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190B1 - Oriental medicine acupuncture device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 Google Patents

Oriental medicine acupuncture device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190B1
KR101853190B1 KR1020160091090A KR20160091090A KR101853190B1 KR 101853190 B1 KR101853190 B1 KR 101853190B1 KR 1020160091090 A KR1020160091090 A KR 1020160091090A KR 20160091090 A KR20160091090 A KR 20160091090A KR 101853190 B1 KR101853190 B1 KR 101853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mounted display
needle
display device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9452A (en
Inventor
이임건
허경용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190B1/en
Publication of KR2018000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4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1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injections, endoscopy, bronchoscopy, sigmoidscopy, inser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or enem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인식마크를 포함하는 보드; 상기 인식마크를 인식하여 상기 보드 상에 가상체형을 표시한 증강현실을 디스플레이하는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 및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실습침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실습침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침장치가 상기 가상체형의 경혈 지점에 위치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ard including a recognition mark;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recognizing the recognition mark and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in which a virtual body is displayed on the board; And a hands-on display device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and-held display device to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wherein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displays,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ands- And an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augmented reality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augmented reality is located.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 및 방법{Oriental medicine acupuncture device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upuncture device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생성된 가상 체형을 이용하여 침구실습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capable of acupuncture training using a virtual body generated using an augmented reality.

안전한 침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교육이 필수적이다. 침술의 실습 도구로써 인체의 형상을 본따 만든 동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인은 동, 금속,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재질로 만들어 진다. 정확하고 안전한 침술을 연습하고, 다향한 인체의 형상에 따른 적절한 침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형상을 가지는 동인만으로는 충분한 연습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Sufficient education is essential in performing safe acupuncture. As a practical tool for acupuncture, the motifs created based on the shape of the human body are widely used. Generally, the driver is made of copper, metal, plastic or rubber. In order to practice correct and safe acupuncture and to perform proper acupunctur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uma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the driver having the fixed shape can not exercise enough.

침술 실습 장비가 배치된 제한된 장소에서의 실습이라는 공간적 제약과 동인 수의 부족 그리고 새로운 침술법을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동인의 제작과 공급의 부족으로 기인하여 최근에는 침술 실습자의 실습 부족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Due to the limited space and limited number of practitioners in limited space where acupuncture training equipment is placed and the lack of a new driver for the new acupuncture method, .

이는 근본적으로 침술 실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경혈이 표시된 인체 형상이나 인체의 세부 구조들 각각을 표현하는 각종 모형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침술 실습 공간과 실습 장비를 확보하기 위하여 연간 수억원의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의 동인을 통한 침술 실습만으로는 전술한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다양한 인체 형상과 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술 실습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In order to perform the acupuncture training fundamentally, various models are required to express the human body shape or the detailed structures of the human body in which the acupuncture points are displayed. In order to secure the acupuncture training space and the training equipment, an annual cost of several hundred million is required It is difficult to solve various problems described above only by the acupuncture practice through the conventional driv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cupuncture practice system using an augmented reality that can overcome the space constraints and express various human shapes and structures.

이러한 증강현실에 적용되는 가상현실의 개념은 Morton Heiling에 의해 1950년대 후반에 Sensorama 소개되었고 이를 통해 가상현실 개념이 등장하는 초석이 되었다.The concept of virtual reality applied to these augmented reality was introduced by Morton Heiling in the late 1950 's Sensorama, and it became the cornerstone of virtual reality concept.

가상현실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생성한 3D 가상공간과 주로 상호작용 하는 분야로서 이 가상공간은 현실세계를 바탕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가상공간을 인체의 오감을 통해 느낌으로써 몰입감을 갖게된다.Virtual reality is a field that mainly interacts with 3D virtual space created by a computer system, and this virtual space is constructed based on the real world. The user feels immersed by feeling the virtual space through the five senses of the human bod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하나의 분야에서 파생된 기술이다. 증강현실은 현실세계와 가상의 체험을 결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실제 환경에 가상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그래픽 기법이다.Augmented Reality is a technology derived from one field of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refers to the technology that combines the real world with the virtual experience. In other words, it is a computer graphics technique that synthesizes a virtual object in a real environment and makes it look like an object in the original environment.

한국공개특허공보(10-2000-005051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0-0050512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체형에 침술을 실습할 수 있고, 실제의 인체에 침을 놓은 듯한 느낌을 실현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capable of practicing acupuncture in various body types and realizing a feeling that an acupuncture is put on an actual human body.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인식마크를 포함하는 보드; 상기 인식마크를 인식하여 상기 보드 상에 가상체형을 표시한 증강현실을 디스플레이하는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 및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실습침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실습침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침장치가 상기 가상체형의 경혈 지점에 위치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ard including a recognition mark;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recognizing the recognition mark and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in which a virtual body is displayed on the board; And a hands-on display device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and-held display device to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wherein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displays,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ands- And an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augmented reality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augmented reality is loc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보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가상체형을 합성하는 제1 컨트롤부; 및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for receiving an image including the board; A first control unit for synthesizing a virtual object with an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synthesized image. The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augmented reality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기 제1 컨트롤부는, 상기 인식마크를 인식하여 상기 보드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상기 가상체형을 합성하는 위치추적 및 합성 모듈; 상기 가상체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실습침장치로부터 상기 실습침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위치추적 및 합성 모듈과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드리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osition tracking and synthesis module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board by recognizing the recognition mark and synthesizing the virtual body shape with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virtual body type;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apparatus from the training apparatus; And a firs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tracking and synthesis modul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read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기 실습침장치는, 침; 상기 침의 일 부를 수납하는 지지부; 자신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 the training needl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eedle, A support for receiving a part of the needl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o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가상체형의 예상되는 경혈 지점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침의 일 영역이 투입되는 더미장치;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using an augmented reality further comprising a dummy device arranged corresponding to an anticipated acupoint point of the virtual body type and having one area of the acupuncture needle insert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기 더미장치는, 더미삽입구와 침삽입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더미삽입구에 수납되는 더미부; 상기 침삽입구를 둘러싸며 배치된 금속부; 및 상기 금속부의 극성을 제어하는 제3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 the dummy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including a dummy insertion port and a needle insertion port; A dummy portion accommodated in the dummy insertion port; A metal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the needle insertion port; And a thir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larity of the metal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보드 상의 인식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보드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보드 상에 가상체형을 합성한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실습침장치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실습침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침장치가 상기 가상체형의 경혈 지점에 위치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racks the position of the board using a recognition mark on the board;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synthesized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 virtual object on the board; The hands-on-hand device transmits its position information to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ands-on-the-hands display device is positioned at the acupressure point of the virtual body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ands-on-wet type apparatus, and an acupuncture practicing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실습침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드 상에 위치한 더미장치와 상기 실습침장치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ummy apparatus located on the board and the hands-on-the-hand apparatus are close to each other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and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bedding practice methods using rea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실습침장치와 상기 더미장치의 근접 거리가 제1 기 설정 거리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 설정 거리는 상기 실습침장치와 상기 더미장치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기 실습침장치와 상기 더미장치의 거리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judges whether the proximity distance between the hands-on-hand device and the dummy device is a first preset distance; And the first preset distance may provide an acupuncture practic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which is a distance between the labyrinthine device and the dummy device in a state where the labyrinthine device and the dummy devi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실습침장치와 상기 더미장치의 근접 거리가 제2 기 설정 거리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 설정 거리는 상기 실습침장치의 침의 일부 영역이 상기 더미장치에 투입된 상태에서의 상기 실습침장치와 상기 더미장치의 거리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is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hands-on-hand device and the dummy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cupuncture practicing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raining device and the dummy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acupuncture needle is put in the dumm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는 다양한 체형과 다양한 사이즈 그리고 다양한 신체의 영역별로 가상의 체형과 실세계 영상을 합성하여 실습자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실제 더미를 구비하지 않아도 다양한 체형에 따른 경혈 지점에 침을 놓는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The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ynthesizes virtual body shapes and real-world images for various body shapes, various sizes, and various body regions and displays them to the practitioner, The acupuncture point can be performed at the acupoint point.

또한, 더미장치와 실습침장치의 이격거리에 따른 반발력을 이용하여 실제 침을 놓을 때의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pulsive forc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ummy device and the labyrinthine device can be used to maximize the sense of reality when the actual needle is placed.

또한 더미장치와 실습침장치의 반발력 유무에 따라서 실습자로 하여금 예상하는 경혈 지점과 실제 경혈 지점의 매칭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epulsive force of the dummy device and the training device, the practitioner can quickly determine whether the expected point of acupoint and the actual acupuncture point matc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상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습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of a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training hands-on-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dumm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 및 방법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n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an apparatu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the layers and region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illustr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 "and / or" comprising ",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presence of stated elements, Or additions.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Bedding Practice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1)는 보드(100),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 실습침장치(300) 그리고 더미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1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ard 100,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a training device 300, and a dummy device 400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1)는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ed training apparatus 1 using the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500. [

실습자(20)는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를 착용하고,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보드(100) 상에 위치한 가상체형(20)을 볼 수 있다.The practitioner 20 wear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and can see the virtual figure 20 located on the board 100 from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

실습자(20)는 보드(100) 상에 더미장치(400)를 배치하고, 실습침장치(300)를 이용하여 가상체형(20) 상의 경혈에 상기 더미장치(400)를 매칭시켜 상기 더미장치(400) 상에 칩을 놓을 수 있다.The practitioner 20 arranges the dummy device 400 on the board 100 and matches the dummy device 400 with the menstrual blood on the virtual body 20 using the handsurface 300, Lt; RTI ID = 0.0 &gt; 400 &lt; / RTI &gt;

즉, 가상의 가상체형(20) 상에 침을 놓을 때, 상기 가상체형(20)의 경혈 지점에 대응하며 배치된 더미장치(400) 상에 침을 놓을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saliva is placed on the virtual virtual body 20, the saliva can be placed on the dummy device 400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meridian point of the virtual body 20.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와 실습침장치(300)와 더미장치(400) 그리고 서버(500)는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the training device 300, the dummy device 400, and the server 5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to exchang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data and control data.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The invention may also be practiced in distributed systems environments where both local and remote computer systems linked by a combination of wired data links, wireless data links, or wired and wireless data links over a network perform tasks. In a distributed system environment, program modules may be located in local and remote memory storage devices.

참고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For reference, "network" is defined as one or more data links that enable electronic data to be transmitted between computer systems and / or modules. Whe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or provided to a computer system via a network or other (wired, wireless, or a combination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he connection may be understood as a computer-readable medium.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include, for example, instructions and data that cause a general purpose computer system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 to perform a particular function or group of functions. The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may be binary, intermediate format instructions, such as, for example, assembly language, or even source code.

이때, 네트워크는 기존에 구축된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network is a variety of conventional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WLAN (Wireless LAN), a Wi-Fi, a WiBro, a WiMAX,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DSL, VDSL), Hybrid Fiber Coaxial Cable (HFC), Fiber to the Curb (FTTC), FTTH (Fiber to the Curb), and the like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Fiber To The Home) or the like may be used.

아울러, 상기 네트워크는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 및 코어망을 포함하며, 외부망, 예컨대 인터넷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은 통증 모니터링 단말기(2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를 집중화된 DU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cludes, for example, a plurality of access networks and a core network, and may include an external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network. Here, the access network is an access network that perform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ain monitoring terminal 2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such as a base station (BS),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NodeB, an eNodeB, Controller, and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Also,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radio signal processing unit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base station are divided into a digital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U) and a radio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RU) , A plurality of RUs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eas, and a plurality of RUs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ized DU.

또한, 접속망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은 접속망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a core network constituting a mobile network together with an access network plays a role of connecting an access network and an external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network.

이러한 코어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미도시)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 내의 트래픽 및 다른 통신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is core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that performs main functions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mobility control and switching between access networks, and performs circuit switching or packet switching, Lt; RTI ID = 0.0 &gt; and / or &lt; / RTI &gt; The core network (not shown) manages inter-frequency mobility and plays a role for interworking with traffic in an access network (not shown) and a core network (not shown) and other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It is possible. Such a core network (not shown) may further include an SGW (Serving Gate Way), a PGW (PDN GateWay), an MSC (Mobile Switching Center), a HLR (Home Location Register), a MME (Mobile Mobility Entity) .

본 발명에 있어서, 네트워크는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may include all other known or later-developed communication method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ethod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상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top view of a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100)는 인식마크(1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boar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ognition mark 110.

보드(100) 상에 표시된 인식마크(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될 수 있다.At least one recognition mark 110 displayed on the board 100 may be displayed.

또한 인식마크(110)는 보드(100)의 가장 자리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mark 110 may be displayed in the edge region of the board 100. [

또한 인식마크(110)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ognition mark 110 may also include a pattern.

또한 보드(100)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oard 1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는 카메라(210), 디스플레이부(230), 제1 컨트롤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210, a display unit 230, and a first control unit 250.

카메라(210)는 실세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카메라(210)는 보드(100)를 포함한 실세계를 촬영할 수 있고, 상기 보드(100) 상에 표시된 인식마크(110)를 이용하여 상기 보드(1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camera 210 can take a real-world image. More specifically, the camera 210 can photograph a real world including the board 100, and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board 100 using the recognition mark 110 displayed on the board 100 .

제1 컨트롤부(250)는 위치추적 및 합성 모듈(251), 데이터베이스(253), 제1 통신부(255) 및 제1 제어부(257)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250 may include a location tracking and synthesis module 251, a database 253, a first communication unit 255, and a first control unit 257.

제1 컨트롤부(250)의 위치추적 및 합성 모듈(251)은 카메라(210)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인식마크(110)를 이용하여 보드(1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보드(100) 상에 가상체형(10)을 위치시켜, 실제 보드(100)의 촬영 화면과 상기 보드(100) 상에 가상체형(10)이 위치한 가상 현실의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The position tracking and synthesis module 251 of the first control unit 250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board 100 using the recognition mark 110 of the image input from the camera 210, The virtual body 10 can be placed on the board 100 and an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where the virtual body 10 is located on the board 100 can be synthesized.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컨트롤부(250)는 상기 카메라(210)로 입력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보드(100) 상에 표시된 인식마크(110)의 색상과 보드(100)의 색상에 따른 화면상의 밝기 정보를 통해서 흑백 화면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흑백 영상으로부터 검은 영역을 분리한 후, 그 중에서 검은색 사각형이 될 만한 영역을 서치(Search)하여, 그러한 영역이 존재하면, 그 사각형 영역 내부에 있는 패턴을 미리 기록해 놓은 인식마크(110)의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둘 사이의 유사성을 찾고, 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파악되면 그 사각형 영역의 네 꼭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마크(1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식마크(110)가 정사각형이므로 실제로 3개의 점, 즉 2개의 직각으로 만나는 선이 얻어지므로 나머지 선을 획득할 수 있고, 이들로 이루어지는 좌표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좌표계와 가상공간상의 좌표계 사이의 매트릭스 정보와 그 때의 인식마크(110)의 위치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얻어진 좌표를 가상공간의 좌표계로 변환하고, 가상 공간상의 가상체형(10)과 보드(100)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뒤, 상기 카메라(210)를 통해 얻어지는 화면 위에 상기 가상체형(10)을 나타냄에 따라 가상 공간상의 가상체형(10)을 증강 현실상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실습자는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의 상기 카메라(210)를 통해 입력되는 실세계 영상과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투사되고 가상체형을 포함하는 가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동시에 볼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250 receives the image input to the camera 210 and display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recognition mark 110 displayed on the board 100 and the color of the board 100 A black area is separated from the converted black and white image, and then an area which is to be a black square is searched. If such a area exists,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patterns is found by comparing the pattern with the pattern of the recognition mark 110 which is recorded in advance. If it is found that the patterns match, the position of the recognition mark 110 can be grasped by using the four vertex information of the rectangular area . Since the recognition mark 110 is a square, actually three lines, that is, lines intersecting at two right angles are obtained, so that the remaining lines can be obtained and a coordinate system composed of these lines can be obtained. Then, matrix information between the coordinate system and the coordinate system on the virtual space and the position of the recognition mark 110 at that time are provided. Then, the coordinate obtained is converted into a coordinate system of the virtual space, the position of the virtual body 10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position of the board 100 are relatively expressed, and the virtual body 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btained through the camera 210 So that the virtual body 10 in the virtual space can be made to appear as if it exists on the augmented reality. Therefore, the practitioner inputs the virtual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210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and the virtual image including the virtual body shape through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to the display unit 230 Can be viewed at the same time.

데이터베이스(253)는 가상체형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체형 데이터는 남성, 여성, 연령층, 신장, 비만도 및 신체의 영역별로 구분된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253 may store data for creating a virtual body shape. Such virtual body data may include a plurality of data classified into a male, a female, an age group, a kidney, an obesity degree and a body region.

또한 데이터베이스(253)는 가상체형 상의 경혈 위치 정보와 유효한 침의 위치와 각도 그리고 깊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253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acupressur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virtual figure and the position, angle and depth of the effective needle.

또한 제1 제어부(257)는 제1 통신부(255)를 통해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가상체형 데이터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53)에 저장할 수 있고, 실습자가 실습 중에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제어부(257)는 상기 서버(5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257 can also receive information such as virtual body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5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55 and store it in the database 253, 1 control unit 257 may receive data from the server 500. [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데이터베이스(253)에 저장된 다양한 형태의 가상체형을 증강현실로 표현함에 따라 실습자는 다양한 체형의 더미를 구비할 필요 없이 증강현실에 표현된 다양한 형태의 체형과 다양한 인체의 영역에 대해 침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s various types of virtual body shapes stored in the database 253 as augmented reality so that the practitioner does not need to include dummies of various body shapes and various types of body shapes expressed in the augmented reality, Can be perform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습침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training hands-on-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습자는 실습침장치(300)를 이용하여 증강현실로 표현된 가상체형의 경혈 지점에 침을 놓는 행위를 함으로써 침 실습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actitioner can perform the needle training by performing acupuncture on the acupuncture point of the virtual body expressed by the augmented reality using the training apparatus 300.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습침장치(300)는 침(310)과 상기 침(310)의 일 영역을 수납하고, 상기 침(310)를 지지하는 지지부(330)와 상기 지지부(330) 내에 수납된 제2 컨트롤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hands-on-salve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edle 330 and a support 330 for housing one area of the needle 310 and supporting the needle 310 And a second control unit 350 housed in the support unit 330.

제2 컨트롤부(350)는 직접화된 칩 형태로 제작되도록 하여 지지부(330)의 사이즈를 최소화 되도록 하여, 실습침장치(300)의 전체 사이즈가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습자(20)가 느끼는 매우 가늘고 가벼운 실제 침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습침장치(300) 사이의 그립감의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350 may be fabricated in a direct chip form so that the size of the support unit 330 is minimized so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training apparatus 300 is minimiz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grip feeling between the very thin and light real acupuncture felt by the practitioner 20 and the practicing acupunctur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 컨트롤부(350)는 센서부(351), 제1 극성제어부(353), 제2 통신부(355) 그리고 제2 제어부(357)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350 may include a sensor unit 351, a first polarity control unit 353, a second communication unit 355, and a second control unit 357.

센서부(351)는 중력센서, 자이로센서 그리고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351 may include a gravity sensor,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제2 제어부(357)는 센서부(351)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침(310)의 위치와 높이 그리고 기울기 등 움직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357 can detect motion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height, and tilt of the needle 310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unit 351.

제2 제어부(357)는 제2 통신부(355)로부터 수신된 극성 제어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극성제어부(353)에 극성 변경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극성제어부(353)는 상기 극성 변경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침(310)의 극성을 변경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357 can transmit the polarity change signal to the first polarity control unit 353 based on the polarity control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55. [ The first polarity control unit 353 may change the polarity of the needle 310 in response to the polarity change signal.

침(310)의 일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영역은 지지부(330)에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30)에 수납된 침(310)의 영역 상에는 코일이 감길 수 있고, 상기 코일의 일 측인 일 단자와 타 측인 타 단자 각각은 상기 제1 극성제어부(353)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극성제어부(353)로부터 전압이 상기 코일에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침(310)은 자성을 띠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극성제어부(353)로부터 상기 코일의 일 단자와 타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서 상기 침(310)의 일 측은 N 및 S 극성 중 어느 하나가 되고, 타 측은 S 및 N 극성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침(310)의 일 영역은 S 및 N 극성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One region of the needle 3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remaining reg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support portion 330. A coil may be wound on a region of the needle 310 housed in the support portion 330. One terminal that is one side of the coil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other side are connected to the first polarity control portion 353, A voltage from the one polarity control unit 353 can be applied to the coil and the needle 310 can be magnetized by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voltage applied to one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coil from the first polarity control unit 353, one side of the needle 310 is one of N and S polarities, and the other side is S and N polarities . &Lt; / RTI &gt; Therefore, one region of the needles 310 exposed to the outside may have a polarity of either S or N polarity.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dumm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미장치(400)는 몸체부(410), 금속부(430), 더미부(450) 그리고 제3 컨트롤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dummy device 400 may include a body 410, a metal part 430, a dummy part 450, and a third control part 4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몸체부(41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6면 중 일면에 더미삽입구(4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6면 중 또 다른 일면에는 침삽입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41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and a dummy insertion port 411 may be formed on one of the six surfaces. And an acupuncture point 412 may be formed on another surface of the six surfaces.

또한 상기 몸체부(410)의 전체 사이즈는 보드(100) 상에 표시된 가상체형(10)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상체형(10) 상게 복수개의 경혈점이 존재하는 경우, 더미장치(400)를 예상되는 경혈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상기 더미장치(400)는 가지게 된다.The entire size of the body part 410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virtual body 10 displayed on the board 100. Therefore, when the virtual body 10 has a plurality of acupoints, the dummy apparatus 400 has a size enough to move the dummy apparatus 400 to an expected acupressure point.

금속부(430)는 침삽입구(412)가 형성된 몸체부(410)의 상면의 상기 침삽입구(412)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The metal part 43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needle insertion port 4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410 on which the needle insertion port 412 is formed.

또한 금속부(430)의 일 영역은 몸체부(410)에 수납되고, 나머지 일 영역, 즉 상기 금속부(430)의 상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러한 노출 영역이 침삽입구(412)를 둘러싸며 상기 몸체부(4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One portion of the metal portion 430 is received in the body portion 410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metal portion 43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10.

더미부(450)는 더미삽입구(411)를 통해 몸체부(410)에 수납될 수 있고, 일부 영이 침삽입구(4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dummy part 450 can be accommodated in the body part 410 through the dummy insertion opening 411 and a part of the dummy part 45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eedle insertion opening 412.

또한 더미부(450)는 고무 재질이 될 수 있다.Also, the dummy portion 45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또한 금속부(430)는 중심이 개방되고, 상기 중심이 침삽입구(412)와 매칭되어 상기 침삽입구(412)와 상기 침삽입구(412)에 의해 노출된 더미부(4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enter of the metal part 430 is opened and the center of the metal part 430 is matched with the needle insertion opening 412 so that the dummy part 450 exposed by the needle insertion opening 412 and the needle insertion opening 412 is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done.

또한 더미부(450)와 몸체부(410)는 서로 분리 가능하여, 기존의 더미부를 폐기하고 새로운 더미부(450)를 상기 몸체부(410)에 결합시킬 수 있다.Also, the dummy part 450 and the body part 41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existing dummy part can be discarded and the new dummy part 450 can be coupled to the body part 410. [

따라서 수회의 침 실습에 따라 상기 더미부(450)의 재질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더미부(45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더미부(450)는 몸체부(410)에 형성된 더미삽입구(4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뿐, 체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더미부(450)의 제조 간단하고, 사제조 비용이 크게 절약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material of the dummy part 450 is deformed according to a number of needle training exercises, the dummy part 450 can be easily replaced. Also, the dummy part 45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ummy insertion opening 411 formed in the body part 410, and does not ne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dy shape. Therefore, the manufacture of the dummy portion 450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saved.

제3 컨트롤부(470)는 제2 극성제어부(473), 제3 통신부(475) 및 제3 제어부(477)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control unit 470 may include a second polarity control unit 473, a third communication unit 475, and a third control unit 477.

제2 극성제어부(471)는 금속부(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금속부(430)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금속부(430)의 노출면이 N 및 S 극성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polarity control unit 47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al unit 430 and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voltage signal applied to the metal unit 430 so that the exposed surface of the metal unit 430 exposed to the outside is N And an S polarity.

한편 더미장치(400)의 몸체부(410)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장치 인식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더미장치 인식마크를 인식하여 상기 더미장치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dummy device recognition mark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10 of the dummy device 400. In this case,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dummy device by recognizing the dummy device recognition mark.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방법><Acupuncture Practice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방법을 설명한다.A bedding exercise method using an augmented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습자(20)는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를 착용하고,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면이 보드(100)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의 카메라(210)를 통해 입력된 영상에 상기 보드(100)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The practitioner 20 wear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and moves the camera 210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with the front face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facing the board 100. [ So that the board 100 can be positioned on an imag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0. [

즉, 실습자(20)가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볼 수 있는 영상은 보드(100)를 포함하는 실세계 영상이 될 수 있다.That is, the image that the practitioner 20 can view through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200 can be a real-world image including the board 100. [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1 컨트롤부(250)는 보드(100)에 표시된 인식마크(110)를 이용하여 보드(100)의 위치를 인식하고, 데이터베이스(253)로부터 가상체형을 읽어드려 증강현실로 상기 보드(100) 상에 상기 가상체형(10)을 표시하여, 실습자(20)가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가상체형(10)이 표시된 증강현실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250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board 100 using the recognition mark 110 displayed on the board 100 and reads a virtual body form from the database 253 The virtual body 10 is displayed on the board 100 as an augmented reality so that the practitioner 20 can view the augmented reality displayed on the virtual body 10 through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

이러한 가상체형(10)은 보드(100) 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Such a virtual figure 10 can be placed in the board 100.

또한 가상체형(10) 상에는 경혈점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고, 경혈점의 위치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실습자(20)가 침을 놓은 실습 중인 경우, 가상체형(10) 상에는 경혈점의 위치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고, 실습자(20)의 실습을 평가하는 경우, 경혈점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acupoint may be displayed on the virtual figure 10, and the position of the acupuncture point may not be displayed. If the practitioner 20 is practicing saliva, the position of the acupoint may not be displayed on the virtual figure 10, and the position of the acupuncture point may be displayed when evaluating the practice of the practitioner 20 .

이러한 경혈점이 가상체형(10)에 표시되는 경우, 실습자(20)는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를 통해 경혈점을 포함하는 가상체형(10)이 표시된 증강현실을 볼 수 있게 된다.When such an acupoint is displayed on the virtual figure 10, the practitioner 20 can see the augmented reality displayed on the virtual display 10 including the acupressure point through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실습자(20)는 보드(100) 상에 더미장치(400)를 위치시키고, 가상체형에서 침을 놓을 위치인 경혈 지점을 예상하여 예상되는 경혈 지점에 상기 더미장치(400)를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더미장치(400)의 배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practitioner 20 positions the dummy apparatus 400 on the board 100 and matches the dummy apparatus 400 to the expected acupressure point in anticipation of the acupoint point,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device 400 can be adjusted.

이는 실습자(20)가 가상체형(10) 상의 가상 이미지에 침을 놓는 것이 아닌, 실습자(20)가 예상하는 경헐점에 더미장치(400)를 위치시키고, 상기 더미장치(400) 상에 침을 놓음으로써, 더미장치(400)와 실습침장치(300) 사이의 반력 작용과 고무 재질의 더미부(450)에 투입되는 실습침장치(300)의 쿠션감을 이용하여 실습자(20)로 하여금 가상의 침술이 실제적인 침술의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This is because the practitioner 20 places the dummy device 400 at the light loose point expected by the practitioner 20 and not on the virtual image on the virtual body 10, By placing the needles thereon, the practitioner 20 can be controlled by using the reaction force between the dummy device 400 and the training device 300 and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training device 300 inserted into the dummy part 450 made of rubber Allowing the virtual acupuncture to have a real acupuncture feel.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1 통신부(255)는 더미장치(400)의 제3 통신부(475)와 통신하여, 가상체형 정보를 상기 제3 통신부(475)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1 통신부(255)는 실습침장치(300)의 제2 통신부(355)와 통신하여, 상기 가상체형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355)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55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75 of the dummy device 400 to transmit the virtual figure information to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75. [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55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55 of the hands-on-hands device 300 to transmit the virtual body informa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55 .

상기 가상체형 정보는 가상체형(10) 상의 복수개의 경혈 지점 각각에 대한 피부 두께 정보 및 피부 강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figure information may include skin thickness information and skin strength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acupressure points on the virtual body 10.

실습자(20)는 실습침장치(300)를 잡고, 가상체형(10)의 경혈 지점에 실습침장치(300)를 가까이 가져갈 수 있다. 이 경우, 실습침장치(300)의 움직임 정보는 주기적으로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practitioner 20 can hold the training apparatus 300 and bring the training apparatus 300 closer to the acupressure point of the virtual figure 10. [ In this case,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hands-on-wet handset 300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200.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는 실습침장치(300)와 더미장치(400)의 이격 거리가 제1 기 설정 범위 이내가 되는 경우, 제2 및 제3 통신부(355, 475)로 극성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극성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한 실습침장치(300)는 지지부(330)의 외부로 노출된 침(310)의 일 영역이 일 극성을 가지도록 하고, 더미장치(400)는 몸체부(410)의 외부로 노출된 금속부(430)가 일 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침(310)의 일 극성과 상기 극속부(430)의 일 극성은 동일한 극성이 된다.The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200 may display the polarity control command signal 352 and the third communication section 355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55 an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55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raining apparatus 300 and the dummy apparatus 400 is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range, And the dummy apparatus 4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part of the needle 31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art 330 has a uniform polarity, The metal part 4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art 410 may have a uniform polarity. In this case, the unipolarity of the needle 310 and the unipolarity of the polarized portion 430 have the same polarity.

또한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는 실습침장치(300)와 더미장치(400)의 이격 거리가 제2 기 설정 범위 이내가 되는 경우, 제2 및 제3 통신부(355, 475)로 극성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극성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한 실습침장치(300)는 침(310)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침(310)이 극성을 가지지 않도록 하고, 더미장치(400)는 금속부(430)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금속부(430)가 극성을 가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200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ining device 300 and the dummy device 400 is within the second predetermined range, the polarity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and third communication units 355 and 475, And the training device 300 receiving the polarity control command signal blocks the voltage signal applied to the stylus 310 so that the stylus 310 does not have polarity and the dummy device 400 The voltage signal applied to the metal part 430 is blocked to prevent the metal part 430 from having polarity.

상기 제1 기 설정 범위는 더미장치(400)의 더미부(450)와 칩(310)이 접촉했을 때의 거리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 설정 범위는 상기 더미장치(400)의 더미부(450)에 칩(310)이 기 설정치 깊이로 투입된 경우의 거리가 될 수 있다.The first predetermined range may be a distance when the dummy unit 450 of the dummy apparatus 400 contacts the chip 310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range may be a distance when the dummy unit 450 of the dummy apparatus 400 contacts the chip 310, The depth of the chip 310 may be a distance when the chip 310 is inserted at a predetermined depth.

실습자(20)는 침(310)의 끝 단을 더미장치(400)의 더미삽입구(411)로 관통시켜 더미부(450)에 접촉시키고, 이 후 상기 침(310)의 끝 단을 더미부(450)로 찔러 넣을 수 있다. 이 경우, 침(310)와 더미부(450)가 접촉한 순간에 금속부(430)와 침(310)의 동일 극성에 따라 반발력이 작용하고, 침(310)이 더미부(450)에 기 설정치 깊이로 들어간 경우, 상기 금속부(430)와 상기 침(310)의 극성이 사라지면서 더 이상 반발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practitioner 20 passes the end of the needle 310 through the dummy insertion port 411 of the dummy device 400 and contacts the dummy part 450. Thereafter, (450). In this case, a repulsive force acts on the metal part 430 and the needle 310 according to the same polarity at the moment when the needle 310 contacts the dummy part 450, The polarity of the metal part 430 and the needle 310 disappears, so that no repulsive force is formed.

또한 제2 극성제어부(473)가 금속부(430)로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따라 금속부(430)의 자성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고, 제1 극성젱어부(353)가 침(310)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따라 상기 침(310)의 자성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경혈이 위치한 가상 체형의 영역 별로 피부의 두께와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자성의 세기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하여, 실습자(20)가 침(310)을 놓을 때, 경혈의 위치에 따른 침 실습의 현실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metal part 43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metal part 430 by the second polarity control part 473,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needle 310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applied volt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on the basis of the thickness and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skin for each imaginary body region in which the menstrual blood is located, so that when the practitioner 20 places the needle 310, To maximize the realism of reality.

또한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1 컨트롤부(250)는 실습침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습침장치(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침장치(300)가 가상체형(10)의 전체 영역 중에서 현재 실습 대상인 경헐 지점에 매칭하여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습침장치(300)와 더미장치(400)로 극성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실습침장치(300)와 상기 더미장치(400)가 서로 간에 반발력이 일어 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습침장치(300)가 가상체형(10)의 전체 영역 중에서 현재 실습 대상인 경혈 지점와 매칭되지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실습침장치(300)가 제1 기 설정 범위 내에서 상기 더미장치(400)에 위치하는 경우라도 상기 제1 컨트롤부(250)는 상기 실습침장치(300) 및 상기 더미장치(400)로 극성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습자(20)는 상기 실습침장치(300)를 상기 더미장치(400)로 상기 제1 기 설정 범위 내로 가까이 가져간 경우라도, 반발력을 느끼지 못하므로, 경혈 지점을 잘못 파악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unit 250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ands of the hands of the user are displayed on the first control unit 250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hands- (300) and the dummy device (400) when the current position is matched with the current abdominal position to be practiced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training device (10) The dummy device 400 can control the repulsive force to occur between them. When the training apparatus 300 is located in an area which is not matched with the acupuncture points to be practiced in the entire area of the virtual figure 10, the training apparatus 300 is moved to the dummy apparatus 400 The first control unit 250 may not transmit the polarity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training device 300 and the dummy device 400. [ Therefore, even if the practitioner 20 moves the practitioner's hand 300 to the dummy device 400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range, the practitioner 20 can not recognize the repulsive force, have.

또한 제1 컨트롤부(250)는 실습침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실습침장치(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침장치(300)가 상기 더미장치(400)에 상기 제1 기 설정 범위 내로 근접하였으나, 상기 실습침장치(300)가 경혈 지점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 상에 테스트를 위한 정확한 경혈 지점에 침을 놓지 못하였다는 정보를 표시하여 실습자(20)로 하여금 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250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raining device 300 is moved to the dummy device 400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raining device 300 received from the training device 300, If the training apparatus 300 is not positioned at the acupoint poi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acupuncture point has not been placed at the correct acupoint point for testing is displayed on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200, (20) to recognize this.

한편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는 더미장치(400)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더미장치(400)의 배치 위치를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장치(400)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더미장치(400)의 위치와 대응하는 가상체형(10)의 영역의 높이를 상기 더미장치(400)의 높이와 일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드(100) 상에 사람의 몸통부의 형상을 가진 가상체형(10)에 배치된 경우, 실습자(20)가 상기 몸통부의 영역 중에서 가슴에 위치한 예상하는 제1 경혈 지점에 상기 더미장치(400)를 위치시킨 경우,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더미장치(400)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더미장치(400)의 위치와 대응하는 몸통부의 영역(가슴 부위 영역)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해당 영역의 높이의 조정에 따라 가상체형(10) 전체의 사이즈를 축소 또는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습자(20)가 상기 몸통부의 영역 중에서 배 부위에 위치한 예상하는 제2 경혈 지점에 상기 더미장치(400)를 위치시킨 경우,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는 상기 더미장치(400)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더미장치(400)의 위치와 대응하는 몸통부의 영역(배 부위 영역)의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가상체형(10)의 영역 중 상기 더미장치(400)의 위치와 대응하는 영역의 높이를 상기 더미장치(400)의 높이에 매칭하도록, 상기 가상체형(10) 전체의 사이즈를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습자(20)는 더미장치(400)를 이동시킬 때 마다, 실습자(20)가 보게 되는 가상체형(10)의 전체 사이즈를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실습자(20) 스스로 예상하는 가상체형(10)의 경혈 지점과 더미장치(400)의 높이가 동일하므로, 상기 실습자(20)는 예상하는 경혈 지점에 침을 놓을 때, 상기 가상체형(10)의 표면과 더미장치(400)의 상부면이 동일 평면이 되어, 침(310)이 가상체형(10)의 표면에 투입되는 순간 상기 침(310)이 더미장치(400)에 접촉하므로, 침실습의 실제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200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dummy device 400 and periodically detect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dummy device 400. FIG. The height of the area of the virtual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ummy device 400 can be made coincident with the height of the dummy device 40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dummy device 400. [ For example, when the practitioner 20 is placed on the virtual body 10 having the shape of the human body on the board 100, the practitioner 20 places the dummy body 10 at the expected first acupressure point located in the chest, When the apparatus 400 is positioned, the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20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dummy apparatus 400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dummy apparatus 400 in the region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ummy apparatus 400 And the size of the entire virtual figure 10 can be reduced or enlarged in accordance with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area. In addition, when the practitioner 20 places the dummy apparatus 400 at a second acupoint at an expected location of the abdomen of the trunk, the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200 may display the dummy apparatus 400 And the height of the region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ummy device 400 is adjus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ummy device 4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ummy device 400 The size of the entire virtual body 10 can be reduced or enlarged so as to match the height of the area with the height of the dummy device 400. [ Therefore, the practitioner 20 can change the entire size of the virtual figure 10 viewed by the practitioner 20 each time the dummy device 400 is moved. Also, since the practitioner 20 has the same acupoint point of the virtual body 10 and the height of the dummy device 400 as expected by the practitioner 20, the practitioner 20 can recognize the virtual body-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ummy device 400 are flush with each other so that the needle 310 contacts the dummy device 400 at the moment when the needle 310 is inserted into the surface of the virtual body 10, It can have a practical feel of the pract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1)
가상체형(10), 실습자(20)
보드(100), 인식마크(110)
인식마크(110),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200)
카메라(210), 디스플레이부(230)
제1 컨트롤부(250), 위치추적 및 합성 모듈 모듈(251)
데이터베이스(253), 제1 통신부(255)
제1 제어부(257), 실습침장치(300)
침(310,) 지지부(330)
제2 컨트롤부(350), 센서부(351)
제1 극성제어부(353), 제2 통신부(355)
제2 제어부(357), 더미장치(400)
몸체부(410), 더미삽입구(411), 칩삽입구(412)
금속부(430), 더미부(450)
제3 컨트롤부(470), 제2 극성제어부(473)
제3 통신부(475), 제3 제어부(477)
Acupuncture training apparatus using augmented reality (1)
The virtual body 10, the practitioner 20,
Board 100, recognition mark 110,
The recognition mark 110,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200,
The camera 210, the display unit 230,
A first control unit 250, a location tracking and synthesis module 251,
A database 253, a first communication unit 255,
The first control unit 257, the training apparatus 300,
Needle 310, support 330,
A second control unit 350, a sensor unit 351,
The first polarity control unit 353,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55,
The second control unit 357, the dummy device 400,
The body portion 410, the dummy insertion port 411, the chip insertion port 412,
The metal part 430, the dummy part 450,
The third control unit 470, the second polarity control unit 473,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75, the third control unit 477,

Claims (10)

인식마크를 포함하는 보드;
상기 보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가상체형을 합성하는 제1 컨트롤부 및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마크를 인식하여 상기 보드 상에 가상체형을 표시한 증강현실을 디스플레이하는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
침, 상기 침의 일 부를 수납하는 지지부, 자신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고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실습침장치; 및
더미삽입구와 침삽입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더미삽입구에 수납되는 더미부, 상기 침삽입구를 둘러싸며 배치된 금속부 및 상기 금속부의 극성을 제어하는 제3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체형의 예상되는 경혈 지점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침의 일 영역이 투입되는 더미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실습침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침장치가 상기 가상체형의 경혈 지점에 위치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컨트롤부는, 상기 인식마크를 인식하여 상기 보드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상기 가상체형을 합성하는 위치추적 및 합성 모듈, 상기 가상체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실습침장치로부터 상기 실습침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위치추적 및 합성 모듈과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드리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장치
A board including a recognition mark;
A first control unit for synthesizing a virtual object to an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ynthesized image, wherein th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recognition mark,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in which an augmented reality is displayed;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o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to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 hands-on needle device for transfer to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A body portion including a dummy insertion port and a needle insertion port, a dummy portion accommodated in the dummy insertion port, a metal portion surrounding the needle insertion port, and a third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the polarity of the metal portion, And a dummy device dispo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cupuncture points and into which one area of the needle is inserted,
Wherein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judges whether the hands-on-the-needle device is located at the acupressure point of the virtual body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ands-
The first control unit may include a location tracking and synthesizing module for recognizing the recognition mark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board, and synthesizing the virtual body shape with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virtual body shape,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apparatus from the training apparatus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tracking and synthesis modul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rea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Bedding training apparatus u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인식마크를 포함하는 보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가상체형을 합성하는 제1 컨트롤부 및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인식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보드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보드 상에 가상체형을 합성한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침, 상기 침의 일 부를 수납하는 지지부, 자신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위치 정보를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실습침장치가 상기 보드 상에 위치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더미삽입구와 침삽입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더미삽입구에 수납되는 더미부, 상기 침삽입구를 둘러싸며 배치된 금속부 및 상기 금속부의 극성을 제어하는 제3 컨트롤부를 포함한 더미장치를 상기 가상체형의 예상되는 경혈 지점에 대응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침의 일 영역이 상기 더미장치에 투입되는 단계; 및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실습침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침장치가 상기 가상체형의 경혈 지점에 위치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트롤부는, 상기 인식마크를 인식하여 상기 보드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상기 가상체형을 합성하는 위치추적 및 합성 모듈, 상기 가상체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실습침장치로부터 상기 실습침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위치추적 및 합성 모듈과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드리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방법.
Preparing a board including a recognition mark;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including a camera for receiving an image including the board, a first control unit for synthesizing a virtual object to an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ynthesized image,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the synthesized image obtained by synthesizing a virtual object on the board by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he sensor including a needle, a support for receiving a part of the need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head mounted display unit is positioned on the board and transmits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to the head mounted display unit;
A dummy device including a body portion including a dummy insertion port and a needle insertion port, a dummy portion accommodated in the dummy insertion port, a metal portion surrounding the needle insertion port, and a third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the polarity of the metal portion, Arranging in correspondence with an expected acupoint point;
Wherein one area of the needle is inserted into the dummy device; And
And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judging whether the hands-on-the-needle device is located at the acupressure point of the virtual body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hands-
The first control unit may include a location tracking and synthesizing module for recognizing the recognition mark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board, and synthesizing the virtual body shape with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virtual body shape,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apparatus from the training apparatus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tracking and synthesis modul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rea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cupuncture training method used.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실습침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장치와 상기 실습침장치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ummy apparatus and the training apparatus are close to each other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ining apparatu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실습침장치와 상기 더미장치의 근접 거리가 제1 기 설정 거리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 설정 거리는 상기 실습침장치와 상기 더미장치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의 상기 실습침장치와 상기 더미장치의 거리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proximity distance between the training instrument and the dummy apparatus is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is an augmented reality which is a distance between the body of the dummy apparatus and the dummy apparatus in a state where the dummy apparatus and the dummy apparatu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헤드장착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실습침장치와 상기 더미장치의 근접 거리가 제2 기 설정 거리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기 설정 거리는 상기 실습침장치의 침의 일부 영역이 상기 더미장치에 투입된 상태에서의 상기 실습침장치와 상기 더미장치의 거리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침구실습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s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hands-on-hand device and the dummy device,
Wherein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is a distance between the body of the training device and the dummy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needle of the train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dummy device.
KR1020160091090A 2016-07-19 2016-07-19 Oriental medicine acupuncture device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KR1018531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090A KR101853190B1 (en) 2016-07-19 2016-07-19 Oriental medicine acupuncture device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090A KR101853190B1 (en) 2016-07-19 2016-07-19 Oriental medicine acupuncture device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52A KR20180009452A (en) 2018-01-29
KR101853190B1 true KR101853190B1 (en) 2018-04-27

Family

ID=6102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090A KR101853190B1 (en) 2016-07-19 2016-07-19 Oriental medicine acupuncture device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19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211B1 (en) 2019-10-21 2020-04-23 박상규 Multifunctional ar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curved ui layout
KR20210050701A (en) 2019-10-29 2021-05-10 (주)뉴젠아이엔에스 System to support ar remote maintenance using digital twin technology
KR20210100987A (en) 2020-02-07 2021-08-18 설원진 Realistic Training Service Apparatus for Childcare and Infant Teach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564633B2 (en) 2018-12-21 2023-01-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tate assessment system, diagnosis and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5546A (en) * 2018-04-18 2018-11-0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Acupuncture poin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108986620B (en) * 2018-08-30 2019-09-27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中医医院 A kind of acupuncture point location model of acupuncture
KR102083613B1 (en) * 2018-10-29 2020-03-02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Human model system for evaluation of acupoint position education achievement and method for determinating of acupuncture using it
KR102199189B1 (en) * 2018-12-14 2021-01-06 아주통신(주) Acupuncture training system using mixed reality and acupuncture training method thereof
KR102443956B1 (en) * 2020-11-16 2022-09-20 쿼드러쳐 주식회사 eXtended reality-based acupunctur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473978B1 (en) 2021-01-11 2022-12-06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of acupuncture practice evaluation, using a human body model in which sensors are arranged in a grid structure
CN114333528B (en) * 2022-01-19 2023-10-24 沈阳工程学院 Medical dummy with built-in multi-position pressure sensor for assisting acupuncture teach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0556A (en) * 2006-08-01 2008-02-21 Canon Inc Compound sense of reality present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975413B1 (en) 2010-01-18 2010-08-11 (주) 대진유압기계 Shooting exercise and bullet catcher for projectile remov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0556A (en) * 2006-08-01 2008-02-21 Canon Inc Compound sense of reality present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975413B1 (en) 2010-01-18 2010-08-11 (주) 대진유압기계 Shooting exercise and bullet catcher for projectile remov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4633B2 (en) 2018-12-21 2023-01-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tate assessment system, diagnosis and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system
KR102104211B1 (en) 2019-10-21 2020-04-23 박상규 Multifunctional ar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curved ui layout
KR20210050701A (en) 2019-10-29 2021-05-10 (주)뉴젠아이엔에스 System to support ar remote maintenance using digital twin technology
KR20210100987A (en) 2020-02-07 2021-08-18 설원진 Realistic Training Service Apparatus for Childcare and Infant Teach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52A (en) 201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190B1 (en) Oriental medicine acupuncture device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CN102274633B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EP3246916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200086B1 (en) Mobile device, hmd and system
CN105282276B (en) Equipped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of touch screen
CN106060520B (en) A kind of display mode switching method and its device, intelligent terminal
US10163268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7959788A (en) Mobile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160133230A (en) Mobile terminal
CN106303406A (en) Mobile terminal
CN10532337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CN107949817A (en) The method of mobile device, Wearable device and each device of control
US20190043038A1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391842B (en)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EP3253054A1 (en) Glass-type mobile terminal
CN101180653A (en) Method and device for three-dimensional rendering
CN105786170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98059A (en) Mobile terminal
US9706343B2 (en) Glasses-type terminal, and system including glasses-type terminal and signage
EP3264760B1 (en) Glasses-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141542A (en)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EP3285154A1 (en) Mobile terminal
CN106341521B (en) Mobile terminal
CN110780742A (en) Eyeball tracking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KR20160067572A (en) Wearable device of displaying icons optimized for a circular screen and, th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