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711B1 -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2711B1 KR101852711B1 KR1020170000797A KR20170000797A KR101852711B1 KR 101852711 B1 KR101852711 B1 KR 101852711B1 KR 1020170000797 A KR1020170000797 A KR 1020170000797A KR 20170000797 A KR20170000797 A KR 20170000797A KR 101852711 B1 KR101852711 B1 KR 1018527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conversion
- evaluation
- test
- emergency
- pc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238000011056 performance tes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8000011076 safety tes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41 quality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90 functional t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15 scrip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01R31/127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e.g.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
- H02J3/385—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8—Islanding, i.e. disconnection of local power supply from the network
-
- H02J2003/388—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 부분방전측정 및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LVRT: Low Voltage Ride Through) 평가 및 부분방전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효율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PCS 성능시험 수행부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을 시험 평가하기 위한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달과 더불어 기존의 화석에너지는 빠른 속도로 고갈되는 문제와 화석에너지로부터 발생되는 지구환경오염 문제 등이 전 세계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경친화형 에너지원 및 미래에너지원의 다원화 등의 기술개발이 국제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최근 태양광발전사업의 시장은 태양전지의 저가화가 진행되면서 매년 30%이상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세계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태양전지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실용화 보급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시스템의 규격화 및 표준화 연구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실용화 보급의 가속력을 확보하기 위한 대량생산에 의한 저가화 및 안전성 및 신뢰성 등의 품질유지 및 향상 연구가 더불어 추진되어야 한다는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의 성능평가 시험을 통한 문제점을 정확히 분석하여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시급하다.
특히,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인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PCS) 성능평가 시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통하여 국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술개발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3-0099022호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력 변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하이브리드용(UPS 기능 겸용) 전력변환장치, 융복합(예를 들어 태양광과 풍력) 전력변환장치 등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의 안전 및 성능을 검증해 줄 수 있는 장비가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용(UPS 기능 겸용) 전력변환장치, 융복합(예를 들어 태양광과 풍력) 전력변환장치 등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가 계통과 연계되었을 때 멀티 시험 및 융복합 환경 등 실 계통시험을 모사 가능하여 계통 시스템으로부터 전력변환장치의 안전 및 성능을 검증해 줄 수 있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또는 비상용 에너지저장장치(ESS)용의 전력변환장치의 기능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용 에너지저장장치의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 또는 비상용 에너지저장장치의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저장장치용, 태양광발전용 뿐만 아니라 Nas계열 전지, 2차 전지(Battery), ATS와 같은 스위치시험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성능 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는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 부분방전측정 및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LVRT: Low Voltage Ride Through) 평가 및 부분방전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효율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PCS 성능시험 수행부;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는, 무정전 전환 속도를 평가하는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부; 듀티 사이클(Duty Cycle),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하는 제1 부분방전 측정부;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을 평가하는 ESS 동작 시간 평가부; 및 무순단 이중화 절체 스위치(STS: Static Transfer Switch) 특성을 평가하는 STS 특성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는 무정전 전환 속도가 기설정된 정상속도범위에 포함되고, 부분방전이 측정되지 않고,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이 기설정된 정상시간범위에 포함되고, 무순단 이중화 절체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적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는, 계통 연계 호환성(LVRT: Low Voltage Ride Through)을 평가하는 제1 LVRT 평가부; 전력 생산량 변화 비율(Ramp-late)을 평가하는 Ramp-late 평가부; 및 듀티 사이클(Duty Cycle),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하는 제2 부분방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는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에서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전력 생산량 변화 비율이 기설정된 정상범위에 포함되고, 부분방전이 측정되지 않은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적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CS 성능시험 수행부는, 계통 연계 호환성(LVRT: Low Voltage Ride Through)을 평가하는 제2 LVRT 평가부;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 효율을 평가하는 효율 평가부; 및 순시전압변동 및 고조파특성에 따른 전력품질을 평가하는 전력품질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CS 성능시험 수행부는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에서 전력변환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전력변환 효율이 기설정된 범위에 포함되고, 순시전압 강하 및 고조파가 발생 되지 않는 경우에 전력변환장치의 적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는,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는 독립운전방지 평가부; 시험용 전력변환장치를 추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Multi 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는 멀티독립운전방지 평가부; 및 멀티독립운전방지 평가 실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계통 분리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가 이루어진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의 적합을 판단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의 부적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방법은 에너지저장장치의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에 의해,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 부분방전측정 및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기능검사를 수행한 경우,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LVRT: Low Voltage Ride Through) 평가 및 부분방전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을 수행한 경우,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에너지저장장치의 평가를 수행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효율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성능시험을 수행한 경우,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 부분방전측정 및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는, 무정전 전환 속도를 평가하는 단계; 듀티 사이클,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하는 단계;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을 평가하는 단계; 무순단 이중화 절체 스위치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기능검사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부분방전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는,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는 단계; 전력 생산량 변화 비율(Ramp-late)을 평가하는 단계; 듀티 사이클(Duty-Cycle),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하는 단계: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효율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는,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는 단계;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 순시전압변동 및 고조파특성에 따른 전력품질을 평가하는 단계: 및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독립운전방지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는, 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는 단계; 시험용 전력변환장치를 추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Multi 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는 단계; 멀티독립운전방지 평가 실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안전성 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방법은 실제 전력 계통, 부하 등을 모사하는 하나의 장비로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및/또는 비상용 에너지저장장치의 전력변환장치의 기능검사, 비상용 에너지저장장치의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 또는 비상용 에너지저장장치의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현장 테스트 없이도 에너지저장장치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및 안전성을 시험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안전 및 성능평가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그리드(Micro Grid)용 전력변환장치 안전 및 성능평가도 모두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저장장치용, 태양광발전용 뿐만 아니라 Nas계열 전지, 2차 전지(Battery), ATS와 같은 스위치시험도 모두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부분방전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PCS 성능시험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독립운전방지 응동시간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방법의 순서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방법의 순서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부분방전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PCS 성능시험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독립운전방지 응동시간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방법의 순서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방법의 순서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 시스템은 실계통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시험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별도의 현장시험(SAT)을 거칠 필요 없이 FAT만으로도 제품의 성능을 평가시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 시스템은 크게 그리드 시뮬레이터, 양방향 DC 전원 공급기, 계통연계 모의 부하시험장치, 온도조절형 방폭 챔버 및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드 시뮬레이터는 NTIS 검색시 단독으로 설치된 시험기관 또는 연구기관 최대 45 kW이하의 단독만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시뮬레이터는 최대 300 kW 전원과 모의 부하장치 300 kW 결합하여 총 300 kW 급의 분산전원(비상전원용 하이브리드 전력변환장치와 Micro Grid용 전력변환장치) 시험 설비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리드 시뮬레이터는 양방향 DC전원공급기, 모의계통부하장치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에 의한 전력계통 시험방법을 통해 멀티독립운전방지(Multi Anti lslanding) 및 계통연계호환성(LVRT), 마이크로 그리드(Micro Grid)효율 시험이 가능하다.
양방향 DC 전원 공급기는 NTIS 검색시,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 대부분 시험/연구기관에서는 소용량(100 kW)의 전기자동차, ESS, 태양광 등에 사용되는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DC 전원 공급기는 기존 장비(256 kW)를 활용하여 최대 384 kW까지 확장하여 300 kW 급의 분산전원(비상전원용 하이브리드 전력변환장치와 Micro Grid용 전력변환장치) 시험 설비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 DC 전원 공급기는 그리드 시뮬레이터, 모의계통부하장치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에 의한 전력계통 시험방법을 통해 멀티독립운전방지(Multi Anti lslanding) 및 계통연계호환성(LVRT), 마이크로 그리드(Micro Grid)효율 시험이 가능하다.
계통연계 모의 부하시험장치는 NTIS 검색시, 설치된 시험기관 및 연구기관의 장비는 태양광, 연료전지 등에 활용하고자 하는 50~100 kW이하의 소형 부하로 부하(L1,L2,L3)별 시험 가능 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Multi 시험이 가능하다.
또한, 온도조절형 방폭 챔버는 전기저장장치의 시험을 위한 방폭챔버 및 UL 1741 PSC 시험 40℃ 유지하는 시험 조건을 충족하는 내구성 시험기능을 가지며 기존 보유되고 있는 집진, 벤트 시설을 포함한 시스템화 된 대형챔버로 구비된다.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는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또는 비상용 에너지저장장치의 전력변환장치의 기능검사 및 안전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설명되는 도면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100)는 크게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110),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120), PCS 성능시험 수행부(130) 및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140)를 포함한다.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110)는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 부분방전측정 및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검사를 수행한다.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120)는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LVRT: Low Voltage Ride Through) 평가 및 부분방전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한다.
PCS 성능시험 수행부(130)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효율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한다.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140)는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한다. 여기서,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140)는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시험 수행부와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시험 수행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그 수행기능과 구성이 동일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나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PCS(전력변환장치)는 전력을 변환하는 장치로서 필요에 따라 전력변환장치로서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풍력발전용 전력변환장치 등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PCS는 태양광발전용 전력변환장치, 풍력발전용 전력변환장치뿐만 아니라 배터리, 레독스 플로우, 연료전지 등 다양한 전력변환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다목적 전력변환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110)는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 부분방전측정 및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검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110)는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부(111), 제1 부분방전 측정부(112), ESS 동작 시간 평가부(113), STS 특성 평가부(114) 및 비상용 PCS 기능 적합 판단부(115)를 포함한다.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부(111)는 무정전 전환 속도를 평가한다. 여기서, 무정전전원공급기에 의해 전원이 정전되고 전원이 다시 전원이 공급되는 속도 즉 시간을 의미한다.
제1 부분방전 측정부(112)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한다. 여기서, 듀티 사이클 효율은 규정(85%) 이상으로 한다. 또한 배터리 효율측정시험은 정의된 수량의 랙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정한 출력으로 배터리 팩의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고, 분 단위의 충방전 시간을 기록함으로써 전체 배터리 팩의 효율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이다. 즉, 수요관리용 ESS 성능 검증을 위한 효율시험이며, 기 설정된 파형 및 실계통의 (풍력)발전패턴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의 충방전 Cycle에 대한 효율을 시험한다. 그 과정은 기지정한 시험규격에 따라 최대 SOC로 충전한다. 정해진 Duty Cycle에 따라 필요한 에너지를 조절함으로써 초기 SOC 상태로 만든다. Duty Cycle이 끝나고, 다음 Duty Cycle 직전에 초기 SOC 상태로 돌아가고, Roundtrip Efficiency는 총 출력에너지에서 총 입력에너지를 나눈 값에 의해 결정된다. 입력에너지는 각각의 duty cycle에 따라 같은 SOC level을 기준으로 측정된다. 또한, 충방전 효율은 시험방법은 제어명령의 ±5% 이내로 충방전 출력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보다 자세하게, 기설정된 시험 규격에 따라 최소 SOC까지 방전한다. 지정한 충전조건에 따라 최대 SOC까지 충전한다. 충전 중 손실을 포함한 입력에너지 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그 다음, Active Standby 상태로 30분 동안 유지한다. 제작사에서 지정한 방전조건에 따라 최소 SOC로 방전한다. 방전에너지 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때의 방전조건은 EES시스템의 정격용량(MW-Min)을 만족하여야 한다. 앞의 과정은 최소 8회 반복하고, Reference Performance Test 값은 첫번째 시험결과를 제외한 2번째부터 8번째까지 측정한 의 평균값으로 한다. 이를 통해, EES 정격용량에 대한 출력 및 방전시간(MW-Min)이 확인되어야 하고, 규격에 만족해야 한다. (제어명령의 ±5% 이내로 충방전 출력 발생확인)
ESS 동작 시간 평가부(113)는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을 평가한다.
STS 특성 평가부(114)는 무순단 이중화 절체 스위치(STS:Static Transfer Switch) 특성을 평가한다. 이때, 무순단 이중화 절체 스위치는 무정전전원공급기에 이상이 생길 경우 예비회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비상용 PCS 기능 적합 판단부(115)는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기능검사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비상용 PCS 기능 적합 판단부(115)는 무정전 전환 속도가 기설정된 정상속도범위에 포함되고, 부분방전이 측정되지 않고,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이 기설정된 정상시간범위에 포함되고, 무순단 이중화 절체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기능검사 적합을 판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부분방전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120)는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부분방전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120)는 제1 LVRT 평가부(121), Ramp-late 평가부(122), 제2 부분방전 측정부(123) 및 비상용 PCS 성능 적합 판단부(124)를 포함한다.
제1 LVRT 평가부(121)는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한다. 여기서, 계통 연계 호환성즉, LVRT는 계통에 사고가 발생 하여 계통 전압이 0%~90%로 강하(Drop)되는 상황을 말한다. 보다 자세하게, 계통 연계 호환성은 순시전압강하 발생 시 전력변환장치(500kW급 이상)의 분리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전압 1[p.u]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0.1[p.u]까지 감소시키고, 모든 전압 레벨에서 순시전압강하 지속시간을 0.1[s]부터 0.16[s]까지 변화를 준다. 여기서, 순시전압강하를 발생시켰을 때 0.16[S]까지 전력변환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한다. 이에 따른 시험 구성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Ramp-late 평가부(122)는 전력 생산량 변화 비율(Ramp-late)을 평가한다.
제2 부분방전 측정부(123)는 듀티 사이클(Duty-Cycle),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제1 부분방전 측정부와 동일하게 측정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에 따른 시험 구성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비상용 PCS 성능 적합 판단부(124)는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비상용 PCS 성능 적합 판단부(124)는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에서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전력 생산량 변화 비율이 기설정된 정상범위에 포함되고, 부분방전이 측정되지 않은 경우에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적합을 판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PCS 성능시험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7에 따른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PCS 성능시험 수행부(130)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효율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PCS 성능시험 수행부(130)는 제2 LVRT 평가부(131), 효율 평가부(132), 전력품질 평가부(133) 및 PCS 성능 적합 판단부(134)를 포함한다.
제2 LVRT 평가부(131)는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한다. 제2 LVRT 평가부(131)는 앞서 설명한 제1 LVRT 평가부와 동일하게 순시전압강하 발생 시 전력변환장치(500kW급 이상)의 분리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전압 1[p.u]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0.1[p.u]까지 감소시키고, 모든 전압 레벨에서 순시전압강하 지속시간을 0.1[s]부터 0.16[s]까지 변화를 준다. 여기서, 순시전압강하를 발생시켰을 때 0.16[S]까지 전력변환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한다. 이에 따른 시험 구성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효율 평가부(132)는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 효율을 평가한다. 이에 따른 시험 구성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전력품질 평가부(133)는 순시전압변동 및 고조파특성에 따른 전력품질을 평가한다. 여기서, 순시전압저하, 순시전압상승, 고조파 등은 전력 품질 문제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현상에 해당된다.
PCS 성능 적합 판단부(134)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PCS 성능 적합 판단부(134)는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에서 전력변환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전력변환 효율이 기설정된 범위에 포함되고, 순시전압 강하 및 고조파가 발생 되지 않는 경우에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적합을 판단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에 채용되는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독립운전방지 응동시간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고, 도 13은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고, 도 14는 도 10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시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140)는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140)는 독립운전방지 평가부(141), 멀티독립운전방지 평가부(142), 계통 분리 판단부(143) 및 PCS 안전성 적합 판단부(144)를 포함한다.
독립운전방지 평가부(141)는 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한다. 독립운전방지 평가는 무전압상태에서(사고발생가정) 0.16초 안에 운전을 정지하는지 확인하는 시험으로, 조건은 부하량과 PCS의 발전량을 동일하게 맞추어주고, 0.16초 동안의 무전압상태에서 전력변환장치의 운전정지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른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시험 구성도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멀티독립운전방지 평가부(142)는 시험용 전력변환장치를 추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Multi 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한다. 멀티독립운전방지 평가는 앞서 설명한 독립운전방지 평가의 조건과 동일하지만 계통연계형 시험용 전력변환장치를 추가하여 상호운용에 따른 독립운전방지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른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시험 구성도는 도 13 그리고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시험 구성도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계통 분리 판단부(143)는 멀티독립운전방지 평가 실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 여부를 판단한다.
PCS 안전성 적합 판단부(144)는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안전성 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PCS 안전성 적합 판단부(144)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가 이루어진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 적합을 판단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 부적합을 판단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방법의 순서를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방법은 앞서 설명한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에너지저장장치의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 부분방전측정 및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검사를 수행한다(S10).
다음,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기능검사를 수행한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LVRT:Low Voltage Ride Through) 평가 및 부분방전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한다(S20).
다음,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을 수행한 경우,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한다(S30).
다음, 에너지저장장치의 평가를 수행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효율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한다(S40).
다음,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성능시험을 수행한 경우,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한다(S50).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방법의 순서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방법은 앞서 설명한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에너지저장장치의 평가를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S100).
다음, 에너지저장장치의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기능검사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S101).
다음,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기능검사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무정전 전환 속도를 평가하고, 듀티 사이클(Duty Cycle),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하고,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을 평가하고, 무순단 이중화 절체 스위치(STS: Static Transfer Switch) 특성을 평가하여,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기능검사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S102~S105).
S105 단계의 판단 결과, 무정전 전환 속도가 기설정된 정상속도범위에 포함되고, 부분방전이 측정되지 않고,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이 기설정된 정상시간범위에 포함되고, 무순단 이중화 절체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기능검사 적합을 판단한다(S200).
그리고 S101 단계에서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기능검사를 수행한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성능시험을 수행여부를 판단한다(S106).
다음,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고, 전력 생산량 변화 비율(Ramp-late)을 평가하고, 듀티 사이클(Duty-Cycle),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하여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S107~S111).
판단 결과,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에서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전력 생산량 변화 비율이 기설정된 정상범위에 포함되고, 부분방전이 측정되지 않은 경우가 모두 만족하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적합을 판단(S200)하고, 모두 만족하지 않은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부적합을 판단(S300)한다.
그리고 S106 단계에서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검사를 수행한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한다(S112).
다음,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고, 시험용 전력변환장치를 추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Multi 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고, 멀티독립운전방지 평가 실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 여부를 판단하여,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안전성 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S113~S115).
판단결과,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가 이루어진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 적합을 판단(S200)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 부적합을 판단(S300)한다.
한편, S101 단계에서 에너지저장장치의 평가를 수행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성능시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S115).
다음,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성능시험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고,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 효율을 평가하고, 순시전압변동 및 고조파특성에 따른 전력품질을 평가하여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S117~S120)
판단 결과,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에서 전력변환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전력변환 효율이 기설정된 범위에 포함되고, 순시전압 강하 및 고조파가 발생 되지 않는 경우에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적합을 판단한다(S200).
그리고 S115 단계에서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성능시험을 수행한 경우,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S112 단계에서 S115 단계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S115 판단결과,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가 이루어진 경우,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 적합을 판단(S200)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 부적합을 판단(S300)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방법은 실제 전력 계통, 부하 등을 모사하는 하나의 장비로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비상용 에너지저장장치의 전력변환장치의 테스트,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 및 에너지저장장치의 성능시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현장 테스트 없이도 에너지저장장치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을 시험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안전 및 성능평가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그리드(Micro Grid)용 전력변환장치 안전 및 성능평가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저장장치용, 태양광발전용 뿐만 아니라 Nas계열 전지, 2차 전지(Battery), ATS와 같은 스위치시험도 모두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혹은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110 :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
120 :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
130 : PCS 성능시험 수행부
140 :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
110 :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
120 :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
130 : PCS 성능시험 수행부
140 :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
Claims (11)
-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 부분방전측정 및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LVRT: Low Voltage Ride Through) 평가 및 부분방전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효율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PCS 성능시험 수행부;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는,
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는 독립운전방지 평가부;
시험용 전력변환장치를 추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Multi 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는 멀티독립운전방지 평가부;
멀티독립운전방지 평가 실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계통 분리 판단부;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안전성 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PCS 안전성 적합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는,
무정전 전환 속도를 평가하는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부;
듀티 사이클(Duty Cycle),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하는 제1 부분방전 측정부;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을 평가하는 ESS 동작 시간 평가부;
무순단 이중화 절체 스위치(STS: Static Transfer Switch) 특성을 평가하는 STS 특성 평가부;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기능검사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용 PCS 기능 적합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PCS 기능 적합 판단부는 무정전 전환 속도가 기설정된 정상속도범위에 포함되고, 부분방전이 측정되지 않고,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이 기설정된 정상시간범위에 포함되고, 무순단 이중화 절체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기능검사 적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는,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는 제1 LVRT 평가부;
전력 생산량 변화 비율(Ramp-late)을 평가하는 Ramp-late 평가부;
듀티 사이클(Duty-Cycle),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하는 제2 부분방전 측정부;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용 PCS 성능 적합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PCS 성능 적합 판단부는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에서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전력 생산량 변화 비율이 기설정된 정상범위에 포함되고, 부분방전이 측정되지 않은 경우에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적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S 성능시험 수행부는,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는 제2 LVRT 평가부;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 효율을 평가하는 효율 평가부;
순시전압변동 및 고조파특성에 따른 전력품질을 평가하는 전력품질 평가부; 및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PCS 성능 적합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CS 성능 적합 판단부는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에서 전력변환장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전력변환 효율이 기설정된 범위에 포함되고, 순시전압 강하 및 고조파가 발생 되지 않는 경우에 전력변환장치의 성능시험 적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S 안전성 적합 판단부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가 이루어진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 적합을 판단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의 안전성 시험 부적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 에너지저장장치의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비상용 PCS 기능검사 수행부에 의해,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 부분방전측정 및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기능검사를 수행한 경우, 비상용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LVRT:Low Voltage Ride Through) 평가 및 부분방전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을 수행한 경우,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에너지저장장치의 평가를 수행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PCS 성능시험 수행부에 의해,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효율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성능시험을 수행한 경우, PCS 안전성 시험 수행부에 의해, 독립운전방지(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독립운전방지 평가를 실시하여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는, 독립운전방지평가를 실시하는 단계; 시험용 전력변환장치를 추가하여 멀티독립운전방지(Multi Anti-islanding) 평가를 실시하는 단계; 멀티독립운전방지 평가 실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계통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 또는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안전성 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무정전 전환 속도 평가, 부분방전측정 및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는, 무정전 전환 속도를 평가하는 단계; 듀티 사이클,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하는 단계; 에너지저장장치 동작 임계시간을 평가하는 단계; 무순단 이중화 절체 스위치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기능검사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부분방전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는,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는 단계; 전력 생산량 변화 비율(Ramp-late)을 평가하는 단계; 듀티 사이클(Duty-Cycle), 충방전 효율에 따른 부분방전을 측정하는 단계: 및 비상전원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전력변환장치에 대하여, 계통 연계 호환성 평가 및 효율 평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능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는, 계통 연계 호환성을 평가하는 단계;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 순시전압변동 및 고조파특성에 따른 전력품질을 평가하는 단계: 및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성능시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0797A KR101852711B1 (ko) | 2017-01-03 | 2017-01-03 |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0797A KR101852711B1 (ko) | 2017-01-03 | 2017-01-03 |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2711B1 true KR101852711B1 (ko) | 2018-04-27 |
Family
ID=6208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0797A KR101852711B1 (ko) | 2017-01-03 | 2017-01-03 |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271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8734A (ko) | 2018-07-17 | 2020-01-29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Ess용 이동형 성능평가 장치 |
KR20200120031A (ko) * | 2019-04-11 | 2020-10-21 | 한국전기연구원 | 소규모 전력시스템의 독립운전 유지력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
KR20210071142A (ko) * | 2019-12-05 | 2021-06-16 |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현장평가 시험장치 및 방법 |
KR102457332B1 (ko) | 2022-04-27 | 2022-10-21 | 지투파워(주) | 저전압 계통연계 유지를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508627A (ja) | 2002-04-30 | 2006-03-09 | ハネウェ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デジタル電力変換及び負荷管理用制御シーケンシング及び予測健全性監視 |
KR101237286B1 (ko) | 2011-11-07 | 2013-02-27 | 진명제 |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 |
KR101523300B1 (ko) * | 2014-08-27 | 2015-05-27 | 디아이케이(주) |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시험 시스템 및 방법 |
-
2017
- 2017-01-03 KR KR1020170000797A patent/KR1018527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508627A (ja) | 2002-04-30 | 2006-03-09 | ハネウェ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デジタル電力変換及び負荷管理用制御シーケンシング及び予測健全性監視 |
KR101237286B1 (ko) | 2011-11-07 | 2013-02-27 | 진명제 | 무정전 자동절환스위치 동작 시험장치 |
KR101523300B1 (ko) * | 2014-08-27 | 2015-05-27 | 디아이케이(주) |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시험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8734A (ko) | 2018-07-17 | 2020-01-29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Ess용 이동형 성능평가 장치 |
KR20200120031A (ko) * | 2019-04-11 | 2020-10-21 | 한국전기연구원 | 소규모 전력시스템의 독립운전 유지력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
KR102643132B1 (ko) | 2019-04-11 | 2024-03-04 | 한국전기연구원 | 소규모 전력시스템의 독립운전 유지력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
KR20210071142A (ko) * | 2019-12-05 | 2021-06-16 |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현장평가 시험장치 및 방법 |
KR102333343B1 (ko) | 2019-12-05 | 2021-12-01 |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현장평가 시험장치 및 방법 |
KR102457332B1 (ko) | 2022-04-27 | 2022-10-21 | 지투파워(주) | 저전압 계통연계 유지를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2711B1 (ko) | 다목적용 전력변환장치 성능평가용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 |
CN107219470B (zh) | 蓄电池组在线核对性放电装置及方法 | |
CN102208809B (zh) | 含光伏电源的配电网可靠性评估方法 | |
Setréus et al. | Identifying critical components for transmission system reliability | |
KR101270798B1 (ko) | 에너지저장시스템(ess)용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검사장치 | |
JP7108874B2 (ja) | 電源監視データ処理装置、電源監視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電源監視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 |
CN105809322A (zh) | 综合考虑发电、输电和配电系统的城市电网可靠性评估方法 | |
CN111277008A (zh) | 蓄电池在线监控方法及其装置、设备、系统和存储介质 | |
Fleischer et al. | Development of software and strategies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testing on HIL simulator | |
Chen et al. | Operational reliability and economy evaluation of reusing retired batteries in composite power systems | |
KR102013413B1 (ko) | Ess의 hils 개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ess의 운전 방법 | |
Hanley et al. | Technology development needs for integrated grid-connected PV systems and electric energy storage | |
Razif et al. | Accelerating energy transition through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deployment: A review on current status, potential and challenges in Malaysia | |
KR20120036490A (ko) |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CN106611995A (zh) | 具有主动电压调整的不断电电源供电方法及设备 | |
CN107727967A (zh) | 大功率储能系统模拟测试平台 | |
Wang et al. | Novel Power Allocation Approach in a Battery Storage Power Station for Aging Minimization | |
Onori et al. | A prognostic methodology for interconnected systems: preliminary results | |
Ismail et al. | Study of electric vehicle battery reliability improvement | |
CN207318607U (zh) | 一种大功率储能系统模拟测试平台 | |
Wu et al. | Formal verification method considering electric vehicles and data centers participating in distribution network planning | |
Li et al. | Reliability index setting and fuzzy multi-state modeling for battery storage station | |
Romani et al. | Simulation models and implementation of a simulator for the performability analysis of electric power systems considering interdependencies | |
JP7411971B1 (ja) |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KR102703337B1 (ko) | 축전지 감시 시스템 및 축전지 감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