 2) institutional systems. Market trends and forecast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country (V1 ~ V4), and institutional systems represent the project execution environment as well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V5 ~ V8).

프로젝트 성과 인자는 1) 사업 수행 경험 및 2) 사업 성공 가능성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업 수행 경험은 해외건설사업 계약의 양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V9~V10), 사업 성공 가능성은 해외건설사업의 질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V11~V14).Project performance factor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1) project execution experience and 2) business success probability. Business experience is focused on quantitative aspects of overseas construction contracts (V9 ~ V10), and the possibility of business success is analyzed focusing on qualitative aspects of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V11 ~ V14).

이하에서는 국가 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에 포함되는 개별 인자(varible:V1 ~ V14)에 대한 설명과 그 평가값의 산정방법의 예를 설명한다.The following explains the individual factors (varible: V1 to V14) included in the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 and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 and gives an example of how to calculate the evaluation value.

[V1] 각 국가의 현재 건설사업 수행 규모를 의미하며, IHS Global Insight(GI)의 과거 및 예측 자료를 활용하여 US dollar의 자연로그 값으로 산정한다.[V1] It refers to the size of the current construction project in each country. It is calculated as the natural log value of the US dollar using the past and forecast data of IHS Global Insight (GI).

[V2] 미래 건설시장의 규모 변화율 예측값을 의미하며, 각 국가의 건설시장에 대한 전문가들의 분석에 기반하여 건설시장의 연평균 성장률(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을 계산한다.[V2] This is a predicted value of the scale change rate of the future construction market, and calculates the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of the construction market based on the analysis of experts in each country's construction market.

[V3] 건설시장이 얼마나 안정성이 있는가를 평가하며 변동성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과거 건설시장 데이터의 변동률(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2
)을 1에서 뺀 값으로 계산한다. (i.e.,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3
)[V3] It evaluates how stable the construction market is and contrasts with the volatility. Variability of past construction market data (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2
) Is subtracted from 1. (ie,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3
)

[V4] 건설시장 내에서의 경쟁강도를 의미하며, 국내 기업의 관점에서 Engineering News Record(ENR)과 해외건설협회의 자료를 바탕으로 경쟁업체의 수를 산출한다.[V4] This means the intensity of competition within the construction market, and from the perspective of domestic companies, it calculates the number of competitors based on the data from the Engineering News Record (ENR) and the Overseas Construction Association.

[V5] 각 국가의 정치 제도 안정성을 평가하며 World Bank의 세계 통치 지표(WGI) 자료를 활용한다. 세계 통치 지표(WGI)는 각 국가마다 민권 및 언론자유도(voice and accountability), 정치적 안정성(political stability and absence of violence), 정부의 효율성(government effectiveness), 법 및 규제의 완성도(regulatory quality), 준법 수준(rule of law) 및 부패의 통제(control of corruption)의 항목에서 각각 -2.5(취약)에서 +2.5(우수) 사이의 점수를 부여하는 정보로서, 세계은행의 홈페이지로부터 스프레드시트 파일로 획득할 수 있다.[V5] Assess the stability of political systems in each country and use the World Bank's World Government Index (WGI) data. The World Governance Index (WGI) is a system of governance, governance, legislative and regulatory quality, democracy and democracy, Information that gives scores between -2.5 (weak) and +2.5 (excellent) in the items of the rule of law and control of corruption, obtained from the World Bank's homepage as a spreadsheet file can do.

세계 통치 지표의 6개 평가 항목들의 각각의 평가 수치들(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4
, i는 1≤i≤6인 정수)을 [-2.5, +2.5]에서 [0, +100] 구간으로 변환한 다음 산술 평균하여 산출할 수 있다.Each of the six evaluation items of the global governance index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4
, i is an integer satisfying 1? i? 6) from [-2.5, +2.5] to [0, +100] and then arithmetically averaged.

[V6] 각 국가에서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안정성을 평가하며, World Bank의 사업 환경 지표(DBI) 자료를 활용한다. 사업 환경 지표(DBI)는 세계은행(World Bank)과 국제금융공사(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에서 공동으로 세계 185 개국의 사업 용이성에 관하여 매년 발표하는 자료로 함께 제공되는 DF(stance to frontier) 값들을 사용한다. [V6] Evaluate the stability in carrying out business in each country, and utilize World Bank's business environment index (DBI) data. The Business Environment Index (DBI) is a joint statement of the World Bank and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annually published on the ease of business of 185 countries, using the provided stance to frontier (DF) values. do.

사업환경 지표(DBI)는 각국의 기업 활동 관련 법규정에 대한 평가를 기초로 하여 주재국의 현 기업 환경과 타국과의 상대적 수준을 평가하는 데에 유용하며, 기업의 설립(starting a business), 건설 인허가(dealing with construction permits), 전력 수급(getting electricity), 재산권 등록(registering property), 금융 접근성(getting credit), 투자자 보호(protecting investors), 세금 지불(paying taxes), 국제 무역(trade across borders), 계약 이행(enforcing contracts), 부채 해결(resolving insolvency)의 총 10가지 항목에 대한 개별적 평가와 순위, 종합 순위를 제공한다.The DBI is useful for assessing the relative status of the host country and the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of the host country based on the evalu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business activities in each country. Dealing with construction permits, getting electricity, registering property, getting credit, protecting investors, paying taxes, trade across borders, , Enforcing contracts, and resolving insolvency, as well as a comprehensive ranking of the ten items.

이 평가값들 또는 그 순위는 각 항목들의 평가 기준이 상이하기 때문에 국가간 상대 비교는 가능하지만 절대적 수준의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세계은행은 가장 사업이 용이한(best performance) 국가와 특정 국가 사이의 점수 격차를 0부터 100 사이의 값으로 나타내는 선두 국가 대비 격차값(DF)을 함께 제공한다. 사업환경 지표(DBI)의 10개 평가 항목들과 함께 발표되는 각 평가 항목들의 선두 국가 대비 격차값들(DF)을 별다른 변환 없이 산술 평균하여 전반적 사업수행 안정성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Since these evaluation values or their rankings are different in the evaluation criteria of each item, it is possible to make relative comparisons between countries but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absolute level. To solve this problem, Provide a gap value (DF) relative to the leading country in which the score gap between a country and a particular country is between 0 and 100. The overall business performance stability index can be calculated by arithmetically averaging the gap values (DF) relative to the leading countries of each of the evaluation items presented together with the 10 evaluation items of the business environment index (DBI) without any conversion.

[V7] 각 국가의 제품, 서비스, 자본, 사람, 정보 등이 이동에 대한 용이성을 평가하며, CEPII의 Institutional Profiles Database(IPD) 자료를 활용한다. IPD는 사람 및 정보 이동의 자유(public institutions and civil society), 무역의 자유(the market for goods and services), 자산의 자유(the capital market), 근로자 이동의 자유(the labor market and social relations)의 총 4가지 항목에 대한 평가를 0(폐쇄적) ~ 4(개방적) 범위로 제공한다.[V7] Evaluate the ease of movement of products, services, capital, people, and information in each country and utilize the Institutional Profiles Database (IPD) data from CEPII. The IPD is a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and civil society, the market for goods and services, the capital market, and the labor market and social relations. A total of 4 items are evaluated in a range of 0 (closed) to 4 (open).

[V8] 건설 산업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보상을 의미하며, IHS Global Insight(GI) 자료를 활용한다. GI에서는 건설산업 관점에서의 리스크(정치(political), 경제(economic), 법(legal), 세금(tax), 운영(operational), 안전(security))를 고려하여 리스크 점수(risk score)를 제공한다. V8은 100에서 리스크 점수(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5
)를 뺀 값으로(i.e., 1-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6
), 0(낮은 보상) ~ 100(큰 보상)으로 평가한다. [V8] Refers to compensation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utilizes IHS Global Insight (GI) data. GI provides a risk score in consideration of risks (political, economic, legal, tax, operational, secur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do. V8 has a risk score of 100 (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5
) (Ie, 1-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6
), 0 (low compensation) to 100 (large compensation).

[V9] 각 국가별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한국 기업의 해외건설 프로젝트 누적 계약 건수를 의미하며, 해외건설협회 자료를 활용한다.[V9] This refers to the cumulative number of contracts for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of Korean companies over the 25 years from 1990 to 2014 in each country.

[V10] 각 국가별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한국 기업의 해외건설 프로젝트 누적 수주액을 의미하며, 해외건설협회 자료를 활용하여 US dollar의 자연로그 값으로 산정한다.[V10] This is the cumulative amount of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of Korean companies for 25 years from 1990 to 2014 in each country. It is calculated as the natural log value of US dollar using the data of overseas construction association.

[V11] 각 국가별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한국 기업의 해외건설 프로젝트 입찰 대비 수주에 성공한 계약의 비율을 의미하며, 해외건설협회 자료를 활용한다. [V11] This refers to the percentage of contracts that succeeded in winning orders for Korean companies'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s from 1990 to 2014 for 25 years.

[V12] 각 국가에서의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한국 기업의 수익률의 평균을 의미하며, 해외건설협회 자료를 활용한다.[V12] This means the average of Korean companies' returns over 25 years from 1990 to 2014 in each country.

[V13] 각 국가별 얼마나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가를 평가하며, 각 국가에서의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한국 기업의 수익의 불확실성(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7
)를 1에서 뺀 값으로 계산한다. (i.e., 1-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8
) 수익의 불확실성은 수익률의 표준편차로 계산한다.[V13] To assess how stable income can be obtained by each country, and to estimate the uncertainty of Korean companies' profits for 25 years from 1990 to 2014 in each country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7
) Is subtracted from 1. (ie, 1-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8
) The uncertainty of profit is calculated a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turn.

[V14] 각 국가별 사업 성공 빈도를 의미하며, 각 국가에서의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완료된 흑자 프로젝트의 비율을 산출한다.[V14] means the frequency of business success in each country, and calculates the percentage of completed surplus projects in each country from 1990 to 2014 for 25 years.

가중치 결정 단계 (Determine the weights)((b) 단계)Determine the weights (step (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서 (b) 단계는 가중치 결정부(120)가 퍼지 린프리라 기반 분석적 계층화 기법(fuzzy LinPreRa-base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국가매력도 인자(W1 C,W2 C,···WM C)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W1 P,W2 P,···WN P)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즉, 첫 번째 단계에서 선택된 인자를 대상으로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인자 간 중요성 평가가 진행되고 이를 바탕으로 가중치가 계산된다.In step (b), the weight determin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fuzzy LinPreRa-base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is used in the ordering country evaluation method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 1 C , W 2 C , ... W M C ) and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s (W 1 P , W 2 P , ... W N P ) . That is, the significance evaluation between the factor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decision-maker about the factor selected in the first step, and the weight is calculated based on this.

특히, 상술한 (b) 단계에서 단순 AHP 방식과 달리 fuzzy AHP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언어적 변수가 가지고 있는 '애매함'을 수학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의사결정자의 주관적 판단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모든 변수들에 대한 평가가 진행되어야 하는 fuzzy AHP와 달리 퍼지 린프리라 기반 분석적 계층화 기법(fuzzy LinPreRa based AHP)을 사용하여 n-1개의 변수만 평가하면 나머지 값들이 수식에 의해 자동적으로 계산되게 함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했다.In particular, in the step (b) described above, unlike the simple AHP method, by using the fuzzy AHP technique, the 'ambiguity' of the linguistic variable is mathematically expressed to more accurately reflect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decision maker. (Fuzzy LinPreRa based AHP) is used to evaluate only n-1 variables, the rest of the values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by the formula,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

(b) 단계로서, 가중치 설정 단계는 총 3단계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b), the weight setting step has the following three steps in total.

단계 1: 퍼지 판단 매트릭스 결정(Determine the fuzzy judgment matrices)Step 1: Determine the fuzzy judgment matrices

단계 1로서 퍼지 판단 매트릭스 결정 단계는 의사결정자에 의해서 선택된 변수들을 바탕으로 쌍대비교행렬(pairwise comparison matrix)를 구성하고, 선택된 인자들(n개) 간 상대적 중요성을 [표 2]와 같이 언어적 표현으로 평가하여 퍼지 판단 매트릭스(fuzzy judgment matrix)를 생성한다. 이때, n-1개 변수만을 평가하며, 나머지 행렬의 경우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자동적으로 계산되어 비교행렬을 채우게 된다.As a first step, the fuzzy decision matrix determination step constitutes a pairwise comparison matrix based on the parameters selected by the decision maker, and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selected factors (n) And generates a fuzzy judgment matrix. At this time, only n-1 variables are evaluated, and the remaining matrices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to fill the comparison matrix.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9
Figure 112016041572932-pat00009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0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0

단계 2: 매트릭스 변환(Transform the obtained matrices for the variables) Step 2: Transform the obtained matrices for the variables

단계 2로서 매트릭스 변환 단계는 퍼지 판단 매트릭스(fuzzy judgment matrix)의 퍼지 수를 [수학식 2]의 변환 함수(transformation function)를 통해 [0,1] 범위로 표준화하는 단계이다. (i.e., f : [-c, 1+c] → [0, 1]) Step 2 is a step of normalizing the fuzzy number of the fuzzy judgment matrix to a range of [0, 1] through a transformation function of Equation (2). (i.e., f: [-c, 1 + c] - > [0, 1]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1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1

단계 3: 가중치 산출(Calculate the weights of the variables) Step 3: Calculate the weights of the variables

단계 3으로서, 가중치 산출 단계는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가중치 계산식은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As step 3, the weight calculation step is a step of calculating a weight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The weight calculation equation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2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2

여기서,

Figure 112017107253358-pat00013
= 각 인자들의 가중치(fuzzy weight) 값으로 수학식 1의 삼각퍼지 값(
Figure 112017107253358-pat00037
)들을 통해 계산되기 때문에
Figure 112017107253358-pat00038
총 3개의 값을 가진다.
Figure 112017107253358-pat00014
='인자i'에 대한 퍼지 값
Figure 112017107253358-pat00039
(fuzzy comparison value)들의 평균값이고,
Figure 112017107253358-pat00015
='인자i'에 대한 가중치(fuzzy weight)의 평균값으로 최종 가중치(defuzzified weights)이다. 또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0
은 수학식 1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퍼지 수이다.
여기서, 퍼지 숫자에 대한 기호의 계산 방식은 아래와 같이 계산한다.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1
here,
Figure 112017107253358-pat00013
= The trigonometric fuzzy value of the equation (1) as the fuzzy weight value of each factor
Figure 112017107253358-pat00037
)
Figure 112017107253358-pat00038
There are three values in total.
Figure 112017107253358-pat00014
= Fuzzy value for 'argument i'
Figure 112017107253358-pat00039
(fuzzy comparison values)
Figure 112017107253358-pat00015
= The mean of the fuzzy weights for 'factor i', which is the final weight (defuzzified weights). In addition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0
Is the fuzzy number of the fuzzy determination matrix of Equation (1).
Here,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symbol with respect to the fuzzy number is calculated as follows.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 결정 단계에서 쌍대비교행렬(pairwise comparison matrix)의 예시를 나타낸 결과이고, 도 4는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예를 나타낸 결과이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 pairwise comparison matrix in the fuzzy decision matrix determination step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an example of a fuzzy decision matrix.

도 3의 (a)는 국가 매력도 인자의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의 결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의 (a)는 국가 매력도 인자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예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예를 나타낸다.Figure 3 (a) shows the results of pairwise comparisons of national attractiveness factors, and Figure 3 (b) shows the results of pairwise comparisons of project performance factors. 4 (a) shows an example of a fuzzy judgment matrix of a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 and Fig. 4 (b) shows an example of a fuzzy judgment matrix of a project performance facto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매트릭스 변환단계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도 3의 (b)에 대한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변환 결과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도 4의 (a)에 대한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변환 결과이다. 5 shows the result of the matrix transformation step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shows the result of conversion of the fuzzy judgment matrix of Fig. 3B, and Fig. 5B shows the result of the conversion of the fuzzy judgment matrix of Fig. 4A.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자의 가중치를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다.FIG. 6 shows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weights of factors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준화 점수 산출 단계(Assign standardized score)((c) 단계)Assign standardized score (step (c))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서 (c) 단계는 인자값 평가부(130)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와 같은 객관적인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발주국가들의 국가매력도 인자(Zi1 C,Zi2 C,···ZiM C)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Zi1 P,Zi2 P,···ZiN P)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In step (c) of the method of evaluating an ordering country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tor value evaluating unit 130 uses the objective actual data such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country data, It is also a step of calculating a parameter (C Z i1, Z i2 C, ··· Z iM C) and project performance factor (P Z i1, Z i2 P, ··· Z iN P) score.

여기서,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는, 국가 특성을 반영하는 자료와 건설 산업을 반영하는 자료를 모두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객관적인 실제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외부의 건설산업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건설산업정보DB로서, 세계은행(World Bank), IHS Global Insight(GI), Engineering News Record(ENR) 등과 같은 공신력 있는 국제기관의 자료뿐만 아니라, 해외건설협회에서 제공한 설계 및 시공사의 해외건설 프로젝트 수행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해외 건설산업의 평가에 사용되는 자료에 대비하여, 방대한 자료 사용함으로써, 자료의 질 및 양적인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다.Here, national data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includes data reflecting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data reflect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order to collect such actual data, a number of construction industry information DBs, in which external construction industry information is stored, are used to collect information such as the World Bank, IHS Global Insight (GI) and Engineering News Record (ENR)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data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project of the design and construction company provided by the overseas construction association as well as the data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By using vast amounts of data in comparison with the data used in the evaluation of the conventional overseas construction industry,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of data.

그리고, Zim C는 '국가 i' 의 m번째 국가 매력도 인자의 평가점수를 의미하며, Zin P는 '국가 i' 의 n번째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평가점수를 의미한다. M과 N은 각각 의사결정자가 선택한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개수를 의미한다.And, Z im C means the score of the mth national attractiveness factor of 'country i', and Z in P means the score of the n th project performance factor of 'country i'. M and N are the number of national attractiveness factors and project performance factors selected by the decision maker, respectively.

특히 해당 인자들의 단위(scale)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4번째 단계에서 최종 합산 점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비교 가능한 단위(comparable standard scale)가 사용되어야 한다. 본 모델에서는 standard deviation method를 활용하여 발주국가들 간의 상대적인 차이를 측정하여 표준화 점수로 평가하였으며, '국가 i'에 대한 '인자 j'의 표준화 점수는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계산된다.Since the scale of the factors is different, a comparable standard scale should be used to compute the final total score in the fourth step. In this model, the standard deviation method is used to measure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ordering countries, and the standardized score is evaluated. The standardized score of the factor j for the country i is calculated as follows.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6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6

여기서,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7
= '국가 i'에 대한 '인자 j'의 원래(Original) 점수이고,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8
= 후보 국가들의 '인자 j'의 평균 점수이고,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9
= 후보 국가들의 '인자 j'의 표준편차이다.here,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7
= Original score of 'factor j' for 'country i'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8
= The average score of the 'factor j' of the candidate countries,
Figure 112016041572932-pat00019
=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factor 'j' in the candidate countries.

종합 점수 산출 단계(Calculate the final aggregated score)((d) 단계)Calculate the final aggregated score (step (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서 (d) 단계는 인자값 평가부(130)가 (b) 단계에서 계산한 가중치(Wi C,Wi P)와 세 번째 단계에서 계산한 표준화 점수(Zi C,Zi P)를 통해 후보 국가별로 국가매력도(Si C)와 프로젝트 성과(Si P)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In step (d), the factor value evalu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weight values W i C and W i P calculated in step (b) (S i C ) and project performance (S i P ) scores for each candidate country through the standardized scores (Z i C , Z i P ) calculated in the third step.

국가매력도(Si C) 점수와 프로젝트 성과(Si P) 점수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된다.The national attractiveness (S i C ) score and the project performance (S i P ) score are calculated as follows: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2

여기서,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3
='국가i'에 대한 국가 매력도 점수이며,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4
='국가i'에 대한 프로젝트 성과 점수이고, M=인자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의 총 개수이고, N=인자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총 개수이고,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5
,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6
는 상기 (b) 단계에서 계산한 가중치로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7
='m번째 국가 매력도 인자'에 대한 가중치이며,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8
='n번째 프로젝트 성과 인자'에 대한 가중치이고,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9
,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0
는 (c) 단계에서 계산한 표준화 점수로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1
='국가i' 및 'm번째 국가 매력도 인자'에 대한 표준화 점수이며,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2
='국가i' 및 'n번째 프로젝트 성과 인자'에 대한 표준화 점수이다.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2

here,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3
= National attractiveness score for 'country i'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4
= The project performance score for country i, M = the total number of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s selected at the factor selection stage, N = the total number of project performance factors selected at the factor selection stage,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5
,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6
Is a weight value calculated in the step (b)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7
= 'weight for the m-th country charm factor'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8
= 'weight for' nth project performance factor '
Figure 112017107253358-pat00049
,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0
Is the standardized score calculated in step (c)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1
= Standardized score for 'country i' and 'm-th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2
= Standardization score for 'Country i' and 'nth project performance factor'.

삭제delete

국가 분류 및 평가 단계(Classify the countries)((d) 단계)Classify the countries (step (d))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서 (e) 단계는 평가정보 생성부(140)가 국가매력도(Si C)와 프로젝트 성과(Si P)를 나타내는 이차원 평면을 활용하여 후보 국가들을 다수개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단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 의해 생성된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 평가정보를 나타낸다.Examples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decision ordering stations in the evaluation step (e) for decision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0 country charm that represents the (S i C) and Project Performance (S i P) It is a step of classifying the candidate countries into a plurality of types by utilizing the two-dimensional plane. FIG. 7 shows evaluation information of an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ordering country generated by an ordering country evaluation method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가 분류 유형은 다음과 같다. As shown in Fig. 7, the country classification type is as follows.

[Type 1] 높은 리스크, 낮은 보상 국가 (High Risk, Low Reward; Si C < α and Si P < β)[Type 1] High Risk, Low Reward (S i C <α and S i P < beta)

[Type 2] 높은 리스크, 높은 보상 국가 (High Risk, High Reward; Si C < α and Si P ≥ β)[Type 2] High Risk, High Reward (S i C <α and S i P ≥ β)

[Type 3] 낮은 리스크, 낮은 보상 국가 (Low Risk, Low Reward; Si C ≥ α and Si P < β)[Type 3] Low Risk, Low Reward (S i C ≥ α and S i P < beta)

[Type 4] 낮은 리스크, 높은 보상 국가 (Low Risk, High Reward; Si C ≥ α and Si P ≥ β)[Type 4] Low Risk, High Reward (S i C ≥ α and S i P ≥ β)

이때, α와 β는 국가매력도와 프로젝트 성과를 구분 짓는 포인트(cut-off points)로써, α=0, β=0이 의미하는 것은 분석 후보 국가의 국가매력도(Si C), 프로젝트 성과 (Si P)의 평균수준을 나타낸다. 이는 국가매력도와 프로젝트 성과의 최종점수는 각 국가의 상대적 위치를 평가하는 표준화된 점수이기 때문이다. ((d) 단계 참조) In this case, α and β are the cut-off points that distinguish national attractiveness from project performance. Α = 0 and β = 0 mean the country attractiveness (S i C ), project performance S i P ). This is because the final score of national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 is a standardized score that assesses the relative position of each country. (see step (d)).

의사결정자의 선호도에 따라 컷-오프 포인트 (α, β)의 조정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2×2 분류뿐 아니라 2×3 분류(α, β1, β2), 3×3 분류(α1, α2, β1, β2) 등 의사결정자의 판단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국가 분류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decision maker-cut it can be adjusted off point (α, β), and further 2 × 2 classification as well as the 2 × 3 classification (α, β 1, β 2 ), 3 × 3 classification (α 1 , α 2 , β 1 , β 2 ), and so o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평가 시스템 110: 인자 선택부
120: 가중치 결정부 120: 인자값 평가부
140: 평가정보 생성부
100: Evaluation system 110:
120: weight determining unit 120:
140: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Claims (15)

(a) 인자 선택부가 사용자에 의해 해외 건설사업 진출 후보 국가별로 다수의 국가 매력도 인자와 다수의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선택하는 단계;
(b) 가중치 결정부가 퍼지(Fuzzy) 기법을 이용하여 각 국가별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단계;
(c) 인자값 평가부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국가별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인자값 평가부가 각 국가별 생성된 상기 가중치와 산출된 상기 표준화 점수를 통해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평가정보 생성부가 산출된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선택된 인자들을 바탕으로 선택된 인자들 간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fuzzy judgement matrix)를 생성하는 단계;
(b2) 상기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퍼지 수를 변환하여 표준화하는 단계; 및
(b3) 표준화된 퍼지 수를 바탕으로 선택된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각 국가별 상기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식은,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3

(여기서,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4
='국가i'에 대한 국가 매력도 점수이며,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5
='국가i'에 대한 프로젝트 성과 점수이고, M=인자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의 총 개수이고, N=인자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총 개수이고,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6
,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7
는 상기 (b) 단계에서 계산한 가중치로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8
='m번째 국가 매력도 인자'에 대한 가중치이며,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9
='n번째 프로젝트 성과 인자'에 대한 가중치이고,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0
,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1
는 상기 (c) 단계에서 계산한 표준화 점수로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2
='국가i' 및 'm번째 국가 매력도 인자'에 대한 표준화 점수이며,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3
='국가i' 및 'n번째 프로젝트 성과 인자'에 대한 표준화 점수이다.)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a) selecting a plurality of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s and a plurality of project performance factors for each of the candidate countries for entering the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by the user of the factor selection unit;
(b) weighting determining a weight between the factors of the selected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s of each country and a weight between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s using a fuzzy technique;
(c) Evaluating the factor value Using the national data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calculating the standardization score of the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 and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 for each country;
(d) calculating the national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 score of each country through the factor value evaluating unit and the standardized score calculated for each country; And
(e) generat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the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owner's country through the national attractiveness and the project performance score of each country calculated by the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he step (b)
(b1) generating a fuzzy judgment matrix between selected factors based on the selected factors;
(b2) converting and standardizing the fuzzy number of the fuzzy determination matrix; And
(b3) calculating a weight between the selected factors based on the normalized fuzzy number;
In the step (d),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national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 score for each country is: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3

(here,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4
= National attractiveness score for 'country i'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5
= The project performance score for country i, M = the total number of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s selected at the factor selection stage, N = the total number of project performance factors selected at the factor selection stage,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6
,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7
Is a weight value calculated in the step (b)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8
= 'weight for the m-th country charm factor'
Figure 112017107253358-pat00059
= 'weight for' nth project performance factor '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0
,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1
Is the standardized score calculated in the step (c)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2
= Standardized score for 'country i' and 'm-th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3
= Standardized score for 'country i' and 'n th project performance factor')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ordering country for the decision support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국가 매력도 인자는,
건설사업의 시장 동향 및 전망 정보에 관한 것으로, 건설시장 규모(V1), 건설시장 성장율(V2), 건설시장 안정성(V3) 및 건설시장 경쟁도(V4)의 정보; 및
제도적 시스템 정보에 관한 것으로, 정치 제도 안정성(V5), 사업 수행의 안정성(V6), 시장 개방 정도(V7) 및 건설 시장 보상(V8)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a)
The national attractiveness factor,
Information on market trends and forecasts of construction projects, including information on construction market size (V1), construction market growth rate (V2), construction market stability (V3), and construction market competition (V4); And
It is related to institutional system information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tability of the political system (V5), stability of business performance (V6), market opening degree (V7), and construction market compensation (V8) Evaluation method of ordering country f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성과 인자는,
사업 수행 경험 정보에 관한 것으로, 누적 입찰수(V9), 누적 계약량(V10)의 정보; 및
사업 성공 가능성 정보에 관한 것으로, 입찰 적중률(V11), 수익률 평균(V12), 수익의 안정성(V13) 및 완료된 프로젝트의 흑자 비율(V14)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s are:
Inform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experience information, cumulative number of bids (V9), cumulative contract amount (V10) information; And
And information on the business success probabilit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bid hit ratio (V11), the average rate of return (V12), the stability of the profit (V13), and the surplus ratio of the completed project (V14) Evaluation method of ordering country f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퍼지 기법은,
퍼지 린프리라 기반 분석적 계층화 기법(fuzzy LinPreRa based AH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b), the fuzzy technique may include:
Fuzzy LinPreRa based AHP based on Fuzzy LinPreRa based AHP metho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인자값 평가부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국가별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평가값을 후보 국가들 간의 상대적인 차이를 도출하기 위해, 표준 분산 방법(standard deviation method)을 이용하여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c)
In order to derive the relative differences between candidate countries and the evaluation values of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s using the country data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factor evaluation unit is standardized using the standard deviation method Where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core includes calculating the score of the cli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선택된 상기 인자들을 바탕으로 쌍대비교행렬(pairwise comparison matrix)을 구성하는 단계; 및
선택된 인자들 간 상대적 중요도를 언어적 표현으로 평가하여 퍼지 판단 매트릭스(fuzzy judgement matrix)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b1)
Constructing a pairwise comparison matrix based on the selected factors; And
And evalu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elected factors with a linguistic expression to generate a fuzzy judgment matrix. &Lt; Desc / Clms Page number 19 &g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서, 상기 가중치를 산출하는 식은,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4

(여기서,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5
= 각 인자들의 가중치(fuzzy weight) 값이고,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6
='인자i'에 대한 퍼지 값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7
(fuzzy comparison value)들의 평균값이고,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8
='인자i'에 대한 가중치(fuzzy weight)의 평균값으로 최종 가중치(defuzzified weights)이며,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9
은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퍼지 수이다.)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b3), the weighting-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4

(here,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5
= The value of the fuzzy weight of each factor,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6
= Fuzzy value for 'argument i'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7
(fuzzy comparison values)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8
= The average of the fuzzy weights for 'factor i', which is the final weight (defuzzified weights)
Figure 112017107253358-pat00069
Is the fuzzy number of the fuzzy decision matrix.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ordering country for the decision support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는 식은,
Figure 112016041572932-pat00025

(여기서,
Figure 112016041572932-pat00026
= '국가 i'에 대한 '인자 j'의 원래(Original) 점수이고,
Figure 112016041572932-pat00027
= 후보 국가들의 '인자 j'의 평균 점수이고,
Figure 112016041572932-pat00028
= 후보 국가들의 '인자 j'의 표준편차이다.)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tep (c), the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standardization score may include:
Figure 112016041572932-pat00025

(here,
Figure 112016041572932-pat00026
= Original score of 'factor j' for 'country i'
Figure 112016041572932-pat00027
= The average score of the 'factor j' of the candidate countries,
Figure 112016041572932-pat00028
= Standard deviation of 'factor j' for candidate countries.)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ordering country for the decision support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해외 건설사업 후보국가 평가정보는,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점수와 프로젝트 성과 점수로 나타나는 정보를 바탕으로 각 후보 국가들을 다수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생성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e)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for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Wherein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classifying each of the candidate countries into a plurality of types based on the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e national attractiveness score and the project performance score of each country.
사용자에 의해 해외 건설사업 진출 후보 국가별로 다수의 국가 매력도 인자와 다수의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선택하는 인자 선택부;
퍼지(Fuzzy) 기법을 이용하여 각 국가별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가중치 결정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국가별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고, 각 국가별 생성된 상기 가중치와 산출된 상기 표준화 점수를 통해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인자값 평가부; 및
산출된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평가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중치 결정부는, 선택된 인자들을 바탕으로 선택된 인자들 간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fuzzy judgement matrix)를 생성하고, 상기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퍼지 수를 변환하여 표준화하며, 표준화된 퍼지 수를 바탕으로 선택된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산출하며;
상기 인자값 평가부는,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0

(여기서,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1
='국가i'에 대한 국가 매력도 점수이며,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2
='국가i'에 대한 프로젝트 성과 점수이고, M=인자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의 총 개수이고, N=인자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총 개수이고,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3
,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4
는 상기 가중치 산출부에서 결정된 가중치로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5
='m번째 국가 매력도 인자'에 대한 가중치이며,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6
='n번째 프로젝트 성과 인자'에 대한 가중치이고,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7
,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8
는 상기 인자값 평가부에서 산출된 표준화 점수로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9
='국가i' 및 'm번째 국가 매력도 인자'에 대한 표준화 점수이며,
Figure 112018035872604-pat00080
='국가i' 및 'n번째 프로젝트 성과 인자'에 대한 표준화 점수이다.)
상기 식을 이용하여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 시스템.
A factor selection section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s and a plurality of project performance factors for each candidate country to enter the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by the user;
A weight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weight between the factors selected by the country attracting factors of the respective countries using a fuzzy technique and a weight between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s and generating the weight;
The national attractiveness factor and the project performance factor of each country are calculated by using the national data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national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 score of each country are calculated through the weight value generated by each country and the standardized score thus calculated A parameter value evaluating unit for calculating a parameter value; And
And an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owner through the calculated national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 score of each country,
The weight determining unit generates a fuzzy judgment matrix between selected factors based on the selected factors, transforms and standardizes the fuzzy number of the fuzzy determination matrix, and calculates a weight value between the selected factors based on the normalized fuzzy number Calculate a weight;
Wherein the factor value evaluation unit comprises: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0

(here,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1
= National attractiveness score for 'country i'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2
= The project performance score for country i, M = the total number of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s selected at the factor selection stage, N = the total number of project performance factors selected at the factor selection stage,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3
,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4
Is a weight determined by the weight calculating unit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5
= 'weight for the m-th country charm factor'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6
= 'weight for' nth project performance factor '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7
,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8
Is a standardized score calculated by the factor evaluation unit
Figure 112018035872604-pat00079
= Standardized score for 'country i' and 'm-th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
Figure 112018035872604-pat00080
= Standardized score for 'country i' and 'n th project performance factor')
The system evaluating system of the ordering country for the decision support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national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 score of each country by using the above equation.
삭제delet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평가정보 생성부는,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점수에 따른 프로젝트 성과 점수로 나타나는 정보를 바탕으로 각 후보 국가들을 다수개의 분류하여 생성되는 상기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가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evalu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And generat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construction company which is generated by classifying a plurality of candidate countries into the plurality of the candidate countrie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project performance score according to the national attractiveness score of each country Evaluation system for the ordering country.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1의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Combined with hardware,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mplementing an ordering country evaluation method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of an overseas construction company of claim 1.
KR1020160053091A 2016-04-29 2016-04-29 Host count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erprises KR101856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091A KR101856550B1 (en) 2016-04-29 2016-04-29 Host count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erpri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091A KR101856550B1 (en) 2016-04-29 2016-04-29 Host count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erpri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873A KR20170123873A (en) 2017-11-09
KR101856550B1 true KR101856550B1 (en) 2018-05-10

Family

ID=6038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091A KR101856550B1 (en) 2016-04-29 2016-04-29 Host count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erpri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5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022B1 (en) * 2019-03-07 2022-07-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Designing Global Supply Chain
CN112734221A (en) * 2021-01-06 2021-04-30 安徽易测评信息技术有限公司 Statistical calculation method for estimating task quantity of each responsibility unit based on civilized city assessment i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873A (en)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integrated reporting and firm valuation
Ganguly et al. A fuzzy AHP approach for inbound supply risk assessment
Rashid et al. Predicting Bankruptcy in Pakistan.
US7664693B1 (en) Financial methodology for the examination and explanation of spread between analyst targets and market share prices
Efimova Integrating sustainability issues into investment decision evaluation
US20220343433A1 (en) System and method that rank businesses in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Çepni et al. The role of an aligned investor sentiment index in predicting bond risk premia of the US
Ahmadi et al. Sustainable portfolio optimization model using promethee ranking: A case study of palm oil buyer companies
Bruni et al. Lending decisions under uncertainty: a DEA approach
Moon et al. Technology credit rating system for funding SMEs
Chikunov et al. Financial risks of Russian oil companies in conditions of volatility of global oil prices
Chowdhury et al. Applicability of Prediction Techniques in the Stock Market-A Chittagong Stock Exchange Perspective
Miciuła The concept of FTS analysis in forecasting trends of exchange rate changes
KR101856550B1 (en) Host count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erprises
Eltinay et al. understanding impact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measurements in Sudanese banks’ performance
Salas-Molina et al. Data-driven multiobjective decision-making in cash management
Rafał et al. Forecasting bankruptcy risk of international commercial road transport companies
KR1018613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host country classific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KR20180104967A (en) Investment Value Index and Model
Caia et al. MODELING A BUSINESS INTELLIGENCE SYSTEM FOR INVESTMENT PROJECTS.
LENORT et al. Concept of a system for resilience measurement in industrial supply chain
Østrup-Møller et al. Impact of ESG ratings on stock performance & resiliency
Pritam et al. An efficient portfolio management for trading under uncertain environment
Ma et al. Financial distress and service decisions: Empirical evidence from the US domestic airlines
Jonek-Kowalska Effectiveness of Enterprise Risk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