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619B1 - Pillow-top Mattress Assembly - Google Patents

Pillow-top Mattress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619B1
KR101851619B1 KR1020170119496A KR20170119496A KR101851619B1 KR 101851619 B1 KR101851619 B1 KR 101851619B1 KR 1020170119496 A KR1020170119496 A KR 1020170119496A KR 20170119496 A KR20170119496 A KR 20170119496A KR 101851619 B1 KR101851619 B1 KR 101851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ttress
guide
taper
pillow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근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Priority to KR1020170119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6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3Drying gases or vapour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8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dry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comprises: a mattress comprising an interior material having an elastic material and a mattress cover covering the interior material; a pillow top which comprises a topper cushion having an elastic material and providing a cushion feeling and a topper cover covering the topper cushion and which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ttress; and a sewing line formed by sewing the mattress cover and the topper cover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Pillow-top Mattress Assembly}Pillow-top Mattress Assembly < RTI ID = 0.0 >

본 발명은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리스와, 매트리스 상부에 추가로 구비되는 필로우탑을 포함하는 어셈블리에서 필로우탑에 내장되는 쿠션체의 관리나 교체가 용이한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that is easy to manage and replace a cushion body built in a pillow top in an assembly including a mattress and a pillow tower, .

필로우탑 매트리스는 공지의 매트리스에 별도의 쿠션수단을 더 적층하여 편안함 및 안락함을 배가한 매트리스의 한 종류로서, 이 필로우탑 매트리스는 공지 매트리스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쿠션부재를 더 적층하고 높이를 증대하게 된다.The pillow top mattress is a type of mattress which is further lined with a known cushion means so as to increase comfort and comfort. The pillow top mattress is formed by laminating a cushion member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known mattress And the height increases.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2007-0105143호에 "필로우탑 매트리스"가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No. 10-2007-0105143 discloses a "pillow top mattress" as a prior art.

종래 특허에 따른 필로우탑 매트리스는 스프링조립체의 상/하부면 및 둘레면에 구비된 견면 및 에지포머를 포함한 내장부품을 상면 또는 하면 커버와 측면커버로 봉합한 매트리스부와; 상기 매트리스부(110)의 측면커버에 봉합부재(12)를 통해 봉합되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진 하부날개부(10); 상기 하부날개부(10)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하부날개부(10)의 테두리부로부터 안쪽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재봉되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진 상부날개부(20); 상기 매트리스부(1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 탑재되어 커버를 이루며 상기 매트리스부(110)의 측면커버에 봉합부재(12)를 통해 재봉되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진 하부날개부(10); 상기 상부날개부(20)에 탑재되면서 상기 매트리스부(110)와 함께 쿠션력 및 완충력을 제공하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쿠션부재(30) 및; 상기 상부날개부(20)의 테두리부분에 봉합부재를 통해 재봉되어 상기 쿠션부재(30)를 포함한 각종 내장부품을 감싸는 커버부재(40); 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pillow top mattr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mattress portion having a built-in part including an upper surface / lower surface and a circumferential surfac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ring assembly and including an edge former sealed with an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cover and a side cover; A lower wing portion 10 made of a single member which is sealed to the side cover of the mattress portion 110 through the sealing member 12; An upper wing portion 20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wing portion 10 and made of a single member sew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wardly from a rim portion of the lower wing portion 10; A lower wing 10 mounted on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ttress portion 110 to form a cover and being sewn to the side cover of the mattress portion 110 through a sealing member 12; One or more cushioning members (30) mounted on the upper wing portion (20) to provide a cushioning force and a buffering force together with the mattress portion (110); A cover member (40) sewn through a sewing member at a rim portion of the upper wing portion (20) to enclose various internal components including the cushion member (30); Lt; / RTI >

그러나 종래와 같이 필로우탑 매트리스는 매트리스 일면에 필로우탑을 단일품으로 구성하여 단순히 쿠션력을 제공하는데만 특징이 있다.However, as in the prior art, the pillow top mattre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low top is formed as a single piece on one side of the mattress to provide a simple cushioning force.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 10-2007-0113633호 “침대 매트리스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제조방법”에 따르면, 메인 매트리스와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적층 구성하기 위한 침대 매트리스 커버에 있어서, 각각의 메인 매트리스 커버와 필로우탑 매트리스 커버를 상부커버와 정면커버와 하부커버, 또는 상부커버와 정면커버와 하부커버와 배면커버가 일체로 된 한 장(one sheet)으로 구성하여, 메인 매트리스 커버와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정면쪽에 봉합라인을 없애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대 매트리스의 외관미를 보다 미려하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이물감을 감소시켜 보다 안락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According to Korean Patent No. 10-2007-0113633 " Bed mattress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ed mattress using the same " as another prior art, a bed mattress cover for laminating a main mattress and a pillow top mattress, And the pillow top mattress cover are constituted by one sheet in which the upper cover, the front cover and the lower cover, or the upper cover, the front cover, the lower cover and the rear cover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mattress cover and the pillow top mattr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 mattress cover which can make the appearance of a bed mattress more beautiful and reduce a foreign body feeling of a user to give a more comfortable feeling.

이러한 매트리스의 경우에도 단순 매트리스에 필로우탑을 부착만 하기 때문에 필로우탑의 쿠션감을 증대시키거나 교체를 진행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such a mattress, since the pillow top is attached only to the simple mattress,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that it is somewhat difficult to increase the cushion feeling of the pillow top or to proceed with the replacement.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트리스와 별개로 필로우탑을 추가로 제공하되, 필로우탑에 내장된 타퍼쿠션을 자유롭게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 gener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llow top that is separate from a mattress, and that can freely replace a built-in top pillow in a pillow to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퍼쿠션이 교체되는 부위를 쉽게 가려 미관을 해치지 않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perforation can be easily removed and a beauty pipe is not damag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로우탑이 매트리스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타퍼쿠션이 주저앉지 않도록 고정 및 지지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percussion device so that the pillowcases do not collapse even when the pillow top is fixed to the mattress.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타퍼쿠션에 텐션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쿠션감을 유지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figuration in which tension is continuously applied to a percussion to maintain a cushion feel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는, 신축성 재질로 구성된 내장재와, 상기 내장재를 감싸는 매트리스 커버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어 쿠션감을 제공하는 타퍼쿠션과, 상기 타퍼쿠션을 감싸는 타퍼커버를 포함하는 필로우탑; 상기 매트리스 커버와 상기 타퍼커버를 서로 일체가 되도록 재봉한 재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ttress including an innerwear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a mattress cover surrounding the innerwear; A pillow top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ttress, the pillow top comprising a perforated cover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providing a cushioning feeling, and a taper cover surrounding the percussion; And a seam line formed by sewing the mattress cover and the taper cover so as to be integral with each other.

나아가, 상기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는, 상기 매트리스 커버와 상기 타퍼커버가 서로 일체가 되도록 상기 매트리스 커버 중 상부에 위치한 면과, 상기 타퍼커버 중 하부에 위치한 면이 서로 재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attress cov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aper cover are sewn together so that the mattress cover and the taper cover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더하여, 상기 타퍼커버는, 내부에 상기 타퍼쿠션이 내장되는 쿠션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쿠션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측면을 따라 지퍼가 장착된 제 1 타퍼커버와, 상기 제 1 타퍼커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타퍼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aper cover may include a first taper cover having a zipper mounted along a side surface thereof to form a cushion space in which the taper cushion is embedded, And a second taper cover which i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to form an outer appearance.

또한, 상기 제 2 타퍼커버는, 상기 제 1 타퍼커버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커버와, 하면에 위치하는 하부커버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커버의 둘레는, 내측을 향해 둥글게 말아 고정한 봉합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taper cover may include an upper cove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aper cover and a lower cover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aper cover. The periphery of the lower cover may further include a suture portion .

본 발명에 따른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1) 매트리스와 별개로 필로우탑을 추가로 제공하되, 필로우탑에 내장된 타퍼쿠션을 자유롭게 교체 가능하도록 지퍼식 교체구성을 제공하고,1) Apart from the mattress, a pillow top is additionally provided, but a zippered replacement structure is provided to allow free replacement of the percussion built into the pillow top,

2) 타퍼쿠션이 교체되는 부위를 쉽게 가려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며,2) Provides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the perforation from hurting the aesthetic by easily touching the replacement part,

3) 필로우탑이 매트리스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타퍼쿠션이 주저앉지 않도록 모서리 부위를 활용하는 텐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3)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nsion structure that utilizes the edge portion so that the percussion can not settle even when the pillow top is fixed to the mattress,

4) 나아가 이 텐션 구성이 항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It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ension configuration can maintain the tension at all times.

도 1은 본 발명의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의 외관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필로우탑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필로우탑에 볼륨 가이드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볼륨 가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타퍼커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appearance of a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illow top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olume guide is applied to a pillow top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olume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aper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의 외관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is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appearance.

필로우탑 매트리스는 매트리스(100)와 필로우탑(200)으로 구성되되, 매트리스(100)의 경우 신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신축성 스프링을 연속 배치한 스프링 조립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일반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스프링 내장재(110)를 기본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메모리폼이나 라텍스와 같이 최근에 침구류에 활용되는 스프링 대용 내장재(110)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pillow top mattress is composed of a mattress 100 and a pillow top 200. In the case of the mattress 100, the pillow top mattress is composed of a spring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stretchable springs are continuously arranged so as to have elasticity.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interior material 110 is used as a base, and in some cases, a spring substitute material 110 used for bedding such as a memory foam or a latex may be used.

이러한 내장재(110)만 존재하는 경우. 사용 시 이물질이 묻거나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내장재(110)를 감싸는 매트리스 커버(120)를 더 구비한다. 이 매트리스 커버(120)는 바람직하게는 직물로 구성되되, 필요에 따라 코팅처리 등을 더 진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여기서 코팅은 방수처리나 방염, 방오 처리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f only such an interior material 110 exists. And further includes a mattress cover 120 that surrounds the interior material 110 because foreign materials can not be prevented from being absorbed or absorbed during use. The mattress cover 120 is preferably made of a fabric,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urther perform a coating treatment or the like if necessary. (Here, the coating is preferably a waterproof treatment, a flame retardant treatment, will be.)

나아가 필로우탑(200)(pillow top)은 매트리스(100)의 상부에 얹어 쿠션감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매트리스(100)가 신축성을 가지되, 쉽게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과도한 힘을 가하였을 때에만 신축이 진행되는 등 높은 강도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등이 배기지 않도록 더 나은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즉, 매트리스(100)의 내장재(110)는 신축성은 가지고 있되, 쉽게 내장재(110)가 변형되지는 않기를 원하는 경우 등에서 매트리스(100)의 보조역할로 활용되는 것으로서, 내장재(110)가 복합적인 기능을 모두 구비하기는 어려우므로, 매트리스(100)의 상부에 별도로 추가적인 신축성 부재를 얹어 쿠션감은 이 신축성 부재를 통해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 하겠다. 이러한 구성을 필로우탑(200)이라고 하며, 필로우탑(200) 역시도 내장재(110) 역할을 하는 타퍼(topper)쿠션과, 이 타퍼쿠션(210)을 덮는 타퍼커버(220)로 구성된다. 물론, 이 경우 타퍼쿠션(210)과 내장재(110)의 신축정도는 서로 다르도록(더욱 바람직하게는 타퍼쿠션(210)의 신축성이 내장재(110)의 신축성보다 커 훨씬 푹신한 감촉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Further, the pillow top 2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ttress 100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When the mattress 100 has elasticity and is not easily deformed, when the excessive force is exerted, When a high-strength spring is used, the user's back is not exhausted. That is, the inner material 110 of the mattress 100 is used as an auxiliary role of the mattress 100 when it is desired that the inner material 110 is not easily deformed, It is difficult to provide both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so that an additional elastic member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ttress 100 so that the cushion feeling can be felt through the elastic member. This configuration is called a pillow top 200. The pillow top 200 is also composed of a topper cushion serving as an interior material 110 and a taper cover 220 covering the topper cushion 210. [ Of course, in this case, the extensibility of the toppercup 210 and the interior material 1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more preferably, the elasticity of the percussion device 210 is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interior material 110, You will have to configure.

여기서 매트리스(100)와 필로우탑(200)은 벨크로 등으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이 필로우탑(200)은 이미 내장된 타퍼쿠션(210)의 교체가 가능한 구성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탈착이 불가능하되 대신 사용자가 뒤척임이 많아도 필로우탑(200)이 움직이지 않도록 매트리스 커버(120)와 타퍼커버(220)를 서로 일체가 되도록 재봉한 재봉선(300)을 더 형성한다. 이 때, 재봉선(300)은 두 가지 방법으로 형성이 가능한데, 하나는 타퍼커버(220)의 둘레를 매트리스 커버(120)의 둘레에 재봉하여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앞선 방법보다 외관상으로는 떨어지지만 보다 융통성 있는 활용에 적합한 것으로서, 둘레가 아닌 둘레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를 재봉하여 필로우탑(200)의 타퍼쿠션(210) 교체 시 사이즈가 딱 맞는 타퍼쿠션(210)을 넣을 필요가 없고, 필로우탑(200)이 매트리스(100)의 상부에서 어느정도 움직일 수 있어 보다 유동적인 활용에도 적합하다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Herein, the pillow top 200 and the pillow top 20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illow top 200. However, the pillow top 200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the built-in perforation 210 can be replaced A seam line 300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mattress cover 120 and the taper cover 220 are sewn together so that the pillow top 200 does not move even if the user is faced with a large amount of dislocation. do. At this time, the seam line 300 can be formed by two methods. One is that the periphery of the taper cover 220 may be sewn around the mattress cover 120 to form a clean appearance, The perforation 210 may be sewn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erimeter of the perimeter of the pillow top 200 by the perforation 210 And the pillow top 200 can be moved to some exten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ttress 100, which is advantageous for more flexible use.

이러한 재봉선(300)은 매트리스 커버(120)와 타퍼커버(220)가 서로 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며, 매트리스 커버(120) 중 상부에 위치한 면과, 타퍼커버(220) 중 하부에 위치한 면을 앞서 설명한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재봉하여 형성한 것을 의미한다.The seam line 300 is formed so that the mattress cover 120 and the taper cover 22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e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mattress cover 120 and the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taper cover 220, Means to be formed by sewing by any one of the two methods.

도 4는 본 발명의 필로우탑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illow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타퍼커버(220)는 내부에 상기 타퍼쿠션(210)이 내장되는 쿠션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쿠션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측면을 따라 지퍼(221)가 장착된 제 1 타퍼커버(230)와, 상기 제 1 타퍼커버(2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타퍼커버(24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즉, 타퍼커버(220)에서 지퍼(221)의 장착을 위해 이중구조를 형성한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이중구조는 타퍼커버(220)의 상면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운 상태로 타퍼커버(220)를 누르거나 혹은 한 쪽으로 힘이 과도하게 쏠렸을 때에도 약간의 여유분이 남아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지퍼(22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이라 하겠다.As shown in FIG. 4A, the taper cover 220 has a zipper 221 formed along a side surface thereof to form a cushion space in which the capper 210 is installed, And a second taper cover 240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taper cover 230 to form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taper cover 230. That is, 220 is formed with a double structure for mounting the zipper 221. Such a dual structure may have a slight margin even when the user tilts or tilts the taper cover 2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per cover 220 or the taper cover 220 is excessively tilted to one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이러한 구성에서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타퍼커버(240)를 더욱 활용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second taper cover 240 that forms the appearance can be further utilized.

제 2 타퍼커버(240)를 다시 제 1 타퍼커버(23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커버(241)와, 하면에 위치하는 하부커버(242)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때 도 4의 (b)와 같이 하부커버(242)의 둘레에는 내측을 향해 둥글게 말아 고정한 봉합부(243)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봉합부(243)는 하부커버(242)의 둘레의 미관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을뿐더러 동시에 이 봉합부(243)를 통해 하부커버(242)의 둘레에 계속해서 텐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즉, 이것은 천 등의 둘레를 접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위치별로 말린 정도를 조금이라도 다르게 한다면 이 말린 정도가 다른 위치로부터 일정 수준의 텐션이 계속해서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The second taper cover 240 can be further divided into an upper cover 241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taper cover 230 and a lower cover 242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It is possible to further form a sealing portion 243 which is rounded and fixed to the inside toward the periphery of the lower cover 242 as shown in FIG. The sealing portion 243 can beautifully decorate the aesthetics of the periphery of the lower cover 242 and at the same time can continuously tension the periphery of the lower cover 242 through the sealing portion 243. [ In other words,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folding the fabric around, but if the degree of drying is slightly different from place to place, a certain level of tension will continue to be applied from a different position.

이 상태에서 첫 번째 활용 구성으로서 도 4의 (c)와 같이, 하부커버(242)의 모서리 부위에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절개된 절개선(244)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절개선(244)을 통해 분리된 양 모서리 부위는 각각 일정길이 겹쳐지도록 접어 올려 접착제나 재봉을 통해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서리부위의 텐션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절개선(244)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절개선(244)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고정이 어렵지만 더 큰 텐션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활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4 (c) as the first utilization structure, a cut-away portion 244 cut out at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inside can be further form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242. The two edge port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olding section 244 can be fold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can be further fixed through an adhesive or sewing so that tension can be formed at the edge portion.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incisions 244 is not limited. As the number of incisions 244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fix the incisions 244, but a larger tension can be 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필로우탑에 볼륨 가이드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volume guide is applied to the pillow t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두 번째 활용 구성으로서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하부커버(242)의 모서리부위에서 봉합부(243)가 둥글게 말리면서 형성된 내부공간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는 메인로드(251)와, 이 메인로드(251)의 좌우로 각각 절곡 연장되는 아암(252)을 구비한 볼륨 가이드(250)를 더 포함시키는 것이다. 즉, 일종의 ‘ㄱ’형상의 볼륨 가이드(250)를 봉합부(243)에 내장시켜 기존의 봉합부(243)만으로 가해지던 텐션과 달리 이 볼륨 가이드(250)가 삽입된 모서리부위는 부피가 증가하여 나머지 부분을 당기게 되어 더욱 강력한 텐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5 (a) and 5 (b), the sealing cover 243 is embedd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rounding the sealing portion 243 at the corner of the lower cover 242, And a volume guide 250 having a main rod 251 and an arm 252 bent and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rod 251, respectively. In other words, unlike the tension applied by only the conventional sealing portion 243 with the 'A' shaped volume guide 250 built in the sealing portion 243, the corner portion into which the volume guide 250 is inserted becomes bulky And pulls the remaining part, so that more powerful tension can be applied.

여기에 추가적으로 연속된 볼륨 가이드(250)(예를 들면 네 군데의 모서리 중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모서리에 각각 위치한 볼륨 가이드(25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볼륨 가이드(250)와 함께 봉합부(243)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이며, 신축성 재질(고무나 합성수지 등)로 형성되어 볼륨 가이드(250)와 볼륨 가이드(250)(바람직하게는 아암(252)과 아암(252)을)를 연결하는 와이어(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와이어(253)는 접착제나 열융착, 고리결착 등의 방법으로 볼륨 가이드(250)(아암(25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와이어(253)가 신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 단에 위치한 볼륨 가이드(2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볼륨 가이드(250)가 항상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The volume guide 250 is connected to a continuous volume guide 250 (for example, a volume guide 250 disposed at an edge of each of the four corners facing each other) And is connected to the volume guide 250 and the volume guide 250 (preferably, the arm 252 and the arm 252). The volume guide 250 is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rubber or synthetic resin) 253). The wire 253 can be mounted on the volume guide 250 (arm 252) by an adhesive, heat welding, ring binding, etc. Since the wire 253 has elasticity, The elastic member 250 elastically supports the volume guide 250, thereby assisting the volume guide 250 to maintain the tension at all times.

물론, 이러한 강제적인 텐션구성 없이도 볼륨 가이드(250) 자체의 구성에 변화를 주어 텐션을 가할 수도 있는데, 이것이 바로 가이드 월(254) 구성이다. 즉, 볼륨 가이드(250)에 추가되는 것으로서, 아암(252)의 상면으로 부터 메인로드(251)의 상면을 향해 연장된 가이드 월(254)을 더 포함시키는 것이다. 이 때, 가이드 월(254)은 메인로드(251) 측의 높이가 아암(252)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결론적으로는 ‘ㄱ’형상에서 꺾이는 중앙부위의 높이가 가장 높아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마치 각 모서리마다 높게 솟은 봉을 두어 이 봉을 통해 각 모서리에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라 하겠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tension to the volume guide 250 itself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olume guide 250 itself without constituting such a forced tension. This is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wall 254. That is, the guide groove 254 is added to the volume guide 250 and further includes a guide wall 254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252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rod 251. At this time, since the height of the guide wall 254 on the side of the main rod 251 is set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n the side of the arm 252, the height of the center portion bent in the 'A' It is said that a high-raised rod is placed at each corner so that tension is maintained at each corner through this rod.

이 때, 가이드 월(254)은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종단면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guide wall 254 preferably has the following longitudinal section.

도 5의 (b)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듯이, 시작점(261)으로부터 제 1 변곡점(262)까지 높이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제 1 가이드면(271)과, 상기 제 1 변곡점(262)으로부터 제 2 변곡점(263)까지 제 1 곡도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제 2 가이드면(272) 및, 상기 제 2 변곡점(263)으로부터 제 3 변곡점(264)까지 상기 제 1 곡도보다 큰 제 2 곡도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제 3 가이드면(273)과, 상기 제 3 변곡점(264)으로부터 제 4 변곡점(265)까지 상기 제 1 곡도보다 크고 상기 제 2 곡도보다 작은 제 3 곡도로 내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제 4 가이드면(274) 및, 상기 제 4 변곡점(265)으로부터 종료점(266)까지 상기 제 2 곡도로 내측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제 5 가이드면(275)을 포함하는 것이다.5B, a first guide surface 271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tarting point 261 to the first inflection point 262 and a second inflection point 262 extending from the first inflection point 262 to the first inflection point 262. [ A second curved surface 272 extending outwardly convexly from the first inflection point 263 to the third inflection point 263 and a second curved surface 272 extending outward from the second inflection point 263 to the third inflection point 264 A third curved guide surface 273 extending inward from the third inflection point 264 to a fourth inflection point 265 in a third curved line which is larger than the first curved line and smaller than the second curved line, A fourth guide surface 274 and a fifth guide surface 275 extending inward convexly inward from the fourth inflection point 265 to the end point 266 in the second curved line.

제 1 가이드면(271)은 수직하게 연장된 것이되, 이후 형성된 제 2 가이드면(272)을 통해 약간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부러진 형상은 제 3 가이드면(273)을 통해 내측으로 더 굽혀지게 되는데, 이것은 마치 가이드 월(254)을 갈고리와 같은 형상을 갖게 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에는 가이드 월(254)에 찔리는 등의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제 4 가이드면(274)을 통해 완전한 갈고리 형상을 형성하되, 이와 별개로 제 5 가이드면(275)이 더 형성되어 이 갈고리 형상의 가이드 월(254)을 볼륨 가이드(250)로부터 추가로 이격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 4 가이드면(274)과 제 5 가이드면(275)은 각각 가이드 월(254)이 힘을 받아 굽혀질 때에 힘을 분산시키는 완충의 역할을 하여 가이드 월(254)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The first guide surface 271 extends vertically and has a slightly bent shape through the second guide surface 272 formed thereafter. This bent shape is further bent inward through the third guide surface 273 so that the guide wall 254 has a shape like a hook so that the guide wall 254 is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such as being stuck to the guide wall 254 It can be said that it does not wear. A fifth guide surface 275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ourth guide surface 274 so that the guide groove 254 of the hook shape is added from the volume guide 250 The fourth guide surface 274 and the fifth guide surface 275 serve as a buffer for dispersing the force when the guide wall 254 is bent by the force, It is said that the purpose is to prevent damage.

또한,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부커버(241)를 하부커버(242)에서 각 볼륨 가이드(250)를 통해 형성된, 다시 말해 가이드 월(254)로 둘러싸여진 영역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그 면적을 제어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외관상으로도 훌륭할 뿐만 아니라 상부커버(241)가 외력으로 인해 하부커버(242)가 위치하는 영역으로부터 과도하게 빗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cover 241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area of the lower cover 242 such that the upper cover 241 is inserted into the region surrounded by the guide walls 254 formed through the respective volume guides 250 This configuration is not only excellent in appearance, but also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the upper cover 241 from being excessively deflected from an area where the lower cover 242 is located due to an external force.

여기서 상부커버(241)의 모서리 부위에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처리된 모서리돌기(24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앞서 설명한 봉합부(243)와 유사한 구성이되, 이와 대응되는 추가 구성으로서 가이드 월(254)에도 상기 모서리돌기(245)가 끼움 결합 되도록 내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함입 처리된 가이드 함입부(255)를 더 형성할 수 있다.The edge of the upper cover 24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corner protrusions 245 protruding outwardly. The guiding wall 254 has a guiding recess 255 which is rounded inward so that the corner protrusions 245 are fitted into the guiding wall 254, Can be further formed.

즉, 앞선 제 4 가이드면(274) 및 제 5 가이드면(275)과 유사한 구성으로서 가이드 함입부(255)를 가이드 월(254)에 형성하되, 여기서 가이드 함입부(255)는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월(254)의 측면에서 되도록 높은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구조상으로도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함입부(255)에는 상부커버(241)를 가만히 놓았을 때 자연스럽게 모서리돌기(245)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마치 끼움방식의 고정구성을 형성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guiding recess 255 is formed in the guiding wall 254 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fourth guiding surface 274 and the fifth guiding surface 275,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structure that it is formed at a position as high as possible on the side of the guide wall 254. When the upper cover 241 is placed still, the corner protrusions 245 are naturally positioned in the guide depression 255 to provide the same effect as a fixed structure of a fitting type.

도 6은 본 발명의 볼륨 가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olume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때, 가이드 월(254)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 유동 연결부(256)와, 이 유동 연결부(256)의 상면에 적층되어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유동 연결부(256)보다 신축성이 작은 재질로 형성된 월 연장부(257)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유동 연결부(256)는 앞선 제 5 가이드면(275)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가이드 월(254)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가이드 월(254)이 꺾여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유동 연결부(256)를 통해 실질적으로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월 연장부(257)가 보다 유연하게 가이드 월(254)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은 모서리돌기(245)가 가이드 함입부(255)에 위치하기 위해서도 발생되는 현상이며, 따라서 이러한 일종의 버퍼 구성을 통해 가이드 월(254)의 기능보조 및 수명연장을 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guide wall 254 is formed of a flexible connection part 256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a flexible connection part 256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elasticity than the flow connection part 256, And a month extension unit 257. That is, the flow connecting portion 256 has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fifth guide surface 275, and is formed of elastic material. When the external force is substantially applied to the guide wall 254, the guide wall 254 is bent And the wall extending portion 257 extending substantially in the height direction through the flow connecting portion 256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guide wall 254 more flexibly. This external force is applied even when the corner protrusion 245 is located at the guide depression 255.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function support and life extension of the guide wall 254 through this kind of buffer structure Of course.

도 7은 본 발명의 타퍼커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aper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다시 타퍼커버(220) 전체 구성을 살펴보면, 타퍼커버(220)는 천, 부직포 등의 일반적인 직물로 구성된 직물층(281)과, 상기 직물층(281)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직물층(281)보다 큰 신축성을 갖는 재질(솜과 같은)로 구성된 쿠션층(282) 및, 상기 쿠션층(282)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흡습제(287)를 포함하는 기능성 팩(290)이 내장되는 장착포켓(285)을 구비한 장착층(283)과, 상기 장착층(283)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방수 코팅처리된 베리어층(28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aper cover 220 includes a fabric layer 281 made of a general fabric such as a cloth or a nonwoven fabric and a woven fabric layer 281 laminated on the fabric layer 281, A functional pack 290 including a hygroscopic agent 287 which is laminated on the cushion layer 282 and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greater than that of the cushion layer 282 A mounting layer 283 having a built-in mounting pocket 285 and a barrier layer 284 laminated on the mounting layer 283 and having a waterproof coating.

즉, 타퍼커버(220)는 총 4개의 층으로 구성되되, 가장 내측에 직물층(281)과 쿠션층(282)을 위치시켜 쿠션감을 유지하되, 이 상부에 흡습제(287)와, 방수 코팅을 순차적으로 둠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수분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때, 장착층(283)의 장착포켓(285)에 내장되는 기능성 팩(290)은, 흡습제(287)로서 실리카겔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되, 추가로 활성탄, 카본, 황토, 편백, 제올라이트, 맥반석, 일라이트, 실리카, 고령토, 아민, 암모늄염, 테르펜(Terpene), 나린진(Naringin), 리모넨(limonene),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지드(ADH: Adipic Acid DiHydrazide), 바이오폴리올(biopolyol), 폴리 락틱애시드(PLA : Poly Lactic Acid)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탈취제(288)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내장재(289)와, 복수개의 미세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 내장재(289)를 패킹하는 망체(28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taper cover 220 is composed of four layers in total, and the fabric layer 281 and the cushion layer 282 are positioned on the innermost side to maintain a cushioning feeling. A moisture absorbent 287 and a waterproof coating By sequential arrangement, it protects the inside from the moisture that can flow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functional pack 290 embedded in the mounting pocket 285 of the mounting layer 283 contains silica gel as an effective component as the moisture absorbent 287, and further contains activated carbon, carbon, loess, , Amines, ammonium salts, terpenes, Naringin, limonene, adipic acid dihydrazide (ADH), biopolyol, polylactic acid, (289), which further comprises a deodorant (288) made of at least one of polylactic acid (PLA), and a netting (286) .

흡습제(287)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실리카겔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되, 실리카겔 이외에 탈취제(288)를 추가로 포함하여 습기를 머금는 동안 생긴 냄새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활성탄, 카본, 황토, 제올라이트, 맥반석, 일라이트, 실리카, 고령토, 아민, 암모늄염 등은 주변의 발향 성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편백, 테르펜, 나린진, 리모넨,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지드, 바이오폴리올, 폴리 락틱액시드는 자연 유래성분으로서 레몬이나 오렌지 등에서 나는 향긋한 향기 또는 숲에서 발생되는 향을 발산하여 퀴퀴한 냄새를 덮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성분들은 부가적으로 탈취 이외에도 항균작용의 역할도 겸할 수 있기 때문에 타퍼커버(220)의 위생적인 보존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하겠다.The hygroscopic agent 287 is based on a silica gel easily visible in the surroundings. The hygroscopic agent 287 further includes a deodorant 288 in addition to the silica gel to remove the odor generated while the moisture is absorbed. The active carbon, carbon, ocher, zeolite, elvanite, ilite, silica, kaolin, amine, ammonium salt and the like have a role of absorbing the fragrance components of the surrounding, Polyols and polylactic acid liquids are naturally derived components that emit a fragrant fragrance from lemons or oranges, or fragrance generated from forests, so that they can cover the odorous odor. Furthermore, these components may additionally serve as antimicrobial functions in addition to deodorization, which is a factor affecting hygienic preservation of the Taper cover 220. [

이러한 흡습제(287) 및 탈취제(288)는 작은 크기의 알갱이나 겔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이 기능성 내장재(289)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외부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미세 통공을 갖는 망체(286) 구성이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망체(286)는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내장재(289)의 입자 크기보다 작은 미세 통공이 형성된 것이며, 내부에 기능성 내장재(289)를 내장한 상태로 자유롭게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망체(286)가 쉽게 터지거나 망가지지 않도록 망체(286)도 어느 정도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The moisture absorbent 287 and the deodorant 288 often exist in the form of granules or gels of a small size. Therefore, in order to store the functional interior material 289 more effectively, a plurality of micro- It is necessary to further configure the net 286 with The net body 286 is preferably formed with micropores small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functional interior material 289 and can be deformed freely with the functional interior material 289 embedded therei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net 286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ome extent so that the net 286 does not easily break or break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user.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mattr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매트리스 110: 내장재
120: 매트리스 커버 200: 필로우탑
210: 타퍼쿠션 220: 타퍼커버
221: 지퍼 230: 제 1 타퍼커버
240: 제 2 타퍼커버 241: 상부커버
242: 하부커버 243: 봉합부
244: 절개선 245: 모서리돌기
250: 볼륨 가이드 251: 메인로드
252: 아암 253: 와이어
254: 가이드 월 255: 가이드 함입부
256: 유동 연결부 257: 월 연장부
261: 시작점 262: 제 1 변곡점
263: 제 2 변곡점 264: 제 3 변곡점
265: 제 4 변곡점 266: 종료점
271: 제 1 가이드면 272: 제 2 가이드면
273: 제 3 가이드면 274: 제 4 가이드면
275: 제 5 가이드면 281: 직물층
282: 쿠션층 283: 장착층
284: 베리어층 285: 장착포켓
286: 망체 287: 흡습제
288: 탈취제 289: 기능성 내장재
290: 기능성 팩 300: 재봉선
100: mattress 110: interior material
120: mattress cover 200: pillow top
210: Tarpaulin 220: Taper cover
221: zipper 230: first taper cover
240: second taper cover 241: upper cover
242: lower cover 243:
244: Section improvement 245: Corner projection
250: Volume Guide 251: Main Load
252: arm 253: wire
254: guide wall 255:
256: flow connection part 257: wall extension part
261: starting point 262: first inflection point
263: second inflection point 264: third inflection point
265: fourth inflection point 266: end point
271: first guide surface 272: second guide surface
273: third guide surface 274: fourth guide surface
275: fifth guide surface 281: fabric layer
282: cushion layer 283: mounting layer
284: barrier layer 285: mounting pocket
286: net 287: desiccant
288: deodorant 289: functional interior material
290: Function Pack 300: seam

Claims (14)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로서,
신축성 재질로 구성된 내장재와, 상기 내장재를 감싸는 매트리스 커버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신축성 재질로 구성되어 쿠션감을 제공하는 타퍼쿠션과, 상기 타퍼쿠션을 감싸는 타퍼커버를 포함하는 필로우탑;
상기 매트리스 커버와 상기 타퍼커버를 서로 일체가 되도록 재봉한 재봉선;을 포함하되,
상기 타퍼커버는,
내부에 상기 타퍼쿠션이 내장되는 쿠션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쿠션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측면을 따라 지퍼가 장착된 제 1 타퍼커버와,
상기 제 1 타퍼커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타퍼커버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커버와, 하면에 위치하는 하부커버로 구성된 제 2 타퍼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커버의 둘레에는 내측을 향해 둥글게 말아 고정한 봉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커버의 모서리 부위에는 내측을 향해 일정길이로 절개된 절개선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선을 통해 분리된 양 모서리 부위를 각각 일정길이 겹쳐지도록 접어올려 고정시킴으로써 모서리부위의 텐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A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comprising:
A mattress comprising an interior material comprised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a mattress cover surrounding the interior material;
A pillow top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ttress, the pillow top comprising a perforated cover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providing a cushioning feeling, and a taper cover surrounding the percussion;
And a seam line sewing the mattress cover and the taper cover so as to be integral with each other,
The taper cover
A first taper cover having a zipper mounted on a side surface of the cushion spac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cushion space,
And a second taper cover formed of an upper cover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taper cover and a lower cover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taper cover,
Wherein the lower cover is formed with a sewn portion which is fixed by being rolled inwardly toward the inside, and a cut-away portion formed by cutt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inside is form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Wherein the torsion is formed by folding and fixing the separated two corner portions to overlap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the cut-o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는,
상기 매트리스 커버와 상기 타퍼커버가 서로 일체가 되도록 상기 매트리스 커버 중 상부에 위치한 면과, 상기 타퍼커버 중 하부에 위치한 면이 서로 재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llow-top mattress assembly includes: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tress cov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aper cover are sewn together so that the mattress cover and the taper cover are integral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봉합부가 둥글게 말리면서 형성된 내부공간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는 메인로드와, 상기 메인로드의 좌우로 각각 절곡 연장되는 아암을 구비한 볼륨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lower cover,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olume guide having a main rod located at a corner portion and an arm bent and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rod, Mattress assembl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봉합부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상기 볼륨 가이드와 연속된 다른 하나의 볼륨 가이드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wer cover comprises:
The pillow top mattress assembl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re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embedded in the suture portion, the wire connecting any one of the volume guides and another volume guide in seri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가이드는,
상기 아암의 상면으로 부터 상기 메인로드의 상면을 향해 연장된 가이드 월을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로드 측의 높이가 상기 아암 측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volume guide
And a guide wall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arm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rod,
And the height of the main rod sid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arm side.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하부커버의 각 모서리마다 배치된 상기 볼륨 가이드에서 상기 가이드 월을 통해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pper cover comprises:
Wherein the lower cover is inserted into the space enclosed by the guide walls in the volume guide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lower cov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모서리 부위에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처리된 모서리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월은,
상기 모서리돌기가 끼움 결합되도록 내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함입 처리된 가이드 함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A corner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ly is further formed,
The guide wall
And a guide recessed portion formed to be rounded toward the inside so that the corner protrusions are fitted to each oth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월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 유동 연결부와,
상기 유동 연결부의 상면에 적층되어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유동 연결부보다 신축성이 작은 재질로 형성된 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uide wall
A flow connection portion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a wall extend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nection portion and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and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maller elasticity than the flow connection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퍼커버는,
직물층과,
상기 직물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상기 직물층보다 큰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흡습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팩이 내장되는 장착포켓을 구비한 장착층과,
상기 장착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방수 코팅처리된 베리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per cover
A fabric layer,
A cushion layer laminated on the fabric layer, the cushion layer being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greater than that of the fabric layer;
A mounting layer laminated on the cushion layer and having a mounting pocket in which a functional pack containing a moisture absorbent is embedded;
And a barrier layer laminated on top of the mounting layer, the barrier layer being waterproof coate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팩은,
상기 흡습제로서 실리카겔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되, 추가로 활성탄, 카본, 황토, 편백, 제올라이트, 맥반석, 일라이트, 실리카, 고령토, 아민, 암모늄염, 테르펜(Terpene), 나린진(Naringin), 리모넨(limonene), 아디프산 디하이드라지드(ADH: Adipic Acid DiHydrazide), 바이오폴리올(biopolyol), 폴리 락틱애시드(PLA : Poly Lactic Acid)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탈취제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내장재와,
복수개의 미세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 내장재를 패킹하는 망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unctional pack may comprise:
Silica gel as an active ingredient and further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tivated carbon, carbon, loess, whitening, zeolite, elvanite, silica, kaolin, amine, ammonium salt, terpene, Naringin, limonene, A functional interior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deodorant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dipic acid dihydrazide (ADH), biopolyol, and polylactic acid (PLA)
And a plurality of micro through-holes are formed to pack the functional interior material.
KR1020170119496A 2017-09-18 2017-09-18 Pillow-top Mattress Assembly KR101851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496A KR101851619B1 (en) 2017-09-18 2017-09-18 Pillow-top Mattress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496A KR101851619B1 (en) 2017-09-18 2017-09-18 Pillow-top Mattress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619B1 true KR101851619B1 (en) 2018-04-24

Family

ID=6208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496A KR101851619B1 (en) 2017-09-18 2017-09-18 Pillow-top Mattress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61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01B1 (en) * 2008-10-23 2011-08-23 남동균 Pillow top mattress
KR101104242B1 (en) * 2009-12-31 2012-01-11 안유수 Pillow top mattress and bed mattres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01B1 (en) * 2008-10-23 2011-08-23 남동균 Pillow top mattress
KR101104242B1 (en) * 2009-12-31 2012-01-11 안유수 Pillow top mattress and bed mattres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6966T3 (en) ELASTIC CAP.
KR101001211B1 (en) A three-stage folding mattress that equip mini pocket spring
KR101851619B1 (en) Pillow-top Mattress Assembly
JP5366267B2 (en) pillow
JP2008515574A (en) Futon mattress
KR102078109B1 (en) Functional pillow for washable
KR102204987B1 (en) The bed mattress with improved cover structure
JP2011147769A (en) Pillow
JP3147396U (en) Good sleep pillow
KR200402179Y1 (en) A pillow core to possible washing and elevation regulating head and the cervical vertebral
KR200389046Y1 (en) A pillow using super-particles of air bead
KR200387384Y1 (en) A pillow struture
KR102417727B1 (en) Multi-function pad member and bean bag including the same
JP2007021017A (en) Mattress device
JP3238913U (en) Chip pillow with adjustable hardness and height
KR200284224Y1 (en) A mattress
KR102078108B1 (en) Functional pillow for washable
JP2000287804A (en) Pillow
JP3194500U (en) Mattress using wood chips
KR200389617Y1 (en) Cushion
KR200170071Y1 (en) pillow having a woolly layer
KR100838123B1 (en) Mattress manufacturing method
CN219088798U (en) Mattress convenient for internal filling
JPH09191992A (en) Cushion and pillow
JP3189336U (en)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