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141B1 - tower type flowerpot - Google Patents

tower type flower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141B1
KR101852141B1 KR1020160048335A KR20160048335A KR101852141B1 KR 101852141 B1 KR101852141 B1 KR 101852141B1 KR 1020160048335 A KR1020160048335 A KR 1020160048335A KR 20160048335 A KR20160048335 A KR 20160048335A KR 101852141 B1 KR101852141 B1 KR 10185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extending
water
peripheral surface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9966A (en
Inventor
김태균
김상헌
김성자
Original Assignee
김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균 filed Critical 김태균
Priority to KR1020160048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141B1/en
Publication of KR2017011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9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1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형 화분이 개시되는 것으로,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으로부터 수직되게 연장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외주면(12)을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외주면(12)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식재구멍(20)과; 상기 복수개의 식재구멍(20)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의 내주면(13)에 부착되고 절개부(31)가 구비되는 흙이탈방지망(30)과; 상기 몸체(10)의 바닥면(11)에 하단이 닿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되게 구비되고 복수개의 물배출노즐(41)이 구비되며 상단 또는 하단에 물공급부(42)를 갖는 물공급체(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r type flowerpot comprising: a body (10) having a bottom surface (11)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12)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11) and hollow inside; A plurality of planting holes 20 penetra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2 of the body 10; A soil removal preventing net 30 which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lanting holes 20 and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of the body 10 and has a cutout 31;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nozzles 41 provided in the body 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body 10 a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And a water supply unit 40 having a water supply unit 42 at the upper or lower end thereof.

Description

타워형 화분{tower type flowerpot}Tower type flowerpot

본 발명은 타워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을 타워형으로 구비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세워 화분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타워형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화초나 과채류를 심을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성은 물론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함은 물론 견고한 지지성에 의해 쓰러지거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타워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er type flowerp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werpot type flowerpot having a flowerpot in a tower shape so that a flowerpo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and a plurality of flowerpots or fruit vegetables can be plant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ower- It is about a tower type flowerpot which not only shows the effect of interior decoration but also can prevent collapse or fall due to solid support.

일반적으로 실내 인테리어 연출은 물론 실내 공기정화를 위해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근자들어서는 건강을 위해 먹을 수 있는 과채류를 실내에서 재배하여 먹고 있는 추세이다.Generally, in order to clean indoor air as well as indoors, it is becoming a trend to grow plants indoors, and it is a tendency to grow fruits and vegetables that can be eaten for health in the indoor environment.

더욱이,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80세에 이르게 됐으나 건강한 삶이라야 행복한 노년이라 할 수 있기에 건강식품, 장수식품을 찾는 이가 많아지고 특히 육식을 줄이고 채식을 선호하는 추세인 바, 화학농약을 뿌리지 않고 재배한 청정한 과채류가 몸에 좋을 수밖에 없으므로 자신이 직접 베란다, 옥상, 마당에서 과채류를 재배하는 도시농업이 유행하고 있다.Moreover,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Koreans is 80 years old. However, healthy people can be said to be happy old people. Therefore, many people looking for healthy food and longevity food are increasing. Especially, they tend to eat less meat and prefer vegetarian food. Because clean fruits and vegetables are inevitably good for the body, urban agriculture is growing in which fruit and vegetables are grown in verandas, rooftops and yards.

한편, 화초나 과채류 재배는 크게 노지재배와 온실재배로 나누고 토경재배, 수경재배, 분무재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재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ltivation of plants and fruit and vegetables can be divided into non-cultivation and greenhouse cultivation, and cultivation can be accomplished by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soil cultivation, hydroponic cultivation, and spray cultivation.

그러나, 실내에서 식물이나 과채류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흙이 담겨지고 식물이나 과채류가 심어지는 화분이 필요한 바, 대개의 화분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아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내 공간에 화분을 설치할 경우 좁은 실내공간을 화분이 많이 차지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cultivate plants or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room, it is necessary to use pots in which soil is planted and plants or fruits and vegetables are planted. Since most pots are formed in a long direc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r in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When a flowerpot is installed in a spa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flowerpot occupies a small space inside the space.

뿐만 아니라, 종래 사용되고 있는 화분의 경우 가로형의 경우 복수개의 화초나 과채류를 심어 재배할 수 있으나, 화분이 가로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 공간활용성이 떨어지고, 세로형의 경우에는 하나의 화분에 하나의 화초나 과채류를 심어 재배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차지하는 공간에 비해 복수개의 화초나 과채류를 심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ots which have been conventionally used, it is possible to cultivate a plurality of plants or fruit vegetables in the case of the lateral type, but since the pots are formed in the lateral form, they occupy a lot of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a plurality of plants or fruit vegetables can not be planted compared to the space occupied by planting a single plant or fruit and vegetables.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실용 20-2012-0002014호인 타워식 화분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측이 개방된 관형태로 마련되어 내부에 토양이 담겨지는 화분 본체와, 화분 본체를 세우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화분 본체는, 외면 둘레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는, 화분 본체의 내부와 연통하고 식물을 허용하는 다수의 통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수의 식물을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기를 수 있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비교적 많은 식물을 기를 수 있어 공간이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In the prior art, a tower type potted plant disclosed in the public practice 20-2012-0002014 has been proposed. The tower type potted plant is provided with a tubular shape extending vertical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opened upward, Wherein the pollen body has protrusions protruding around the outer surface, the protrusions being made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interior of the pollen body and allowing the plants, So that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lants can be raised even in a narrow space, thereby improving the space availability.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화초가 심어지는 통공이 구비되는 돌출부가 화분본체와는 별도로 돌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화분본체에 대해 나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심어진 화초에 물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t, not only protrusions provided with through holes for planting flowers are protruded separately from the pollen body, but also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pply water to plants planted because they are formed spirally to the pollen body.

즉, 종래 기술의 화분 상부측으로 물을 부어 줄 경우, 부어진 물이 화분본체의 하부측으로 이동은 가능하지만 화분본체의 둘레부를 따라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돌출부측으로 물이 이동됨이 어렵기 때문에 돌출부에 통공된 통공에 심어진 화초에 물을 공급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at is, when water is pour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pollen of the prior art, although the poured water can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pollen body, it is difficult to move the water to the projecting part sid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olle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pply water to plants planted in through holes.

대한민국공개실용 20-2012-0002014호(2012.03.19. 공개)Korea Public Practice 20-2012-0002014 (Published on March 19, 2012)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77950호(2015.08.03. 등록)Korea Register Practice Room 20-0477950 (Registered on Aug. 2015)

본 발명은 화분 몸체를 타워형으로 구비하여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화분 몸체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식재구멍을 통해 화초나 과채류를 복수개로 심을 수 있도록 하며 화분 몸체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물공급체를 구비하여 식재구멍에 심어진 화초나 과채류에 물 공급이 용이하도록 하며 물공급체를 통해 물이 천천히 공급되도록 하여 공급되는 물에 의해 흙의 유실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타워형 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werpot body having a tower shape and minimizing a space occupied by the flowerpot body. The flowerpot body can be planted with a plurality of flowerpots through a planting hole passing throug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erpot bod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wer type flowerpot which can easily supply water to plants and fruit vegetables planted in a planting hole and slowly supply water through a water supply system to prevent the soil from being lost by the supplied wa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타워형 화분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연장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외주면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식재구멍과; 상기 복수개의 식재구멍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절개부가 구비되는 흙이탈방지망과;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하단이 닿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물배출노즐이 구비되며 상단 또는 하단에 물공급부를 갖는 물공급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ower type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and hollow inside; A plurality of planting holes pene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 soil removal prevention net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lanting holes and attach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having a cutout; And a wat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body so that the bottom of the body contacts the bottom of the body, the water supply unit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nozzles and a water supply unit at the upper or lower end, .

나아가, 상기 물공급체의 물공급부는, 상기 물공급체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물공급체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와; 상기 상부연장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호스연결라인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 the water supply portion of the water supply body may include an upper extens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and exte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And an upper hose connection lin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xtension.

나아가, 상기 물공급체의 물공급부는, 상기 물공급체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물공급체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와; 상기 하부연장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몸체의 하부측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하부측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되는 하부호스연결라인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 the water supply portion of the water supply body may include: a lower extens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and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And a lower hose connection lin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xtension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nd exposed from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나아가, 상기 몸체의 외주면 상단에는 물통받이부가 상기 몸체의 상부측으로 더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물공급체의 물공급부는, 상기 물공급체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되 내면에 나사체결홈부가 구비되는 물통연결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 a bucket receiving part is further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and the water supplying part of the water supplying body is provided with a water container connecting part exte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ing body, .

나아가,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 a support body for supporting the body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더 나아가, 상기 지지체는, 상기 몸체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몸체의 하단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확개되는 복수개의 지지편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more, the support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extending from a lower end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nd gradually expanding toward the lower end of the body.

더 나아가, 상기 지지체는, 상기 몸체가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수용면과; 상기 수용면의 내측에 구비되어 흙이 담겨지는 수용공간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more, the support includes: a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body is seated; A receiving surface extending from the seating surface to an upper side; And a receiv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urface for containing soil.

나아가,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나선결합돌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나선결합돌부가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를 갖는 보조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more, a spiral coupling protrusion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seating surface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having a spiral coupling groove portion coupled to a spiral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나아가,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이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볼트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체결볼트부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볼트구멍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볼트구멍으로 끼워지는 체결볼트부와 체결되는 체결너트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Further, the lower end of the body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bolt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Further, the fastening bol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olt portion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portion is inserted, As shown in FIG.

나아가, 상기 몸체의 하단 외주면에는 연결나사돌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 내주면에는 연결나사홈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Furthermore, a connecting threaded porti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a connecting threaded groove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본 발명은 몸체가 타워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을 차지함에 따라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몸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식재구멍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화초나 과채류를 심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공급체에 의해 물을 몸체의 내부에 고르게 공급할 수 있고 물공급체의 물배출노즐에 의해 물이 몸체의 내부로 천천히 공급되어 공급되는 물에 의해 흙이 파이거나 쓸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체에 의해 몸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Since the body is formed in a tower shape, it occupies a narrow space and space utilization can be improved. A plurality of planting holes and fruit vegetables can be planted using a plurality of planting holes provided in the body, The water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water can be slow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by the water discharge nozzle of the water-filled body to prevent the soil from being pinched or scraped off, .

도 1은 본 발명인 타워형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타워형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타워형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인 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wer type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wer typ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ower type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in which plants are planted. Fig.
5 to 10 are a structural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ll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워형 화분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tower type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타워형 화분은,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으로부터 수직되게 연장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외주면(12)을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외주면(12)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식재구멍(20)과, 상기 복수개의 식재구멍(20)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의 내주면(13)에 부착되고 절개부(31)가 구비되는 흙이탈방지망(30)과, 상기 몸체(10)의 바닥면(11)에 하단이 닿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되게 구비되고 복수개의 물배출노즐(41)이 구비되며 상단 또는 하단에 물공급부(42)를 갖는 물공급체(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ower type flowerpo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0 having a bottom surface 11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11 and hollow inside, A plurality of planting holes 20 penetrating through the planting holes 12 and a cutout 31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of the body 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anting holes 20, (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body (10), and is provided vertic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And a water supply unit 40 having a water discharge nozzle 41 and a water supply unit 42 at an upper or lower end thereof.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흙이 넣어지는 것으로 몸체(1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타워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때 상기 몸체(10)의 형상을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은 물론 사각통형, 삼각통형, 육각통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ody 10 is formed in a towe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 The shape of the body 10 is a cylindrical shape, But also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tube, a triangular tube, and a hexagonal tube.

상기 식재구멍(20)은 상기 몸체(10)의 외주면(12)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식재구멍(20)을 몸체(10)의 외주면(12)에 관통하여 이 식재구멍(20)을 통해 화초나 과채류를 식재하도록 한다.The planting holes 20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 of the body 10 such that the planting holes 20 pas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 of the body 10, I plant vegetables and fruits.

상기 흙이탈방지망(30)은 상기 식재구멍(20)을 통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넣어진 흙이 새어나옴을 방지하도록 하고 공기가 상기 식재구멍(20)을 통해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 망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식재구멍(20) 각각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의 내주면(13)에 각각 부착된다.The soil removal prevention net 30 is formed in a net-like shape so as to prevent soil leaking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0 through the planting holes 20 and to circulate the air through the planting holes 20, And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of the body 10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lanting holes 20.

이 때, 상기 흙이탈방지망(30)에는 절개부(3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화초나 과채류를 식재할 경우 상기 절개부(31)를 통해 화초나 과채류의 뿌리부분을 집어 넣어 상기 복수개의 식재구멍(20) 각각에 화초나 과채류가 식재되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 절개부(31)가 화초나 과채류의 뿌리부분이 인입될 때 벌어졌다가 다시 모아져 화초나 과채류의 줄기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넣어지는 흙이 새어나옴을 방지한다.In this case, since the soil removal prevention net 30 is provided with the cut-out portion 31, when a plant or a fruit plant is planted, the roots of the plant or the fruit vegetables are put through the cut-out portion 31, The incision part 31 is opened when the roots of the plant or fruit and vegetables are pulled in and then collect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tem of the flower or the fruit vegetables, To prevent the leaking of the soil that is put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상기 물공급체(40)는 내부가 중공된 호스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넣어지는 것으로 몸체(10)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되게 위치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supply body 40 is inserted into the body 10 and is vertically disposed along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10.

또한, 상기 물공급체(4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배출노즐(41)은, 상기 물공급체(40)의 물공급부(42)를 통해 물공급체(4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몸체(10)의 내부측으로 천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물배출노즐(41)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천천히 공급되기 때문에 높은 수압에 의해 몸체(10)의 내부에 넣어진 흙이 쏠림현상이나 파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nozzles 41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body 40 can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4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ion 42 of the water supply body 40,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discharge nozzle 41 is slow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il from being scattered and the phenomenon of spalling.

필요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42)에 물을 일정주기로 자동공급하도록 하는 밸브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nd a valve body (not shown)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42 at predetermined intervals, if necessary.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물공급체(40)를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넣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흙을 넣어 채워준 다음, 상기 복수개의 식재구멍(20) 각각에 구비된 흙이탈방지망(30)의 절개부(31)를 통해 화초나 과채류의 뿌리부분을 상기 몸체(10) 내부측으로 밀어 넣어 화초나 과채류를 상기 복수개의 식재구멍(20) 각각에 식재하면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oil is filled in the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water supply body 40 is placed inside the body 10, and then the soil is filled in the body 10, The root portion of the plant or fruit vegetables is pushed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0 through the cut-out portion 31 of the soil removal prevention net 30 provided in the planting room 30 to plant flowers or fruit vegetables in the plurality of planting holes 20 .

본 발명의 상기 물공급체(40)의 물공급부(42)는, 상기 물공급체(40)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물공급체(4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421)와, 상기 상부연장부(42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호스연결라인(42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supply portion 42 of the water supply body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extension portion 42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40 and exte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40, And an upper hose connecting line 42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portion 421.

이 때, 상기 상부호스연결라인(422)에는 물을 공급하는 호스가 끼움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호스연결라인(422)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 상기 상부연장부(421)를 통해 물이 상기 물공급체(40)의 내부로 공급되고 물공급체(4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물배출노즐(41)을 통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천천히 배출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고르게 공급된다.W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upper hose connection line 422,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upper extension 421 to the upper hose connection line 422, Water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water supply body 40 and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water supply body 40 is slowly discharged to the interior of the body 10 through the water discharge nozzle 41, .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물공급체(40)의 물공급부(42)는, 상기 물공급체(40)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물공급체(4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423)와, 상기 하부연장부(423)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몸체(10)의 하부측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10)의 하부측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되는 하부호스연결라인(42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supply portion 42 of the water supply system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extension portion 423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system 40 and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supply system 40, And a lower hose connecting line 424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xtension portion 423 and penetrating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0 and exposed from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0.

이 때, 상기 하부호스연결라인(424)에는 물을 공급하는 호스가 끼움연결되는 것으로, 호스의 끼움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호스연결라인(424)은 상기 몸체(10)의 하부측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lower hose connection line 424 is connected to a hose supplying water, and the lower hose connection line 424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424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이루어진 물공급부(42)는, 상기 하부호스연결라인(424)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 상기 하부연장부(423)를 통해 물이 상기 물공급체(40)의 내부로 공급되고 물공급체(4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물배출노즐(41)을 통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천천히 배출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고르게 공급된다.When th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lower hose connection line 424, the water supply unit 42 supplies water through the lower extension unit 423 to the interior of the water supply system 40, Is slowly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through the water discharge nozzle 41 and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의 외주면(11) 상단에는 물통받이부(50)가 상기 몸체(10)의 상부측으로 더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물공급체(40)의 물공급부(42)는, 상기 물공급체(4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되 내면에 나사체결홈부(425)가 구비되는 물통연결부(426)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supply part 42 of the water supply body 4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rt 42 of the water supply system 40. The water supply part 42 of the water supply system 4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 And a water container connecting part 426 extending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40 and having a screw connecting groove part 425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이 경우, 상기 물통받이부(50)에 안착되는 물통은 예를 들어 PET 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ET 병으로 이루어진 물통을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물통연결부(426)의 내면에 PET 병으로 이루어진 물통의 입구와 나사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나사체결홈부(425)가 구비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water bottle that is seated in the water bottle receiving part 5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PET bottle. In order to firmly connect the water bottle made of the PET bottle, And a screw engagement groove portion 425 is provided to allow the screw engagement with the inlet of the screw.

이와 같이 물통받이부(5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물통을 통해 물이 상기 물공급체(40)의 물통연결부(426)를 통해 물공급체(40)의 내부로 공급되고, 물공급체(4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물배출노즐(41)을 통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천천히 배출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고르게 공급된다.The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ater-filled body 40 through the water-bottle connecting portion 426 of the water-filled body 40 through the water-filled receptacle held in the water-receptacle 50, Water is slowly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through the water discharge nozzle 41 and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10)를 지지하는 지지체(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ody 60 for supporting the body 10.

상기 지지체(60)는 상기 몸체(10)가 지면 또는 바닥면에 세워질 때 상기 몸체(10)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는 예를 들어 와이어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천장에 연결되어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설치되거나 또는 지면이나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될 수 있으며, 지면 또는 바닥면에 세워질 때 상기 지지체(60)에 의해 몸체(10)가 견고하게 지지된다.The support body 60 prevents collapse of the body 10 when the body 10 is erected on a floor or a floor surface. The body 10 is connected to the ceiling by a connection means such as a wire, for example. And the body 10 is firmly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60 when the body is erected on a floor or a floor surface.

상기 지지체(60)는, 상기 몸체(1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몸체(10)의 하단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확개되는 복수개의 지지편(61)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61 that exten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nd gradually expan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이와 같이 몸체(10)의 하단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확개되는 복수개의 지지편(61)이 상기 몸체(10)의 하단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10)를 지면 또는 바닥면에 세워 설치할 때 상기 복수개의 지지편(61)의 하단이 지면 또는 바닥면에 닿아 상기 몸체(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support pieces 61 gradually expanding toward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when the body 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or the floor,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ieces 61 contact the ground or the bottom surface to firmly support the body 10.

또한, 상기 지지체(60)는, 상기 몸체(10)가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면(62)과, 상기 안착면(62)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수용면(63)과, 상기 수용면(63)의 내측에 구비되어 흙이 담겨지는 수용공간(6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60 includes a seating surface 62 on which the body 10 is seated, a receiving surface 63 extending up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62, And an accommodating space 64 for accommodating the soil.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64)의 내부에는 흙을 채워 담음에 따라, 수용공간(64)에 채워지는 흙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하부가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10)를 지면 또는 바닥면에 세워 설치할 때 몸체(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64)에 채워진 흙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10)의 식재구멍(20)을 통해 식재된 화초나 과채류와는 별도로 화초나 과채류를 심어 식재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bottom of the body 10 is supported by the earth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64 by filling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64 with the earth,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body 10 when installed upright on the body 10 and to use the soil fi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64 to separate the plant or fruit from the planting holes 20 of the body 10, Vegetables can be planted and planted.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의 하단에는 나선결합돌부(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면(62)에는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나선결합돌부(14)가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65)를 갖는 보조지지부(6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iral engagement protrusion 14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the spiral engagement protrusion 1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is coupled to the seating surface 62, An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66 having a groove portion 65 may be further provided.

이 경우에는, 상기 몸체(10)의 나선결합돌부(14)를 상기 안착면(62)에 구비되는 보조지지부(66)의 나선결합홈부(65)에 나선결합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64)의 내부에 흙을 채우지 않고도 상기 몸체(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몸체(10)의 나선결합돌부(14)를 상기 안착면(62)에 구비되는 보조지지부(66)의 나선결합홈부(65)에 나선결합한 후 상기 수용공간(64)의 내부에 흙을 채워줌으로서 몸체(10)의 지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spiral engagement protrusion 14 of the body 10 is spirally engaged with the spiral engagement recess 65 of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66 provided on the seating surface 62, And the helical coupling portion 14 of the body 10 can be supported by the spiral engagement groove por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66 provided on the seating surface 62. [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upportability of the body 10 by filling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64 with the earth after being spirally coupled to the body 65.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의 하단에는 이 몸체(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볼트부(1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면(62)에는 상기 체결볼트부(15)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볼트구멍(67)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볼트구멍(67)으로 끼워지는 상기 체결볼트부(15)와 체결되는 체결너트부(68)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10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bolt 15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The fastening bolt 15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urface 62 of the body 10, And a fastening nut portion 68 which is further provided with a bolt hole 67 for fastening the fastening bolt portion 15 to be fitted into the bolt hole 67.

이 경우에는 상기 몸체(10)의 체결볼트부(15)를 상기 볼트구멍(67)으로 관통시켜 상기 체결너트부(68)로 체결볼트부(15)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몸체(10)가 상기 안착면(62)과 수용면(63) 및 수용공간(64)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체(6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수용공간(64)의 내부에 흙을 채워줌으로서 몸체(10)의 지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is case, the fastening bolt portion 15 of the body 10 is passed through the bolt hole 67 and the fastening bolt portion 15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portion 68, The support body 60 can be firmly supported by the support 60 composed of the surface 62, the receiving surface 63 and the receiving space 64.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64 is filled with soil, 10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의 하단 외주면에는 연결나사돌부(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단 내주면에는 연결나사홈부(17)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screw projection 16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connection screw groove 17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상기 연결나사돌부(16)와 연결나사홈부(17)는 서로 대응되게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몸체(10)의 하단에 연결나사돌부(16)가 구비되고 몸체(10)의 상단에 연결나사홈부(17)가 구비됨에 따라 몸체(10)와 또 다른 몸체(10)를 서로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screw portion 16 and the connecting screw groove portion 17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screw portion 16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s the groove 17 is provided, the body 10 and another body 1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몸체 11 : 바닥면
12 : 몸체 외주면 13 : 몸체 내주면
14 : 나선결합돌부 15 : 체결볼트부
16 : 연결나사돌부 17 : 연결나사홈부
20 : 식재구멍 30 : 흙이탈방지망
31 : 절개부 40 : 물공급체
41 : 물배출노즐 42 : 물공급부
50 : 물통받이부 60 : 지지체
61 : 지지편 62 : 안착면
63 : 수용면 64 : 수용공간
65 : 나선결합홈부 66 : 보조지지부
67 : 볼트구멍 68 : 체결너트부
421 : 상부연장부 422 : 상부호스연결라인
423 : 하부연장부 424 : 하부호스연결라인
425 : 나사체결홈부 426 : 물통연결부
10: body 11: bottom surface
12: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13: body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4: helical joint part 15: fastening bolt part
16: connecting screw projection part 17: connecting screw groove part
20: planting hole 30: soil release prevention network
31: incision section 40:
41: water discharge nozzle 42: water supply part
50: Bucket basin 60: Support
61: Support piece 62:
63: receiving surface 64: receiving space
65: helical connecting groove portion 66: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67: bolt hole 68: fastening nut part
421: upper extension part 422: upper hose connection line
423: lower extension part 424: lower hose connection line
425: screw fastening groove portion 426:

Claims (10)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으로부터 수직되게 연장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외주면(12)을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외주면(12)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식재구멍(20)과;
상기 복수개의 식재구멍(20)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몸체(10)의 내주면(13)에 부착되고 절개부(31)가 구비되는 흙이탈방지망(30)과;
상기 몸체(10)의 바닥면(11)에 하단이 닿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물을 천천히 공급하는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물배출노즐(41) 및 물공급부(42)를 갖는 물공급체(40)로 구비되고,
상기 물공급부(42)는 상기 물공급체(40)의 상단에
상기 물공급체(40)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물공급체(4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421)와;
상기 상부연장부(42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호스연결라인(4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공급체(40)의 하단에 상기 물공급체(40)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물공급체(4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423)와;
상기 하부연장부(423)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몸체(10)의 하부측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10)의 하부측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되는 하부호스연결라인(424)으로 이루어지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화분.
A body 10 having a bottom surface 11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12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surface 11 and hollow inside;
A plurality of planting holes 20 penetra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2 of the body 10;
A soil removal preventing net 30 which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lanting holes 20 and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3 of the body 10 and has a cutout 31;
The body 1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body 1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body 10 and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40)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nozzles (41) and a water supply part (42) formed in a triangular prism shape to slowly supply water,
The water supply part 4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body 40
An upper extension portion 421 communicating with the interior of the water supply body 40 and exte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40;
And an upper hose connection line 422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xtension part 421.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40 communicates with the interior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40, A lower extension portion 423 extending to a lower side of the base portion 423;
And a lower hose connection line 424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xtension 423 and exposed from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through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Wherein the plant pots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외주면(11) 상단에는 물통받이부(50)가 상기 몸체(10)의 상부측으로 더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물공급체(40)의 물공급부(42)는,
상기 물공급체(40)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되 내면에 나사체결홈부(425)가 구비되는 물통연결부(42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ucket receiving part 50 is further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1 of the body 10,
The water supply part (42) of the water supply system (40)
And a water container connecting part (426) extending toward an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body (40) and provided with a screw tightening groove part (425)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10)를 지지하는 지지체(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pport body (60) for supporting the body (1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0)는,
상기 몸체(1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몸체(10)의 하단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확개되는 복수개의 지지편(61)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화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60)
And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61) extending from a lower end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0) and gradually expanding toward a lower end side of the body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0)는,
상기 몸체(10)가 내부에 안착되는 안착면(62)과;
상기 안착면(62)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수용면(63)과;
상기 수용면(63)의 내측에 구비되어 흙이 담겨지는 수용공간(6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화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60)
A seating surface 62 on which the body 10 is seated;
A receiving surface (63) extending from the seating surface (62) to the upper side;
And a receiving space (64)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urface (63) and containing soi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단에는 나선결합돌부(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면(62)에는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나선결합돌부(14)가 결합되는 나선결합홈부(65)를 갖는 보조지지부(6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화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ody 10 further includes a spiral coupling protrusion 14 at a lower end thereof,
Wherein the seating surface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having a helical engagement groove portion to which a helical engagement protrus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is coupled.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단에는 이 몸체(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볼트부(1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면(62)에는 상기 체결볼트부(15)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볼트구멍(67)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볼트구멍(67)으로 끼워지는 상기 체결볼트부(15)와 체결되는 체결너트부(68)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화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ody 10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bolt 15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body 10,
The mounting surface 62 further includes a bolt hole 67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portion 15 is inserted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portion 15 inserted into the bolt hole 67, (68) is further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단 외주면에는 연결나사돌부(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단 내주면에는 연결나사홈부(17)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necting screw projection portion 16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nd a connecting screw groove portion 17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0.
KR1020160048335A 2016-04-20 2016-04-20 tower type flowerpot KR1018521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35A KR101852141B1 (en) 2016-04-20 2016-04-20 tower type flow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35A KR101852141B1 (en) 2016-04-20 2016-04-20 tower type flower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966A KR20170119966A (en) 2017-10-30
KR101852141B1 true KR101852141B1 (en) 2018-06-04

Family

ID=6030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335A KR101852141B1 (en) 2016-04-20 2016-04-20 tower type flower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14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928A (en) 2019-05-10 2020-11-18 김태균 Tower type flowerpot
KR20230001466U (en) * 2022-01-11 2023-07-18 강경모 Take rooting rod for aerial ro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2764B2 (en) * 2018-12-21 2022-10-13 有限会社フラワーサーカス decorative stan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66B1 (en) * 2014-04-11 2014-06-27 (주)도시와숲 functional flowerpo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039Y2 (en) * 1991-11-26 1995-06-05 有銘 達雄 Epiphyte pot
KR20120002014U (en) 2010-09-09 2012-03-19 이하연 Tower type pot
KR20160027725A (en) * 2014-09-02 2016-03-10 모터웰 주식회사 Assembly Adapter For Hydroponic And The Flowerpot Using The Same
KR200477950Y1 (en) 2014-10-10 2015-08-10 김규성 Apparatus of plant-po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66B1 (en) * 2014-04-11 2014-06-27 (주)도시와숲 functional flowerpo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928A (en) 2019-05-10 2020-11-18 김태균 Tower type flowerpot
KR20230001466U (en) * 2022-01-11 2023-07-18 강경모 Take rooting rod for aerial root
KR200497791Y1 (en) 2022-01-11 2024-02-29 강경모 Take rooting rod for aerial ro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966A (en)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394B1 (en) The high yield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the strawberry and the small-sized vegetable type which uses the multilayer structural implement
US10660283B2 (en) Column elements for a device for the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US20170332568A1 (en) Vertical hydroponic tower array fixture system
CA2473590A1 (en) Seed germination and plant supporting utility
US20080313960A1 (en) Mobile planter
KR101852141B1 (en) tower type flowerpot
JP2021097672A (en) Hydroponic growing unit
KR101317939B1 (en) Assemble type flowerpot
WO2019045768A1 (en) Modular plant growth tray and support fencing assembly and method for supporting plant extremities during growth
US6442895B1 (en) Plant container assembly
KR20190089391A (en) multi-pot with a water tank which is easy for planting
US20170359969A1 (en) Portable Suspended Trellis and Planter System
KR200384330Y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vegetables with stairs type
KR200479346Y1 (en) Prefabricated plant pot assembly for interior greening
KR100404389B1 (en) Home Hydro-Cultivater
US8112937B1 (en) Natural growth terrarium planter
KR102221001B1 (en) Tower type flowerpot
KR101519965B1 (en) Environment-friendly Lid for Toilet bucket capable of growing plant
CN200997801Y (en) Helix planting tower
KR20170057996A (en) Vertical-type hydroponic cultivation equipment
KR20140004927U (en) Plants Cultivation Vessel
KR20220128782A (en) Desk pen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101685568B1 (en) Bed set for hydroponic culture screen cup is set
US20110289837A1 (en) Inverted Planter With Support
JP2010029096A (en) Multistage container-type cultiv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