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608B1 - Antenna device for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tenna device for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608B1
KR101851608B1 KR1020160101746A KR20160101746A KR101851608B1 KR 101851608 B1 KR101851608 B1 KR 101851608B1 KR 1020160101746 A KR1020160101746 A KR 1020160101746A KR 20160101746 A KR20160101746 A KR 20160101746A KR 101851608 B1 KR101851608 B1 KR 10185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difference
antenna group
output port
difference generator
pola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7626A (en
Inventor
성원모
최세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60101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608B1/en
Publication of KR2018001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6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6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기지국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장치는,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제1 위상차 발생부, 및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제2 위상차 발생부를 포함한다.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nd a base station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irst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with a first polarization,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with a first polarization, A second-1 polarized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a second polarized wave, a plurality of second polarized antenna groups including a plurality of A second-2 polarized antenna group, a first-1-polarized antenna group, and a first-polarized-wave antenna group,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2-1-polarized antenna group, And a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2-2 polarization antenna group so that the directivity of the beam is formed differently, Includes live parts.

Description

기지국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ANTENNA DEVICE FOR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HAV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nd a base station including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 안테나 기술과 관련된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relate to base station antenna technology.

일반적으로, 기지국 안테나 장치는 편파 특성이 서로 다른 안테나들로 구성되고, 각 편파 특성 별로 하나의 입력 포트가 구비되어 편파 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빔만을 송출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 경우, 기지국에서 커버할 수 있는 통신 영역이 제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is composed of antennas having different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is provided to transmit only two beams having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having one input port for each polarization characteristic.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munication area that can be covered by the base station can be limit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6922호(2016.02.17)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96922 (Feb.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4552호(2010.12.2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4552 (December 23, 2010)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커버리지를 확장시킬 수 있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e station antenna device capable of extending communication coverage and a base stat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간 활용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nd a base station including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capable of expanding space avail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장치는,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제1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제2 위상차 발생부를 포함한다.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with a first polarization; A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the first polarized wave and being spaced apart from the 1-1 polarized antenna group; A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to have a second polarization; A second 2-polarized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the second polarized wave, the second 2-polarized antenna group being spaced apart from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A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so that beam directivity is differently formed; And a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and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so that the directivity of the beam is formed differently.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is configured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of 90 ° between the first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a phase difference of 90 °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2 polarized antenna groups.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는, 각각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제1 입력 포트 및 제2 입력 포트와, 상호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는 급전 전류가 출력되는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는, 각각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제3 입력 포트 및 제4 입력 포트와, 상호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는 급전 전류가 출력되는 제3 출력 포트 및 제4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1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2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3 파워 디바이더; 및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4 파워 디바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includes a first input port and a second input port to which a feed current is input and a first out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through which a feed current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90 ° with respect to each other is output, Wherein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includes a third input port and a fourth input port to which a feed current is input and a third output port and a fourth output port through which a feed current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90 ° with respect to each other is output, A first power divider connected to a first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power supply current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port to each antenna of the first polarization antenna group; A second power divider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output port to each antenna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 antenna groups; A third power divider connected to a third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third output port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a fourth power divider connected to a fourth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fourth output port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2 polarization antenna group .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는 - 13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outputs a feed current of + 45 ° phase, the second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outputs a feed current of -45 ° phase, and the second phase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The third output port outputs a feed current of -45 ° and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outputs a feed current of -135 ° phase.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 및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들과 대응하여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 및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들과 대응하여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는 각각, 제1 입력 포트, 제2 입력 포트,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는 각각, 제3 입력 포트, 제4 입력 포트, 제3 출력 포트, 및 제4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안테나 장치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입력 포트로 각각 공급하는 제1 파워 디바이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입력 포트로 각각 공급하는 제2 파워 디바이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입력 포트로 각각 공급하는 제3 파워 디바이더; 및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입력 포트로 각각 공급하는 제4 파워 디바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ntennas corresponding to the antennas included in the first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first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A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ing units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antennas included in the polarized antenna group and the second -2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ing units includes a first in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each include a third input port, a fourth input port, a third output port, and a fourth output port, A first power divider for supplying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the first input port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A second power divider for supplying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a second input port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A third power divider that supplies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a third in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And a fourth power divider that supplies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a fourth in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는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안테나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는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안테나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는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안테나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는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안테나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output ports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ntennas of the first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second output ports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are connected to the first 1-2 second polarity antenna group The third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is connected to the antennas of the second-1 polarized antenna group, and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is connected to the antennas of the second- And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ntennas of the second -2 polarized antenna group.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는 각각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는 각각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는 각각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는 각각 - 13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output ports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output a feed current of + 45 ° phase respectively and the second output ports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output feed currents of -45 ° phase respectively, And the third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outputs the feed current of -45 ° phase respectively and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outputs the feed current of -135 ° phase respectively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장치는,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와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제1 위상차 발생부;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와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제2 위상차 발생부;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와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제3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와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제4 위상차 발생부를 포함한다.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a first polarization; A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the first polarized wave and being spaced apart from the 1-1 polarized antenna group; A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to have a second polarization; A second 2-polarized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the second polarized wave, the second 2-polarized antenna group being spaced apart from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A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a part of the first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a part of the first polarization antenna group to form beams having different directivities; A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emainder of the first-first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rest of the first-second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so that the directivity of the beam is formed differently; A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a part of the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a part of the 2-2 polarization antenna group so that the directivity of the beam is formed differently; And a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emainder of the second -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rest of the second 2 polarization antenna group so that the directivity of the beam is formed differently.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와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와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와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와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is arranged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of 90 ° between a part of the first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a part of the first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is arranged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of 90 ° between the rest of the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rest of the first-second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is arranged such that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is generated between the remainder of the second -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rest of the second 2 polarization antenna group .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는 각각, 제1 입력 포트, 제2 입력 포트,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1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2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3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4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입력 포트 및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입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로 급전 전류를 각각 공급하는 제5 파워 디바이더; 및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입력 포트 및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입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로 급전 전류를 각각 공급하는 제6 파워 디바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each have a first input port, a second input port, a first out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A first power divider connected to a first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outputted from a first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to each antenna included in a part of the first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 second phase-difference generating unit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difference generating unit and supplying a power-supply current outputted from a second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difference generating unit to each antenna included in a part of the first- Power divider; A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to be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to each antenna included in the remainder of the group of the first polarization antenna, Power divider; A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to each antenna included in the remainder of the group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ed wave antennas, Power divider; A fifth power divider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first in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respectively, for supplying the feed current to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a sixth power divider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ing section and the second in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ing section and for supplying the feed current to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ing section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ing section, As shown in FIG.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는 각각, 제3 입력 포트, 제4 입력 포트, 제3 출력 포트, 및 제4 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7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8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9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10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입력 포트 및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입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로 급전 전류를 각각 공급하는 제11 파워 디바이더; 및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입력 포트 및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입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로 급전 전류를 각각 공급하는 제12 파워 디바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each have a third input port, a fourth input port, a third output port, and a fourth output port, A seventh power divider connected to a third out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outputted from a third out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to each antenna included in a part of the second -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supplying the power supply current outputted from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to each antenna included in a part of the second 2-polarized wave antenna group, connected to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Power divider; And a third feed port connected to a third out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for feeding the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third out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to each antenna included in the remainder of the second- Power divider; And supplying the feed current to the respective antennas included in the remainder of the second -2 polarized antenna group, the feed current being connected to a fourth out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being output from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Power divider; An eleventh power divider connected to the third in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third in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respectively, for supplying the feed current to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a twelfth power divider connected to the fourth in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fourth in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for supplying the feed current to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편파를 갖는 2개의 안테나 그룹과 제2 편파를 갖는 2개의 안테나 그룹 각각에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제1 편파를 갖는 안테나 그룹에서 지향성이 상이한 2개의 빔을 발생시키고, 제2 편파를 갖는 안테나 그룹에서 지향성이 상이한 2개의 빔을 발생시켜, 다중 빔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기지국의 통신 커버리지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기지국에서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se difference is generated in each of the two antenna groups having the first polarization and the two antenna groups having the second polarization, so that two beams having different directivities in the antenna group having the first polarization And two beams having different directivities are generated in the antenna group having the second polarized wave, so that multiple beams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can be enlarged,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antenna at the base station does not need to be additionally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장치에서 안테나들이 배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tennas are arranged in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intended only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s of the expressions include plural forms of meanings. In this description, the expression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 transmission ", "transmission "," transmission ", "reception ", and the like, of a signal or information refer not only to the direct transmiss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But also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a signal or information to an element is indicative of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not a direct destination. This is the same for "reception" of a signal or information. 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fact that two or more pieces of data or information are "related" means that when one piece of data (or information) is acquired,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data (or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ased thereon.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directional terms such as the top, bottom, one side, the other, and the like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figures. Since the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directional terms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not limita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장치에서 안테나들이 배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antennas in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 안테나 장치(100)는 제1 편파 안테나 그룹(102) 및 제2 편파 안테나 그룹(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편파 안테나 그룹(102)은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제2 편파 안테나 그룹(104)은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1 편파는 + 45° 편파, 제2 편파는 - 45° 편파일 수 있다. 또는, 제1 편파는 0° 편파, 제2 편파는 90° 편파일수 있다. 또는, 제1 편파는 좌선 편파, 제2 편파는 우선 편파일 수 있다. 또는, 제1 편파는 수평 편파, 제2 편파는 수직 편파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편파가 + 45° 편파, 제2 편파가 - 45° 편파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100 may include a first polarized antenna group 102 and a second polarized antenna group 104. The first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2 is provided to have a first polarized wave and the second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4 is provided to have a second polarized wave. For example, the first polarized wave may be polarized at +45 degrees and the second polarized wave may be polarized at -45 degrees. Alternatively, the first polarized wave may be 0 占 polarized, and the second polarized wave may be 90 占 polarized. Alternatively, the first polarization may be a left-handed polarization, and the second polarization may be a prior-art file. Alternatively, the first polarized wave may be a horizontal polarized wave, and the second polarized wave may be a vertical polarized wave file.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polarized wave is polarized at +45 degrees and the second polarized wave is polarized at -45 degrees.

도 1의 (a)를 참조하면, 제1 편파 안테나 그룹(102)은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 및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편파 안테나 그룹(104)은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 및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에 속하는 안테나들은 기지국 안테나 장치(100)에서 제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에 속하는 안테나들은 기지국 안테나 장치(100)에서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에 속하는 안테나들과 각각 대향하면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에 속하는 안테나들은 기지국 안테나 장치(100)에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에 속하는 안테나들은 기지국 안테나 장치(100)에서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에 속하는 안테나들과 각각 대향하면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the first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2 may include a 1-1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2-1 and a 1-2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2-2. The second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4 may include a second-first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4-1 and a second-second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4-2. The antennas belonging to the first-first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1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100. [ The antennas belonging to the 1-2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2-2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the antennas belonging to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1 in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100, respectively. The antennas belonging to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104-1 may be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100. [ The antennas belonging to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104-2 can be arranged in parallel in opposition to the antennas belonging to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104-1 in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100, respectively.

즉,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에 속하는 안테나,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에 속하는 안테나,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에 속하는 안테나, 및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에 속하는 안테나들이 각각 단위 안테나 셀(A)을 이루며, 각 단위 안테나 셀(A)은 마름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the antenna belonging to the first-first polarized antenna group 102-1, the antenna belonging to the first polarized-wave antenna group 102-2, the antenna belonging to the second-first polarized antenna group 104-1, And the antennas belonging to the 2-2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4-2 constitute a unit antenna cell A, and each unit antenna cell A may be formed in a rhombus shape.

도 1의 (b)를 참조하면,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 및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에 속하는 안테나들은 기지국 안테나 장치(100)에서 제1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일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 및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에 속하는 안테나들은 기지국 안테나 장치(100)에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일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 및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에 속하는 안테나들과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 및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에 속하는 안테나들은 수직하게 교차하여 배열될 수 있다. 즉, 단위 안테나 셀(A)이 X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B, the antennas belonging to the 1-1 polarized antenna group 102-1 and the 1-2 polarized antenna group 102-2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can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he antennas belonging to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104-1 and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104-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100, Lt; / RTI > Here, the antennas belonging to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1 and the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2 and the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4-1 and the 2-2 polarization The antennas belonging to the antenna group 104-2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ly crossing manner. That is, the unit antenna cell A may be formed in an X-shape.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 안테나 장치(100)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 제1 위상차 발생부(106), 제1 파워 디바이더(108), 제2 파워 디바이더(110), 제2 위상차 발생부(112), 제3 파워 디바이더(114), 및 제4 파워 디바이더(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 및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은 도 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100 includes a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1, a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2, a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4-1 A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ing unit 106, a first power dividing unit 108, a second power dividing unit 110, a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ing unit 112, A third power divider 114, and a fourth power divider 116. [ The first 1-1 polarized antenna group 102-1, the 1-2 polarized antenna group 102-2,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104-1, and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104- 2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위상차 발생부(106)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 및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 간에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위상차 발생부(106)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 및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상차 발생부(106)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에는 + 45°위상을 주고,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에는 - 45°위상을 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serves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1 and the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2.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may cause a 90 ° phase difference to occur between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1 and the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2. For example,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gives a + 45 ° phase to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1 and the -45 ° phase to the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2 As shown in FIG.

제1 위상차 발생부(106)는 제1 입력 포트(106a), 제2 입력 포트(106b), 제1 출력 포트(106c), 및 제2 출력 포트(106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력 포트(106c)는 제1 파워 디바이더(108)와 연결되고, 제2 출력 포트(106d)는 제2 파워 디바이더(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입력 포트(106a) 및 제2 입력 포트(106b)로 급전 전류가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제1 위상차 발생부(106)는 제1 입력 포트(106a)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1 출력 포트(106c)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위상차 발생부(106)는 제2 입력 포트(106b)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2 출력 포트(106d)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위상차 발생부(106)는 제1 입력 포트(106a)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 및 제2 입력 포트(106b)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가 제1 위상차 발생부(106) 내에서 서로 다른 경로 길이를 갖도록 하여 상호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may include a first input port 106a, a second input port 106b, a first output port 106c, and a second output port 106d. The first output port 106c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divider 108 and the second output port 106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divider 110. [ Feed currents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input port 106a and the second input port 106b, respectively.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first input port 106a to the first output port 106c after having the + 45 ° phase.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second input port 106b to the second output port 106d after having the phase difference of -45 °.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generates a first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power supply current input to the first input port 106a and the power supply current input to the second input port 106b in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So that a phase difference of 90 [deg.] Can be generated between each other.

제1 파워 디바이더(108)는 제1 위상차 발생부(106)와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파워 디바이더(108)는 제1 위상차 발생부(106)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102-1)의 각 안테나에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first power divider 108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and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1. The first power divider 108 can supply the feed currents output from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to the respective antennas of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1. At this time, a feed current having a phase of + 45 ° can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1.

제2 파워 디바이더(110)는 제1 위상차 발생부(106)와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파워 디바이더(110)는 제1 위상차 발생부(106)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102-2)의 각 안테나에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second power divider 110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and the 1-2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2-2. The second power divider 110 can supply the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 to each antenna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ed antenna group 102-2. At this time, a feeding current of -45 ° phase can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1-2 polarized-wave antenna group 102-2.

제2 위상차 발생부(112)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 및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 간에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위상차 발생부(112)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 및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상차 발생부(112)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에는 - 45°위상을 주고,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에는 - 135°위상을 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112 serves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104-1 and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104-2.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112 may cause a 90 ° phase difference to occur between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104-1 and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104-2. For example,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112 gives a -45 ° phase to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104-1 and the -135 ° phase to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104-2 As shown in FIG.

제2 위상차 발생부(112)는 제3 입력 포트(112a), 제4 입력 포트(112b), 제3 출력 포트(112c), 및 제4 출력 포트(112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출력 포트(112c)는 제3 파워 디바이더(114)와 연결되고, 제4 출력 포트(112d)는 제4 파워 디바이더(116)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입력 포트(112a) 및 제4 입력 포트(112b)로 급전 전류가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제2 위상차 발생부(112)는 제3 입력 포트(112a)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3 출력 포트(112c)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위상차 발생부(112)는 제4 입력 포트(112b)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13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4 출력 포트(112d)로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112 may include a third input port 112a, a fourth input port 112b, a third output port 112c, and a fourth output port 112d. Here, the third output port 112c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power divider 114, and the fourth output port 112d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power divider 116. And a feed current may be supplied to the third input port 112a and the fourth input port 112b, respectively.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112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third input port 112a to the third output port 112c after having the phase difference of -45 °.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112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fourth input port 112b to the fourth output port 112d after having the phase difference of -135 degrees.

제3 파워 디바이더(114)는 제2 위상차 발생부(112)와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3 파워 디바이더(114)는 제2 위상차 발생부(112)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104-1)의 각 안테나에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third power divider 114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112 and the second -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4-1. The third power divider 114 can supply the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112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4-1. At this time, a feeding current having a phase of -45 [deg.] May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104-1.

제4 파워 디바이더(116)는 제2 위상차 발생부(112)와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4 파워 디바이더(116)는 제2 위상차 발생부(112)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104-2)의 각 안테나에는 - 13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fourth power divider 116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112 and the second -2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4-2. The fourth power divider 116 can supply the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112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2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4-2. At this time, a feeding current having a phase of -135 占 can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2 polarized antenna group 104-2.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편파를 갖는 2개의 안테나 그룹(제1-1 편파 안테나 그룹 및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과 제2 편파를 갖는 2개의 안테나 그룹(제2-1 편파 안테나 그룹 및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각각에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제1 편파를 갖는 안테나 그룹에서 지향성이 상이한 2개의 빔을 발생시키고, 제2 편파를 갖는 안테나 그룹에서 지향성이 상이한 2개의 빔을 발생시켜, 다중 빔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기지국의 통신 커버리지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기지국에서 안테나가 차지하는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antenna groups (a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a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having a first polarization and two antenna groups (a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second-2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it is possible to generate two beams having different directivities in the antenna group having the first polarized wave, and to generate two beams having different directivities in the antenna group having the second polarized wave, A beam can be generated, and multiple beams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can be enlarged,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antenna at the base station does not need to be additionally secured.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 안테나 장치(200)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202-1),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202-2),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204-1),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204-2),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206), 제1 파워 디바이더(208), 제2 파워 디바이더(210),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212), 제3 파워 디바이더(214), 및 제4 파워 디바이더(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202-1),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202-2),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204-1), 및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204-2)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200 includes a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202-1, a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202-2, a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204-1 2-2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204-2, a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06, a first power divider 208, a second power divider 210, a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12, a third power divider 214, and a fourth power divider 216. The first 1-1 polarized antenna group 202-1, the 1-2 polarized antenna group 202-2,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204-1, and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204- 2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206)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202-1) 및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202-2)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206)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202-1)에는 + 45°위상을 주고,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202-2)에는 - 45°위상을 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06 may cause a 90 ° phase difference to occur between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202-1 and the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202-2. For example, a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06 may provide a + 45 ° phase to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202-1 and a 45th phase to the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202-2. Phase.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206) 각각은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202-1) 중 하나의 안테나,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202-2) 중 하나의 안테나, 제1 파워 디바이더(208), 및 제2 파워 디바이더(21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제1 위상차 발생부(206)는 제1 입력 포트(206a), 제2 입력 포트(206b), 제1 출력 포트(206c), 및 제2 출력 포트(206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 포트(206a)는 제1 파워 디바이더(208)와 연결되고, 제2 입력 포트(206b)는 제2 파워 디바이더(2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 포트(206c)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202-1) 중 하나의 안테나와 연결되고, 제2 출력 포트(206d)는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202-2) 중 하나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06 includes one antenna of the first 1-1 polarized antenna group 202-1, one antenna of the 1-2 polarized antenna group 202-2, The first power divider 208, and the second power divider 210. Specifically, each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206 may include a first input port 206a, a second input port 206b, a first output port 206c, and a second output port 206d . Here, the first input port 206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divider 208, and the second input port 206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divider 210. The first output port 206c is connected to one of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s 202-1 and the second output port 206d is connected to the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202-2. Lt; RTI ID = 0.0 > antenna. ≪ / RTI >

각 제1 위상차 발생부(206)는 제1 입력 포트(206a)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는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1 출력 포트(206c)로 출력할 수 있다. 각 제1 위상차 발생부(206)는 제2 입력 포트(206b)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는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2 출력 포트(206d)로 출력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ing units 206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first input port 206a to the first output port 206c after having a + 45 ° phase.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206 may output the feed current to the second output port 206d after having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second input port 206b to have a phase of -45 °.

제1 파워 디바이더(208)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206)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제1 파워 디바이더(208)는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포트(port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파워 디바이더(208)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각 제1 위상차 발생부(206)의 제1 입력 포트(206a)로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divider 208 can supply the input feed current to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06, respectively. The first power divider 208 may have a port (port 1) to which a feed current is input. The first power divider 208 can supply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the first input port 206a of each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206. [

제2 파워 디바이더(210)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206)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제2 파워 디바이더(210)는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포트(port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파워 디바이더(210)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각 제1 위상차 발생부(206)의 제2 입력 포트(206b)로 공급할 수 있다.The second power divider 210 may supply the input feed current to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06, respectively. The second power divider 210 may include a port port 2 for receiving a feed current. The second power divider 210 can supply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the second input port 206b of each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206. [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212)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204-1) 및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204-2)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212)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204-1)에는 - 45°위상을 주고,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204-2)에는 - 135°위상을 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12 may cause a 90 ° phase difference to occur between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204-1 and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204-2.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12 may provide -45 ° phase to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204-1 and the -45 ° phase to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204-2. Phase.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212) 각각은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204-1) 중 하나의 안테나,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204-2) 중 하나의 안테나, 제3 파워 디바이더(214), 및 제4 파워 디바이더(216)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제2 위상차 발생부(212)는 제3 입력 포트(212a), 제4 입력 포트(212b), 제3 출력 포트(212c), 및 제4 출력 포트(212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입력 포트(212a)는 제3 파워 디바이더(214)와 연결되고, 제4 입력 포트(212b)는 제4 파워 디바이더(216)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출력 포트(212c)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204-1) 중 하나의 안테나와 연결되고, 제4 출력 포트(212d)는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204-2) 중 하나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12 includes one antenna of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204-1, one antenna of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204-2, The first power divider 214, and the fourth power divider 216. Specifically, each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212 may include a third input port 212a, a fourth input port 212b, a third output port 212c, and a fourth output port 212d . The third input port 212a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power divider 214 and the fourth input port 212b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power divider 216. [ The third output port 212c is connected to one of the second-1 polarized antenna group 204-1 and the fourth output port 212d is connected to the second-2 polarized antenna group 204-2. Lt; RTI ID = 0.0 > antenna. ≪ / RTI >

각 제2 위상차 발생부(212)는 제3 입력 포트(212a)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는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3 출력 포트(212c)로 출력할 수 있다. 각 제2 위상차 발생부(212)는 제4 입력 포트(212b)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는 - 13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4 출력 포트(212d)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212 may output the current to the third output port 212c after having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third input port 212a to have a phase of -45 °.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212 may output the feed current to the fourth input port 212b after having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fourth input port 212b to have a phase of -135 °.

제3 파워 디바이더(214)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212)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제3 파워 디바이더(214)는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포트(port3)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파워 디바이더(214)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각 제2 위상차 발생부(212)의 제3 입력 포트(212a)로 공급할 수 있다.The third power divider 214 may supply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12, respectively. The third power divider 214 may have a port (port 3) to which a feed current is input. The third power divider 214 can supply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the third input port 212a of each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212. [

제4 파워 디바이더(216)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212)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제4 파워 디바이더(216)는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포트(port4)를 구비할 수 있다. 제4 파워 디바이더(216)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각 제2 위상차 발생부(212)의 제4 입력 포트(212b)로 공급할 수 있다.The fourth power divider 216 may supply the input feed current to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212, respectively. The fourth power divider 216 may include a port port 4 for receiving a feed current. The fourth power divider 216 can supply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the fourth input port 212b of each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212. [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 안테나 장치(300)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302-1),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302-2),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304-1),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304-2), 제1 위상차 발생부(306), 제1 파워 디바이더(308), 제2 파워 디바이더(310), 제2 위상차 발생부(312), 제3 파워 디바이더(314), 제4 파워 디바이더(316), 제5 파워 디바이더(318), 제6 파워 디바이더(320), 제3 위상차 발생부(322), 제7 파워 디바이더(324), 제8 파워 디바이더(326), 제4 위상차 발생부(328), 제9 파워 디바이더(330), 제10 파워 디바이더(332), 제11 파워 디바이더(334), 및 제12 파워 디바이더(33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300 includes a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302-1, a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302-2, a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304-1 A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a first power divider 308, a second power divider 310, a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a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3 power divider 314, a fourth power divider 316, a fifth power divider 318, a sixth power divider 320, a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a seventh power divider 324, A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a ninth power divider 330, a tenth power divider 332, an eleventh power divider 334 and a twelfth power divider 336 .

여기서,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302-1)은 제1-1a 편파 안테나 그룹(302a-1) 및 제1-1b 편파 안테나 그룹(302b-1)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302-1)에 포함되는 안테나들의 개수가 많은 경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302-1)을 2개의 그룹 즉, 제1-1a 편파 안테나 그룹(302a-1) 및 제1-1b 편파 안테나 그룹(302b-1)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1a 편파 안테나 그룹(302a-1) 및 제1-1b 편파 안테나 그룹(302b-1)의 배열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The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302-1 may be divided into a 1-1a polarization antenna group 302a-1 and a 1-1b polarization antenna group 302b-1. That is, when the number of antennas included in the first-first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1 is large, the first-first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1 is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is, 1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a-1 and the 1-1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b-1. The arrangement directions of the 1-1a polarized antenna group 302a-1 and the 1-1b polarized antenna group 302b-1 may be the same.

마찬가지로,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302-2)은 제1-2a 편파 안테나 그룹(302a-2) 및 제1-2b 편파 안테나 그룹(302b-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304-1)은 제2-1a 편파 안테나 그룹(304a-1) 및 제2-1b 편파 안테나 그룹(304b-1)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304-1)은 제2-2a 편파 안테나 그룹(304a-2) 및 제2-2b 편파 안테나 그룹(304b-2)으로 구분될 수 있다.Likewise, the 1-2 polarized-wave antenna group 302-2 can be divided into the 1-2a polarized antenna group 302a-2 and the 1-2b polarized antenna group 302b-2.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304-1 can be divided into a 2-1a polarized antenna group 304a-1 and a 2-1b polarized antenna group 304b-1.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304-1 may be divided into a 2-2a polarized antenna group 304a-2 and a 2-2b polarized antenna group 304b-2.

제1 위상차 발생부(306)는 제1-1a 편파 안테나 그룹(302a-1) 및 제1-2a 편파 안테나 그룹(302a-2)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상차 발생부(306)는 제1-1a 편파 안테나 그룹(302a-1)에는 + 45°위상을 주고, 제1-2a 편파 안테나 그룹(302a-2)에는 - 45°위상을 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may cause a 90 ° phase difference to occur between the 1-1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a-1 and the 1-2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a-2. For example,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gives + 45 ° phase to the 1-1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a-1 and 45 ° phase to the 1-2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a-2 As shown in FIG.

제1 위상차 발생부(306)는 제1 입력 포트(306a), 제2 입력 포트(306b), 제1 출력 포트(306c), 및 제2 출력 포트(306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력 포트(306c)는 제1 파워 디바이더(308)와 연결되고, 제2 출력 포트(306d)는 제2 파워 디바이더(3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입력 포트(306a)는 제5 파워 디바이더(318)와 연결되고, 제2 입력 포트(306b)는 제6 파워 디바이더(3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위상차 발생부(306)는 제1 입력 포트(306a)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1 출력 포트(306c)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위상차 발생부(306)는 제2 입력 포트(306b)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2 출력 포트(306d)로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may include a first input port 306a, a second input port 306b, a first output port 306c, and a second output port 306d. The first output port 306c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divider 308 and the second output port 306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divider 310. [ The first input port 306a may be coupled to the fifth power divider 318 and the second input port 306b may be coupled to the sixth power divider 320. [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first input port 306a to the first output port 306c after having the + 45 ° phase.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second input port 306b to the second output port 306d after having a phase of -45 °.

제1 파워 디바이더(308)는 제1 위상차 발생부(306)와 제1-1a 편파 안테나 그룹(302a-1)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파워 디바이더(308)는 제1 위상차 발생부(306)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1-1a 편파 안테나 그룹(302a-1)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1a 편파 안테나 그룹(302a-1)의 각 안테나에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first power divider 308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and the 1-1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a-1. The first power divider 308 can supply the feed currents output from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to the respective antennas of the 1-1a polarized antenna group 302a-1. At this time, a feeding current having a + 45 ° phase may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1-1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a-1.

제2 파워 디바이더(310)는 제1 위상차 발생부(306)와 제1-2a 편파 안테나 그룹(302a-2)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파워 디바이더(310)는 제1 위상차 발생부(306)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1-2a 편파 안테나 그룹(302a-2)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2a 편파 안테나 그룹(302a-2)의 각 안테나에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second power divider 310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and the 1-2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a-2. The second power divider 310 can supply the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to each antenna of the 1-2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a-2. At this time, a feeding current of -45 ° phase can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1-2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a-2.

제2 위상차 발생부(312)는 제1-1b 편파 안테나 그룹(302b-1) 및 제1-2b 편파 안테나 그룹(302b-2)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상차 발생부(312)는 제1-1b 편파 안테나 그룹(302b-1)에는 + 45°위상을 주고, 제1-2b 편파 안테나 그룹(302b-2)에는 - 45°위상을 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may cause a 90 ° phase difference to occur between the 1-1 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b-1 and the 1-2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b-2. For example,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gives + 45 ° phase to the 1-1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b-1 and the -45 ° phase to the 1-2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b- As shown in FIG.

제2 위상차 발생부(312)는 제1 입력 포트(312a), 제2 입력 포트(312b), 제1 출력 포트(312c), 및 제2 출력 포트(312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력 포트(312c)는 제3 파워 디바이더(314)와 연결되고, 제2 출력 포트(312d)는 제4 파워 디바이더(316)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입력 포트(312a)는 제5 파워 디바이더(318)와 연결되고, 제2 입력 포트(312b)는 제6 파워 디바이더(3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위상차 발생부(312)는 제1 입력 포트(312a)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1 출력 포트(312c)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위상차 발생부(312)는 제2 입력 포트(312b)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2 출력 포트(312d)로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may include a first input port 312a, a second input port 312b, a first output port 312c, and a second output port 312d. Here, the first output port 312c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power divider 314, and the second output port 312d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power divider 316. The first input port 312a may be connected to the fifth power divider 318 and the second input port 312b may be connected to the sixth power divider 320. [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first input port 312a to the first output port 312c after having the + 45 ° phase.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may output the power supply current input to the second input port 312b to the second output port 312d after having a phase of -45 °.

제3 파워 디바이더(314)는 제2 위상차 발생부(312)와 제1-1b 편파 안테나 그룹(302b-1)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3 파워 디바이더(314)는 제2 위상차 발생부(312)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1-1b 편파 안테나 그룹(302b-1)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1b 편파 안테나 그룹(302b-1)의 각 안테나에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third power divider 314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and the 1-1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b-1. The third power divider 314 can supply the feed currents output from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to the respective antennas of the 1-1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b-1. At this time, a feed current having a phase of + 45 ° can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1-1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b-1.

제4 파워 디바이더(316)는 제2 위상차 발생부(312)와 제1-2b 편파 안테나 그룹(302b-2)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4 파워 디바이더(316)는 제2 위상차 발생부(312)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1-2b 편파 안테나 그룹(302b-2)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2b 편파 안테나 그룹(302b-2)의 각 안테나에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fourth power divider 316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and the 1-2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b-2. The fourth power divider 316 can supply the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to each antenna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ed wave antenna groups 302b-2. At this time, a feeding current having a phase of -45 ° can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1-2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2b-2.

제5 파워 디바이더(318)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1 위상차 발생부(306) 및 제2 위상차 발생부(312)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제5 파워 디바이더(318)는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포트(port1)를 구비할 수 있다. 제5 파워 디바이더(318)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1 위상차 발생부(306)의 제1 입력 포트(306a) 및 제2 위상차 발생부(312)의 제1 입력 포트(312a)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The fifth power divider 318 can supply the input feed current to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respectively. The fifth power divider 318 may have a port (port 1) through which a feeding current is inputted. The fifth power divider 318 can supply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the first input port 306a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and the first input port 312a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have.

제6 파워 디바이더(320)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1 위상차 발생부(306) 및 제2 위상차 발생부(312)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제6 파워 디바이더(320)는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포트(port2)를 구비할 수 있다. 제6 파워 디바이더(320)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1 위상차 발생부(306)의 제2 입력 포트(306b) 및 제2 위상차 발생부(312)의 제2 입력 포트(312b)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The sixth power divider 320 can supply the input feed current to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respectively. The sixth power divider 320 may have a port (port 2) through which a power supply current is input. The sixth power divider 320 can supply the input feed current to the second input port 306b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306 and the second input port 312b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12 have.

제3 위상차 발생부(322)는 제2-1a 편파 안테나 그룹(304a-1) 및 제2-2a 편파 안테나 그룹(304a-2)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위상차 발생부(322)는 제2-1a 편파 안테나 그룹(304a-1)에는 - 45°위상을 주고, 제2-2a 편파 안테나 그룹(304a-2)에는 - 135°위상을 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may cause a 90 ° phase difference to occur between the 2-1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a-1 and the 2-2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a-2. For example,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gives a -45 ° phase to the 2-1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a-1 and the -135 ° phase to the 2-2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a-2 As shown in FIG.

제3 위상차 발생부(322)는 제3 입력 포트(322a), 제4 입력 포트(322b), 제3 출력 포트(322c), 및 제4 출력 포트(322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출력 포트(322c)는 제7 파워 디바이더(324)와 연결되고, 제4 출력 포트(322d)는 제8 파워 디바이더(326)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입력 포트(322a)는 제11 파워 디바이더(334)와 연결되고, 제4 입력 포트(322b)는 제12 파워 디바이더(336)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위상차 발생부(322)는 제3 입력 포트(322a)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3 출력 포트(22c)로 출력할 수 있다. 제3 위상차 발생부(322)는 제4 입력 포트(322b)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13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4 출력 포트(322d)로 출력할 수 있다.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may include a third input port 322a, a fourth input port 322b, a third output port 322c, and a fourth output port 322d. The third output port 322c may be connected to the seventh power divider 324 and the fourth output port 322d may be connected to the eighth power divider 326. [ The third input port 322a may be connected to the eleventh power divider 334 and the fourth input port 322b may be connected to the twelfth power divider 336. [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third input port 322a to the third output port 22c after having a phase of -45 °.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ing unit 322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fourth input port 322b to the fourth output port 322d after having a phase of -135 °.

제7 파워 디바이더(324)는 제3 위상차 발생부(322)와 제2-1a 편파 안테나 그룹(304a-1)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7 파워 디바이더(324)는 제3 위상차 발생부(322)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2-1a 편파 안테나 그룹(304a-1)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1a 편파 안테나 그룹(304a-1)의 각 안테나에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seventh power divider 324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and the second -1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a-1. The seventh power divider 324 can supply the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1 la polarized antenna group 304a-1. At this time, a feed current having a phase of -45 [deg.] May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2-1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a-1.

제8 파워 디바이더(326)는 제3 위상차 발생부(322)와 제2-2a 편파 안테나 그룹(304a-2)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8 파워 디바이더(326)는 제3 위상차 발생부(322)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2-2a 편파 안테나 그룹(304a-2)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2a 편파 안테나 그룹(304a-2)의 각 안테나에는 - 13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eighth power divider 326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and the second -2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a-2. The eighth power divider 326 can supply the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2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a-2. At this time, a feed current having a phase of -135 占 can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2a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a-2.

제4 위상차 발생부(328)는 제2-1b 편파 안테나 그룹(304b-1) 및 제2-2b 편파 안테나 그룹(304b-2)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위상차 발생부(328)는 제2-1b 편파 안테나 그룹(304b-1)에는 - 45°위상을 주고, 제2-2b 편파 안테나 그룹(304b-2)에는 - 135°위상을 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may cause a 90 ° phase difference to occur between the 2-1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b-1 and the 2-2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b-2. For example,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may provide a -45 ° phase to the 2-1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b-1 and a-135 ° phase to the 2-2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b- As shown in FIG.

제4 위상차 발생부(328)는 제3 입력 포트(328a), 제4 입력 포트(328b), 제3 출력 포트(328c), 및 제4 출력 포트(328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출력 포트(328c)는 제9 파워 디바이더(330)와 연결되고, 제4 출력 포트(328d)는 제10 파워 디바이더(332)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입력 포트(328a)는 제11 파워 디바이더(332)와 연결되고, 제4 입력 포트(328b)는 제12 파워 디바이더(336)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위상차 발생부(328)는 제3 입력 포트(328a)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4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3 출력 포트(328c)로 출력할 수 있다. 제4 위상차 발생부(328)는 제4 입력 포트(328b)로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 135°위상을 가지도록 한 후 제4 출력 포트(328d)로 출력할 수 있다.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may include a third input port 328a, a fourth input port 328b, a third output port 328c, and a fourth output port 328d. The third output port 328c may be connected to the ninth power divider 330 and the fourth output port 328d may be connected to the tenth power divider 332. [ The third input port 328a may be coupled to the eleventh power divider 332 and the fourth input port 328b may be coupled to the twelfth power divider 336. [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ing unit 328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third input port 328a to the third output port 328c after having the -45 ° phase.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may output the feed current inputted to the fourth input port 328b to the fourth output port 328d after having a phase of -135 degrees.

제9 파워 디바이더(330)는 제4 위상차 발생부(328)와 제2-1b 편파 안테나 그룹(304b-1)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9 파워 디바이더(330)는 제4 위상차 발생부(328)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2-1b 편파 안테나 그룹(304b-1)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1b 편파 안테나 그룹(304b-1)의 각 안테나에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ninth power divider 33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and the second -1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b-1. The ninth power divider 330 can supply the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1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b-1. At this time, a feeding current having a phase of -45 占 may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1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b-1.

제10 파워 디바이더(332)는 제4 위상차 발생부(328)와 제2-2b 편파 안테나 그룹(304b-2)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0 파워 디바이더(332)는 제4 위상차 발생부(328)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2-2b 편파 안테나 그룹(304b-2)의 각 안테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2b 편파 안테나 그룹(304b-2)의 각 안테나에는 - 135°위상의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tenth power divider 332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and the second -2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b-2. The tenth power divider 332 can supply the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2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b-2. At this time, a feed current having a phase of -135 占 can be supplied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2b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304b-2.

제11 파워 디바이더(334)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3 위상차 발생부(322) 및 제2 위상차 발생부(328)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제11 파워 디바이더(334)는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포트(port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1 파워 디바이더(334)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3 위상차 발생부(322)의 제3 입력 포트(322a) 및 제4 위상차 발생부(328)의 제3 입력 포트(328a)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The eleventh power divider 334 may supply the input feed current to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respectively. The eleventh power divider 334 may have a port (port 3) through which a feeding current is inputted. The eleventh power divider 334 can supply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the third input port 322a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and the third input port 328a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have.

제12 파워 디바이더(336)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3 위상차 발생부(322) 및 제4 위상차 발생부(328)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제12 파워 디바이더(336)는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포트(port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2 파워 디바이더(336)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제3 위상차 발생부(322)의 제4 입력 포트(322b) 및 제4 위상차 발생부(328)의 제4 입력 포트(328b)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The twelfth power divider 336 can supply the input feed current to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and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respectively. The twelfth power divider 336 may have a port (port 4) through which a feeding current is inputted. The twelfth power divider 336 can supply the input feed current to the fourth input port 322b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 and the fourth input port 328b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8 ha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200, 300 : 기지국 안테나 장치
102 : 제1 편파 안테나 그룹
104 : 제2 편파 안테나 그룹
102-1, 202-1, 302-1 :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
102-2, 202-2, 302-2 :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104-1, 204-1, 304-1 :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
104-2, 204-2, 304-2 :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106, 206, 306 : 제1 위상차 발생부
106a, 206a, 306a : 제1 입력 포트
106b, 206b, 306b : 제2 입력 포트
106c, 206c, 306c : 제1 출력 포트
106d, 206d, 306d : 제2 출력 포트
108, 208, 308 : 제1 파워 디바이더
110, 210, 310 : 제2 파워 디바이더
112, 212, 312 : 제2 위상차 발생부
112a, 212a : 제3 입력 포트
112b, 212b : 제4 입력 포트
112c, 212c : 제3 출력 포트
112d, 212d : 제4 출력 포트
114, 214, 314 : 제3 파워 디바이더
116, 216, 316 : 제4 파워 디바이더
318 : 제5 파워 디바이더
320 : 제6 파워 디바이더
322 : 제3 위상차 발생부
324 : 제7 파워 디바이더
326 : 제8 파워 디바이더
328 : 제4 위상차 발생부
322a, 328a : 제3 입력 포트
322b, 328b : 제4 입력 포트
322c, 328c : 제3 출력 포트
322d, 328d : 제4 출력 포트
330 : 제9 파워 디바이더
332 : 제10 파워 디바이더
334 : 제11 파워 디바이더
336 : 제12 파워 디바이더
100, 200, 300: base station antenna device
102: first polarized antenna group
104: second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102-1, 202-1, and 302-1: group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102-2, 202-2, and 302-2: the first and second polarized antenna groups
104-1, 204-1, and 304-1: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104-2, 204-2, 304-2: 2-2 polarized antenna group
106, 206, and 306: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106a, 206a, 306a: a first input port
106b, 206b, 306b: a second input port
106c, 206c, and 306c:
106d, 206d, 306d: a second output port
108, 208, 308: a first power divider
110, 210, 310: a second power divider
112, 212, 312: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112a, 212a: a third input port
112b, 212b: a fourth input port
112c and 212c: a third output port
112d and 212d: a fourth output port
114, 214, 314: a third power divider
116, 216, 316: fourth power divider
318: Fifth power divider
320: Sixth power divider
322: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4: Seventh power divider
326: Eighth power divider
328: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322a, 328a: a third input port
322b, 328b: a fourth input port
322c, 328c: a third output port
322d, 328d: fourth output port
330: 9th power divider
332: 10th power divider
334: 11th power divider
336: twelfth power divider

Claims (12)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제1 입력 포트 및 제2 입력 포트와, 상호 간에 위상차가 발생하는 급전 전류가 출력되는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제1 위상차 발생부;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 급전 전류가 입력되는 제3 입력 포트 및 제4 입력 포트와, 상호 간에 위상차가 발생하는 급전 전류가 출력되는 제3 출력 포트 및 제4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제2 위상차 발생부;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1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2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3 파워 디바이더; 및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4 파워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A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to have a first polarization;
A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the first polarized wave and being spaced apart from the 1-1 polarized antenna group;
A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to have a second polarization;
A second 2-polarized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the second polarized wave, the second 2-polarized antenna group being spaced apart from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A first input port and a second input port to which a feed current is inputted and a second input port to which a feed current is input, A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including a first out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through which a feed current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is output;
A first input port and a second input port to which a feed current is input, and a third input port and a fourth input port, respectively, through which a phas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and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A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including a third output port and a fourth output port through which a feed current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is output;
A first power divider connected to a first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port to each antenna of the first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 second power divider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output port to each antenna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 antenna groups;
A third power divider connected to a third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third output port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And a fourth power divider connected to a fourth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power supply current output from the fourth output port to each antenna of the second -2 polarization antenna group,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is configured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of 90 ° between the first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Wherein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is provided such that a phase difference of 90 ° occurs between the second-1 polarized antenna group and the second -2 polarized antenna group.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는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는 - 13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outputs a feed current in the + 45 ° phase and the second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outputs a feed current in the -45 ° phase,
Wherein the third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outputs a feed current of -45 ° phase and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is arranged to output a feed current of -135 ° phase.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 및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들과 대응하여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며, 각각 제1 입력 포트, 제2 입력 포트,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 및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들과 대응하여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며, 각각 제3 입력 포트, 제4 입력 포트, 제3 출력 포트, 및 제4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입력 포트로 각각 공급하는 제1 파워 디바이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입력 포트로 각각 공급하는 제2 파워 디바이더;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입력 포트로 각각 공급하는 제3 파워 디바이더; 및
입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입력 포트로 각각 공급하는 제4 파워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A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to have a first polarization;
A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the first polarized wave and being spaced apart from the 1-1 polarized antenna group;
A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to have a second polarization;
A second 2-polarized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the second polarized wave, the second 2-polarized antenna group being spaced apart from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A plurality of first antennas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antennas included in the first 1-1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and the first 1-2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A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each having a first input port, a second input port, a first out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respectively, so that directivity of the beam is formed differently;
A plurality of pairs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antennas included in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and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and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and the 2-2 polarized antenna group A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having a third input port, a fourth input port, a third output port, and a fourth output port, respectively, so that the directivity of the beam is formed differently;
A first power divider for supplying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the first input port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A second power divider for supplying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a second input port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A third power divider that supplies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a third in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And
And a fourth power divider for supplying the input power supply current to the fourth in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respectivel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는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안테나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는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안테나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는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안테나들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는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안테나들과 각각 연결되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is connected to the antennas of the group of the first polarization antenna group,
A second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is connected to the antennas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ed wave antenna groups,
The third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is connected to the antennas of the second-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is connected to the antennas of the second -2 polarization antenna group, respectivel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는 각각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는 각각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는 각각 - 4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는 각각 - 135°위상의 급전 전류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output ports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output a feed current of + 45 ° phase respectively and the second output ports of the plurality of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s output feed currents of -45 ° phase respectively,
And the third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outputs the feed current of -45 ° phase respectively and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s outputs the feed current of -135 ° phase respectively The base station antenna device.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1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2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와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고, 제1 입력 포트, 제2 입력 포트,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제1 위상차 발생부;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와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고, 제1 입력 포트, 제2 입력 포트,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제2 위상차 발생부;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1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2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3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4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입력 포트 및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1 입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로 급전 전류를 각각 공급하는 제5 파워 디바이더; 및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입력 포트 및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의 제2 입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로 급전 전류를 각각 공급하는 제6 파워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A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to have a first polarization;
A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the first polarized wave and being spaced apart from the 1-1 polarized antenna group;
A 2-1 polarization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to have a second polarization;
A second 2-polarized antenn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provided to have the second polarized wave, the second 2-polarized antenna group being spaced apart from the 2-1 polarized antenna group;
A polarizing beam splitter for splitting a part of the group of the first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a part of the group of the first polarizing wave antenna group to generate a beam different in directivity, A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having a first out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A first input port, a second input port, a first output port, a second input port, and a second output port, respectively, for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emainder of the first- A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having a second output port;
A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connected to a first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outputted from a first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to each antenna included in a part of the first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Power divider;
A second phase-difference generating unit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difference generating unit and supplying a power-supply current outputted from a second output port of the first phase-difference generating unit to each antenna included in a part of the first- Power divider;
A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to be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to each antenna included in the remainder of the group of the first polarization antenna, Power divider;
A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connected to a second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second out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to each antenna included in the remainder of the group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ed wave antennas, Power divider;
A fifth power divider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first in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respectively, for supplying the feed current to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A sixth power divider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port of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second input port of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supplying a feed current to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 RTI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와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위상차 발생부는, 상기 제1-1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와 상기 제1-2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 간에 90°위상차가 발생하도록 마련되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phase difference generator is arranged to generate a phase difference of 90 DEG between a part of the first 1-1 polarization antenna group and a part of the first 1-2 polarization antenna group,
Wherein the second phase difference generator is arranged such that a phase difference of 90 DEG occurs between the remainder of the group of the first-first polarized antenna group and the rest of the first-polarized antenna group.
삭제dele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와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고, 제3 입력 포트, 제4 입력 포트, 제3 출력 포트, 및 제4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제3 위상차 발생부;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와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 간에 위상차를 발생시켜 빔의 지향성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고, 제3 입력 포트, 제4 입력 포트, 제3 출력 포트, 및 제4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제4 위상차 발생부;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7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일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8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1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9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출력 포트에서 출력되는 급전 전류를 상기 제2-2 편파 안테나 그룹의 나머지에 포함되는 각 안테나로 공급하는 제10 파워 디바이더;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입력 포트 및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3 입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로 급전 전류를 각각 공급하는 제11 파워 디바이더; 및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입력 포트 및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의 제4 입력 포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위상차 발생부 및 상기 제4 위상차 발생부로 급전 전류를 각각 공급하는 제12 파워 디바이더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includes:
A polarized beam splitter for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a part of the 2-1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and a part of the 2-2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so that the directivity of the beam is formed differently, and a third input port, a fourth input port, A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having a fourth output port;
A polarized beam splitter for generating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emainder of the 2-1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and the remainder of the 2-2 polarized wave antenna group so that the directivity of the beam is formed differently, and the third input port, the fourth input port, A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having a fourth output port;
And a seventh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ing unit and supplies the feed current outputted from the third out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ing unit to each antenna included in a part of the second- Power divider;
And supplying the power supply current outputted from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to each antenna included in a part of the second 2-polarized wave antenna group, connected to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Power divider;
And a third feed port connected to a third out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for feeding the feed current output from the third out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to each antenna included in the remainder of the second- Power divider;
And supplying the feed current to the respective antennas included in the remainder of the second -2 polarized antenna group, the feed current being connected to a fourth out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being output from the fourth out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Power divider;
An eleventh power divider connected to the third in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third in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respectively, for supplying the feed current to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A twelfth power divider connected to the fourth input port of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fourth input port of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for supplying the feed current to the third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fourth phase difference generator, And the base station antenna device further comprises: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9, 및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기지국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
A base station comprising a base station antenna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to 9, and 11.
KR1020160101746A 2016-08-10 2016-08-10 Antenna device for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having the same KR1018516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46A KR101851608B1 (en) 2016-08-10 2016-08-10 Antenna device for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746A KR101851608B1 (en) 2016-08-10 2016-08-10 Antenna device for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626A KR20180017626A (en) 2018-02-21
KR101851608B1 true KR101851608B1 (en) 2018-04-24

Family

ID=6152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46A KR101851608B1 (en) 2016-08-10 2016-08-10 Antenna device for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60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353B1 (en) * 2003-07-07 2006-04-11 주식회사 감마누 Planar array antenna for prevent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353B1 (en) * 2003-07-07 2006-04-11 주식회사 감마누 Planar array antenna for prevent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626A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9078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 supporting expanded, programmable communications services distribution to programmable remote communications service sector areas
CN107408970B (en) Beam-forming method, antenna assembly,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P2685557B1 (en) Antenna and base station
US8737511B2 (en) Directed MIMO communications
AU2018264101A1 (en) Cluster-based beacon signal transmission
CN116405071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GB2439495B (en) Dipole locator using multiple measurement points
TW200625721A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ntenna system for determining direction of arrival information to form a three-dimensional beam by a transceiver
JP2017516408A (en) Multi-beam antenna system, multi-beam antenna system phase adjustment method, and dual-polarized antenna system
US10381745B2 (en) Beam forming network and base station antenna
US10560178B2 (en)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 featuring adjustable support
JP6988816B2 (en) Antenna device for in-vehicle mobile station and in-vehicle mobile station
EP3057179A1 (en) Antenna system and base station
US20210184751A1 (en) Beam reporting from a communication device
JP2017216567A (en) Beacon device, direction estimation method using beacon device, position estim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unit
KR101851608B1 (en) Antenna device for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having the same
KR101720485B1 (en) Sharing element antenna of station
CN112567640B (en) Method for sharing polariz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KR20160082360A (en) Twin beam controller for antenna and antenna device using the same
EP3503420A1 (en) Base st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towards a user entity
CN114531187B (en) Automatic antenna beam alignment
US20190075555A1 (en) High speed wireless data network
CN103477700B (en) Multimode base s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multimode base station
US20190339352A1 (en) Position detecting system
EP3503421A1 (en) Base st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towards a user ent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