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667B1 -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667B1
KR101851667B1 KR1020170143388A KR20170143388A KR101851667B1 KR 101851667 B1 KR101851667 B1 KR 101851667B1 KR 1020170143388 A KR1020170143388 A KR 1020170143388A KR 20170143388 A KR20170143388 A KR 20170143388A KR 101851667 B1 KR101851667 B1 KR 10185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lay
frame
pane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복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넥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넥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넥스트
Priority to KR102017014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1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ke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제1 면적의 제1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1 후면을 가지는 제1 모듈; 개방된 제1 면적의 제2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2 후면을 가지는 제2 모듈; 및 개방된 제1 면적의 제3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3 후면을 가지는 제3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적은 상기 제2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모듈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는 각각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의 좌우 양측 중 일측 가장자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및 제3 모듈은 위치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설치 소요 공간과 면적에 대응하여 가변되어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놀이와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VARIABLE MODULE TYPE MULTIPLE PLAYING STRUCTURE ASSEMBLY}
본 발명은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소요 공간과 면적에 대응하여 가변되어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놀이와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놀이기구는 구조나 구성이 단조로워 주요 이용층인 미취학 또는 취학 아동들이 쉽사리 싫증을 느낄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622886호의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복수의 구조체들을 지지하는 지주와 구조체들을 서로 왕래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이동수단들이 서로 체결수단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연령대가 낮은 미취학 아동들의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호기심이 많고 다양한 종류의 놀이나 스포츠를 즐기고자 하는 취학 아동이나 청소년들에게는 쉽게 싫증을 느낄만한 단순한 구조라는 점이 한계이다.
특히, 선행기술은 복수의 구조체들을 지주와 이동수단들에 의하여 체결수단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부피와 크기 및 공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대되므로, 인구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나 아파트 단지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는 무작정 그 크기와 부피를 늘려 설치할 수는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6228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설치 소요 공간과 면적에 대응하여 가변되어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놀이와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방된 제1 면적의 제1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1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 후면측을 향하여 휴게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후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1 놀이 패널로 형성된 제1 모듈; 개방된 제1 면적의 제2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2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전면에는 상기 제1 놀이 패널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2 놀이 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후면은 상기 제1 놀이 패널 및 상기 제2 놀이 패널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3 놀이 패널로 형성된 제2 모듈; 및 개방된 제1 면적의 제3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3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제3 전면에는 상기 제1 놀이 패널 및 상기 제3 놀이 패널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4 놀이 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후면은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5 놀이 패널로 형성된 제3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적은 상기 제2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모듈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는 각각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의 좌우 양측 중 일측 가장자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및 제3 모듈은 위치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1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1 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1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제1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1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1 후방 프레임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 중 상기 제1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1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제1 방향성 캐스터와, 개방된 상기 제1 전면과 상기 제1 모듈의 바닥면 및 밀폐된 상기 제1 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덮는 제1 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전면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가지며 바닥면에 지면과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상기 제1 방향성 캐스터가 복수로 배치된 관람석과, 상기 제1 놀이 패널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높낮이 조절 가능한 백보드 패널과, 자유투 연습이 가능하도록 상기 백보드 패널에 구비된 바스켓 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2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2 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2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제2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2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후방 프레임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 중 상기 제2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2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프레임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제2 방향성 캐스터와, 개방된 상기 제2 전면과 상기 제2 모듈의 바닥면 및 밀폐된 상기 제2 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덮는 제2 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전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폐하는 상기 제2 놀이 패널의 전면 전체에 돌출되어 불규칙하게 배열된 복수의 디딤 돌편과,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된 상기 제2 놀이 패널의 하단부 중앙에 일정 면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제1 게이트와, 상기 제1 게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1 게이트 프레임과, 상기 제1 게이트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2 후면측을 향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제1 후방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골 포스트 프레임과, 상기 제1 골 포스트 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제1 게이트를 통하여 날아들어온 공의 속도를 급감시켜 포집하는 제1 골 네트와, 상기 제3 놀이 패널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회동하여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복수의 지지 다리를 구비한 놀이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제3 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3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3 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3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제3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3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3 후방 프레임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복수의 제3 연결 프레임 중 상기 제3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3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 프레임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제3 방향성 캐스터와, 개방된 상기 제3 전면과 상기 제3 모듈의 바닥면 및 밀폐된 상기 제3 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덮는 제3 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제3 전면으로부터 투입되어 상기 제3 후면측을 향하여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제4 놀이 패널에 서로 다른 크기와 면적으로 관통되어 불규칙하게 배치된 복수의 슈팅 슬롯과, 상기 제4 놀이 패널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제2 전면 하부측 중앙에 형성된 제1 게이트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제2 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 게이트를 형성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게이트 프레임과, 상기 제2 게이트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3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3 후면측을 향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제2 후방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골 포스트 프레임과, 상기 제2 골 포스트 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제2 게이트를 통하여 상기 제2 골 포스트 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날아들어온 공의 속도를 급감시켜 포집하는 제2 골 네트와, 상기 제5 놀이 패널의 중앙 하부측에 일정 크기와 면적을 가지고 함몰되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피칭 트레이닝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서로 절첩되어 모인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 각각의 바닥면 전부가 올려질 수 있으면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놀이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플로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 상기 제2 모듈과 상기 제3 모듈 사이, 또는 상기 제3 모듈과 상기 제1 모듈 사이를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과,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과, 상기 제3 모듈 및 상기 제1 모듈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로어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가해지는 충격 또는 하중에 따른 압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로부터 생산된 상기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와, 상기 회동 연결구와 연결되는 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구동축을 정, 역회전시키는 서보 모터와,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개방된 제1 면적의 제1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1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 후면측을 향하여 휴게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후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1 놀이 패널로 형성된 제1 모듈; 개방된 제1 면적의 제2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2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전면에는 상기 제1 놀이 패널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2 놀이 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후면은 상기 제1 놀이 패널 및 상기 제2 놀이 패널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3 놀이 패널로 형성된 제2 모듈; 및 개방된 제1 면적의 제3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3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제3 전면에는 상기 제1 놀이 패널 및 상기 제3 놀이 패널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4 놀이 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후면은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5 놀이 패널로 형성된 제3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적은 상기 제2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모듈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는 각각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의 좌우 양측 중 일측 가장자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및 제3 모듈은 위치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설치 소요 공간과 면적에 대응하여 배치 위치를 서로 변경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놀이와 경기를 즐길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 비하여 주된 사용자인 미취학 또는 취학 아동들이 쉽사리 싫증을 느끼지 않고 지속적으로 재미와 놀이 의욕을 유지하며 즐길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절첩되어 모인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 각각의 바닥면 전부가 올려질 수 있으면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놀이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플로어 패널을 더 구비함으로써, 설치 공간과 면적에 따른 각 모듈별 설치 위치를 시공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인지하여 작업하는데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 상기 제2 모듈과 상기 제3 모듈 사이, 또는 상기 제3 모듈과 상기 제1 모듈 사이를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과,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과, 상기 제3 모듈 및 상기 제1 모듈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 연결구를 더 구비함으로써, 각 모듈별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로어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가해지는 충격 또는 하중에 따른 압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로부터 생산된 상기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와, 상기 회동 연결구와 연결되는 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구동축을 정, 역회전시키는 서보 모터와,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조명기구를 더 구비함으로써, 즐겁게 놀이와 경기를 즐기는 사용자들에 의하여 플로어 패널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 및 압력까지 에너지 생산에 사용토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를 형성하며, 상기 복합 스포츠 구조체는 복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복합 스포츠 구조체 하나로도 충분히 복합 놀이 기구로서의 기능을 훌륭히 수행해낼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들에 의하여 대규모 위락 시설에서 더욱 많은 사용자들의 놀이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3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를 플로어 패널 부근에 설치한 시공예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를 플로어 패널 부근에 설치한 시공예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를 배치하고 실제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2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3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를 플로어 패널 부근에 설치한 시공예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를 플로어 패널 부근에 설치한 시공예를 나타낸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를 배치하고 실제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9 내지 도 14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우선,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모듈(100, 200, 3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모듈(100)은 개방된 제1 면적의 제1 전면(101)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1 후면(102)을 가지며, 제1 전면(101)으로부터 제1 후면(102)측을 향하여 후술할 관람석(110)이 들어설 휴게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제1 모듈(100)의 제1 후면(102)은 농구나 제자리 점프 내기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1 놀이 패널(102)로 형성된 것이다.
제2 모듈(200)은 개방된 제1 면적의 제2 전면(201)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2 후면(202)을 가지며, 제2 전면(201)에는 제1 놀이 패널(102)에서의 놀이와 다른, 예를 들어 암벽타기 놀이나 축구 등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2 놀이 패널(210)이 형성된 것이다.
제2 모듈(200)의 제2 후면(202)은 제1 놀이 패널(102) 및 제2 놀이 패널(210)에서의 놀이와 다른, 예를 들어 탁구나 테니스나 스쿼시 또는 벽에 공을 던져 튕겨받기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3 놀이 패널(202)로 형성된 것이다.
제3 모듈(300)은 개방된 제1 면적의 제3 전면(301)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3 후면(302)을 가지며, 제3 전면(301)에는 제1 놀이 패널(102) 및 제3 놀이 패널(202)에서의 놀이와 다른, 예를 들어 프리킥 연습이나 축구 등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4 놀이 패널(310)이 형성된 것이다.
제3 모듈(300)의 제3 후면(302)은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200)에서의 놀이와 다른, 예를 들어 야구나 피칭 연습 등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5 놀이 패널(302)로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제1 면적은 제2 면적보다 크고, 제1 모듈(10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는 각각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의 좌우 양측 중 일측 가장자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은 위치 변경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모듈(100)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전면(101)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1 전방 프레임(121)과, 제1 후면(102)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1 후방 프레임(122)과, 제1 전방 프레임(121)과 제1 후방 프레임(122) 각각의 좌우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123)을 더 포함하여 외곽 골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듈(100)은, 제1 후방 프레임(122)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123) 중 제1 전방 프레임(121)과 제1 후방 프레임(122) 각각의 좌우 양측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프레임(123)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제1 방향성 캐스터(130)를 더 구비하여, 위치 이동 및 설치 위치의 변경 등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듈(100)은, 개방된 제1 전면(101)과 제1 모듈(100)의 바닥면 및 밀폐된 제1 후면(102)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덮는 제1 망체(140)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들이 외부 충격, 예를 들면 공이나 놀이기구 등의 투척이나 낙하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모듈(100)은, 제1 전면(101)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111)를 가지며 바닥면에 지면과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제1 방향성 캐스터(130)가 복수로 배치된 관람석(110)을 더 구비함으로써, 경기를 관전하거나, 사용자가 놀이나 경기 도중 지치거나 다쳤을때 쉴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모듈(100)은, 제1 놀이 패널(102)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높낮이 조절 가능한 백보드 패널(150)과, 자유투 연습이 가능하도록 백보드 패널(150)에 구비된 바스켓 림(151)을 더 구비함으로써, 농구 경기를 즐기거나 자유투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제1 놀이 패널(102)에서는 놀이하는 사용자들의 연령대와 신장에 맞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백보드 패널(15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렇게 높낮이 조절된 백보드 패널(150)에 구비된 바스켓 림(151)을 향하여 농구공을 이용하여 자유투 연습을 하거나, 농구 경기를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놀이 패널(102)의 일측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눈금 바(160)와, 복수의 눈금 바(160) 부근에 상하 방향을 따라 임의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손바닥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목표 점핑 마크(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눈금 바(160)와 복수의 목표 점핑 마크(170)들은 사용자들이 누가 더 높이 뛰어올라 터치할 수 있나 내기하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제2 모듈(200)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전면(201)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2 전방 프레임(221)과, 제2 후면(202)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2 후방 프레임(222)과, 제2 전방 프레임(221)과 제2 후방 프레임(222) 각각의 좌우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223)을 더 포함하여 외곽 골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듈(200)은, 제2 후방 프레임(222)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223) 중 제2 전방 프레임(221)과 제2 후방 프레임(222) 각각의 좌우 양측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프레임(223)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제2 방향성 캐스터(230)를 더 구비하여, 위치 이동 및 설치 위치의 변경 등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듈(200)은, 개방된 제2 전면(201)과 제2 모듈(200)의 바닥면 및 밀폐된 제2 후면(202)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덮는 제2 망체(240)사용자들이 외부 충격, 예를 들면 공이나 놀이기구 등의 투척이나 낙하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모듈(200)은, 제2 전면(201)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폐하는 제2 놀이 패널(210)의 전면 전체에 돌출되어 불규칙하게 배열된 복수의 디딤 돌편(2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모듈(200)은,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된 제2 놀이 패널(210)의 하단부 중앙에 일정 면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제1 게이트(260)와, 제1 골 포스트 프레임(270) 및 제1 골 네트(273)를 더 구비하여 발로 공을 차는 축구 등과 같은 놀이나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제1 골 포스트 프레임(270)은 제1 게이트(26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1 게이트 프레임(271)과, 제1 게이트 프레임(27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전면(201)으로부터 제2 후면(202)측을 향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제1 후방 지지 프레임(272)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골 네트(273)는 섬유 소재로 이루어져 제1 골 포스트 프레임(270)의 외부를 감싸며 제1 게이트(260)를 통하여 날아들어온 공의 속도를 급감시켜 포집하는 것이다.
놀이 테이블(280)은 제3 놀이 패널(202)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회동하여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복수의 지지 다리(281)를 구비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탁구 등과 같은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제2 놀이 패널(210)에서는 사용자들이 복수의 디딤 돌편(250)을 손으로 잡거나 발로 디디며 기어오르는 벽 등반 놀이를 즐길 수 있을 것이며, 이와 함께 제1 게이트(260)로 공을 발로 차넣는 페널티킥 또는 프리킥 연습을 하거나 축구 경기를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3 놀이 패널(202)에서는 놀이 테이블(280)을 접어서 수납한 상태에서는 공을 던져서 튀겨 받는 벽치기 공놀이라든가 테니스 또는 스쿼시 경기를 즐길 수 있음은 물론, 놀이 테이블(280)을 제3 놀이 패널(202)에 함몰 형성된 테이블 수납홈(282)으로부터 펼쳐서 설치한 경우에는 탁구 경기를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3 모듈(300)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3 전면(301)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3 전방 프레임(321)과, 제3 후면(302)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3 후방 프레임(322)과, 제3 전방 프레임(321)과 제3 후방 프레임(322) 각각의 좌우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연결 프레임(323)을 더 포함하여 외곽 골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3 모듈(300)은, 제3 후방 프레임(322)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복수의 제3 연결 프레임(323) 중 제3 전방 프레임(321)과 제3 후방 프레임(322) 각각의 좌우 양측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 프레임(323)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제3 방향성 캐스터(330)를 더 구비하여, 위치 이동 및 설치 위치의 변경 등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모듈(300)은, 개방된 제3 전면(301)과 제3 모듈(300)의 바닥면 및 밀폐된 제3 후면(302)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덮는 제3 망체(340)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들이 외부 충격, 예를 들면 공이나 놀이기구 등의 투척이나 낙하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3 모듈(300)은, 제3 전면(301)으로부터 투입되어 제3 후면(302)측을 향하여 내측에 배치된 제4 놀이 패널(310)에 서로 다른 크기와 면적으로 관통되어 불규칙하게 배치된 복수의 슈팅 슬롯(350)을 더 구비함으로써, 프리킥 연습이나 슛 정확도를 높이는 연습이나 놀이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3 모듈(300)은, 제4 놀이 패널(31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제2 모듈(200)의 제2 전면(201) 하부측 중앙에 형성된 제1 게이트(260)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제2 게이트(360)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2 골 포스트 프레임(37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골 포스트 프레임(370)은, 제2 게이트(360)를 형성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게이트 프레임(371)과, 제2 게이트 프레임(37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3 전면(301)으로부터 제3 후면(302)측을 향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제2 후방 지지 프레임(372)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모듈(300)은, 제2 골 포스트 프레임(370)의 외부를 감싸며 제2 게이트(360)를 통하여 제2 골 포스트 프레임(370)의 내부 공간으로 날아들어온 공의 속도를 급감시켜 포집하는 제2 골 네트(373)를 더 구비하여 전술한 제2 골 포스트 프레임(370)과 함께 발로 공을 차는 축구 등과 같은 놀이나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3 모듈(300)은, 제5 놀이 패널(302)의 중앙 하부측에 일정 크기와 면적을 가지고 함몰되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피칭 트레이닝 홈(380)을 더 포함함으로써, 야구나 피칭 연습 및 스트라이크 존 내부로 공을 던지는 연습 또는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다.
제3 전면(301)에서는 사용자들이 전술한 제1 게이트(260)와 함께 제2 게이트(360)를 구비하여, 제1 게이트(260)와 마찬가지로 제2 게이트(360)로 공을 발로 차넣는 페널티킥 또는 프리킥 연습을 하거나, 양팀으로 편가르기를 한 상태에서 제1 게이트(260) 또는 제2 게이트(360)에 공을 차넣는 축구 경기를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들이 제2 게이트(360)를 이용하여 프리킥 연습을 할 수도 있지만, 제4 놀이 패널(310)에 구비된 복수의 슈팅 슬롯(350)들은 사용자가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된 슈팅 슬롯(350)에 공을 차넣음으로써 프리킥 연습을 좀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게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5 놀이 패널(302)에서는 피칭 트레이닝 홈(380)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들이 해당 피칭 트레이닝 홈(380)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영역을 스트라이크 존으로 가정하고 해당 피칭 트레이닝 홈(380)을 향하여 공을 던짐으로써 피칭 정확도를 높이는 피칭 연습을 좀더 재미있게 즐기거나, 야구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서로 절첩되어 모인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 각각의 바닥면 전부가 올려질 수 있으면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놀이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플로어 패널(4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각 모듈(100, 200, 300) 상호 간의 회동을 허용하고 설치 위치의 변경 및 수납 보관 등의 편의 제공을 위하여 회동 연결구(5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회동 연결구(500)는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200) 사이, 제2 모듈(200)과 제3 모듈(300) 사이, 또는 제3 모듈(300)과 제1 모듈(100) 사이를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200)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과,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과, 제3 모듈(300) 및 제1 모듈(100)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을 허용할 수 있다.
회동 연결구(500)는 기어끼리의 맞물림 결합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풀리와 벨트의 체결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스프라켓과 체인의 체결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다양한 응용 및 변형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과 야간이나 흐려서 태양광이 약한 날에도 놀이와 경기를 즐기는데 지장이 없도록 전기 에너지를 생산해낼 수 있는 다음 과 같은 부가 구성에 따른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우선, 플로어 패널(400)에는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410)가 내장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플로어 패널(400)의 상면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가해지는 충격 또는 하중에 따른 압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동작의 수행이 가느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플로어 패널(400)의 일측에는 축전지(600)를 구비하여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410)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서보 모터(700)는 회동 연결구(500)와 연결되는 구동축(710)을 구비하며, 축전지(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축(710)을 정, 역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각 모듈(100, 200, 300)간의 상대 회동을 전기 에너지에 따른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에는 조명기구(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축전지(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도 지장없이 놀이와 경기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모듈(100, 200, 300)을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육각 형상인 플로어 패널(400)의 상면 또는 가장자리 외측에 붙여서 배치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많은 사용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놀이와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모듈(100, 200, 300)을 도 13 및 도 14와 같이 길쭉하게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심 하천이나 하안 또는 호안의 도로 주변과 같이 좁고 긴 대지에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많은 사용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놀이와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를 형성하되, 전술한 복합 스포츠 구조체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개방된 제1 면적의 제1 전면(101)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1 후면(102)을 가지며, 제1 전면(101)으로부터 제1 후면(102)측을 향하여 휴게 공간이 형성되고, 제1 후면(1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1 놀이 패널(102)로 형성된 제1 모듈(100); 개방된 제1 면적의 제2 전면(201)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2 후면(202)을 가지며, 제2 전면(201)에는 제1 놀이 패널(102)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2 놀이 패널(210)이 형성되고, 제2 후면(202)은 제1 놀이 패널(102) 및 제2 놀이 패널(210)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3 놀이 패널(202)로 형성된 제2 모듈(200); 및 개방된 제1 면적의 제3 전면(301)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3 후면(302)을 가지며, 제3 전면(301)에는 제1 놀이 패널(102) 및 제3 놀이 패널(202)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4 놀이 패널(310)이 형성되고, 제3 후면(302)은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200)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5 놀이 패널(302)로 형성된 제3 모듈(300)을 포함하며, 제1 면적은 제2 면적보다 크고, 제1 모듈(10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는 각각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의 좌우 양측 중 일측 가장자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은 위치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설치 소요 공간과 면적에 대응하여 배치 위치를 서로 변경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놀이와 경기를 즐길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 비하여 주된 사용자인 미취학 또는 취학 아동들이 쉽사리 싫증을 느끼지 않고 지속적으로 재미와 놀이 의욕을 유지하며 즐길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절첩되어 모인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 각각의 바닥면 전부가 올려질 수 있으면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놀이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플로어 패널(400)을 더 구비함으로써, 설치 공간과 면적에 따른 각 모듈별 설치 위치를 시공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인지하여 작업하는데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200) 사이, 제2 모듈(200)과 제3 모듈(300) 사이, 또는 제3 모듈(300)과 제1 모듈(100) 사이를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200)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과,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과, 제3 모듈(300) 및 제1 모듈(100)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 연결구(500)를 더 구비함으로써, 각 모듈별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플로어 패널(400)에 구비되어 플로어 패널(400)의 상면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가해지는 충격 또는 하중에 따른 압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410)와, 플로어 패널(4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410)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600)와, 회동 연결구(500)와 연결되는 구동축(710)을 구비하며, 축전지(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축(710)을 정, 역회전시키는 서보 모터(700)와,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에 구비되어 축전지(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조명기구를 더 구비함으로써, 즐겁게 놀이와 경기를 즐기는 사용자들에 의하여 플로어 패널(400)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 및 압력까지 에너지 생산에 사용토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200) 및 제3 모듈(300)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를 형성하며, 전술한 복합 스포츠 구조체는 복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복합 스포츠 구조체 하나로도 충분히 복합 놀이 기구로서의 기능을 훌륭히 수행해낼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들에 의하여 대규모 위락 시설에서 더욱 많은 사용자들의 놀이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설치 소요 공간과 면적에 대응하여 가변되어 한정된 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놀이와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모듈
101...제1 전면
102...제1 후면(제1 놀이 패널)
110...관람석
111...단차부
121...제1 전방 프레임
122...제1 후방 프레임
123...제1 연결 프레임
130...제1 방향성 캐스터
140...제1 망체
150...백보드 패널
151...바스켓 림
160...눈금 바
170...목표 점핑 마크
200...제2 모듈
201...제2 전면
202...제2 후면(제3 놀이 패널)
210...제2 놀이 패널
221...제2 전방 프레임
222...제2 후방 프레임
223...제2 연결 프레임
230...제2 방향성 캐스터
240...제2 망체
250...디딤 돌편
260...제1 게이트
270...제1 골 포스트 프레임
271...제1 게이트 프레임
272...제1 후방 지지 프레임
273...제1 골 네트
280...놀이 테이블
281...지지 다리
282...테이블 수납홈
300...제3 모듈
301...제3 전면
302...제3 후면(제5 놀이 패널)
310...제4 놀이 패널
321...제3 전방 프레임
322...제3 후방 프레임
323...제3 연결 프레임
330...제3 방향성 캐스터
340...제3 망체
350...슈팅 슬롯
360...제2 게이트
370...제2 골 포스트 프레임
371...제2 게이트 프레임
372...제2 후방 지지 프레임
373...제2 골 네트
380...피칭 트레이닝 홈
400...플로어 패널
410...압전 발전 소자
500...회동 연결구
600...축전지
700...서보 모터
710...구동축

Claims (10)

  1. 개방된 제1 면적의 제1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1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 후면측을 향하여 휴게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후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1 놀이 패널로 형성된 제1 모듈;
    개방된 제1 면적의 제2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2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전면에는 상기 제1 놀이 패널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2 놀이 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후면은 상기 제1 놀이 패널 및 상기 제2 놀이 패널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3 놀이 패널로 형성된 제2 모듈; 및
    개방된 제1 면적의 제3 전면과, 밀폐된 제2 면적의 제3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제3 전면에는 상기 제1 놀이 패널 및 상기 제3 놀이 패널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4 놀이 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후면은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에서의 놀이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놀이가 가능한 제5 놀이 패널로 형성된 제3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1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1 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1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제1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1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1 후방 프레임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 중 상기 제1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1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제1 방향성 캐스터와,
    개방된 상기 제1 전면과 상기 제1 모듈의 바닥면 및 밀폐된 상기 제1 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덮는 제1 망체와,
    상기 제1 전면으로부터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가지며 바닥면에 지면과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상기 제1 방향성 캐스터가 복수로 배치된 관람석과,
    상기 제1 놀이 패널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높낮이 조절 가능한 백보드 패널과,
    자유투 연습이 가능하도록 상기 백보드 패널에 구비된 바스켓 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적은 상기 제2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모듈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는 각각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의 좌우 양측 중 일측 가장자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및 제3 모듈은 위치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2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2 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2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제2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2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2 후방 프레임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 중 상기 제2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2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프레임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제2 방향성 캐스터와,
    개방된 상기 제2 전면과 상기 제2 모듈의 바닥면 및 밀폐된 상기 제2 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덮는 제2 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전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폐하는 상기 제2 놀이 패널의 전면 전체에 돌출되어 불규칙하게 배열된 복수의 디딤 돌편과,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된 상기 제2 놀이 패널의 하단부 중앙에 일정 면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제1 게이트와,
    상기 제1 게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1 게이트 프레임과, 상기 제1 게이트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2 후면측을 향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제1 후방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골 포스트 프레임과,
    상기 제1 골 포스트 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제1 게이트를 통하여 날아들어온 공의 속도를 급감시켜 포집하는 제1 골 네트와,
    상기 제3 놀이 패널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회동하여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며, 복수의 지지 다리를 구비한 놀이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제3 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3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3 후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3 후방 프레임과,
    상기 제3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3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연결 프레임과,
    상기 제3 후방 프레임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복수의 제3 연결 프레임 중 상기 제3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제3 후방 프레임 각각의 좌우 양측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 프레임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 가능하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제3 방향성 캐스터와,
    개방된 상기 제3 전면과 상기 제3 모듈의 바닥면 및 밀폐된 상기 제3 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덮는 제3 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듈은,
    상기 제3 전면으로부터 투입되어 상기 제3 후면측을 향하여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제4 놀이 패널에 서로 다른 크기와 면적으로 관통되어 불규칙하게 배치된 복수의 슈팅 슬롯과,
    상기 제4 놀이 패널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모듈의 상기 제2 전면 하부측 중앙에 형성된 제1 게이트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제2 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 게이트를 형성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게이트 프레임과, 상기 제2 게이트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3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3 후면측을 향하여 내측에 형성되는 제2 후방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골 포스트 프레임과,
    상기 제2 골 포스트 프레임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제2 게이트를 통하여 상기 제2 골 포스트 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날아들어온 공의 속도를 급감시켜 포집하는 제2 골 네트와,
    상기 제5 놀이 패널의 중앙 하부측에 일정 크기와 면적을 가지고 함몰되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피칭 트레이닝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절첩되어 모인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 각각의 바닥면 전부가 올려질 수 있으면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놀이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플로어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사이, 상기 제2 모듈과 상기 제3 모듈 사이, 또는 상기 제3 모듈과 상기 제1 모듈 사이를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과,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과, 상기 제3 모듈 및 상기 제1 모듈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플로어 패널의 상면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하여 가해지는 충격 또는 하중에 따른 압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와,
    상기 플로어 패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압전 발전 소자로부터 생산된 상기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와,
    상기 회동 연결구와 연결되는 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구동축을 정, 역회전시키는 서보 모터와,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 및 상기 제3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KR1020170143388A 2017-10-31 2017-10-31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KR10185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88A KR101851667B1 (ko) 2017-10-31 2017-10-31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88A KR101851667B1 (ko) 2017-10-31 2017-10-31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93A Division KR101882810B1 (ko) 2018-03-16 2018-03-16 암벽등반과 필드 볼 및 테이블 볼 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KR1020180030802A Division KR101882816B1 (ko) 2018-03-16 2018-03-16 필드 볼 및 피칭 볼 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KR1020180030795A Division KR101882812B1 (ko) 2018-03-16 2018-03-16 자가 발전 기능을 구비한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667B1 true KR101851667B1 (ko) 2018-04-25

Family

ID=6208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388A KR101851667B1 (ko) 2017-10-31 2017-10-31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6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588Y1 (ko) * 1998-07-10 2001-05-02 이창호 복합체육기구
KR200255935Y1 (ko) * 2001-08-22 2001-12-13 이종선 패널티 킥 게임기
JP2002253722A (ja) * 2001-02-23 2002-09-10 W Yoon Young モジュール式スポーツ用ネットアセンブリ、スポーツ用ネットおよびフレームの組み合わせ及び管状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588Y1 (ko) * 1998-07-10 2001-05-02 이창호 복합체육기구
JP2002253722A (ja) * 2001-02-23 2002-09-10 W Yoon Young モジュール式スポーツ用ネットアセンブリ、スポーツ用ネットおよびフレームの組み合わせ及び管状フレーム
KR200255935Y1 (ko) * 2001-08-22 2001-12-13 이종선 패널티 킥 게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375B1 (en) Amusement ball receiving and return
US20040214666A1 (en) Game and practice goal and playing field
US20070216101A1 (en) Game Table Assembly And Method Utilizing
KR101851667B1 (ko)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CN201524396U (zh) 与蹦床结合的体育运动场
KR101882812B1 (ko) 자가 발전 기능을 구비한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CN110944725A (zh) 用于进球得分类体育运动和隔网对抗类体育运动的练习的多重运动空间
KR101434644B1 (ko) 타격미트를 구비하는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KR101882810B1 (ko) 암벽등반과 필드 볼 및 테이블 볼 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KR101882816B1 (ko) 필드 볼 및 피칭 볼 플레이 기능이 구비된 가변 모듈 타입의 복합 스포츠 구조체 어셈블리
KR101390503B1 (ko) 다목적 키 성장 농구대
US4203594A (en) Soccer court
US20150157910A1 (en) Table Game with Surface and Air Components
WO2005074567A3 (en) High-scoring game played on a playing field or court by opposing teams
US20060100025A1 (en) Perimeter marking system of play areas with variable layout
US20110037222A1 (en) Game table
CN210904898U (zh) 接球器
CN201154193Y (zh) 具多元化玩乐方式的投篮练习装置
KR102565589B1 (ko) 유희용 필러형 골대 및 용도
CN201263880Y (zh) 游乐场、用于构造游乐场的设施和游乐设施
RU28014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игры с мячом в положении сидя (варианты)
US20050113191A1 (en) Sports game with movable figures
CN209934043U (zh) 足球玩具
CN201978456U (zh) 一种盒式投篮玩具
CN201978455U (zh) 一种桌上型跳珠游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