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383B1 - Appa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based protoco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based protoc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383B1
KR101854383B1 KR1020170078622A KR20170078622A KR101854383B1 KR 101854383 B1 KR101854383 B1 KR 101854383B1 KR 1020170078622 A KR1020170078622 A KR 1020170078622A KR 20170078622 A KR20170078622 A KR 20170078622A KR 101854383 B1 KR101854383 B1 KR 10185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channel number
main control
stora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라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라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라곤
Priority to KR1020170078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3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3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channels
    • H04L61/152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mplemented by a protocol-based infinite channel.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capable of implementing expandability of an input channel by implementing channel expansion through a protocol comprises: a speaker outputting audio; a USB port to which a USB storage and a mass storage are connected, wherein, the USB storage is an external storage storing a digital sound source; an internal storage 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a wired/wireless transmitting/receiving unit receiving a channel selection signal from an external management device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 main control unit extracting a sound source having a memory address matched with a channel number grasped in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from a digital sound source storage including the USB storage, the mass storage, and the internal storage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sound source to a sound source codec unit; and the sound source codec unit re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to analog audio and outputting the analog sound through the speaker.

Description

프로토콜 기반의 무한채널 구현되는 음성통신 방송 장치{Appa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based protoco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시그널 보이스폰과 같은 음성통신 방송 장치로서, 음성 등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음성통신 방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such as a signal voice phone, and to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such as voice.

도 1은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일 예인 시그널 보이스폰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voice phone, which is an example of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기존의 시그널 보이스폰은, Voice Synthesis LSI(Voice Synthesis IC)를 활용하고, 입력 채널이 고정형으로 3,4,8채널 고정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전에 음성 및 사운드를 메모리에 Write하고 메모리에 녹음된 음성을 다이렉트 및 앰프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입력 및 입력버튼에 의해서 3,4,8채널의 물리적인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채널을 구현하였다.Conventional signal voice phones utilize Voice Synthesis LSI (Voice Synthesis IC), and input channels are fixed type, and they are composed of 3, 4, 8 channels fixed type. Write voice and sound to memory in advance and output voice recorded in memory through direct and amplifier. For this, as shown in FIG. 1, channels are implemented as physical hardware configurations of 3, 4, and 8 channels by external input and input buttons.

기존의 시그널 보이스폰의 음성통신 방송 장치는, 방송 및 안내하고자 하는 음성신호를 메모리에 탑재 시에 ROM Write 방식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제조공장이나 제작사에서만 가능하다. 또한 통신 기반의 포트(Port)가 전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의 서버 등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채널 선택 등을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of the existing signal voice phone can be recorded only in the manufacturing factory or the manufacturer because the voice signal to be broadcast and guided is recorded by the ROM Write method when the voice signal is loaded in the memory. In addition, since a port based on a communication is not provided at all, there is a problem that a channel selection from a network system such as an external server can not be received.

따라서 기존의 시그널 보이스폰과 같은 음성통신 방송 장치는 입력 채널의 확장성이 없으며 채널을 업그레이드할 수 없어 시스템을 재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such as a conventional signal voice phone does not have the scalability of the input channel and can not upgrade the channel,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ystem must be repurchased.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5498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5498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프로토콜을 통해 채널 확장을 구현하여 입력 채널의 확장성을 가질 수 있는 음성통신 방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저 과제는 하드웨어와 프로토콜을 함께 적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채널 확장을 구현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capable of realizing expansion of a channel through a protocol and having extensibility of an input channel.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implementing a channel extension in a hybrid scheme in which hardware and protocols are applied togeth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 디지털 음원이 저장된 외부 저장체인 USB 저장체 및 대용량 저장체가 연결되는 USB 포트; 디지털 음원이 저장된 내부 저장체; 외부 관리 장치로부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채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 송수신 유닛; 상기 채널 선택 신호에서 파악되는 채널 번호에 매칭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가지는 음원을 상기 USB 저장체, 대용량 저장체, 및 내부 저장체를 포함한 디지털 음원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음원 코덱 유닛으로 전달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음원을 아날로그의 오디오로 복원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원 코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An external storage chain for storing digital sound sources; a USB port to which a USB storage device and a mass storage device are connected; An internal storage for storing a digital sound source; A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channel selection signal from an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 main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 sound source having a memory address matched with a channel number recognized in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from a digital sound source storage body including the USB storage body, the mass storage body, and the internal storage body and delivering the sound source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And a sound source codec unit for restoring the digital sound source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to analog audio and outputting the analog audio through the speaker.

상기 유무선 송수신 유닛은, 랜포트, 직병렬통신포트, 와이파이 처리단, PSTN 통신 처리 포트, PLC 통신 처리단, CAN 통신 처리단, 이동통신 처리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AN port, a serial / parallel communication port, a Wi-Fi processing terminal, a PSTN communication processing port, a PLC communication processing terminal, a CAN communic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processing terminal.

상기 유무선 송수신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선택 신호는, 네트워크 기반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패킷으로 된 신호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hanne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may be a signal based on a network-based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protocol packet.

상기 VoIP 프로토콜 패킷은, 암호화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oIP protocol packet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상기 VoIP 프로토콜 패킷은,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가 기록되는 아이덴티 필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채널번호가 기록되는 채널번호 필드; 및 음원의 음원명칭이 기록되는 파일네임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VoIP 프로토콜 패킷내의 채널번호 필드에 기록된 채널번호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oIP protocol packet includes an identity field in which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s recorded; A channel number field in which a channel number to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is recorded; And a file name field in which a sound source name of a sound source is recorded, 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extracts a channel number recorded in a channel number field in the VoIP protocol packet.

상기 음성통신 방송 장치는, 외부 입력기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선택 신호를 10진수 형태로 된 채널 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인코더로 전달하는 디코더; 및 상기 디코더로부터 수신되는 10진수 형태로 된 채널 번호를 2진수 채널 번호로 변환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 제공하는 인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인코더로부터 제공된 2진수 채널 번호에 부합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가지는 음원을 상기 USB 저장체, 대용량 저장체, 및 내부 저장체를 포함한 디지털 음원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음원 코덱 유닛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ncludes a decoder for converting a channe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input device into a channel number in the form of a decimal number and delivering the channel number to the encoder; And an encoder for converting the decoded channel number received from the decoder into a binary channel number and providing the decoded channel number to the main control unit, A sound source having a memory address is extracted from a digital sound source storage including the USB storage, the mass storage, and the internal storage, and is transferred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상기 디코더는, 상기 외부 입력기로부터 입력되는 채널 선택 신호를 Full Up/Down 방식, Edge Trigger 방식, Push Button 을 이용하여 10진수 형태로 된 채널 선택 신호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ecoder may convert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into a channel selection signal in a decimal form using a Full Up / Down method, an Edge Trigger method, and a Push Button.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2진수 채널 번호별로 할당된 메모리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2진수 채널 번호에 할당된 메모리 어드레스를 가지는 디지털 음원을 상기 디지털 음원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상기 음원 코덱 유닛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has information on a memory address assigned to each binary channel number. The main control unit extracts a digital sound source having a memory address assigned to the binary channel number from the digital sound source storage and transmits the extracted digital sound source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Can be characterized.

상기 VoIP 프로토콜 패킷은, 음원의 업로드 명령 또는 다운로드 명령이 기록되는 커맨드 필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될 음원이 기록되는 데이터 필드; 채널번호 및 음원명칭 중 어느 항목을 기준으로 할 것인지 기록한 I-플래그 필드; 다운로드 성공 여부가 기록되는 D-플래그 필드; 및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가 기록되는 스테이터스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VoIP protocol packet includes a command field in which a sound source upload command or a download command is recorded; A data field in which a sound source to be uploaded or downloaded is recorded; A channel number, and a sound source name; A D-flag field in which download success or failure is recorded; And a status field in which availability of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s recorded.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커맨드 필드에 다운로드 명령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음원을 다운로드하여 음원 코덱 유닛으로 전달하여 재생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may download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data field and transmit the downloaded sound source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so that the sound source codec unit can reproduce the sound source codec unit when a download command is recorded in the command field.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다운로드 성공 여부를 상기 I-플래그 필드에 기록하여 VoIP 프로토콜 패킷을 생성하여 외부 관리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records VoIP protocol packets in the I-flag field to indicate whether the VoIP protocol packet is successfully download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VoIP protocol packet to the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입력 채널의 확장성을 가지는 음성통신 방송 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having an input channel scalability.

도 1은 기존의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기반의 무한채널 구현되는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무선 송수신 유닛과 메인 컨트롤 유닛간의 연결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 프로토콜 패킷의 프레임 예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식의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식의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세부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8비트 입력을 처리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을 구비한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8×3 인코더와 연결된 8비트 입력 처리 메인 컨트롤 유닛을 도시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16비트, 32비트, 64비트, 128비트 입력을 처리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의 예시 그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8비트, 16비트, 32비트, 64비트, 128비트의 처리 가능 데이터 갯수를 도시한 테이블.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oIP 프로토콜 패킷의 프레임 예시 그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처리 알고리즘을 도시한 플로차트.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a wired /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of a VoIP protocol p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hybrid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hybri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having a main control unit for processing 8-bit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8-bit input processing main control unit connected to an 8x3 enco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illustration of a main control unit that processes 16-bit, 32-bit, 64-bit, 128-bit input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table showing the number of processable data of 8 bits, 16 bits, 32 bits, 64 bits, and 128 b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of a VoIP protocol p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a communication processing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기반의 무한채널 구현되는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무선 송수신 유닛과 메인 컨트롤 유닛간의 연결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oIP 프로토콜 패킷의 프레임 예시 그림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embodying a protocol based infinite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wire /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of a VoIP protocol pack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산업용 시그널 보이스폰과 같은 음성통신 방송 장치에 있어서, 기존의 채널 한계를 극복하고 음원을 활용하여 서버 기반 시스템 장치나 임베디드 시스템 또는 PLC 등의 주제어장치의 시스템 상태, 장애, 안내 등을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를 인식하고 읽어들여 스피커(500)를 통하여 출력해준다.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existing channel limitations in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such as an industrial signal voice phone, and provides a system state, a trouble, a guidance, and the like of a main control device such as a server-based system device, an embedded system, Or an external memory, and outputs the read data through the speaker 500.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음성통신 방송 장치는, 스피커(500), USB 포트(미도시), 내부 저장체(230), 유무선 송수신 유닛(300), 메인 컨트롤 유닛(100), 음원 코덱 유닛(400), 및 디스플레이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aker 500, a USB port (not shown), an internal storage unit 230, a wire /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0, a main control unit 100, a sound source codec unit 400, , And a display unit (600).

스피커(500)는, 음성, 노래, 안내멘트, 경보음, 길안내 등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모듈이다.The speaker 500 is a module for outputting audio such as voice, song, announcement, alarm sound, and guidance.

USB 포트(미도시)는 디지털 음원이 저장된 외부 저장체인 USB 저장체(210)가 연결되는 포트이다. 나아가 USB 포트(미도시)에는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체(22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음원이라 함은, 음성, 노래, 안내멘트, 경보음, 길안내 등의 다양한 음향에 대한 디지털 소스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디지털 음원이라 함은 MP3 디지털 음원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MP3 디지털 음원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디지털 음원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A USB port (not shown) is a port to which the USB storage unit 210, which is an external storage unit storing digital sound sources, is connected. Further, a mass storage device 220 such as an SSD drive (solid state drive) may be connected to a USB port (not shown). Here, the digital sound source refers to a digital source for various sounds such as voice, song, announcement, alarm, and guid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sound source refers to an MP3 digital sound source, but not only an MP3 digital sound source, but also various other digital sound sources may be applied.

내부 저장체(230)는, 디지털 음원이 저장된 저장체이다. 이러한 내부 저장체(23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음원이 저장되는 USB 저장체(210), 대용량 저장체(220), 및 내부 저장체(230)를 포함하는 다양한 저장체를 디지털 음원 저장체라 부르기로 한다.The internal storage body 230 is a storage body in which a digital sound source is stored. The internal storage 230 may be a hard disk drive, a solid state drive (SSD), a flash memory, or the like. Hereinafter, various storage units including a USB storage unit 210, a mass storage unit 220, and an internal storage unit 230 in which a digital sound source is stored will be referred to as a digital sound source storage unit.

유무선 송수신 유닛(300)은, 외부 관리 장치(10)로부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채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유닛이다. 이러한 유무선 송수신 유닛(3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랜포트, 직병렬통신포트, 와이파이 처리단, PSTN 통신 처리 포트, PLC 통신 처리단, CAN 통신 처리단, 이동통신(CDMA/GSM) 처리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관리 장치(10)는, 네트워크 기반 서버, 산업용 중앙제어장치, 임베디스 시스템 장치 등과 같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외부의 다양한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0 is a unit that receives a channel selection signal from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10 through wir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3, the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0 includes a LAN port, a serial / parallel communication port, a WiFi processing terminal, a PSTN communication processing port, a PLC communication processing terminal, a CAN communication processing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CDMA / GSM) And a processing unit. Here, the external management device 10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of various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network such as a network-based server, an industrial central control device, an embedded system device, and the like.

메인 컨트롤 유닛(100)(MCU:Main Control Unit)은 채널 선택 신호에서 파악되는 채널 번호에 매칭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가지는 음원을 USB 저장체, 대용량 저장체, 및 내부 저장체(230)를 포함한 디지털 음원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음원 코덱 유닛(400)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인코더(700)로부터 입력되는 8비트 2진수 채널 번호가 '45'에 해당할 경우, '45'를 인덱스 넘버(index number)로 하여 이에 할당된 메모리 어드레스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을 추출하여 음원 코덱 유닛(400)으로 전달한다. The main control unit 100 (MCU: Main Control Unit) transmits a sound source having a memory address matched with a channel number identified in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to a USB memory device, a mass storage device, and a digital sound source Extracts it from the storage body, and transfers it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400. For example, when the 8-bit binary channel number input from the encoder 700 corresponds to 45, the digital sound source stored in the memory address allocated to the channel number is extracted as an index number of '45'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400).

음원 코덱 유닛(400)은, 메인 컨트롤 유닛(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음원을 아날로그의 오디오로 복원하여 스피커(500)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음원이 MP3 디지털 음원인 경우 MP3 디지털 음원을 복조하는 프로토콜을 가진 음원 코덱 유닛(400)이 적용된다.The sound source codec unit 400 restores the digital sound source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00 into analog audio,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500. For example, if the digital sound source is an MP3 digital sound source, the sound source codec unit 400 having a protocol for demodulating the MP3 digital sound source is applied.

디스플레이 유닛(600)은, 디지털 음원의 정보가 표시되는 유닛으로서, LCD, 터치스크린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 유닛(100)은, 채널 번호를 디스플레이 유닛(6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피커(500)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음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unit 600 may be an LCD, a touch screen panel, or the like, as a unit for displaying digital sound source information. The main control unit 100 can display the channel number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information of the digital sound sourc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500.

한편, 외부 관리 장치(10)로부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채널 선택 신호는, 네트워크 기반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패킷으로 된 신호이다. VoIP 프로토콜 패킷은, 암호화되어 외부 관리 장치(10)에서 음성통신 방송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10 through wir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is a signal formed of a network-based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protocol packet. The VoIP protocol packet can be encrypted and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10 to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VoIP는 IP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데이터 전송의 최소 단위)으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VoIP 프로토콜을 따르는 패킷에 채널번호 등의 정보를 기록하여 외부 관리 장치(10)로부터 음성통신 방송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VoIP is a protocol that translates and transmits voice over a network using IP addresses into digital packets (the smallest unit of data transmiss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from the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10 to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by recording information such as the channel number in the packet conforming to the VoIP protocol.

나아가, 본 발명은, VoIP 기반으로서, 양방향 음성 방송이 가능하며, VoIP의 기능 중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VoIP, which is capable of two-way audio broadcasting, Mic를Mic 활용하여 음성방송이 기능이 가능하며 서버 기반의 음성 방송과 네트워크기반의 음성방송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use voice broadcasting function and server based voice broadcasting and network based voice broadcasting . 또한 VoIP를. In addition, VoIP 위한 음성 방송장치에 Mic를 탑재하여 양방향 실시간 음성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It is possible to transmit bi-directional real-time voice by installing Mic in the audio broadcasting device.

VoIP 프로토콜 패킷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가 기록되는 아이덴티 필드와, 스피커(500)를 통해 출력될 채널번호가 기록되는 채널번호 필드와, 음원의 음원명칭이 기록되는 파일네임 필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 유닛(100)은, VoIP 프로토콜 패킷내의 채널번호 필드에 기록된 채널번호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VoIP protocol packet includes an identifier field in which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s recorded, a channel number field in which a channel number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500 is recorded, And a file name field to be recorded. Therefore, the main control unit 100 can extract the channel number recorded in the channel number field in the VoIP protocol packet.

한편, 상기의 음성통신 방송 장치는, 외부 관리 장치(10)와 통신을 통한 프로토콜 기반의 음원 채널 선택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프로토콜 기반의 음원 채널 선택 이외에 물리적 하드웨어를 통한 음원 채널 선택이 추가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로토콜 기반의 음원 채널 선택과 물리적 하드웨어를 통한 음원 채널 선택이 모두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현하여 저장체에 저장된 음성 방송과 통신 기반의 음성 방송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2와 함께 상술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tocol-based sound source channel selection and the sound source channel selection through the physical hardware. Can be implemented in an added hybrid mann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hybrid manner in which both a sound source channel selection based on a protocol and a sound source channel selection based on physical hardware are implemented, so that both voic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based voice broadcasting can be realized. 5 to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식의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방식의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세부 구성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8비트 입력을 처리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을 구비한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8×3 인코더와 연결된 8비트 입력 처리 메인 컨트롤 유닛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16비트, 32비트, 64비트, 128비트 입력을 처리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의 예시 그림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8비트, 16비트, 32비트, 64비트, 128비트의 처리 가능 데이터 갯수를 도시한 테이블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oIP 프로토콜 패킷의 프레임 예시 그림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처리 알고리즘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hybrid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hybrid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having a main control unit for processing an 8-bit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in control unit for processing 16-bit, 32-bit, 64-bit, 128-bit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of a VoIP protocol p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table showing the number of processable data of 8 bits, 16 bits, 32 bits, 64 bits, foot 1 is a flowchart showing a communication processing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이브리드 방식의 음성통신 방송 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500), USB 포트(미도시), 내부 저장체(230), 유무선 송수신 유닛(300), 메인 컨트롤 유닛(100), 음원 코덱 유닛(400), 및 디스플레이 유닛(600) 이외에 디코더(800), 및 인코더(70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5, a hybrid typ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ncludes a speaker 500, a USB port (not shown), an internal storage unit 230, a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0, a main control unit 100, A codec unit 400, and a display unit 600, as well as a decoder 800 and an encoder 700. [

디코더(800)는, 외부 입력기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선택 신호를 10진수 형태로 된 채널 번호로 변환하여 인코더(700)로 전달한다. 디코더(800)(DECODER)는 알려진 바와 같이 인코더(700)의 반대 작용을 하는 모듈로서, 복수개의 입력 단자와 복수개의 출력 단자를 갖는 장치로서, 입력 단자의 어느 조합에 신호가 가해졌을 때 그 조합에 대응하는 하나의 출력 단자에 신호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컴퓨터 기억 장치의 주소 호출 등에 사용될 수 있는데, 10진수로 변환할 때 사용된다. 여기서 외부 입력기는, 숫자 키보드, 회로 모듈 등이 해당되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The decoder 800 converts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into a channel number in the form of a decimal number, and transmits the channel number to the encoder 700. The decoder 800 (DECODER) is a module having an opposite function to the encoder 700, which is a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When a signal is applied to any combination of input terminals, So that a signal appears on one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erminal. It can be used for address recalls of computer memory devices, and is used when converting to decimal numbers. Here, the external input device corresponds to a numeric keyboard, a circuit module, and the like, and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type.

본 발명의 디코더(800)는, 외부 입력기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선택 신호를 Full Up/Down 방식, Edge Trigger 방식, Push Button 등을 이용하여 10진수 형태로 된 채널 선택 신호로 변환하여 인코더(700)로 제공한다.The decoder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 channe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input device into a channel selection signal in the form of a decimal number using a Full Up / Down method, an Edge Trigger method, a Push Button, to provide.

인코더(700)는, 디코더(800)로부터 수신되는 10진수 형태로 된 채널 번호를 2진수 채널 번호로 변환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100)으로 제공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인코더(700)는, 여러 개의 입력 단자와 여러 개의 출력 단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느 1개의 입력 단자에 '1'이라는 신호가 주어지면 그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출력 단자의 조합 각각에 '1'의 신호가 나타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시키는 2진화10진 코드(BCD code)로 변환시키는 10진-BCD 인코더(700)가 있을 수 있다.The encoder 700 converts the decoded channel number received from the decoder 800 into a binary channel number and provides it to the main control unit 100. As known, the encoder 70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When a signal of '1' is given to any one input terminal, '1' is assigned to each combination of output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 'Signal appears. Representatively, there may be a decimal-BCD encoder 700 that converts a decimal number to a binary decimal code (BCD code) that converts the decimal number to a binary number.

따라서 본 발명의 인코더(700)는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선택 신호를 2진수로 변환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100)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encoder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vert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into binary signals and provide the same to the main control unit 100.

예컨대, 인코더(70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8비트의 2진수 채널 번호로 인코딩하는 8비트 인코더(700)로 구현되는 경우, 8비트로 된 입력 포트를 가지는 메인 컨트롤 유닛(100)의 입력 포트에 8비트 인코더(700)가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8×3 인코더(700)로 물리적 확장을 하는 경우, 8×3 인코더(700) 3개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최대 8비트 28의 255가지의 출력이 가능해진다.For example, when the encoder 700 is implemented as an 8-bit encoder 700 encoding 8-bit binary channel numbers as shown in FIG. 7, the main control unit 100 having 8-bit input ports And an 8-bit encoder 700 is connected to the input port. Therefore, when physical extension is performed by the 8x3 encoder 700 shown in FIG. 8 , 255 8 outputs of the maximum 8 bits and 2 8 are possible by using three 8x3 encoders 700 in combination.

메인 컨트롤 유닛(100)은, 인코더(700)로부터 제공된 2진수 채널 번호에 부합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가지는 음원을 USB 저장체, 대용량 저장체, 및 내부 저장체(230)를 포함한 디지털 음원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음원 코덱 유닛(400)으로 전달한다. The main control unit 100 extracts a sound source having a memory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binary channel number provided from the encoder 700 from a digital sound source storage including a USB storage, a mass storage, and an internal storage 230 And transmits it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400.

따라서 메인 컨트롤 유닛(100)은, 2진수 채널 번호별로 할당된 메모리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2진수 채널 번호에 할당된 메모리 어드레스를 가지는 디지털 음원을 디지털 음원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음원 코덱 유닛(400)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인코더(700)로부터 입력되는 8비트 2진수 채널 번호가 '00101101'로서 10진수 '45'에 해당할 경우, '45'를 인덱스 넘버(index number)로 하여 이에 할당된 메모리 어드레스에 저장된 디지털 음원을 추출하여 음원 코덱 유닛(400)으로 전달한다. Therefore, the main control unit 100 has information on the memory addresses allocated to the binary channel numbers, extracts digital sound sources having the memory addresses allocated to the binary channel numbers from the digital sound source storage and outputs them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400). For example, if the 8-bit binary channel number input from the encoder 700 is '00101101' and corresponds to the decimal '45', '45' is set as an index number, And transmits the extracted digital sound source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400.

한편, 인코더(700)는, 입력되는 채널 선택 신호를 8비트의 2진수 채널 번호로 인코딩하는 8비트 인코더(700)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코더(7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6비트 인코더(700a), 32비트 인코더(700b), 64비트 인코더(700c), 128비트 인코더(700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encoder 700 exemplifies an 8-bit encoder 700 that encodes an input channel selection signal to an 8-bit binary channel number. The encoder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implemented as a 16-bit encoder 700a, a 32-bit encoder 700b, a 64-bit encoder 700c, a 128-bit encoder 700d, .

예를 들어, 16비트의 2진수 채널 번호로 인코딩하는 16비트 인코더(700a)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6비트로 된 입력 포트를 가지는 메인 컨트롤 유닛(100a)의 입력 포트에 16비트 인코더(700a)가 연결되도록 한다.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as a 16-bit encoder 700a that encodes a 16-bit binary channel numbe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a), the main control unit 100a To the input port of the 16-bit encoder 700a.

또한 32비트의 2진수 채널 번호로 인코딩하는 32비트 인코더(700b)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2비트로 된 입력 포트를 가지는 메인 컨트롤 유닛(100b)의 입력 포트에 32비트 인코더(700b)가 연결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b), the input of the main control unit 100b having a 32-bit input port can be realized by a 32-bit encoder 700b that encodes the 32- And the 32-bit encoder 700b is connected to the port.

또한 64비트의 2진수 채널 번호로 인코딩하는 64비트 인코더(700c)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64비트로 된 입력 포트를 가지는 메인 컨트롤 유닛(100c)의 입력 포트에 64비트 인코더(700c)가 연결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c), the input of the main control unit 100c having an input port of 64 bits can be realized by a 64-bit encoder 700c that encodes the input signal into a 64- And the 64-bit encoder 700c is connected to the port.

또한 128비트의 2진수 채널 번호로 인코딩하는 128비트 인코더(700d)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8비트로 된 입력 포트를 가지는 메인 컨트롤 유닛(100d)의 입력 포트에 128비트 인코더(700d)가 연결되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d), the input of the main control unit 100d having an input port of 128 bits may be implemented by a 128-bit encoder 700d that encodes the input signal into a 128- And a 128-bit encoder 700d is connected to the port.

결국, 메인 컨트롤 유닛(10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적인 채널 확장성을 가지게 된다.As a result, the main control unit 100 has physical channel scalability as shown in FIG.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8비트, 16비트, 32비트, 64비트, 128비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거의 입력을 최대로 사용 시에 1~∞에 가까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외부저장장치나 내부 메모리가 허용하는 공간과 음원의 길이에 따라 지원 범위를 제한 추가할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8-bit, 16-bit, 32-bit, 64-bit, and 128-bit described above, and can provide outputs close to 1 to infinite when using almost maximum input.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flexible system that can add a limited range of support according to the space allowed by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he internal memory and the length of the sound source.

한편, VoIP 프로토콜 패킷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덴티 필드, 채널번호 필드, 파일네임 필드 이외에도,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될 음원이 기록되는 데이터 필드와, 채널번호 및 음원명칭 중 어느 항목을 기준으로 할 것인지 기록한 I-플래그 필드와, 다운로드 성공 여부가 기록되는 D-플래그 필드와,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가 기록되는 스테이터스 필드를 더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스 필드(status field)는, 음성통신 방송 장치를 통해 방송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에 대한 상태 정보가 기록되는 필드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the VoIP protocol packet includes a data field in which a sound source to be uploaded or downloaded, as well as an identifier field, a channel number field, and a file name field, A D-flag field in which download success or failure is recorded, and a status field in which availability of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s recorded. The status field is a field in which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broadcasting is possible or not via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s recorded.

메인 컨트롤 유닛(100)은, 커맨드 필드에 다운로드 명령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음원을 다운로드하여 음원 코덱 유닛(400)으로 전달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커맨드 필드에 다운로드 명령의 식별자가 기록된 경우, VoIP 프로토콜 패킷 내의 데이터 필드의 음원을 다운로드하여 스피커(5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When the download command is recorded in the command field, the main control unit 100 may download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data field and deliver it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400 for playback. That is, when the identifier of the download command is recorded in the command field, the sound source of the data field in the VoIP protocol packet is downloaded and controlled to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500.

또한 VoIP 프로토콜 패킷은, 다운로드 성공 여부를 상기 I-플래그 필드에 기록하여 VoIP 프로토콜 패킷을 생성하여 외부 관리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관리 장치(10)는 다운로드 성공 여부를 음성통신 방송 장치에서 보내오는 VoIP 프로토콜 패킷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VoIP protocol packet may record the success or failure of downloading in the I-flag field to generate a VoIP protocol packet and transmit it to the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10. Therefore, the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10 can confirm the success of downloading in real time through a VoIP protocol packet sent from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참고로, 메인 컨트롤 유닛(100)은, 상술한 VoIP 프로토콜 패킷을 이용하여 외부 관리 장치와 통신하게 되는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과정 및 처리 과정을 거쳐 음원 출력을 하게 된다.For reference, the main control unit 100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using the VoIP protocol packet. As shown in FIG. 12, the main control unit 100 outputs a sound source through a communication process and a process.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selected and presented in order to assis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among various possible example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or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외부 입력 장치
100:메인 컨트롤 유닛
210:USB 저장체
300:유무선 송수신 유닛
400:음원 코덱 유닛
500:스피커
600:디스플레이 유닛
700:인코더
800:디코더
10: External input device
100: Main control unit
210: USB storage device
300: wired /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400: sound source codec unit
500: Speaker
600: display unit
700: encoder
800: decoder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
디지털 음원이 저장된 외부 저장체인 USB 저장체 및 대용량 저장체가 연결되는 USB 포트;
디지털 음원이 저장된 내부 저장체;
외부 관리 장치로부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화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패킷으로 된 채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 송수신 유닛;
상기 채널 선택 신호에서 파악되는 채널 번호에 매칭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가지는 음원을 상기 USB 저장체, 대용량 저장체, 및 내부 저장체를 포함한 디지털 음원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음원 코덱 유닛으로 전달하는 메인 컨트롤 유닛;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음원을 아날로그의 오디오로 복원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원 코덱 유닛;및
디지털 음원의 정보가 표시되는 유닛으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이 채널 번호를 표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음원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송수신 유닛은,
랜포트, 직병렬통신포트, 와이파이 처리단, PSTN 통신 처리 포트, PLC 통신 처리단, CAN 통신 처리단, 이동통신 처리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VoIP 프로토콜 패킷은,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가 기록되는 아이덴티 필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채널번호가 기록되는 채널번호 필드; 및
음원의 음원명칭이 기록되는 파일네임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VoIP 프로토콜 패킷내의 채널번호 필드에 기록된 채널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음성통신 방송 장치는,
외부 입력기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선택 신호를 10진수 형태로 된 채널 번호로 변환하여 인코더로 전달하는 디코더; 및
상기 디코더로부터 수신되는 10진수 형태로 된 채널 번호를 2진수 채널 번호로 변환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으로 제공하는 인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상기 인코더로부터 제공된 2진수 채널 번호에 부합하는 메모리 어드레스를 가지는 음원을 상기 USB 저장체, 대용량 저장체, 및 내부 저장체를 포함한 디지털 음원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음원 코덱 유닛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외부 입력기로부터 입력되는 채널 선택 신호를 FullUp/Down방식, Edge Trigger 방식, PushButton을이용하여 10진수 형태로 된 채널 선택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VoIP 프로토콜 패킷은,
음원의 업로드 명령 또는 다운로드 명령이 기록되는 커맨드 필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될 음원이 기록되는 데이터 필드;
채널번호 및 음원명칭 중 어느 항목을 기준으로 할 것인지 기록한 I-플래그 필드;
다운로드 성공 여부가 기록되는 D-플래그 필드; 및
음성통신 방송 장치의 사용 가능 여부가 기록되되, 음성통신 방송 장치를 통해 방송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에 대한 상태 정보가 기록되는 스테이터스 필드;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은,
2진수 채널 번호별로 할당된 메모리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2진수 채널 번호에 할당된 메모리 어드레스를 가지는 디지털 음원을 상기 디지털 음원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상기 음원 코덱 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커맨드 필드에 다운로드 명령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음원을 다운로드하여 음원 코덱 유닛으로 전달하여 재생하도록 하며,
다운로드 성공 여부를 상기 I-플래그 필드에 기록하여 VoIP 프로토콜 패킷을 생성하여 외부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관리 장치는 다운로드 성공 여부를 음성통신 방송 장치에서 보내오는 VoIP 프로토콜 패킷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프로토콜 기반의 무한채널 구현되는 음성통신 방송 장치.
A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An external storage chain for storing digital sound sources; a USB port to which a USB storage device and a mass storage device are connected;
An internal storage for storing a digital sound source;
A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channel selection signal composed of network-based encrypted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protocol packets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from an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A main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 sound source having a memory address matched with a channel number recognized in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from a digital sound source storage body including the USB storage body, the mass storage body, and the internal storage body and delivering the sound source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A sound source codec unit for restoring a digital sound source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to analog audio and outputting the analog sound through the speak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digital sound source, the main control unit displaying a channel number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a digital sound source output through the speaker;
/ RTI >
The wire / wireless transmission /
A LAN communication interface, a LAN port, a serial / parallel communication port, a WiFi processing terminal, a PSTN communication processing port, a PLC communication processing terminal, a CAN communication processing terminal,
The VoIP protocol packet includes:
An identity field in which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s recorded;
A channel number field in which a channel number to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is recorded; And
And a file name field in which a sound source name of a sound source is recorded,
The main control unit extracts a channel number recorded in a channel number field in the VoIP protocol packet,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ncludes:
A decoder for converting a channe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input device into a channel number in the form of a decimal number and delivering it to an encoder; And
And an encoder for converting the decoded channel number received from the decoder into a binary channel number and providing it to the main control unit,
The main control unit extracts a sound source having a memory address corresponding to a binary channel number provided from the encoder from a digital sound source storage including the USB storage, the mass storage, and the internal storage, and transmits the sound source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der includes:
A channel selection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input device is converted into a channel selection signal in the form of a decimal number using a FullUp / Down method, an Edge Trigger method, and a PushButton,
The VoIP protocol packet includes:
A command field in which a sound source upload command or a download command is recorded;
A data field in which a sound source to be uploaded or downloaded is recorded;
A channel number, and a sound source name;
A D-flag field in which download success or failure is recorded; And
A status field in which availability of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s recorded, in which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broadcasting is possible or not via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is recorded;
Lt; / RTI >
The main control unit includes:
A digital sound source having information on a memory address assigned to each binary channel number and having a memory address assigned to a binary channel number is extracted from the digital sound source storage and transferred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If a download command is recorded in the command field, downloading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data field and transferring the sound source to the sound source codec unit for playback,
The VoIP protocol packe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The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confirms the success of downloading in real time through a VoIP protocol packet transmitted from the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apparatus A protocol based infinite channel implemented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device.
KR1020170078622A 2017-06-21 2017-06-21 Appa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based protocol KR101854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22A KR101854383B1 (en) 2017-06-21 2017-06-21 Appa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based protoc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22A KR101854383B1 (en) 2017-06-21 2017-06-21 Appa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based protoc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383B1 true KR101854383B1 (en) 2018-05-04

Family

ID=6219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622A KR101854383B1 (en) 2017-06-21 2017-06-21 Appa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based protoc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38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4769A (en) * 2007-03-22 2008-10-02 Funai Electric Co Ltd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optical disk pla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4769A (en) * 2007-03-22 2008-10-02 Funai Electric Co Ltd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optical disk p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11603A (en) Ear key equipment using voltage divider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anl using that ear key equipment
US2005018699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CN101690125A (en) Via intermediate equipment transmission information between main process equipment and annex
KR20020001348A (en) Headset for hearing the digital audio data through a given wireless link of short-range mobile radio system
WO2005025192A1 (en) Communications, command, and control system with plug-and-play connectivity
CN10230856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device, system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CN105187976B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amplifying sound based on Bluetooth sound
CN102143257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jack plug port
JP2005136871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pairing processing method
US2007006019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laying sound signals
KR101854383B1 (en) Apparatus for voice communication broadcasting based protocol
GB2410160A (en)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udio visual signal to a mobile device in a home network
KR100691994B1 (en) Audio file playing system using the headset and method for playing the audio file using the same
KR102061337B1 (en) Apparatus for voice broadcasting
CN113905382B (en) Personalized wireless earphone box and using method thereof
US7511743B2 (en) Video encoding apparatus having audio selec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US20070149164A1 (en) Intermediate modulator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2005117698A (en) Telephone set
KR100475661B1 (en) A Audio Multi-channel Wireless LAN Transmission Equipment
US20120070019A1 (en) Methods for addressing equipment in tree networks
CN113053411B (en) Voice data processing device,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080066136A (en) Play method for music using bluetooth headset
CN105282310B (en) The sou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its message Transmission system of mobile device
US20050153689A1 (en) Portabl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ellular phone thereof
JP725935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