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260B1 - 시추 선박 - Google Patents

시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260B1
KR101854260B1 KR1020160121474A KR20160121474A KR101854260B1 KR 101854260 B1 KR101854260 B1 KR 101854260B1 KR 1020160121474 A KR1020160121474 A KR 1020160121474A KR 20160121474 A KR20160121474 A KR 20160121474A KR 101854260 B1 KR101854260 B1 KR 101854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drilling
region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363A (ko
Inventor
하영열
고두열
석진욱
유영준
윤인근
조승호
한창훈
박영준
조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6012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2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8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Apparatus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on the drilling tool; Apparatus for counterbalancing the weight of the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4Racks, ramps, troughs or bins, for holding the lengths of rod singly or connected; Handling between storage place and bore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2003/147Moon-pools, e.g. for offshore drill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시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은 선체; 선체에 제공되고, 시추를 위한 파이프들을 적치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적치부; 파이프 적치부에 적치된 파이프를 드릴 플로어를 향하여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이송 장치; 선체에 제공된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랙커; 환형 레일을 둘러싸는 원형의 셋백 영역에 제공되고,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파이프 수직 지지부; 및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웰을 통해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하는 하나 이상의 시추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파이프의 조립 시간과, 이송 경로 및 이송 시간을 단축하여 시추 작업의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연속 시추가 가능하고, 마스트(데릭)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흑해와 같은 운하 통과시 데릭의 분해 및 재조립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추 선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시추 선박{DRILL SHIP}
본 발명은 시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 시추가 가능한 시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석유의 시추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해저 유전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 군소의 심해 유전 개발에 적합한 시추 설비 및 이를 탑재한 시추 선박(drill ship)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심해 유정의 시추 시, 시추 선박은 해상으로부터 해저면까지 드릴 파이프를 내려 시추할 필요가 있으므로, 육상 시추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더 긴 연장 길이를 갖는 드릴 파이프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에 따른 드릴 파이프의 취급 및 시추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3 개 내지 4 개의 드릴 파이프 또는 케이싱을 사전에 조립하여 셋백 영역에 저장한 후, 저장된 드릴 파이프 또는 케이싱의 조립체, 즉, 스탠드를 시추 작업에 사용하고 있다.
드릴 파이프 또는 케이싱의 조립체인 스탠드는 드릴 플로어의 셋백 영역에 직립 상태로 배치된다. 스탠드 빌딩을 위한 드릴 파이프들을 조립하고 조립된 스탠드들을 셋백 영역에 저장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시추 작업 속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복잡한 스탠드 빌딩 작업은 추가의 작업 설비를 요구할 수 있는데 이는 장비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의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단위 연결 시간이 고정된 경우 긴 단위 파이프들을 연결할수록 모든 파이프를 내리는 시간은 줄어든다. 불연속시추용 구조물의 경우 파이프들을 연결해서 수중에 내리는데 필요한 파이프 연결 회수를 줄이기 위해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수직으로 저장하는 구조물을 높이 구성해야만 한다. 그러나 시추선이 흑해, 파나마 운하, 수에즈 운하의 다리들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데릭을 분해해서 재조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스탠드들을 연속적으로 해저에 내리거나 들어올리는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에 상당한 작업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 작업은 셋백 영역에 저장된 드릴 파이프 또는 케이싱 스탠드를 하이드라 랙커가 파지하여 이동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동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트리핑 인 또는 트리핑 아웃 작업에 있어 상당 부분을 차지할 수 있고, 시추 작업의 소요 시간을 단축함에 있어서 제한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일련의 트리핑 인 또는 트리핑 아웃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탠드들이 연속적으로 해저로 내려지거나 해저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스탠드들이 셋백 영역 내에 저장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시추 선박의 크기는 시추 대상 지역 및 목적에 따라 제한적이므로 충분한 크기의 셋백 영역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셋백 영역이 커질 경우, 파이프를 취급하는 하이드라 랙커의 이동 동선이 길어짐은 물론 하이드라 랙커의 규격 또는 리치가 증가되어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KR 10-139999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속 시추가 가능하고, 마스트(데릭)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데릭의 분해 및 재조립이 필요하지 않은 시추 선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파이프를 파이프 적치대에서 드릴 플로어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파이프 이송 장치와, 이송된 파이프(드릴 파이프 또는 케이싱 스탠드 등)가 효율적으로 배치되는 셋백 영역과, 파이프의 이동 경로를 최소화하는 랙커에 의해 시추 작업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시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추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에 제공되고, 시추를 위한 파이프들을 적치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적치부; 상기 파이프 적치부에 적치된 파이프를 드릴 플로어를 향하여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이송 장치; 상기 선체에 제공된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랙커; 상기 환형 레일을 둘러싸는 원형의 셋백 영역에 제공되고,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파이프 수직 지지부; 및 상기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웰을 통해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하는 하나 이상의 시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랙커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신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암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는 상기 파이프 또는 상기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파지하여 상기 환형 레일을 따라 상기 셋백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랙커는 상기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의 하이드라 랙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하이드라 랙커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이송 장치는 상기 파이프 적치부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파이프를 조립하여 상기 드릴 플로어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이송 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적치부로부터 제공된 파이프를 중심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안내면을 따라 상기 파이프를 선수 방향 또는 선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롤리;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안내면 상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지하는 토크 렌치; 및 상기 안내면에 절개된 제1 절개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일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파이프를 결합시키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이프 적치부는: 상기 선체의 제1 영역에 제공되고, 시추를 위한 제1 파이프들을 적치하는 제1 파이프 적치부; 및 상기 선체의 제2 영역에 제공되고, 시추를 위한 제2 파이프들을 적치하는 제2 파이프 적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이프 이송 장치는: 상기 제1 파이프 적치부에 적치된 제1 파이프를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하여 제3 영역으로 제공하는 제1 파이프 이송 장치; 및 상기 제2 파이프 적치부에 적치된 제2 파이프를 상기 제1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하여 제4 영역으로 제공하는 제2 파이프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랙커는,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4 영역 사이에 제공된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수직 지지부는: 상기 환형 레일의 외방 영역에 배치된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에 고정되고,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홈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수직 지지부는: 상기 환형 레일의 제1 부분을 반원호 형태로 둘러싸는 제1 셋백 영역에 제공된 제1 파이프 지지부; 및 상기 환형 레일의 제2 부분을 반원호 형태로 둘러싸는 제2 셋백 영역에 제공된 제2 파이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이프 지지부와 상기 제2 파이프 지지부 사이에, 상기 랙커가 상기 제3 영역 또는 상기 제4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된 인터페이스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시추 장치는: 상기 제3 영역 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파이프들의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제1 웰을 통해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하는 제1 연속 시추 장치; 및 상기 제4 영역 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파이프들의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제2 웰을 통해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하는 제2 연속 시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속 시추 장치 및 상기 제2 연속 시추 장치는 각각 호이스팅 로테이션(hoisting rotation) 시스템 및 탑드라이브(top drive)를 구비하며, 80 미터 미만의 높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연속 시추가 가능하고, 마스트(데릭)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데릭의 분해 및 재조립이 필요하지 않은 시추 선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파이프를 파이프 적치대에서 드릴 플로어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파이프 이송 장치와, 이송된 파이프(드릴 파이프 또는 케이싱 스탠드 등)가 효율적으로 배치되는 셋백 영역과, 파이프의 이동 경로를 최소화하는 랙커에 의해 시추 작업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1)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을 구성하는 제1 파이프 이송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을 구성하는 파이프 이송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파이프 이송 장치를 IV-IV'라인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 장치를 V-V' 라인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 장치에 하나의 드릴 파이프가 공급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 장치에 공급된 하나의 드릴 파이프가 수평 이송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 장치에 추가로 하나의 드릴 파이프가 공급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 장치에 두 개의 드릴 파이프를 결합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결합된 하나의 드릴 파이프 조립체(PA)를 이송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을 구성하는 랙커(40)와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을 구성하는 환형 레일(30)과 하나 이상의 랙커(40) 및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을 구성하는 환형 레일(30)과 하나 이상의 랙커(40)의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시추 선박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7 및 도 18의 시추 선박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1)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시추 선박(1)은 드릴십(drill ship)과 같은 선박이나, 잭업 리그(jack up rig) 등의 해양 구조물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시추 선박(1)은 중앙 부분에 시추관의 이동을 위한 문풀(1b)이 형성되어 있는 선체(1a)로 이루어진다. 시추관은 예컨대 3개 내지 4개의 드릴 파이프들이 조립된 스탠드 단위로 차례로 연결되어 문풀(1b)을 통해 하향 이동됨으로써 해저 아래의 유정에 연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심해 유정의 시추를 위해서는 케이싱(casing)을 해저의 시추공 속에 집어넣고 지층과의 접착을 강하게 하기 위한 시멘팅(cementing)이 일정 시추 깊이마다 진행된다. 이를 위하여 케이싱이 시추공 내에 추가로 삽입될 때마다, 드릴 파이프는 시추 선박으로 끌어 올려진 후 다시 시추공 내로 내려지는 작업이 반복되게 된다. 나아가, 해저 지반을 시굴하는 드릴 비트 역시 교체 주기를 가지며, 이러한 드릴 비트의 교체시에도 시추관을 해저로 내리는 작업(트리핑인)과, 해상으로 들어올리는 작업(트리핑 아웃)이 반복된다.
시추관은 길게 연결된 하나의 관으로서 해저로 하향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짧은 길이의 드릴 파이프들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해저로 하향 이동된다. 따라서 심해 시추 시, 시추관이 해상의 시추 선박(1)으로부터 해저의 시추공까지 길게 연장되어야 하므로, 트리핑인과 트리핑 아웃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드릴 플로어(drill floor)에는 3개 내지 4개의 드릴 파이프 또는 케이싱을 미리 조립한 후 이를 스탠드 단위로 직립 보관하는 셋백(set back) 영역이 배치된다.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 작업은 스탠드 단위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작업 속도가 증대될 수 있다.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 작업 시, 시추관을 스탠드 단위로 다른 스탠드에 결합하거나 다른 스탠드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반복될 수 있고, 이때 스탠드를 셋백 영역에 또는 셋백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데 상당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단위 스탠드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 스탠드를 연결시키는 작업을 줄여 연속 시추가 가능하지만, 단위 스탠드의 길이만큼 데릭의 높이가 커져야 하므로, 시추 선박이 흑해, 파나마 운하, 수에즈 운하 등의 다리를 통과시 데릭을 분해한 후 재조립하는 작업이 필요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시추 선박의 경우, 가용 공간, 즉, 드릴 플로어 내 셋백 영역의 면적을 제한될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셋백 영역을 과도하게 크게 설계할 경우, 셋백 영역에 파이프를 취급하는 하이드라 랙커의 이동 동선이 길어지고, 하이드라 랙커의 규격 또는 리치가 증가되어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연속 시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한된 면적의 셋백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셋백 영역과, 하이드라 랙커의 배치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시추관을 스탠드 단위로 직립 저장하는 셋백 영역과, 드릴 파이프 또는 케이싱의 스탠드를 이송하는 랙커의 최적 배치 설계와, 파이프들을 스탠드 단위로 신속하게 조립하여 셋백 영역으로 이송시키는 파이프 이송 장치의 적용을 통해 시추관 연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한 시추 선박을 제시하며, 그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1)은 제1 파이프 적치부(4), 제2 파이프 적치부(5), 제1 파이프 이송 장치(10), 제2 파이프 이송 장치(20), 환형 레일(30), 하나 이상의 랙커(40), 파이프 수직 지지부(50), 제1 연속 시추 장치(60) 및 제2 연속 시추 장치(70)를 포함한다.
제1 파이프 적치부(4)는 시추를 위한 제1 파이프들(예컨대, 드릴 파이프, 케이싱, 라이저)을 적치한다. 제1 파이프 적치부(4)는 선체(1a)의 제1 영역(2)에 제공된다. 일 실시 예로, 제1 파이프 적치부(4)는 문풀(1a)을 기준으로 선수 측에 위치한 제1 영역(2)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파이프 적치부(5)는 시추를 위한 제2 파이프들(예컨대, 드릴 파이프, 케이싱, 라이저)을 적치한다. 제2 파이프 적치부(5)는 선체(1a)의 제2 영역(3)에 제공된다. 일 실시 예로, 제2 파이프 적치부(5)는 문풀(1a)을 기준으로 선미 측에 위치한 제2 영역(3)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파이프의 효율적인 이송을 위하여, 제1 파이프 적치부(4)는 제1 파이프 이송 장치(1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제2 파이프의 효율적인 이송을 위하여, 제2 파이프 적치부(5)는 제2 파이프 이송 장치(2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파이프 이송 장치(20)에서의 제2 파이프들의 조립을 위하여, 제2 파이프 적치부(5)는 제2 파이프 이송 장치(20)의 측부에 선수미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파이프 이송 장치(10)는 제1 파이프 적치부(4)에 적치된 제1 파이프를 제2 영역(3)을 향하는 방향(선미 방향)으로 이송하여 제3 영역(6)으로 제공한다. 제2 파이프 이송 장치(20)는 제2 파이프 적치부(5)에 적치된 제2 파이프를 제1 영역(2)을 향하는 방향(선수 방향)으로 이송하여 제4 영역(7)으로 제공한다. 제1 파이프 이송 장치(10)와 제2 파이프 이송 장치(20)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환형 레일(30)은 랙커(40)의 이동을 위해 문풀(1b)의 상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환형 레일(30)은 제3 영역(6)과 제4 영역(7) 사이에 제공된다. 랙커(40)는 환형 레일(30)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제3 영역(6) 및 제4 영역(7)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파이프 수직 지지부(50)는 문풀(1b)의 상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파이프 수직 지지부(50)는 제1 파이프들의 조립체와 제2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수직으로 저장한다. 환형 레일(30), 랙커(40) 및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에 대하여는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 연속 시추 장치(60)는 문풀(1b)의 상부 영역인 드릴 플로어에서 제3 영역(6) 측에 제공된다. 제1 연속 시추 장치(60)는 제1 파이프들의 조립체와 제2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시추관을 제1 웰(well)에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할 수 있다. 제1 연속 시추 장치(60)는 호이스팅 로테이션(hoisting rotation) 시스템 및 탑드라이브(top drive)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속 시추 장치(60)는 80 미터 미만의 높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2 연속 시추 장치(70)는 드릴 플로어에서 제4 영역(7) 측에 제공된다. 제2 연속 시추 장치(70)는 제1 파이프들의 조립체와 제2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시추관을 제2 웰에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할 수 있다. 제2 연속 시추 장치(70)는 탑홀 드릴링(top hole drilling), 탑홀 케이싱(top hole casing) 및 탑홀 시멘팅(top hole cementing) 작업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2 연속 시추 장치(70)는 제1 연속 시추 장치(60)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 연속 시추 장치(60)와 제2 연속 시추 장치(70)는 각각 파이프 이송 장치(10,20)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을 구성하는 제1 파이프 이송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파이프 이송 장치(10)는 제2 영역(2)에서 제1 파이프들을 조립한 후 제3 영역(6)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제2 파이프 이송 장치(20)는 제1 파이프 이송 장치(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파이프 이송 장치(10)를 중심으로, 제1 파이프가 드릴 파이프인 것을 예로 들어 파이프 이송 장치(10,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파이프 이송 장치(10)는 수평으로 즉, 선체 또는 갑판에 수평한 방향으로 드릴 파이프를 이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파이프 이송 장치(10)는 제1 드릴 파이프(DP1)와 제2 드릴 파이프(DP2)를 결합시키고, 결합된 드릴 파이프 조립체(PA)를 드릴 플로어를 향해 이송할 수 있다. 이후, 드릴 파이프 조립체(PA)는 파이프 직립 장치(15) 또는 랙커(40)에 그 일단이 파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이후, 드릴 파이프 조립체(PA)의 타단은 마우스 홀(14) 또는 시추 홀(12) 내로 삽입된 후, 파이프 이송 장치(10)에 의해 추가로 공급되는 드릴 파이프 조립체(PA)와 하이드라 통(도시생략)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드릴 파이프 스탠드(PS)가 형성되면 이는 랙커(40)에 의해 파지되어 드릴 플로어 상의 셋백 영역에 이송되어 직립 보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2 개의 드릴 파이프 조립체(PA)(4 개의 드릴 파이프)가 하나의 드릴 파이프 스탠드(PS)를 형성하는 것이 예시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최초에 드릴 파이프 조립체(PA)가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공급된 후 여기에 하나의 드릴 파이프가 파이프 이송 장치에 공급되어 결합되거나(3개의 드릴 파이프) 또는 3개 이상의 드릴 파이프 조립체(PA)(최대 4개의 드릴 파이프)가 하나의 스탠드로서 연결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을 구성하는 파이프 이송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이프 이송 장치(10)는 본체(100), 트롤리(500), 하나 이상의 롤러(200) 및 토크 렌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선수미 방향과 나란한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하며, 하나 이상의 드릴 파이프를 안내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면에는 드릴 파이프를 안내하는 안내면(105)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면(105)은 본체(100)의 상면 상에서 제1 방향(x 방향)에 수직한 내부 방향(y 방향)으로 하부로 침강되는 제1 경사면(106) 및 제2 경사면(108)을 포함할 수 있다. 드릴 파이프는 크레인(8,9) 또는 본체(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수평 파이프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안내면(105) 상으로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된 드릴 파이프는 안내면(105)의 제1 경사면(106) 및 제2 경사면(108)의 경사에 의해 안내면(105)의 중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체(100)는 제1 방향(x 방향)을 따르는 일 측벽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레일(102) 및 제1 방향을 따르는 타 측벽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레일(104)을 포함할 수 있다. 트롤리(500)는 제1 레일(102) 및 제2 레일(104)에 의해 안내되어, 안내면(105) 상에서 제1 방향(x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될 수 있다. 트롤리(500)는 본체(1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전진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후진할 수 있다. 트롤리(500)는 안내면(105) 상에서 상부를 향하여 수직 방향(y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형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고, 받침대는 드릴 파이프의 일단에 접촉 및 가압하여 드릴 파이프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트롤리(500)는 그 전진 및 후퇴 움직임을 일으키는 구동 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트롤리(500)에 연관되는 구동 장치는 제1 레일(102) 및 제2 레일(104) 상에 직접 구름 마찰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와이어 또는 강성 부재를 이용하여 트롤리(500)를 밀거나 당기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롤러(200)는 본체(100)의 안내면(105)을 통해 그 일부가 노출되며, 제1 방향(x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롤러(200)는 두 개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롤러(200)의 개수는 적용 환경 및 파이프의 사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일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파이프 이송 장치를 IV-IV'라인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롤러(210), 제2 롤러(220) 및 롤링 지지대(300)는 드릴 파이프를 빠르게 회전시켜서 두 개 이상의 드릴 파이프를 나사 결합시키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는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는 본체(100)가 연장하는 제1 방향(x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드릴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드릴 파이프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100)의 안내면(105)은 제1 경사면(106) 및 제2 경사면(108)의 일부가 각각 절개된 제1 절개부(120)를 가지며,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는 제1 절개부(120)를 통해 안내면(105) 위로 상승하여 일부가 돌출되거나 또는 하강하여 안내면(105) 아래에 수납될 수 있다.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의 상부에는 롤링 지지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가 상승하여 드릴 파이프 하부에서 드릴 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때, 롤링 지지대(300)는 드릴 파이프의 상부에서 드릴 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드릴 파이프는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와, 롤링 지지대(30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는 제1 롤러(210), 제2 롤러(220) 및 롤링 지지대(300)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는 그 상승 시 드릴 파이프를 수직 방향(z방향)으로 다소 밀어 올릴 수 있고, 드릴 파이프의 중심축의 위치를 제1 중심축 위치(CP')로부터 제2 중심축 위치(CP)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본체(100)의 안내면(105) 상에서 조립될 두 개의 드릴 파이프의 중심축 사이에 단차가 있어 편심된 상태일 때, 하나의 드릴 파이프의 중심축은 제2 중심축 위치(CP)로 상승됨으로써 두 드릴 파이프 사이의 단차 또는 편심이 해소될 수 있다.
본체(100)의 일 측에는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의 상부로 연장되는 롤링 지지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롤링 지지대(300)는 지지대 본체(310), 연장 아암(320), 제3 롤러(340), 작동 실린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 본체(310)는 본체(100)의 일 측 상에서 고정 배치될 수 있고, 수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지지대 본체(310)의 수직 단부에서 지지대 본체(310)와 연장 아암(320)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장 아암(320)은 본체(100)의 일측으로부터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의 상부로 연장할 수 있다. 연장 아암(320)의 단부(324)에는 제3 롤러(340)가 회전축(32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326)은 본체(100)가 연장하는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제3 롤러(340)는 제1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지지대 본체(310)의 일측에는 제1 힌지(312)가 형성될 수 있고 연장 아암(320)의 일측에는 제2 힌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312) 및 제2 힌지(322)는 작동 실린더(330)의 양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연장 아암(320) 및 그 단부(324)의 제3 롤러(340)는 작동 실린더(330)의 신축 작용에 의해, 안내면(105) 상의 드릴 파이프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작동 실린더(330)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일 수 있다. 다만, 작동 실린더(330)는 지지대 본체(310) 및 연장 아암(320)을 상대 회전시키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며, 다른 구동 수단 예를 들어 모터를 이용하여 지지대 본체(310) 및 연장 아암(320)을 상대 회전시키는 임의의 구동 장치로 치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롤러(210) 및 제2 롤러(220)는 상승하여 드릴 파이프(DP)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롤링 지지대(300)의 연장 아암(320)은 드릴 파이프를 향해 회전하여 제3 롤러(340)가 드릴 파이프(DP)의 상부에서 드릴 파이프(DP)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롤러(210), 제2 롤러(220) 및 제3 롤러(340) 중 하나 이상은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그로부터 고속의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롤러(210), 제2 롤러(220) 및 제3 롤러(340)는 제1 회전 방향(M1)(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드릴 파이프(DP)는 이에 상응하여 제2 회전 방향(M2)(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릴 파이프(DP)는 제1 롤러(210), 제2 롤러(220) 및 제3 롤러(340)에 의해 삼점에서 지지되며 모터와 같은 고속 회전 수단을 이용하여 빠르게 회전되어 다른 드릴 파이프와 짧은 시간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드릴 파이프는 그 양단의 외경이 그 내부의 외경에 비하여 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드릴 파이프는 전체적으로 제1 외경(D1)으로 연장하며 그 양단이 제1 외경(D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제2 외경(도 6의 D2)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롤러(210), 제2 롤러(220) 및 제3 롤러(340)는 드릴 파이프의 제1 외경(D1)을 갖는 영역의 외주면의 일부에 각각 접촉하여 드릴 파이프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 장치를 V-V' 라인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토크 렌치(400)는 본체(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본체(100)의 안내면(105)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본체(100)의 안내면(105)은 제1 경사면(106) 및 제2 경사면(108)의 일부가 각각 절개된 제2 절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토크 렌치(400)는 제2 절개부(130)를 통해 그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토크 렌치(400)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절개부(130)를 통해 안내면(105) 위로 돌출되거나(상승) 제2 절개부(130) 하부로 수납(하강)될 수 있다. 토크 렌치(400)가 상승할 때, 토크 렌치(400)는 공급된 마주하는 두 개의 드릴 파이프의 단부를 각각 파지할 수 있고, 두 개의 드릴 파이프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된 두 개의 드릴 파이프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하나의 드릴 파이프는 고정한 채 다른 드릴 파이프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 장치(10)의 토크 렌치(400)는 본체(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그 일부가 본체(100)의 안내면(105)의 제2 절개부(130)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토크 렌치(400)는 제2 절개부(130)의 상부에 두 개의 드릴 파이프의 마주하는 단부들이 배치되면, 양자를 각각 파지하여 하나 이상의 드릴 파이프를 회전시켜 두 드릴 파이프를 상대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토크 렌치(400)는 지지 플레이트(410), 제1 신축실린더(420), 제2 신축 실린더(422), 하나 이상의 렌치 본체(436), 제1 그리퍼 및 제2 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10)는 본체(100) 또는 갑판에 고정 배치되며, 토크 렌치(400)의 다른 부재들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제1 신축 실린더(420) 및 제2 신축 실린더(422)는 각각 지지 플레이트(410)에 체결될 수 있고, 수직 방향(z방향)으로 직립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렌치 본체(436)는 내부에 상부를 향해 열린 U자형의 파지면을 포함하는 강성 부재일 수 있고, 수평 방향(y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수평하게 외부로 연장하는 제1 회전 아암(440) 및 제2 회전 아암(4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아암(440)의 단부는 제1 신축 실린더(420)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회전 아암(442)의 단부는 제2 신축 실린더(422)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그리퍼 및 제2 그리퍼는 렌치 본체(436)의 상부의 두 단부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리퍼는 제1 그립핑 실린더(440) 및 제1 그립핑 부재(4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그리퍼는 제2 그립핑 실린더(442) 및 제2 그립핑 부재(4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립핑 실린더(440) 및 제2 그립핑 실린더(442)는 실린더 몸체가 토크 렌치(400)의 두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토크 렌치(400)의 U자형 파지면 내부를 향해 피스톤을 신축시킬 수 있다. 제1 그립핑 실린더(440) 및 제2 그립핑 실린더(442)의 피스톤의 단부에는 제1 그립핑 부재(444) 및 제2 그립핑 부재(446)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그립핑 부재(444) 및 제2 그립핑 부재(446)는 피스톤의 신장에 의해 렌치 본체(436)의 U자형 파지면 내부를 향해 진입할 수 있고, 렌치 본체(436)의 U자형 파지면 상에 안착된 드릴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그립핑 부재(444) 및 제2 그립핑 부재(446)의 가압력은 드릴 파이프 외주면과 U자형 파지면 및 드릴 파이프 외주면과 제1 그립핑 부재(444) 및 제2 그립핑 부재(446)의 접촉면에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드릴 파이프의 외주면에 넓은 접촉면적을 갖는 마찰면 및 이에 대한 높은 수직 항력을 제공하여 강한 마찰력으로 드릴 파이프를 그립핑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그리퍼는 제2 그리퍼는 토크 렌치(400)의 U자형 파지면 상에 안착된 드릴 파이프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상태가 예시되었다. 제1 그리퍼 및 제2 그리퍼에 의해 파지된 드릴 파이프는 제1 신축 실린더(420) 및 제2 신축 실린더(422)의 신축 작용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축 실린더(420)는 상승하나 제2 신축 실린더(422)는 하강하는 경우, 제1 회전 아암(440)의 단부는 D1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회전 아암(442)의 단부는 D2'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5 상에서 드릴 파이프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신축 실린더(420)는 하강하나 제2 신축 실린더(422)는 상승하는 경우, 제1 회전 아암(440)의 단부는 D1'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회전 아암(442)의 단부는 D2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5 상에서 드릴 파이프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토크 렌치(400)는 제1 신축 실린더(420)과 제1 회전 아암(440) 및 제2 신축 실린더와 제2 회전 아암(442)은 지렛대 원리가 작용되어 렌치 본체(436)에 큰 토크를 가할 수 있고, 이는 제1 그리퍼 및 제2 그리퍼에 의한 강한 파지력과 연관되어 두 개의 드릴 파이프를 견고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토크 렌치(400)의 결합 작용은, 도 5에 도시된 제1 롤러(210), 제2 롤러(220) 및 제3 롤러(340)에 의한 고속 회전 결합, 즉, 스피너에 의한 고속 회전 결합에 대비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각속도로 드릴 파이프를 회전시키나 더욱 강한 토크로 드릴 파이프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신축 실린더(420) 및 제2 신축 실린더(422)가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할 때, 토크 본체는 이에 상응하여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토크 본체가 상승될 때, 토크 본체는 제2 노출부를 지나 안내면(105)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고, 안내면(105) 상에 배치된 드릴 파이프는 렌치 본체(436)의 U자형 파지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드릴 파이프가 렌치 본체(436)의 U자형 파지면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된 이후에도 제1 신축 실린더(420) 및 제2 신축 실린더(422)는 추가로 상승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릴 파이프의 단부의 수직 방향(z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제2 절개부(130) 및 토크 렌치(400) 상에 배치되는 두 개의 드릴 파이프의 단부가 수직 방향 단차가 있는 경우, 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 하나의 렌치 본체(436) 및 그 주변 구성들이 도시되었으나, 본체(100)가 연장하는 제1 방향으로 보았을 때, 도시된 하나의 렌치 본체(436)의 이면에는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하나의 렌치 본체(436) 및 그 주변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고, 양자는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렌치 본체(436) 및 그 주변 구성들은 제2 절개부(130) 상에 배치된 하나의 드릴 파이프의 단부를 파지 및 회전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렌치 본체(436) 및 그 주변 구성들은 제2 절개부(130) 상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드릴 파이프를 파지 및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드릴 파이프는 그 양단의 외경이 그 내부의 외경에 비하여 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드릴 파이프는 전체적으로 제1 외경(도 5 의 D1)으로 연장하며 그 양단이 제1 외경(도 5의 D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제2 외경(D2)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토크 렌치(400)는 제2 외경(D2)를 갖는 두 개의 드릴 파이프의 단부를 각각 파지하여 하나 이상의 드릴 파이프를 회전시켜 서로에 대한 상대 회전을 유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이송장치의 드릴 파이프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의 도시와 같이, 제1 드릴 파이프(DP1)가 본체(100)의 일측으로부터 본체(100)의 안내면(105) 상으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드릴 파이프는 크레인에 의해 안내면(105) 상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2 개 내지 3개 단위로 본체(100)의 임시 저장 슬롯(미도시)에 공급된 이후, 임시 저장 슬롯(미도시)에 공급된 드릴 파이프가 하나씩 안내면(105) 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는 드릴 파이프는 본체(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수평 파이프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안내면(105) 상으로 하나씩 공급될 수도 있다. 제1 드릴 파이프(DP1)는 안내면(105)의 경사면들에 의해 안내면(105) 중앙으로 이동된다.
이어, 도 8의 도시와 같이, 트롤리(500)가 안내면(105) 상의 일측으로부터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드릴 파이프(DP1)를 제1 이동 거리(L1)만큼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송 후, 제1 드릴 파이프(DP1)의 단부는 제2 절개부(130) 상에 배치되며, 이후 토크 렌치(400)에 의해 파지된다.
이어, 도 9의 도시와 같이, 파이프 이송 장치(10)에 추가로 제2 드릴 파이프(DP2)가 공급된다. 제2 드릴 파이프(DP2)는 제1 드릴 파이프(DP1)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안내면(105)의 일측으로 공급되고, 트롤리(500)에 의해 제2 절개부(130) 상의 제1 드릴 파이프(DP1)의 단부를 향해 제1 방향으로 이동(TM1)된다.
이어, 도 10을 참조하면, 롤러(200)가 제1 절개부(120)를 통해 그 일부가 상승하며, 토크 렌치(400)는 제2 절개부(130)를 통해 그 일부가 상승한다. 또한, 롤링 지지대(300)도 제2 드릴 파이프(DP2)를 향해 회전한다. 롤러(200)와 롤링 지지대(300)가 제2 드릴 파이프(DP2)의 외주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2 드릴 파이프(DP2)를 제2 회전 방향(M2)로 회전시키는 동안, 트롤리(500)는 제1 방향(x방향)을 따라 제2 드릴 파이프(DP2)를 이동(TM2)시킬 수 있다.
즉, 토크 렌치(400)에 의해 제1 드릴 파이프(DP1) 및 제2 드릴 파이프(DP2)의 제2 절개부(130) 상의 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트롤리(500)가 제2 드릴 파이프(DP2)를 종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롤러(200)와 롤링 지지대(300)가 제2 드릴 파이프(DP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 드릴 파이프(DP2)는 제1 드릴 파이프(DP1)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되고, 제2 드릴 파이프(DP2)와 제1 드릴 파이프(DP1)의 단부는 나사 결합된다. 이어, 도 11의 도시와 같이, 트롤리(500)는 결합된 드릴 파이프의 조립체를 드릴 플로어(미도시)를 향해 제1 방향(x 방향)으로 이동시켜, 드릴 파이프 조립체를 제3 영역(도 1, 도 2의 도면부호 6) 또는 제4 영역(도 1, 도 2의 도면부호 7)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을 구성하는 랙커(40)와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을 구성하는 환형 레일(30)과 하나 이상의 랙커(40) 및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을 구성하는 환형 레일(30)과 하나 이상의 랙커(40)의 사시도이다. 도 14에서 파이프 직립 장치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환형 레일(30)은 시추 설비가 배치되는 드릴 플로어 상에 배치되며, 갑판의 일부가 함몰되거나 갑판의 일부가 돌출되어 랙커(40)를 직립 지지하는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에서 환형 레일(30)은 폐루프를 이루고 있으나, 적어도 일 부분이 단절된 개방루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랙커(40)는 환형 레일(30) 상에서 갑판 또는 드릴 플로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며, 환형 레일(30)에 의해 가이딩되어 환형 레일(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랙커(40)는 드릴 파이프 또는 케이싱을 파지하여 삼차원적인 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파이프 수직 지지부(50)는 환형 레일(30)의 외방 영역에 원형으로 배치되며, 파이프(파이프들의 조립체를 포함)를 수직으로 지지한다. 파이프 지지부(50a,50b)는 지지틀(52)과, 지지틀(52)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 지지판(5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54)은 파이프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지지틀(52)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소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판(54)에는 파이프의 삽입이 가능한 지지홈(56,58)들이 환형 레일(30)과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환형 레일(30)의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로, 제1 지지홈(56)은 제1 파이프(P1)의 지지를 위해 제1 파이프(P1)의 직경에 대응하는 제1 폭(W1)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 지지홈(58)은 제2 파이프(P2)의 지지를 위해 제2 파이프(P2)의 직경에 대응하는 제2 폭(W2)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시에서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폭(W1,W2)을 갖는 지지홈들(56,58)이 지지판(54)에 형성되어 있으나, 적용되는 환경과 파이프의 직경, 개수 등에 따라,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지지홈들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파이프 수직 지지부(50)는 제1 파이프 지지부(50a)와 제2 파이프 지지부(50b)를 포함한다. 제1 파이프 지지부(50a)는 환형 레일(30)의 제1 부분(도 13에서 좌측 반원 부분)을 반원호 형태로 둘러싸는 제1 셋백 영역(SB1)에 제공된다. 제2 파이프 지지부(50b)는 환형 레일(30)의 제2 부분(도 13에서 우측 반원 부분)을 반원호 형태로 둘러싸는 제2 셋백 영역(SB2)에 제공된다. 제1 파이프 지지부(50a)와 제2 파이프 지지부(50b) 사이에는 랙커(40)가 파이프 이송 장치(10,20)에 의해 제3 영역(6) 또는 제4 영역(7)으로 이송된 파이프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영역(6a,7a)이 제공된다.
랙커(40)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1 하이드라 랙커(40a)와, 제2 하이드라 랙커(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이드라 랙커(40a)와, 제2 하이드라 랙커(40b)는 각각 두 인터페이스 영역(6a,7a)을 통해 제3 영역(6)과 제4 영역(7) 측으로 접근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이드라 랙커(40a)와, 제2 하이드라 랙커(40b)는 제3 영역(6)과 제4 영역(7)에 대한 접근성이 높기 때문에, 제3 영역(6)과 제4 영역(7)에서의 파이프 대기 시간을 줄이고, 제3 영역(6)과 제4 영역(7)으로 이송된 파이프를 신속하게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에 저장하거나, 연속 시추 장치 측의 웰을 향해 이송할 수 있다.
랙커(40)는 직립 몸체(41), 제1 아암(43), 제2 아암(45), 이동 힌지(42,44) 및 그립퍼(46)를 포함할 수 있다. 직립 몸체(41)는 그 일단이 환형 레일(30)에 체결되며 갑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상부로 직립 연장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직립 몸체(41)의 타단은 다른 체결 수단에 연결되어 지지되거나, 자유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직립 몸체(41)의 일측에 제1 이동 힌지(42) 및 제2 이동 힌지(4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이동 힌지(42) 및 제2 이동 힌지(44)는 직립 몸체(4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아암(43)의 일단은 제1 이동 힌지(42)와 힌지 결합될 수 있고, 그 타단이 그립퍼(46)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아암(45)의 일단은 제2 이동 힌지(44)와 힌지 결합될 수 있고, 그 타단은 제1 아암(43)의 몸체와 힌지 결합할 수 있다. 그리퍼(46)는 다른 부재 예를 들어, 드릴 파이프 또는 케이싱에 파지력을 가하는 조임 수단일 수 있다.
제1 이동 힌지(42)와 제2 이동 힌지(44) 사이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제1 아암(43)의 제1 이동 힌지(42)에 대한 각도가 변화될 수 있고, 이는 제1 아암(43) 및 그 타단의 그리퍼(46)가 수평 방향으로 뻗는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 힌지(44)가 제1 이동 힌지(42)로 접근할 때, 제1 아암(43)은 들어 올려질 수 있고, 제1 이동 힌지(42) 또는 직립 몸체(41)로부터 제1 아암(43)의 타단 및 그리퍼(46)까지의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리퍼(46)가 파이프 수직 지지부(5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이동 힌지(44)가 제1 이동 힌지(42)로부터 멀어질 때, 제1 아암(43)은 아래로 내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직립 몸체(41)로부터 제1 아암(43) 및 그리퍼(46)까지의 거리가 감소하여 그리퍼(46)는 파이프 수직 지지부(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이동 힌지(42) 및 제2 이동 힌지(44)가 함께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아암(43) 및 제2 아암(45)을 통해 제1 이동 힌지(42)와 제2 이동 힌지(44)에 각각 연결되는 그리퍼(46)는 상하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이드라 랙커(40a,40b)는 드릴 파이프 또는 케이싱 스탠드(S)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탠드(S)들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1 셋백 영역(SB1) 및 제2 셋백 영역(SB2)은 환형 레일(30)과 동심을 이루는 고리의 원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셋백 영역(SB1) 및 제2 셋백 영역(SB2)은 각각 환형 레일(30)의 중심점으로부터의 내경이 동일할 수 있다. 제1 셋백 영역(SB1) 및 제2 셋백 영역(SB2)의 외경은 같을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즉 제1 셋백 영역(SB1) 및 제2 셋백 영역(뉴)의 면적은 상이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랙커(40)의 작업 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1 셋백 영역(SB1) 및 제2 셋백 영역(SB2)의 내경은 제1 하이드라 랙커(40a) 및 제2 하이드라 랙커(40b)의 환형 레일(30)을 따른 이동을 제한 또는 방해하지 않는 가장 작은 값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 셋백 영역(SB1) 및 제2 셋백 영역(SB2)의 외경은 제1 하이드라 랙커(40a) 및 제2 하이드라 랙커(40b)의 리치(reach), 즉, 제1 하이드라 랙커(40a) 및 제2 하이드라 랙커(40b)가 최대 연장 상태일 때 환형 레일(30)의 중심으로부터 그리퍼(46)까지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셋백 영역(SB1) 및 제2 셋백 영역(SB2)의 전체 면적은 셋백 영역들 내에 저장될 파이프 스탠드들의 개수에 연관될 수 있다. 특정 시추 선박이 요구하는 스탠드들의 개수에 상응하도록 셋백 영역들의 면적이 설정될 수 있고, 상응하는 셋백 영역들의 면적에 맞추어 제1 셋백 영역(SB1) 및 제2 셋백 영역(SB2)의 내/외경이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셋백 영역들은 환형 레일(30)을 둘러싸는 원형 또는 곡선형으로 배치됨으로써, 셋백 영역 및 레일이 직선 거리로 배치될 때에 비하여 하이드라 랙커는 더 짧은 거리를 통해 스탠드들(S)을 이송할 수 있다. 환형 레일(30)은 하나의 지점에 대하여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의 2개의 이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이드라 랙커(40a)가 특정 파이프 스탠드를 이송하거나 하나의 웰 상에서 파이프를 지지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제2 하이드라 랙커(40b)의 어느 하나의 이동 경로(예를 들어, 시계 방향 경로)를 제한하고 있는 경우, 제2 하이드라 랙커(40b)는 다른 하나의 이동 경로(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경로)를 통해 파이프를 이송할 수 있으므로, 제1 하이드라 랙커(40a) 및 제2 하이드라 랙커(40b)는 서로에 대한 이동을 제한함이 없이 스탠드의 이송 및 지지 작업을 계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1 셋백 영역(SB1) 및/또는 제2 셋백 영역(SB2)의 외곽에는 파이프 이송 및 시추 작업을 원격 조종하기 위한 시추 제어룸(도시생략)이 제공될 수 있다. 시추 제어룸은 시추 장비 및 제어반들이 설치되는 일종의 원격 조종 센터로서, 작업자는 시추 제어룸 내에서 파이프 핸들링 작업을 육안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을 감지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파이프 핸들링 작업을 조작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제1 웰(W1)과 제2 웰(W2)은 드릴 플로어의 중심 또는 환형 레일(2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맞은 편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웰(W1) 및 제2 웰(W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나의 웰이 사용될 때 다른 웰은 예비 웰로서 대기 상태를 유지하거나, 다른 작업의 수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이드라 통(13)은 두 개의 드릴 파이프 또는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결합하기 위해 양자에 회전력을 작용할 수 있다. 파이프 이송 장치(10)에 의해 드릴 플로어 측으로 공급된 드릴 파이프(P)는 제1 웰(W1)에 삽입된 상태에서 추가로 공급된 드릴 파이프와 하이드라 통(13)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컨대 세 개 내지 네 개의 드릴 파이프들이 서로 체결될 수 있고, 이는 하나의 드릴 파이프 스탠드로서 하이드라 랙커(40a,40b)에 의해 이송되어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의 셋백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드릴 파이프(드릴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포함)가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드릴 플로어로 수평으로 공급되면, 드릴 파이프를 직립하는 수단(미도시)에 의해 드릴 파이프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세워진 드릴 파이프는 웰(W1,W2)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드릴 파이프는 웰(W1,W2) 내에 삽입될 수 있고,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추가로 공급된 드릴 파이프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3개 내지 4개의 드릴 파이프가 조립되어 하나의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형성할 수 있다. 하이드라 랙커는 형성된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파지하기 위하여 이송될 수 있다.
제1 하이드라 랙커(40a)와 제2 하이드라 랙커(40b)는 웰(W1,W2) 측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후 그리퍼를 인출하여,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파지한다. 이어서 제1 하이드라 랙커(40a)와 제2 하이드라 랙커(40b)는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파지한 채로 수직으로 들어올려 웰(W1,W2)로부터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꺼내고, 그리퍼를 신축한 후 환형 레일(30)을 따라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저장할 위치로 회전한다.
이어서 제1 하이드라 랙커(40a)와 제2 하이드라 랙커(40b)는 그리퍼를 인출하고, 드릴 파이프 스탠드(S)를 파지 해제하여 셋백 영역 상의 원하는 위치에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릴 파이프 스탠들(S)은 셋백 영역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먼 위치로부터 가까운 위치로 차례로 안착될 수 있다.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웰(W1,W2) 측으로 이송하려는 경우, 하이드라 랙커(40a,40b)는 그리퍼를 연장시켜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에 거치된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파지하고, 그리퍼를 수축한 후, 도 16의 도시와 같이, 환형 레일(30)을 따라 웰(W1,W2) 측으로 회전한 다음(R1,R2), 다시 그리퍼를 인출하여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웰(W1,W2) 상부로 이송한다(T1,T2). 이어서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웰(W1,W2)을 향하여 하강시킨 후, 파지를 해제하여 드릴 파이프 스탠드의 이송을 완료하고 복귀하게 된다. 웰(W1,W2)에 드릴 파이프 스탠드가 배치되면, 연속 시추 장치에 의해 드릴 파이프 스탠드를 연결시켜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 작업이 행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파이프 이송 장치(10,20), 환형 레일(30), 환형 레일(30)을 둘러싸는 원형의 파이프 수직 지지부(50), 환형 레일(30)을 따라 이동 가능한 랙커(40)에 의하여, 제3 영역(6)과 제4 영역(7)에서의 파이프 대기 시간을 줄이고, 제3 영역(6)과 제4 영역(7)으로 이송된 파이프를 신속하게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에 저장하거나, 연속 시추 장치 측의 웰을 향해 이송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이송 경로를 최소화함으로써, 파이프의 이송 시간을 단축하여 파이프들의 조립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랙커(40)는 선수 측과 선미 측의 파이프 적치부들에 각각 액세스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환형 레일(30)을 통해 이동 가능한 복수의 하이드라 랙커(40a,40b)에 의해 효율적으로 파이프 이송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에 의하면, 파이프들의 연결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연속 시추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으며,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수직으로 저장하는 구조물을 높이 구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연속 시추 장치의 구조물 높이를 낮게 구성함으로써, 시추 선박이 흑해, 파나마 운하, 수에즈 운하의 다리들을 통과시 데릭을 분해 및 재조립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시추 선박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중복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의 실시 예에 따른 시추 선박은 하나의 연속 시추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제1 연속 시추 장치(60)는 탑홀 드릴링(top hole drilling), 탑홀 케이싱(top hole casing) 및 탑홀 시멘팅(top hole cementing) 작업을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7 및 도 18의 시추 선박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제1 하이드라 랙커(40a)와 제2 하이드라 랙커(40b)는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를 파이프 수직 지지부(50)로 이송시키는 작업과,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에 저장된 파이프를 웰(W)에 이송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이드라 랙커(40a)는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되어 수직으로 지지된 파이프를 그리퍼에 의해 파지한 후, 그리퍼를 신축하여 환형 레일(30)을 따라 회전한 다음(R3), 그리퍼를 인출하여 파이프 수직 지지부(50)에 파이프를 안착시킬 수 있다. 제2 하이드라 랙커(40b)는 그리퍼에 의해 파지한 후, 그리퍼를 신축하여 환형 레일(30)을 따라 회전한 다음(R4), 그리퍼를 인출하여(T4) 웰(W)에 파이프를 이송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시추 선박 1a: 선체
1b: 문풀 2: 제1 영역
3: 제2 영역 4: 제1 파이프 적치부
5: 제2 파이프 적치부 6: 제3 영역
6a,7a: 인터페이스 영역 7: 제4 영역
8,9: 크레인 13: 하이드라 통
10: 제1 파이프 이송 장치 20: 제2 파이프 이송 장치
30: 환형 레일 40: 랙커
40a: 제1 하이드라 랙커 40b: 제2 하이드라 랙커
50: 파이프 수직 지지부 50a: 제1 파이프 지지부
50b: 제2 파이프 지지부 52: 지지틀
54: 지지판 56, 58: 지지홈
60: 제1 연속 시추 장치 70: 제2 연속 시추 장치
100: 본체 105: 안내면
120: 제1 절개부 130: 제2 절개부
200: 롤러 210: 제1 롤러
220: 제2 롤러 300: 롤링 지지대
400: 토크 렌치 500: 트롤리
SB1: 제1 셋백 영역 SB2: 제2 셋백 영역
W,W1,W2: 웰 DP: 드릴 파이프

Claims (10)

  1. 선체;
    상기 선체에 제공되고, 시추를 위한 파이프들을 적치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적치부;
    상기 파이프 적치부에 적치된 파이프를 드릴 플로어를 향하여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이송 장치;
    상기 선체에 제공된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랙커;
    상기 환형 레일을 둘러싸는 원형의 셋백 영역에 제공되고,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파이프 수직 지지부; 및
    상기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웰을 통해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하는 하나 이상의 시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랙커는 상기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의 하이드라 랙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하이드라 랙커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시추 선박.
  2. 선체;
    상기 선체에 제공되고, 시추를 위한 파이프들을 적치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적치부;
    상기 파이프 적치부에 적치된 파이프를 드릴 플로어를 향하여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이송 장치;
    상기 선체에 제공된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랙커;
    상기 환형 레일을 둘러싸는 원형의 셋백 영역에 제공되고,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파이프 수직 지지부; 및
    상기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웰을 통해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하는 하나 이상의 시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랙커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신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암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아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는 상기 파이프 또는 상기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파지하여 상기 환형 레일을 따라 상기 셋백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시추 선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랙커는 상기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의 하이드라 랙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하이드라 랙커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시추 선박.
  4. 선체;
    상기 선체에 제공되고, 시추를 위한 파이프들을 적치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적치부;
    상기 파이프 적치부에 적치된 파이프를 드릴 플로어를 향하여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이송 장치;
    상기 선체에 제공된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랙커;
    상기 환형 레일을 둘러싸는 원형의 셋백 영역에 제공되고,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파이프 수직 지지부; 및
    상기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웰을 통해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하는 하나 이상의 시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이송 장치는 상기 파이프 적치부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파이프를 조립하여 상기 드릴 플로어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시추 선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이송 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적치부로부터 제공된 파이프를 중심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안내면을 따라 상기 파이프를 선수 방향 또는 선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롤리;
    상기 본체에 제공되고, 상기 안내면 상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지하는 토크 렌치; 및
    상기 안내면에 절개된 제1 절개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일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파이프를 결합시키는 롤러를 포함하는 시추 선박.
  6. 선체;
    상기 선체에 제공되고, 시추를 위한 파이프들을 적치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적치부;
    상기 파이프 적치부에 적치된 파이프를 드릴 플로어를 향하여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이송 장치;
    상기 선체에 제공된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랙커;
    상기 환형 레일을 둘러싸는 원형의 셋백 영역에 제공되고,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파이프 수직 지지부; 및
    상기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웰을 통해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하는 하나 이상의 시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이프 적치부는:
    상기 선체의 제1 영역에 제공되고, 시추를 위한 제1 파이프들을 적치하는 제1 파이프 적치부; 및
    상기 선체의 제2 영역에 제공되고, 시추를 위한 제2 파이프들을 적치하는 제2 파이프 적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이프 이송 장치는:
    상기 제1 파이프 적치부에 적치된 제1 파이프를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하여 제3 영역으로 제공하는 제1 파이프 이송 장치; 및
    상기 제2 파이프 적치부에 적치된 제2 파이프를 상기 제1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하여 제4 영역으로 제공하는 제2 파이프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랙커는,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4 영역 사이에 제공된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시추 선박.
  7. 선체;
    상기 선체에 제공되고, 시추를 위한 파이프들을 적치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적치부;
    상기 파이프 적치부에 적치된 파이프를 드릴 플로어를 향하여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파이프 이송 장치;
    상기 선체에 제공된 환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파이프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랙커;
    상기 환형 레일을 둘러싸는 원형의 셋백 영역에 제공되고,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파이프 수직 지지부; 및
    상기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웰을 통해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하는 하나 이상의 시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수직 지지부는:
    상기 환형 레일의 외방 영역에 배치된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에 고정되고,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홈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시추 선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수직 지지부는:
    상기 환형 레일의 제1 부분을 반원호 형태로 둘러싸는 제1 셋백 영역에 제공된 제1 파이프 지지부; 및
    상기 환형 레일의 제2 부분을 반원호 형태로 둘러싸는 제2 셋백 영역에 제공된 제2 파이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이프 지지부와 상기 제2 파이프 지지부 사이에, 상기 랙커가 상기 제3 영역 또는 상기 제4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된 인터페이스 영역이 구비된 시추 선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추 장치는:
    상기 제3 영역 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파이프들의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제1 웰을 통해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하는 제1 연속 시추 장치; 및
    상기 제4 영역 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파이프들의 조립체 또는 상기 제2 파이프들의 조립체를 제2 웰을 통해 트리핑인 또는 트리핑 아웃하는 제2 연속 시추 장치를 포함하는 시추 선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속 시추 장치 및 상기 제2 연속 시추 장치는 각각 호이스팅 로테이션(hoisting rotation) 시스템 및 탑드라이브(top drive)를 구비하며, 80 미터 미만의 높이를 갖도록 제공되는 시추 선박.
KR1020160121474A 2016-09-22 2016-09-22 시추 선박 KR101854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74A KR101854260B1 (ko) 2016-09-22 2016-09-22 시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74A KR101854260B1 (ko) 2016-09-22 2016-09-22 시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63A KR20180032363A (ko) 2018-03-30
KR101854260B1 true KR101854260B1 (ko) 2018-05-03

Family

ID=6189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474A KR101854260B1 (ko) 2016-09-22 2016-09-22 시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2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63A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9486B2 (en) Portable pipe handling system
CN109591972B (zh) 海上钻探船及方法
RU2726780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подачи труб
CA2590505C (en) A system for handling pipes between a pipe rack and a derrick, and also a device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pipe stands
US8696288B2 (en) Pipe handling boom pretensioning apparatus
EP3358122B1 (en) Wellbore drilling system
EP1799955B1 (en) Tubular handling apparatus and a drilling rig
EP2212513B1 (en) Pipe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US8936424B1 (en) Vertical pipe handler with pivoting arms and smart grip
EP2425090B1 (en) A tubulars storage and handling system
MX2014006367A (es) Construccion y sistema de estibado de trenes de varillas tubulares.
KR20100014551A (ko) 동시 관 조종 시스템
NO338288B1 (no) Fremgangsmåte og anordning for frakoblet sammenstilling av rørseksjoner
KR20110108331A (ko) 그리퍼 조립체를 위한 신축형 잭
KR200492496Y1 (ko) 드릴 파이프 핸들링 시스템
JP6157632B2 (ja) カンチレバー組込式掘削ユニット
KR101854260B1 (ko) 시추 선박
KR101750823B1 (ko) 파이프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 선박
KR101774899B1 (ko) 시추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 선박
NL2025697B1 (en) Offshore vessel and method of operation of such an offshore vessel
US20230023261A1 (en) Drilling plants and methods
KR20170029264A (ko) 시추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 선박
KR101465780B1 (ko) 라이저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