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008B1 -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 Google Patents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008B1
KR101852008B1 KR1020180018129A KR20180018129A KR101852008B1 KR 101852008 B1 KR101852008 B1 KR 101852008B1 KR 1020180018129 A KR1020180018129 A KR 1020180018129A KR 20180018129 A KR20180018129 A KR 20180018129A KR 101852008 B1 KR101852008 B1 KR 10185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neck
head
us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영호
Original Assignee
천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영호 filed Critical 천영호
Priority to KR102018001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008B1/ko
Priority to US16/616,277 priority patent/US20200085665A1/en
Priority to PCT/KR2019/001191 priority patent/WO2019160258A1/ko
Priority to JP2020514651A priority patent/JP2020519424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 for standing, sitting, laying,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7Constructive details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edding Ite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에 벤 상태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중에 자동적으로 움직여 바르게 눕는 자세를 자연스럽게 유지시켜 주는 경추자동조절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는, 양측에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만곡진 구조를 가지며, 제1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된 제1 레일, 양측에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만곡진 구조를 가지며, 제2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된 제2 레일,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결합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결 지지봉 및 상기 연결 지지봉의 양단의 체결공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레일 어셈블리;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라이딩 돌기부,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에 고정형성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제1 가이드 레일홈 및 제2 가이드 레일홈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롤러부를 포함하는 흔들패널; 및 상기 흔들 패널의 상면에 안착 결합되고, 사용자의 목과 머리가 안착되는 받침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경추자동조절 운동기{Sporting goods for controlling automatically cervical vertebrae}
본 발명은 머리에 벤 상태에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중에 자동적으로 움직여 바르게 눕는 자세를 자연스럽게 유지시켜 주는 경추자동조절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서 경추는 척추에서 흉추 윗부분으로 머리를 지지하는 일곱 마디의 경추골로 구성되어 상체와 머리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대략 10 kg 정도의 중량을 갖는 머리를 지탱하고 신체 상부의 하중을 분산시켜 인체의 직립구조를 유지하도록 하는 인체의 주요 부분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컴퓨터로 업무를 처리하게 되면서 위치가 고정된 모니터를 장시간 동안 주시하여야 하고,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직장인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이나 주부들도 경부통(neck pain)으로 고통 받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경부통을 유발하는 이른바 일자목(또는 거북목)은 모니터나 스마트폰을 좀더 가깝게 보기 위해 목을 앞으로 기울인 자세나 목에 핸드폰 등을 매고 다니는 행동 등을 장시간 반복적으로 지속할 경우에 많이 발생하는데, 일자목은 목뼈의 형태 변형에 그치지 않고 전체적인 체형이 구부정하게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목뼈 이외의 다른 관절과 근육에 무리를 주게 되며, 부통, 목 디스크, 두통, 척추측만증 등과 같은 다양한 척추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신체 움직임에 대한 감각이 틀어지거나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원활한 운동기능의 발현을 방해하기도 한다.
우리의 몸은 장기 또한 완전한 대칭은 아니지만 좌우대칭을 이루어 균형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불균형한 자세를 장시간 취하게 되면 척추나 골반, 목과 어깨, 내장계의 균형 및 정렬이 어긋나게 되는데, 상기 경부통은 주로 잘못된 자세나 운동패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경부통을 경험하는 환자는 정상인에 비하여 특정 근육이 짧아져 있거나 약화되어 있고, 심할 경우에는 목뼈 형태가 C자형의 정상적인 아치를 그리지 않고 앞으로 숙여진 일자목(거북목)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질환은 경추의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턱을 안으로 밀어주는 턱 당기기(chin in exercise), 목의 좌우, 각선 회전운동 등과 같이 경추를 본래의 바른 형태로 되돌리기 위한 교정(재활) 운동이 요구되고 있으며, 경부통을 줄여주거나, 경추의 자세를 조절하여 재활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 또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경추 교정기나 경추 보호대의 경우에는 단순히 목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목의 움직임만을 제한하게 하여 목뼈의 운동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경추 보호효과가 다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83469호에는 내부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흔들 패널과, 반원통 형상의 베개 받침 몸체와, 베개 받침 몸체의 외부면에 설치되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롤러부와, 베개 받침 몸체의 외부면에 설치되며 다른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롤러부를 포함한 베개 받침부와, 베개 받침 몸체의 내부면에 안착 결합 되며,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 지지부와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머리 안착부로 이루어지는 베개 본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경추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베개에 관한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베개는 베개 받침 몸체에 각각 구비된 롤러부가 각각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수면시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는 효과가 미미하며, 파손시 각각의 부품의 교체가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무거운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3469호 (공개일 : 2017.06.08) 한국등록특허 제10-1466344호 (공개일 : 2014.12.01) 한국등록특허 제10-1775283호 (공개일 : 2017.09.06)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03314호 (공개일 : 2017.09.1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드러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중에 두부와 경추부, 상부 흉추부의 정렬 및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자동적으로 좌우대칭의 균형을 이루는 자세로 자연스럽게 교정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신경계, 근골격계, 내장계의 적절한 신경반사조절 효과를 나타내도록 유도하는 경추자동조절 운동기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측에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만곡진 구조를 가지며, 제1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된 제1 레일, 양측에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만곡진 구조를 가지며, 제2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된 제2 레일,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결합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결 지지봉 및 상기 연결 지지봉의 양단의 체결공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레일 어셈블리;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슬라이딩 돌기부,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에 고정형성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제1 가이드 레일홈 및 제2 가이드 레일홈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롤러부를 포함하는 흔들패널; 및 상기 흔들 패널의 상면에 안착 결합되고, 사용자의 목과 머리가 안착되는 받침본체;를 포함하는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레일은,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일면에 제1 가이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만곡진 형상을 갖는 제1 레일 프레임과, 상기 제1 레일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제2 가이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만곡진 형상의 제2 레일 프레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 프레임 및 제2 레일 프레임을 결합시켜 제1 가이드 레일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레일은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일면에 제3 가이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만곡진 형상을 갖는 제3 레일 프레임과, 상기 제3 레일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제4 가이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만곡진 형상의 제4 레일 프레임 포함하고, 상기 제3 레일 프레임 및 제4 레일 프레임을 결합시켜 제2 가이드 레일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는 상기 연결지지봉의 외주면을 감싸 수용하는 완충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받침본체는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머리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본체의 폭은 목지지부에서 머리안착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추자동조절 운동기에 구비되는 목지지부에는 내면에 복수 개의 가압돌기가 추가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을 가압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는 상부 경추부의 움직임을 내부에서 만들어서 교정하는 효과가 있어 목의 정렬과 균형이 자동적으로 얻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부와 경추부, 상부 흉추부의 정렬 및 균형 운동이 저절로 일어나게 한다.
상기 흔들패널은 반원 형상, U 형상 또는 C 형상 등과 같이 만곡진 구조를 이루고 있어 사용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로 회전할 때에도 머리가 흔들패널 위에서 탈락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 닿는 곳은 면이 좁은 직선으로 접촉하고, 머리에 접촉하는 부분은 머리 모양에 맞게 약간 둥근 곡선형의 모양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후두부의 기저부를 적절하게 압박하는 효과가 있고, 후두부의 항중선 전체를 압박하여 두개천골 리듬을 호전시키고, 자율신경계와 중추신경계가 활동할 수 있게 하는 물리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근골격계 회복력을 도와준다.
특히, 상기 후두부에 있는 섬유들은 우리 근골격계와 내장계가 문제가 있을 때, 신경 반사작용으로 반응이 나타나는 곳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는 후두부에 있는 섬유들을 두드러지게 자극할 수 있어 수면 중이거나 휴식 중에도 신경계, 근골격계, 내장계의 적절한 신경반사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본체는 사용자의 목이 놓이는 목지지부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놓이는 머리안착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부에 위치하는 흔들패널이 목과 머리의 균형이 어긋난 움직임을 자동적으로 교정하고 2차적으로 상부경추부의 움직임을 흔들패널에서 교정함으로 인해 목 정렬과 균형이 자동적으로 얻어지게 되며, 두부와 경추부, 상부 흉추부의 정렬 및 균형운동 또한 저절로 일어나도록 하고, 사용 중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시스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추자동운동 조절기는 평평한 바닥이나 침대 위에 위치시키고 흔들패널 위에 받침본체의 머리안착부가 머리쪽으로 향하도록 안착시키고 목과 어깨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경추자동운동 조절기를 당겨서 베개에 눕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받침본체에 머리를 안착시키고 편안히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본체를 나타낸 (a) 상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100′)가 구비된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 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는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중에 천장을 똑바로 바라보도록 좌우대칭의 균형 잡힌 자세를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를 착용하고 누운 상태에서 압박과 불편함을 느껴 무의식중에 몸을 틀게 될 경우 흔들패널과 받침본체가 동시에 자동으로 움직여서 목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자세를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바르게 눕는 자세를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 똑바로 누워 자는 습관을 지닐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는 기존에 개시된 등록실용신안 제20-0483469호의 베개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중에 사용자가 몸을 움질일 경우에도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레일 어셈블리를 구현하고, 레일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요소 들을 모듈화하여 부품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경량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는 레일 어셈블리(100); 흔들패널(200) 및 받침본체(30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는 제1 레일(110), 제2 레일(130) 및 연결부재(150)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모듈형으로 상기 구성요소를 각각 결합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레일(110)은 반원 형상, U 형상 또는 C 형상 등과 같이 만곡진 구조를 가지며, 양측에 복수 개의 결합공(115)이 관통 형성되고 일면에 제1 가이드 레일홈(119)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레일(130)은 상기 제1 레일(110)과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며, 양측에 복수 개의 결합공(135)이 관통 형성되고 일면에 제2 가이드 레일홈(139)이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전술한 제1 레일(110)과 결합해 후술할 흔들패널(200) 및 받침 본체(300)가 소정 각도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궤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30)은 일면에 제1 가이드 레일홈(119) 및 제2 가이드 레일홈(139)이 각각 형성된 만곡진 구조의 일체형 프래임 부재를 이용해 형성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원 형상을 갖는 일체형 프레임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30)은 연결부재(150)를 이용해 결합되어 레일 어셈블리(10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50)는 복수 개의 연결 지지봉(151)과 고정 볼트(15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지지봉(151)은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152)이 관통 형성된 구조의 봉상 구조물로서 상기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30)의 결합공(115, 135)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30)을 결합시키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봉(151)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공(152)에는 고정 볼트(156)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30)을 결합시켜 레일 어셈블리(100)를 형성시키도록 하며, 상기 연결 지지봉(151)은 2개 이상 사용하여 레일 어셈블리(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30)은 각각 양단 및 중앙에 형성된 결속공(115, 135)이 3개씩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에 따라, 3개의 연결 지지봉(151)을 결속공(115, 135)에 삽입하여 레일 어셈블리(100)를 형상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30)을 연결부재(150)를 이용해 결속하여 형성되는 레일 어셈블리(100)는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3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레일홈(119) 및 제2 가이드 레일홈(139)에 후술할 흔들패널의 롤러부(211, 231)가 장착되도록 하여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하는 중에 사용자가 몸을 움질일 경우에도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레일 어셈블리를 구현하고, 레일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모듈화하여 부품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경량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를 이루는 제1 레일(110), 제2 레일(130) 및 연결부재(150)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고강도 플라스틱,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을 포함하는 경량금속 합금, 일반 금속 합금 등을 소재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30)은 강화 플라스틱을 소재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재(150)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 등을 소재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도록 하여 운동기(10)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연결지지봉(151)은 외주면을 감싸 수용하는 완충부재(154)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154)는 우수한 탄성을 갖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SBR), 천연 고무(N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에 구비되는 흔들패널(200)은 레일 어셈블리(100)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만곡진 구조의 판형상 부재로서, 머리 또는 목이 이동하면 자동적으로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흔들패널(200)은 레일 어셈블리(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 형상, U 형상 또는 C 형상 등과 같이 만곡진 구조를 가지며,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슬라이딩 돌기부(210) 및 제2 슬라이딩 돌기부(230)와, 상기 제1 슬라이딩 돌기부(210) 및 제2 슬라이딩 돌기부(220)에 고정형성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의 제1 가이드 레일홈(119) 및 제2 가이드 레일홈(139)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롤러부(211, 231)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롤러부(211, 231)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에 장착되는 흔들패널(200)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를 착용하고 누운 상태에서 압박과 불편함을 느껴 무의식중에 몸을 틀게 될 경우 흔들패널(200)이 동시에 자동으로 움직여지도록 하여 목의 균형을 맞춰줄 수 있도록 정렬하기 때문에 천장을 똑바로 바라보도록 좌우대칭을 이루는 자세를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롤러부(211, 231)는 슬라이딩 돌기부(210, 230)에 복수 개 구비되도록 하여 레일 어셈블리(100)에서 흔들패널(200)이 쉽게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210, 230)에는 2개 이상의 롤러를 장착하여 롤러부(211, 231)가 형성되도록 하여 슬라이드 운동이 유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부(211, 231)는 슬라이딩 돌기부(210, 230)의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흔들패널(200)은 슬라이딩 돌기부(210, 230) 이외에도 상기 흔들패널(200)이 머리를 충분히 지지하도록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지지 돌기부(250)가 추가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흔들패널(200) 또한 섬유강화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고강도 플라스틱,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을 포함하는 경량금속 합금, 일반 금속 합금 등을 소재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흔들패널(200)은 강화 플라스틱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소재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도록 하여 운동기(10)의 경량화 및 고강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에 구비되는 받침본체(300)는 상기 흔들패널(200)의 상면에 안착 결합되고, 사용자의 목과 머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누워있거나 수면을 취할 때 바닥면과 닿지 않는 경추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게 되어 경추를 보호해 주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수면을 이룰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받침본체(300)는 상기 흔들패널(20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 U 형상 또는 C 형상 등과 같이 만곡진 구조를 가지고 사용자의 목과 머리의 외주면을 감싸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본체(300)는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310),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머리안착부(33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본체를 나타낸 (a) 상면도 및 (b)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본체(300)의 목지지부(310)는 경추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중앙이 볼록하게 융기된 구조를 갖도록 하여 목 부분이 안착되어 경추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목지지부(310)의 양측부는 사용자의 목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양측부가 융기되고 굴곡진 구조를 가지고 있어 목 부분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머리안착부(330)는 상부와 측부를 목지지부(310)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융기된 구조를 형성하여 머리의 측부 전체를 감싸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면이나 휴식 시에 안정감을 갖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받침본체(300)의 목지지부(310)에는 내면에 복수 개의 가압돌기(350)가 추가로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착용시 사용자의 목에 위치한 특정 부분이 가압되도록 하여 지압 효과를 유도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단면 직경이 0.5 내지 2.0 cm인 원기둥형 또는 반구형 구조의 가압돌기(350)가 구비되도록 구성하여 지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본체(30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라텍스 또는 통기성 실리콘(open cell silicon) 등을 소재로 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체열을 원활하게 방출하고, 형상의 장기간 유지성능 등을 고려할 때, 통기성 실리콘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통기성 실리콘은 매우 많은 기공이 형성된 실리콘으로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일정한 딱딱함(hardness)을 제공하며, 물성이 안정적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자가 착용시 높낮이나 각도 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량의 기공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어 머리에서 발생한 열을 신속하게 방출하고 통풍작용이 가능하도록 작용하여 머리를 늘 서늘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머리 또는 목에 가해지는 압력이 신경이나, 근육, 혈관에 가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머리에 열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받침본체(300)는 내부에 공기 주입된 에어 쿠션의 형태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에어 쿠션은 목지지부(310)와 머리 안착부(330)가 각각 두 부분으로 나뉘어 격리되도록 구성하여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연통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목에 보다 큰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일 때 턱이 당겨지는 효과가 유도되도록 하며 목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머리 부분 쪽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레일 어셈블리(100′)는 전체가 모듈화된 구조로 제작하여 구성성분의 교체가 더욱 용이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100′)가 구비된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레일(110′)은 복수 개의 결합공(115a)이 관통 형성되고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 가이드 돌기(112)가 돌출형성된 만곡진 형상의 제1 레일 프레임(111)과, 제1 레일 프레임(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결합공(115a′)이 관통형성되고 제2 가이드 돌기(117)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만곡진 형상의 제2 레일 프레임(116)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레일 프레임(111)과 제2 레일 프레임(116)을 각각 결합시켜 내부로 오목한 구조를 갖는 제1 가이드 레일홈(119)이 구비된 제1 레일(110′)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일(130′) 또한 제1 레일(11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레일(130′)은 복수 개의 결합공(135a)이 관통 형성되고 일면에 제3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만곡진 형상을 갖는 제3 레일 프레임(131)과, 상기 제3 레일 프레임(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결합공(135a′)이 관통 형성되고 제4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만곡진 형상의 제4 레일 프레임(136)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레일 프레임(131)과 제4 레일 프레임(136)을 결합시켜 제2 가이드 레일홈(139)이 형성된 제2 레일(1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레일 프레임(111, 116, 131, 136)을 연결부재(150)를 이용해 결합시켜 각각의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30′)을 각각 형성시킬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레일 프레임(111, 116, 131, 136)에 돌출 형성된 제1 내지 제4 가이드 돌기(112, 117, 미도시)에는 각각 걸림턱(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어, 후술할 흔들패널(200)에 구비된 롤러부(211, 231)가 레일 어셈블리(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레일 어셈블리(100′)에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흔들패널(200) 및 받침본체(300)가 결합되도록 하여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레일(110)을 구성하는 일체형 프레임 부재의 폭(W)과 제2 레일(130)을 구성하는 일체형 프레임 부재의 폭(W′)이 각기 다른 것을 사용하도록 하여 목지지부(310)의 이동 궤도의 길이가 머리 안착부(330)의 이동 궤도보다 길도록 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크게 변경되어도 목지지부(310)의 유동은 크지만 머리 안착부(330)의 유동은 작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균형잡힌 자세가 유도되도록 하여 경추자동 운동 및 조절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레일 프레임(111)과 제2 레일 프레임(116)을 포함하는 제1 레일(110′)과 제3 레일 프레임(131)과 제4 레일 프레임(136)을 포함하는 제2 레일(13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폭을 갖도록 구성하여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는 레일 어셈블리(100)의 제1 가이드 레일홈(119)과 제2 가이드 레일홈(139)에 흔들패널의 롤러부(211, 231)가 장착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흔들패널(200)의 상부에는 받침본체(300)가 장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목과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상태에서 사용자가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를 착용하고 누워있거나 수면을 취하는 도중에 옆으로 돌아눕는 등 몸을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 종래 바닥면이 평면인 베개와 달리 레일 어셈블리(100)에 안착된 흔들패널(200)과 받침본체(300)가 레일 어셈블리(20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면서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상기 받침본체(300)는 사용자의 목과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해 몸과 밀착되기 때문에 흔들 패널이 좌우로 회전할 경우에도 머리가 받침본체에서 탈락하지 않는 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수면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는 상기 결속공(115, 135)에 결속되어 연결 지지봉(151) 및 고정 볼트(156)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보호캡(16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캡(160)은 우수한 탄성을 갖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SBR), 천연 고무(N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는 반원 형상, U 형상 또는 C 형상 등과 같이 만곡진 구조를 갖는 레일 어셈블리(10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레일홈(119) 및 제2 가이드 레일홈(139)에 흔들패널의 롤러부(211, 231)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삽입결합되고, 흔들패널(200)의 상면에 받침본체(300)가 안착결합되어 완성된다.
일반적인 베개를 사용하여 누운 자세로 휴식 또는 수면을 취할 때 압박 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면 무의식중에 몸을 틀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는 목과 머리가 같이 움직이면서 두개골 부위가 편안한 상태로 중심을 잡으려고 하며, 이때, 보통의 움직임이라면 목의 균형 및 정렬이 어긋나게 되고 이와 같은 자세를 오래 유지할 경우 경추와 근육에 부담을 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는 착용 후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때, 사용자가 좌우대칭을 이루는 자세인 천장을 똑바로 누워 자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정렬하고 목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여 바르게 눕는 자세를 자연스럽게 유지시켜 주며, 이로 인해,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는 똑바로 누워 자는 습관을 지닐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경추자동조절 운동기(10)는 상부 경추부의 움직임을 내부에서 만들어서 교정하는 효과가 있어 목의 정렬과 균형이 자동적으로 얻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부와 경추부, 상부 흉추부의 정렬 및 균형 운동이 저절로 일어나게 한다.
상기 흔들패널(200)은 반원 형상, U 형상 또는 C 형상 등과 같이 만곡진 구조를 이루고 있어 사용자의 머리와 목이 좌우로 회전할 때에도 머리가 흔들패널 위에서 탈락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 닿는 곳은 면이 좁은 직선으로 접촉하고, 머리에 접촉하는 부분은 머리 모양에 맞게 약간 둥근 곡선형의 모양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후두부의 기저부를 적절하게 압박하는 효과가 있고, 후두부의 항중선 전체를 압박하여 두개천골 리듬을 호전시키고, 자율신경계와 중추신경계가 활동할 수 있게 하는 물리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근골격계 회복력을 도와준다.
특히, 상기 후두부에 있는 섬유들은 우리 근골격계와 내장계가 문제가 있을 때, 신경 반사작용으로 반응이 나타나는 곳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는 후두부에 있는 섬유들을 두드러지게 자극할 수 있어 수면 중이거나 휴식 중에도 신경계, 근골격계, 내장계의 적절한 신경반사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본체(300)는 사용자의 목이 놓이는 목지지부(310)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놓이는 머리안착부(330)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부에 위치하는 흔들패널(200)이 목과 머리의 균형이 어긋난 움직임을 자동적으로 교정하고 2차적으로 상부경추부의 움직임을 흔들패널(200)에서 교정함으로 인해 목 정렬과 균형이 자동적으로 얻어지게 되며, 두부와 경추부, 상부 흉추부의 정렬 및 균형운동 또한 저절로 일어나도록 하고, 사용 중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시스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추자동운동 조절기(10)는 평평한 바닥이나 침대 위에 위치시키고 흔들패널(200) 위에 받침본체의 머리안착부(330)가 머리쪽으로 향하도록 안착시키고 목과 어깨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경추자동운동 조절기(10)를 당겨서 베개에 눕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받침본체(300)에 머리를 안착시키고 편안히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경추자동조절 운동기가 갖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신체 역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사용자 선택
경추자동조절 운동기가 갖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목이나 허리에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의 병력이 없고 건강상태가 양호한 20대 남성 8인을 사용자로 선정하여 신체 역학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실험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두 오른손을 사용하는 사람으로 선정하였고, 사용자들의 인체 측정치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16046549-pat00001
(2) 목 자세 분석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를 사용할 경우에 유도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수면시 발생되는 사용자의 목 자세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때, 시판되는 일반 베개와 메모리폼 베개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목 자세 분석을 위해, 사용자 8인 모두에게 편안한 복장을 착용하게 하고 목 자세 변화 측정에 필요한 기준점(귀구슬점, 어깨가쪽점, 뒤통수점, 목뒤점)을 찾아 표시한 뒤, 전극 부착점을 알코올로 소독(alcohol preparation)하였으며, 6개 채널(channel)의 표면전극(surface electrode)을 각각 부착시켰다.
목 자세 변화 측정에 필요한 기준점을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바로 서도록 하여 사진촬영을 실시하였고, 운동기 또는 베게를 베고 바로 누운 자세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를 스스로 찾게 하였으며, 가장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때 누워있는 목 자세를 다시 촬영하였다. 촬영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카메라는 삼각대에 고정하여 위치변화가 없도록 설정하였다.
참고로, 본 발명의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또는 베개의 기능 중 중요한 요소는 사용자가 서있을 상태에서 목의 자세를 자연스럽게 유지하는 것이다. 목의 자세를 자연스럽게 유지한다는 것은 7개의 경추가 일직선으로 바르게 정렬되어 경추만곡(cervical curvature) 상태를 이루고 있음을 뜻한다. 하지만, 경추가 바르게 정렬되지 않고 중심선에서 많이 벗어나게 될 경우 벗어나는 방향과 반대반향으로 전단력(shearforce)이 발생하게 되어 경추만곡이 흐트러지게 된다. 이때, 전단력이란 물체 내 특정면을 기준으로 크기가 같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면을 따라 평행되게 작용하는 힘을 의미하며, 만약, 부적합한 베개를 사용할 경우 경추만곡이 흐트러질 수 있고, 흐트러진 부분에서 흐트러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전단력이 발생하며, 전단력이 발생할 경우 경추의 안정도가 깨지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목각도가 0ㅀ에 가까울 때 경추는 안정하다고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기준으로 3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도록 하고, 바로 누운 자세에서의 목 각도 변화량을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16046549-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추자동운동 조절기를 사용하여 수면을 취하도록한 사용자의 경우, 일반베개 및 메모리폼 베개를 사용하여 수면을 취하도록 한 사용자의 경우에 비해서 목 각도 변화량이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경추자동운동 조절기를 사용하여 수면을 취할 경우 자세가 변경되어도 자동적으로 똑바로 누워 자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정렬하고 목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여 바르게 눕는 자세를 자연스럽게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가장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3) 체압분포 측정
경추자동조절 운동기를 베고 누웠을 때 체압이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지 측정하기 위하여 머리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서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압력 측정점으로는 뒤통수점이 만나는 지점 두 곳(S1 및 S2), 뒤통수돌출점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두 곳(S3 및 S4), Semispinal scapitis M.(S5), 옆머리점과 평행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두 곳(S6 및 S7)의 총 7개의 지점(S1 및 S7)에서 측정하였고, 측정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머리 표면에 센서를 직접부착하지 않고 두께를 무시할 수 있는 얇은 천을 사용하여 센서를 고정부착한 후 측정하였다.
참고로, 특정부분에서 체압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은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또는 베개가 머리 무게를 분산시키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압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국부압력이 계속 유지될 경우 압력점에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근육의 활동도 분석에서 운동기 또는 베개를 사용해 바로 누운 자세에서의 근육의 활동도가 머리 표면에 체압이 어느 정도 분포하는가 알아보기 위하여 머리 표면 체압(g/cm3)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16046549-pat00003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베개, 메모리폼 베개, 운동기 모두 뒤통수점과 뒤통수 돌출점에 압력이 가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메모리폼 베개의 경우 그 형태의 특성상 뒤통수점 등과 같은 특정 부분에 압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져 운동기와 일반 베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해지는 체압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운동기를 착용한 경우에는 일반 베개 또는 메모리폼 베개를 사용한 사용자에 비해 머리 표면 체압이 균등하게 분포하여 균형있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면 중에 몸을 틀게 되었을 때, 본 발명의 경추자동조절 운동기의 경우 두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형태를 유지하여 체압이 한 곳에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체압이 고르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에, 일반 베개 또는 메모리폼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 체압이 한 곳에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100 : 레일 어셈블리
200 : 흔들패널
300 : 받침본체

Claims (5)

  1. 양측에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만곡진 구조를 가지며, 제1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된 제1 레일, 양측에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만곡진 구조를 가지며, 제2 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된 제2 레일,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을 결합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결 지지봉 및 상기 연결 지지봉의 양단의 체결공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레일 어셈블리;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슬라이딩 돌기부,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에 고정형성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제1 가이드 레일홈 및 제2 가이드 레일홈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흔들패널; 및
    상기 흔들 패널의 상면에 안착 결합되고, 사용자의 목과 머리가 안착되는 받침본체;를 포함하는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은,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일면에 제1 가이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만곡진 형상을 갖는 제1 레일 프레임과, 상기 제1 레일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제2 가이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만곡진 형상의 제2 레일 프레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 프레임 및 제2 레일 프레임을 결합시켜 제1 가이드 레일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레일은,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일면에 제3 가이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만곡진 형상을 갖는 제3 레일 프레임과, 상기 제3 레일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제4 가이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만곡진 형상의 제4 레일 프레임 포함하고, 상기 제3 레일 프레임 및 제4 레일 프레임을 결합시켜 제2 가이드 레일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봉의 외주면을 감싸 수용하는 완충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본체는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지지부 및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머리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본체의 폭은 목지지부에서 머리안착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지지부는 내면에 복수 개의 가압돌기가 추가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KR1020180018129A 2018-02-14 2018-02-14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KR10185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129A KR101852008B1 (ko) 2018-02-14 2018-02-14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US16/616,277 US20200085665A1 (en) 2018-02-14 2019-01-29 Sport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cervical vertebrae
PCT/KR2019/001191 WO2019160258A1 (ko) 2018-02-14 2019-01-29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JP2020514651A JP2020519424A (ja) 2018-02-14 2019-01-29 頸椎自動調節運動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129A KR101852008B1 (ko) 2018-02-14 2018-02-14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008B1 true KR101852008B1 (ko) 2018-04-25

Family

ID=6208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129A KR101852008B1 (ko) 2018-02-14 2018-02-14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085665A1 (ko)
JP (1) JP2020519424A (ko)
KR (1) KR101852008B1 (ko)
WO (1) WO20191602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009B1 (ko) * 2019-05-07 2020-10-15 윤준서 목 스트레칭 장치
CN113018785A (zh) * 2021-03-15 2021-06-25 安徽中医药大学 一种老年护理用康复训练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865Y1 (ko) * 2005-06-08 2005-08-25 조천오 유아용베개
US20100229306A1 (en) * 2009-03-11 2010-09-16 Ralph F. Reeder, Inc. Infant Head Cradle
KR20110030150A (ko) * 2009-09-17 2011-03-23 박명석 복부근육 강화와 척추근육 강화를 위한 허리운동기구
US20110265264A1 (en) * 2010-05-01 2011-11-03 Ralph F. Reeder, Inc. Infant Head Cradle With Controlled Head Movement
KR200483469Y1 (ko) * 2016-03-11 2017-06-08 천영호 베개
KR101775283B1 (ko) * 2016-08-08 2017-09-06 배호천 인체공학 경추 교정용 기능성 베개
KR20170121817A (ko) * 2016-04-26 2017-11-03 김경부 베개 조립체
JP2018011617A (ja) * 2014-11-25 2018-01-25 株式会社オークローンマーケティング 運動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712Y1 (ko) * 2005-10-21 2006-01-11 나용주 건강베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865Y1 (ko) * 2005-06-08 2005-08-25 조천오 유아용베개
US20100229306A1 (en) * 2009-03-11 2010-09-16 Ralph F. Reeder, Inc. Infant Head Cradle
KR20110030150A (ko) * 2009-09-17 2011-03-23 박명석 복부근육 강화와 척추근육 강화를 위한 허리운동기구
US20110265264A1 (en) * 2010-05-01 2011-11-03 Ralph F. Reeder, Inc. Infant Head Cradle With Controlled Head Movement
JP2018011617A (ja) * 2014-11-25 2018-01-25 株式会社オークローンマーケティング 運動器具
KR200483469Y1 (ko) * 2016-03-11 2017-06-08 천영호 베개
KR20170121817A (ko) * 2016-04-26 2017-11-03 김경부 베개 조립체
KR101775283B1 (ko) * 2016-08-08 2017-09-06 배호천 인체공학 경추 교정용 기능성 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009B1 (ko) * 2019-05-07 2020-10-15 윤준서 목 스트레칭 장치
CN113018785A (zh) * 2021-03-15 2021-06-25 安徽中医药大学 一种老年护理用康复训练装置
CN113018785B (zh) * 2021-03-15 2022-04-22 安徽中医药大学 一种老年护理用康复训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0258A1 (ko) 2019-08-22
US20200085665A1 (en) 2020-03-19
JP2020519424A (ja)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334B1 (en) Orthopedic pillows
US10406014B2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US20050154337A1 (en) Thoraco-lumbar spine support/brace
JP2013541384A (ja) 頭部および/または頸部支持装置および方法
GB2516725A (en) Neck Orthosis
US20170112702A1 (en) Spinal column support
KR101852008B1 (ko) 경추자동조절 운동기
US20080248936A1 (en) Therapeutic Neutral Spine and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Applying Same
JP6535229B2 (ja) 仰側臥位対応ベッド
KR101559482B1 (ko) 기능성 베개
KR101684211B1 (ko) 취침중 후두의 자유운동과 뇌척수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면베개
KR101214848B1 (ko) 자세교정의자
US20210236367A1 (en) Cervical traction orthotic chiropractic neck alignment device for spi-nal curve tension stretching forward head posture pain relief and phys-ical therapy
RU2607367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ятия напряжения в шее
KR101647439B1 (ko) 경추와 흉추의 만곡을 유지하는 쿠션
US9005149B1 (en) Spinal decompression and sleep therapy system
CN208974238U (zh) 一种颈椎矫正器
WO2020122305A1 (ko) 결합형 기능성 베개
KR200456599Y1 (ko) 척추 받침대
KR102599666B1 (ko) 거북목 교정장치
KR101835987B1 (ko) 목 디스크 예방용 베개
JP3136968U (ja) 骨格矯正具
KR200491086Y1 (ko) 기능성 베개
KR20210135113A (ko) 스트레칭 등받이
KR200468166Y1 (ko) 자세교정용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