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560B1 -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560B1
KR101853560B1 KR1020160135186A KR20160135186A KR101853560B1 KR 101853560 B1 KR101853560 B1 KR 101853560B1 KR 1020160135186 A KR1020160135186 A KR 1020160135186A KR 20160135186 A KR20160135186 A KR 20160135186A KR 101853560 B1 KR101853560 B1 KR 101853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rface data
unit
position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696A (ko
Inventor
홍재성
전상서
송찬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3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560B1/ko
Priority to US15/588,731 priority patent/US10653360B2/en
Publication of KR20180042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7Measuring of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은, 대상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대상체의 표면데이터와, 상기 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감지부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측정부; 획득된 정보 중 최초 획득된 정보를 표면정합을 위한 기준정보로 설정하고, 획득된 정보 중 최후 획득된 정보와 상기 기준정보를 비교하는 처리부; 및 상기 기준정보와 상기 최후 획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DIRECTING PLACEMENT OF DETECTOR FOR MEASURING BIO-SIGNAL AND METHOD THEREOF}
이하, 실시예들은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간을 두고 장기적으로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 소위 종단적 연구(longitudinal study)에서는 생체신호(bio-signal)를 감지하는 감지부(예를 들어, 프로브(probe), 전극(electrode))를 재현성(reproducibility)있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중장기적 연구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프로브를 재배치함으로써 검사-재검사(test-retest)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현성있게 감지부를 배치하는 시스템으로 10-20 시스템이 있다. 상기 10-20 시스템은 비근점(nasion), 뒤통수점(inion) 및 귓바퀴앞 특징점(pre-auricular point)과 같은 해부학적 특징점을 사용하여 감지부를 배치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상기 해부학적 특징점을 인식 또는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공보 JP 2011-502647은 뇌파 기록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광학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대상체의 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체에 대하여 배치된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부의 최초 위치 및 실시간으로 획득된 감지부의 위치를 중첩하여 시각화할 수 있는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은, 대상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대상체의 표면데이터와, 상기 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감지부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측정부; 획득된 정보 중 최초 획득된 정보를 표면정합을 위한 기준정보로 설정하고, 획득된 정보 중 최후 획득된 정보와 상기 기준정보를 비교하는 처리부; 및 상기 기준정보와 상기 최후 획득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표면데이터와, 상기 감지부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추출된 상기 표면데이터 중 최초 획득된 표면데이터를 상기 기준정보 중 기준표면데이터로 설정하고, 추출된 상기 위치데이터 중 최초 획득된 위치데이터를 상기 기준정보 중 기준위치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최후 획득된 정보 중 표면데이터와 상기 기준표면데이터를 정합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정합된 상기 표면데이터와 상기 기준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최후 획득된 정보 중 위치데이터와 상기 기준위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준위치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발광되는 특징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표면데이터와, 상기 감지부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은, 대상체의 표면데이터와, 상기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대상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배치부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정보로부터 상기 표면데이터와 상기 위치데이터를 기준표면데이터와 기준위치데이터로 설정하는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 이후, 상기 대상체의 실시간표면데이터와, 상기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배치부가 배치되는 실시간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준표면데이터와 상기 실시간표면데이터를 정합하는 데이터를 반복 처리하는 단계; 및 정합된 상기 기준표면데이터와 상기 실시간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위치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표면데이터와 상기 위치데이터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위치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발광되는 특정점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광학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대상체의 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체에 대하여 배치된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부의 최초 위치 및 실시간으로 획득된 감지부의 위치를 중첩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가 최초 획득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최초 획득된 표면데이터 및 위치데이터와, 실시간으로 획득된 표면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각각 비교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에서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는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에서 데이터를 반복 처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1)은, 감지부(10), 측정부(20), 처리부(미도시) 및 표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는, 대상체의 근육 세포들이나 신경 세포들에서 발생되는 전위 또는 전류 형태의 신호로, 대상체의 신체에 부착된 전극(electrode) 또는 프로브(probe)와 같은 감지부(10)를 통하여 검출된 전기적 신호(예를 들어,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의 변화를 수집 및 분석하여 획득된다.
대상체는, 생체신호 감지부가 배치되어 사용되는 대상으로, 사람, 동물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본원에서는 대상체를 사람으로서 일 예로 설명한다.
감지부(10)는, 대상체(O)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0)는, 대상체(O)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재(11)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재(11)는, 감지부(10)의 표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재(11)는, 대상체(O)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전극, 프로브 등에 해당할 수 있고, 감지부(10)가 사람의 두피에 배치되는 경우에 감지부재(11)가 뇌전도를 감지할 수 있다.
측정부(20)는, 대상체(O)의 표면데이터와, 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대상체(O)에 대하여 감지부(10)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표면데이터는, 대상체(O)를 이루는 표면들이 측정부(20)에 의하여 데이터화된 것이다. 측정부(20)는 대상체(O)의 표면을 데이터화하여 3차원 데이터(point cloud)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위치데이터는, 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대상체(O)에 대하여 감지부(10)가 배치되는 위치가 측정부(20)에 의하여 데이터화된 것이다. 측정부(20)는, 대상체(O)에 대하여 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감지부(10)가 배치되는 위치를 데이터화하여 3차원 데이터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측정부(20)는, 대상체(O)에 배치된 감지부(10)를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측정부(20)는, 감지부(10)의 표면에 형성된 대상체(O)에 대한 복수의 감지부재(11)들의 위치를 스캔(scan)할 수 있다. 측정부(20)는, 스캔되는 감지부재(11)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20)는, RGB-D센서를 이용하는 RGB-D 카메라일 수 있다.
처리부는, 획득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 중 최초 획득된 정보를 표면정합을 위한 기준정보로 설정하고, 획득된 정보 중 최후 획득된 정보와 기준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표면정합(surface registration)은, 하나의 표면과 다른 하나의 표면을 서로 대응시키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통하여 하나의 표면에서의 좌표들과 다른 하나의 표면에서의 좌표들을 각각 대응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표면정합을 통하여 상기 하나의 표면과 상기 다른 하나의 표면은 서로 대응되게 설정된 후, 상기 표면들이 다른 데이터 처리가 필요할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를 위한 기준표면으로서 처리될 수 있다.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는 측정부(2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되므로, 상기 정보는 고유의 시간 값이 부여된다. 예를 들어,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에는 최초 획득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 또는 최후 획득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처리부는, 측정부(20)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 중 최초 획득된 정보를 추후 데이터 처리를 하기 위하여 표면정합을 위한 기준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측정부(20)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 중 최후 획득된 정보와 설정된 기준정보를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관하여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표시부(30)는, 기준정보와 최후 획득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30)는, 측정부(20)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 중 최초 획득된 정보와 최후 획득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관하여는, 처리부와 연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가 최초 획득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최초 획득된 표면데이터 및 위치데이터와, 실시간으로 획득된 표면데이터 및 위치데이터를 각각 비교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도 2에는, 대상체(O)에 대하여 감지부(10)가 최초로 배치된 경우, 측정부(20)에 의하여 대상체(O)의 표면데이터(S) 및 대상체(O)에 대하여 감지부(10)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P)가 최초로 획득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이 경우, 대상체(O)의 표면데이터(S)와, 대상체(O)에 대하여 감지부(10)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P)를 포함하는 정보 중 최초 획득된 정보가 처리부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는, 측정부(20)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로부터 대상체(O)의 표면데이터(S) 및 감지부(10)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P)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표면데이터(S)는 표면정합을 위한 기준표면데이터로서 설정될 수 있고, 추출된 위치데이터(P)는 표시부(30)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는, 측정부(20)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 중 최초 획득된 표면데이터(S)를 기준정보 중 기준표면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고, 측정부(20)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 중 최초 획득된 위치데이터(P)를 기준정보 중 기준위치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최초 획득된 표면데이터(S)는, 추후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표면데이터와 표면정합되기 위하여 기준표면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고, 최초 획득된 위치데이터(P)는, 추후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위치데이터와 비교되기 위하여 기준위치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30)는, 표면데이터(S)와 위치데이터(P)를 사용자에게 발광되는 특징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대상체(O)에 대하여 최초 배치된 감지부(1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도 3에는, 감지부(10)가 대상체(O)에 대하여 최초 배치된 후, 사용자의 필요성에 의하여 감지부(10')가 대상체(O)에 대하여 다시 재배치된 모습이 도시된다. 이 경우, 대상체(O)의 표면데이터(미도시)와, 대상체(O)에 대하여 감지부(10')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P')를 포함하는 정보가 측정부(2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처리부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정보 중 최후 획득된 표면데이터와 최후 획득된 위치데이터(P')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도 4에는, 측정부(20)에 의한 최초 획득된 정보와 최후 획득된 정보가 비교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처리부는, 표면정합을 위한 기준정보로 설정된 최초 획득된 정보와, 최후 획득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는, 기준정보 중 기준표면데이터(S)와, 최후 획득된 정보 중 표면데이터(S)를 표면정합할 수 있다. 즉, 처리부는, 기준표면데이터(S)에서의 좌표들과, 최후 획득된 정보 중 표면데이터(S)에서의 좌표들을 각각 대응시킴으로써, 추후 감지부(10)가 배치되는 기준위치데이터(P)와, 실시간으로, 예를 들어, 최후 획득된 위치데이터(P')의 비교가 가능하다.
이 때, 표시부(30)는, 정합된 표면데이터(S)와 기준표면데이터(S)를 기준으로, 최후 획득된 정보 중 위치데이터(P')와, 기준위치데이터(P)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30)는, 표면데이터(S)가 고정된 채로, 기준위치데이터(P) 및 최후 획득된 정보 중 위치데이터(P')가 비교되는 모습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0)는, 기준위치데이터(P)를 사용자에게 발광되는 특징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위치데이터(P)는 최초 획득된 위치데이터(P)가 발광되는 특징점으로서 표시되고, 최후 획득된 정보 중 위치데이터(P')는 표시되지 않음으로써, 표시부(30)는 사용자로 하여금 대상체(O)에 대하여 감지부(10')를 기존 감지부(10)가 대상체(O)에 대한 위치로 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종단적 연구를 수행할 때, 감지부(10, 10')를 대상체(O)에 대하여 재현성있게 배치함으로써,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는, 기준위치데이터(P)와 최후 획득된 정보 중 위치데이터(P')를 상호 일치시킴으로써, 감지부(10, 10')에서의 감지부재들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부학적 특징점의 오차가 감소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은,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 데이터를 반복 처리하는 단계 및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에서 종단적 연구에서 대상체에 대하여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최초로 배치될 때,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는, 초기에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분리하는 단계(S120) 및 기준으로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에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10)는, 대상체의 표면데이터와, 대상체에 대하여 대상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배치부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된 정보가 프로세서와 같은 처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분리하는 단계(S120)는, 획득된 표면데이터와 획득된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각각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으로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S130)는, 획득된 표면데이터와 획득된 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기준표면데이터와 기준위치데이터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기준표면데이터는, 추후 재검사 수행 시, 감지부가 대상체에 대하여 다시 배치될 때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표면데이터와 표면정합되기 위한 것이고, 설정된 기준위치데이터는, 추후 재검사 수행 시, 표면정합이 수행된 후, 실시간으로 획득된 위치데이터와 비교되기 위한 것이다.
도 6는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에서, 종단적 연구에서 대상체에 대하여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여러 시행횟수에 걸쳐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데이터를 반복 처리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데이터를 반복 처리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10), 기준표면데이터와 실시간표면데이터를 정합하는 단계(S220) 및 기준위치데이터와 실시간위치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10)는,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된다.
실시간으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10)는, 대상체의 실시간표면데이터와, 대상체에 대하여 배치부가 배치되는 실시간위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된 정보가 프로세서와 같은 처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기준표면데이터와 실시간표면데이터를 정합하는 단계(S220)는, 데이터를 전-처리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기준표면데이터와 대상체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대상체의 실시간표면데이터를 비교하고, 기준표면데이터에서의 좌표들과 실시간표면데이터에서의 좌표들을 각각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위치데이터와 실시간위치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S230)는, 정합된 기준표면데이터와 실시간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기준위치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위치데이터는 사용자에게 발광하는 특징점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발광하는 특징점으로서 기준위치데이터를 기준으로, 감지부를 기존의 감지부가 배치된 위치로 재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광학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대상체의 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체에 대하여 배치된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부의 최초 위치 및 실시간으로 획득된 감지부의 위치를 중첩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는 장점 또는 종단적 연구에서 감지부를 동일한 위치에 일관되게, 재현성있게 배치함으로써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10 : 감지부
20 : 측정부
30 : 표시부

Claims (10)

  1. 대상체의 두피에 배치되어 대상체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대상체의 표면데이터와, 상기 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체에 대하여 상기 프로브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측정부;
    최초 획득된 표면데이터와 위치데이터를 각각 기준표면데이터와 기준위치데이터로 설정하고, 이후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표면데이터를 상기 기준표면데이터와 표면정합시키는 처리부; 및
    상기 기준표면데이터와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표면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위치데이터와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위치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생체신호는 뇌전도 신호인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프로브의 위치를 스캔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준위치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발광되는 특징점으로 표시하는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측정부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대상체의 표면데이터와 상기 감지부가 배치되는 위치데이터를 분리하는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기준표면데이터와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표면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표면정합하는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35186A 2016-10-18 2016-10-18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53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86A KR101853560B1 (ko) 2016-10-18 2016-10-18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5/588,731 US10653360B2 (en) 2016-10-18 2017-05-08 System and method of directing biosignal detector arran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186A KR101853560B1 (ko) 2016-10-18 2016-10-18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696A KR20180042696A (ko) 2018-04-26
KR101853560B1 true KR101853560B1 (ko) 2018-04-30

Family

ID=6190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186A KR101853560B1 (ko) 2016-10-18 2016-10-18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53360B2 (ko)
KR (1) KR101853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3886B (zh) * 2018-05-10 2023-12-01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智能电极固定带
EP4175547A1 (en) * 2020-07-01 2023-05-10 Censyn, Inc. Rapid positioning systems
CN111811692B (zh) * 2020-07-07 2022-03-04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基于增强现实的航天器总装热敏电阻的热响应测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8167B2 (ja) * 2008-04-24 2012-07-0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光生体測定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ホルダ配置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8338B1 (en) * 1999-07-19 2001-05-29 Altec, Inc. Biosign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8600483B2 (en) * 2006-03-20 2013-12-03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obile in vivo infra red data collection and diagnoses comparison system
US20070255127A1 (en) * 2006-03-20 2007-11-01 Frederick Mintz Mobile electroencephalograph data collection and diagnosis system
EP3087918B1 (en) 2007-11-06 2018-08-22 Bio-signal Group Corp. Device for performing electroencephalography
US20150351655A1 (en) * 2013-01-08 2015-12-10 Interaxon Inc. Adaptive brain training computer system and method
KR20160023487A (ko)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검출 장치 및 생체 정보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8167B2 (ja) * 2008-04-24 2012-07-0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光生体測定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ホルダ配置支援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968167호(2012.07.0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3904A1 (en) 2018-04-19
US10653360B2 (en) 2020-05-19
KR20180042696A (ko)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560B1 (ko) 생체신호 감지부의 배치를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820693B2 (en) Measurement of biosignals of a user
US20120002166A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ophthalmologic system
WO2015119338A1 (ko) 3차원 초음파 프로브의 스캔 위치 가이드 방법 및 이 방법이 포함된 초음파 진단기
JP7293814B2 (ja) 生体情報計測装置、生体情報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984719B (zh) 一种视觉颜色通路功能检测方法和系统
US11051737B2 (en) Biomagnetic measurement method, biomagnetic measuring device, and biomagnetic measuring system
US107544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P3190973A1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CN107847134B (zh) 脑活动推定装置
JP5686739B2 (ja) 磁気式位置検出部を備えた検査装置、磁場計測用冶具、磁場検出用プログラム
CN112635042B (zh) 监护仪校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18175007A (ja) 情報処理装置、検査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8061659A (ja) 撮像装置
US20090175416A1 (en) X-ray photography apparatus
JP5074054B2 (ja) X線画像診断装置
JP7260060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61148B1 (ko) 간이용 숨김 정보 검사 자료 획득 장치
JP6403700B2 (ja) 検査システム、及び検査方法
CN115035086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结核皮试智能筛查分析方法和装置
CN114494299A (zh) 温度检测设备
JP5504041B2 (ja) 生体光計測装置
JP2021101900A5 (ko)
KR102049040B1 (ko) 생체용 거칠기 진단장치
KR20170059629A (ko) 뇌 자기 공명 이미지의 병변 검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