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609B1 - Sterilizing apparatus for oral scanner - Google Patents

Sterilizing apparatus for oral scan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609B1
KR101851609B1 KR1020160037365A KR20160037365A KR101851609B1 KR 101851609 B1 KR101851609 B1 KR 101851609B1 KR 1020160037365 A KR1020160037365 A KR 1020160037365A KR 20160037365 A KR20160037365 A KR 20160037365A KR 101851609 B1 KR101851609 B1 KR 101851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be
cleaning liquid
supply
disinf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1585A (en
Inventor
이정
전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102016003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609B1/en
Publication of KR20170111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5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구강 내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치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구강 스캐너를 살균하기 위한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강 스캐너를 소독하는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구강 스캐너의 프로브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마련되어 상기 프로브가 내부에 거치되는 거치 공간을 정의하는 거치부;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프로브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거치 공간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거치 공간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 상기 감지부가 프로브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공급부 및 상기 발열부를 활성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급부 및 상기 발열부의 활성화 시 소독중임을 알리는 소독 안내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ing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 oral scanner which is inserted into an oral cavity of a dental patient and which treats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in-oral structure to be used for dental treatment. The disinfecting apparatus comprises a disinfecting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 oral- A mounting part for defining a mounting space in which an insertion port for inserting a probe of the oral scann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probe;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probe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A supply part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to the mounting space;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stationary space; A controller for activating the supply unit and the heating unit as the sensing unit senses the probe; And a disinfection guide unit for informing that the supply unit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are being disinfected upon activation.

Description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STERILIZING APPARATUS FOR ORAL SCANNER}[0001] STERILIZING APPARATUS FOR ORAL SCANNER [0002]

본 발명은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과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구강 내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치과 치료에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구강 스캐너를 살균하기 위한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ing apparatus for an oral scan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 oral scanner for sterilizing an oral scann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a dental patient to treat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n the intraoral structure for dental treatment.

치과 의사가 치과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치과 환자의 구강 내 구조물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구강 내 구조물을 정확하게 그리고 보다 효과적으로 3차원 모델링하는 것이 필요한 바, 구강 내를 직접 스캔해서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데이터의 획득하는 구강 스캐너가 개발되어 왔다.To treat a dental patient, the dentist must be provided with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oral structure of the dental patient. To this end, it has been necessary to accurately and more effectively model three-dimensional structures in the oral cavity, and a mouth scanner has been developed in which three-dimensional data of structures in the oral cavity is obtained by directly scanning the oral cavity.

상술한 바와 같은 구강 스캐너는 고가의 의료기구로, 주사기 등 반복 재사용되는 경우가 없이 폐기되는 기구와는 달리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구강 스캐너의 반복 재사용에 따라 멸균, 탈취 등 소독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며, 소독 과정이 미진한 경우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The oral scanner as described above is expensive and can be reused repeatedly, unlike a device that is discarded without being repeatedly reused such as a syringe. Therefore, the disinfection process such as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peated use of the oral scanner. If the disinfection process is insufficient, it may cause bacterial or viral infection.

종래의 치과의료기기용 소독 및 살균 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0234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소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Conventional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apparatuses for dental medical devices are generally disinfected using an ultraviolet lamp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002349.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소독 및 살균 장치에 의하면, UV-A 및 UV-C 파장의 자외선을 자외선(UV, UltraViolet ray)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통하여 조사함으로써 치과의료기기를 살균하게 되는데, 인체에 무해한 약 315nm 내지 400nm의 파장을 가지는 UV-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균 효과 밖에 없어 실질적으로 소독을 수행하지 못하고, 약 200nm 내지 280nm의 파장을 가지는 UV-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이러스의 DNA(DeoxyriboNucleic Acid)를 파괴하는 살균 효과가 있으나, 인체에 유해하므로 별도의 차단 수단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ultraviolet rays of UV-A and UV-C wavelengths are irradiated through a UV (Ultra Violet ray) light emitting diode (LED) When UV-A having a wavelength of about 315 nm to 400 nm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is used, there is no antibacterial effect and sterilization can not be practically performed. When UV-C having a wavelength of about 200 nm to 280 nm is used There is a disinfecting effect that destroys DNA (DeoxyriboNucleic Acid), but it is harmful to human body.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0234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0234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강 스캐너 중 구강 내 진입하는 부분인 프로브를 알코올 등 세정액 또는 소독액을 이용하여 소독하고, 열을 가하여 건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무해한 방식의 소독 과정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소독 과정을 수행하고 있음을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환자에게도 위생에 대한 안도감을 줄 수 있는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disinfects a probe, which is a part of the mouth scanner that enters the oral cavity, with a cleaning liquid such as alcohol or a disinfectan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isinfection apparatus for a mouth scanner that can provide a sense of hygiene to a patient by informing the user that the disinfection process is being perform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강 스캐너를 소독하는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구강 스캐너의 프로브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마련되어 상기 프로브가 내부에 거치되는 거치 공간을 정의하는 거치부;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프로브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거치 공간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거치 공간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 상기 감지부가 프로브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공급부 및 상기 발열부를 활성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급부 및 상기 발열부의 활성화 시 소독중임을 알리는 소독 안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 oral-use scanner, the apparatus comprising: an insertion port for inserting a probe of the oral-type scanner; A mounting portion defining a mounting surface;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probe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A supply part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to the mounting space;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stationary space; A controller for activating the supply unit and the heating unit as the sensing unit senses the probe; And a disinfection guide unit for informing that the supply unit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are being disinfected upon activation.

여기서, 상기 공급부는, 세정액을 저장하고 착탈 가능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 세정액을 상기 거치부로 공급하는 노즐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노즐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을 1회에 미리 정해진 양으로 조절하는 공급량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upply unit may include: a storage unit that stores and removes the cleaning liquid; A nozzle unit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in the storage unit to the mounting unit; And a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adjusting the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through the nozzle unit by a predetermined amount at a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세정액은, 파인덱스 및 에탄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cleaning liquid may be any one of a wave index and ethanol.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급부 및 상기 발열부의 활성화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독 안내부는, 소독중임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infectio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 object to be sterilized, the disinfecting apparatus comprising: Can be guided by voice.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의 장착 이후 소독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number of disinfections after the storage unit is moun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구강 스캐너의 오염을 제거하는 소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강 스캐너 프로브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소독액을 제공하는 공급부; 상기 거치부 내부와 상기 공급부를 연결하는 노즐부; 및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로 상기 소독액이 제공되도록 제1 압력을 제공하는 공급량 조절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infecting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an oral scanner, the apparatus comprising: a receiver for receiving a portion of the oral scanner probe; A supply part for supplying a disinfectant to the mounting part; A nozzle unit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stationary part and the supply part; And a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to supply the first pressure to the storage unit to supply the disinfectant.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강 스캐너 프로브의 표면에 세척력을 제공하는 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of a probe of a mouth, the cleaning probe being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한편, 상기 세척부는, 상기 소독액과 상기 구강 스캐너 프로브를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회전 구동 수단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washing unit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rotation driving means for relatively moving the disinfectant and the oral scanner prob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공급량 조절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부가 상기 소독액을 정압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제1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first pressure so that the nozzle unit injects the disinfectant liquid at a constant pressure.

또한, 상기 거치부의 내부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inside of the mounting unit.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스캐너 중 구강 내 진입하는 부분인 프로브를 알코올 등 세정액 또는 소독액을 이용하여 소독하고, 열을 가하여 건조함으로써, 자외선 램프를 이용한 살균 방식과는 달리 소독 과정 수행 시 사용자에게 무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disinfecting the probe, which is a part of the mouth scanner which enters into the oral cavity, with a cleaning liquid such as alcohol or a disinfectant, and drying by applying heat, unlike the disinfection method using an ultraviolet lamp, There is harmless effect.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스캐너에 대하여 소독 과정을 수행하고 있음을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환자에게도 위생에 대한 안도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ral scanner is informed that the disinfection process is being performed, thereby providing a patient with a sense of security against hygie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 중 표시부의 외관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mouth sc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isinfecting apparatus for a mouth sc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unit of the oral disinf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or "comprising",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do.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는, 거치부(100), 감지부(200), 공급부(300), 발열부(400), 제어부(500), 소독 안내부(600) 및 표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 oral sc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 oral sc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al disinf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ample includes a mounting unit 100, a sensing unit 200, a supplying unit 300, a heat generating unit 400, a control unit 500, a disinfecting guide unit 600, and a display unit 700 can do.

거치부(100)는, 상부에 구강 스캐너의 프로브(10)가 삽입되는 삽입구(110)가 마련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10)가 내부에 거치되는 거치 공간을 정의한다. 여기서, 거치부(100)는, 거치 공간 내에 공급부(300)로부터 프로브(10)를 소독하기 위한 세정액을 공급받고, 발열부(400)로부터 소독 후 프로브(10)를 건조하기 위한 열을 공급 받는다.The mounting portion 100 defines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probe 10 is inserted therein as shown in FIG. 2 by providing an insertion port 110 through which the probe 10 of the oral scanner is inserted. Here, the mounting portion 100 receives the cleaning liquid for disinfecting the probe 10 from the supply portion 300 in the mounting space, and receives heat for drying the probe 10 after disinfection from the heating portion 400 .

한편, 거치부(100)는, 보다 강력한 소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거치 공간을 회전시키는 통돌이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치부(100) 내부에 거치 공간 자체를 회전시키는 통 형태 또는 거치 공간 내 액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판 형태인 세척부(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고, 구강 스캐너 프로브(10)의 표면에 세정액 또는 소독액의 흐름에 의한 세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part 100 may have a function of turning the mounting space to rotate in order to provide a stronger disinfecting function. For example, a cleaning part (not shown) in the form of a rotary plate capable of rotating the liquid in the cylindrical form or the mounting space for rotating the mounting space itself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ounting part 100, The surface may be provided with a cleaning force by the flow of the cleaning liquid or the disinfectant liquid.

여기서, 세척부는 상술한 세정액 또는 액체의 흐름에 따른 세척력 뿐 아니라 거치 공간의 내벽에 천소재의 청소용 부재를 부착하고 구강 스캐너의 프로브(10)에 청소용 부재가 밀착되어 마찰시키는 마찰에 따른 세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세척부는, 세정액 또는 소독액과 구강 스캐너의 프로브(10) 간에 상대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도의 회전 구동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통 형태 또는 회전판 형태에 대응하는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Here, the cleaning unit attaches a cloth cleaning material to the inner wall of the storage space as well as the cleaning liqui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cleaning liquid or the liquid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cleaning force according to the friction that the cleaning clot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be 10 of the oral- You may. Such a washing section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rotation driving means (not shown) so that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cleaning liquid or the disinfectant liquid and the probe 10 of the oral scanner can be performed, so as to be provided with a rotational force corresponding to the tubular or spiral shape .

또한, 감지부(200)는, 삽입구(110)를 통하여 인입되는 프로브(10)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500)에 전달한다. 여기서, 감지부(200)는, 삽입구(110) 부근에 부착된 근접 센서, 예를 들면, 자석을 이용한 자기형 센서 또는 구강 스캐너와 근접 센서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용량형 센서일 수 있다. 한편, 감지부(200)는, 거치부(100) 바닥면에 설치된 압력 센서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nsing unit 200 senses the probe 10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110 and transmits the sensed result to the controller 500. Here, the sensing unit 20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ttached near the insertion port 110, for example, a magnetic sensor using a magnet, or a capacitive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oral scanner and the proximity sensor . The sensing unit 200 may be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unit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공급부(3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거치부(100) 내 거치 공간으로 세정액 또는 소독액(311)을 공급한다. 여기서, 세정액 또는 소독액(311)은, 무독성 소독제인 파인덱스(Pine-Dex) 또는 에탄올(ethanol)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세정액 또는 소독액(311)은, 소독 특성을 갖는 액체 중에 인체에 무해하고 끓는 점이 충분히 낮아 증발을 위하여 고온의 열을 가할 필요가 없는 한 어떤 물질이라도 사용 가능하다.The supply unit 300 supplies the cleaning liquid or the disinfectant 311 to the mounting space in the mounting unit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Here, the washing liquid or the disinfectant 311 is preferably Pine-Dex or ethanol which is a non-toxic disinfecta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cleaning liquid or the disinfectant 311 can be any substance as long as the liquid having disinfection characteristics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a sufficiently low boiling point and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high temperature heat for evaporation.

이때, 공급부(300)는, 저장부(310), 노즐부(320) 및 공급량 조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ly unit 300 may include a storage unit 310, a nozzle unit 320, and a supply amount control unit 330.

저장부(310)는, 세정액 또는 소독액(311)을 저장하고 본 발명의 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조인 카트리지(Cartridge)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장부(310)는, 에탄올 등의 세정액이 저장될 수 있는 카트리지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부(310) 내 세정액이 전부 소진된 후에 다시 세정액을 저장부(310) 내부에 보충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10)의 용량은, 10회 내지 30회, 바람직하게는 20회 정도 소독이 가능한 세정액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장치 본체 외부에 분리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거치부(100)를 포함한 상단의 하우징을 분리하면 저장부(310)인 카트리지가 도출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unit 31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cartridge which stores the cleaning liquid or the disinfectant 311 and is detachable from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torage unit 310 may be a cartridge capable of storing a cleaning liquid such as ethanol. The user can replenish the cleaning liquid in the storage unit 310 after the cleaning liquid in the storage unit 310 is completely exhausted. At this time, th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310 may be a capacity capable of storing a cleaning liquid capable of disinfecting about 10 times to 30 times, preferably about 20 times. Her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cartridge, which is the storage part 310, is led out when a separation button (not shown) is provided outside the apparatus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pper housing including the mounting part 100 is separated.

또한, 노즐부(320)는, 공급량 조절부(33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310) 내 세정액 또는 소독액(311)을 거치부(100)의 거치 공간으로 공급한다. 이때, 노즐부(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된 홀을 통하여 거치 공간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거치 공간 내 벽면에 복수개의 홀을 구비하고 벽면에서 프로브(10)를 향하여 세정액을 정압으로 분사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The nozzle unit 320 supplies the cleaning liquid or the disinfectant 311 in the storage unit 310 to the mounting space of the mounting unit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330. 2, the nozzle unit 320 may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space through a hole provi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bu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on the wall surface in the mounting space, And a method of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with a positive pressure toward the cleaning liquid.

한편, 공급량 조절부(33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노즐부(3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정액 또는 소독액(311)의 양을 1회에 미리 정해진 양으로 조절한다. 여기서, 공급량 조절부(330)는, 유체를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인 한 어떤 구조도 사용 가능하며, 탄성력을 사용하는 방식, 제1 압력(331)을 사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량 조절부(330)는, 일정량의 세정액을 저장하는 정량 토출부(도시되지 않음)를 별도로 구비하고, 이러한 정량 토출부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정확한 양의 세정액을 노즐부(320)를 통하여 분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330 adjusts the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or the disinfectant 311 supplied through the nozzle unit 3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to a predetermined amount at a time. Here, the supply amount regulating unit 330 can us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fluid, and various methods such as a method using an elastic force and a method using a first pressure 331 can be applied . For example, the supply amount regulating unit 330 is provided separately with a constant amount discharging unit (not shown)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and through the pressing unit (not shown)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constant amount discharging unit, It is possible to spray the cleaning liquid through the nozzle unit 320.

여기서, 공급량 조절부(330)가 제1 압력(331)을 사용하는 방식인 경우에, 제어부(500)는 공급량 조절부(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급량 조절부(330)에 전기적으로 인가함으로써 공급량 조절부(330)가 제공하는 제1 압력(331)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노즐부(320)가 세정액 또는 소독액(311)을 정압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저장부(310) 내 세정액 또는 소독액(311)의 잔여량에 따라 제1 압력(331)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when th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330 uses the first pressure 331, the control unit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330 to generate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330 to adjust the first pressure 331 provided by the supply amount regulator 33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the first pressure 331 (see FIG. 3)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or the disinfectant 311 in the storage unit 310 so that the nozzle unit 320 can inject the cleaning liquid or the disinfectant 311 with a positive pressure. ) Can be adjusted.

이때, 1회에 미리 정해진 세정액의 양은, 거치 공간 내에서 프로브(10)의 약 85mm가 세정액 내에 담궈질 수 있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프로브(10)가 구강 내에 들어가는 깊이가 약 70mm 내지 80mm인 것을 감안한 것이다. 여기서, 일반적인 구강 스캐너의 경우, 위 길이는 프로브(10) 전체 길이의 약 3분의 2에 해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predetermined at one time is such that an amount of about 85 mm of the probe 10 can be immersed in the cleaning liquid in the mounting space, and the depth of the probe 10 into the oral cavity is about 70 mm to 80 mm . Here, in the case of a general oral scanner, the upper length may correspond to about two-thirds of the total length of the probe 10.

또한, 발열부(4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거치부(100) 내 거치 공간에 열을 가하게 된다. 여기서, 발열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 내 거치 공간 벽면에 내장된 열선일 수 있다. 이때, 발열부(400)는, 거치 공간의 온도가 세정액의 끓는점, 예를 들면, 에탄올의 경우에는 78.37℃를 초과하는 온도가 될 수 있도록 열을 가하게 된다. 발열부(400)는, 열소독 방식에 따른 발열 온도보다 비교적 낮은 온도로 발열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발열부(400)가 소모하는 에너지가 적어 전력 소모가 적을 뿐 아니라, 고온의 가열로 인하여 프로브(10)가 변형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eat generating unit 400 applies heat to the mounting space in the mounting unit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Here, the heat generating unit 400 may be a hot line built in the mounting space wall in the mounting unit 10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heat generating part 400 is heat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ounting space becomes a temperature exceeding 78.37 ° C in the case of the boiling point of the cleaning liquid, for example, ethanol. The heat generating part 400 may generate heat at a temperature relatively lower than the heat generat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hermal sterilization method. That is,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prevent the probe 10 from being deformed due to heating at a high temperature as well as the power consumed by the heater 400 is low.

한편, 제어부(500)는, 감지부(200)가 프로브(10)를 감지함에 따라 공급부(300) 및 발열부(400)를 활성화한다. 즉, 제어부(500)는, 프로브(10)가 삽입구(110)를 통하여 삽입되면 이를 감지부(200)를 통하여 인식하고, 공급부(300) 내 공급량 조절부(330)를 제어하여 정량의 세정액이 거치 공간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후에, 제어부(500)는, 공급부(300)를 통한 세정액 분사가 완료되면 발열부(400)를 활성화하여 프로브(10)를 건조시킨다.The control unit 500 activates the supplying unit 300 and the heating unit 400 as the sensing unit 200 senses the probe 10. That is, when the probe 1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110, the control unit 500 recognizes the probe 10 through the sensing unit 200 and controls the supply amount control unit 330 in the supply unit 300, So that it is sprayed into the mounting space. Then, the control unit 500 activates the heat generating unit 400 to dry the probe 10 when the spraying of the cleaning liquid through the supplying unit 300 is completed.

또한, 소독 안내부(600)는, 제어부(500)에 의한 공급부(300) 및 발열부(400)의 활성화 시 소독중임을 알리게 되는데, 특히, 음성으로 소독의 진행 상황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소독 안내부(600)는, 소독 중에는 "지금 소독 중입니다."와 같은 안내 문구를 음성으로 생성할 수 있고, 단계별로 "소독을 시작합니다.", "세정액 분사 중입니다.", "프로브 건조 중입니다" 및 "소독이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문구를 음성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소독 안내부(60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강 스캐너의 프로브(10)를 소독하며 사용중임을 음성으로 알림으로써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는 환자에게 구강 스캐너를 위생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홍보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infection guide unit 600 informs the control unit 500 that the disinfection is performed when the supplying unit 300 and the heat-generating unit 400 are activated.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inform the progress of disinfection by voice. For example, the disinfection guide unit 600 can generate a warning message such as "disinfecting now" during the disinfection, and can "start disinfecting "," , "Probe is drying ", and" Disinfection is complete. " The disinfecting guide unit 600 disinfects the probe 10 of the oral scanner in this manner and informs the user of the fact that the probe 10 is in use, thereby promoting the hygienic use of the oral scanner to the patient using the oral scanner.

한편, 표시부(7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공급부(300) 및 발열부(400)의 활성화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저장부(310)의 장착 이후 소독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700 can visually display whether the supplying unit 300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400 are 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and display the number of disinfections after the storage unit 310 is mounted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 중 표시부의 외관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3 is a detailed view of a display unit of the disinf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operation of the disinf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장치 본체 중 거치부(100)를 포함한 상단의 하우징을 분리하고, 저장부(310)인 카트리지가 도출시킨다.First, the user removes the upper housing including the mounting portion 100 of the apparatus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raws out the cartridge which is the storage portion 310. [

이후에, 저장부(310)인 카트리지 내에 에탄올 등의 세정액을 채운다. 경우에 따라 파인덱스를 세정액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cartridge serving as the storage unit 310 is filled with a cleaning liquid such as ethanol. In some cases, the wave index may be used as a cleaning liquid.

다음에, 카트리지를 장착한 후, 거치부(100)를 포함한 상단의 하우징을 체결한다.Next, after mounting the cartridge, the upper housing including the mounting portion 100 is fastened.

이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 버튼(800)을 통하여 장치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하여 감지부(200)는 구강 스캐너의 프로브(10)가 삽입되는 지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apparatus is activated through the power button 800 as shown in FIG. 3, and the sensing unit 200 continuously performs an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be 10 of the oral scanner is inserted .

만약, 구강 스캐너의 프로브(10)가 삽입구(110)를 통하여 위에서 아래 방향(11)으로 삽입되면, 감지부(200)는 프로브(10)가 삽입되었음을 제어부(500)에 알리게 된다.If the probe 10 of the oral scanner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110 in the downward direction 11, the sensing unit 200 informs the control unit 500 that the probe 10 has been inserted.

다음에, 제어부(500)는, 공급부(300) 내 공급량 조절부(330)를 제어하여 정량의 세정액이 거치 공간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후에, 제어부(500)는, 공급부(300)를 통한 세정액 분사가 완료되면 발열부(400)를 활성화하여 프로브(10)를 건조시킨다.Next,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supply amount adjustment unit 330 in the supply unit 300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is jetted into the mounting space. Then, the control unit 500 activates the heat generating unit 400 to dry the probe 10 when the spraying of the cleaning liquid through the supplying unit 300 is completed.

이때, 제어부(500)는, 소독 안내부(600) 및 표시부(700)를 제어하여 음성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LED 표시등을 통하여 소독의 진행 상황을 사용자 및 환자에게 알릴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disinfection guide unit 600 and the display unit 700 to voice and inform the user and the patient of the progress of disinfection through the LED indicator as shown in FIG.

한편, 제어부(500)는, 표시부(700)를 제어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10)의 장착 이후 소독 횟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세정액 보충 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display unit 700 to display the number of disinfections after the storage unit 310 is mounted,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the timing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치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100: 거치부
200: 감지부
300: 공급부
310: 저장부
320: 노즐부
330: 공급량 조절부
400: 발열부
500: 제어부
600: 소독 안내부
700: 표시부
100:
200:
300:
310:
320:
330:
400:
500:
600: disinfection guide
700:

Claims (11)

구강 스캐너를 소독하는 소독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구강 스캐너의 프로브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마련되어 상기 프로브가 내부에 거치되는 거치 공간을 정의하는 거치부;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프로브를 감지하는 감지부;
세정액을 저장하고 착탈 가능한 저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거치 공간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거치 공간에 상기 세정액의 끓는 점 초과의 열을 가하여 상기 프로브를 건조하는 발열부;
상기 감지부가 프로브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공급부 및 상기 발열부를 활성화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급부 및 상기 발열부의 활성화 시 소독중임을 알리는 소독 안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급부 및 상기 발열부의 활성화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의 장착 이후 소독 횟수를 표시하는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
A disinfecting device for disinfecting an oral scanner,
A mounting portion for defining a mounting space in which an insertion port for inserting a probe of the mouth scann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and in which the probe is mounte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probe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port;
A supply part for storing the cleaning liquid and including a detachable storage part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to the mounting space;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mounting space in excess of the boiling point of the cleaning liquid to dry the probe;
A controller for activating the supply unit and the heating unit as the sensing unit senses the probe; And
A disinfection guide unit for informing that the supply unit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are being disinfected upon activation; And
And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supply unit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are activ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number of disinfections after the storage unit is moun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저장부 내 세정액을 상기 거치부로 공급하는 노즐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노즐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을 1회에 미리 정해진 양으로 조절하는 공급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ly unit includes:
A nozzle unit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in the storage unit to the mounting unit; And
And a supply amount adjusting unit that adjusts the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through the nozzle unit to a predetermined amount at a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은, 파인덱스 및 에탄올 중 어느 하나인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eaning liquid is any one of a wave index and ethano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독 안내부는, 소독중임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구강 스캐너 소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infection guide unit audibly informs that the disinfection is being per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37365A 2016-03-29 2016-03-29 Sterilizing apparatus for oral scanner KR101851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65A KR101851609B1 (en) 2016-03-29 2016-03-29 Sterilizing apparatus for oral sc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65A KR101851609B1 (en) 2016-03-29 2016-03-29 Sterilizing apparatus for oral scan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585A KR20170111585A (en) 2017-10-12
KR101851609B1 true KR101851609B1 (en) 2018-05-28

Family

ID=6013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365A KR101851609B1 (en) 2016-03-29 2016-03-29 Sterilizing apparatus for oral scan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6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400B1 (en) * 2020-09-16 2021-03-24 이도현 Sterilizer for a bus stop bell
KR20230011811A (en)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휴비츠 Intra oral Scanner having disinfection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1606A1 (en) * 2021-06-22 2022-12-22 Dentsply Sirona Inc. Dental pod
CN115105240B (en) * 2022-06-22 2023-09-15 南开大学 Switchable oral cavity visit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34B1 (en) * 2014-08-04 2015-04-22 주식회사 제일기공 Steam sterilizer using ga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5199510A1 (en) * 2014-06-27 2015-12-30 (주)바텍이우홀딩스 Unit for sterilizing dental intraoral imaging device and sterilization device compris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510A1 (en) * 2014-06-27 2015-12-30 (주)바텍이우홀딩스 Unit for sterilizing dental intraoral imaging device and sterilization device comprising same
KR101512434B1 (en) * 2014-08-04 2015-04-22 주식회사 제일기공 Steam sterilizer using ga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400B1 (en) * 2020-09-16 2021-03-24 이도현 Sterilizer for a bus stop bell
KR20230011811A (en)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휴비츠 Intra oral Scanner having disinfec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585A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609B1 (en) Sterilizing apparatus for oral scanner
US11090486B2 (en) Root canal treatment
CA3010699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leaning of a canal
EP3076825B1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US20150313354A1 (en) Rechargeable Facial Brush with Sterilization
KR101576045B1 (en) Sterilizing and cleansing apparatus for feeding bottle
JP2006526490A (en)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JP6367391B2 (en) Heating device with disinfection device
NL2014963B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iodontal cleaning.
FI3597138T3 (en) Medical, in particular dental system
AU201743222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leaning of a canal
KR100930512B1 (en) Disinfecting unit, endoscope, rigid
KR102151718B1 (en) A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device with cartridge storage holder and sterilizing function
CN107920681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liquid supplied to a package by a machine
KR101634903B1 (en) Facial massage device
KR20160115585A (en) Steam sterilizer for toothbrush
KR101824558B1 (en) Otorhinolaryngology unit
KR101641675B1 (en) Instrument holder system with sterilization light source and sanitary cover used in the same
KR101875507B1 (en) Sterilizer for Stethoscope
EP2676571B1 (e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d sanitising brushes
KR20060064365A (en) A sterilizer for nursing bottle and nipple
JPH0771565B2 (en) Handpiece sterilizer
JP2848532B2 (en) Sterilizer for cosmetic or medical equipment
CN117440835A (en) Sterilization device box for intraoral appliance
KR200326993Y1 (en) The oral cavity medical treatment suppor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