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492B1 - Prefabricated-type tree protection framework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type tree protection frame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492B1
KR101853492B1 KR1020160128529A KR20160128529A KR101853492B1 KR 101853492 B1 KR101853492 B1 KR 101853492B1 KR 1020160128529 A KR1020160128529 A KR 1020160128529A KR 20160128529 A KR20160128529 A KR 20160128529A KR 101853492 B1 KR101853492 B1 KR 101853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vegetation
block
flow path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7824A (en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윈
김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윈, 김선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윈
Priority to KR102016012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492B1/en
Publication of KR2018003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4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수목 보호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유로공간부가 형성되고, 수목 식생을 위한 식생부의 외곽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보호블럭, 및 상기 각 보호블럭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다른 보호블럭의 유로공간부에 끼워져 각 보호블럭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블럭,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형성하고자 하는 식생부의 형상이나 사이즈에 따라 보호블럭을 조립하여 보호틀을 형성할 수 있어 현장의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고, 외부에서 공급되거나 위치된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어 식생부로 공급될 수 있어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ree protection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tree protection frame,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protection blocks for forming an outer space of the vegetation part for vegetation, And a connection block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protection block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channel space of the adjacent other protection bl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block can be formed by assembling the prot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vegetation part to be 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the situation in the field, And can be supplied to the vegetation part, so that the vegetation environment can be created.

Description

조립식 수목 보호틀{Prefabricated-type tree protection framework}[0001] Prefabricated-type tree protection framework [0002]

본 발명은 수목 보호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성하고자 하는 식생부의 형태와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보호틀을 형성하되, 수분과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되어 식생부로 공급할 수 있게하여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조립식 수목 보호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e protection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ee protection frame that forms a protective fra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a vegetation part to be formed, and can easily supply water and air to the vegetation part, To a prefabricated tree protection frame.

일반적으로, 도시, 공원 또는 주거단지에는 주변환경의 쾌적성 및 미관을 위하여 가로수 또는 관상수가 심어져 있다.In general, a city, park, or residential complex is planted with a row of trees or ornamental plants for the comfort and aesthetic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그러나 일부 공원을 제외하고, 가로수 또는 관상수가 심어진 주변지역은 대부분 콘크리트, 아스팔트 또는 보도블럭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나무가 심어진 부분은 식생을 위해 흙으로 이루어진다.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some parks, the surrounding area, where roadside trees or ornamental plants are planted, is mostly surrounded by concrete, asphalt or sidewalk blocks, and the planted area is made of soil for vegetation.

이 흙은 보통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며, 흙 유실이나 잡초의 식생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보호판을 이용하여 흙 상부를 덮는다.This soil is usually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soil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res in order to prevent a soil loss or weed vegetation.

여기서, 종래 수목 보호틀은 공개실용신안 20-2010-0003410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식생공간의 외곽을 형성하기 위해 삽입부와 돌출부가 맞물려서 결합된다.Here, the conventional tree protection frame is combined with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in order to for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vegetation space, as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No. 20-2010-0003410.

그러나 이러한 종래 보호틀은 식생공간부의 외곽을 형성하여 수목을 보호함이 주목적임에 따라, 일정 중량을 갖는 석재로 제작되며, 이에, 수목을 보호하지만, 주변의 수분이 식생공간으로 흘러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rotection frame is formed of a stone having a certain weight due to the fact that the outside of the vegetation space is formed to protect the tre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tree, but the surrounding water flows into the vegetation space .

이는, 수목 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해야됨에 따라, 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This has been a difficulty in management, as water and nutrients must be supplied regularly for tree management.

또한 식생부의 사이즈가 현장마다 다름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하기 위해 현장에서 대리석을 절단 및 가공해야됨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as the size of the vegetation part differs from one site to another, the marble is cut and processed in the field in order to produce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te, and thus the working efficiency is lowered.

이에 따라, 수목을 보호하기 위한 외곽을 형성함은 물론, 흐르는 우수나 인공적으로 공급되는 수분이 흙으로 용이하게 유입되어 용이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technique that not only forms an outer wall for protecting the trees, but also can easily manage the influx of flowing water or artificially supplied moisture into the soil.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유로공간부가 형성되고, 수목 식생을 위한 식생부의 외곽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보호블럭, 및 상기 각 보호블럭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다른 보호블럭의 유로공간부에 끼워져 각 보호블럭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블럭,을 포함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식생부의 형상이나 사이즈에 따라 보호블럭을 조립하여 보호틀을 형성할 수 있어 현장의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고, 외부에서 공급되거나 위치된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어 식생부로 공급될 수 있어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조립식 수목 보호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vegetation, And a connection block for connecting the protection blocks to each other, the protective block being assembl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vegetation part to be form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tree protection frame which can easily supply the water supplied from outside or can be supplied to the vegetation part to create a vegetation environment.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유로공간부가 형성되고, 수목 식생을 위한 식생부의 외곽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보호블럭, 및 상기 각 보호블럭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다른 보호블럭의 유로공간부에 끼워져 각 보호블럭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블럭,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ection blocks each having a channel space formed therein for forming an outer portion of a vegetated portion for vegetation of a tree; And a connection block which is inserted into the space and connects the respective protection blocks.

바람직하게, 상기 식생부의 외곽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블럭은, 내부에 제1유로공간부를 갖고, 상기 식생부의 외곽 중 어느 한 측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보호블럭, 및 내부에 제2유로공간부를 갖고, 상기 식생부의 외곽 중 각 모서리를 형성하기 위한 제2보호블럭,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outer perimeter of the vegetation part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the protective block has a first flow path space part inside, a first protection block for forming either side of the outer part of the vegetation part, And a second protection block having a channel space portion and forming respective corners of the outer perimeter of the vegetation portion.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은, 상기 제1보호블럭의 제1유로공간부의 개방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보호블럭의 제2유로공간부의 개방방향과 일정각도로 형성된다.The connection block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space part of the first protection block and formed at an angle with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flow path space part of the second protection block.

또한, 상기 식생부의 외곽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블럭은 식생부의 외곽을 형성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of the vegetation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and the protective block is formed into an arc shape so as to form an outer periphery of the vegetation portion.

그리고 상기 각 보호블럭은, 상기 식생부의 상측을 덮는 덮개 가장자리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된다.Each of the protection blocks is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for seating the lid edge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portion.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각 보호블럭의 해당 모서리에 형성되는 안착홈이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is a seating groove formed at a corresponding corner of each of the protection blocks.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은, 상기 각 보호블럭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connection block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rotection blocks.

또한, 상기 연결블럭은, 상기 각 보호블럭의 유로공간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 보호블럭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하나로 돌출된다.The connection block is movably provided along the flow path space of each of the protection blocks, and protrudes from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on block.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은, 상기 각 보호블럭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유로공간부에서 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The connection block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of the flow path space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rotection blocks.

또한, 상기 보호블럭과 연결블럭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의 유출구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수분이 상기 유로공간부로 유입되거나 유입공간부의 수분이 상기 식생부로 유출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outflow ports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rotection block and the connection block, so that moisture flows into the channel space part from the outside or moisture in the inflow space part flows out to the vegetation part.

그리고 상기 유로공간부에 영양분, 방충제, 동물 기피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보조부재,가 더 포함된다.And an auxiliary member including at least one of nutrients, insect repellents, and animal repellents in the channel space portion.

또한, 상기 보조부재는, 내부에 영양분, 방충제, 동물 기피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구분하여 포함하기 위한 복수 적층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외측을 감싸되, 공급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고, 용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코아매트,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acked nonwoven fabrics for separately containing at least one of nutrients, insect repellents, and animal repellents, and a nonwoven fabric layer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And a core mat which allows the material to be easily discharg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수목 보호틀에 의하면, 형성하고자 하는 식생부의 형상이나 사이즈에 따라 보호블럭을 조립하여 보호틀을 형성할 수 있어 현장의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고, 외부에서 공급되거나 위치된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어 식생부로 공급될 수 있어 식생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tree protec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block can be formed by assembling the prot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vegetation part to be formed, Can be easily supplied and supplied to the vegetation par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a vegetation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목 보호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블럭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블럭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틀에 보조부재가 더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tree protec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ree protec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ree protec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ing member is further included in the tree protec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may b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centering on the core functionality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or " including ", it is meant that the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do. Further, the term "par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lso, the terms " a or ", "one "," the ", and the like are synonyms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invention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following claims) May be used in a sense including both singular and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목 보호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블럭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블럭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틀에 보조부재가 더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tree protec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tree protec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auxiliary member is further included in a tree protecting fram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수목 보호틀(10)은 보호블럭(100)과 연결블럭(2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fabricated tree protection frame 10 is composed of a protection block 100 and a connection block 200.

보호블럭(100)은 내부에 유로공간부(102)가 형성되고, 수목 식생을 위한 식생부(20)의 외곽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된다.The protection block 100 is provided with a channel space portion 102 therein and a plurality of the channel space portions 102 are provided to form the outer portion of the vegetation portion 20 for vegetation.

그리고 연결블럭(200)은 각 보호블럭(10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다른 보호블럭의 유로공간부에 끼워져 각 보호블럭(100)을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connection block 200 is provided at one end of each protection block 100 and is provided to connect the respective protection blocks 100 by being inserted into a channel space of another adjacent protection block.

이러한 조립식 수목 보호틀(10)은 생성하고자 하는 식생부(20)의 크기에 따라, 보호블럭(100)의 개수를 설정하고, 각 연결블럭(200)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현장에서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어 응용 적용함이 용이하다.The prefabricated tree protection frame 10 is formed by setting the number of the protection blocks 1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getation part 20 to be created and interconnecting them using the connection blocks 200, It is easy to apply the application.

또한 보호블럭(100)과 연결블럭(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의 유출구(300)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수분이 유로공간부(102)로 유입되거나 유입공간부(102)의 수분이 식생부(20)로 유출된다.A plurality of outflow ports 300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rotection block 100 and the connection block 200 so that water may flow into the flow path space 102 from the outside or water in the inflow space 102 may flow into the vegetation part 102. [ (20).

이에, 수목 보호틀(10) 주변의 수분이 각 유출구(300)를 통해 식생부(20)로 공급됨은 물론, 공기 역시 공급될 수 있어 수목 식생을 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Thus, moisture around the tree protecting frame 10 can be supplied to the vegetation part 20 through the respective outflow ports 300, and air can also be supplied, thereby creating an environment for vegetation.

여기서, 식생부(20)의 외곽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Here, the outside of the vegetation part 20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as shown in FIG. 2, in one embodiment, it is formed in a square shape.

이를 위한, 보호블럭(100)은 제1보호블럭(110)과 제2보호블럭(120)으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rotection block 100 includes a first protection block 110 and a second protection block 120.

제1보호블럭(110)은 내부에 제1유로공간부(112)를 갖고, 식생부(20)의 외곽 중 어느 한 측부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first protection block 110 has a first flow path space part 112 therein and is provided to form either side of the vegetation part 20.

그리고 제2보호블럭(120)은 내부에 제2유로공간부(122)를 갖고, 식생부(20)의 외곽 중 각 모서리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second protection block 120 has a second channel space portion 122 therein and is provided to form the corners of the outer perimeter of the vegetation portion 20.

여기서, 연결블럭(200)은 제1보호블럭(110)의 제1유로공간부(112)의 개방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제2보호블럭(120)의 제2유로공간부(122)의 개방방향과 일정각도로 형성된다.The connection block 200 is form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space part 112 of the first protection block 110 and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ath space part 122 of the second protection block 120 And is formed at an angle with the opening direction.

다시 말해, 사각형상의 식생부(20)를 형성하기 위해 제1보호블럭(110)에 형성되는 제1연결블럭(210)은 제1유로공간부(112)의 개방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first connection block 210 formed in the first protective block 110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space part 112 to form the rectangular vegetation part 20.

그리고 제2보호블럭(120)에 형성된 제2연결블럭(220)은 제2유로공간부(122)의 개방방향과 일정각도, 즉 직교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connection block 220 formed on the second protection block 120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flow path space portion 122,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flow path portion 122.

이에, 제1보호블럭(110)과 제2보호블럭(120)을 이용하여 사각형상의 보호틀(10)을 형성할 수 있어 식생부(20) 외곽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Thus, the rectangular protective frame 10 can be formed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protection blocks 110 and 120, thereby easily forming the outer portion of the vegetation part 20. FIG.

한편, 식생부의 외곽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보호블럭(100)은 식생부(20)의 외곽을 형성하도록 일정 호형상으로 형성된다.3, the protective block 10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c shape to form an outer edge of the vegetation part 20. The protective block 100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as shown in FIG.

여기서, 각 보호블럭(100)에 형성된 각 연결블럭(200) 역시, 일정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보호블럭과 연결되어 원형형상의 보호틀(10)을 형성한다.Each connection block 200 formed in each of the protection blocks 100 is also formed in a predetermined arc shape and connected to other adjacent protection blocks to form a circular protective frame 10.

이러한 각 실시 예의 보호틀(10)을 형성하는 각 보호블럭(100)은 식생부(20)의 상측을 덮는 덮개(30) 가장자리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400)가 형성된다.Each of the protective blocks 100 forming the protective frame 10 of each of these embodiments is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400 for seating the edge of the lid 30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portion 20.

이 안착부(400)는 각 보호블럭(100)의 해당 모서리에 형성되는 안착홈(410)으로, 덮개(30) 가장자리가 안착된다.The seating part 400 is a seating groove 410 formed at a corresponding corner of each protective block 100, and the edge of the lid 30 is seated.

그리고 각 연결블럭(200)은 각 보호블럭(10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Each connection block 200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each protection block 100.

한편, 다른 실시 예의 연결블럭(20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보호블럭(100)의 유로공간부(10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 보호블럭(100)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하나로 돌출된다.4, the connecting block 200 'of another embodiment is movably provided along the flow path space portion 102 of each of the protective blocks 100, and the connecting block 200' As shown in FIG.

이러한 연결블럭(200')은 해당 보호블럭(100)의 유로공간부(10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인접한 다른 보호블럭의 위치에 따라, 일단이 보호블럭(100)의 일단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타단이 보호블럭(100)의 타단으로 돌출된다.The connection block 200 'is slid along the flow path space portion 102 of the protection block 100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on block 200 protrudes to one end of the protection block 100 or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on block 100' And protrudes to the other end of the block 100.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연결블럭(200")은 각 보호블럭(10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유로공간부에서 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on block 200 '' of another embodiment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from the channel space portion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protection block 100 '.

이러한 연결블럭(200")은 삽입 시, 인접한 다른 보호블럭에서 돌출된 연결블럭이 끼워질 수 있도록 유로공간부(102) 내부로 위치됨이 당연하다.This connection block 200 "is naturally located inside the flow path space portion 102 so that the protruding connection block can be fitted in the adjacent other protection block when inserting.

이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연결블럭(200')과 또 다른 실시 예의 연결블럭(200")은 돌출 시, 돌출길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됨이 당연하다.As such,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stopper for limiting the protruding length is formed when the connecting block 200 'of another embodiment and the connecting block 200 "of another embodiment are protruded.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공간부(102)에 보조부재(500)가 더 구비된다.As shown in FIG. 6, an auxiliary member 500 is further provided in the flow path space portion 102.

이 보조부재(500)는 영양분, 방충제, 동물 기피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공급된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식생부(20)로 유입된다.The auxiliary member 500 includes at least one of nutrients, insect repellents, and animal repellents, which is dissolved by the supplied water and flows into the vegetation part 20.

이러한 보조부재(500)는 부직포(510)와 코아매트(520)로 구성된다.The auxiliary member 500 includes a nonwoven fabric 510 and a core mat 520.

부직포(510)는 내부에 영양분, 방충제, 동물 기피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구분하여 포함하기 위한 복수 적층된다.The nonwoven fabric 510 is laminated in order to separately include at least one of nutrients, insect repellents, and animal repellents.

그리고 코아매트(520)는 부직포(510)의 외측을 감싸되, 공급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고, 용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Then, the core mat 520 is wrappe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510, the supplied moisture can be easily introduced, and the dissolution material can be easily discharged.

여기서, 공급되는 수분이 과하여 보조부재(50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착부재(600)를 이용하여 해당 보호블럭(10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Here, the adhesion member 600 may be fixed to the protective block 100 to prevent the supplied moisture from being excessively shifted in position of the auxiliary member 500.

10 : 조립식 수목 보호틀 20 : 식생부
30 : 덮개 100, 100' : 보호블럭
102 : 유로공간부 200, 200', 200" : 연결블럭
300 : 유출구 400 : 안착부
500 : 보조부재
10: Prefabricated tree protection frame 20: vegetation part
30: lid 100, 100 ': protective block
102: passage space part 200, 200 ', 200 ": connection block
300: outlet 400:
500: auxiliary member

Claims (10)

내부에 유로공간부가 형성되고, 수목 식생을 위한 식생부의 외곽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보호블럭; 및
상기 각 보호블럭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다른 보호블럭의 유로공간부에 끼워져 각 보호블럭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럭은,
상기 각 보호블럭의 유로공간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 보호블럭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하나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목 보호틀.
A plurality of protection blocks for forming a flow path portion inside and forming an outer portion of the vegetation portion for vegetation; And
And a connection block provid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rotection blocks and interposed in a channel space part of another adjacent protection block to connect the respective protection blocks,
The connecting block includes:
Wherein the protection block is movably provided along the flow path space of each of the protection blocks, and protrudes from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protection block.
내부에 유로공간부가 형성되고, 수목 식생을 위한 식생부의 외곽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보호블럭; 및
상기 각 보호블럭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다른 보호블럭의 유로공간부에 끼워져 각 보호블럭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럭은,
상기 각 보호블럭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유로공간부에서 입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목 보호틀.
A plurality of protection blocks for forming a flow path portion inside and forming an outer portion of the vegetation portion for vegetation; And
And a connection block provid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rotection blocks and interposed in a channel space part of another adjacent protection block to connect the respective protection blocks,
The connecting block includes:
Wherein the protection block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of the flow path space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each protection blo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의 외곽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블럭은,
내부에 제1유로공간부를 갖고, 상기 식생부의 외곽 중 어느 한 측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보호블럭; 및
내부에 제2유로공간부를 갖고, 상기 식생부의 외곽 중 각 모서리를 형성하기 위한 제2보호블럭;을 포함하는 조립식 수목 보호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uter portion of the vegetation part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he protection block includes:
A first protection block having a first flow path space portion therein and forming either side of the vegetation portion; And
And a second protection block having a second flow path space portion inside the vegetation portion and forming respective corners of the outer portion of the vegetation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은,
상기 제1보호블럭의 제1유로공간부의 개방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보호블럭의 제2유로공간부의 개방방향과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목 보호틀.
[5] The apparatus of claim 3,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flow path space part of the first protection block and is formed at an angle with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flow path space part of the second protection blo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의 외곽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블럭은 식생부의 외곽을 형성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목 보호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uter portion of the vegetation portion is formed into a circular or oval shape,
Wherein the protection block is formed in an arc shape to form an outer portion of the vegetation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호블럭은,
상기 식생부의 상측을 덮는 덮개 가장자리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되는 조립식 수목 보호틀.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seating part for seating a lid edge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vegetation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각 보호블럭의 해당 모서리에 형성되는 안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목 보호틀.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protection blocks is a mounting groove formed at a corresponding corner of each of the protection block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블럭과 연결블럭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의 유출구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수분이 상기 유로공간부로 유입되거나 유입공간부의 수분이 상기 식생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목 보호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lurality of outlets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rotection block and the connection block so that moisture flows into the flow path space from the outside or water in the inflow space flows out to the vegetation part.
KR1020160128529A 2016-10-05 2016-10-05 Prefabricated-type tree protection framework KR1018534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29A KR101853492B1 (en) 2016-10-05 2016-10-05 Prefabricated-type tree protection frame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29A KR101853492B1 (en) 2016-10-05 2016-10-05 Prefabricated-type tree protection frame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24A KR20180037824A (en) 2018-04-13
KR101853492B1 true KR101853492B1 (en) 2018-04-30

Family

ID=6197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529A KR101853492B1 (en) 2016-10-05 2016-10-05 Prefabricated-type tree protection frame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4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151B1 (en) * 2020-05-27 2020-08-14 장우석 Adjustable tree preserved pl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252B1 (en) * 2019-03-22 2021-01-22 김응태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type border block with improved fix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043B1 (en) 2008-09-02 2011-07-06 복 성 김 Prefabricated Street Guard
KR101167716B1 (en) 2009-11-18 2012-07-20 한경수 Apparatus for protection of roadside tree
KR101380489B1 (en) * 2012-12-24 2014-04-04 장성기 Tree protection irrigation frame and automatic watering system
KR101620883B1 (en) 2014-04-16 2016-05-13 김다솜 Prefabricated Flowerpot for Landscaping of Street Tre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043B1 (en) 2008-09-02 2011-07-06 복 성 김 Prefabricated Street Guard
KR101167716B1 (en) 2009-11-18 2012-07-20 한경수 Apparatus for protection of roadside tree
KR101380489B1 (en) * 2012-12-24 2014-04-04 장성기 Tree protection irrigation frame and automatic watering system
KR101620883B1 (en) 2014-04-16 2016-05-13 김다솜 Prefabricated Flowerpot for Landscaping of Street Tre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151B1 (en) * 2020-05-27 2020-08-14 장우석 Adjustable tree preserved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24A (en)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5004415T2 (en) DEVICE FOR ESTABLISHING A PLANT WALL
KR101853492B1 (en) Prefabricated-type tree protection framework
JP2007029104A (en) Termite-proofing system
KR100788201B1 (en) A drain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3189744A (en) Method for unitizing wire netting blocks to green rooftop, and wire netting block
JP2006296211A5 (en)
JP5684221B2 (en) Greening panel, gree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013165B1 (en) Block Type Gras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Lawns using the same
KR102206252B1 (en) Multi-functional prefabricated-type border block with improved fixing
JP2004298146A (en) Planting apparatus and drain pan
JP2008212047A (en) Greening device by liana
KR20120005351U (en) The boundary fence for rode and footpath of flowerpot type
KR101904378B1 (en) Rainwater permeation type connection socket, and protection plate support frame including the same
KR100927957B1 (en) Prefab Flower Bed
JP2004057052A (en) Vegetation pallet assembly
JP2000309924A (en) Block structure for slope protection
JP3178600U (en) Green fence for dust prevention
JP2006197865A (en) Greening unit
SG195429A1 (en) Precast planter
KR101235373B1 (en) Park for mode of life provided with wall fountain
KR20190001191U (en) Free standing fence for construction
CN202276684U (en) Tree pool protective decorative grating
KR101989951B1 (en) Tree guard with preventing growing root and weeds
JP2007089412A (en) Planting end material, planting end frame structure, and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221026Y1 (en) shelter cover for street tre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