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265B1 -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265B1
KR101851265B1 KR1020160085522A KR20160085522A KR101851265B1 KR 101851265 B1 KR101851265 B1 KR 101851265B1 KR 1020160085522 A KR1020160085522 A KR 1020160085522A KR 20160085522 A KR20160085522 A KR 20160085522A KR 101851265 B1 KR101851265 B1 KR 101851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test
diagnostic kit
test line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440A (ko
Inventor
최용환
한상조
이성곤
조한상
백승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주)이지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주)이지벨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5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265B1/ko
Priority to PCT/KR2017/006710 priority patent/WO2018008881A1/ko
Publication of KR2018000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01N30/8675Evaluation, i.e. decoding of the signal into analytical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DIAGNOSIS AND ANALYSIS SERVICE, PROGRAM FOR PROVIDING DIAGNOSIS AND ANALYSIS SERVICE AND RECORDING MEDIA FOR THE PROGRAM}
본 발명은 진단키트(Rapid Kit)의 테스트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용분석관련기기(예: 리더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진단키트(Rapid Kit)를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종 질병이 급속도로 확산됨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질병감염여부(예: 신종플루, 말라리아 등) 확인하거나 또는 특정증상에 대한 진단결과(예: 임신)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키트(Rapid Kit)에 대한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진단키트(Rapid Kit)의 이용이 증가하는 것은 테스트 방법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테스트결과가 비교적 정확하므로 진단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상황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단키트(Rapid Kit)를 이용한 테스트결과가 대부분 사용자의 육안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결과가 잘못 판독되거나, 또는 정확하게 판독되었더라도 잘못 기록하거나 기록 자체를 누락하는 등의 분석오류가 발생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실험 당시의 결과가 보존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진단키트(Rapid Kit)의 테스트결과가 오염될 수 있어 동일한 테스트를 다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진단키트(Rapid Kit)의 테스트결과를 분석하는 전용분석관련기기(예: 리더기)를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이동단말에 부착하여 분석하는 방안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안은 진단키트(Rapid Kit)의 가격(예: $1)에 비해 전용분석관련기기(예: 리더기)의 가격대(예: $1,000~$2,000)가 너무 높기 때문에 실제로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어 상기 분석오류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전용분석관련기기(예: 리더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진단키트(Rapid Kit)를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에 포함되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키트에 의한 테스트결과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확인되는 꼭지점을 기초로 상기 진단키트의 최외곽선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최외곽선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영역을 검출하는 키트영역검출부; 및 상기 진단키트영역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의 종류를 확인하고, 진단키트의 종류 별로 기 저장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단키트영역으로부터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검출하는 결과영역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출력색상을 확인하고,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배경색상으로부터 상기 출력색상이 구분될 수 있도록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색상모드를 변환하는 모드변환부; 및 상기 색상모드가 변환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에서 상기 출력색상의 명암을 강조하는 명암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출력색상의 명암이 강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 중 기준라인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결과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과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픽셀값 중 가장 큰 픽셀값을 갖는 해당 테스트라인영역을 상기 기준라인영역으로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 중 상기 기준라인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 별 픽셀값과 상기 기준라인영역의 픽셀값을 비교한 결과 및 상기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 별 픽셀값은 해당하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의 픽셀값에 대한 평균값이며, 상기 기준라인영역의 픽셀값은 상기 기준라인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의 픽셀값에 대한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에 포함되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검출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키트에 의한 테스트결과를 분석하는 분석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이미지에서 확인되는 꼭지점을 기초로 상기 진단키트의 최외곽선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최외곽선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영역을 검출하는 키트영역검출단계; 및 상기 진단키트영역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의 종류를 확인하고, 진단키트의 종류 별로 기 저장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단키트영역으로부터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검출하는 결과영역검출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출력색상을 확인하고,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배경색상으로부터 상기 출력색상이 구분될 수 있도록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색상모드를 변환하는 모드변환단계; 및 상기 색상모드가 변환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에서 상기 출력색상의 명암을 강조하는 명암제어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단계는, 상기 출력색상의 명암이 강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 중 기준라인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결과생성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과생성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픽셀값 중 가장 큰 픽셀값을 갖는 해당 테스트라인영역을 상기 기준라인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 중 상기 기준라인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 별 픽셀값과 상기 기준라인영역의 픽셀값을 비교한 결과 및 상기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 별 픽셀값은 해당하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의 픽셀값에 대한 평균값이며, 상기 기준라인영역의 픽셀값은 상기 기준라인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의 픽셀값에 대한 평균값인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의하면, 별도의 전용분석관련기기(예: 리더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진단키트(Rapid Kit)를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분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착시(錯視) 및 수기(手記)에 의한 분석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테스트 시점의 진단키트(Rapid Kit)만 촬영되어 있다면 시간경과에 상관없이 분석을 원하는 시점을 자유롭게 결정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또한, 진단키트(Rapid Kit)를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테스트결과가 표시되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검출하여 분석이 수행되므로 진단키트(Rapid Kit)의 종류 및 외형/모형에 관계없이 다양한 진단키트(Rapid Kit)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성취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로부터 진단키트영역의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검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결과출력영역에 출력되는 테스트결과를 분석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수행되는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통신 환경은, 단말장치(100) 및 서비스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Rapid Kit)(300)의 테스트결과를 분석하여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별도의 전용분석관련기기(예: 리더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진단키트(300)를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하, 진단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발신)하거나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시도되는 통화를 수신(착신)하는 등 기본적인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유선 단말일 수도 있고 무선 단말일 수도 있다.
물론, 단말장치(100)는, 기본적인 통화 서비스 외에도, 메시지(예 : SMS, MMS 등)를 발/착신하는 등의 메시지 서비스와, 데이터 다운로드 및 정보 검색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 단말장치(100)로는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구동이 가능하며, 촬영된 영상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에서의 진단분석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매체로는 예컨대, 단말장치(100) 자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단말장치(100)에서 브라우저를 호출하여 접속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페이지가 해당될 수 있는 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0)에서 진단분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매체가 애플리케이션임을 전제 하기로 한다.
서비스서버(200)는, 단말장치(100)를 비롯한 다수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300)에 의한 테스트결과를 분석한 결과정보(이하, 분석결과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분석결과정보를 지도상에서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질병에 대한 감시/예방을 위한 분석통계정보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서버(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분석결과정보를 누적하여 질병 및 특정증상과 관련되는 분석통계정보를 생성하게 되며, 분석통계정보를 기반으로 지역/위치별, 시간별, 계절별 등의 조건에서 발생 가능한 질병을 미리 예측하여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서버(200)는, 다수의 단말에 대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관련회사, 질병관리를 위한 기관, 기업 및 단체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분석결과정보는, 진단키트(300)에 의한 테스트결과에 대응하는 그래프정보, 그래프정보를 해석하여 텍스트 형태로 기록한 판독정보 및 판독시점의 주변정보(예: 날짜, 시간, 온도, 습도, 날씨, GPS 좌표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분석결과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서버(200)가 분석결과정보에 기초하여 지도데이터상에서 단말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말장치(100)가 지도데이터상의 해당 GPS 좌표 인근에 분석결과정보를 표시하여 서비스서버(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진단키트(300)는, 질병감염여부(예: 신종플루, 말라리아 등) 확인하거나 또는 특정증상에 대한 진단결과(예: 임신)를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 장치로서, 사용자의 혈액, 소변 등에 반응하여 테스트결과를 표시한다.
이러한 진단키트(300)는, 진단하려는 질병 및 특정증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외형/모형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진단키트(300)에는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가 표시되게 되며, 사용자는 식별자를 인식하여 진단키트(30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진단키트(300)에 식별자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촬영하기 이전 단계에서 진단키트(300)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마크 등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진단키트(300)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 및 식별자관련영역(3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은, 진단키트(300)에 의한 테스트결과가 출력되는 윈도우(window)로서, 테스트결과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이 출력된다. 이러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은, 진단키트(30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진단키트(300)의 종류 별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위치정보가 단말장치(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식별자관련영역(320)은, 진단키트(30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식별자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식별자는 진단키트(300)가 생산되는 과정에서 표시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수기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구분마크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300)를 촬영한 이미지를 확인하는 확인부(110),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300)에 포함되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을 검출하는 검출부(120) 및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진단키트(300)에 의한 테스트결과를 분석하는 분석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300)를 촬영한 이미지, 테스트결과를 분석한 분석결과정보 등과 같이 진단분석 서비스와 관련되는 모든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부(140), 및 분석결과정보를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하는 통신부(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확인부(110), 검출부(120), 분석부(130), 저장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별도의 전용분석관련기기(예: 리더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진단키트(Rapid Kit)를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분석결과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확인부(110)는, 진단키트(300)를 촬영한 이미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10)는,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300)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수신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이미지는, 단말장치(100) 내 탑재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시에 확인부(110)로 전송되거나, 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이후 확인부(100)로 전송되거나, 또는 외부의 다른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촬영되어 확인부(100)로 전송되는 형태 등으로 촬영 및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미지가 전송되게 되므로, 확인부(110)는, 단말 내부구성과의 연동 또는 외부 다른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가 분석될 수 있도록 검출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단말장치(100) 내 카메라에 의해 이미지가 촬영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의 (A1) 및 (A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300)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A1)와 같이, 진단키트(300)를 촬영한 이미지는 사용자가 단말장치(100)를 손에 들고 촬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의 (A2)와 같이, 이미지 생성에 최적화된 거리범위를 갖도록 형성된 거치대(400)를 사이에 두고 상단에 배치된 단말장치(100)가 하단에 배치된 진단키트(300)를 촬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진단키트(300)의 촬영 시 인식 및 판독성능을 향상을 위해 단말장치(100)의 화면 상에 가이드 라인(500)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거치대(400)가 특정한 형태 및 모양(예: 사다리꼴)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말장치(100)에 의해 진단키트(300)가 안정적으로 촬영될 수만 있다면 형태 및 모양에 대해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촬영된 이미지는 진단분석 서비스를 위해 확인부(110)로 전송되게 되며, 이에 확인부(110)는 이미지로부터 진단키트(300)에 포함되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이 검출될 수 있도록 수신된 이미지를 검출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검출부(120)는, 이미지를 표준화하여 진단키트(300)의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검출부(120)는, 확인부(110)로부터 이미지가 전달되면, 이미지로부터 진단키트(300)의 종류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진단키트(300)의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을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검출부(120)는, 키트영역검출부(121) 및 결과영역검출부(12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4의 (B1, B2, B3)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키트영역검출부(121)는, 이미지의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하여 진단키트(300)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영역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키트영역검출부(121)는, 이미지에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 여기서,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은, 박스필터링(Normalized box filter), 모폴로지 기법(Morphology) 등과 같은 이미지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관련 알고리즘이 해당될 수 있다.
이후, 키트영역검출부(121)는,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에 외곽선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미지에 포함되는 다수의 외곽선을 도 4의 (B1)와 같이 인식한다. 여기서, 외곽선 추출 알고리즘은 이진영상 변환 및 외곽선 추출 기법(Canny edge detector) 등과 같은 이미지에 포함되는 선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관련 알고리즘이 해당될 수 있다.
이처럼 이미지에 포함되는 다수의 외곽선이 인식되면, 키트영역검출부(121)는, 다수의 외곽선의 꼭지점을 기초로 진단키트(300)의 최외곽선을 확인하고, 최외곽선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영역을 검출한다.
즉, 키트영역검출부(121)는, 다수의 외곽선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유클리디안 변환을 수행하여 각 꼭지점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각 꼭지점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진단키트(300)의 최외곽선(L1)을 확인한다. 이후, 키트영역검출부(121)는, 이미지로부터 최외곽선(L1)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영역(300’)을 도 4의 (B2)와 같이 검출하게 된다.
결과영역검출부(122)는, 진단키트영역(300’)에 포함되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과영역검출부(122)는, 키트영역검출부(121)로부터 진단키트영역(300’)의 검출이 완료되면, 진단키트영역(300’)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때, 진단키트영역(300’)은, 이미지로부터 진단키트(300)만을 추출한 영상이므로 진단키트(300)에 포함되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 및 식별자관련영역(320)을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결과영역검출부(122)는, 진단키트영역(300’)의 식별자관련영역(320)에 표시된 식별자를 검출하여 진단키트(30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결과영역검출부(122)는, 진단키트(300)의 종류 별로 기 저장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이어서, 결과영역검출부(122)는, 진단키트영역(300’) 상에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을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으로 결정한다.
즉, 결과영역검출부(122)는, 진단키트영역(300’)에 포함되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만을 ROI(Region Of Interest)로서 도 4의 (B3)과 같이 검출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분석부(130)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에 표시되는 테스트결과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30)는, 검출부(120)로부터 이미지에 포함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검출이 완료되면,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진단키트(300)에 의한 테스트결과를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분석부(130)는, 모드변환부(131), 명암제어부(132) 및 결과생성부(13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5의 (C1, C2, C3, C4)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모드변환부(131)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의 색상을 확인한다.
여기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은,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과 배경영역(312)로 구분된다. 이하에서는 테스트라인영역(311)이 5개(311a, 311b, 311c, 311d, 311e)이며, 테스트라인영역(311)의 색상(이하, 출력색상)이 레드(Red)이며, 배경영역(312)의 색상(이하, 배경색상)은 화이트(white)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에, 모드변환부(131)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배경색상으로부터 테스트라인영역(311)의 출력색상이 구분될 수 있도록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색상모드를 도 5의 (C1)과 같이 변환하게 된다.
여기서, 색상모드의 변환이라 함은, 단말장치(100)의해 제1 모드(RGB)에서 촬영된 이미지, 즉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을 제2 모드(Lab Color mode)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배경색상으로부터 테스트라인영역(311)의 출력색상을 검출하기 위해 제2 모드(Lab Color mode)의 특정채널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테스트라인영역(311)의 출력색상이 레드(Red)이므로, 모드변환부(131)는, 레드(Red)가 가장 잘 표현될 수 있도록 제2 모드(Lab Color mode)의 L(Lightness) 채널을 특정채널로 결정하게 된다.
명암제어부(132)는, 색상모드가 변환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에서 출력색상의 명암을 강조한다.
즉, 명암제어부(132)는, L 채널로 색상모드가 변환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에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테스트라인영역(311)의 출력색상의 명암을 도 5의 (C2)와 같이 강조하게 된다.
결과생성부(133)는, 출력색상의 명암이 강조된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기준라인영역을 검출하여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과생성부(133)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의 픽셀값 중 가장 큰 픽셀값을 갖는 해당 테스트라인영역을 기준라인영역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픽셀값은,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 별로 포함되는 픽셀들의 픽셀값에 대한 평균값으로 산출된다.
이에, 결과생성부(133)는, 전술에서 테스트라인영역(311)이 5개(311a-311e)인 것으로 언급하였으므로, 5개의 각 테스트라인영역(311a-311e) 별로 픽셀값을 산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의 (C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테스트라인영역(311a, 311b, 311c, 311d, 311e) 별로 포함되는 픽셀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의 (C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라인영역(311a)에 포함되는 픽셀이 (P11-P14)이고, 테스트라인영역(311b)에 포함되는 픽셀이 (P21-P24)이고, 테스트라인영역(311c)에 포함되는 픽셀이 (P31-P34)이고, 테스트라인영역(311d)에 포함되는 픽셀이 (P41-P44)이고, 테스트라인영역(311e)에 포함되는 픽셀이 (P51-P54)인 것으로 확인되면, 결과생성부(133)는, 각 테스트라인영역(311a-311e) 별 픽셀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되며, 산출된 픽셀값 중 가장 큰 픽셀값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결과생성부(133)는, 테스트라인영역(311a)에 포함되는 픽셀(P11-P14)의 픽셀값을 더한 후 픽셀개수로 나누어 평균값(AV1)을 산출한다. 이후, 결과생성부(133)는, 산출된 평균값(AV1)을 테스트라인영역(311a)의 픽셀값(AV1)으로 결정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결과생성부(133)는, 테스트라인영역(311b)에 포함되는 픽셀(P21-P24)의 픽셀값을 더한 후 픽셀개수로 나누어 평균값(AV2)을 산출한다. 이후, 결과생성부(133)는, 산출된 평균값(AV2)을 테스트라인영역(311b)의 픽셀값(AV2)으로 결정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결과생성부(133)는, 테스트라인영역(311c-311e) 별 평균값(AV3-AV5)를 산출한다. 이후, 결과생성부(133)는, 산출된 평균값(AV3-AV5)을 해당하는 테스트라인영역(311c-311e)의 픽셀값(AV3-AV5)으로 결정한다.
전술과 같이 각 테스트라인영역(311a- 311e) 별 픽셀값(AV1- AV5)의 산출이 완료되면, 결과생성부(133)는, 각 테스트라인영역(311a-311e) 별 픽셀값(AV1- AV5)을 기반으로 테스트결과에 대응하는 그래프정보를 도 5의 (C4)와 같이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픽셀값(AV1- AV5) 중 픽셀값(AV1)이 가장 큰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후, 결과생성부(133)는, 각 테스트라인영역(311a-311e) 별 픽셀값(AV1- AV5) 중 가장 큰 픽셀값(AV1)을 갖는 테스트라인영역(311a)을 기준라인영역(311a)으로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기준라인영역은, 진단키트(300)에 의한 테스트결과를 분석을 위한 기준라인으로서, 다른 테스트라인영역과 달리 항상 가장 큰 일정한 픽셀값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기준라인영역으로 결정된 테스트라인영역(311a)의 픽셀값(AV1)이 항상 가장 큰 일정한 픽셀값을 가지게 되며,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픽셀값(AV2- AV5)은 픽셀값(AV1)에 근접하게 도달할 수는 있으나 그 이하의 값을 갖게 된다.
이처럼, 기준라인영역(311a)이 결정되면, 결과생성부(133)는, 기준라인영역(311a)의 픽셀값(AV1)과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픽셀값(AV2- AV5)을 각각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유사도는, 그래프정보 상에서 기준라인영역(311a)의 픽셀값(AV1)을 기준으로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픽셀값(AV2- AV5)이 각각 어느 정도 일치하는 지를 나타내는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라인영역(311b)의 유사도가 90%인 경우, 기준라인영역(311a)의 픽셀값(AV1)에 대응하는 기준 출력색상의 90%에 대응하는 만큼 테스트라인영역(311b)의 픽셀값(AV2)에 대응하는 색상이 출력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이후, 결과생성부(133)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라 함은,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 상에서 질병 및 특정증상에 따라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이 반응하여 출력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진단키트(300)를 생산 및 제작할 때 미리 결정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가 단말장치(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에, 결과생성부(133)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게 되면 위치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해당 질병 또는 특정증상이 무엇인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진단키트(300)가 확인하려는 질병이 독감이고, 진단키트(300)를 생산 및 제작 시 테스트라인영역(311b)을 통해 A형 독감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테스트라인영역(311c)을 통해 B형 독감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상태에서 테스트결과에 테스트라인영역(311b)이 반응하여 출력되게 되면, 결과생성부(133)는, 테스트라인영역(311b)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매칭되어 있는 A형 독감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에는 질병 또는 특정증상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결과생성부(133)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질병 또는 특정증상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과 같이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유사도 및 위치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확인이 완료되면, 결과생성부(133)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유사도 및 위치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즉, 결과생성부(133)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인 특정 테스트라인영역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테스트라인영역에 매칭되는 해당 질병 또는 특정증상을 인지하여 분석결과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진단키트(300)가 확인하려는 질병이 독감이고, 테스트라인영역(311b)의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결과생성부(133)는, 테스트결과에 대응하는 그래프정보로부터 테스트라인영역(311b)의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임을 확인하여 테스트라인영역(311b)을 특정 테스트라인영역으로 결정한다. 이후, 결과생성부(133)는, 테스트라인영역(311b)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매칭되어 있는 A형 독감을 인지하고 A형 독감에 감염되었음을 판독한 분석결과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용분석관련기기(예: 리더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진단키트(Rapid Kit)를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분석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분석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간경과에 상관없이 분석을 원하는 시점을 자유롭게 결정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또한, 진단키트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ROI(Region Of Interest)로 검출하여 분석이 수행되므로 진단키트의 종류 및 외형/모형에 관계없이 다양한 진단키트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성취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 수행되는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5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단말장치(100)는,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300)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촬영되면(S100), 이미지로부터 진단키트(300)의 종류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진단키트(300)의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을 검출한다(S110-S130).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이미지에 노이즈 등의 전처리를 수행하여 다수의 외곽선을 도 4의 (B1)와 같이 인식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다수의 외곽선의 꼭지점을 기초로 진단키트(300)의 최외곽선을 확인하고, 최외곽선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영역(300’)을 도 4의 (B2)와 같이 검출하게 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진단키트영역(300’)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때, 진단키트영역(300’)은, 이미지로부터 진단키트(300)만을 추출한 영상이므로 진단키트(300)에 포함되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 및 식별자관련영역(320)을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진단키트(300)의 종류 별로 기 저장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영역을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으로 도 4의 (B3)과 같이 결정한다.
전술과 같이 진단키트영역(300’)에 포함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검출이 완료되면, 단말장치(100)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을 검출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S140-S150).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의 색상을 확인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배경색상으로부터 테스트라인영역(311)의 출력색상이 구분될 수 있도록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색상모드를 도 5의 (C1)과 같이 변환하게 된다.
여기서, 색상모드의 변환이라 함은, 단말장치(100)의해 제1 모드(RGB)에서 촬영된 이미지, 즉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을 제2 모드(Lab Color mode)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의 배경색상으로부터 테스트라인영역(311)의 출력색상을 검출하기 위해 제2 모드(Lab Color mode)의 특정채널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테스트라인영역(311)의 출력색상이 레드(Red)이므로, 단말장치(100)는, 레드(Red)가 가장 잘 표현될 수 있도록 제2 모드(Lab Color mode)의 L(Lightness) 채널을 특정채널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L 채널로 색상모드가 변환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에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테스트라인영역(311)의 출력색상의 명암을 도 5의 (C2)와 같이 강조하게 된다.
전술과 같이 출력색상의 명암이 강조되면,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기준라인영역을 검출하여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S160-S190).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의 픽셀값 중 가장 큰 픽셀값을 갖는 해당 테스트라인영역을 기준라인영역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픽셀값은,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311) 별로 포함되는 픽셀들의 픽셀값에 대한 평균값으로 산출된다.
즉, 단말장치(100)는, 도 5의 (C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라인영역(311a)에 포함되는 픽셀(P11-P14)의 픽셀값을 더한 후 픽셀개수로 나누어 평균값(AV1)을 산출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산출된 평균값(AV1)을 테스트라인영역(311a)의 픽셀값(AV1)으로 결정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단말장치(100)는,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평균값(AV2-AV5)를 산출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산출된 평균값(AV2-AV5)을 해당하는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픽셀값(AV2-AV5)으로 결정한다.
전술과 같이 각 테스트라인영역(311a- 311e) 별 픽셀값(AV1- AV5)의 산출이 완료되면, 단말장치(100)는, 각 테스트라인영역(311a-311e) 별 픽셀값(AV1-AV5)을 기반으로 테스트결과에 대응하는 그래프정보를 도 5의 (C4)와 같이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픽셀값(AV1-AV5) 중 픽셀값(AV1)이 가장 큰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각 테스트라인영역(311a-311e) 별 픽셀값(AV1-AV5) 중 가장 큰 픽셀값(AV1)을 갖는 테스트라인영역(311a)을 기준라인영역(311a)으로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기준라인영역은, 진단키트(300)에 의한 테스트결과를 분석을 위한 기준라인으로서, 다른 테스트라인영역과 달리 항상 가장 큰 일정한 픽셀값을 갖게 된다.
이처럼, 기준라인영역(311a)이 결정되면, 단말장치(100)는, 기준라인영역(311a)의 픽셀값(AV1)과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픽셀값(AV2-AV5)을 각각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유사도는, 그래프정보 상에서 기준라인영역(311a)의 픽셀값(AV1)을 기준으로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픽셀값(AV2- AV5)이 각각 어느 정도 일치하는 지를 나타내는 비율일 수 있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라 함은, 테스트결과출력영역(310) 상에서 질병 및 특정증상에 따라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이 반응하여 출력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진단키트(300)를 생산 및 제작할 때 미리 결정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가 단말장치(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게 되면 위치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해당 질병 또는 특정증상이 무엇인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에는 질병 또는 특정증상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단말장치(100)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질병 또는 특정증상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과 같이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유사도 및 위치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확인이 완료되면, 단말장치(100)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유사도 및 위치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결국, 단말장치(100)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311b-311e) 별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인 특정 테스트라인영역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테스트라인영역에 매칭되는 해당 질병 또는 특정증상을 인지하여 분석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분석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지역/위치별, 시간별, 계절별 등의 조건에서 발생 가능한 질병이 미리 예측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분석결과정보를 서비스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용분석관련기기(예: 리더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진단키트(Rapid Kit)를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분석결과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분석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간경과에 상관없이 분석을 원하는 시점을 자유롭게 결정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또한, 진단키트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ROI(Region Of Interest)로 검출하여 분석이 수행되므로 진단키트의 종류 및 외형/모형에 관계없이 다양한 진단키트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성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따르면, 별도의 전용분석관련기기(예: 리더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진단키트(Rapid Kit)를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확인부 120: 검출부
130: 분석부 140: 저장부
150: 통신부
200: 서비스서버
300: 진단키트
310: 테스트결과출력영역 320: 식별자관련영역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에 포함되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키트에 의한 테스트결과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픽셀값 중 가장 큰 픽셀값을 갖는 해당 테스트라인영역을 기준라인영역으로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 중 상기 기준라인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과 상기 기준라인영역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 중 상기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인 특정 테스트라인영역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테스트라인영역의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질병 또는 증상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확인되는 꼭지점을 기초로 상기 진단키트의 최외곽선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최외곽선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영역을 검출하는 키트영역검출부; 및
    상기 진단키트영역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의 종류를 확인하고, 진단키트의 종류 별로 기 저장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단키트영역으로부터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검출하는 결과영역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출력색상을 확인하고,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배경색상으로부터 상기 출력색상이 구분될 수 있도록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색상모드를 변환하는 모드변환부; 및
    상기 색상모드가 변환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에서 상기 출력색상의 명암을 강조하는 명암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출력색상의 명암이 강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준라인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결과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 중 상기 기준라인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 별 픽셀값과 상기 기준라인영역의 픽셀값을 비교한 결과 및 상기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 별 픽셀값은 해당하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의 픽셀값에 대한 평균값이며,
    상기 기준라인영역의 픽셀값은 상기 기준라인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의 픽셀값에 대한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진단분석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단키트에 포함되는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검출하는 검출단계; 및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을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키트에 의한 테스트결과를 분석하는 분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단계는,
    상기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픽셀값 중 가장 큰 픽셀값을 갖는 해당 테스트라인영역을 기준라인영역으로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 중 상기 기준라인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과 상기 기준라인영역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 중 상기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인 특정 테스트라인영역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테스트라인영역의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질병 또는 증상을 인지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이미지에서 확인되는 꼭지점을 기초로 상기 진단키트의 최외곽선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최외곽선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영역을 검출하는 키트영역검출단계; 및
    상기 진단키트영역에 대응하는 진단키트의 종류를 확인하고, 진단키트의 종류 별로 기 저장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진단키트영역으로부터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을 검출하는 결과영역검출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출력색상을 확인하고,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배경색상으로부터 상기 출력색상이 구분될 수 있도록 상기 테스트결과출력영역의 색상모드를 변환하는 모드변환단계; 및
    상기 색상모드가 변환된 테스트결과출력영역에서 상기 출력색상의 명암을 강조하는 명암제어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는,
    상기 출력색상의 명암이 강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의 픽셀값을 기반으로 상기 기준라인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결과생성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생성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라인영역 중 상기 기준라인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 별 픽셀값과 상기 기준라인영역의 픽셀값을 비교한 결과 및 상기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 별 픽셀값은 해당하는 나머지 테스트라인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의 픽셀값에 대한 평균값이며,
    상기 기준라인영역의 픽셀값은 상기 기준라인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의 픽셀값에 대한 평균값인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단분석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60085522A 2016-07-06 2016-07-06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1851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522A KR101851265B1 (ko) 2016-07-06 2016-07-06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PCT/KR2017/006710 WO2018008881A1 (ko) 2016-07-06 2017-06-26 단말장치 및 서비스서버,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522A KR101851265B1 (ko) 2016-07-06 2016-07-06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40A KR20180005440A (ko) 2018-01-16
KR101851265B1 true KR101851265B1 (ko) 2018-04-24

Family

ID=6091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522A KR101851265B1 (ko) 2016-07-06 2016-07-06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1265B1 (ko)
WO (1) WO20180088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893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지지56코리아 일회용 진단키트의 검사결과 인증 기반 입장 통제 방법
WO2024058319A1 (ko) * 2022-09-16 2024-03-21 주식회사 켈스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감염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1234B (zh) * 2019-03-18 2022-08-26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胶体金试纸检测方法
KR102475029B1 (ko) * 2020-10-20 2022-12-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측방 분석기를 위한 바코드 인식 방법
KR102613633B1 (ko) * 2021-07-09 2023-12-14 블록체인랩스 주식회사 진단 키트의 검사 결과를 판독하는 ai 모델 학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624952B (zh) * 2021-10-13 2022-02-18 深圳市帝迈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体外诊断设备及其检测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623055B1 (ko) * 2021-12-23 2024-01-08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Lfa 인식 장치 및 시스템
KR102484594B1 (ko) * 2022-05-16 2023-01-06 주식회사 메디칼더원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진단 키트 판독 단말 및 그 방법, 그리고 진단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876B1 (ko) * 2013-02-26 2014-01-20 여희경 진단 장치
JP2014032039A (ja) * 2012-08-01 2014-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検査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89673B1 (ko) * 2015-10-12 2016-01-28 (주)휴레이포지티브 시약 키트의 이미지를 통한 감염병 진단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9612B2 (en) * 2010-11-15 2013-01-08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Guided structured testing k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2039A (ja) * 2012-08-01 2014-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検査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52876B1 (ko) * 2013-02-26 2014-01-20 여희경 진단 장치
KR101589673B1 (ko) * 2015-10-12 2016-01-28 (주)휴레이포지티브 시약 키트의 이미지를 통한 감염병 진단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893A (ko) *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지지56코리아 일회용 진단키트의 검사결과 인증 기반 입장 통제 방법
KR102544459B1 (ko) * 2020-12-29 2023-06-20 주식회사 지지56코리아 일회용 진단키트의 검사결과 인증 기반 입장 통제 방법
WO2024058319A1 (ko) * 2022-09-16 2024-03-21 주식회사 켈스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감염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40A (ko) 2018-01-16
WO2018008881A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265B1 (ko)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장치와, 진단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JP6030240B2 (ja) 顔認識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0163114B (zh) 一种人脸角度及人脸模糊度分析方法、系统和计算机设备
CN108269333A (zh) 人脸识别方法、应用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907621B2 (ja) 映像処理装置と方法及びその記録媒体
CN109727275B (zh) 目标检测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740547A (zh) 一种图像处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303156B (zh) 字符检测装置、方法及程序
WO2022041830A1 (zh) 行人重识别方法和装置
CN110287791B (zh) 一种用于人脸图片的筛选方法和系统
JP2004209244A (ja) 歯牙映像からの歯牙領域の抽出方法及び歯牙映像を利用した身元確認方法及び装置
CN110610127B (zh) 人脸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4901229B2 (ja) 赤目検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498203B2 (ja) メータ認識システム、メータ認識方法、およびメータ認識プログラム
WO2017112131A1 (en) Determining values of angular gauges
CN112001200A (zh) 识别码识别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系统
CN116453232A (zh) 人脸活体检测方法、人脸活体检测模型的训练方法和装置
CN114613006A (zh) 一种远距离手势识别方法及装置
CN111507854A (zh) 基于历史赔案的车辆定损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JP6630341B2 (ja) シンボルの光学的検出方法
CN113286086B (zh) 一种摄像头的使用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837006A (zh) 一种人脸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271982A (zh) 多个识别区域识别方法、识别终端及可读存储介质
JP5552946B2 (ja) 顔画像サンプル採取装置、顔画像サンプル採取方法、プログラム
CN111291619A (zh) 一种在线识别理赔单据中文字的方法、装置及客户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