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716B1 - Wearable diet apparatus - Google Patents

Wearable die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716B1
KR101851716B1 KR1020160044711A KR20160044711A KR101851716B1 KR 101851716 B1 KR101851716 B1 KR 101851716B1 KR 1020160044711 A KR1020160044711 A KR 1020160044711A KR 20160044711 A KR20160044711 A KR 20160044711A KR 101851716 B1 KR101851716 B1 KR 10185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nsing
food
unit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6746A (en
Inventor
이준욱
Original Assignee
이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욱 filed Critical 이준욱
Priority to KR102016004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716B1/en
Publication of KR2017011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7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7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1Detecting tooth mobility
    • A61B5/049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이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에 걸쳐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중간부분은 사용자의 머리 후면을 따라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양단부는 사용자의 귀에 걸어지는 양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양쪽 교근 주변의 하악골 관절돌기와, 측면 광대뼈와, 아래턱뼈 모서리 지점을 각각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영역의 내측인 설정영역까지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 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설정영역에 위치하는 피부에 접촉하여 저작에 따른 교근의 근육신호를 감지하고, 연결배선은 지지부의 내부에 내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감지부 및 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표면이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접지하고, 접지배선은 지지부의 내부에 내장되어 형성되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저작습관에 따른 식사량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식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다이어트를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식사량 조절뿐만 아니라, 올바른 식습관유도, 폭식의 방지, 비만방지, 몸매유지, 운동의 유도 및 오래 씹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로운 다양한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are formed to bend over the tops of both ears of the user and the middle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back of the head of the user and both ends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user's ear to the mandible joint protrusions A supporting portion formed to extend obliquely to a setting region inside the triangular region formed by connecting the side cheekbones and the lower jawbone edge points, and a supporting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wiring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sensing parts and the supporting part formed inside the supporting part an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and grounded, The grounding wire may be a wearable die including a grounding portion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support portion, It provides an agent devi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duce the diet by allowing the user to adjust the amount of foo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amount of food according to the user's habits of chewing,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not only the dietary amount of the user but also the correct eating habits, prevention of binge eating, Inducing and inducing long-lasting chewing, thereby providing various effects beneficial to the user.

Description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Wearable diet apparatus}[0001] Wearable diet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이어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ie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diet device that enables a user to effectively manage a diet.

최근 현대사회의 비만은 문명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질병에 비만이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은 과학적 연구에서도 이미 오래전에 밝혀진 사실이다. 이에, 이러한 사회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비만 해결을 위하여 각종 헬스클럽, 운동기구, 운동습관 및 방법, 식이요법, 약품, 수술적인 방법 등 다양하고 수 많은 다이어트 방법들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obesity in modern society has become a big social problem due to civilized eating habits, and the fact that obesity is deeply related to most diseases has long been known in scientific research. Therefore, various dietary methods such as various health clubs, exercise apparatus, exercise habits and methods, dietary therapy, medicines, and surgical methods have been widely used for solving the obesity which is expanding to such a social problem.

한편, 비만이 되는 가장 기본적인 요인으로는 고칼로리의 음식을 많이 섭취하지만 운동을 하지 않는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st basic factor for obesity is eating a lot of high-calorie food, but it can be attributed to not exercising.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다이어트 장치는 운동량과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에 대한 피트니스 기능이 주를 이루고 있어, 근본적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개선을 기반으로 하는 다이어트 관리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ieting device mainly has a fitness function for calori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exercise and the amount of exercise, and basically there is a problem that dieting managemen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food quantity of the user can not be perform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0667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06670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저작습관에 따른 식사량 정보를 인식하여, 이러한 식사량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식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다이어트를 유도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iet device that recognizes the amount-of-food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chewing habits and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amount of food based on the amount-of-food information, thereby inducing an effective diet.

본 발명은 양측이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에 걸쳐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머리 후면을 따라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양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어지는 상기 양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양쪽 교근 주변의 하악골 관절돌기와, 측면 광대뼈와, 아래턱뼈 모서리 지점을 각각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영역의 내측인 설정영역까지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설정영역에 위치하는 피부에 접촉하여 저작에 따른 상기 교근의 근육신호를 감지하고, 연결배선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내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감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표면이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접지하고, 접지배선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내장되어 형성되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head of a user from both sides of a user's ears to a user's ears, the two sides being formed to bend over the tops of both ears of a user, A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obliquely to a setting region which is an inner side of a triangular region formed by connecting the mandibular joint protrusions, the lateral cheekbones, and the corner points of the lower jaw, and a supporting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wiring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ns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formed inside the supporting part, and the surface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and grounded, and the ground wiring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It provides a ground diet wearable device including a section which is formed.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의 근육신호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전달받고, 내부에 설치된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적산하고, 적산된 저작 횟수 및 기 저장된 1회 저작당 예상 섭취 열량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분석 또는 예측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사량 정보를 토대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음식 섭취량 또는 상기 음식 섭취열량에 대한 콘텐츠 알림부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o communicate a muscle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a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times of authoring and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by analyzing or predicting a food intake amount or a food intake calorie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estimated intake calorie information per work, and for controlling the user to adjust the food intake amount or the food intake calorie based on the food amount information The amount of food intake or the cone Diet provides a wearable device that generates alerts Flats wealth.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의 근육신호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전달받고, 내부에 설치된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저작 횟수에 대한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분석하여 1회 저작 횟수에 대한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산정하여 음식데이터를 확보하고, 상기 음식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저작 횟수 또는 저작 횟수 이상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성공신호를 알려주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o communicate a muscle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a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to the user so that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The diet program analyzes the food quantity or the caloric intake quantity A wearable diet device that obtains food data by calculating a food intake amount or a food intake calorie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times of making a work and informs a user of a success signal when the user reaches a number of authoring times or authoring times intended by the user based on the food data to provide.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의 근육신호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전달받고, 내부에 설치된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분석하여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사량 정보를 저장 축척하여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식사량 정보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o communicate a muscle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a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and outputting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And provides a wearable diet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view the meal amount information data by generating the meal amount information by analyzing and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meal amount information.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의 근육신호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전달받고, 내부에 설치된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식 섭취열량을 분석하고, 상기 음식 섭취열량에 대하여 운동종목에 따른 운동시간별 소모되는 소모칼로리를 환산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o communicate a muscle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a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The wearable dieting device informs the user of the calorie consumed by exercise time according to the exercise amount with respect to the calorie consumption.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의 근육신호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전달받고, 내부에 설치된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저작 횟수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저작 횟수 이상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도달신호를 알려주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o communicate a muscle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a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the food amount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set by the user, The user is informed of the arrival signal.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의 근육신호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전달받고, 내부에 설치된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각 끼니별 및 각 음식종류별 해당하는 음식 섭취에 따른 저작 횟수와 음식량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상기한 끼니 및 음식종류에 해당하는 음식 섭취 시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저작 횟수 이상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도달신호를 알려주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o communicate a muscle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a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user with an arrival signal when the user reaches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set by the user at the time of food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food and the type of food.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의 근육신호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전달받고, 내부에 설치된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적산하되, 사용자의 1회 삼킴 당 저작 횟수를 설정한 후 상기 1회 삼킴 당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적산된 저작 횟수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분석 또는 예측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사량 정보를 토대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음식 섭취량 또는 상기 음식 섭취열량에 대한 콘텐츠 알림부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o communicate a muscle signal of the sensing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a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the meal amount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per user swallowing, and outputting the food amount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ood amount information, And then generates the food amount information by analyzing or predicting the food intake amount or the food intake heat amount of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based on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per one swallowing, and based on the food amount information,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food intake or the amount of food intake, And a content notification unit for the weight or the caloric intake calorie.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wearable die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용자의 저작습관에 따른 식사량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식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다이어트를 유도할 수 있다.First, by allowing the user to adjust the amount of foo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food according to the user's chewing habits, the user can effectively induce the diet.

둘째, 음식을 꼭꼭 씹어서 천천히 조금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식습관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직관적이고 효율적이며 과학적인 접근으로 다이어트를 유도할 수 있다.Secondly, it is possible to induce dieting through an intuitive, efficient and scientific approach based on helping to improve eating habits such as chewing food thoroughly and eating slowly.

셋째, 사용자의 식사량 조절뿐만 아니라, 올바른 식습관유도, 폭식의 방지, 비만방지, 몸매유지, 운동의 유도 및 오래 씹도록 유도함으로 소화기 계통과 두뇌 발달 등 사용자에게 이로운 다양한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Third, it can provide diverse effects that are beneficial to the user such as digestive system and brain development by inducing correct eating habits, prevention of binge eating, preventing obesity, maintaining body shape, inducing exercise and long chewing.

넷째, 사용자의 착용이 용이한 웨어러블 기기로 되어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하며,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하기가 용이하며, 남녀노소 불문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Fourth, since the wearable device is easy to wear by the user, it is convenient and convenient to use, is foldable, is easy to carry,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regardless of sex.

다섯째, 휴대단말장치와 인터넷과 연결되는 등 다양하고 편리한 연동 시스템으로 장기간 데이터의 축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질병 예방 등 다양하고 무한한 활용성을 갖고 있다. Fifth, because it is possible to accumulate long-term data with a variety of convenient interworking systems such as a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an Internet connection, it has various endless applications such as prevention of diseases as well as effective continuous health management.

여섯째, 개인 건강관리 트레이너의 역할이 가능하여, 비용저감은 물론 손쉽고 효과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Sixth, the role of a personal healthcare trainer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manage health easily and efficiently as well as cost red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에서 감지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에서 지지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에서 감지부와 접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에서 힌지부에 의하여 접힌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의 다른 실시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able di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wearable diet device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in the wearable diet device of FIG. 1;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in the wearable diet device of Fig. 1;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ensing unit and the ground unit in the wearable diet apparatus of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diet apparatus of Fig. 1;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wearable diet device of Fig. 6 by the hinge por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die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Wearable) 다이어트 장치(700)는, 감지부(100)와, 접지부(201)와, 지지부(200)와, 처리부(300)와, 출력부(40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700)는, 말하는 근육과 씹는 근육이 전혀 다르게 움직이며, 액체가 아닌 모든 음식물은 반드시 씹어서 삼켜야만 하는 신체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음식을 씹는 작용을 하는 저작근(Masticatory muscle)중 턱의 측면에 있고 측면 광대뼈에서 시작되어 아래턱뼈로 이어지고, 아래턱을 끌어올려 위턱으로 밀어붙이는 작용을 하며, 말할 때는 움직이지 않고 씹을 때만 움직이는 특성을 갖고 있는 교근(Masseter muscle)의 움직임을 이용한다. 1 to 3, a wearable diet device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100, a ground unit 201, a support unit 200, a processing unit 300 , And an output unit 400. [ First of all, the wearable diet device 700 utilizes the principle of the body that the talking muscle and the chewing muscle move completely and all foods that are not liquid must be chewed and swallowed, and the masticatory The movement of the masseter muscle, which is locat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jaw, starts from the lateral cheekbone, extends to the lower jaw, pushes the lower jaw up and pushes it to the upper jaw, .

이에, 상기 감지부(100)는, 한 쌍으로 사용자의 얼굴의 양쪽 교근 주변의 설정영역(A; 도 3참조)에 위치하는 피부에 접촉하여 저작에 따른 상기 교근의 근육신호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100)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는 연결배선(미도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감지센서는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설정영역의 피부에 접촉하고 상기 연결배선은 상기 지지부(2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Accordingly, the sens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sense muscle signals of the legitimate muscles in contact with the skin located in the setting region A (see FIG. 3) around both legs of the user's face as a pair . The sensing unit 100 includes a sensing sensor that is in contact with a user's skin and a connection wiring (not shown) that is connected to the sensing sensor. The sensing sensor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onnection wirings are built in the support part 200.

여기서, 상기 설정영역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교근의 수축신호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외이공(귓구멍) 주변에 있는 하악골 관절돌기와, 측면 광대뼈와, 아래턱뼈 모서리 지점을 각각 연결하여 형성된 삼각영역의 내측이다. 4, the setting region is formed by connecting the mandibular articular protuberances, the lateral cheekbones, and the lower jaw corner points around the ear hole of the user so as to accurately detect the contraction signal of the leg muscle, Is the inside of the formed triangular area.

한편,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감지부(100)는, 종래의 습식 방식의 접착테이프를 피부표면에 고정시키는 타입 대신 건식타입으로 사용자의 근육에 접촉하여 상기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근육의 움직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처리부(300)로 송신하는 근전도 센서(EMG sensor)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근전도 센서는 기존의 한 쪽 근육에 최소 2개 이상의 감지기를 위치시켜 근육신호를 감지하는 것과는 달리 양쪽 교근 주변에 1개씩만 위치시켜 근육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Meanwhile, the sensing unit 1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tructures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sensing unit 100 may be a type that fixes a conventional wet type adhesive tape on the skin surface Instead, an EMG sensor may be applied to detect movement of the user's muscles in a dry type, convert the movement of the muscles into electrical signals, and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s to the processor 300. The EMG sensor is capable of detecting a muscle signal by locating only one of the muscles on both sides of the muscle, as opposed to detecting a muscle signal by locating at least two sensors on one muscle.

또는,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 근육에 접촉하여 상기 근육의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근육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처리부(300)로 송신하는 피에조 센서 또는, 상기 근육에 접촉하여 상기 근육의 인장 수축을 감지하고 상기 근육의 인장 또는 수축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처리부(300)로 송신하는 스트레인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들로서,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 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ernatively, the sensing unit 100 may include a piezo sensor that senses the vibration of the muscle in contact with the muscle, converts the vibration of the muscl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processor 300, And a strain gauge that senses tensile contraction of the muscle and converts the tensile or contraction of the muscl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processing unit 300. However,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sensing unit 100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s.

상기 접지부(201)는, 상기 지지부(20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표면이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착용 시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접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지부(201)는 접지면을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며, 상기 지지부(200)의 내부에 접지배선(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접지부(201)는 상기 감지부(10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구성으로 세부구성 및 작동원리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접지수단과 대응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grounding unit 201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unit 200, and the surface of the grounding unit 20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grounding unit 201 is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and is grounded when worn. The grounding unit 201 is in contact with a user's skin through a ground plane, and a grounding wire (not shown) is built in the support unit 200. Here, the grounding unit 201 is configured for smooth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100,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peration principle, and the like will be omitted because it corresponds to a known grounding uni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100)와 상기 접지부(201)는 각각 상기 지지부(20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되,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원형의 감지면을 통하여 상기 교근의 근육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접지부(201)는 링형상으로 상기 원형의 감지부(10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는 접지면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5, the sensing unit 100 and the grounding unit 201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unit 200 to contact the user's skin. The sensing unit 100 senses the skin of the user, And the grounding unit 201 senses a muscle signal of the legitimate muscle through a circular sens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ircular sensing unit 100, As shown in Fig.

나아가,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700)는 상기 감지부(100)와 상기 접지부(201) 사이 영역에 절연구간(202)이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100)의 외측면과 상기 접지부(201)의 내측면이 서로 절연이 유지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절연구간(202)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물질은 공지의 다양한 절연물질을 적용할 수 있다. The wearable diet device 70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on section 202 formed between the sensing section 100 and the grounding section 201 so as to surround the sensing section 100 and the grounding section 201, The insulating layer 202 may be formed of a variety of known insulating materials.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700)는 링형상의 접지부(201)의 내측으로 원형의 감지부(100)가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어, 사용자가 착용 시 상기 감지부(100)와 상기 접지부(201)가 사용자의 피부에 동시에 접촉되면서 접지불량 또는 접촉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감지부(100)를 비롯한 구성 전체가 안정적으로 작동되게 하며, 사용자와의 불필요한 접촉을 자제하도록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컴팩트화 시키도록 되어 있다. The wearable dieting device 7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ircular sensing unit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ring-shaped grounding unit 201 so that when the wearer wears the sensing unit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ground failure or contact failure due to simultaneous contact of the user with the skin of the user, thereby enabling the entir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sensing unit 100 to be stably operated, and to prevent unnecessary contact with the user, Thereby minimizing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skin and making it compact.

한편, 도면에서 상기 감지부(100)는 원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접지부(201)는 링형상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한 원형상 외에 다각형 등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일정 면적을 유지하는 다양한 평면 형태의 형상도 모두 가능하며, 상기 접지부(201) 또한 링형상 외 링의 일부가 제거된 호형상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e meantime, although the sensing unit 100 is formed in a circular plane shape and the ground unit 201 is formed in a ring-like planar shape in correspondence thereto, it is a preferred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circular shape, the sensing unit 100 may have various planar shapes, such as polygons, that maintain a predetermined area that can contact the user's skin. The grounding unit 201 may also include a ring-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shapes are possible as long as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감지부(100)의 연결배선과 상기 접지부(201)의 접지배선은 상기 지지부(200)에 내장 설치함으로써 구조의 컴팩트화를 이룰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wiring of the sensing unit 100 and the ground wiring of the grounding unit 201 can be built in the support unit 200 to reduce the structure.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감지부(100)가 상기 설정영역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감지부(100)가 정확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upport part 200 supports the sensing part 100 to be positioned in the setting area so that the sensing part 100 can sense an accurate signal.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200)는 양측이 상기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에 걸쳐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머리 후면을 따라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양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어지는 상기 양측으로부터 상기 설정영역까지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양단부에 상기 한 쌍의 감지부(100)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가 상기 설정영역에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upport part 200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support part 200 are formed to extend over both upper and lower ears of the user, an intermediate part of the support part 200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back surface of the user's head, Extending from both sides to the setting region and supporting the pair of sensing portions 100 at both ends so that the sensing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setting region.

상기한 헤드셋구조를 갖는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감지부(100)와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부분의 형상이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참조).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ing part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headset structure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in the shape of the sensing part 100 and the portion of the user's ear.

수학식 1Equation 1

A ≤ 2 ÷((B×2)×3.14) A? 2? ((B x 2) x 3.14)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0)는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쳐지고, 헤드셋(Headset)과 같은 형태로 사용자의 머리 후면을 따라 걸쳐져 안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저작 시 턱의 움직임 등에 대하여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스타일 등을 훼손할 필요가 없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구조가 심플하여 심미성이 좋으며 제조가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200 is formed so as to cover both ears of a user and to be seated along the back of the user's head in the form of a headset,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heek during chew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nd it is not only a structure which does not need to damage the hair style of the user but also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beauty is good and the manufacturing is easy.

상기 처리부(300)는, 상기 지지부(200)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The processing unit 300 is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200 and generates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00.

상세하게, 상기 처리부(300)는, 상기 감지부(100)를 통하여 저작에 따른 교근의 근육신호의 수축 횟수를 파악, 응용하여 음식 섭취량이나 음식 섭취열량을 산출하여 이를 출력부(400)로 신호를 송신한다. In detail, the processing unit 300 calculates and estimates the number of contractions of muscle signals of the leg muscle through the sensing unit 100 to calculate a food intake amount and a calorie intake amount, .

상기 처리부(300)는,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적산하고, 적산된 저작 횟수 및 기 저장된 1회 저작당 예상 섭취 열량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분석 또는 예측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생성한다.The processing unit 30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100 and accumulates the number of times of authoring by the user. Based on the accumulated number of authoring times and estimated pre-calorie consumption per book, And analyzes or predicts an intake calorie to generate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상기 출력부(400)는, 상기 처리부(300)로부터 생성된 상기 식사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출력부(400)는, 상기 지지부(20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음성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스피커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장치는 공지의 스피커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output unit 400 outputs the food amount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rocessing unit 30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ood amount information. The output unit 400 includes a speaker unit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20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sound. The speaker unit can be a well-known speaker uni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또한, 상기 출력부(400)는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700)는 외부의 휴대단말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설치된 출력장치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설치된 출력장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 인식을 위한 화면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 또는 진동장치 등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400 may be an output devic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when the wearable diet device 700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portable terminal device. Here, a display device, a speaker, a vibration device, or the like may be applied to an output devic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visual or auditory recognition.

또한, 상기 출력부(400)는, 상기 처리부(30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식사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주는 진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장치는 공지의 진동기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output unit 400 may include a vibration device that receives a signal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processing unit 300 and informs the user of the food amount information by vibration. The vibration device may be a known A vibrator and the like can be appli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출력부(400)는, 적용되는 구성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200)에 적합한 부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지감이 민감한 상기 감지부(100)가 설치된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output unit 400 may be located in a position suitable for the support unit 2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applied structure and may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sensing unit 100 where the user's perception is sensiti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700)는 상기 지지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100)와 상기 처리부(3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0)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600)는 공지의 배터리나 태양전지 등 상기한 감지부(100)와 상기 처리부(30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The wearable diet device 7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600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200 and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100 and the processing unit 300. The power supply unit 60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sensing unit 100 and the processing unit 300, such as a known battery or a solar cell.

또한,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700)는, 상기 지지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부(300)와 상기 출력부(400)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500)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500)은, 무선통신 발신기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500)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700)는, 상기 지지부(200)에 작동여부를 나타내는 LED등을 설치할 수 있다. The wearable diet device 7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500 installed in the support part 200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cessing part 300 and the output part 400.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 Various means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er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500 may be applied. Further, the wearable diet device 700 may be provided with an LED or the like for indicat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unit 200.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지지부(200a)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200a)는, 제1지지부재(210a)와, 제2지지부재(22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210a)는, 한 쌍으로 일단부에 상기 감지부(100)가 설치되고, 타측은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쳐지도록 굴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6,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portion 200a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upport portion 200a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210a and a second support member 220a. The first support members 210a are provided at one end with the sensing unit 100 and the other end is bent so as to extend over both ears of the user.

상기 제2지지부재(220a)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부재(210a)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사용자의 머리 상면 또는 후면을 따라 걸쳐져 상기 제1지지부재(210a)들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처리부(300)와 상기 출력부(400)는 디자인이나 설계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210a)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220a)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220a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210a at both ends and supports the first support members 210a by being cut along the upper or rear surface of the user's head . At this time, the processing unit 300 and the output unit 40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210a or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a according to design or design.

한편, 상기 지지부(200a)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휴대성 및 보관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첩구조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200a)는, 상기 제1지지부재(210a)와 상기 제2지지부재(220a)가 절첩되어 서로 포개지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210a)와 상기 제2지지부재(220a)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상대 회전시키는 힌지부(230a)를 포함한다.7, the support portion 200a may have a folded structure to facilitate portability and storage. The support portion 200a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member 21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a so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21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a are folded over each other, And a hinge part 230a which rotates relative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지지부(200a)는 상기한 바와 같은 힌지결합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210a)와 상기 제2지지부재(220a)가 서로 상대 회전하여 절첩되는 구조가 아닌, 상기 제1지지부재(210a)가 상기 제2지지부재(220a)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절첩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지지부재(220a)는, 양단부에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부재(210a)가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삽입부(240a)가 형성된다.The support part 200a is not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pport member 21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a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hinge coupling as described above, 210a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a. To this e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20a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240a such that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210a are slidably inserted into both ends thereof.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버블 다이어트 장치(700a)는, 감지부(100)와, 지지부(200)와, 통신모듈(500)과, 휴대단말기(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100)와, 상기 지지부(200)와, 접지부(201)의 구성은 도 1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이와 대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die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re bubble diet apparatus 7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100, a support unit 200, a communication module 500, and a portable terminal 800 . Here, the configurations of the sensing unit 100, the supporting unit 200, and the grounding unit 201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1,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상기 통신모듈(500)은, 상기 지지부(200)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100)의 근육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800)로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신모듈(500)은, 상기 휴대단말기(800)로 무선 통신하는 공지의 무선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is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200 and is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100 to communicate the muscle signal of the sensing unit 100 to the portable terminal 800.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may be variously applied to a know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portable terminal 800.

상기 휴대단말기(800)는, 상기 통신모듈(500)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전달받고, 내부에 설치된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The portable terminal 80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to receive the number of times of authoring of the user and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food for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authoring through the diet program installed therein, And outputs it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800)의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로 하여금 식사량 정보를 포함하여 이를 통한 다양한 다이어트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Meanwhile, the diet pro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800 can induce a user to manage various diets by including food amount information.

먼저, 상기 휴대단말기(800)의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적산하고, 적산된 저작 횟수 및 기 저장된 1회 저작당 예상 섭취 열량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분석 또는 예측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상기 식사량 정보를 토대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음식 섭취량 또는 상기 음식 섭취열량에 대한 콘텐츠 알림부를 생성할 수 있다. First, the diet pro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800 accumulates the number of author's authoring, analyzes the user's food intake amount or food intake calorie amount based on the accumulated number of authoring times and the estimated one- Or predicts the meal amount information. Then, the diet program may generate a content notification unit for the food intake amount or the food intake calorie amount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food intake amount or the food intake heat amount based on the food amount information.

또한,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저작 횟수에 대한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분석하여 1회 저작 횟수에 대한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산정하여 음식데이터를 확보하고, 상기 음식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저작 횟수 또는 저작 횟수 이상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성공신호를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로 하여금 음식물을 오래동안 씹도록 유도하여 소화를 돕고 포만감을 느낄 때 까지 천천히 먹도록 식습관을 훈련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et program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ood intake amount or the food intake heat amount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is analyzed to obtain food data by calculating the food intake amount or the food intake heat amount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times of authoring once, The user can be notified of a success signal when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or authoring times is reached. According to this, the diet program can induce the user to chew food for a long time to help the digestion and train the eating habit to eat slowly until the user feels fullness.

상세하게,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반복되는 교근의 수축신호(저작횟수)가 임의로 설정한 횟수에 도달하는 것을 1번 섭취량으로 하고, 1번의 섭취량은 음식 열량표 기준표의 1TS(15g)로 기준을 정하여 본다면, 식사 중 전체 근육의 수축횟수를 설정된 임의의 수축 횟수로 나누어서 음식물을 삼킨 횟수로 추론할 수 있다. 즉 음식물을 삼킨 횟수에 1TS(15g)를 곱하여 본다면 보다 정확한 섭취량을 추론 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섭취 패턴과 공식을 상기한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개인이 설정한 섭취량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휴대단말기(800)를 통해 진동 또는 소리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함으로서 식사량을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700)는 도 1과 같은 출력부(400)가 구비되어, 휴대단말기(800)에서 블루투스 및 이와 유사한 무선신호를 상기 통신모듈(500)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출력부(400)를 통해 진동 또는 소리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함으로서 식사량을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diet program is set such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contraction signal (number of times of writing) of the repetitive masseter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 amount of one ingestion is set as 1TS (15 g) It can be deduced that the total number of muscle contractions during a meal is divided by the number of arbitrary contractions, and the number of times the food is swallowed. That is, when the number of swallowed food is multiplied by 1 TS (15 g), a more accurate intake amount can be deduced. Such an intake pattern and a formula can be utiliz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diet program. Accordingly, when the amount of the diet program exceeds an amount set by the individual, the user can be informed by vibration or soun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800 to maintain and manage the amount of food. Alternatively, the wearable diet device 700 may include an output unit 400 as shown in FIG. 1 to transmit a Bluetooth signal and a similar radio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800 to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400) to inform the user by vibration or sound, so that the amount of food can be maintained and managed.

한편,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그 예로 사용자가 음식물을 20번 씹어 삼키는 것을 기준으로 정하였을 때 전체 식사 시 400번을 씹을 경우 20번을 식도를 통해 음식물을 삼킨 것으로 해석하고, 20번X15g=300g을 섭취한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때 초기 5회-7회 이상의 반복적인 저작신호를 위반하는 것은 예외 사항으로 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상기한 예외사항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하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diet program, for example, assumes that the user chews food 20 times. When chewing 400 times at the whole meal, it is interpreted that the food is swallowed through the esophagus 20 times and 20 times X15g = 300g It can be calculated as ingested. However, violation of the initial five to seven repetitive authoring signals at this time is an exception, so that more accurate data can be calculated. Here, the diet program can obtain reliable data by setting the above-mentioned exception items more specifically.

나아가,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식사량 범위 내에서 밥류, 국, 찌개류, 생선반찬류, 육류반찬류 등 섭취 음식종류에 따라 칼로리가 계산되므로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섭취 칼로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체 섭취량기준에서 밥류/국,찌게류/육류반찬류의 비율을 1:0.5:0.3 비율로 정한다면 상당히 구체화된 칼로리 데이터를 획득케 될 것이고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운동종목에 따른 운동 시간별 소모 칼로리를 환산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calori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consumed, such as a meal, a soup, a soup, a side dish, and a side dish within a range of a food amount, more specific and accurate calorie intake data can be obtained. If you set the ratio of 1: 0.5: 0.3 ratio of rice / soup, soup / meat / side dish to the standard, you will get calorific data that is quite specific and you can use it to convert the consumed calories per exercise time have.

또한,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분석하여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사량 정보를 저장 축척하여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데이터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식사량 정보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iet program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food quantity information by analyzing a user's food intake amount or food consumption calorie based on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store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and store the food quantity information data, So that food quantity information data can be read.

또한,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식 섭취열량을 분석하고, 상기 음식 섭취열량에 대하여 운동종목에 따른 운동시간별 소모되는 소모칼로리를 환산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et program may analyze the user's calorie intak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authoring, and convert the calorie consumed by the exercise time according to the calorie consumption to the user.

나아가,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아침/점심/저녁 각각의 식사 시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700,700a)를 착용한 상태에서 식사를 하다가, 반공기정도 또는 사용자가 정한 임의의 식사량(저작횟수)에 도달할 시 그 시점(횟수)을 입력시키면, 이것이 아침/점심/저녁의 매 끼니별 기준으로 설정되어 식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개개인의 저작패턴이 상이함에 따른,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개개인의 식사 패턴에 잘 부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the diet program may be performed while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iet device 700, 700a at the time of each breakfast / lunch / dinner, and then, When you reach that point (number of times), this can be set as a basis for each meal in the morning / lunch / dinner, you can adjust the amount of food. In this case, the diet program can be most easily used, minimize the error, and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well matched to the individual meal pattern according to the different manga patterns of the individual.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식사량 조절을 위하여 다양한 모드 프로그램들이 실시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et program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ode program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food of the user.

(모드 1)(Mode 1)

우선, 모드 1은 사용자로 하여금 음식물을 오래 씹는 훈련을 시킬 수 있는 모드이다. 이러한 모드 1은 먼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다이어트 프로그램에서 모드 1을 선택한 후 원하는 만큼의 저작횟수를 입력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착용하고 식사를 하면 반복적인 저작신호가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에서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된다. First, Mode 1 is a mode that allows the user to train to chew food long. In this mode 1, first, the user selects Mode 1 from the diet pro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n inputs a desired number of authoring times. Then, when the wearable dieting device is worn by the user, a repetitive author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n the wearable diet device.

이렇게 저작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수신된 저작신호가 연속적이고 규칙적인 저작 신호 범위 내에 있을 시 사용자가 음식을 입에 넣고 씹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저작 카운트를 하게 된다. When the authoring signal is transmitted in this way, the diet program assumes that the user is eating and chewing the food when the received authoring signal is within the continuous and regular authoring signal range, and performs the authoring count.

이 후, 카운트 된 저작횟수가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저작횟수를 만족하면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에서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또는 소리로 인식하게 한다. Thereafter, when the counted number of authoring times satisfies the authoring frequency designated by the user, the wearable diet device wirelessly transmits a signal to the wearable diet device in the diet program, and the wearable diet device receives the vibration or sound .

따라서 상기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면 사용자는 스스로 오랫동안 씹는 훈련을 하게 되면서 좋은 식습관을 가질 수 있다. Therefore, by continuousl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user can have a good eating habit while training himself to chew for a long time.

(모드 2)(Mode 2)

모드 2는 사용자에 따라 저작패턴/끼니별 상황/음식의 종류가 다르고, 아침, 점심, 저녁, 간식, 특별음식의 저작횟수와 섭취량이 서로 다른 것을 감안한 모드로서, 사용자가 급하게 음식을 섭취하는 것과, 천천히 섭취하는 것, 젓가락으로 소량으로 먹는 것과는 무관하게 사용자 개인의 음식 섭취 성향에 기준을 두는 모드이다. Mode 2 is a mode in which us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authoring pattern / situation / food type per meal and the number of authoring and consumption of breakfast, lunch, dinner, snack food and special food. , Slow eating, chopsticks to eat a small amount, regardless of the user's personal food intake tendency is a mode of reference.

이를 살펴보면, 상기 모드 2는 우선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착용한 후 아침/점심/저녁을 먹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전체 음식 중 일정부분 섭취한 것(저작횟수)에 대한 것을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에 등록을 한다. In the mode 2, the user first registers in the diet program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has consumed a certain portion of the total food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in a state of eating breakfast / lunch / dinner after wearing the wearable diet device do.

그런 다음, 다음날부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착용 후 식사를 하면 다이어트 프로그램에서는 각 끼니별 설정된 저작횟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로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의 출력부(4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식사 중지를 진동이나 소리로 알려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더 이상의 음식물 섭취를 못하도록 경고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아침/점심/저녁과 같은 일상적이고 규칙적인 음식에 대해서 예를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외 다른 특별한 음식 즉 면류/삼겹살구이/스테이크류/보쌈류/특별음식과 같이(외식 또는 외국음식) 저작패턴이 일반적이지 않는 음식에 대해서도 세팅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n,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iaper device and then eats the same, the dietary program transmits a signal to the wearable diet device when the number of times of authoring is set for each meal, To alert the user to a meal stop by vibration or sound to alert the user to no further food ingestion. Meanwhile, although the routine and regular foods such as breakfast, lunch, and dinner are exemplified in the above, other special foods such as noodles, pork belly, stakes, bamboo dishe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foods for which the chewing pattern is not common.

(모드 3)(Mode 3)

모드 3은 사용자가 저작횟수/삼키는 음식량에 기준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살펴보면, 모드 3의 경우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음식을 삼키기 위한 저작 횟수, 한번 삼킬 시의 음식량 및 한 번의 식사 시 음식 섭취량을 정하여 입력시킨다. Mode 3 is characterized by the user placing a reference to the number of authoring / amount of food to be swallowed. In the case of Mode 3, the diet program sets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for the user to swallow the food, the amount of food for one swallow, and the amount of food for one meal.

여기서, 1회 음식 섭취량 즉, 한 숟가락에 대한 정의는 식품영양학의 기준표인 1TS(15g)에 근거를 하고, 이를 토대로 10g/15g/20g/25g과 같이 경중을 두어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에서 저작의 기준은 사용자가 모드 1을 이용해서 습관화 된 저작 횟수, 또는 사용자가 본인의 저작 횟수를 관찰하여 입력 할 수 있다. Here, the one-time food intake, that is, the definition of one spoon, is based on 1TS (15g), which is a food nutrition reference chart,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designate the user as 10g / 15g / 20g / 25g. In addition, in the above, the criterion of the work can be input by the user observing the number of times of habituation using the mode 1 or the number of times of the author's own authoring.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에서 모드 3을 설정한 후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착용하여 식사를 하게 되면, 매 끼니별/음식 종류와는 상관없이 지정된 저작횟수에 도달하게 되면 한 번의 삼킴으로 인정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iet device after setting the mode 3 in the diet program, when the user reaches the specified number of author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each meal / type of food, do.

이렇게 저작의 데이터가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에 전송되고, 지정된 한 번의 식사량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로 신호를 보내어 출력부(4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화여 더 이상의 음식 섭취를 못하도록 경고한다. 이러한 모드 3은 칼로리 산출에 있어서 상당히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When the data of the work is transmitted to the diet program and reaches the designated one meal amount, the diet program sends a signal to the wearable diet device, and the user can recognize the food through the output unit 400, Warning to avoid ingestion. This mode 3 can obtain fairly accurate data in calorie calculation.

(모드 4)(Mode 4)

모드 4는 섭취한 음식에 대하여 칼로리로 환산할 수 있게 하고, 각각의 운동을 실행 할 경우 소요 시간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de 4 is characterized by enabling calorie conversion for the food ingested and indicating the required time for each exercise.

여기서, 섭취음식을 칼로리로 환산하는 과정은, 우선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 횟수 또는 다이어트 프로그램 초기 실행 시 설정한 한 번 삼킴의 저작횟수를 기준으로 한다. 즉, 전체저작횟수 나누기 임의의 저작횟수는 한 번의 삼킴량으로 환산하고 한번의 삼킴량은 1TS(15g)로 정하면 전체 식사량을 파악하게 된다.Here,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consumed food into calories is based on an arbitrary number of times specified by the user or the number of authoring of swallowing once set at the time of initial execution of the diet program. That is, the total number of authoring times is calculated by converting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into one swallowing amount and the amount of swallowing once per 1TS (15 g).

이에, 상기한 모드2/모드3을 사용 후 해당 섭취한 음식의 종류를 설정 하고, 한 번의 식사 시 음식 종류의 비율은 서로 다르게 한다. 예를 들어, 400g 식사량에서 음식종류가 밥/된장찌게/김치/고등어구이 등일 경우 4가지 음식종류의 비율은 서로 다를 것인데, 이러한 식품영양학의 각각의 음식 비율표를 기준으로 하여 보게되면 섭취량 기준으로 해당음식의 칼로리 계산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 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type of the food consumed after the mode 2 / mode 3 is used is set, and the ratios of the food types in one meal ar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food type is 400g, the ratio of the four kinds of food will be different when the food type is rice / miso pot / kimchi / mackerel, etc. Based on the table of food ratio of each food and nutrition, The calorie calculation of the food becomes more accurate.

한편,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를 착용 후 상기한 모드2/모드3를 사용하게 되면 그때그때 마다의 사용자의 컨디션, 환경 등에 따라 적게 먹을 경우 초과 하게되는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며, 이에 다양한 섭취량과 음식종류를 기준으로 정확한 전체 섭취 칼로리를 산출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iet device and uses the above-described mode 2 / mode 3, he / she will be exposed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when he / To calculate the correct total calorie intake.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다이어트 프로그램은, 산출된 칼로리를 기준으로 다양한 운동에 따른 칼로리 소모 시간을 휴대단말기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diet program informs the user of the calorie consumption time according to various calorie based on the calculated calories.

(모드 5)(Mode 5)

모드 5는 상기한 모드4에서 축적된 식사량과 칼로리를 계속 업데이트하며, 이렇게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주별/월별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 데이타 비교 및 건강 관리의 기본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다.Mode 5 continuously updates the amount of food and calories accumulated in Mode 4 described above, and can be utilized as a basic data of health data comparison an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week / month by utilizing updated inform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700,700a)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웨어러블 장치로서, 사용자의 식사량을 근거로 하여 식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사용자가 다이어트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유도함은 물론, 나아가 식습관 훈련 및 개선, 다이어트 및 몸매유지관리, 식사량 정보 데이터를 활용한 운동량 및 시간정보 제공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iet device 700, 700a is a wearable device based on IOT (Internet of things),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food based on the meal amount of the user, And can be effectively used for providing exercise amount and time information using dietary information data, as well as dietary training and improvement, diet and body maintenance, and the lik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감지부 200,200a,200b... 지지부
201... 접지부 210a... 제1지지부재
210b... 제3지지부재 220a... 제2지지부재
230a... 힌지부 240a... 삽입부
300... 처리부 400... 출력부
500... 통신모듈 600... 전원공급부
700,700a...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800.... 휴대단말기
100 ... sensing unit 200, 200a, 200b ... support
201 ... grounding portion 210a ... first supporting member
210b ... third support member 220a ... second support member
230a ... hinge portion 240a ... insertion portion
300 ... processing section 400 ... output section
500 ... communication module 600 ... power supply
700,700a ... wearable diet device 800 .... portable terminal

Claims (9)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로서,
사용자의 양쪽 교근 주변의 하악골 관절돌기와, 측면 광대뼈와, 아래턱뼈 모서리 지점을 각각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영역의 내측인 설정영역에 위치하는 피부에 접촉하여 저작에 따른 상기 교근의 근육신호를 감지하는 한 쌍의 감지부; 및
양측이 상기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에 걸어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사용자의 머리 후면을 따라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양단부가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어지는 상기 양측으로부터 상기 설정영역까지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양단부에 상기 한 쌍의 감지부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가 상기 설정영역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감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배선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내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는,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표면이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접지하고, 접지배선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내장되어 형성되는 접지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As a wearable diet device,
A muscl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kin located in a setting region inside the triangular region formed by connecting the mandibular articular processes around the user's right and left jawbone and the corner of the lower jaw, A pair of sensing parts; And
Wherein both sides of the user's head are formed to be curved so as to be hung on both ears of the user and the middle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back surface of the user's head, And a pair of sensing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nsing portion to support the sensing portion in the setting region,
A connection wiring connected to the pair of sensing parts is built in the support part,
In the wearable diet device,
And a grounding part which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and which has a surfac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contacts the skin of the user and is grounded and the grounding wire is embedded in the support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부에 상기 감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타측은 사용자의 귀 상부에 걸쳐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부재와,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부재의 타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사용자의 머리 후면을 따라 걸쳐져 상기 제1지지부재들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provided at one end thereof with the sensing unit and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one end and bent at the other end over the top of the user's ear,
And a second support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at both ends and that supports the first support members across the rear surface of the user's hea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의 근육에 접촉하여 상기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근육의 움직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근전도센서,
상기 근육에 접촉하여 상기 근육의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근육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피에조 센서 및
상기 근육에 접촉하여 상기 근육의 인장 수축을 감지하고 상기 근육의 인장 또는 수축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스트레인게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n electromyogram sensor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muscle in contact with the user's muscles and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muscle into an electrical signal,
A piezo sensor for sensing the vibration of the muscle in contact with the muscle and converting the vibration of the muscl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train gauge contacting the muscle to sense tensile contraction of the muscle and converting the tensile or contraction of the muscle into an electrical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감지면을 통하여 상기 교근의 근육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접지부는, 접지면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되, 상기 접지면은 상기 감지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여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와 상기 접지부 사이 영역에는 절연구간이 형성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may contact the user's skin and sense a muscle signal of the muscle mass through a sensing surface of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Wherein the groun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user through a ground plane, the ground plane being positioned to be spac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nsing portion,
Wherein an insulation section is formed in a region between the sensing section and the grounding sec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내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식사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processing unit built in the support unit and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food for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nd an output unit that is provided on the support unit and outputs the meal amou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cessing uni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meal amount informa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적산하고, 적산된 저작 횟수 및 기 저장된 1회 저작당 예상 섭취 열량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열량을 분석 또는 예측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and integrating the number of authoring times of the user and analyzing or predicting the user's food intake amount or food intake calorie amount based on the accumulated number of authoring times and the estimated one- To the wearer's bod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음성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장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단말장치에 설치된 출력장치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식사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주는 진동장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put unit includes:
An output devic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output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processing section, And a vibrating device for vibrating the vibrating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부와 상기 처리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부와 상기 출력부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무선통신 발신기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and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and the processing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cessing unit and the output unit,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er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의 근육신호를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저작 횟수를 전달받고, 내부에 설치된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저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식사량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휴대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다이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support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part to communicate a muscle signal of the sensing part,
A portabl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the number of times of authoring of the user and generate food amount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f authoring through the diet program installed therein and outputting the food amount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ood amount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wearable diet device.
KR1020160044711A 2016-04-12 2016-04-12 Wearable diet apparatus KR1018517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711A KR101851716B1 (en) 2016-04-12 2016-04-12 Wearable die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711A KR101851716B1 (en) 2016-04-12 2016-04-12 Wearable die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746A KR20170116746A (en) 2017-10-20
KR101851716B1 true KR101851716B1 (en) 2018-04-24

Family

ID=6029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711A KR101851716B1 (en) 2016-04-12 2016-04-12 Wearable die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71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677B2 (en) * 1993-11-05 2001-01-29 三井造船株式会社 Slot antenna with dielectric resonator
US20110288445A1 (en) 2010-05-18 2011-11-24 Erik Lillydahl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ubconscious neuromuscular tension including brux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677B2 (en) * 1993-11-05 2001-01-29 三井造船株式会社 Slot antenna with dielectric resonator
US20110288445A1 (en) 2010-05-18 2011-11-24 Erik Lillydahl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ubconscious neuromuscular tension including brux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746A (en)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549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acking abdominal orientation and activity
US9763616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acking abdominal orientation and activity
US10542910B2 (en) Wearable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KR1015497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ersonal training
Kalantarian et al. A wearable nutrition monitoring system
ES2562933T3 (en) Apparatus for detecting, receiving, obtaining and presenting human physiological and contextual information
KR101825897B1 (en) Fitness training system with energy expenditure calculation that uses multiple sensor inputs
US7153262B2 (en) Wearable human physiological data sensors and reporting system therefor
JP5051767B2 (en) Device for monitoring human condition parameters
ES2430549T3 (en) System to monitor health, well-being and fitness
KR101538247B1 (en) Processing data of a user performing an athletic activity to estimate energy expenditure
US20140203797A1 (en) Social contact sensing
US20140142396A1 (en) Health Measurement Systems
US20160143582A1 (en) Wearable Food Consumption Monitor
JP2004532065A (en)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and well being with improved heat flow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RU2010148770A (en) INTERACTIVE BOTTLE FOR CHILD FEEDING
Schiboni et al. Automatic dietary monitoring using wearable accessories
WO2014161028A1 (en) Nutrition-pedometer
US20170042468A1 (en) Wearable measurement device
Fontana et al.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ood intake by wearable sensors
KR102304744B1 (en) Wearalbe terminal and display device wireless communicating with the same
JP6584096B2 (en) Meal support device and meal support system
ES2238385T3 (en) APPLIANCE ASSISTANCE DEVICE.
KR101851716B1 (en) Wearable diet apparatus
JP6761702B2 (en) Dietary habits manag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